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517B1 -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인출 또는 삽입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인출 또는 삽입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517B1
KR101023517B1 KR1020070086499A KR20070086499A KR101023517B1 KR 101023517 B1 KR101023517 B1 KR 101023517B1 KR 1020070086499 A KR1020070086499 A KR 1020070086499A KR 20070086499 A KR20070086499 A KR 20070086499A KR 101023517 B1 KR101023517 B1 KR 101023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loat
submarine
buoy
fol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0513A (ko
Inventor
마르텐 찰센
Original Assignee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6040669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6040669A1/de
Application filed by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2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38Arrangement of visual or electronic watch equipment, e.g. of periscopes, of rad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63B22/06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with means to cause the buoy to surface in response to a transmitted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1/66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owing underwater objects or vessels, e.g. fairings for tow-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 밑에 있는 잠수함(1)으로부터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2)를 인출하고, 고정하며, 삽입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통신용 부표(2)와 잠수함(1) 사이에는 케이블(4)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은 통신용 부표(2)와 잠수함(1) 사이에 기계적인 및 데이터에 적합한 접속을 형성한다. 케이블(4)의 부표 측 단부까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플로우트(5)가 케이블(4) 상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플로우트는 통신용 부표(2)에 케이블(4)의 수직 파워가 전혀 작용하지 않도록 보증해준다.
잠수함, 통신용 부표, 인출, 고정, 삽입, 케이블, 플로우트

Description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인출 또는 삽입하기 위한 장치 {DEVICE FOR LEADING OUT OR INSERTING A CABLE-GUIDED COMMUNICATION-BUOY}
본 발명은 청구항1의 전제부에 기술된 특징들에 따른, 바다 밑에 있는 잠수함으로부터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인출하고, 고정하며 그리고/또는 삽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군사용으로 이용되는 잠수함에서는, 소위 통신용 부표를 물에 잠긴 상태로부터 해수면으로 떠오르게 함으로써, 부표의 설치 상태에 따라 물에 잠긴 상태로부터 무선 통신, 위성 운항, 시각적 정찰 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선행 기술에 속한다. 상기와 같은 통신용 부표 그리고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인출하고, 고정하며, 삽입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도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제 DE 101 15 194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간행물에서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부표와 잠수함 간의 기계적인 연결을 위해서도 제공된 케이블을 통해 잠수함에 연결된 부유 가능한 부표에 여러 가지 안테나, 센서 및 통신 수단들이 통합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장치 는 잠수함 측에 권양기(winch)를 구비하는데, 상기 권양기를 통하여 케이블이 감겨져서 부표가 잠수함 선체 안에 있는 상응하는 깔때기 모양의 수용부 내부로 이동하게 되며, 그 다음에 상기 수용부는 덮개에 의하여 폐쇄된다.
상기 공지된 장치에서의 단점은, 부표가 매우 상이한 파워에 노출됨으로써, 부표가 표면에 떠있는 경우에는 상기 부표가 간헐적으로 물속에 잠겨서 통신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점적인 상황의 원인은, 연장 길이에 따라 심하게 변동되는 케이블의 하강 추진력 그리고 마찬가지로 심하게 변동되고 케이블에 작용하는 유체동역학적 파워의 수직 성분들이다. 잠수함이 속력을 내기 시작하면, 상기와 같은 파워들은 통상적으로 확연하게 증가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배경으로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통신용 부표가 상기 부표에 작용하는 파워들과 전반적으로 무관하게, 바다 위에서의 자신의 부유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종래의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부표를 바다 위에 고정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가능하다면 부표를 인출하기 위해서 또는 추후에 다시 삽입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1에 기술된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 아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기술된다.
