KR20230069853A -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853A
KR20230069853A KR1020220149729A KR20220149729A KR20230069853A KR 20230069853 A KR20230069853 A KR 20230069853A KR 1020220149729 A KR1020220149729 A KR 1020220149729A KR 20220149729 A KR20220149729 A KR 20220149729A KR 20230069853 A KR20230069853 A KR 20230069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mino acid
disease
elderbe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현석
김지연
홍선화
김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사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사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사바이오
Publication of KR20230069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8Compounds having an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carbo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e.g. D-galactosamine, ranimu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엘더베리 추출물, 또는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은 근육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며,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촉진하고, 근위축 마커 단백질 및 미오스타틴의 발현을 억제하며, 근감소증 동물모델에서 근육을 회복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근육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MUSCLE DISEASES}
본 발명은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육(muscle)은 인체에서 가장 구성량이 많은 조직으로서, 인체의 기능적 능력(functional capacity)을 유지하고, 대사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적정 근육량의 유지가 필요하다. 근육 크기(muscle size)는 근육 내에서 일어나는 동화작용(anabolism)이나 이화작용(catabolism)을 유도하는 세포 내 신호전달 과정에 의해 조절된다. 근육 단백질의 분해보다 합성을 유도하는 신호전달 반응이 많이 일어날 경우 근육 단백질의 합성이 증가되어 근비대증(hypertrophy)나 근섬유수의 증가(hyperplasia)가 유발된다.
한편, 근육은 칼슘의 유입을 촉진시켜 골 밀도를 높이기도 한다. 그러나, 신체가 노화하면서 구성성분이 변하고, 그 결과 체지방 및 체단백질의 재분포가 발생한다. 또한, 50세 이후에는 근세포 내 단백질의 합성속도가 분해속도보다 느려져 근육이 급격히 퇴화하기 시작하며 그 결과 근육 감소에 의한 질환에 노출될 수 있다.
근육의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 중 하나인 근감소증은 체내 근육량이 체질량의 약 13~24%가 감소한 상태로, 이는 근육량뿐 아니라 단백질 함량, 섬유 직경, 근력 생산 및 피로 저항(fatigueresistance)의 감소를 나타낸다. 근감소증은 폐혈증, 암, 신부전증,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과다, 신경제거, 근육의 미사용, 노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주로 노화에 의한 골격근의 양과 질의 점진적 감소나 부적절한 식이에 따른 지방과 체지방 성분을 포함하는 체중감소 등이 원인이다.
근감소증은 단백질의 합성 및 분해 사이의 불균형으로부터 발생한다. 근감소증이 있으면 운동량이 현저히 감소하여 삶의 질이 떨어지고 일생생활 중에도 쉽게 부상을 입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과도한 운동에 의해 근육의 피로와 손상이 유발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와 같은 손상에 의해 통증, 일시적 운동능력 상실 등이 나타난다.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2-0113912호는 피마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마자 추출물이 근육세포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운동 수행능력을 개선시켜 부작용 없이 근육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2-011391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엘더베리 추출물의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더베리 추출물의 근육강화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근육강화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강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강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더베리 추출물, 또는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은 근육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며,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촉진하고, 근위축 마커 단백질 및 미오스타틴의 발현을 억제하며, 근감소증 동물모델에서 근육을 회복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근육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근원세포를 근관세포로 분화시키기 전(A)과 후(B)의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근관세포에 덱사메타손을 처리하기 전(A)과 후(B)의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A), 엘더베리 50% 에탄올 추출물(B) 또는 엘더베리 100% 에탄올 추출물(C)에 의한 근육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FL(A), FV(B) 또는 FI(C)에 의한 근육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양한 종류의 아미노산(류신, 발린, 아르기닌, 티로신, 메티오닌 또는 페닐알라닌)에 의한 근육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양한 종류의 아미노산(이소류신, 트립토판, 글리신, 리신 또는 트레오닌)에 의한 근육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A), 엘더베리 50% 에탄올 추출물(B) 또는 엘더베리 100% 에탄올 추출물(C)에 의한 TNFα의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FL(A), FV(B) 또는 FI(C)에 의한 TNFα의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A) 또는 FL(B)에 의한 테스토스테론 분비 촉진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A), 엘더베리 50% 에탄올 추출물(B) 또는 엘더베리 100% 에탄올 추출물(C)에 의한 MuRF-1 유전자의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A), 엘더베리 50% 에탄올 추출물(B) 또는 엘더베리 100% 에탄올 추출물(C)에 의한 아트로진-1 유전자의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A), 엘더베리 50% 에탄올 추출물(B) 또는 엘더베리 100% 에탄올 추출물(C)에 의한 미오스타틴 유전자의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FL(A), FV(B) 또는 FI(C)에 의한 MuRF-1 유전자의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FL(A), FV(B) 또는 FI(C)에 의한 아트로진-1 유전자의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FL(A), FV(B) 또는 FI(C)에 의한 미오스타틴 유전자의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근감소증 동물모델을 이용한 동물실험 계획은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A) 또는 FL(B)에 의한 근감소증 동물모델의 체중 변화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엘더베리(elderberry)"는 자주빛 검은색을 나타내는 베리류의 열매로서, 통상적으로 가을에 열매를 맺기 때문에 블랙 엘더(black elder)라고 불리기도 한다. 