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4680A -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4680A
KR20050014680A KR1020040058530A KR20040058530A KR20050014680A KR 20050014680 A KR20050014680 A KR 20050014680A KR 1020040058530 A KR1020040058530 A KR 1020040058530A KR 20040058530 A KR20040058530 A KR 20040058530A KR 20050014680 A KR20050014680 A KR 20050014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rotrusion
connector
wir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1392B1 (ko
Inventor
구도다까아끼
마찌하라다이스께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4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7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automatically by insertion of rigid printed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커넥터는, 배선부, 배선부의 일측에서 돌출한 제 1 돌출부, 및 배선부에서부터 제 1 돌출부까지 연장하는 배선 패턴을 구비하는 접속 대상물을 접속시키는데 사용된다. 커넥터에서, 하우징은, 상기 배선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면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 1 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측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가지고 있다. 컨택트는 돌출부의 배선 패턴에 접속되도록 측부에 의해 유지된다.

Description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CONNECTOR SMALL IN SIZE AND SIMPLE IN STRUCTURE}
본 출원은 본원에 참조된 일본출원 제 2003-282370 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가요성 기판 (flexible board) 등의 접속 대상물을 접속시키는데 사용되는 커넥터 (connector) 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H7-153531 호에서는 접속 대상물로서 평판 케이블 (flat cable) 을 접속하는 커넥터를 개시하였다.
전술한 공보에 개시된 커넥터는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커넥터 (41) 에는 U 형의 하우징이 있다. 이 하우징 (42) 의 양선단측에 한쌍의 테일 플레이트 (tail plates) (43) 가 장착된다. 하우징 (42) 의 바닥부 (42c) 에는 다수의 컨택트 수용홈 (42c1) 이 형성된다. 이 컨택트 수용홈 (42c1) 각각에 다수의 컨택트 (46) 가 수용되어 유지된다. 각 컨택트 (46) 의 선단부에는, 평판 케이블 (51) 의 다수의 접촉 패턴 (54) 과 접촉하는 접촉부 (46a) 가 있고, 각 컨택트 (46) 의 후단부에는 결합부 (46b) 가 있다. 결합부 (46b) 는 하우징(42) 의 기부 (42a) 에 형성된 관통구 (42a1) 에 삽입된다.
커넥터 (41) 에는, 하우징 (42) 의 기부 (42a) 와 테일 플레이트 (43) 사이에, 하우징 (42) 의 바닥부 (42c) 와 좌우측부 (42b) 에 의해 오목부 (44) 가 형성된다.
평판 케이블 (51) 의 일단부에는 사각형의 접속 기부 (52) 가 있다. 접속 기부 (52) 의 후단부는 이 접속 기부 (52) 보다 폭이 좁은 연장부 (53) 에 접속된다. 접속 기부 (52) 의 상면에는 접촉 패턴 (54) 이 형성된다. 연장부 (53) 의 상면에는 다수의 배선 패턴 (55) 이 형성된다. 접촉 패턴 (54) 은 배선 패턴 (55) 에 각각 접속된다. 접속 기부 (52) 의 하면에는 보강판 (56) 이 고정 부착된다.
평판 케이블 (51) 과 커넥터 (41) 는 다음과 같이 서로 접속된다. 평판 케이블 (51) 은 도 1 에 도시된 위치에서 뒤집어진다. 접속 기부 (52) 는 커넥터 (41) 의 오목부 (44) 에 삽입된다. 그 후, 접촉 패턴 (54) 은 컨택트 (46) 의 접촉부 (46a) 와 접촉한다.
