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796B1 -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치료제 - Google Patents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796B1
KR100592796B1 KR1020040018825A KR20040018825A KR100592796B1 KR 100592796 B1 KR100592796 B1 KR 100592796B1 KR 1020040018825 A KR1020040018825 A KR 1020040018825A KR 20040018825 A KR20040018825 A KR 20040018825A KR 100592796 B1 KR100592796 B1 KR 100592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hyperlipidemia
weight
green tea
gt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894A (ko
Inventor
박종범
윤여표
이덕근
박현주
Original Assignee
삼아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아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아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8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796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에서 추출된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제는 혈중의 중성지방 및 저비중 지방단백질의 함량을 저하시키고, 고비중 지방단백질의 함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녹차카테킨, 고지혈증 예방제, 고지혈증 치료제

Description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제{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yperlipidemia Comprising Green Tea Catechin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녹차에서 추출된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혈장내에 콜레스테롤(cholesterol)이나 중성지방(triglyceride) 등의 지질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고지혈증(hyperlipidemia)은 과다한 지방 또는 칼로리의 섭취, 과도한 술 또는 약물의 복용, 유전적인 영향 등에 의하여 발생한다. 고지혈증은 혈소판 응집기능 항진, 혈소판 응고시간의 단축 등 혈액의 응고에 변화를 일으켜서, 결과적으로는 말초순환 장애 및 이로 인한 뇌경색, 심근경색 등의 합병증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합병증의 주원인은 혈중에 증가된 중성 지방과 저비중 지방단백질(low density lipoprotein, LDL)인 것으로 보고되어있고, 혈중에 존재하는 고비중 지방단백질(high density lipoprotein, HDL)은 고지혈증으로 인하여 발병하는 합병증과는 전혀 관련성이 없고, 오히려 고비중 지방단백질의 혈중함량이 증가할 경우에는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최근들어, 영양 섭취량의 증가, 동물성 지방 섭취량의 증가, 운동량 감소, 스트레스 증가, 평균 수명의 연장 및 노년층 인구의 증가 등의 원인에 의하여, 고지혈증 환자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출원 제 2003-23236호에는 비타민 복합제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출원 제 2002-7002627호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비스설폰아미드를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출원 제 2002-59658호에는 곡류, 과채류, 해조류, 버섯류 등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억제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출원 제 2002-27396호에는 헤마테인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출원 제 2002-23257호에는 홍화씨 유래의 페놀화합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출원 제 2001-33599호에는 이소시트르산 탈수소화효소 활성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출원 제 2001-18148호에는 아카란 황산(acharan sulfate)을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고, 특허출원 제 2000-62335호에는 탄닌 또는 탄닌 유래 페놀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출원 제 2000-58789호에는 디오스민(Diosmin)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및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 제 291140호에는 엘라그산(ellagic acid)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 제 381363호에는 김으로부터 고지혈증 개선효과가 있는 포피란(porphyran)을 추출 및 정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연구결과는 실질적인 고지혈증의 치료에 부분적으로만 이용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페놀성 화합물을 미량으로 생체에 투여할 경우에는, 별다른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으나, 다량으로 투여할 경우에는 면역체계를 교란시킬 우려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고지혈증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에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고지혈증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녹차 추출물로부터 수득한 녹차카테킨이 저비중 지방단백질 및 중성지방의 혈중함량을 저하시키고, 고비중 지방단 백질의 혈중함량을 향상시켜서, 고지혈증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제는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C22H18O11, 분자량 458.4), 에피갈로카테킨(EGC, C15H14 O7, 분자량 306.3) 및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C22H18O10, 분자량 442.5)를 포함하는 녹차카테킨(green tea catechins, GTC)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이때, GTC에 함유된 EGCG, EGC 및 ECG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30 내지 90중량%의 EGCG, 6 내지 35중량%의 EGC 및 2 내지 35중량%의 ECG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녹차카테킨(GTC)"이란 녹차에서 추출되어,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C22H18O11, 분자량 458.4), 에피갈로카테킨(EGC, C15H14O7, 분자량 306.3) 및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C22H 