또한, 북미에서는 엘더베리 추출물을 삼부콜(sambucol)이라고도 한다. 엘더베리에는 비타민 A, B, C와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감기예방이나 면역력 강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상기 엘더베리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1) 엘더베리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된 여과물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또한,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또는 주정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엘더베리 무게의 1 내지 100배, 1 내지 70배, 1 내지 50배, 1 내지 30배 또는 1 내지 15배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를 알코올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알코올은 10 내지 100%, 20 내지 100%, 30 내지 100% 또는 40 내지 100% 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은 진탕추출, 냉침추출, 환류추출 또는 초음파추출일 수 있다. 이때, 추출 시간은 1 내지 20시간, 2 내지 20시간, 1 내지 10시간, 2 내지 10시간, 1 내지 5시간, 2 내지 5시간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1회 이상 반복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동결건조일 수 있다.
상기 근육 질환(muscle disease)은 근육 감소에 의한 질환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근육 질환은 근력이 점진적으로 감소함으로써 나타나는 보행능력의 상실, 호흡근력의 약화, 심장기능의 약화 등을 포함하는 진행성 질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육 질환은 선천성 질환 또는 후천성 질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근육 감소에 의한 질환은 긴장감퇴증(stony), 근위축증(muscular ai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경직증, 근디스트로피,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또는 근감소증(sarcopenia)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인 엘더베리 추출물을 10 내지 9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생물학적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조성물을 생체 내에 전달하는데 적합한 것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체는 Merck Index, 13th ed., Merck & Co. Inc.에 기재된 화합물,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과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하는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용 제제 또는 비경구용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용 제제로는 고형 제제 및 액상 제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또는 트로키제일 수 있고,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 제제는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예로는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상 제제에는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과 같은 부형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용 제제는 주사제,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파우더 및 크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용제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이나, 에틸올레이트와 같이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복강내, 직장내, 피하, 정맥, 근육내 또는 흉부내 주사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는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환자의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0.0001 내지 1,000 ㎎/㎏, 구체적으로 0.001 내지 500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1회 또는 수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 또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병용 투여시, 투여는 순차적 또는 동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되는 엘더베리 추출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근육 질환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더베리 추출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첨가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은 목적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전체 건강기능식품 중량의 0.01 내지 90 중량부일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형태 및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추가성분으로서 여러 가지 향미제, 감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천연 또는 합성 감미제일 수 있고, 천연 감미제의 예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이 있다. 한편, 합성 감미제의 예로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폴리사카라이드,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서술한 추가성분 외에,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스탄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100 중량부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강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되는 엘더베리 추출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단당류(monosaccharide)"는 탄수화물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서, 단순당(simple sugar)로도 불린다. 상기 단당류는 일반적으로 무색, 수용성의 결정성 고체로서, 글루코스(glucose), 프룩토스(fructose), 갈락토스(galactose)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당류는 프룩토스일 수 있다. 상기 용어, "프룩토스"는 6개의 탄소원자가 포함된 단당류로서, 케톤기를 갖는 케토스이며, C6H12O6의 화학식으로 표시된다. 상기 프룩토스는 생물의 당대사에서 포도당의 분해나 글리코겐의 합성과정에 중간산물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아미노산(amino acid)"은 생물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기본 구성단위로서, 화학적으로 염기성인 아미노기(-NH2)와 산성인 카르복시기(-COOH)를 모두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단백질을 산이나, 펩신, 트립신 등과 같은 효소로 가수분해시키면 여러종류의 아미노산으로 분해된다. 이와같이 생성된 아미노산은 체내에 흡수되고, 재배열되어 신체를 구성하는 단백질로 합성된다. 상기 아미노산은 비필수 아미노산 및 필수 아미노산으로 분류된다.
