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3106A - 전동스테이플러에서의 테이블의 락기구 - Google Patents

전동스테이플러에서의 테이블의 락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3106A
KR20050013106A KR10-2004-7018626A KR20047018626A KR20050013106A KR 20050013106 A KR20050013106 A KR 20050013106A KR 20047018626 A KR20047018626 A KR 20047018626A KR 20050013106 A KR20050013106 A KR 20050013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ece
electric stapler
cam
w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8165B1 (ko
Inventor
야기노부아키
마나베카츠노리
하라미이시키이치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3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19Stapling machines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Abstract

클린치기구(8)를 담지하고 있는 테이블(4)을 본체프레임(2)의 후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시켜 마련함과 동시에 이 테이블(4)에 상기 본체프레임(2)을 따라 돌출된 날개편(9)을 일체로 형성하며, 이 테이블(4)의 날개편(9)과 본체프레임(2) 사이에 락수단(10)(16)(21)을 형성하고, 이 락수단(10)(16)(21)을 날개편과 결합시킴으로써 테이블(4)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력을 저지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전동스테이플러에서의 테이블의 락기구{TABLE LOCKING MECHANISM FOR MOTOR-DRIVEN STAPLERS}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전동스테이플러는 도10및 도11과 같이 다수의 스테이플러가 장전됨과 동시에 본체케이스(30)의 매거진부(31)에 착탈가능한 카트리지(32), 본체케이스(30)내에 마련된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카트리지(32)내의 스테이플을 매거진부(31)로부터 타출하는 드라이버기구(33) 및 상기 드라이버기구(33)에 의한 스테이플의 타출부(34)에 대향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본체프레임(30)을 구성하고 있는 측판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된 테이블(35)로 구성되고 있으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드라이버기구(33)를 구동하여 매거진부(31)에 장전된 스테이플을 매거진부(31)로부터 매거진부(31)와 테이블(35)사이에 배치된 철하는 용지(P)로 타출하고, 철하는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의 다리선단을 테이블(35)에 담지하고 있는 클린처(36)에 의해 절곡되도록 되어있다.
테이블(35)은 통상시에는 매거진부(31)의 스테이플 타출부(34)와 이간하여 배치되고 있으며 철하는 용지가 삽입되어 드라이버기구(33)에 의해 스테이플이 타출되기 전에 매거진부(31)의 윗면 사이에서 철하는 용지(P)를 협지하도록 회동작동된다. 테이블(35)은 매거진부(31)로부터 드라이버기구(33)에 의해 타출되는 스테이플의 다리가 철하는 용지를 관통하고 또한 스테이플 다리가 테이블(35)의 선단부에 형성된 클린처(36)에 의해 철하는 용지의 이면을 따라 절곡되는 동안에 발생하는 철작업 하중에 대항하여 철하는 용지의 하면측을 지지할 필요가 있지만 철하는 용지의 두께에 따라 상기 테이블(35)의 작동스트로크가 변동하기 때문에 캠이나 링크기구 등으로 직접테이블(35)을 회동구동시킬 수 없어 캠이나 링크기구에 스프링력을 개재시켜 테이블(35)을 작동하도록 했었다. 그러나 통상 8~10Kg정도가 되는 상기 철작업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큰 하중의 스프링을 필요로 하며, 이 큰 스프링하중을 통해 테이블(35)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가 커져 복사기 등으로의 내장용으로서의 전동스테이플러의 소형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그래서 도10 및 도11과 같이 철하는 용지(P)를 협지하는 방향으로 스프링가압력에 의해 작동시킨 테이블(35)의 일부에 감합하는 쐐기부재에 의해 테이블(35)을 폐쇄위치로 고정시키는 테이블의 락기구가 일본국 특개 2001-191265호 공보 등에 의해 개시되고 있다. 상기 테이블의 록기구는 후단부가 본체케이스(30)에 회동지축(38)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비틀림코일스프링(39)에 의해 닫는 방향으로 가압시킨 테이블(35)과, 상기 테이블(35)을 개방위치로 유지해 두기위한 작동링크(40) 및 상기 테이블(35)과 결합하여 테이블(35)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하는 쐐기부재(37)에 의해 구성되고 있다.
