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791A - 매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 Google Patents

매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791A
KR20080041791A KR1020060109821A KR20060109821A KR20080041791A KR 20080041791 A KR20080041791 A KR 20080041791A KR 1020060109821 A KR1020060109821 A KR 1020060109821A KR 20060109821 A KR20060109821 A KR 20060109821A KR 20080041791 A KR20080041791 A KR 20080041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steoporosis
collagen
composition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2520B1 (ko
Inventor
김미향
박미화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109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520B1/ko
Publication of KR20080041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5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생이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한 매생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부작용이 없을 뿐 아니라,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콜라겐과 콜라겐 가교물질인 피리디놀린 및 디옥시피리디놀린의 연골 중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골다공증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매생이, 골다공증, 콜라겐

Description

매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STEOPOROSIS COMPRISING AN EXTRACT OF CAPSOSIPHON FULVECEN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생이 추출물이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준시료의 콜라겐 중 피리디놀린 및 디옥시피리디놀린의 HPLC 분석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조예인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실험동물(Sham)의 연골의 콜라겐 중 피리디놀린 및 디옥시피리디놀린의 HPLC 분석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예인 난소제거군인 실험동물(OVX-control)의 연골의 콜라겐 중 피리디놀린 및 디옥시피리디놀린의 HPLC 분석 그래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소를 절제한 후, 매생이 50mg/kg(체중)을 투여한 실험동물(OVX-CSF50)의 연골의 콜라겐 중 피리디놀린 및 디옥시피리디놀린의 HPLC 분석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소를 절제한 후, 매생이 200mg/kg(체 중)을 투여한 실험동물(OVX-CSF200)의 연골의 콜라겐 중 피리디놀린 및 디옥시피리디놀린의 HPLC 분석 그래프이다.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매생이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과학과 문명의 발달로 점차 인간의 평균 수명이 연장되어 노년층 인구의 증가와 함께 중년이후의 삶이 길어지고 있고 실질적으로 현대 여성의 삶 중에서 1/3을 폐경전후로 오는 갱년기를 보내게 되므로 이 시기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의 일환으로 폐경이 진행되는 여성의 골다공증 치료에 대한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폐경이 진행되는 여성은 골 대사 이상에 따른 골다공증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어 지고 있다. 골다공증은 동일 연령과 성별의 정상인에 비해 골 량이 현저히 감소된 상태로 골의 구성성분의 양적감소를 주 병변으로 하는 대사성 골 질환이다(Lee, E. S., B. H. Kang. Biochemiccal Bone Markers in Postmenopausal Osteoporotic Women. Korean Soc . obstetrics and Gynecology . 40(7), 1450-1457(1997)). 릭스(Riggs)와 멜톤(Melton)등은 50세 이후의 골다공증을 제1형 (폐 경기성) 골다공증과 제2형(노인성) 골다공증으로 분류하였다(Chul-Won Kim The study on Treatment of Climacteric Disorder. Osteoporosis, 32(2), 109-136(1996)).
에스트로겐(Estrogen) 결핍에 의한 골다공증은 골절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이 되며 이 경우의 에스트로겐투여는 골의 무기질 성분의 증가와 함께 교원섬유의 조성에도 영향을 미쳐서 골절의 예방효과를 지닌다고 보고 되어 있다(Clack A. P., J. A. Schuttinga. Targeted estrogen/proestrogen replacement theraphy for osteoporosis. calculation of health care cost savings. Osteoporos Int., 2, 195-200(1992)). 에스트로겐의 기능은 다양한데, 골모 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골 량을 유지시키며 새로운 골 개조 부위의 새로운 활성화를 억제하며, 또한 골모 세포를 자극하며 골내 TGF와 IGF 합성을 증가시켜 파골세포에 작용함으로써 골 흡수를 감소시키며, 인터루킨-1 (Ⅱ-1)(Interleukin-1(Ⅱ-1)) 과 인터루킨-1 (Ⅱ-6)(Interleukin-1(Ⅱ-6))을 억제함으로써 파골세포의 성숙과 출현을 감소시킨다고 보고 되어 있다( Pfelschefter J., C. Chenu, A. Bird. Interleukin-1 and tumor necrosis factor stimulate the formation of human osteoclast-like cell in vitro. J. Bone Miner Res., 4, 113-118(1989)).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가장 많은 요소 중 하나인 교원섬유는 진피, 인대, 건, 연골, 뼈, 근막, 혈관 등의 결합조직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교원섬유의 주성분은 콜라겐(collagen)이라고 하는 경섬유 단백질이다. 콜라겐은 에스트로겐에 의해 생성량이 증가한다는 연구 보고도 있으며(Kim, M. H et al ., Age- related changes in the pyridinoline content of guinea pigs cartilage and achilles tendon collagen. J. Nutr . Sic . Vitaminol., 40, 95-103(1994)), 골다공증 및 연골조직의 노화 골관절염 병인에 연골조직의 콜라겐이 손상되고, 피부의 콜라겐에 영향을 받으며 난소 절제 시 콜라겐구조가 비정상적으로 변한다고도 보고 되고 있다.