상기 아미노산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종류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아미노산은 BCAA(branched-chain amino acid)일 수 있다. 상기 용어, "BCAA(branched-chain amino acid)"는 3개 이상의 탄소 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중심 탄소 원자인 가지사슬과 지방족 곁사슬을 갖는 아미노산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BCAA는 류신(leucine), 발린(valine) 또는 이소류신(isoleucine)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단당류 및 아미노산을 통상의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결합시켜 수득된 화합물을 의미한다. 일례로, 상기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은 프룩토스에 BCAA가 결합된 형태의 화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은 프룩토스에 류신, 발린 또는 이소류신이 결합된 형태의 화합물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
[화학식 2]
Figure pat00002
, 및
[화학식 3]
Figure pat00003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뿐 아니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순수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과다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등의 유발 없이 사람 및 하등 동물의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염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당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일례로 문헌(S.M. Berge et al., J. Parmaceutical Sciences, 66, 1, 1977)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최종적으로 분리 및 정제하는 동안에 동일 반응계에서 제조하거나 별도로 무기 염기 또는 유기 염기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염기 부가염 형태의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암모늄염, 리튬, 소듐, 포타슘, 마그네슘, 칼슘 등의 염과 같은 알칼리염 및 알칼리토금속염, 유기염기와의 염, 예를 들면 1차, 2차 및 3차 지방족 및 방향족 아민, 예를 들면 메틸아민, 에틸아민, 프로필아민, 이소프로필아민, 4가지 부틸아민 이성체,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디에탄올아민, 디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n-부틸아민, 피롤리딘, 피페리딘, 모폴린,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퀴누클리딘, 피리딘, 퀴놀린 및 이소퀴놀린, 벤자틴, N-메틸-D-글루카민, 2-아미노-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하이드라바민 염, 및 아르기닌, 라이신 등의 아미노산과의 염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 이들의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화물 중에서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용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육 질환(muscle disease)은 근육 감소에 의한 질환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근육 질환은 근력이 점진적으로 감소함으로써 나타나는 보행능력의 상실, 호흡근력의 약화, 심장기능의 약화 등을 포함하는 진행성 질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육 질환은 선천성 질환 또는 후천성 질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근육 감소에 의한 질환은 긴장감퇴증, 근위축증, 근이영양증, 근육 퇴화, 근경직증, 근디스트로피,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근무력증, 악액질 또는 근감소증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인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10 내지 9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생물학적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조성물을 생체 내에 전달하는데 적합한 것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체는 Merck Index, 13th ed., Merck & Co. Inc.에 기재된 화합물,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과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하는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용 제제 또는 비경구용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용 제제로는 고형 제제 및 액상 제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또는 트로키제일 수 있고,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 제제는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예로는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상 제제에는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과 같은 부형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용 제제는 주사제,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파우더 및 크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용제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이나, 에틸올레이트와 같이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복강내, 직장내, 피하, 정맥, 근육내 또는 흉부내 주사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는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환자의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0.0001 내지 1,000 ㎎/㎏, 구체적으로 0.001 내지 500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1회 또는 수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 또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병용 투여시, 투여는 순차적 또는 동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되는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근육 질환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첨가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은 목적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전체 건강기능식품 중량의 0.01 내지 90 중량부일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형태 및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추가성분으로서 여러 가지 향미제, 감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천연 또는 합성 감미제일 수 있고, 천연 감미제의 예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이 있다. 한편, 합성 감미제의 예로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폴리사카라이드,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서술한 추가성분 외에,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스탄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100 중량부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강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되는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의 제조