전동스테이플러가 작동되기 이전의 통상시에는 상기 작동링크(40)에 형성한 지지부(41)를 테이블(35)과 일체로 회동하는 고정축(42)과 결합시켜 테이블(35)을 개방위치로 보지시켜 두고 매거진부의 윗면에 철하는 용지(P)가 재치되어 전동스테이플러가 작동하면 상기 작동링크(40)는 스테이플을 타출하는 드라이버기구(33)와 연동작동되어 지지부(41)와 고정축(42)의 결합을 해제하며 테이블(35)을 비틀림코일스프링(39)에 의해 철하는 방향으로 작동시키고, 테이블(35)과 매거진부(31)사이에 배치된 철하는 용지(P)를 협지시킨다. 이 테이블(35)의 작동에 따라 상기 쐐기부재(37)가 스프링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쐐기부재(37)에 형성한 계지부(43)를 상기 테이블(35)과 일체로 회동하는 고정축(2)과 결합시킴으로써 테이블(35)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여 폐쇄위치에 락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기구에서는 쐐기부재(37)를 본체케이스(30)에 대해 접동가능하도록 보지시키고, 쐐기부재(37)를 스프링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드이동하도록 하여 테이블(35)과 일체의 고정축(42)과 결합시키고 테이블(35)을 폐쇄위치로 락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철하는 용지의 두께의 변동폭이 적은 경우에는 테이블(35)의 회동스트로크의 변동폭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문제는 없지만 철하는 용지(P)의 최대철하는 매수가 큰 전동스테이플러의 경우에는 테이블(35)의 작동스트로크의 폭이 커져 이에 따라 쐐기부재(37)의 슬라이드 이동거리를 크게 설정해야 하므로 전동스테이플러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없다. 또 상기 쐐기부재는 테이블(35)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하고 있는 회동지축(38)의 근방에 배치되는 고정축(42)과 결합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큰 철작업 하중이 일어나지 않는 소형의 스테이플러는 채용할 수 있지만 테이블(35)의 선단측에 큰 철작업 하중이 발생하는 대형의 스테이플러에 대해 충분한 록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ㄷ자모양으로 성형된 스테이플을 매거진부로부터 타출하고 매거진부와 대향하여 배치된 클린처부와의 사이에서 협지된 철하는 용지를 관통하도록 하며, 클린처부에 의해 스테이플의 다리부를 절곡하여 철하는 용지를 철하도록 한 전동스테이플러의 테이블의 락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테이블락기구를 실시한 전동스테이플러의 사시도.
도 2는 도 1과 같은 전동스테이플러의 다른 면에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동스테이플락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도 3과 같은 테이블락기구의 테이블이 폐쇄위치에 락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테이블락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테이블락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또 다른 테이블락기구를 실시한 전동스테이플러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캠의 사시도.
도 9(a)는 도 7의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락기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로, 테이블이 개방위치에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9(b)는 도 7의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락기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로, 테이블이 철하는 용지를 협지하기 위해 폐쇄위치로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10은 종래의 테이블락기구를 실시한 전동스테이플러의 종단측면도.
