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7947A - 대기표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대기표 처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7947A
KR20050017947A KR1020030055539A KR20030055539A KR20050017947A KR 20050017947 A KR20050017947 A KR 20050017947A KR 1020030055539 A KR1020030055539 A KR 1020030055539A KR 20030055539 A KR20030055539 A KR 20030055539A KR 20050017947 A KR20050017947 A KR 20050017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ting
customer
unit
data terminal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9789B1 (ko
Inventor
서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5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789B1/ko
Publication of KR20050017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7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1/00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011/04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related to queuing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구에 설치되어 흔히 대기표 발행기로 불리는 대기표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고객이 휴대하는 데이터 단말기(DT : data terminal)를 통해 대기번호를 전자적으로 발행하고 관리하는 대기표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기표 처리장치는 블루투쓰 모듈을 통해 대기고객이 보유한 데이터 단말기(DT : data terminal),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을 설정하고, 대기번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단말기로 송신한다. 고객은 자신이 항상 휴대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대기 번호를 수신하며, 표시창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는 대기고객에게 데이터 단말기를 통해 광고, 상품/서비스안내, 메뉴안내, 뉴스, 게임등의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고객은 무료한 대기 시간 중에 유용한 정보를 접할 수 있고 서비스 회사는 광고나 교육을 위한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대기표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waiting coupon}
본 발명은 흔히 대기표 발행기로 불리는 대기표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고객이 휴대하는 데이터 단말기(DT : data terminal)를 통해 대기번호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대기표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 관공서, 극장, 병원 등 많은 고객을 상대하는 곳에서는 대기표 발행기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대기번호를 부여한다. 고객들은 대기표에 기재된 번호의 순서에 따라 창구를 방문하여 서비스를 받게 된다. 이에 따라 고객들은 대기표에 기재된 번호와 현재 처리중인 번호를 비교하여 자신이 언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지 예측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먼저 방문한 지위를 상실함이 없이 대기 시간 중에 여유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고객들이 대기표를 분실하였을 경우 대기자의 지위를 입증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 뿐 아니라, 번호표의 발행에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2003. 4. 21.자 공고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1284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에 따르면, 고객정보가 기록된 마그네틱 스트립이 부착된 고객카드가 제공되며, 대기표 발행기는 마그네틱 스트립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판독하며, 추가로 이 카드의 표면에 제공되어 재기록 가능한 표시부에 대기번호를 인자하게 된다. 명세서에 따르면, 이 재기록 가능한 표시부는 로이코 염료계의 가소성 감열 기록재료나 상변화형 기록재료 도는 포토크로믹 재료 등의 소재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 같은 기술은 고가이면서도 소모품에 가까운 고객카드를 추가로 발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나아가 화학적인 재기록은 기록횟수에 제한이 따르며 대기표 발행기에는 이러한 재기록 가능한 메카니즘을 지원하는 고가의 기록 및 소거 메카니즘이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물리적인 번호표를 발행할 필요가 없는 전자적인 대기표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번호표 분실로 인한 대기인의 대기 순서에 따른 이익의 상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적인 대기표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추가적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대기 고객에게 부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적인 대기표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대기고객의 대기사항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전자적인 대기표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는 블루투쓰 모듈을 통해 대기고객이 보유한,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데이터 단말기(DT : data terminal)와 연결을 설정하고, 대기번호를 발행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단말기로 송신한다. 데이터 단말기는 정보 표시 기능을 가진 블루투쓰 단말기이면 족하며, 예를 들면 블루투쓰 모듈을 탑재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고객은 자신이 항상 휴대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대기 번호를 수신하며, 표시창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고객은 대기 중에 창구의 디스플레이에서 증가되며 표시되는 처리 번호가 자신의 번호에 도달하면 창구를 방문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서비스가 완료되면 창구 직원은 직원 단말기에서 특정한 버튼을 눌러 디스플레이의 표시 숫자를 증가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는 처리가 완료된 고객의 대기번호에 대해 대기자의 지위를 해제시킨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는 대기자의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대기상태 해제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번호에 대해 대기자의 지위를 해제한다. 