바다 밑에 있는 잠수함으로부터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인출하고, 고정하며 그리고/또는 삽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바람직하게 유효 길이가 변동될 수 있는 케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은 잠수함과 통신용 부표 사이에 기계적인 연결을 위하여 제공되었고, 통상적으로는 데이터 접속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의 부표 측 단부까지 간격을 두고 플로우트가 케이블에 제공되어 있다. 플로우트는 바람직하게 상기 플로우트가 케이블로부터 유래하는 전체 수직 파워 - 하강 추진력이든지 혹은 유체동역학적 파워든지 상관없이 - 를 흡수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그 결과 통신용 부표는 상기와 같은 파워와 무관하게 부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규정에 따른 자신의 통신 과제를 장애 없이 완벽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기본 사상은, 추가의 플로우트를 케이블 상에서 부표와 잠수함 사이의 부표 가까운 영역에 제공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케이블의 수직 파워를 흡수하기 위한 부력 기능과 다른 한편으로는 통신용 부표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부력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상에 의하여 통신용 부표는 케이블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반적으로 케이블의 하강 추진력 및 유체동역학적 파워의 수직 파워 성분들과 무관하게 플로우트 뒤로 부유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통신용 부표는 단지 자신의 통신 기능만을 선행 기술에 비하여 더 우수하게 충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구조적으로 훨씬 더 우수하게 자신의 과제에 적응될 수 있고, 또한 더 작고 더 가볍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와 달리 플로우트는 전적으로 전술한 파워들을 수용할 목적으로만 설계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기본적으로 다른 무엇보다도 바다 밑에 있는 잠수함으로부터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고정할 목적으로 규정되고 제공되었다. 하지만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상기 장치는 잠수함으로부터 통신용 부표를 인출하기 위해서도 제공되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후에 다시 삽입할 목적으로도 제공되었으나, 용도에 따라서는 강제 조항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의미에 따른 통신용 부표에는 부유 가능한 모든 센서, 부유 가능한 모든 안테나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제 DE 101 15 194 A1호에 공지된 바와 같은 부유 가능한 복잡한 통신 플랫폼도 포함되는데, 다시 말해서 통신용 부표는 바다 위에 있는 무언가를 검출하고 예를 들어 케이블을 통한 데이터 접속에 의하여 잠수함으로 중계 기능하는 부유 가능한 바디이다.
플로우트와 부표 간의 간격이 통과된 바다에서 연이어 발생하는 파도의 간격과 대략 일치하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간격에서는, 부표가 대체로 바닷물의 상태에 순응할 수 있게 되며, 부표는 이 부표가 용도에 적합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면에 머무르게 된다. 상기 간격을 장치 내부에서 변동시킬 수는 있으나, 상기 간격이 잠수함에 의해서 주로 통과되는 바닷물의 평균 파도 간격에 순응하는 편이 더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플로우트는 본 발명에 따라, 정적 성분 및 동적 성분으로 구성된 상기 플로우트의 부력이 하강 추진력 및 케이블의 아래로 향하는 유체동역학적 파워를 흡수하기에 충분하도록 설계되었다. 다시 말해서 플로우트는 바람직하게, 케 이블이 최대로 연장된 경우 그리고 유체동역학적 파워가 최대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상기 플로우트가 바다 위에 또는 수면 바로 밑에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부력을 갖도록, 즉 플로우트의 부력이 케이블의 하강 추진력 및 유체동역학적 부하의 예상되는 최대 수직 파워보다 더 크도록 설계되었다.
현재의 해면 상태에 가급적 최적으로 적응하기 위하여, 즉 파도 간격 및 파도 높이에 최적으로 적응하기 위하여 케이블에서 플로우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는 있으나, 사전에 결정된 플로우트와 통신용 부표 간 간격을 유지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도 많다. 그 경우 케이블에서는, 플로우트가 설치 방식에 따라 위치 설정되어야 하는 장소에 종동부를 제공하는 것 그리고 인출시에는 플로우트를 상기 종동부에 고정하고 삽입시에는 플로우트를 상기 종동부로부터 해체하는 추가의 커플링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성의 장점은, 보트 내부에서 플로우트와 부표가 직접 이웃하게 됨으로써 상기 플로우트와 부표가 공간 절약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플로우트의 인출시에는 상기 플로우트가 예정된 장소에서, 즉 종동부가 케이블 상에 제공되는 장소에서 커플링부재에 의하여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고정되고, 그 반대로 삽입시에는 상기 플로우트가 바람직하게 자동으로 종동부로부터 해체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 플로우트는 바람직하게, 상기 플로우트가 케이블에 의해서 관통되도록, 즉 상기 케이블 상에 계속해서 형상결합방식으로 지지되도록 형성되었지만, 케이블 상에서의 상기 플로우트의 세로 방향 위치는 커플링부재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형상결합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잠수함 측에는 부표 및 플로우트의 삽입 및 인출을 목적으로 제 공된 툴캐리어(tool carrier)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툴캐리어는 부표 및 플로우트의 삽입 및 인출을 위해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상기 부표 및 플로우트를 단지 저장만 하는 경우에는 잠수함 측에서도 상기 부표 및 플로우트를 지지한다.