도11은 도10과 같은 전동스테이플러의 테이블이 폐쇄위치에서 락된 상태의 종단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동스테이플러 2: 본체프레임
3: 스테이플타출부 4: 테이블
7: 지축 8: 클린처기구
9: 날개편 9a: 전단테두리
10: 락판 11: 지축
12: 계지핀 13: 스프링
16: 편심캠 17: 스프링
18: 가이드롤러 19: 결합톱니
20: 계지톱니 21: 계지편
22: 스프링 23: 회전캠
24: 캠면 25: 회전축
26: 모터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고 철하는 용지의 매수의 변동에 따른 테이블의 회동스트로크가 크게 변동하는 경우라도 쐐기부재와 같이 큰 슬라이드이동없이 전동스테이플러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철하는 용지를 협지한 상태에서 스테이블의 철작업 하중에 견디어 확실하게 테이블을 락시킬 수 있는 테이블의 락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전동스테이플러에서의 테이블의 락기구는 본체프레임내에 다수의 스테이플을 수용하는 매거진부와, 이 매거진부에 장전된 테이블을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버에 의해 매거진부로부터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하는 스테이플 타출부를 형성하고, 철하는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의 다리부를 철하는 용지의 이면을 따라 절곡하는 클린처기구를 테이블에 담지시켜 마련한 전동스테이플러에 있어서, 상기 클린처기구를 담지하고 있는 테이블을 본체프레임의 후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시켜 마련함과 동시에 이 테이블에 상기 본체프레임의 측면을 따라 돌출된 날개편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 테이블의 날개편과 본체프레임 사이에 락수단을 형성하며, 이 락수단을 날개편과 결합시킴으로써 테이블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력을 저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락수단은 날개편의 전단테두리와 결합가능한 계지핀을 일단에 구비함과 동시에 이 계지핀으로부터 떨어진 타단측에서 본체프레임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된 락판에 의해 구성되고 있으며, 테이블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시에 상기 계지핀이 날개편의 단테두리에 결합하여 날개편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락수단은 본체프레임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날개편의 전단테두리와 결합가능한 편심캠에 의해 구성되고 있으며, 테이블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시에 상기 편심캠이 날개편의 단테두리에 결합하여 날개편의 회동을 저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락수단은 날개편의 전단테두리에 형성된 톱니모양의 결합톱니와 이 결합톱니와 결합하는 계지톱니가 형성된 계지편에 의해 구성되고 있으며, 상기 계지편을 본체프레임에 상기 날개편에 대해 접리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이 계지편의 계지톱니와 날개편의 결합톱니가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시켜 구성하며, 테이블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시에 날개편의 결합톱니에 계지편의 계지톱니를 결합시켜 날개편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을 지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체프레임내에 다수의 스테이플을 수용하는 매거진부와, 이 매거진부에 장전된 스테이플을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버에 의해 매거진부로부터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하는 스테이플 타출부를 형성하고, 철하는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의 다리부를 철하는 용지의 이면을 따라 절곡하는 클린처기구를 마련한 전동스테이플러에 있어서 상기 클린처기구를 담지하고 있는 테이블을 본체프레임의 후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시켜 마련함과 동시에 이 테이블의 상단면과 결합가능한 회전캠을 마련하며, 이 회전캠의 하면에 형성한 원주방향으로 높이가 서서히 변화하는 캠면을 상기 테이블의 상단면과 결합시킴으로써 테이블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를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및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테이블의 락기구를 실시한 전동스테이플러를 도시하는 것으로 전동스테이플러(1)는 아래쪽에 배치되고 있는 본체프레임(2)내에 직(直)모양의 다수의 시트스테이플이 장전된 스테이플 카트리지가 장전되고, 또한 본체프레임(2)내에는 이 스테이플 카트리지내의 시트스테이플을 스테이플 타출부(3)를 향해 순차 공급하는 스테이플 공급기구, 스테이플 타출부(3)의 직전에 형성된 스테이플 성형부에 공급된 직모양의 스테이플을 포밍플레이트에 의해 ㄷ자모양으로 성형하는 스테이플 성형기구, 및 ㄷ자형으로 성형되어 스테이플 타출부로 공급된 스테이플을 드라이버 플레이트에 의해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하는 스테이플 타출기구가 형성되고 있다.
본체프레임(2)의 위쪽에는 상기 스테이플 타출부(3)의 윗면에 배치된 철하는 용지를 스테이플 타출부(3)사이에서 협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플 타출부(3)로부터 타출되어 철하는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의 다리부를 철하는 용지의 이면을 따라 절곡하는 클린처기구가 형성된 테이블(4)이 후단부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2)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마련된다. 상기 스테이플 공급기구, 스테이플 성형기구, 스테이플 타출기구 및 테이블을 구동시키는 모터가 상기 본체프레임(2)내에 마련되고 이 모터에 의해 상기 각 기구를 구동시키는 감속기어(5) 및 구동기어(6)가 상기 본체프레임(2)의 측면에 배치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테이블(4)은 후단부가 상기 본체프레임(2)에 지축(7)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고, 테이블(4)의 앞부에는 철하는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의 다리를 절곡하는 클린처기구(8)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 클린처기구(8)는 상기 본체프레임(2)의 스테이플 타출부(3)의 윗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있다. 상기 테이블(4)의 양 측벽의 중앙부로부터 본체프레임(2)의 양 측면을 따라 아래쪽을 향해 돌출된 날개편(9)이 일체로 형성되고 있으며, 본체프레임(2의 양측면에는 상기 날개편(9)에 대응하여 락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락판(10)이 배치되고 있다. 락판(10)은 본체프레임(2)에 대해 지축(11)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고 있으며 이 지축(11)으로부터 떨어진 단부에는 상기 날개편(9)의 앞쪽을 향한 전단테두리(9a)와 결합된 계지핀(12)이 형성되고 있다.
