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5965A - 잠수함에서 안테나 또는 케이블을 빼내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잠수함에서 안테나 또는 케이블을 빼내기 위한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5965A
KR20050015965A KR1020040021543A KR20040021543A KR20050015965A KR 20050015965 A KR20050015965 A KR 20050015965A KR 1020040021543 A KR1020040021543 A KR 1020040021543A KR 20040021543 A KR20040021543 A KR 20040021543A KR 20050015965 A KR20050015965 A KR 20050015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arine
guide
traction
antenna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9385B1 (ko
Inventor
크라프트귄터
무스펠트한스-오토
Original Assignee
호발트스벨케-도이췌벨프트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발트스벨케-도이췌벨프트아게 filed Critical 호발트스벨케-도이췌벨프트아게
Publication of KR20050015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3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39Arrangements of sonic watch equipment, e.g. low-frequency, son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1/66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owing underwater objects or vessels, e.g. fairings for tow-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38Arrangement of visual or electronic watch equipment, e.g. of periscopes, of rad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4Adaptation for subterranean or subaqueous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8Adaptation for use in or on aircraft, missiles, satellites, or balloons
    • H01Q1/30Means for trailing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4Adaptation for use in or on ships, submarines, buoys or torped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또는 케이블용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잠수함(1)에서 견인 안테나(10) 또는 견인 케이블을 외부로 빼낼 수 있게 한 장치로서, 가이드부는 잠수함(1)의 외피(3) 내부에 놓이는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회전될 수 있어서, 작동 위치에서 가이드부(9)는 잠수함(1)의 외피(3) 외부에 배치되게 된다.

Description

견인 안테나 또는 견인 케이블을 빼내기 위한 장치 {DEVICE FOR LEADING OUT A TRACTION-ANTENNA OR A TRACTION-CABLE}
본 발명은 수중 보트, 특히 잠수함에서 견인 안테나 또는 견인 케이블을 빼내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잠수함에서 견인 안테나, 견인 케이블 등을 수중으로 빼내기 위한 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유럽 공고 특허 출원서 제 0 124 133호 및 독일 특허 제 196 52 737호가 참조된다. 작동시 빼낸 다음에 재차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견인 안테나/견인 케이블이 수많은 목적으로 잠수함내에 통합된다. 이 경우에는, 수중으로 가라앉는 안테나/케이블, 물 위로 떠오르는 안테나/케이블 및 부유하는 안테나/케이블로 구분된다. 물 위로 떠오르는 견인 안테나는 통상적으로 통신, 네비게이션 및 모니터링을 위해서 이용된다. 설정되는 견인각(angle of traction)에 따라 견인 안테나를 잠수함으로부터 시작되는 접촉 위험구역으로부터 빼내기 위해서, 견인 안테나는 잠수함의 최고 견인점(traction point)에, 통상적으로는 잠수함 상갑판의 후방 변부에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잠수함의 초음파 장치용으로 제공된 것과 같은 부유하는 견인 안테나를 손상 없이 그리고 방해 없이 잠수함 뒤로부터 견인 구역으로 보낼 수 있기 위해서는, 인출점이 프로펠러의 회전반경 아래에 놓이게 하여서 안테나가 빼내진 경우에도 잠수함의 조종이 지나치게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안테나가 프로펠러 내부로 빠질 위험이 가급적 적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견인 안테나는 통상적으로 방향키 앞에 배치되어 있다.
프로펠러와 안테나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와 같은 견인 안테나를 별도로 설치된 가이드스탠드 위로 빼내는 것도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이드스탠드에서는, 스탠드가 잠수함의 유체역학적 프로파일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흠집(mark)을 발생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잠수함의 유체 역학적 및 음향적 특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상기와 같은 가이드스탠드를 포기하면, 이용되는 인출점의 개수가 숫자상으로 제한되어 견인 안테나 또는 견인 케이블의 사용이 감소되는 문제가 재차 제기된다.