콜라겐의 성숙한 가교물질인 피리디놀린(pyridinoline)과 디옥시피리디놀린은 파골세포에 의한 골질 파괴시 소변으로 유리되어 배설되며 이들은 골과 연골에 주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는 골 대사 변질, 골 종양, 골다공증과 같은 각가지 병리행태에서 골분해의 평가를 위한 확실한 바이오마커(biomaker)로써 임상에 이용되고 있다(Kim, J. G., H. D. Chae. Urinary Excretion of Pyridinoline Crosslink in Postmenopaysal Wamen and Wamen with Premature Ovaarian Failur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38(11), 2090-2096(1995)).
따라서, 상기와 같이 폐경기 에스트로겐의 감소에 따른 폐경이 진행되는 여성의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을 위해서, 콜라겐 및 콜라겐의 성숙한 가교물질인 피리디놀린과 디옥시피리디놀린의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천연식물 유래의 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한편, 비소화성 다당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열량소로서의 큰 각광을 받지 못하여 관심을 받지 못하던 해조류가 최근 육상식물에 비해 다량의 비타민 및 미네랄, 특히 마그네슘, 칼슘, 요오드, 철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의 증대와 함께, 독특한 구조적인 특성으로 생리활성이 강한 물질로 알려지고 있는 해조류를 구성하는 다당류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어, 해조류를 통해 건강장해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콜라겐과 콜라겐 가교물질인 피리디놀린 및 디옥시피리디놀린의 연골 중의 함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한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생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콜라겐과 콜라겐 가교물질인 피리디놀린 및 디옥시피리디놀린의 연골 중의 함량을 증가시키며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또는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골다공증 특히, 여성의 폐경기성 골다공증과 관련하여,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 증가 및 콜라겐 합성의 감소가 하나의 원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골 형성을 위해서는 칼슘(Ca)의 공급 및 콜라겐(Collagen)의 합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여성의 폐경기성 골다공증의 주요 원인은 에스트로겐의 분비 감소에 따른 콜라겐 합성의 저해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여성의 폐경기성 골다공증은 골 자체의 형성 문제보다는 골 흡수와 관련된 체내의 비정상적 호르몬 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즉, 폐경기에 따른 에스트로겐 분비의 감소가 뼈의 파골세포(osteoclast)의 활동을 증가시켜 뼈의 파괴를 촉진하고, 뼈의 칼슘침착을 감소시키고, 콜라겐의 생성량을 감소시켜 폐경기성 골다공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폐경기성 골다공증은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와 같은 체내 비정상적 호르몬 현상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단순한 칼슘 섭취보다는 에스트로겐 또는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활성을 갖는 에스트로겐 대체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인체에 무해한 천연식물 유래의 에스트로겐 또는 에스트로겐 대체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인체 안전성이 확보된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천연식물 유래의 물질로부터 연구하던 중, 매생이 추출물이 에스트로겐의 함량이 감소된 상태에서도 콜라겐과 콜라겐 가교물질인 피리디놀린 및 디옥시피리디놀린의 연골 중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알카라인 포스파타제는 포스포모노에스터라제(phosphomonoesterase), 포스포디에스터라제(phosphodiesterase) 및 포스포릭 언하이드라제(phosphoric anhydrase)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포스포모노에스터라제(phosphomonoesterase)의 경우 십이지장이나 장의 점막에 상당히 많은 양이 있으나 신장, 고등생물의 선(grand), 뼈 및 정상적인 혈액에서는 적은 농도로 존재하고 있다.