또다른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는 창구 디스플레이에서 해당 대기번호가 표시된 이후에도 소정의 시간동안 대기자가 창구를 방문하지 않을 경우 대기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대기번호에 대해 대기자의 지위를 해제한다. 이 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는 대기자의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업무 처리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는 대기고객에게 데이터 단말기를 통해 광고, 상품/서비스안내, 메뉴안내, 뉴스, 게임등의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고객은 무료한 대기 시간 중에 유용한 정보를 접할 수 있고 서비스 회사는 광고나 교육을 위한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는 대기고객이 보유한 데이터 터미널로부터 기본적인 고객정보를 취합하고, 창구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업무 내용과 연계하여 방문한 고객의 고객 정보 및 서비스 내용을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대기표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방문 고객에 대한 관리가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를 포함한 대기표 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표 처리 시스템은 대기표 처리 장치(1)와, 상기 대기표 처리 장치(1)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직원 단말기(2) 및 그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와, 상기 대기표 처리 장치(1)와 블루투쓰 규약에 따라 통신하는 복수의 데이터단말기(DT : data terminal)(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는 직원 단말기에 연결되지 않고 대기표 처리장치와 직접 통신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기표 처리 장치(1)는 통상의 대기표 발행기와 외관이 유사하며, 단지 데이터단말기(3)와의 블루투쓰 통신을 위해 추가된 구성의 하나인 안테나가 돌출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각 창구에 설치된 직원 단말기(2)는 대기표 처리 장치(1)와 유선 또는 블루투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호출된 대기번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을 구비한다. 데이터 단말기(3)는 예를들면, 휴대폰 또는 PDA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블루투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모듈과, 대기표 정보 수신 및 사용자 조작을 처리하는 응용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다.
고객이 단말기(3)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켜 대기표 처리 기능을 선택하면, 단말기는 대기표 처리 장치(1)에 연결 설정을 요청한다. 연결이 설정되면, 대기번호 발급을 요청한다. 대기표 처리 장치(1)는 대기번호를 부여하고, 단말기는 부여된 대기번호를 고객에게 표시하고 저장한다. 고객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되면 직원은 직원 단말기(2)를 통해 해당 단말기에 대해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입력하며, 대기표 처리장치(1)는 이에 의해 처리 완료된 대기고객의 대기상태를 해제하고, 다음 순서의 번호를 호출한다. 이때 직원 단말기는 단말기의 표시화면에 바코드 형태로 표시된 대기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스캐너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비스가 완료된 단말기를 특정하는 정보의 입력이 더욱 용이해진다.
도 1b 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를 포함한 대기표 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표 처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대기표 처리 장치(1-1,...,1-n)와, 상기 대기표 처리 장치(1-1,...,1-n)와 네트워크 허브(5)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직원 단말기(2-1, ..., 2-n), 디스플레이들(7-1,...,7-n)과, 그리고 블루투쓰 액세스 포인트(4-1,...,4-n), 그리고 전체 시스템을 총괄 제어하는 컴퓨터(6)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들은 각각 대응되는 직원 단말기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허브(5)는 무선 랜(LAN) 방식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블루투쓰 액세스 포인트(4-1,...,4-n)들의 수를 증가시킴에 의해 한꺼번에 액세스할 수 있는 고객 단말기의 수를 늘일 수 있다.
블루투쓰 액세스 포인트들(4-1,...4-n)은 데이터 단말기(3-11,...,3-nm)들과 블루투쓰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한다. 블루투쓰 액세스 포인트들(4-1,...4-n)은 데이터 단말기들과 연결을 설정한다. 컴퓨터(6)는 현재 연결이 설정된 데이터 단말기 뿐 아니라 한번 연결이 설정되어 대기번호가 부여된 단말기들의 식별정보를 관리한다.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는 동시에 9개 정도의 단말기와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쓰 규약에 따라 처리장치가 마스터로 되고 단말기는 슬레이브로 작동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단말기 측에서 사용자가 대기 상태를 해지하고자 특정 버튼을 조작하면 다시 데이터 단말기와 블루투쓰 액세스 포인트간에 연결이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대기표 처리 장치(1)는 통상의 대기표 발행기와 외관이 유사하다. 단말기(3-11,...,3-nm)는 예를 들면 휴대폰 또는 PDA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블루투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모듈과, 대기번호 정보 수신 및 사용자 조작을 처리하는 응용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가 대기표 처리장치들(1-1,...,1-n)중의 하나를 방문하여 대기표 출력 버튼을 누르거나, 자신의 단말기(3-11,...,3-nm)를 이용하여 블루투쓰 액세스 포인트들(4-1,...,4-n) 중의 하나로 대기번호 발행을 요구하면, 컴퓨터(6)는 이들로부터 요구를 수신하여 대기번호를 생성하여 요청한 대기표 처리장치(1-1,...,1-n)나 해당 단말기(3-11,...,3-nm)로 공급한다. 단말기는 부여된 대기번호를 고객에게 표시하고 저장한다. 직원 단말기(2-1,...,2-n)에서 직원이 고객을 호출하기 위해 호출 버튼을 누르면 컴퓨터(6)는 이를 감지하여 요청한 직원 단말기(2-1,...,2-n)에 할당된 디스플레이(7-1,...,7-n)에 해당 창구에서 서비스를 받아야할 순번의 대기번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직원이 다음 고객의 호출 번호를 누르면, 컴퓨터(6)는 방금 서비스 대상이었던 대기번호에 대해 대기상태를 해제하고 다음 대기 순번의 대기번호를 디스플레이(7-1,...,7-n)에 표시하여 다음 순서의 고객을 호출한다. 이때 직원 단말기는 단말기의 표시화면에 바코드 형태로 표시된 대기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스캐너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비스가 완료된 단말기를 특정하는 정보의 입력이 더욱 용이해진다.