상기 선행 기술을 기초로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잠수함의 유체 역학적 및 음향적 특성들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전술한 단점들을 제거하고 잠수함의 어느 장소에서도 다수의 견인 안테나 또는 견인 케이블을 빼내기 위한 장치를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1에 기술된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 제시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적어도 2가지 위치로 변경될 수 있는 안테나 또는 케이블용 가이드부를 제공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상기 2가지 위치는 가이드부가 보트의 외피 내부에 있어서 보트의 음향적 및 유체 역학적 특성들이 현저히 영향을 받지 않는 제 1 비작동 위치, 그리고 가이드부가 실제로 보트의 외피 외부에 배치되어서, 보트의 조종 가능성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으면서 프로펠러의 위험 영역으로부터 확실하게 회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견인 안테나 또는 견인 케이블이 잠수함 선체에 대해 충분한 간격을 두고 가이드되도록 하는 작동 위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트 외피상의 공지된 가이드 스탠드에 의해 공지된 바와 같은 장점들을 포함한다. 즉, 견인 안테나 또는 견인 케이블을 잠수함 선체에 대해 충분한 간격을 두고 가이드하기 위해서, 실제로 선체의 어느 부분에도 가이드부가 배치될 수 있고 아울러 가이드부가 충분히 길게 형성될 수 있다는 장점들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도 마찬가지로 작동 위치에서 흠집을 형성하고 잠수함의 유체 역학적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이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견인 안테나 또는 견인 케이블이 빼내져서 미리 주어진 간격에 상응하게 잠수함의 조종 가능성 및 주행 가능성이 제한되는 경우에만 이와 같은 문제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견인 안테나 또는 견인 케이블이 삽입된 경우, 즉 정상 주행 작동시에는 가이드부가 - 상기 가이드부가 비작동 위치에 있다면 - 보트 외피 내부에 있음으로써 보트의 유체 역학적 및 음향적 특성들이 현저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가이드부가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는 내부로 선회된 위치에서 가이드부가 보트 외피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공간 절약적인 배치, 특히 잠수함에서 가이드부를 압력선체와 외피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외부로 선회된 상태에서는, 견인 케이블 또는 견인 안테나를 보트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 가이드부의 거의 전체 길이가 이용될 수 있다. 내부 및 외부로의 선회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상응하는 수단이 제공되는데, 통상적으로는 잠수함 내부로부터 제어될 수 있고 유압식 또는 전기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레버 기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잠수함 선체 내부에 공간 절약 방식으로 배치했음에도 불구하고 견인 안테나 또는 견인 케이블을 가급적 멀리 이격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가이드부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끼워넣는 식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인 안테나 또는 견인 케이블이 빼내져 있는 동안 가이드부가 자신의 작동 위치에 머무르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부를 적어도 한가지 작동 위치, 바람직하게는 최종 위치 또는 임의의 작동 위치, 즉 임의의 선회 위치 또는 끼워넣어진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안테나 또는 케이블을 가급적 마찰없이 빼낸 다음에 재차 삽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의 단부에 가이드용 롤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롤러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롤러 위로 안테나 또는 케이블이 이동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부는 작동 위치에서는 고정되어 있을 뿐만아니라 기계적으로도 로킹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계적 로킹은 외부로 선회된 위치, 즉 가이드부의 최종 위치에서 자동 로킹(self locking)에 의해 로킹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상응하는 레버 기계 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 영향, 예컨대 유동 영향에 의해서도 가이드부가 의도치 않게 내부로 선회될 가능성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부가 지지용 파이프를 구비하고 있어서, 이 지지용 파이프가 내부/외부 선회시에 및 작동시에 기계적인 파워를 수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용 파이프 내부에는 가이드용 파이프가 배치되어 있어서 가이드용 파이프내로 케이블 또는 안테나가 뻗어 이동된다. 가이드용 파이프는 잠수함 내부에서 바람직하게는 잠수함에 고정된 견인 안테나 가이드부의 바로 앞에서 끝나고, 견인 안테나 가이드부와 일직선상으로 가이드용 파이프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지지용 파이프의 노출된 단부에 있는 가이드용 파이프의 일부분은 바람직하게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용 파이프 내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가이드용 파이프의 상기 부분과 지지용 파이프 사이에는 인출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바람직하게는 나선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에 의해, 회복된 위치에서는 안테나 또는 케이블 내에 압축 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인출 동작이 재차 실행되는 경우에는 압축 응력이 지지되어 스타트과정에 작용한다.