전술한 커넥터 (41) 에서, 하우징 (42) 은 기부 (42a) 및 좌우측부 (42b) 를 가진다. 따라서, 커넥터 (41) 는 구조가 복잡해지고 전체 크기가 커지지 않을 수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세한 설명부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 은 분리된 상태에서 접속 대상물과 종래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분리된 상태에서 접속 대상물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커넥터의 단면도,
도 4 는 접속 대상물이 접속되었을 때 도 2 와 도 3 에 도시된 커넥터의 사시도,
도 5 는 접속 대상물이 접속된 도 4 에 도시된 커넥터의 단면도,
도 6 은 분리된 상태에서 접속 대상물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은 접속 대상물이 접속되었을 때 도 6 에 도시된 커넥터의 사시도, 및
도 8 은 접속 대상물이 접속되었을 때 도 6 에 도시된 커넥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0 : 커넥터 11 : 기판
12 : 접속 부재 12a, 12b : 돌출부
14 : 배선부 20 : 하우징
21 : 본체부 22a, 22b : 측부
30 : 컨택트 31 ; 기부
32 : 만곡부 33, 34 : 빔부
35, 36 : 접촉부 37 : 납땜부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라서, 배선부, 배선부의 일측에서 돌출한 제 1 돌출부, 및 배선부에서부터 제 1 돌출부까지 연장하는 배선 패턴을 구비하는 접속 대상물을 접속시키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 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제 1 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선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면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 1 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측부는 상기 제 1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수용홈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 1 컨택트는 제 1 돌출부의 배선 패턴에 접속되도록 제 1 측부에 의해 유지된다.
도 2 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할 것이다.
도 2 와 도 3 에 도시된 커넥터 (10) 는 접속 대상물인 가요성 기판 (11) 을 접속하는데 사용된다. 가요성 기판 (11) 은, 일반적으로 T 형의 평판으로 된 접속 부재 (12), 접속 부재 (12) 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선 패턴 (13a, 13b), 접속 부재 (12) 에 접속된 배선부 (14), 및 배선부 (14) 의 하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선 패턴 (14a, 14b) 을 포함한다. 접속 부재 (12) 의 배선 패턴 (13a, 13b) 은 배선부 (14) 의 배선 패턴 (14a, 14b) 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부재 (12) 의 일단부의 양쪽에는 평면형상의 제 1 돌출부 (12a) 와 제 2 돌출부 (12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요성 기판 (11) 에서, 접속 부재 (12) 와 배선부 (14) 를 결합해서 배선부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 (11) 은, 배선부 (12, 14) 및 이 배선부의 단부에 제 1 방향 (A1) 으로 접속된 제 1 돌출부 (12a) 와 제 2 돌출부 (12b) 를 결합한 것을 말한다. 배선 패턴 (13a, 13b, 14a, 및 14b) 은 배선부에서 제 1 돌출부 (12a) 와 제 2 돌출부 (12b) 까지 각각 연장한다.
커넥터 (10) 는 절연 플라스틱 재료의 하우징 (20) 을 포함한다. 하우징 (20) 은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중심부, 즉 본체부 (21) 와, 본체부 (21) 의 좌우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 1 측부 (22a) 와 제 2 측부 (22b) 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 (20) 에는, 제 1 측부 (22a) 와 제 2 측부 (22b) 사이에 홈 또는 오목부 (23) 가 형성되어 접속 부재 (12) 를 수용한다.