도 2a 는 도 1a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대기표 처리장치는 조작부(10)와 표시부(20)와 블루투쓰 모듈(30)과 메모리(40)와 인쇄부(50)와 감지부(60)와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조작부(10)는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패드 등과 같은 입력수단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명령의 입력을 처리한다. 표시부(20)는 일반적으로 LCD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며, 조작부(10)의 입력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의 현재상태나 또는 다음 처리될 대기번호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는 블루투쓰 모듈(30)을 구비하여 데이터 단말기(3)들과 블루투쓰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한다. 처리장치는 데이터 단말기들과 연결을 설정하고, 현재 연결이 설정된 데이터 단말기 뿐 아니라 한번 연결이 설정되어 대기번호가 부여된 단말기들의 식별정보를 관리한다. 처리장치는 데이터 단말기들 중 동시에 9개 정도의 단말기와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쓰 규약에 따라 처리장치가 마스터로 되고 단말기는 슬레이브로 작동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단말기 측에서 사용자가 대기 상태를 해지하고자 특정 버튼을 조작하면 다시 데이터 단말기와 처리 장치간에 연결이 설정된다.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현된 데이터 단말기에 있어서, 데이터 단말기는 연결 설정시 자신의 하드웨어 고유번호 뿐 아니라 폰번호를 포함한 식별정보를 처리장치로 송신한다. 이렇게 수신된 폰번호는 처리 장치내에서 축적되는 유용한 고객관리 정보의 기초가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기표 처리 장치는 통신부(8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80)는 유선 혹은 무선의 랜(LAN)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통신부(80)에는 관리용 컴퓨터가 연결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용 컴퓨터를 통해 서비스를 받은 고객들의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직원 단말기들은 통신부(80)에 연결된다. 대기표 처리장치는 통신부(80)에 연결된 직원 단말기로 해당 단말기에서 처리중인 대기번호를 표시하도록 제어명령을 송출하는 한편, 직원 단말기에서 처리중인 대기번호에 대해 처리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대기번호에 대해 대기상태를 해제하도록 처리한다.
제어부(70)는 통상적인 대기표 발행장치에 익숙한 사용자나 또는 데이터 단말기를 소지하지 못한 사용자를 위하여 통상적인 대기표 발행장치의 기능을 지원한다. 제어부(70)는 인쇄부(50)를 통해 번호표를 인쇄 출력하며, 고객이 인쇄된 번호표를 뽑으면 이를 감지부(60)에서 감지하여 그 다음 순서의 번호를 인쇄부(50)를 통해 인쇄한다. 메모리(40)에는 응용프로그램과 번호표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도 2b 는 도 1b에 도시된 대기표 처리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대기표 처리장치는 조작부(10)와 표시부(20)와 메모리(40)와 인쇄부(50)와 감지부(60)와 제어부(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대기표 처리장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지 않은 점과, 대기번호 발행과 관련된 관리를 대기표 처리장치에서 수행하지 않고 이와 연결된 외부의 컴퓨터(6)에서 처리하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대기표 처리장치와 차이가 있다.