안테나 또는 케이블이 빼내진 상태에서도 보트의 유체 역학적 특성 뿐만 아니라 음향적 특성이 단점적인 영향을 가급적 적게 미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지용 파이프가 유동에 유리한 프로파일로 덮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에 유리한 프로파일도 마찬가지로 파이프로서, 예를 들면 횡단면이 타원형인 파이프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단지 유동 방향으로 앞에 위치한 리드 프로파일(lead profile)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 빼내진 견인 안테나 또는 케이블에 의해서 장치가 기계적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부 특히 가이드용 파이프의 잠수함측의 단부 가까이에는 안테나 또는 케이블을 양단하기 위한 분리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분리장치는 바람직하게 케이블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따라 제어되지만, 예를 들어 안테나 또는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시간이 충분치 않고 안테나 또는 케이블을 신속하게 절단하는 것이 보다 유리한 경우에는, 잠수함 내부의 장치에 의해서도 작동될 수 있다.
가이드부 및 이 가이드부와 관련하여 공동 작용하는 기계적/유압식 부품 및/또는 전기적 부품들을 정상 주행 작동시에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전체 장치는 하나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은 잠수함의 외피 내부에 놓이고 한면이 외피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의 밀폐는 바람직하게 잠수함의 외피에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플랩밸브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이 플랩밸브는 자체 선회동작 후에 가이드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특히 가이드부의 선회를 위한 빈 공간이 충분히 제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체 장치가 내장형 모듈(module)로서 형성되면, 즉 하우징을 포함하여 교체 가능한 기능성 유니트으로서 설치되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럴 경우, 결함이 발생한 경우나 수리가 필요할 경우에 장치를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모듈 방식에 있어서는, 외피내에 상응하는 리세스를 만든 후에 상기와 같은 장치를 기존의 잠수함에 보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실제로 어떠한 갯수의 견인 안테나 또는 견인 케이블도 빼낼 수 있기 위해서는, 잠수함에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장치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잠수함은 종래의 방식에 따라 길게 형성된 잠수함 선체로 이루어지고, 이 잠수함 선체의 내부는 외피(3)로 감싸진 원통형 압력 선체(2)(도 2)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외피(3)는 압력 선체(2) 외에도 잠수함의 추가 장치들을 수용하여 전체 잠수함 선체에 유체 역학적으로 유리한 형상을 제공한다. 잠수함(1) 중앙에는 위로 상갑판(4)이 형성되고, 선미에는 구동 프로펠러(5)가 있으며, 유동 방향으로 프로펠러 앞에는 본 경우에 X-키로서 형성된 방향키(6)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잠수함(1)은, 상부면에 있는 견인 안테나(8)를 빼내기 위한 장치들(7) 그리고 하부면에 있는 견인 안테나(10)를 빼내기 위한 장치(9)를 포함한다. 견인 안테나(8)로서는 부유하는(floating) 견인 안테나가 취급되는데, 이 견인 안테나는 통상적으로 GPS-, HF-, VHF-, UHF-, EHF- 또는 SHF-안테나용으로 제공된다. 본 경우에는 임의의 다른 안테나 또는 환경 센서와 같은 센서 장치 또는 SIG INT-안테나(EL INT = Electronic Intelligence, COM INT = Communication Intelligence, AC INT = Acoustic Intelligence, IM INT = Image Intelligence, OPT INT = Optical Intelligence를 포함한 SIG INT = Signal Intelligence)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안테나 또는 센서는 빼내질 케이블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공지된 바와 같이 케이블 자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유 안테나(8)가 장치들(7)과 함께 잠수함(1)의 외피(3)로부터 멀리 가이드됨으로써, 이 안테나가 선미 영역 내부에, 특히 프로펠러(5)에 도달하게 될 위험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잠수함(1)의 선미 근처의 하부면에 있는 장치(9)와 관련해서는, 잠수함 음향 안테나, 즉 부유하는 견인 안테나가 다루어진다. 이 경우 대안적으로는 다른 부유하는 견인 안테나 혹은 잠기는 견인 안테나 또는 케이블에 의해 유도된 장치들도 빼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실시예는 다만 하나의 예로서만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전체 장치들(7 또는 9)은 작동 위치에서 나타낸 것이다. 즉, 이 장치들의 가이드부가 외피(3)를 관통하여 빼내지거나 또는 외부로 선회되어 배치된 위치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견인 안테나(10)를 구비한 장치(9)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9)는 동일한 방식으로 잠수함(1)의 상부면에 통합될 수 있고, 그 다음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7)를 형성한다. 측면 설치도 가능하다.