18O10, 분자량 442.5)를 다양한 함량으로 포함하고, 녹차에 포함된 다른 성분들, 예를 들어 카페인, 회분 등을 카테킨보다 적은 함량으로 포함하는 추출물을 의미한다. GTC에 함유된 카테킨 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추출물 중량에 대하여 8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전체 추출물중에 EGCG의 함량은 30 내지 90중량%, EGC의 함량은 6 내지 35중량% 및 ECG의 함량은 2 내지 3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기 GTC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유럽특허공개 제 547370A2호, 일본특허공보 평2-22755호,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1997-11555호, 일본특허공보 평7-179353호 또는 미국특허 제 5,107,000호 등에 기술된 공지된 방법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제는 혈중의 중성지방(triglyceride, TG) 및 저비중 지방단백질(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함량을 저하시키고, 고비중 지방단백질(high density lipoprotein, LDL)의 함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제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GTC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결합제(예,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붕해제(예,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희석제(예, 옥 수수전분, 유당, 콩기름, 결정셀룰로오스, 만니톨), 활택제(예,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감미제(예, 백당, 과당, 솔비톨, 아스파탐), 안정제(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알파 또는 베타 싸이클로덱스트린, 비타민 C, 구연산, 백납), 보존료(예,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 및 향료(예, 에틸바닐린, 마스킹후레바, 멘톨후라보노, 허브향)와 혼합하여 정제, 캅셀제, 연질캅셀제, 액제, 연고제 또는 주사제와 같은 약학적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GTC의 급성독성실험
6 내지 7주령 된 비설치류 비글견(beagle)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GTC를 경구투여하여 24시간내의 개체사망율을 조사하였으며, 이때 암컷은 6 내지 8㎏인 개체를, 수컷은 7 내지 9㎏인 개체를 각각 8마리 사용하였다. 그 결과, 5g/kg 까지 죽은 개체가 발생하지 않아, 본 발명의 GTC는 kg당 5g까지도 급성독성을 관찰할 수 없을 만큼 안전하므로,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제로서 생체내에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
유효량
본 발명의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제의 유효성분인 GTC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증상, 투여방법 또는 예방목적에 따라, 체중 kg 당 6 내지 30㎎을 일일 1회 내지 3회 분복할 수 있다. 특이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당업자가 투여량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녹차카테킨(GTC)의 수득
녹차(Theae sinensis L., Theaceae-var. bohea 中 yabugida, 제주도산) 1000g에 70%(v/v) 에탄올수용액 10ℓ로 85 내지 90℃에서 3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동일한 용매 5ℓ로 동일한 조건하에 2차 추출을 완료하여, 진공회전증발기에서 약 1000㎖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전기 농축액에 물을 가하여 2 내지 3배로 희석시키고, 14,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2배의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1.2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4회 추출하여 얻은 액을 합한 후, 추출용매가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감압건조시켰다. 전기 건조물을 소량의 물로 용해시키고 동결건조하여 GTC 분말을 수득하였다.
또한, 수득한 GTC 분말에 함유된 카테킨의 함량을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참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1-84165호), 전기 수득한 GTC 분말의 중량에 대하여,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 37.5%(w/w), 에피갈로카테킨 12.5%(w/w), 에피카테킨-3-갈레이트 5.7%(w/w) 및 잔량의 기타 카테킨을 함유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혈중 지질의 함량에 대한 GTC의 효과
전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GTC가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여부를 혈중 지질(TG, LDL, HDL)의 함량을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실시예 2-1: GTC의 고지혈증 예방효과
웅성 랫트에 전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GTC 900mg을 포함하고 동물성 지방함량이 30중량%인 사료를 30일간 섭식시킨 후, 채혈하고 혈중 TG, LDL, HDL 및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지질자동분석기(RA-XT, Technicon,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는 GTC를 투여하지 않은 랫트를 사용하고, 음성대조군으로는 동물성 지방 및 GTC를 투여하지 않은 랫트를 사용하였다(참조: 표 1).
GTC에 의한 혈중 지질의 함량변화(㎎/㎗)
TG LDL HDL 총콜레스테롤
음성대조군 206 140 130 270
실험군 208 148 140 288
양성대조군 380 280 132 410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GTC를 섭식시킨 경우에는 TG 및 LDL의 혈중함량이 음성대조군 수준으로 낮아지고, HDL의 혈중함량은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보다도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고지혈증의 병리학적 주원인은 혈중에 증가된 TG 및 LDL의 함량이므로, GTC가 고지혈증의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2: GTC의 고지혈증 치료효과
웅성 랫트에 동물성 지방함량이 30중량%인 사료를 30일간 섭식시킨 후, 전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GTC를 하루 900mg씩 7일간 경구투여하고, 채혈한 다음, 혈중 TG, LDL 및 HDL의 함량을 지질자동분석기(RA-XT, Technicon,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는 GTC를 투여하지 않은 랫트를 사용하고, 음성대조군으로는 동물성 지방 및 GTC를 투여하지 않은 랫트를 사용하였다(참조: 표 2).