도 3과 같이 락판(10)은 스프링(13)에 의해 상기 지축(11)을 중심으로 하여 시침방향으로 회전가압되고 있으며 또한 락판(10)의 아래쪽에 일체로 형성된 작동편(14)과 닿도록 배치된 작동캠(15)에 의해 통상시에는 상기 계지핀(12)이 날개편(9)의 전단테두리(9a)와 이반되는 위치에 회동되고 있다. 도 4와 같이 본체프레임(2)의 스테이프 타출부(3)상에 철하는 용지(P)가 재치되어 전동스테이플러(1)가 구동되면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해 테이블(4)이 닫는 방향으로 회동작동되어 철하는 용지(P)를 스테이플 타출부(3)와 클린처기구(8) 사이에 협지한다. 이와 동시에 구동기구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작동캠(15)이 회전하여 작동편(14)으로부터 이반하므로 락판(10)이 스프링(13)에 의해 시침바향으로 회동되고, 락판(10)의 계지핀(12)이 날개편(9)의 전단테두리(9a)와 결합되며, 이에 따라 테이블(4)이 철하는 용지(P)를 스테이플 타출부(3)와의 사이에서 협지한 회동위치에 락된다.
테이블(4)의 클린처기구(8)부에 철작업 하중이 작용하여 테이블(4)에 개방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락판(10)의 계지핀(12)이 날개편(9)의 전단테두리(9a)로 파고들도록 작용하여 테이블(4)이 개방방향으로 회동하는 움직임을 저지한다. 따라서 클린처기구(8)에 큰 철작업 하중이 발생한 경우라도 확실하게 테이블(4)을 폐쇄위치에 락시킬 수 있다. 철하는 용지(P)로의 스테이플 철작업이 종료한 후에는 상기 작동캠(15)이 회전하여 작동편(14)을 압압시카고 락판(10)을 반시침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여 계지핀(12)을 날개편(9)의 전단테두리(9a)로부터 이반되므로 테이블(4)을 개방방향으로 회동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테이블락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테이블(4)의 양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형성한 날개편(9)의 앞쪽으로 향한 단테두리(9a)에 락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편심캠(16)을 접촉시키고, 이 편심캠(16)과 날개편(9)의 전단테두리(9a)와의 결합에 의해 테이블(4)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시키도록 한 것이다. 스프링(17)에 의해 회전가압력이 부여된 편심캠(16)은 테이블(4)의 지축(7)과 동심모양으로 형성되고 있는 날개편(9)의 전단테두리(9a)와 결합됨으로써 테이블(4)이 철작업 하중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회동하면 편심캠(16)이 날개편(9)의 전단테두리(9a)로 파고들도록 작용하여 테이블(4)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작용한다. 부호 18은 날개편의 회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로서 이 가이드롤러(18)에 의해 편심캠(16)이 날개편(9)의 전단테두리(9a)와 강하게 결합하는 것에 의한 날개편(9)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테이블(4)의 양측에서 아래쪽을 향해 형성된 날개편(9)의 앞쪽을 향한 단테두리(9a)가 테이블(4)의 지축(7)과 동심상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락수단은 형성된 톱니모양의 가는 결합톱니(19)와 이 날개편(9)의 전단테두리(9a)와 대향하여 상기 톱니모양의 결합톱니(19)와 서로 맞물리는 톱니모양의 계지톱니(20)를 선단에 형성한 계지편(21)으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날개편(9)의 전단테두리(9a)에 형성된 결합톱니(19)에는 테이블의 개방방향을 향한 수직면과 같은 방향을 향한 사면이 형성되고 있으며 계지편(21)에는 상기 결합톱니와 서로 맞물리는 톱니모양의 계지톱니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계지편(21)은 본체프레임(2)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으며 또한 계지편(21)의 계지톱니(20)가 날개편(9)의 결합톱니(19)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스프링(22)에 의해 가압하여 구성하고 있다. 