부표 및 플로우트의 인출시 상기 플로우트가 케이블의 지정 장소에, 즉 종동부가 존재하는 장소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연장시 자동으로 플로우트를 종동부에 형상결합방식으로 고정하도록 형성된, 즉 종동부가 플로우트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체결되도록 형성된 커플링을 플로우트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반대로 부표 및 플로우트의 삽입시에는 - 이와 같은 삽입 동작은 케이블이 잠수함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규칙적으로 이루어진다 - 늦어도 플로우트가 상기 툴캐리어에 도달할 때에는 상기 플로우트가 종동부로부터 커플링 해제됨으로써, 부표도 역시 툴캐리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플로우트가 케이블을 관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 툴캐리어 측에는 해체용 수단이 제공되는데, 상기 해체용 수단은 플로우트가 툴캐리어 내부로 삽입될 때에 상기 해체용 수단이 커플링을 자동으로 개방하여 그곳에서 케이블 상에 배치된 종동부를 릴리스하도록 형성 및 배치되어 있다.
캐이블 상에 고정된 종동부는 바람직하게, 상기 종동부가 케이블 양쪽 단부 쪽으로 가면서 점차 축소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원뿔 형태로 축소되도록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영역에 주변을 둘러싸는 홈을 갖도록 형성되었으며, 상기 홈은 형상 결합 수단을 연결하기 위하여 커플링 측에 제공되어 있다. 종동부가 축소되도록 형성한 경우의 장점은, 상기 종동부가 임의의 가이드부 내부에서 자동으로 중앙에 배 치될 수 있도록 삽입된다는 것 그리고 스프링 초기 응력을 받은 레버 또는 그와 유사한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또는 커플링 혹은 커플링 해제하기 위하여 경사면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부표 및 플로우트가 상호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부표 및 플로우트의 삽입 및 인출은 바람직하게 잠수함 선체까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루어진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 쿨 캐리어는 부표 및 플로우트를 수용하기 위한 선회 가능한 캐치암(catch arm)으로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캐치암이 부표 및 플로우트와 함께 잠수함 표면 내부에 있는 위치로 선회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캐치암은 부표 및 플로우트를 수용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상기 부표 및 플로우트를 선체 내부로 삽입하기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케이블은 바람직하게 세로 방향으로 상기 캐치암을 통과하여 잠수함 측의, 바람직하게는 외부 선체 내부에 있는 권양기를 통해서 감기고 풀릴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능 원리가 도시되어 있다. 잠수함(1)은 바다 속에 잠긴 상태로부터 통신용 부표(2)를 수면(3)으로 인출시켰다. 통신용 부표(2)는 캐이블(4)에 의해서 잠수함(1)과 기계적으로뿐만 아니라 데이터 접속 방식으로도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4) 상에는 통신용 부표(2)까지 간격을 두고 플로우트(5)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로우트는 통신용 부표(2)가 케이블(4)에 의해서 야기되는 수직 파워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며, 상기 파워는 플로우트(5)에 의해서 흡수된다. 따라서 통신용 부표(2)는 플로우트(5)에 대하여 간격을 부유한다. 플로우트(5)가 부하 상승으로 인하여 수면(3) 아래로 잠김으로써 상기 플로우트 부력의 동적인 성분을 형성할 수 있다면, 이와 같은 상황은 통신용 부표(2)에 눈에 띌만한 영향을 전혀 미치지 않게 된다. 통신용 부표(2)와 플로우트(5) 간의 간격은, 상기 간격이 말하자면 잠수함이 지나간 바다에서 연속으로 발생하는 파도의 간격, 즉 연속으로 발생하는 물마루 또는 연속으로 발생하는 물고랑의 간격에 상응하도록 선택되었다. 상기 간격은 플로우트(5)와 통신용 부표(2) 간의 케이블 길이에 의해서 결정된다.