장치(9)는 실제로 밀폐된 하우징(11)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은 장치(9)의 모든 고정부 및 가동부를 비작동 위치에서, 즉 잠수함(1)의 외피(3) 내부로 선회된 위치에서 수용하고 있다. 하우징(11)은 장치(9)를 위한 지지체뿐만 아니라 보호부를 형성하지만, 잠수함(1)의 외피(3)와 유사하게 밀봉 방식으로 밀폐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경계에서는 관류가 가능하다. 하우징(11)은 외피(3)와 일치하는 직사각형 리세스 내에 통합되어 있어서 잠수함(1)과 견고하게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하우징(11) 내에 통합된 장치(9)는, 외피를 걷어냄으로써 비교적 간단하게 이 영역에서 교체될 수 있는 유닛을 형성한다. 선회 가능한 플랩밸브(12)에 의해서 하우징(11)이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기 때문에, 장치(9)가 비작동 위치(도 4)에 있는 경우 및 플랩밸브(12)가 밀폐된 상태에서는 상기 영역에서 실제로 밀폐된 외피(3)가 형성된다.
견인 안테나(10)용 가이드부는 도면에서는 나타내지 않은 지지용 파이프(13)로 이루어지고, 이 파이프는 가이드부의 기계적 안정성을 부여한다. 지지용 파이프(13)는 유동에 유리한 프로파일링 파이프(14)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이 프로파일링 파이프는 지지용 파이프(13)가 완전히 선회된 상태에서도 유동 저항 및 흠집이 가급적 적도록 해준다. 지지용 파이프(13) 내부에는 이 파이프에 대해 동축으로 가이드용 파이프(15)가 배치되어 있으며, 파이프 내에서 자체의 견인 안테나가 이동된다. 가이드용 파이프(15)의 단부는 지지용 파이프(13)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용 파이프(15)의 단부와 지지용 파이프(13) 사이에는 도 5에서 실제로 가이드용 파이프(15)를 아래로 누르는 축방향 나선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은 가이드용 파이프(15)의 단부를 지지용 파이프(13)에 대해 조여서 외부로 압착한다. 상기 스프링은 가이드용 파이프(15)의 상기 부분이 지지용 파이프(13)의 자유 단부 쪽으로 파워에 의해 움직이도록 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견인 안테나(10)의 인출시에는 지지 작용까지도 담당한다.
지지용 파이프(13)의 노출된 단부에는 편향 롤러(16)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 롤러를 통해 견인 안테나(10)가 가이드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향 롤러(16)는 부분적으로 프로파일링 파이프(14)에 의해 추가로 덮여짐으로써 유동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링 파이프의 그림자 내에 놓이게 된다. 방향 변경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 상기 롤러(16)는 경우에 따라 가이드부, 특히 가이드용 파이프(15)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지지용 파이프(13), 프로파일링 파이프(14), 가이드용 파이프(15) 및 편향 파이프(16)로 이루어진 장치(9)의 가이드부는 하우징(11) 내부에서 특히 선회축(17)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축(17)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용 파이프(13)는 레버 아암(18)과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아암의 단부에는 중간 레버(19)가 연결되어 있고, 중간 레버는 다시 선회 레버(20)의 한쪽 단부와 관절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선회 레버의 다른쪽 단부는 유압 실린더(22)의 피스톤 로드(21)에 의해서 작동된다. 선회 레버(20)는 선회축(23)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가 유압 실린더(22) 내부에 삽입된 위치(도 4)에서는 가이드부(13, 14, 15, 16)가 잠수함(1)의 외피(3) 내부의 하우징(11) 안에 놓인다. 가이드부를 빼내기 위해서는 먼저 플랩밸브(12)가 유압식 기계장치(상세한 기술은 생략함)에 의해 작동된 다음에 유압 실린더(22)가 가압됨으로써, 피스톤 로드(21)가 빼내진다. 따라서, 선회 레버(20)는 도 4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선회되어서, 가이드부가 중간 레버(19) 및 레버 아암(18)을 통해 실제로 외피(3)에 대해 수직인 위치로 선회된다. 피스톤 로드(21)가 완전히 빼내진 상태에서는 레버 장치로 인해서, 복원 모멘트가 가이드부를 통해 선회 아암(20)에 전혀 제공될 수 없기 때문에, 피스톤 로드는 외부로 선회된 위치에 자동으로, 즉 레버 장치의 자동 잠김에 의해서 잠겨진다. 피스톤 로드(21)가 삽입됨으로써 비로소 가이드부는 재차 내부로 선회될 수 있다.