다만, 정상적인 조직에서 이상이 생기거나 골절, 골다공증 또는 종양 등에 의해 파괸된 뼈의 복구를 위한 뼈의 생성이 증가되는 경우에 조골 세포의 활동이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조골 세포의 활동이 증가되면, 조골 세포의 효소인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혈장 내의 농도 및 활성도 증가하게 된다.
상기한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특성 상, 뼈와 관련된 질병의 진단 및 치료효과와 관련하여, 알카라인 포스파타제는 바이오마커로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특정물질의 실험결과 골다공증에 의해 증가된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면, 임상적으로 골다공증의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는 녹조식물 갈파래과에 속하는 해조류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해안이나 서해안에 분포하며, 전세계적으로도 널리 분포하는 해조류이다. 매생이는 주로 지형적으로 후미지고 물이 잘 소통되는 깨끗한 곳에서 자란다. 매생이는 단백질, 아미노산, 식이섬유 등이 풍부할 뿐 아니라, 특유의 맛이 있어, '자산어보'와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매산태' 또는 '매산'이라고 지칭한 매생이의 맛에 대해 '매우 달고 향기롭다'라고 묘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존에는 매생이에 대해 김 양식장에 밀생하여 김의 생육에 해를 주는 해조류로 인식되어졌으나, 최근 자연식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의 증가와 함께 자연식 식품의 하나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발명의 추출용매는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극성용매와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와 같은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의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의 희석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에탄올 희석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생이 추출물은 통상의 해조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이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분획시 용매는 1종이상 사용할 수 있다. 추출물 제조온도는 4 내지 120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추출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10분 내지 30일 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감압 여과하거나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감압 여과 및 동결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매생이 추출물은 매생이의 염분 및 불순물을 제거한 후, 건조하여 건조시료를 제조하고, 상기 건조시료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조추출액을 얻으며, 상기 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생이의 염분 및 불순물의 제거는 유수를 이용하여 씻어내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시료는 상기 염분 및 불순물을 제거한 매생이를 건조한 후에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추출물의 용매로 사용되는 에탄올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 에탄 올 희석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에탄올 희석수,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 희석수일 수 있으며, 상기 조추출액의 제조는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또는 열 추출법 등의 통상의 추출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열 추출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감압농축은 감압농축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은 조추출물을 저온 감압 농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득한 매생이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 냉장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생이 추출물은 수득된 추출액을 농축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매생이 추출물은 분말형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분말을 증류수 또는 통상의 용매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골다공증(osteoporosis)이란 골소공증 또는 골 조송증이라고도 하며, 동일 연령과 성별의 정상인에 비해 골 량이 현저히 감소된 상태로 골의 구성성분의 양적감소를 주 병변으로 하는 대사성 골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골다공증은 폐경기성 골다공증, 노인성 골다공증 및 골 취약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폐경기성 골다공증일 수 있다. 상기 골다공증은 주로, 뼈조직의 감소로 뼈에 구멍이 나거나 칼슘염의 감소로 기인하여 뼈가 얇아지고 약해지는 현상을 수반하며, 상기 골다공증이 있는 환자는 뼈의 골절이 잘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상기 골다공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병이 되며, 특히 최근에는 폐경기 의 여성에서 주로 발병이 되는 폐경기성 골다공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상기 폐경기성 골다공증의 원인은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와 같은 체내 비정상적 호르몬 현상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월경이 일어나지 않는 폐경 상태에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하게 되며, 상기의 에스트로겐의 분비량의 감소는 뼈의 파골세포(osteoclast)의 활동을 증가시켜 뼈의 파괴를 촉진하고 뼈의 칼슘침작을 감소시키며, 콜라겐의 생성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에스트로겐의 분비 감소는 칼슘의 이용율을 저하시켜 골 중 칼슘 함량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폐경기성 골다공증은 단순한 칼슘의 식이 섭취만으로는 이를 치유할 수 없으므로, 폐경기성 골다공증의 치료를 위해서는 에스트로겐 또는 에스트로겐 대체물질의 투여가 요구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매생이 추출물은 난소를 절제하여 에스트로겐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켜 갱년기 장애를 유발시킨 실험동물에서 콜라겐 및 피리디놀린과 디옥시피리디놀린의 연골중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매생이 추출물을 0.001 내지 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9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매생이 추출물 외에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 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들이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추가성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생이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식품첨가제 또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식품첨가제 또는 의약 조성물은 그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약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 단독으로 또는 골다공증 치료제로서의 효능 증진을 위해 다른 약학적 활성성분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식품첨가제 또는 의약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식품첨가 제 또는 의약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생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이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하기 기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OTION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침제(INFUSIONS), 정제(TABLETS), 주사제(INJECTIONS), 캅셀제(CAPSULES) 및 환제(PILLS) 등일 수 있다.