본체부 (21) 는 평면인 상면, 즉 수용면 (21a) 을 가지고 있다. 제 1 측부 (22a) 와 제 2 측부 (22b) 에는, 접속 부재 (12) 의 제 1 돌출부 (12a) 와 제 2 돌출부 (12b) 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제 1 수용홈 (24a) 과 제 2 수용홈 (24b)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수용홈 (24a) 은, 수용면 (21a) 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놓인 기준면 (25), 이 기준면 (25) 의 맞은편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대향면 (26), 및 제 1 돌출부 (12a) 가 제 1 방향 (A1) 의 반대방향인 제 2 방향 (A2) 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벽부 (27) 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수용홈 (24b) 은 제 1 수용홈 (24a) 의 구조와 유사하다. 따라서, 하우징 (20) 은 대칭구조이다. 기준면 (25) 과 대향면 (26) 각각은 수용면 (21a) 에 대하여 또한 서로에 대하여 약간 경사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체부 (21) 의 단부에는 제 1 방향 (A1) 으로 오목부 (28)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28) 내에는 하우징 (20) 에 부착된 홀드다운 (holddown) (28a) 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측부 (22a) 에는 2 개의 홀딩 구멍 (holding hole) (29) 이 있다. 이 홀딩 구멍 (29) 내에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한 쌍의 컨택트 (30) 가 삽입되어 고정 유지된다. 유사하게, 제 2 측부 (22b) 에도 2 개의 홀딩 구멍 (29) 이 있다. 이 홀딩 구멍 (29) 내에 다른 한 쌍의 컨택트 (30) 가 삽입되어 고정 유지된다. 여기서, 제 1 측부 (22a) 의 홀딩 구멍 (29) 을 제 1 홀딩 구멍이라고 하고, 제 2 측부 (22b) 의 홀딩 구멍 (29) 을 제 2 홀딩 구멍이라고 한다. 제 1 홀딩 구멍에 의해 유지되는 컨택트 (30) 를 제 1 컨택트라고 하고, 제 2 홀딩 구멍에 의해 유지되는 컨택트 (30) 를 제 2 컨택트라고 한다.
도 3 을 참조하여 컨택트 (30) 중 하나를 설명할 것이다. 나머지 컨택트 (30) 는 유사한 구조이다.
컨택트 (30) 는, 하우징 (20) 에 고정된 기부 (31), 기부 (31) 의 일단부에 인접한 만곡부 (32), 두 갈래 형상의 한 쌍의 빔부 (33, 34), 빔부 (33, 34) 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접촉부 (35, 36), 및 기부 (31) 의 타단부에 형성된 납땜부 (37) 를 포함한다. 만곡부 (32) 와 빔부 (33, 34) 각각은 탄성 변형가능하다. 접촉부 (35) 는, 기준면 (25) 을 넘어 제 1 수용홈 (24a) 안으로 돌출하는데 따라서 기준 접촉부라고 한다. 접촉부 (36) 는, 대향면 (26) 을 넘어 제 1 수용홈 (24a) 안으로 돌출하므로 대향 접촉부라고 한다.
추가로, 도 4 와 도 5 를 참조하면, 가요성 기판 (11) 을 커넥터 (10) 에접속하는 작업이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가요성 기판 (11) 의 배선부 (14) 는 하우징 (20) 의 오목부 (23) 상에 놓여진다. 제 1 돌출부 (12a) 및 제 2 돌출부 (12b) 각각은 제 1 수용홈 (24a) 및 제 2 수용홈 (24b) 에 대면하게 된다. 다음에, 가요성 기판 (11) 을 제 2 방향 (A2) 으로 이동시켜서 제 1 돌출부 (12a) 및 제 2 돌출부 (12b) 를 제 1 수용홈 (24a) 및 제 2 수용홈 (24b) 에 삽입한다. 그 후, 컨택트 (30) 의 접촉부 (35, 36) 는 제 1 돌출부 (12a) 및 제 2 돌출부 (12b) 의 대응 면들과 탄성적으로 가압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접속 부재 (12) 상에 형성된 배선 패턴 (13a, 13b) 은 컨택트 (30) 의 접촉부 (36)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우징 (20) 의 본체부 (21) 의 수용면 (21a) 은, 편평하게 되어 있고, 따라서 자동 설치기의 흡착 부재에 흡착될 피흡착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설치기를 이용하여 커넥터 (10) 를 설치물에 장착하는 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하우징 (20) 에는 가요성 기판 (11) 의 삽입을 방해하는 어떠한 부분도 없기 때문에, 커넥터 (10) 는 용이하게 소형화될 수 있다. 가요성 기판 (11) 이 제 2 방향 (A2) 으로 당기더라도, 가요성 기판 (11) 은 커넥터 (10) 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돌출부 (12a, 12b) 가 하우징 (20) 의 수용홈 (24a, 24b) 에 삽입되기 때문이다.