조작부(10)는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패드 등과 같은 입력수단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명령의 입력을 처리한다. 표시부(20)는 일반적으로 LCD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며, 조작부(10)의 입력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의 현재 상태나 또는 다음 처리될 대기번호를 표시한다.
추가로 대기표 처리장치는 통신부(8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80)는 유선 혹은 무선의 랜(LAN)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어부(70)는 전체 시스템을 총괄 제어하며, 통신부(80)를 통해 컴퓨터(6)가 발행하는 대기번호를 수신하여 이를 인쇄부(50)로 인쇄하며, 사용자가 조작부(10)를 통해 대기번호의 발행을 요청하면 이를 통신부(80)를 통해 컴퓨터(6)로 알린다.
제어부(70)는 통상적인 대기표 발행장치에 익숙한 사용자나 또는 데이터 단말기를 소지하지 못한 사용자를 위하여 통상적인 대기표 발행장치의 기능을 지원한다. 제어부(70)는 인쇄부(50)를 통해 번호표를 인쇄 출력하며, 고객이 인쇄된 번호표를 뽑으면 이를 감지부(60)에서 감지하여 그 다음 대기 번호를 도 1b의 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인쇄부(50)를 통해 인쇄한다. 메모리(40)에는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현된 데이터 단말기에 있어서, 데이터 단말기는 연결 설정시 자신의 하드웨어 고유번호 뿐 아니라 폰번호를 포함한 식별정보를 처리장치로 송신한다. 이렇게 수신된 폰번호는 컴퓨터(6) 내에서 축적되는 유용한 고객관리 정보의 기초가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에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다른 실시예인 도 1b 또는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 같은 응용프로그램은 대부분 컴퓨터(6)에서 처리된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은 대기표 처리부(71)와 부가서비스제공부(72)와 고객관리부(73)를 포함한다.
대기표 처리부(71)는 물리적인 대기표의 발행과 직원 단말기의 제어와 관련된 기존의 대기표 발행장치의 기능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대기번호를 발행하고 발행된 번호를 데이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발행된 대기번호를 관리한다. 추가적으로 대기표 처리부(71)는 직원 단말기(2)로부터 해당 데이터 단말기로 서비스 제공이 완료되었음을 통보받으면, 해당 대기번호에 대해 대기상태를 해제한다. 추가적으로 대기표 처리부(71)는 특정한 고객의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대기상태의 해제 요청을 통보받으면, 해당 대기번호에 대해 대기상태를 해제시키는 수동해제부(711)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대기표 처리부(71)는 대기번호가 발행되면, 해당 대기번호에 대해 발행이후 경과시간을 관리하며, 대기 한도 기준 시간이 초과되면, 해당 대기번호에 대해 대기 상태를 해제하는 자동해제부(712)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자동 해제부(713)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타이머를 운용한다. 이 같은 대기번호의 상태는 메모리에 저장된 대기표 데이터베이스(41)에서 관리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은 부가 서비스 제공부(72)를 포함한다. 메모리의 부가 서비스 데이터베이스(42)는 광고, 상품/서비스안내, 메뉴안내, 뉴스, 게임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한다. 부가 서비스 제공부(72)는 연결이 설정된 데이터 단말기를 대상으로 이들 콘텐츠를 제안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많은 단말기를 대상으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콘텐츠는 단말기로 다운로드되어 자체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예를 들어 패스트푸드점 같은 경우에 대기번호를 발행받은 데이터 단말기를 대상으로 주문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주문 내역을 다시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도록 부가 서비스 제공부(72)는 프로그램되어질 수 있다. 이때 다운로드되는 것은 컨텐츠라기 보다는 응용프로그램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은 고객관리부(73)를 포함한다. 메모리의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43)에는 예를 들면 대기표가 발행된 데이터 단말기의 식별정보, 즉 고객정보와, 해당 고객에 대해 처리된 서비스 내용이 저장될 수 있다. 은행의 경우 해당 고객의 거래 내역이 출금인지, 이체인지, 대출인지가 관리될 수 있다. 식당의 경우 해당 고객이 주문한 내역이 관리될 수 있다. 발행된 대기번호에 의해 고객들이 식별될 수 있으므로 내부에 별도로 존재하는 관리 시스템과 효과적으로 인터페이스될 수 있다. 관리자는 대기표 처리장치와 연결된 관리용 컴퓨터에서 저장된 고객관리 정보를 열람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표 처리부(71)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표 처리부(71)는 대기고객의 데이터 단말기(3)로부터 예를들면, 블루투쓰 모듈(30)의 고유번호나 휴대폰의 ESN등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연결설정 요구가 수신되면, 해당 단말기와 연결을 설정한다(단계 S110). 이후에 대기표 처리부(71)는 다음 발행할 대기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단말기로 송신한다(단계 S120). 이때 대기표 처리부(71)는 해당 단말기를 대기표 데이터베이스(41)에 등록하며, 부가 서비스 제공부(72)나 고객관리부(73)로 해당 단말기에 대한 처리를 요구한다. 한편, 대기표 처리부(71)는 해당 단말기의 등록 시간을 관리하기 시작한다(단계 S130). 이에 의해 관리자는 중요한 서비스 관리 정보, 예를 들면 번호표를 부여받은 후 평균적으로 몇 시간 이내에 고객이 서비스를 받았는가 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에 해당 단말기로의 새로운 이벤트가 일어날 때까지 연결을 해제하고 새로운 단말기로부터의 연결 설정 요구를 기다린다(단계 S140). 한편, 직원 단말기(2)로부터 특정한 대기번호에 대해 서비스 제공이 종료되었다는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S150), 업무처리 내역을 고객관리부(73)에 저장하도록 고객관리부(73)에 요청하고(S151), 고객의 데이터 단말기(3)에 통보한 후(S152) 대기표 데이터베이스(41)에서 대기고객의 대기상태를 해제한다(S180). 