외부로 선회된 위치(도 5)에서는 하우징(11) 내부에 놓인 가이드용 파이프(15)의 단부가 약간의 간격을 두고서 그리고 하우징에 고정된 가이드용 파이프(24)에 대해 일직선상으로 배열되며, 가이드용 파이프(24)에 의해 견인 안테나(10)가 장치(9)로 이동된다. 가이드부에 대한 상태가 도 2에 예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는 고유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권상기(25)가 잠수함 선체의 상부에서 압력체(2)와 외피(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그곳으로부터 견인 안테나(10)가 편향 롤러(26)를 통해 장치(9)로 공급된다.
하우징에 고정된 가이드용 파이프(24)의 영역에는 분리 장치(27)가 제공되어 있으며, 견인 안테나(10)가 더이상 삽입될 수 없거나 혹은 삽입되어서는 안 되는 경우 또는 상기 견인 안테나로부터 시작되는 인장력이 예정된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분리 장치에 의해서 견인 안테나(10)가 절단될 수 있다.
도 2는 프로펠러(5) 내부로 들어가지 않으면서 견인 안테나(10)가 수평선(잠수함의 종축)에 대해 취할 수 있는 각도(α)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각도(α)는 또한 안테나가 빼내진 상태에서 잠수함의 조종 가능성에 대한 척도가 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잠수함의 유체 역학적 및 음향적 특성들에 현저히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전술한 단점들을 제거하고 잠수함의 거의 어떠한 장소에서도 다수의 견인 안테나를 빼낼 수 있도록 수중 보트, 특히 잠수함에서 견인 안테나 또는 견인 케이블을 빼내기 위한 장치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견인 안테나를 빼내기 위한 4개의 장치를 구비한 잠수함의 개략도,
도 2는 잠수함의 선미(stern)에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확대도,
도 3은 도 2의 화살표(III) 방향에서 바라 본 개략도,
도 4는 한면이 개방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후퇴된 비작동 위치에 있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작동 위치에 있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잠수함 2: 압력선체
3: 외피 4: 상갑판
5: 프로펠러 6: 방향키
7: 장치들 8: 견인 안테나
9: 장치 10: 견인 안테나
11: 하우징 12: 플랩밸브
13: 지지용 파이프 14: 프로파일링 파이프
15: 가이드용 파이프 16: 편향 롤러
17: 선회축 18: 레버 아암
19: 중간 레버 20: 선회 레버
21: 피스톤 로드 22: 유압 실린더
23: 선회축 24: 가이드용 파이프
25: 권상기 26: 편향 롤러
27: 분리 장치 α: 각도

Claims (14)

  1. 잠수함(1)에서 견인 안테나(8, 10) 또는 견인 케이블을 빼내기 위한 안테나 또는 케이블용 가이드부(13-16)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부(13-16)는 잠수함(1)의 외피(3) 내부에 놓이는 비작동 위치(도 4)로부터 작동 위치(도 5)로 변동될 수 있고, 작동 위치에서는 가이드부(13-16)가 잠수함(1)의 외피(3) 외부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부(13-16)가 선회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가이드부(13-16)를 내부 또는 외부로 선회시킬 수 있는 수단(18-23)이 설치되어 있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이드부(13-16)가 끼워넣는 식(telescopic)으로 형성되어 있는 장치.