케이블(4), 플로우트(5) 및 통신용 부표(2)가 잠수함(1)과 개별적으로 연결된 방식은 도 2를 참조하여 도시되어 있다.
잠수함 측에는 캐치암(6)이 축(7)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캐치암(6)의 선회 동작은 리프팅 실린더(8)에 의해서 제어된다. 캐치암(6)의 자유 단부에는 툴캐리어(9)의 형태로 된 수용부가 있으며, 상기 툴캐리어는 플로우트(5) 및 통신용 부표(2)를 수용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잠수함 측에 배치된 권양기(10)를 통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케이블(4)이 상기 캐치암(6)을 통과한다. 상기 캐치암(6)은 인출, 고정 및 삽입을 목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완전히 선회된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위치에서는 툴캐리어(9)가 잠수함(1)의 외피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케이블이 감겨 있고, 플로우트(5) 뿐만 아니라 통신용 부표(2)도 툴캐리어(9)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캐치암(6)이 삽입된다. 캐치암(6)이 상기 캐치암에 설치된 통신용 부표(2) 및 플로우트(5)와 함께 잠수함 표면에 있는 개구를 통해 삽입된 후에는, 폐쇄 작용하는 플랩(flap)이 움직임으로 써, 전술한 구성 부품들은 잠수함 표피 내부에 보호되고, 상기 구성 부품들은 폐쇄된 구조를 갖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고정 위치에서는 케이블(4)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권양기(10)로부터 풀려 있으며, 케이블(4)의 단부에는 통신용 부표(2)가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4)를 통해 잠수함(1)과 데이터 접속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케이블(4) 대신에 통신용 부표(2)를 위한 전력 공급 장치도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전력 공급 장치는 바람직하게 하나 또는 다수의 도파관을 통해 데이터 접속을 구현한다.
플로우트(5)는 케이블(4)에 의해서 관통되며, 이와 같은 상황은 도 2에 확대 도시된 세부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다. 플로우트(5)는 또한 커플링(11)을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은 플로우트(5)를 종동부(12)에 형상결합방식으로 고정하며, 상기 종동부는 케이블(4) 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커플링(11)은, 케이블의 인출시 상기 종동부(12)가 커플링(11)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커플링이 자동으로 체결됨으로써 플로우트(5)를 케이블(4) 상의 예정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었다.
케이블(4), 플로우트(5) 및 통신용 부표(2)를 삽입하기 위하여,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암(6)이 완전히 선회된 상태에서 상기 캐치암(6)을 통과하는 케이블(4)은 권양기(10)에 의해서 감기게 되며, 그에 의해서는 제일 먼저 플로우트(5)가 그리고 그 다음에는 통신용 부표(2)가 바다 밑으로 잠기게 된다. 도 3에는 플로우트(5)가 툴캐리어(9)에 도달할 정도까지 케이블(4)이 감기기 직전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 상에서 종동부(12)의 영역에 고정된 플로우트(5)가 툴캐리어(9)에 도달하자마자, 상기 툴캐리어(9)에 의하여 커플링(11)이 자동으로 풀어짐으로써, 그 다음에는 종동부(12)가 상기 툴캐리어를 통과하여 권양기(10)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반면, 플로우트(5)는 툴캐리어 내부에 고정된다.
캐이블(4)이 권양기(10)에 의해서 더 감겨지면, 결과적으로 통신용 부표(2)는 이미 플로우트(5)가 배치되어 있는 툴캐리어(9)에 도달하게 된다. 플로우트(5) 및 통신용 부표(2)는, 이 부재들이 자신의 설치된 툴캐리어(9) 상의 위치에서 형상결합방식으로 상호 결합하여 툴캐리어(9) 상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었으며, 이와 같은 상황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위치에서는 캐치암(6)이 리프팅 실린더(8)에 의하여 안으로 선회되고, 그 다음에 상기 리프팅 실린더 위에서 잠수함 표면에 있는 리세스가 폐쇄된다.