상기 경구형 제형물은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와 액상제제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럼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 또는 사용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질병 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 등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은 매생이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1일 0.0001 내지 1000mg/kg으로, 보다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0.01 내지 500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과 투여횟수는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함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발명의 매생이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매생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g일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매생이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매생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매생이 추출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g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에 있어서, 상기 매생이 추출물은 전체 식품 중량을 기준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음료 조성물 100 ㎖를 기준으로 매생이 추출물이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폐경기성 골다공증과 관련하여, 폐경기의 에스트로겐의 감소에 의한 콜라겐 합성의 감소는 골다공증의 주요 원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즉, 상기 콜라겐은 인체 각 결합조직에 분포하는 중요한 단백질로서 에스트로겐에 의하여 생성량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조직 내의 콜라겐의 손상은 연골 조직의 노화와 골 관절염, 골다공증 병인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 특히, 폐경 후의 여성은 에스트로겐 분비량의 감소로 인하여 콜라겐 합성이 감소 되고 칼슘의 이용율이 저하되어 골 중 칼슘 함량이 저하되기 때문에, 골 손실에 의한 골다공증의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리디놀린과 디옥시피리디놀린은 골과 연골에 주로 존재하기 때문에 파골세포에 의한 골질 파괴시 소변으로 유리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골대사의 변질, 골 종양 및 골다공증과 같은 여러 종류의 병리형태에서 골 분해의 평가를 위한 바이오마커로 임상에 이용되고 있다. 상기 피리디놀린은 하이드록시리신에서 파생된다. 상기 하이드록시리신은 콜라겐 내의 다른 아미노산에 비해 양적으 로는 소량 존재하나, 콜라겐 특유의 아미노산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콜라겐 합성의 최종단계인 섬유의 숙성 즉, 가교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미노산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하이드록시리신에서 파생된 피리디놀린은 콜라겐 성숙 가교 물질로써 골대사의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난소를 제거하여 혈중 에스트로겐농도를 감소시키므로써 갱년기 장애를 유발시킨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상기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콜라겐과 피리디놀린 및 디옥시피리디놀린의 연골 중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확인되었고,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우수한 골다공증 치료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매생이 추출물의 제조
신선한 상태로 구입한 매생이(엔존, 대한민국) 10 kg을 유수에서 7회 채로 씻어 내어 겉에 묻은 불순물 및 염분을 제거한 후 동결 건조하고 분쇄하여 건조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 시료 100g을 80%의 에탄올 2L를 가해 100℃의 물로 중탕하였고, 상기 중탕시, 수기 내부의 온도는 67℃로 유지되었다. 상기 조건에서 4시간 중탕한 후에, 여과하는 방법으로 조 추출액을 얻은 후에, 상기 조추출액을 감압 농축기(Rotary evaporator N-1000, EYELA, Japan)를 이용하여 30℃에서 저온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형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험동물의 사육
상기 실시예 1의 매생이 추출물의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억제효능과 콜라겐 및 콜라겐 가교물질인 피리디놀린 및 디옥시피리딜놀린의 생성촉진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평균체중이 160g인 6주령의 Sparaque-dawley계 암컷 흰쥐(코아텍, 대한민국) 24마리를 22℃ 내지 26℃의 온도 및 55% 내지 60%의 상대습도의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실험동물의 사료는 고형사료(삼양유지, 대한민국)를 사용하였고, 사료와 물은 상시로 섭취할 수 있게 하였다.