  4.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임의의 작동 위치에서 가이드부(13-16)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장치.
  5.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부(13-16)의 노출된 단부에 가이드용 롤러(16)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롤러 위로 안테나(8, 10) 또는 케이블이 뻗어 이동되는 장치.
  6.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부(13-16)가 외부로 선회된 작동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자동 로킹에 의해 고정되는 방식으로 가이드부(13-16)를 내부 및 외부로 선회시키기 위해, 구동 장치(21, 22) 및 이 구동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 기계 장치(18, 19, 20)가 설치되어 있는 장치.
  7.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부(13-16)가 지지용 파이프(13)로 형성되어 있고, 이 파이프 내에는 케이블 또는 안테나(8, 10)를 수용하는 가이드용 파이프(15)가 설치되어 있는 장치.
  8.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용 파이프의 노출된 단부에 있는 가이드용 파이프(15)의 일부분은 축을 따라 제한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용 파이프(13) 내부에 지지되어 있고, 가이드용 파이프(15)의 상기 일부분과 지지용 파이프(13) 사이에는 인출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바람직하게는 나선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장치.
  9.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용 파이프(13)가 유동에 유리한 프로파일(14)로 덮혀 있는 장치.
  10.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부(13-16), 특히 가이드용 파이프(15)의 잠수함측 단부에 안테나(8, 10) 또는 케이블을 양단하기 위한 분리 장치(27)가 설치되어 있는 장치.
  11.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장치가 잠수함(1)의 외피(3) 내부에 놓인 하우징(11) 내에 설치되어 있는 장치.
  12.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랩밸브(12)가 가이드부(13-16)를 양단하기 위해 잠수함(1)의 외피(3) 내에 설치되어 있는 장치.
  13.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장형 모듈로서 형성된 장치.
  14.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또는 다수의 장치를 구비한 잠수함.
KR1020040021543A 2003-08-12 2004-03-30 잠수함에서 견인 안테나 또는 견인 케이블을 수면 아래에서 빼내기 위한 장치 KR100679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7004A DE10337004A1 (de) 2003-08-12 2003-08-12 Vorrichtung zum Ausbringen einer Schleppantenne oder eines Schleppkabels
DE?10337004.8? 2003-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965A true KR20050015965A (ko) 2005-02-21
KR100679385B1 KR100679385B1 (ko) 2007-02-05

Family

ID=3356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543A KR100679385B1 (ko) 2003-08-12 2004-03-30 잠수함에서 견인 안테나 또는 견인 케이블을 수면 아래에서 빼내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07311B1 (ko)
KR (1) KR100679385B1 (ko)
AT (1) ATE315837T1 (ko)
DE (2) DE10337004A1 (ko)
ES (1) ES2256803T3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730B1 (ko) * 2006-08-23 2007-08-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용 기계식 조음기
KR101023517B1 (ko) * 2006-08-30 2011-03-21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인출 또는 삽입하기 위한 장치
KR101160886B1 (ko) * 2007-02-03 2012-06-28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잠수함
KR101409746B1 (ko) * 2012-07-18 2014-06-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예인형 음탐센서 장치
KR20200048456A (ko) * 2018-10-30 2020-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이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7004A1 (de) * 2003-08-12 2005-03-03 Howaldtswerke - Deutsche Werft Ag Vorrichtung zum Ausbringen einer Schleppantenne oder eines Schleppkabels
DE102005045843B4 (de) * 2005-09-26 2017-04-06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Kupplungs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einer Schleppantenne
DE102006061138B3 (de) * 2006-12-22 2008-02-28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Unterseeboot
FR2917708B1 (fr) * 2007-06-19 2009-09-18 Dcn Sa Sous-marin equipe d'un dispositif de largage et de recuperation d'un engin sous-marin secondaire
DE102009032138A1 (de) * 2009-07-08 2011-01-13 Gabler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m Aus- und Einbringen eines kabelgebundenen Schleppkörpers aus einem oder in ein Unterseeboot im getauchten Zustand
CN109524756B (zh) * 2017-09-18 2020-03-24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水下自主折叠天线