GTC에 의한 혈중 지질의 함량변화(㎎/㎗)
TG LDL HDL 총콜레스테롤
음성대조군 206 140 130 270
실험군 220 158 140 298
양성대조군 380 280 130 410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GTC를 투여할 경우에는 TG 및 LDL의 혈중함량이 음성대조군 수준으로 낮아지고, HDL의 혈중함량은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보다도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고지혈증의 병리학적 주원인은 혈중에 증가된 TG 및 LDL의 함량임을 감안한다면, GTC가 고지혈증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GTC의 최적 조성비 결정
본 발명의 GTC에 함유된 EGCG, EGC 및 ECG의 함량변화에 따른 혈중 TG함량을 비교하여, 최적의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EGCG, EGC 및 ECG의 조성비를 결정하였다.
실시예 3-1: EGCG의 함량결정
5중량%의 EGC 및 5중량%의 ECG를 포함하고, EGCG의 함량이 10, 20, 30, 40, 50, 60, 70, 80 및 90중량%인 GTC를 각각 제조한 후, 실시예 1에서 수득한 GTC 대신에 전기 제조된 각 GTC를 하루 900mg씩 7일간 경구투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 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혈중 지질의 함량을 비교하였다(참조: 표 3)
EGCG의 함량에 의한 혈중 지질의 함량변화(㎎/㎗)
EGCG의 함량 TG LDL HDL 총 콜레스테롤
음성대조군 206 140 130 270
10중량% 360 200 134 334
20중량% 320 184 136 320
30중량% 240 166 138 304
40중량% 220 158 140 298
50중량% 218 156 141 297
60중량% 215 155 142 297
70중량% 212 152 144 296
80중량% 208 150 145 295
90중량% 206 149 145 294
양성대조군 380 280 130 510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EGCG의 함량이 30 내지 90중량%인 경우, TG의 함량이 효과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2: EGC의 함량결정
50중량%의 EGCG 및 5중량%의 ECG를 포함하고, EGC의 함량이 5, 10, 15, 20, 25, 30, 35, 40 및 45중량%인 GTC를 각각 제조한 후, 실시예 1에서 수득한 GTC 대신에 전기 제조된 각 GTC를 하루 900mg씩 7일간 경구투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혈중 지질의 함량을 비교하였다(참조: 표 4)
EGC의 함량에 의한 혈중 지질의 함량변화(㎎/㎗)
EGC의 함량 TG LDL HDL 총 콜레스테롤
음성대조군 206 140 130 270
5중량% 230 192 135 327
10중량% 220 162 138 300
15중량% 215 155 142 297
20중량% 214 150 142 292
25중량% 214 148 143 291
30중량% 213 145 142 287
35중량% 212 142 144 286
40중량% 212 141 143 284
45중량% 211 142 143 285
양성대조군 380 280 130 410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EGC의 함량이 10중량% 이상인 경우, LDL의 함량이 현저히 저하됨을 알 수 있고,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LDL의 함량이 더 이상 저하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EGC의 함량을 좀 더 구체적으로 한정하기 위하여 EGC의 함량이 4, 5, 6, 7, 8, 9 및 10중량%인 GTC를 각각 제조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각 GTC의 간염 예방효과를 비교하였다(참조: 표 5).
EGC의 함량에 의한 혈중 지질의 함량변화(㎎/㎗)
EGC의 함량 TG LDL HDL 총 콜레스테롤
음성대조군 206 140 130 270
4중량% 245 213 141 354
5중량% 230 192 135 327
6중량% 228 180 135 315
7중량% 225 176 136 311
8중량% 223 172 137 309
9중량% 221 168 137 305
10중량% 220 162 138 300
양성대조군 380 280 130 410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EGC의 함량이 6중량% 이상인 경우, LDL의 함량이 현저히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3: ECG의 함량결정
50중량%의 EGCG 및 5중량%의 EGC를 포함하고, ECG의 함량이 5, 10, 15, 20, 25, 30, 35, 40 및 45중량%인 GTC를 각각 제조한 후, 실시예 1에서 수득한 GTC 대신에 전기 제조된 각 GTC를 하루 900mg씩 7일간 경구투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에 개시된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혈중 지질의 함량을 비교하였다(참조: 표 6)
ECG의 함량에 의한 혈중 지질의 함량변화(㎎/㎗)
ECG의 함량 TG LDL HDL 총 콜레스테롤
음성대조군 206 140 130 270
5중량% 215 155 142 297
10중량% 214 153 145 298
15중량% 213 151 148 299
20중량% 213 151 152 303
25중량% 212 150 155 305
30중량% 210 148 159 307
35중량% 209 149 163 312
40중량% 210 148 164 312
45중량% 208 147 163 310
양성대조군 380 280 130 410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ECG의 함량이 5중량% 이상인 경우, HDL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됨을 알 수 있고,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HDL의 함량이 더 이상 증가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ECG의 함량을 좀 더 구체적으로 한정하기 위하여 ECG의 함량이 1, 2, 3, 4, 5 및 6중량%인 GTC를 각각 제조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각 GTC의 간염 예방효과를 비교하였다(참조: 표 7).