한편, 직원 단말기(2)로부터 해당 번호에대한 호출이 이루어진 이후에 해당 번호에 대한 서비스 제공 완료 입력이 없다면 타이머를 체크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해당 번호에 대한 대기상태를 해제한다. 추가적으로, 대기고객의 데이터 단말기(3)로부터 대기상태 해제 요청이 있다면, 고객에게 해제 요청에 대해 확인 통보한 후(단계 S171), 해당 대기번호에 대해 대기표 데이터베이스(41)에서 대기상태를 해제한다(S180).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대기고객에게 대기번호를 부여함으로써, 대기표 인쇄에 따른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부여된 대기번호를 대기고객이 늘 휴대하는 데이터단말기에 저장함으로써 대기표 분실에 따른 대기인의 순서 상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무료한 대기시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간단한 업무를 사전에 미리 처리해둘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고객이 이용한 서비스 내역을 저장함으로써, 향후 업무보고나 업무처리 분석시 축적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장치는 대기 상태를 다양하게 관리하므로, 관리자 입장에서는 대기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업무량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가능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a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대기표 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대기표 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에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표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대기표 처리장치 2. 직원 단말기
3. 데이터단말기 10. 조작부
20. 표시부 30. 블루투쓰 모듈
40. 메모리 41. 대기표 데이터베이스
42. 부가서비스 데이터베이스 43.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
50. 인쇄부 60. 감지부
70. 제어부 71. 대기표 처리부
72. 부가서비스제공부 73. 고객관리부

Claims (10)

  1. 대기표 처리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상태와 대기자 수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데이터 단말기(DT : data terminal)와의 연결을 설정하고 대기 번호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쓰 모듈과;
    현재 대기고객의 수와, 대기중인 고객의 데이터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대기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블루투쓰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대기 번호를 해당 데이터 단말기로 송신하고, 해당 데이터 단말기로의 업무 처리 완료시 대기 상태의 등록을 해제 처리하는 대기표 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표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표 처리장치가 대기고객의 요구에 의해 번호표를 인쇄 출력하는 인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표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쓰 모듈이 상기 제어부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블루투쓰 액세스 포인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표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가 부가 서비스 컨텐츠가 저장된 부가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데이터단말기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부가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부가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표 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부가서비스가 광고, 상품/서비스안내, 메뉴안내, 뉴스, 게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표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가 이용고객의 정보가 저장되는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고객의 이용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고객관리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고객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표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고객이 요청한 업무 처리를 완료함에 따라, 상기 대기표 데이터베이스에서 대기고객의 대기 상태를 해제하도록 요청하는 직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표 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직원 단말기가 단말기의 표시부에 바코드 형태로 표시된 대기번호를 입력하는 스캐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표 처리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표 처리부가 고객이 자신의 데이터단말기로 송신한 대기해제 요청신호를 상기 블루투쓰 모듈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대기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대기고객의 대기상태를 해제하는 수동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표 처리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표 처리부가 부여된 대기번호에 따른 대기고객이 소정의 시간동안 업무처리를 요청하지 않을 경우 상기 대기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대기고객의 대기상태를 해제하는 자동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표 처리장치.