철하는 용지를 협지하기 위해 테이블(4)이 폐쇄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결합톱니(19)와 계지톱니(20)의 사면끼리가 접촉하여 계지편(21)이 스프링(22)의 압압력에 맞서 날개편(9)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테이블(4)의 폐쇄방향으로의 회동이 허용되고 테이블(4)이 개방방향으로의 회동력을 받았을 때에는 결합톱니(19)와 계지톱니(20)의 수직면 끼리가 결합하여 테이블(4)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작용한다. 스테이플 철작업이 종료했을 때에는 도시하지 않은 해제기구에 의해 계지편(21)을 날개편(9)에서 이반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결합톱니(19)와 계지톱니(20)의 결합을 해제하여 테이블(4)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7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테이블락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후단부가 상기 본체프레임(2)에 지축(7)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된 테이블(4)의 상면측에 회전캠(23)을 배치하고, 이 회전캠(23)의회전에 의해 캠의 하면측에 형성한 캠면(24)을 테이블(4)의 상단면에 결합시킴으로써 테이블(4)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을 락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체프레임(2)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회전축(25)의 선단부가 테이블(4)을 관통하여 테이블(4)의 상면측에 배치되고 있으며, 이 회전축(25)의 선단부에 회전캠(23)이 부착되고 있다. 회전축(25)의 하단부는 회전축(25)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모터(26)가 연결되고 있으며, 이 모터(26)에 의해 회전축(25)을 통해 회전캠(23)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있다.
도 8과 같이 회전캠(23)의 하면측에는 원주방향으로 높이가 서서히 변화하는 캠면(24)이 형성되고 있으며 이 캠면(24)이 테이블(4)의 윗면과 결합함으로써 테이블(4)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작용한다. 도 9(a)와 같이 테이블(4)이 닫는 위치에 배치된 통상상태시에는 회전캠(23)의 가장 높이가 낮은 부분이 테이블(4)의 상단면과 대향되고 있으며 테이블(4)이 철하는 용지를 협지한 닫는 위치에 회동작동된 후 회전캠(23)을 모터(26)에 의해 회전구동시키면 도 9(b)와 같이 캠면(24)이 테이블(4)의 상단면과 접촉한 위치까지 회전되어 정지하고, 캠면(24)이 쐐기의 작용을 이루어 테이블(4)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게 된다. 스테이플 철하는 작업이 종료했을 때에는 상기 모터(26)를 구동하여 회전캠(23)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캠면(24)을 테이블(4)의 상단면에서 이반시킴으로써 테이블(4)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캠(23)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26)를 본체프레임(2)내에 독립하여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회전캠(23)을 회전구동시키는 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어 스테이플 박음 기구 등을 구동하는 전동스테이플러의 구동원인 모터에 의해 구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상술과 같이 청구항 1에 기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에 형성되어 테이블과 일체로 회동되는 날개편과 본체프레임 사이에 락수단을 형성하고, 이 락수단에 의해 테이블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력을 저지시키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철하는 용지의 두께의 변동폭이 커져도 락수단의 작동스트로크를 크게 설정할 필요가 없어, 큰 철작업 하중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확실하게 테이블을 폐쇄위치로 락시킬 수 있다.