실험동물은 대조예인 비난소절제군(Sham) 6마리, 비교예인 난소제거군(OVX-control) 6마리, 난소를 제거한 후, 매생이 추출물 50mg/kg(체중)을 투여한 실험예 1(OVX-CSF50) 및 난소를 제거한 후, 매생이 추출물 200mg/kg(체중)를 투여한 실험예2(OVX-CSF200)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난소의 제거는 1주일 동안 주위환경에 적응시켜 난괴법에 의해 군을 나누어 난소 절제 수술을 실시함으로써 수행하였다. 난소 절제 수술은 에테르(ether)를 이용하여 실험동물을 마취한 후, 심마취기에 이르면 늑골하부를 절개하여 난소를 제거하고 절개부를 봉합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예 1 및 2는 상기 실험동물 중 매생이 추출물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매생이 추출물을 투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실험동물과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상기 매생이 추출물의 투여는 실시예 1의 분말을 상기의 투여량으로 증류수 1ml에 용해하여 제조한 실험시료를 상기의 난소 절제 수술 3일 후부터 매일 경구투여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대조예 및 비교예는 실험예 1 및 2와 동일 용량의 증류수를 투여하였다.
Group (마리수) 처리(Treatment)
대조예(Sham (6)) 난소를 제거하지 않음
비교예(OVX-control (6)) 난소를 제거함
실험예 1(OVX-CSF50 (6)) 난소를 제거하고 매생이 추출물을 50mg/kg bw/day 투여함.
실험예 2(OVX-CSF200 (6)) 난소를 제거하고 매생이 추출물을 200mg/kg bw/day 투여함.
하기에서 기재된 실험 결과에 따른 대조예, 비교예 및 실험예들 간의 유의성은 ANOVA로 검증한 후, a=0.05 수준에서 Scheffe 법, Bonferroni법으로 다중 비교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은 실험 시작 1주일 동안 대조군 식이로 적응시켰다. 시료를 투여한 기간을 포함한 총 사육기간 8주 중에서 첫 1주일이 경과한 후, 7주 동안 격일로 일정 시간에 실험동물의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식이 섭취량은 매일 식이 잔량을 측정하여 산출하였다. 상기 측정한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 및 식이 섭취량을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의 Food efficiency raito(FER)는 체중 증가량(g/일)을 식이 섭취량(g/일)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Group 최종 체중(g) 체중 증가량(g/일) 식이 섭취량(g/일) Food efficiency ratio (FER)
대조예 228.61 0.59 16.21 0.03
비교예 263.14 1.02 16.63 0.06
실험예 1 280.35 2.39 19.37 0.12
실험예 2 294.07 2.15 20.07 0.10
난소 제거에 의해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되면 체중 증가를 가져온다는 기존의 보고와 마찬가지로, 본 실험에서도 난소를 제거한 비교예(OVX-control)는 난소를 제거하지 않은 대조예(Sham)에 비하여 체중이 증가하였다. 한편, 난소를 제거한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서도 대조예와 비교에 높은 체중 증가량이 나타나 매생이 추출물은 체중감소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매생이 추출물의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억제효과 측정
3-1. 혈액 채취
상기 실험동물의 혈액 채취를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의 실험동물은 해부하기 24시간 전부터 절식시켰다. 상기 24시간동안 절식시킨 실험동물을 에테르를 이용하여 마취하고 개복한 후 대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3-2.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억제효과 측정
상기에서 채취한 혈액은 효소활성 및 지질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4℃에서 3,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기 원심분리를 통하여 분리된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혈청은 헤파린 처리된 튜브에 담은 후에 자동 혈액 분석장치용 슬라이드(FUJI DRY-CHEM 3500 SLIDE, FUJI PHOTO FILM, 일본)를 이용하여 자동 혈액 분석장치(Dry chemistry analyzer 3500i, FUJI, 일본)로 알카라인 포스파타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세하게는 전자동 분석이 가능한 자동 혈액 분석장치인 FUJI DRY-CHEM 3500(FUJI PHOTO FILM, 일본)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장치용 슬라이드(SLIDE ALP-P)위에 상기 혈청 10μl를 점착하여 자동으로 알카라인 포스파타제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상기 측정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OVX-control)의 혈청 중의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466.80 U/mL)은 난소를 절제하지 대조예(Sham)의 혈청 