ECG의 함량에 의한 혈중 지질의 함량변화(㎎/㎗)
ECG의 함량 TG LDL HDL 총 콜레스테롤
음성대조군 206 140 130 270
1중량% 228 167 130 297
2중량% 223 164 135 299
3중량% 219 161 137 298
4중량% 217 158 139 297
5중량% 215 155 142 297
6중량% 215 154 143 297
양성대조군 380 280 130 410
상기 표 7에서 보듯이, ECG의 함량이 2중량% 이상인 경우, HDL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3-1 내지 3-3의 결과를 종합하면, 30 내지 90중량%의 EGCG, 6 내지 35중량%의 EGC 및 2 내지 35중량%의 ECG를 포함하는 GTC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녹차에서 추출된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제는 혈중의 중성지방 및 저비중 지방단백질의 함량을 저하시키고, 고비중 지방단백질의 함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30 내지 90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C22H18O11, 분자량 458.4), 6 내지 35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EGC, C15H14O7, 분자량 306.3) 및 2 내지 35중량%의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C22H18O10, 분자량 442.5)를 포함하는 녹차카테킨(green tea catechins)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제.
  2. 삭제
  3. 30 내지 90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C22H18O11, 분자량 458.4), 6 내지 35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EGC, C15H14O7, 분자량 306.3) 및 2 내지 35중량%의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C22H18O10, 분자량 442.5)를 포함하는 녹차카테킨(green tea catechins)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제.
  4. 삭제
KR1020040018825A 2004-03-19 2004-03-19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치료제 KR100592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825A KR100592796B1 (ko) 2004-03-19 2004-03-19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825A KR100592796B1 (ko) 2004-03-19 2004-03-19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치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894A KR20050093894A (ko) 2005-09-23
KR100592796B1 true KR100592796B1 (ko) 2006-06-26

Family

ID=3727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825A KR100592796B1 (ko) 2004-03-19 2004-03-19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7220B2 (ja) 2018-06-05 2023-11-09 フラッグシップ パイオニアリング イノベーションズ ブ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代謝障害および非アルコール性脂肪肝疾患の治療のための活性薬剤およびその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873A (ko) * 2017-10-30 2019-05-09 (주)아모레퍼시픽 특정 성분 함량이 증가된 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대사 이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90048502A (ko) 2017-10-31 2019-05-09 (주)아모레퍼시픽 성분 함량이 변화된 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순환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7220B2 (ja) 2018-06-05 2023-11-09 フラッグシップ パイオニアリング イノベーションズ ブ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代謝障害および非アルコール性脂肪肝疾患の治療のための活性薬剤およびそ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894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1300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Gramineae Pla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c Diseases and Degenerative Brain Diseases and the Use Thereof
JP6012137B2 (ja) 骨密度増加剤及び抗更年期障害剤
RU2695806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силибин и витамин е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US20170296607A1 (en) Composition including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EP0573682A1 (en) Tea polyphenols as anti-hyperglycemic agents
JP4686173B2 (ja) ポリフェノールおよび/またはビタミンcを含有するアセロラ処理物
JP2003146898A (ja) 高脂血症改善剤
US9724361B2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liver function deterioration, containing citrus peel extract or narirutin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extracting narirutin from citrus peel
KR101729003B1 (ko) 황칠 추출물 또는 황칠액 발효대사체를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92796B1 (ko)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치료제
WO2020091265A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3130327B2 (ja) 肝機能障害予防剤及び肝機能障害予防作用を有する機能性食品
KR100592792B1 (ko)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 예방 및 치료제
CN117042762A (zh) 包含沙格雷酯和欧洲越桔提取物作为活性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听力损失的复合组合物
KR100832520B1 (ko) 매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JP4754190B2 (ja) アルコール代謝向上剤
KR20110125958A (ko)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100679291B1 (ko) Hgd­sj­1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6022082A (ja) 脂質代謝改善剤
US20090110760A1 (en) Lipometabolism improver containing pine bark extract
KR101203752B1 (ko) 홍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61107B1 (ko) 노인성 치매에 의한 신경세포손상 및 기억력 감퇴를개선시키는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JP2006083106A (ja) 血中中性脂肪濃度上昇抑制作用を有する薬剤及び飲食物
KR100539457B1 (ko) 괴각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