또 락수단을 날개편의 전단테두리와 결합가능한 계지핀을 일단에 구비함과 동시에 이 계지핀으로부터 떨어진 타단측에서 본체프레임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된 락판에 의해 구성하고, 테이블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시에 상기 계지핀이 날개편의 단테두리와 결합하여 날개편의 회동을 저지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테이블에 개방방향으로의 회동력이 작용함으로써 상기 락판에 의한 날개편으로의 결합이 강해지도록 작용하므로 계지수단에 철작업 하중을 지지하는 큰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전동스테이플러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락수단을 본체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날개편의 전단테두리와 결합가능한 편심캠에 의해 구성하고, 이 편심캠이 테이블의 개방방향으로 회동할 때 날개편의 단테두리에 결합하여 날개편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기때문에 테이블에 개방방향으로의 회동력이 작용함으로써 상기 편심캠에 의한 날개편에 대한 결합이 강해지도록 작용하므로 계지수단에 철작업 하중을 지지하는 큰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전동스테이플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락수단을 날개편의 전단테두리에 형성한 톱니모양의 결합톱니와 결합하면 계지톱니가 형성된 계지편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계지편을 계지톱니와 결합톱니가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시켜 이 계지편에 의해 테이블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시에 날개편의 단테두리의 결합톱니 계지편의 계지톱니를 결합시키며, 날개편의 회동을 저지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큰 철작업 하중이 발생하는 대형의 스테이플러에 있어서도 확실하게 테이블을 락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원주방향으로 높이가 서서히 변화하는 캠면을 형성한 회전캠을 모터 등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테이블의 상단면과 결합시켜 테이블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쐐기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대해 철하는 용지의 두께의 변동폭이 커져도 슬라이드 스트로크를 크게 설정할 필요가 없어 전동스테이플러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6)

  1. 전동스테이플러에서의 테이블의 락기구로서, 상기 전동스테이플러는,
    다수의 스테이플을 수용하는 매거진부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버에 의해 상기 매거진부에 장전된 스테이플을 상기 매거진부로부터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하는 스테이플 타출부와,
    상기 전동스테이플러의 본체프레임에 지지되고 철하는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의 다리부를 철하는 용지를 따라 절곡하는 클린처기구와, 상기 테이블에 형성된 날개편을 갖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날개편과 상기 본체프레임 사이에 형성한 락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락수단과 상기 테이블의 날개편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테이블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력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테이플러에서의 테이블의 락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수단은 상기 날개편과 결합가능한 계지핀을 일단에 구비함과 동시에 타단측에서 본체프레임에 지지된 락판을 구비하고,
    상기 계지핀이 날개편에 결합하여 상기 날개편의 회동이 저지됨으로써 상기 테이블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력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테이플러에서의 테이블의 락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락수단은 또한,
    상기 락판에 형성된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과 접촉·이반가능하도록 배치된 작동캠을 갖고,
    상기 작동캠이 회전하여 작동편으로부터 이반하면 상기 락판이 스프링에 의해 회동함으로써 상기 계지핀이 상기 날개편에 결합하고, 상기 날개편의 회동이 저지되며, 상기 테이블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력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테이플러에서의 테이블의 락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수단은,
    본체프레임에 지지되어 날개편과 결합가능한 편심캠을 구비하고,
    상기 편심캠이 날개편에 결합함으로써 날개편의 회동을 저지되며,
    상기 테이블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력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테이플러에서의 테이블의 락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수단은,
    상기 날개편에 형성된 톱니모양의 결합톱니와,
    상기 결합톱니와 결합하는 계지톱니가 형성되고, 본체프레임에 상기 날개편에 대해 접리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계지톱니가 상기 날개편의 결합톱니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계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날개편의 결합톱니에 상기 계지편의 계지톱니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날개편의 회동이 저지되고, 상기 테이블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력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테이플러에서의 테이블의 락기구.
  6. 전동스테이플러에서의 테이블의 락기구로서, 상기 전동스테이플러는,
    다수의 스테이플을 수용하는 매거진부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버에 의해 상기 매거진부에 장전된 스테이플을 상기 매거진부로부터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하는 스테이플 타출부와,
    상기 전동스테이플러의 본체프레임에 지지되고 철하는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의 다리부를 철하는 용지를 따라 절곡하는 클린처기구를 갖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과 결합가능하며 원주방향으로 높이가 서서히 변화하는 캠면을 갖는 회전캠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캠을 상기 테이블의 상단면과 결합시킴으로써 테이블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테이플러에서의 테이블의 락기구.