건조 엘더베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건조 엘더베리에 이의 중량을 기준으로 10배수의 정제수를 넣고,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추출물은 금속 검출기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농축하여 엘더베리 농축물을 얻었다. 상기 엘더베리 농축물에 30%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하고 동결건조하여,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엘더베리 50%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정제수 대신 50% 에탄올을 첨가하고, 6시간 동안 추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엘더베리 50% 에탄올 추출물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에 3. 엘더베리 100%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정제수 대신 100% 에탄올을 첨가하고, 6시간 동안 추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엘더베리 100% 에탄올 추출물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엘더베리 추출물의 성분 분석
상기에서 제조된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을 사용하여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LC/MS)을 수행하여 추출물 내 FL(fructose-leucine)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00 ㎎의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의 분말을 물에 녹인 후, 메탄올을 첨가하여 60분 이상 초음파 처리하여 시료로서 준비하였다. 한편, 0.2 ㎎/ℓ의 FL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여, 정량범위를 설정하였다. 상기 조건으로 준비된 시료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를 3회 반복하였다. 그 결과, 수득된 피크 면적 및 검액RT를 이용하여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 내 존재하는 FL의 함량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계산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피크 면적 검액 RT FL 함량(%) 평균 FL 함량(%)
#1 7844 2.899 1.02 1.02
#2 7713 2.892 1.01
#3 7869 2.904 1.03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료 내 존재하는 FL의 함량은 평균 1.02%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 근육세포 사멸 억제
상기에서 제조된 엘더베리 추출물 및 단당류와 아미노산이 결합된 화합물이 근육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는지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1-1. 근관세포의 준비
먼저, 근원세포(myoblast cell)인 C2C12 세포주(ATCC, 미국)를 10% FBS(fetal bovine serum) 및 1% 항생제-항진균제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의 배양액을 2% HS(horse serum)이포함된 배양배지로 교체하고, 72시간을 더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근원세포가 근관세포로 분화되었는지 확인하고, 10 μM의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세포를 다시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근관세포로 분화되었는지 확인한 결과를 도 1에,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후 현미경 관찰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근원세포가 근관세포로 분화되었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덱사메타손의 처리에 의해 근관세포의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근육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1-2. 엘더베리 추출물의 근육세포 사멸 억제
상기에서 덱사메타손이 처리된 세포주에 12.5, 25, 50 또는 100 ㎍/㎖의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 또는 100, 200, 300 또는 400 ㎍/㎖의 엘더베리 50% 에탄올 추출물, 또는 100, 200, 300 또는 400 ㎍/㎖의 엘더베리 10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처리 24시간 후,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고, 웰당 5 ㎎/㎖의 MTT 시약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세포를 더 배양하였다. 이후, DMSO를 첨가하고 침전물을 용해시키고, 마이크로 570 ㎚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값으로부터 세포 생존율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덱사메타손에 의해 감소한 세포 생존율이 엘더베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회복되었다.
1-3.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의 근육세포 사멸 억제
엘더베리 추출물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FL뿐 아니라, 단당류인 프룩토스에 BCAA(branched-chain amino acid)인 발린 또는 이소류신이 결합된 FV(fructose-valine) 및 FI(fructose-isoleucine) 화합물에 의한 근육세포 사멸 억제를 확인하였다. 실험은 엘더베리 추출물 대신, FL, FV 또는 FI를 2.5, 5, 10 또는 20 ㎍/㎖의 농도로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2와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수행되었다. 이때, 대조군으로서 류신, 발린, 이소류신, 트립토판, 아르기닌, 티로신, 글리신,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또는 트레오닌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FL, FV 또는 FI를 처리한 결과로부터 세포 생존율을 계산한 결과를 도 4에, 아미노산을 처리한 결과로부터 세포 생존율을 계산한 결과를 도 5 및 6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덱사메타손에 의해 감소한 세포 생존율이 FL, FV 또는 FI에 의해 유의적으로 회복되었다. 반면, 도 5 및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미노산의 처리에 의해서는 세포 생존율이 회복되지 않았다.