KR10-2003-0055539A 2003-08-11 2003-08-11 대기표 처리장치 KR100529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539A KR100529789B1 (ko) 2003-08-11 2003-08-11 대기표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539A KR100529789B1 (ko) 2003-08-11 2003-08-11 대기표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947A true KR20050017947A (ko) 2005-02-23
KR100529789B1 KR100529789B1 (ko) 2005-11-21

Family

ID=3722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539A KR100529789B1 (ko) 2003-08-11 2003-08-11 대기표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7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169B1 (ko) * 2008-06-09 2008-12-10 엘지엔시스(주) 하나의 전원소스로 구동하는 순번발행기와 이의 백업 장치및 방법
WO2009131387A2 (en) * 2008-04-24 2009-10-29 Aim To G Co., Ltd Discontinuous access management method using waiting ticket for resource allocation control, waiting ticket management method, and resource allocation control method
US8458311B2 (en) 2009-01-23 2013-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queue order, and terminal device
KR101404080B1 (ko) * 2012-08-22 2014-06-09 공낙현 온라인 모바일을 통해 이용자에게 대기순번을 실시간으로 제공해 주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656B1 (ko) * 2012-03-26 2013-01-24 에이큐 주식회사 대기표 운용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622826B1 (ko) 2014-04-15 2016-06-01 최지용 대기 순번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101989435B1 (ko) 2017-08-24 2019-09-24 이은우 고객대기순번 관리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387A2 (en) * 2008-04-24 2009-10-29 Aim To G Co., Ltd Discontinuous access management method using waiting ticket for resource allocation control, waiting ticket management method, and resource allocation control method
WO2009131387A3 (en) * 2008-04-24 2010-09-23 Aim To G Co., Ltd Discontinuous access management method using waiting ticket for resource allocation control, waiting ticket management method, and resource allocation control method
US8775627B2 (en) 2008-04-24 2014-07-08 Aim To G Co., Ltd Discontinuous access management method using waiting ticket for resource allocation control, waiting ticket management method, and resource allocation control method
KR100873169B1 (ko) * 2008-06-09 2008-12-10 엘지엔시스(주) 하나의 전원소스로 구동하는 순번발행기와 이의 백업 장치및 방법
US8458311B2 (en) 2009-01-23 2013-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queue order, and terminal device
KR101404080B1 (ko) * 2012-08-22 2014-06-09 공낙현 온라인 모바일을 통해 이용자에게 대기순번을 실시간으로 제공해 주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9789B1 (ko) 2005-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127B1 (ko) 원격지 대기순번 발급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29789B1 (ko) 대기표 처리장치
KR20160060185A (ko) 음식 주문 방법
JP2003337891A (ja) 顧客受付処理方法
KR100473881B1 (ko) 예약기능을 갖는 고객순번 대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이용한 순번 예약방법
KR100523921B1 (ko) 대기표 처리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JP2014164450A (ja) クーポン発券システム、利用者装置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101505995B1 (ko) Nfc 지능형 순번 대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번호표 발급방법.
KR101651346B1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및 방법
KR100698646B1 (ko) 대기표 처리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와 대기표 처리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JP2004538560A (ja) サービスを購入するための方法
JP5965530B1 (ja) 順番管理システム、順番管理装置および順番管理プログラム
JP2020013316A (ja) 順番管理システム、順番管理方法及び順番管理プログラム
KR100629595B1 (ko) 순번관리시스템
KR101298206B1 (ko) 가맹점 운영 시스템
JP6715809B2 (ja) 特典提供装置及び特典提供方法
KR20060008796A (ko) 지능형 창구 안내 시스템
KR20140101509A (ko) 대기번호 관리 시스템
JP2012079224A (ja) Rfid受付システム
JP2005269295A (ja) 顧客情報通信システム
JP6479138B1 (ja) 順番管理システム
JP2001357216A (ja) 顧客誘導方法および顧客誘導システム
KR20130102739A (ko) 대기번호 관리 시스템
JP7007426B2 (ja) 特典提供システム、特典提供方法及び特典提供装置
KR20190086315A (ko)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및 그 작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