중의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453.67 U/mL)에 비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난소 절제 후 매생이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예의 경우 즉, 실험예 1(OVX-CSF50)의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436.40 U/mL) 및 실험예 2(OVX-CSF200)의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422.67 U/mL)의 경우에는 대조예에 비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교예 및 대조예에 비해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이 낮아진 실험예 1 및 실험예 2 모두 폐경 후 골 대사에 유익한 효과 즉, 골다공증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예 4: 매생이 추출물의 콜라겐 함량에 대해 미치는 영향의 측정
4-1. 장기 적출
상기 실험동물의 장기 적출을 위하여 해부 전 24시간 도안 절식시킨 상기 실시예 3의 실험동물을 에테르를 이용하여 마취하고 개복한 후에, 결합조직, 폐, 골, 연골 및 피부를 적출하였다. 상기 개복된 실험동물의 늑골과 연골은 그 경계면에서 분리하였으며, 피부는 털과 표피위의 지방을 제거하여 실험 시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4-2. 콜라겐 함량 분석
콜라겐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용액의 제조는 상기 적출한 실험동물의 장기 즉, 결합조직, 폐, 골, 연골 및 피부에 6N HCL 10ml를 첨가하고 110℃에서 20시간 동안 가수분해한 후 여과 농축하고 이를 증류수로 5배 희석하여 제조하였다.
결합조직의 콜라겐 함량은 Woessner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하이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의 정량분석을 위해, 상기 제조된 시료용액을 다시 증류수 5ml를 추가하여 희석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희석한 시료용액은 UV visible spectroscopy(Ultorcpec 2100pro, biochrom, UK)를 이용하여 흡광도 560nm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 내지 도 6의 결과를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하이드록시프롤린의 양을 구한 다음 콜라겐 함량으로 환산하였다. 콜라겐의 아미노산 조성은 특이한데, 총 아미노산 중에 글리세린(glycerine)이 아미노산의 1/3, 하이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이 110/1000, 하이드록시리신(hydroxylisine)은 약 1/100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즉, 콜라겐의 아미노산 조성으로부터 콜라겐 중의 하이드록시프롤린 비율은 평균 110잔기/1000잔기이므로, 콜라겐 양의 환산은 하기의 계산식 1에 의해 구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콜라겐 함량(ug) = 9.09 x 하이드록시프롤린 함량(ug)
Group 연골 조직 골 조직 피부 조직 폐 조직
대조예 141.01 mg/g 167.64 mg/g 192.37 mg/g 21.68 mg/g
비교예 128.40 mg/g 157.77 mg/g 165.05 mg/g 19.62 mg/g
실험예 1 145.59 mg/g 170.34 mg/g 192.12 mg/g 26.96 mg/g
실험예 2 136.39 mg/g 165.79 mg/g 197.76 mg/g 24.47 mg/g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골의 경우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대조예(141.01 mg/g)에 비해 난소를 절제한 비교예(128.40 mg/g)의 경우 콜라겐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난소를 절제한 후 매생이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예 1(145.59 mg/g) 및 실험예 2(136.39 mg/g)의 경우 모두 콜라겐 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골 조직에서는 난소를 절제한 비교예(157.77 mg/g)가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대조예(167.64 mg/g)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난소를 절제한 후 매생이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예 1(170.34 mg/g) 및 실험예 2(165.79 mg/g)의 경우 모두 비교예에 비해 콜라겐 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폐 조직에서도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대조예(21.68 mg/g)에 비해 난소를 절제한 비교예(19.62 mg/g)의 콜라겐 함량이 감소되었으나, 난소를 절제한 후 매생이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예 1(26.96 mg/g) 및 실험예 2(24.47 mg/g)의 경우 콜라겐 함량이 증가하였고, 특히 실험예 1의 경우는 비교예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콜라겐 함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a=0.05).