실험예 2.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
상기에서 제조된 엘더베리 추출물 및 단당류와 BCAA가 결합된 화합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는지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2-1. 엘더베리 추출물의 TNFα 발현 억제
상기 실험예 1-2와 동일하게 엘더베리 추출물이 처리된 세포에 트립신을 처리하여 세포만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를 3,0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RiboEx™(진올, 한국) 및 Hybrid-R™(진올, 한국)을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총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RNA 농도는 나노드랍(nanodrop)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cDNA는 RNA, 올리고-(dT) 프라이머 및 2×HyperScript™ RT Master Mix(진올, 한국)를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이후, 합성된 cDNA를 주형으로 Power SYBR™ Green PCR Master Mix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조건으로 실시간 PCR(qPCR을 수행하여 TNFα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TNFα mRNA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 그래프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덱사메타손에 의해 증가한 TNFα의 발현 수준이 엘더베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2-2.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의 TNFα 발현 억제
상기 실험예 1-3과 동일하게 FL, FV 또는 FI가 처리된 세포에 트립신을 처리하여 세포만을 회수하고, 실험예 2-1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TNFα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 그래프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덱사메타손에 의해 증가한 TNFα의 발현 수준이 FL, FV 또는 FI의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직접 근육 소모를 유발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엘더베리 추출물, 및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에 의해 유의적으로 억제되어, 이들 성분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발되는 근육세포의 사멸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남성호르몬 분비 촉진
상기에서 제조된 엘더베리 추출물 및 단당류와 BCAA가 결합된 화합물이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에 의한 근감소를 억제하는지를 ELISA 분석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먼저, 마우스 레이딕 세포(leydig cell)인 TM3 세포주(ATCC, 미국)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주에 500 μM의 과산화수소(H2O2)를 6시간 동안 처리하고, 12.5, 25, 50 또는 100 ㎍/㎖의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 또는 1.25, 2.5, 5 또는 10 ㎍/㎖의 FL을 첨가하였다. 이후, 상기 세포 배양액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ELISA를 수행하여 테스토스테론의 수준을 확인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에 의해 억제된 테스토스테론의 농도가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 또는 FL에 의해 유의적으로 회복되었다.
실험예 4. 근육 단백질 발현 억제
상기에서 제조된 엘더베리 추출물 및 단당류와 BCAA가 결합된 화합물이 근육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는지를 qPC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근육 단백질로서는 근위축 마커인 MuRF-1(muscle RING-finger protein-1) 및 아트로진-1(atrogin-1)을, 골격근량의 음성 조절자인 미오스타틴(myostatin) 단백질을 사용하였다.
4-1. 엘더베리 추출물의 근육 단백질 발현 억제
실험예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 50% 에탄올 추출물 또는 100% 에탄올 추출물이 처리된 세포를 이용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q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MuRF-1, 아트로진-1 및 미오스타틴 mRNA의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를 도 10 내지 12에 나타내었다.
도 10 내지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덱사메타손에 의해 증가한 MuRF-1, 아트로진-1 및 미오스타틴의 mRNA 발현 수준이 엘더베리 추출물에 의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4-2.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의 근육 단백질 발현 억제
실험예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FL, FV 또는 FI가 처리된 세포를 이용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q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MuRF-1, 아트로진-1 및 미오스타틴 mRNA의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를 도 10 내지 12에 나타내었다.