CN111452910B (zh) * 2019-11-26 2021-04-13 中国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第七一0研究所 一种拖缆支撑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31486A (ko) * 1968-11-18 1971-05-12
US3961589A (en) * 1975-07-11 1976-06-08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Buoyant cable antenna reeling system
DE3316026A1 (de) * 1983-05-03 1984-11-08 Bundesrepublik Deutschland, vertreten durch den Bundesminister der Verteidigung, dieser vertreten durch den Präsidenten des Bundesamtes für Wehrtechnik und Beschaffung, 5400 Koblenz Aufnahmevorrichtung fuer schleppantennen auf u-booten
DE3841552A1 (de) * 1988-12-09 1990-06-13 Gabler Gmbh Maschbau Ausfahrbare informationsvorrichtung fuer ein u-boot
DE4127449A1 (de) * 1991-08-21 1993-02-25 Thetis Technologie Gmbh Schiff mit einer einrichtung zum ausbringen und einholen eines geschleppten geraetes
DE4140201C2 (de) * 1991-12-03 1996-04-04 Fr Luerssen Werft Gmbh & Co Vorrichtung für das Ausbringen und Einholen von Schleppkörpern
US5263431A (en) * 1992-05-26 1993-11-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ombination winch and stowage reel assembly for arrays towed by submarines
DE19652737C1 (de) * 1996-12-18 1997-12-11 Stn Atlas Elektronik Gmbh Ausbringvorrichtung für Schleppantennen
DE19719306C2 (de) * 1997-05-07 2000-05-18 Stn Atlas Elektronik Gmbh Schleppkörper
US6392606B1 (en) * 2000-12-14 2002-05-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ntenna extension system
DE10337004A1 (de) * 2003-08-12 2005-03-03 Howaldtswerke - Deutsche Werft Ag Vorrichtung zum Ausbringen einer Schleppantenne oder eines Schleppkabel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730B1 (ko) * 2006-08-23 2007-08-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용 기계식 조음기
KR101023517B1 (ko) * 2006-08-30 2011-03-21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인출 또는 삽입하기 위한 장치
KR101160886B1 (ko) * 2007-02-03 2012-06-28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잠수함
KR101409746B1 (ko) * 2012-07-18 2014-06-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예인형 음탐센서 장치
KR20200048456A (ko) * 2018-10-30 2020-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이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07311B1 (de) 2006-01-11
KR100679385B1 (ko) 2007-02-05
EP1507311A1 (de) 2005-02-16
ES2256803T3 (es) 2006-07-16
ATE315837T1 (de) 2006-02-15
DE502004000236D1 (de) 2006-04-06
DE10337004A1 (de)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385B1 (ko) 잠수함에서 견인 안테나 또는 견인 케이블을 수면 아래에서 빼내기 위한 장치
US7859128B2 (en) Deployment apparatus for submerged power plant
JPS584684A (ja) 停泊設備
US7000561B2 (en) Mast device for a submarine
US5013186A (en) Cable ship
KR101160886B1 (ko) 잠수함
EP2310257B1 (en) Apparatus for coupling a pushboat to a barge
RU241504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корпуса судна
KR100977856B1 (ko)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구비한 잠수함
ES2438592T3 (es) Ensamblaje de carga de buque cisterna
CN211844817U (zh) 一种船尾潜水器拖带及辅助回收装置
US11021217B2 (en) Marine vessel with moving control unit
US4278041A (en) Anchor handling guides
EP2019034B1 (en) Sluice device for an ROV
KR101702515B1 (ko)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US4341174A (en) Bow dock
JP3993410B2 (ja) 船舶における機器吊下揚収装置
AU2014330812A1 (en) Mast system and method
RU21867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постановки и приема буя с плавучим проводом на подводном техническом средстве
KR20110003079U (ko) 견인용 선박의 제작
RU2021945C1 (ru) Судно с переменной остойчивостью
CN115056915A (zh) 一种具有五连杆快速释放机构的大缆系泊装置
KR101444148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JPS6337759B2 (ko)
ITUA201689759U1 (it) Dispositivi e mezzi per l'alloggiamento, il funzionamento e la movimentazione di una elica di manovra per imbarcazioni, retrattile all'interno di un carter strutturale ed orientabile in maniera azimuta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