콜라겐은 인체 각 결합조직에 분포하는 중요한 단백질로서 골의 비선형(nonlinear) 부분은 주로 type Ⅰ 콜라겐으로 이루어져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 섬유아세포 중의 콜라겐은 에스트로겐에 의하여 생성량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조직 내의 콜라겐의 손상은 연골 조직의 노화와 골 관절염, 골다공증 병인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
폐경 후의 여성은 에스트로겐 분비량의 감소로 인하여 골 손실에 의한 골다공증의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험에 의해서 난소절제로 인한 콜라겐 합성의 감소가 매생이 추출물의 투여에 의해 회복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므로 에스트로겐 부족으로 인한 골 손실에 매생이 추출물이 유익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이 예상되었다.
실시예 5: 매생이 추출물의 피리디놀린 디옥시피리디놀린 함량에 대해 미치는 영향의 측정
하이드록시리신은 콜라겐 내의 다른 아미노산에 비해 양적으로는 소량 존재하나, 콜라겐 특유의 아미노산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콜라겐 합성의 최종단계인 섬유의 숙성 즉, 가교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미노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하이드록시리신에서 파생된 피리디놀린은 콜라겐 성숙 가교 물질로써 골대사의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즉, 피리디놀린과 디옥시피리디놀린은 골과 연골에 주로 존재하기 때문에 파골세포에 의한 골질 파괴시 소변으로 유리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골대사의 변질, 골 종양 및 골다공증과 같은 여러 종류의 병리형태에서 골 분해의 평가를 위한 바이오마커로 임상에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매생이 추출물의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생이 추출물이 피리디놀린과 디옥시피리디놀린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5-1. 장기 적출
상기 실험동물의 장기 적출 및 보관은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5-2. 피리디놀린 디옥시피리디놀린 함량 분석
피리디놀린 및 디옥시피리디놀린의 함량 분석은 상기 실시예 4-2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콜라겐 분석 시료를 HPLC를 이용하여 하기의 표 4와 같은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항목 조건
Apparatus Nanospace SI-2
Detector Fluorescence HPLC RF
Column Inertsil ODS-25um (250ㅧ4.6mm id)
Eluent Acetonitrile/ 0.1M Sodium phophate buffer pH3.5 (25:75) containing SDS and Na2EDTA
Flow Rate 0.5 mL/min
Excitation Wavelength 295nm
Emission Wavelength 395nm
상기 도 2는 HPLC에 의해 얻어진 표준시료의 피리디놀린(Pyridinoline, PYD) 및 디옥시피리디놀린(Deoxypyridinoline, DPD)의 피크(peak)를 나타내며, 상기 도 3은 HPLC에 의해 얻어진 대조예의 연골의 피리디놀린 및 디옥시피리디놀린의 피크를 나타낸다. 상기 HPLC에 의해 얻어진 표준시료 및 실험동물의 피크를 이용하여, 피리디놀린/디옥시피리디놀린(Pyridinoline/Deoxypyridinoline, PYD/DPD)의 피크를 파악 한 후, 표준시료의 area %농도와 실험동물의 area %농도를 계산하여 피리디놀린/콜라겐(PYD/collagen) 및 디옥시피리디놀린/콜라겐(DPD/collagen)의 수치로 표현하여 하기의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Group 연골 조직 골 조직
대조예(Sham) 5.23 μg/g 0.98 μg/g
비교예(OVX-control) 5.18 μg/g 1.19 μg/g
실험예 1(OVX-CSF50) 5.24 μg/g 1.10 μg/g
실험예 2(OVX-CSF200) 5.47 μg/g 0.84 μg/g
상기한 표 5는 연골 및 골의 콜라겐 중 피리디놀린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 중의 피리디놀린의 함량은 차이가 없는 반면, 연골에서 피리디놀린의 함량은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대조예(5.23 μg/g)가 난소를 절제한 비교예(5.18 μg/g)에 비해 높아 난소 절제 시 피리디놀린 함량이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또한, 난소를 절제한 후 매생이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예 1(5.24 μg/g) 및 실험예 2(5.47 μg/g)의 경우, 난소 절제 시 감소되는 피리디놀린의 함량을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대조예와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시켜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에 의한 골 손실의 치료 또는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Group 연골 조직 골 조직
대조예(Sham) 0.48 μg/g 1.14 μg/g
비교예(OVX-control) 0.44 μg/g 1.35 μg/g
실험예 1(OVX-CSF50) 0.39 μg/g 1.47 μg/g
실험예 2(OVX-CSF200) 0.49 μg/g 1.09 μg/g
상기한 표 6은 연골 및 골의 콜라겐 중 디옥시피리디놀린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골에서 디옥시피리디놀린의 함량은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대조예(0.48 μg/g)가 난소를 절제한 비교예(0.44 μg/g)에 비해 높아 난소 절제 시 디옥시피리디놀린의 함량이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또한, 난소를 절제한 후 매생이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예 1(0.39 μg/g) 및 실험예 2(0.49 μg/g)의 경우, 난소 절제 시 감소되는 디옥시피리디놀린의 함량을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대조예와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시켜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에 의한 골 손실의 치료 또는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상기한 표 5 및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골의 피리디놀린 및 디옥시피리디놀린은 난소절제에 의해 감소되어 에스트로겐의 분비량 감소가 골다공증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 1의 매생이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예에서 난소절제에도 불구하고, 피리디놀린 및 디옥시피리디놀린의 함량을 회복시켜, 에스트로겐 분비량부족으로 인한 골 손실에 매생이 추출물이 유익한 효과를 가지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 매생이 추출물을 이용한 제제