상기와 같은 형성은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캐치암(6)의 선회 후에는 권양기(10)가 풀림 방향으로 조절되고, 그 다음에 부력에 의해서 제일 먼저 통신용 부표(2)가 툴캐리어(9)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플로우트(5)는 여전히 툴캐리어(9)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케이블(4)은 종동부(12)가 플로우트(5)의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 플로우트(5)를 통해 미끄러짐으로써, 커플링(11)은 자동으로 종동부(12)에 결합되고, 그 다음에는 플로우트(5)도 또한 툴캐리어(9)로부터 인출된다.
커플링(11)의 기능은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커플링(11)은 중앙 지지용 바디(13)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용 바디는 고유의 플로우트(5)와 고정 결합되어 있고, 케이블(4)을 관통시키기 위한 중앙 리세스(14)를 구 비하며, 세 개의 선회 레버(15) 상에서 케이블 축(4)에 대하여 120°만큼 변위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선회 레버(15)는 케이블 축에 대하여 대략 접선 방향으로 배치된 선회 축(16)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고, 방사 방향 내부로 향하는 록킹용 돌출부(17) 그리고 그 위로 연장되는 제어부(18)를 포함한다. 상기 선회 레버(15)가 한편으로는 레버(15)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용 바디(13)에 고정된 스프링(19)에 의해서 초기 응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록킹용 돌출부(17)는 스프링(19)의 파워에 의하여 자신의 록킹 위치, 즉 케이블 축에 대하여 선회하는 위치로 파워의 영향을 받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위치에 고정된다.
종동부(12)는 케이블(4)의 부표 측 단부 쪽으로 가면서 감소하는 원뿔(20) - 상기 원뿔은 케이블(4)에 고정 결합되어 있음 -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명확하게 더 큰 원뿔(21)을 갖는다. 상기 두 개의 원뿔(20, 21) 사이에는 주변을 둘러싸는 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크기가 작은 원뿔(20)은 커플링(11)을 개방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상기 원뿔(20)의 원뿔면은 커플링(11) 내부로 삽입될 때에, 상기 홈(22)이 록킹용 돌출부(17)의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 그리고 상기 홈이 스프링(19) 파워에 의하여 홈(22) 내부로 선회되어 커플링(11)이 폐쇄되고 플로우트(5)가 종동부(12)에 형상결합방식으로 고정될 때까지, 상기 록킹용 돌출부(17)의 내부 단부를 외부로 밀어준다.
상기 크기가 큰 원뿔(21)은 실제로 관 형태의 툴캐리어(9) 내부에 삽입될 때에 케이블(4)을 중앙에 배치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 경우에는 관 단부가 내부로 부터 외부로 가면서 비스듬하게 형성됨으로써, 종동부(12)의 삽입시에는 커플링(11)의 제어부(18)가 외부로 선회되며, 그에 따라 선회 레버(15)의 록킹용 돌출부(17)는 홈(22)과 결합 해제되고, 종동부(12)는 케이블(4)과 함께 툴캐리어(9) 내부로 더욱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플로우트(5)는 툴캐리어(9) 내부에 자동으로 고정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용 바디(13)에는 마찬가지로 케이블 축을 중심으로 120°만큼 변위 배치된 길게 늘어진 핀(23)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핀들은 단지 좁게 제한적으로만 선회될 수 있고, 각각 상응하게 형성된 툴캐리어(9) 내부의 리세스(24)에 수용할 목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상기 리세스(24)의 측면에는 편심으로 지지된 두 개의 롤러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들은 스프링 부하를 받고, 리세스 내부로 삽입된 핀에 의해서 상호 프레스 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서 형성되는 핀과 편심기 사이의 마찰 그리고 그와 더불어 바람직하게 선택된 상기 편심기의 회전점의 위치에 의하여, 핀이 리세스로부터 원치 않게 인출될 위험이 방지된다. 리세스(24) 내부에 삽입된 핀들이 강제 결합 방식으로 고정됨으로써, 플로우트(5)는 툴캐리어(9)에 고정 결합된다. 플로우트(5)의 인출시에 이루어져야만 하는 상기와 같은 결합을 풀기 위하여, 편심기 롤러(25)를 개방하는, 에너지에 의해서 작동되는 조절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개방 시점은 적합한 센서 또는 메커니즘에 의해서 모니터링 된다.