도 6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도시되었다.
도 6 ~ 도 8 에 도시된 커넥터에서, 돌출부 (12a, 12b) 는 수용홈 (24a, 24b) 의 외부로 노출되는 특정한 부분 (38a, 38b) 을 가지고 있다. 특정한 부분 (38a, 38b) 각각은 하우징 (20) 에서부터 제 1 및 제 2 방향 (A1, A2) 에 수직한 제 3 방향 (A3) 으로 돌출한다. 즉, 하우징 (20) 은 특정한 부분 (38a, 38b) 을 제 1 측부 (22a) 및 제 2 측부 (22b) 에서 제 3 방향 (A3) 으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특정한 부분 (38a, 38b) 은 폭 (L) 을 가진 결합부 (39a, 39b) 를 각각 가지고 있다. 즉, 하우징 (20) 은 제 3 방향 (A3) 으로 접속 부재 (12)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특정한 부분 (38a, 38b) 을 사용하여 가요성 기판 (11) 을 커넥터 (10) 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 (39a, 39b) 가 제 1 방향 (A1) 으로 밀릴 때, 가요성 기판 (11) 은, 제 1 방향 (A1) 으로 이동되어, 가요성 기판 (11) 에 좌굴을 유발하지 않고서 커넥터 (10) 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가요성 기판 (11) 에 관통구 또는 복잡한 구조물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함께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본 발명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단지 하나의 측부만을 가질 수 있다. 가요성 기판은 단지 하나의 돌출부만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특정한 부분을 사용하여, 가요성 기판에 좌굴을 유발하지 않고서 커넥터로부터 가요성을 기판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Claims (14)

  1. 배선부, 배선부의 일측에서 돌출한 제 1 돌출부, 및 배선부에서부터 제 1 돌출부까지 연장하는 배선 패턴을 구비하는 접속 대상물을 접속시키는 커넥터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제 1 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선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면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 1 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측부는 상기 제 1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수용홈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 1 컨택트는 제 1 돌출부의 배선 패턴에 접속되도록 제 1 측부에 의해 유지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는 제 1 수용홈의 외측에 노출되는 특정한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은 배선부의 타측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2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본체부의 타측에 배치된 제 2 측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측부는 상기 제 2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 2 수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제 2 컨택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 대상물은 배선부에서부터 제 2 돌출부까지 연장하는 배선 패턴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제 2 돌출부의 배선 패턴에 접속되도록 제 2 측부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제 2 수용홈의 외측에 노출된 특정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돌출부는 제 1 방향으로 배선부의 일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측부는, 제 1 수용홈의 일단부를 형성하여 제 1 돌출부가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는 편평하며, 제 1 수용홈은, 이 수용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놓인 기준면과 이 기준면의 맞은편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대향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컨택트는 기준면을 넘어 제 1 수용홈안으로 돌출하는 기준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컨택트는 대향면을 넘어 제 1 수용홈안으로 돌출하는 대향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기준 접촉부와 대향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돌출부에 탄성적으로 가압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부는 제 1 홀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컨택트는 제 1 홀딩 구멍내에 삽입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는 제 1 홀딩 구멍으로부터 노출된 납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 1 돌출부의 일부를 제 1 측부로부터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면은 편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40058530A 2003-07-30 2004-07-27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 KR100621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82370 2003-07-30
JPJP-P-2003-00282370 2003-07-30
JP2004210475A JP4030120B2 (ja) 2003-07-30 2004-07-16 コネクタ
JPJP-P-2004-00210475 2004-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680A true KR20050014680A (ko) 2005-02-07
KR100621392B1 KR100621392B1 (ko) 2006-09-19

Family

ID=34106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530A KR100621392B1 (ko) 2003-07-30 2004-07-27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69274B2 (ko)
JP (1) JP4030120B2 (ko)
KR (1) KR100621392B1 (ko)
CN (1) CN1320702C (ko)