제조예 1. 산제의 제조
매생이 추출물 분말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매생이 추출물 분말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캡슐제의 제조
매생이 추출물 분말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액제의 제조
매생이 추출물 분말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건강 식품의 제조
매생이 추출물 분말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생이 추출물은 에스트로겐 분비가 감소된 경우에도 콜라겐과 콜라겐 가교물질인 피리디놀린 및 디옥시피리디놀린의 연골 중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알카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난소적출로 유발된 마우스 골다공증 모델에서 우수한 골다공증 치료효과가 인정되었으며, 매생이 추출물은 천연물이므로 기존의 골다공증 치료제가 가지고 있는 부작용에 대한 문제도 없을 것으로 예상되어,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 등의 새로운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매우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5)

  1.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가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매생이 추출물을 0.1 내지 99 중량%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식품첨가제 또는 음료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
KR1020060109821A 2006-11-08 2006-11-08 매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0832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821A KR100832520B1 (ko) 2006-11-08 2006-11-08 매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821A KR100832520B1 (ko) 2006-11-08 2006-11-08 매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791A true KR20080041791A (ko) 2008-05-14
KR100832520B1 KR100832520B1 (ko) 2008-05-26

Family

ID=3964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821A KR100832520B1 (ko) 2006-11-08 2006-11-08 매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5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6076A (zh) * 2013-03-22 2014-09-24 阳应良 一种健骨药酒
KR20180058110A (ko) * 2016-11-23 2018-05-3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유래 sps-cf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임플란트 코팅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810B1 (ko) * 2005-11-03 2007-03-13 김성희 매생이누룽지탕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6076A (zh) * 2013-03-22 2014-09-24 阳应良 一种健骨药酒
KR20180058110A (ko) * 2016-11-23 2018-05-3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유래 sps-cf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임플란트 코팅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520B1 (ko) 2008-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907B1 (ko) 갈색거저리 유충의 추출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295125B1 (ko) 항산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KR20120033633A (ko)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성장 촉진용 조성물
JP4686173B2 (ja) ポリフェノールおよび/またはビタミンcを含有するアセロラ処理物
JP4432069B2 (ja) 肥満抑制剤
US7767236B2 (en) Plant seed extrac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976241B1 (ko) 알코올분해 및 숙취해소용 돌나물 분획물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3304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32520B1 (ko) 매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20110030973A (ko) 황기, 복령 및 적소두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64519A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3305A (ko) 벼메뚜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3252775A (ja) Nk細胞活性化剤
KR100679290B1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84812B1 (ko) 새찰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373493B1 (ko) 톳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120549A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WO2008007880A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runus persica (l.) batsch for treating and preventing bone diseases
JP2009126814A (ja) 高尿酸血症の予防または改善剤
KR20110021844A (ko) 매실나무 추출물의 조성물 제조에서의 응용
JP4464082B2 (ja) ヨモギ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筋肉細胞糖輸送促進組成物
KR100539457B1 (ko) 괴각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