도 10 내지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덱사메타손에 의해 증가한 MuRF-1, 아트로진-1 및 미오스타틴의 mRNA 발현 수준이 FL, FV 또는 FI에 의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엘더베리 추출물, 또는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이 근위축 마커 및 미오스타틴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근감소증의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근감소증 동물모델에서의 효과 확인
상기에서 제조된 엘더베리 추출물 및 단당류와 BCAA가 결합된 화합물의 근감소증 치료 효과를 근감소증 동물모델에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7주령의 수컷 C57BL/6 마우스(샘타코바이오코리아, 한국)를 순화시킨 후, DXA(dual-energy-X-ray absorptiometry) 촬영을 통해, 체중(g), 마른체중(lean body weight, g), 지방무게(g) 및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값을 고려하여 7마리씩 그룹화하고, 그룹화한 마우스에 20 ㎎/㎏의 덱사메타손을 1일 1회 복강주사로 14일 동안 투여하여 근감소증을 유도하였다(도 13). 또한, 덱사메타손을 투여하면서 300 ㎎/㎏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 또는 0.5 ㎎/㎏의 FL을 1일 1회 경구투여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서는 투여 0째의 마우스(정상마우스)를 사용하였다. 투여 7일 및 14일째 마우스를 DXA 촬영하여 체중, 마른체중, 지방무게 및 체지방률을 측정한 결과를 도 14, 표 2 및 3에 나타내었다. 한편, 투여 14일째 마우스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희생시켜 흉선, 비장, 간 및 근육을 적출하고 그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정상 대조군 덱사메타손
투여군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 투여군
Day 0 lean body weight(g) 18.84±1.03 18.93±1.42 18.65±0.71
fat(g) 1.28±0.16 1.44±0.16 1.4±0.19
fat(%) 6.37±0.79 7.1±1.07 6.98±1.00
tissue area(㎠) 13.71±0.62 13.32±2.03 13.98±0.84
BMD(g/㎠) 0.053±0.003 0.057±0.012 0.055±0.004
BMC(g) 0.18±0.02 0.23±0.13 0.18±0.02
Day 7 lean body weight(g) 21.14±1.32 17.53±1.36 17.79±1.71
fat(g) 1.60±0.43 1.13±0.34 1.68±0.57
fat(%) 6.98±1.61 5.99±1.53 8.5±2.3
tissue area(㎠) 13.69±1.27 12.41±1.31 13.88±1.17
BMD(g/㎠) 0.057±0.007 0.052±0.004 0.054±0.007
BMC(g) 0.26±0.08 0.16±0.02 0.19±0.04
Day 14 lean body weight(g) 22.47±0.59 17.47±0.29 19.22±0.5
fat(g) 1.65±0.39 1.56±0.34 1.79±0.45
fat(%) 6.79±1.37 8.17±1.58 8.49±1.94
tissue area(㎠) 15.12±1.01 13.97±0.51 15.29±0.50
BMD(g/㎠) 0.064±0.004 0.057±0.004 0.058±0.002
BMC(g) 0.29±0.09 0.16±0.01 0.18±0.01
정상 대조군 덱사메타손
투여군
FL 투여군
Day 0 lean body weight(g) 18.84±1.03 18.93±1.42 18.31±1.43
fat(g) 1.28±0.16 1.44±0.16 1.27±0.25
fat(%) 6.37±0.79 7.1±1.07 6.49±1.03
tissue area(㎠) 13.71±0.62 13.32±2.03 13.13±1.08
BMD(g/㎠) 0.053±0.003 0.057±0.012 0.053±0.004
BMC(g) 0.18±0.02 0.23±0.13 0.19±0.04
Day 7 lean body weight(g) 21.14±1.32 17.53±1.36 18.05±0.44
fat(g) 1.60±0.43 1.13±0.34 1.43±0.53
fat(%) 6.98±1.61 5.99±1.53 7.31±2.47
tissue area(㎠) 13.69±1.27 12.41±1.31 13.83±0.53
BMD(g/㎠) 0.057±0.007 0.052±0.004 0.059±0.009
BMC(g) 0.26±0.08 0.16±0.02 0.20±0.03
Day 14 lean body weight(g) 22.47±0.59 17.47±0.29 18.34±0.56
fat(g) 1.65±0.39 1.56±0.34 1.29±0.19
fat(%) 6.79±1.37 8.17±1.58 6.57±0.76
tissue area(㎠) 15.12±1.01 13.97±0.51 13.66±0.92
BMD(g/㎠) 0.064±0.004 0.057±0.004 0.056±0.006
BMC(g) 0.29±0.09 0.16±0.01 0.19±0.04
조직 정상 대조군 덱사메타손
투여군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 투여군 FL 투여군
흉선(g) 0.036±0.006 0.009±0.004 0.011±0.003 0.009±0.002
비장(g) 0.075±0.007 0.026±0.01 0.026±0.009 0.028±0.009
간(g) 1.338±0.106 1.514±0.134 1.661±0.302 1.375±0.117
근육(g) 0.608±0.045 0.501±0.064 0.598±0.142 0.683±0.18
도 14, 표 2 및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덱사메타손에 의해 마우스의 체중, 마른체중, 조직면적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이는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 또는 FL의 투여에 의해 회복되었다. 또한, 각 조직의 무게 또한 덱사메타손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엘더베리 열수 추출물 또는 FL의 투여에 의해 정상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엘더베리 추출물, 또는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이 근감소증의 치료에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6)

  1.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물,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로 추출된,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이 에탄올, 메탄올 또는 주정인,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육 질환은 근육 감소에 의한 질환인,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근육 감소에 의한 질환은 긴장감퇴증(stony), 근위축증(muscular ai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경직증, 근디스트로피,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또는 근감소증(sarcopenia)인,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강화용 건강기능식품.