TW (1) TWI2487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32731B (en) * 2007-05-15 2010-11-01 Au Optronics Corp Connector
TWM357746U (en) * 2008-12-09 2009-05-21 Htc Corp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JP5576688B2 (ja) * 2010-03-16 2014-08-20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及びそれを使用したセンサ
JP5530278B2 (ja) * 2010-03-30 2014-06-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2012003874A (ja) * 2010-06-15 2012-01-05 Fujitsu Ltd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
KR20130031893A (ko) * 2010-06-18 2013-03-29 애플 인크. 측면 콘택을 갖는 이중 배향 커넥터
JP5181399B2 (ja) 2011-06-02 2013-04-10 Smk株式会社 板状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459266B2 (ja) * 2011-06-03 2014-04-02 Smk株式会社 板状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920623B1 (ko) * 2012-01-30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케이블, 케이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케이블 연결장치
JP5699110B2 (ja) * 2012-05-28 2015-04-08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84022B2 (ja) * 2014-02-26 2017-08-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KR102289986B1 (ko) * 2014-07-22 2021-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인쇄회로 케이블 및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JP6276147B2 (ja) * 2014-09-10 2018-02-07 東芝メモリ株式会社 モジュール
JP6119721B2 (ja) * 2014-11-20 2017-04-26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US9577362B1 (en) * 2015-11-10 2017-02-21 Amphenol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6700142B2 (ja) * 2016-08-29 2020-05-27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配線接続構造及び静電容量式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9826A (en) * 1975-06-30 1976-12-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4679868A (en) * 1985-08-27 1987-07-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lticonductor electrical cable termination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JPH0438470Y2 (ko) * 1987-12-08 1992-09-09
JPH07153531A (ja) 1993-11-30 1995-06-16 Amp Japan Ltd 平形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H08130069A (ja) * 1994-10-31 1996-05-21 Amp Japan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5779498A (en) * 1994-10-31 1998-07-14 The Whitaker Corporation Flat cable connector
KR0127761Y1 (ko) * 1996-05-31 1998-12-15 배순훈 플렉시블 콘넥터 착탈장치
KR200169593Y1 (ko) * 1997-09-30 2000-02-01 구자홍 플렉시블 프린티드 케이블(flexible printed cable)용 접속장치
JP3916775B2 (ja) * 1998-08-04 2007-05-23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3380539B2 (ja) * 2000-10-13 2003-02-24 山一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TW547805U (en) * 2002-10-22 2003-08-11 Benq Corp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26494A1 (en) 2005-02-03
CN1585198A (zh) 2005-02-23
TWI248706B (en) 2006-02-01
JP2005063948A (ja) 2005-03-10
CN1320702C (zh) 2007-06-06
KR100621392B1 (ko) 2006-09-19
US6969274B2 (en) 2005-11-29
JP4030120B2 (ja) 2008-01-09
TW200509464A (en) 2005-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392B1 (ko)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
KR100433704B1 (ko) 접촉 신뢰성을 갖는 커넥터
CN110277689B (zh) 可动连接器
EP1148599A2 (en) Connector for printed-wiring board
KR101053753B1 (ko) 커넥터
US20090137140A1 (en) Floating-type connector
JP2007042384A (ja) 電気コネクタ
KR102417816B1 (ko) 커넥터 조립체
CN111463597B (zh) 连接器、布线板组装件和连接结构
JP2015002094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端末接続具
JP2002352908A (ja) コネクタ
JP4498890B2 (ja) 一対のヘッダー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用いたヘッダーコネクタ
JP2022066929A (ja) 平型導体付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02050423A (ja)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0306621A (ja) コネクタ
JP2002042937A (ja) 電気コネクタ
JP2007115579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2156021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2011216438A (ja) 平板状導電接続部材用コネクタ
JP4270451B2 (ja) コネクタ
US20230327356A1 (en) Connector
JP2005005096A (ja) 電気コネクタ
JP2003303634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キャップコネクタ
JP2008243535A (ja) コネクタ
JP4053515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