도 1은 통신용 부표가 인출된 상태에서 바다 속에 잠긴 잠수함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플로우트를 구비한 통신용 부표를 인출, 고정 및 삽입하기 위한 잠수함 측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3, 4 및 도 5는 플로우트 및 통신용 부표의 삽입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6은 종동부가 커플링 결합된 플로우트 측 커플링의 종단면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커플링의 횡단면이고,
도 8은 도 6의 커플링을 커플링 해제한 상태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9는 툴캐리어 내에 있는 커플링의 한 부분의 기계적인 고정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잠수함 2: 통신용 부표
3: 수면 4: 케이블
5: 플로우트 6: 캐치암
7: 캐치암의 축 8: 리프팅 실린더
9: 툴캐리어 10: 권양기
11: 커플링 12: 종동부
13: 지지용 바디 14: 지지용 바디 내에 있는 리세스
15: 선회 레버 16: 선회 축
17: 록킹용 돌출부 18: 제어부
19: 스프링 20: 크기가 작은 원뿔
21: 크기가 큰 원뿔 22: 홈
23: 핀 24: 리세스
25: 편심기 롤러

Claims (11)

  1. 적어도 잠수함(1)과 통신용 부표(2) 간의 기계적인 결합을 목적으로 제공된 케이블(4), 및 케이블(4)의 부표 측 단부까지 간격을 두고 케이블(4)에 제공된 플로우트(5)를 구비한, 바다 밑에 있는 잠수함(1)으로부터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2)를 인출 또는 삽입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4) 상에서 플로우트(5)가 잠수함으로부터 인출 후에 위치 설정되어야 하는 장소에는 종동부(12)가 제공되고,
    케이블(4)을 잠수함으로부터 인출하는 경우에는 플로우트(5)를 상기 종동부(12)에 고정하고, 케이블(4)을 잠수함으로 삽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종동부(12)로부터 해체하는 커플링부재(11)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우트(5)는 부표(2)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있으며, 상기 간격은 잠수함이 항해한 바다에서 연속으로 발생하는 파도의 간격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트(5)는, 케이블(4)의 하강 추진력 및 아래로 향하는 유체 동역학적 파워를 흡수할 수 있을 정도의 부력을 갖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트(5)가 케이블(4) 상에 형상결합방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잠수함으로부터 인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플로우트(5)를 상기 종동부(12)에 형상결합방식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잠수함 측에 툴캐리어(9)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툴캐리어는 부표(2) 및 상기 플로우트(5)의 삽입 및 인출을 위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트(5) 상에는 케이블(4)을 잠수함에서 인출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플로우트(5)를 종동부(12)에 형상결합방식으로 고정하는 커플링(11)이 제공되며,
    케이블(4)을 잠수함으로 삽입하는 경우 상기 커플링(11)을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하여 해체 수단이 툴캐리어 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12)는 양 측면이 케이블(4) 쪽으로 가면서 점차 축소되도록 형성되었고, 그 사이에 주변을 둘러싸는 홈(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툴캐리어(9)는 부표(2) 및 플로우트(5)를 수용하기 위한 선회 가능한 캐치암(6)으로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캐치암은 부표 및 플로우트(5)와 함께 잠수함 표면 내부에 있는 위치로 선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암(6) 내부를 케이블(4)이 관통하고, 상기 케이블은 잠수함 측 권양기(10)에 의해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12)는 양 측면이 케이블(4) 쪽으로 가면서 원뿔 형태로 축소되도록 형성되었고, 그 사이에 주변을 둘러싸는 홈(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70086499A 2006-08-30 2007-08-28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인출 또는 삽입하기 위한 장치 KR101023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40669A DE102006040669A1 (de) 2006-08-21 2006-08-30 Einrichtung zum Ausbringen, Halten und/oder Einbringen einer kabelgeführten Kommunikationsboje
DE102006040669.9 2006-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513A KR20080020513A (ko) 2008-03-05
KR101023517B1 true KR101023517B1 (ko) 2011-03-21

Family

ID=3877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499A KR101023517B1 (ko) 2006-08-30 2007-08-28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인출 또는 삽입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897800B1 (ko)
KR (1) KR101023517B1 (ko)
AT (1) ATE430689T1 (ko)
DE (1) DE502007000690D1 (ko)
ES (1) ES232381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8980B1 (fr) * 2008-11-24 2010-12-31 Mecabolier Antenne filaire active pour sous-marin en plongee