  8.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당류는 프룩토스(fructose)인,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은 BCAA(branched-chain amino acid)인,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CAA는 류신(leucine), 발린(valine) 또는 이소류신(isoleucine)인,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
    [화학식 2]
    Figure pat00005
    , 및
    [화학식 3]
    Figure pat00006
    .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근육 질환은 근육 감소에 의한 질환인,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근육 감소에 의한 질환은 긴장감퇴증, 근위축증, 근이영양증, 근육 퇴화, 근경직증, 근디스트로피,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근무력증, 악액질 또는 근감소증인,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5.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6. 단당류 및 아미노산 결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강화용 건강기능식품.
KR1020220149729A 2021-11-12 2022-11-10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0698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55705 2021-11-12
KR1020210155705 2021-1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853A true KR20230069853A (ko) 2023-05-19

Family

ID=86336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9729A KR20230069853A (ko) 2021-11-12 2022-11-10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69853A (ko)
WO (1) WO2023085820A2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3912A (ko) 2020-01-21 2022-08-17 한국식품연구원 피마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8234B1 (en) * 1999-08-27 2004-11-16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Dietary food supplement containing natural cyclooxygenase inhibitors and methods for inhibiting pain and inflammation
WO2020017921A1 (ko) * 2018-07-19 2020-01-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80410B1 (ko) * 2018-10-31 2020-02-21 주식회사 코사바이오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IT201900016850A1 (it) * 2019-09-20 2021-03-20 Sofar Spa Composizioni a base di ceppi batterici e estratti di bacche e loro uso come antinfiammatori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3912A (ko) 2020-01-21 2022-08-17 한국식품연구원 피마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5820A2 (ko) 2023-05-19
WO2023085820A3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985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JP5538611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RU2294208C2 (ru) Применение экстракта обработанного женьшеня и выделенных из него сапонинов
JP4669920B2 (ja) 血糖上昇抑制且つ血圧上昇抑制作用を有する機能性素材
US20150209395A1 (en) Extracts From Plants of the Moringaceae Family and Methods of Making
AU2016275642B2 (en) Antihypertensive agent
JP5275251B2 (ja) 肝臓疾患を予防及び処置するための組合せ薬草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102064651B1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A2841724A1 (en) Use of luteolin and derivatives thereof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eart failure
KR20110078525A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621446B1 (ko)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H07223940A (ja)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KR101913828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230069853A (ko)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1679079A1 (en) Plant seed extrac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190001B1 (ko)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악액질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3501136A (ja) クルクミノイド及び甘草抽出物またはその分画物を含有するブタ流行性下痢ウイルス感染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US2010009385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hikonin derivatives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diabetes mellitus and the use thereof
CN1686242A (zh) 具有高血脂及心脑血管疾病疗效的组合物
KR20180015594A (ko) 스쿠알렌을 함유하는 근기능 향상 및 근육 손상 예방용 조성물
KR102310480B1 (ko) 시링가레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69125B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51643B1 (ko) 표고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62988B1 (ko)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80041791A (ko) 매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