DE102009032138A1 (de) * 2009-07-08 2011-01-13 Gabler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m Aus- und Einbringen eines kabelgebundenen Schleppkörpers aus einem oder in ein Unterseeboot im getauchten Zustand
DE102010010601B4 (de) * 2010-03-08 2012-03-15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Bojenschleppantenne
FR3016338A1 (fr) * 2014-01-14 2015-07-17 Bmti Dispositif de deploiement d'un long cable de communication pour bouee larguee depuis un sas de sous-marin
CN109515649A (zh) * 2018-09-29 2019-03-26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广州局 一种适用于非动力定位母船的浮标拖曳式水下机器人系统
CN114407592B (zh) * 2022-01-06 2023-10-17 北京理工大学 一种能够实时通信的水陆两栖无人巡逻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2046A (en) 1975-08-25 1976-07-27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Antenna arrangement for a submerged submarine
KR20050015965A (ko) * 2003-08-12 2005-02-21 호발트스벨케-도이췌벨프트아게 잠수함에서 안테나 또는 케이블을 빼내기 위한 장치
US20050279272A1 (en) * 2001-06-22 2005-12-22 Gabler Maschinenbau Gmbh Mast device for a submar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5194B4 (de) 2001-03-27 2005-10-13 Nordseewerke Gmbh Boje sowie Unterseeboot mit Handhabungseinricht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2046A (en) 1975-08-25 1976-07-27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Antenna arrangement for a submerged submarine
US20050279272A1 (en) * 2001-06-22 2005-12-22 Gabler Maschinenbau Gmbh Mast device for a submarine
KR20050015965A (ko) * 2003-08-12 2005-02-21 호발트스벨케-도이췌벨프트아게 잠수함에서 안테나 또는 케이블을 빼내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07000690D1 (de) 2009-06-18
ATE430689T1 (de) 2009-05-15
EP1897800B1 (de) 2009-05-06
EP1897800A1 (de) 2008-03-12
KR20080020513A (ko) 2008-03-05
ES2323814T3 (es) 200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517B1 (ko)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인출 또는 삽입하기 위한 장치
CA2627770C (en) Deployment apparatus for submerged power plant
CA2658975C (en) Apparatus for recovering a surface marine vehicle or an underwater vehicle
AU2011288666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a tidal power plant
CA28389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a submarine vehicle
KR100996278B1 (ko) 무인 잠수함을 수용하는 장치를 구비한 잠수함
US5517202A (en) Minimal washover, inline high frequency buoyant antenna
AU2013304333B2 (en) Device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a towed sonar
GB2491003A (en) A compound buoy system comprising two buoys linked by a variable length tether
KR100977856B1 (ko)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구비한 잠수함
US3972046A (en) Antenna arrangement for a submerged submarine
EP2468620A1 (fr) Dispositif de mise à l'eau et de récupération d'un engin marin, et procédé de mise à l'eau et de récupération associé
EP22811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ploying and retrieving a wave energy converter
WO2016014947A2 (en) Method for deploying and recovering a wave energy converter
KR101561163B1 (ko) 잠수정의 도킹 스테이션 장치
US4048686A (en) Buoyancy device and method
KR101160886B1 (ko) 잠수함
US20220234693A1 (en) Underwater device and underwater system
KR20230129380A (ko) 해양 계류 및 전기 연결 장치 및 방법
AU2008201744A1 (en) Lifting device suitable for submersibles
KR20160084243A (ko) 잠수식 계류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잠수식 계류시스템
KR20070034930A (ko) 커플링장치
US5419512A (en) Towed fiber optic data link payout system
US20120042818A1 (en) Device for salvaging a marine or submarine engine
US20220234692A1 (en) Sonar device and sona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