KR1020047018626A 2002-06-24 2003-06-23 전동스테이플러에서의 테이블의 락기구 KR101018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83364 2002-06-24
JP2002183364A JP4117457B2 (ja) 2002-06-24 2002-06-24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テーブルのロック機構
PCT/JP2003/007931 WO2004000515A1 (ja) 2002-06-24 2003-06-23 電動ステープラーにおけるテーブルのロック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106A true KR20050013106A (ko) 2005-02-02
KR101018165B1 KR101018165B1 (ko) 2011-02-28

Family

ID=2999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626A KR101018165B1 (ko) 2002-06-24 2003-06-23 전동스테이플러에서의 테이블의 락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43956B2 (ko)
EP (1) EP1516707B1 (ko)
JP (1) JP4117457B2 (ko)
KR (1) KR101018165B1 (ko)
CN (1) CN100374263C (ko)
AU (1) AU2003246182A1 (ko)
DE (1) DE60312518T2 (ko)
WO (1) WO20040005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386A (ko) * 2019-01-31 2021-09-07 후아딩 장 타정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3484B2 (ja) 2004-09-29 2010-07-28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ラーのテーブルロック装置
EP1932638B1 (en) * 2005-10-04 2012-12-19 Max Co., Ltd. Electric stapler
JP5262299B2 (ja) * 2008-05-28 2013-08-14 マックス株式会社 ホッチキスにおけるクリンチ位置決め機構
US20140339284A1 (en) * 2011-09-13 2014-11-20 Olle Strååt Link arrangement in a stapler
JP2018069638A (ja) * 2016-10-31 2018-05-10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ラ
EP3549735B1 (en) 2017-11-10 2020-09-23 Max Co., Ltd. Refill
JP7172454B2 (ja) * 2017-11-10 2022-11-16 マックス株式会社 リフィル
CN110193807A (zh) * 2018-02-24 2019-09-03 崔成群 一种在订书机上的阻止订书钉弯曲的机构
CN112455114A (zh) 2019-09-09 2021-03-09 美克司株式会社 电动订书机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9095A (en) * 1977-12-15 1980-04-22 Maruzen Kabushiki Kaisha Stapling means
US4344554A (en) * 1978-10-02 1982-08-17 Xerox Corporation Stapling apparatus
DE3855380T2 (de) * 1987-12-28 1996-11-07 Max Co Ltd Ambossplatte
US5346114A (en) * 1990-09-14 1994-09-13 Max Co., Ltd. Electric stapler with unmovably fixed magazine
SE469113B (sv) * 1992-04-16 1993-05-17 Isaberg Ab Haeftapparat foer indrivning av haeftklamrar
EP0579118B1 (en) * 1992-07-10 1995-09-27 Max Co., Ltd. A motor driven stapler
JP2932438B2 (ja) * 1995-02-28 1999-08-09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自動綴り準備機構
DE19607296A1 (de) * 1996-02-27 1997-08-28 Kodak Ag Heftvorrichtung zum Zusammenheften von Blättern
US6050471A (en) * 1996-10-23 2000-04-18 Max Co., Ltd. Electric stapler
JP3508496B2 (ja) * 1996-11-13 2004-03-22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
JP3620351B2 (ja) * 1999-07-06 2005-02-16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テープラー
JP2001191265A (ja) * 1999-12-28 2001-07-17 Max Co Ltd 電動式ステープラー
US6634536B2 (en) * 1999-12-28 2003-10-21 Max Co., Ltd. Electric stapler
JP2001347472A (ja) * 2000-06-05 2001-12-18 Nisca Corp ステープラ装置
JP4524868B2 (ja) * 2000-06-21 2010-08-18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
JP2002066952A (ja) * 2000-09-01 2002-03-05 Nisca Corp ステープル収納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ステープラ装置
JP2002200572A (ja) * 2000-12-28 2002-07-16 Nisca Corp ステープラ装置
JP2002355804A (ja) * 2001-05-31 2002-12-10 Nisca Corp ステープル装置
US6948224B2 (en) * 2003-05-02 2005-09-27 Gradco (Japan) Ltd Automatic stapling method and stapler
JP4103724B2 (ja) * 2003-08-11 2008-06-18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ラにおける紙押えテーブルのロック機構
JP4513484B2 (ja) * 2004-09-29 2010-07-28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ラーのテーブルロッ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386A (ko) * 2019-01-31 2021-09-07 후아딩 장 타정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17457B2 (ja) 2008-07-16
DE60312518T2 (de) 2007-11-22
DE60312518D1 (de) 2007-04-26
KR101018165B1 (ko) 2011-02-28
CN100374263C (zh) 2008-03-12
EP1516707A1 (en) 2005-03-23
US7743956B2 (en) 2010-06-29
US20050284911A1 (en) 2005-12-29
EP1516707B1 (en) 2007-03-14
WO2004000515A1 (ja) 2003-12-31
CN1662351A (zh) 2005-08-31
AU2003246182A1 (en) 2004-01-06
EP1516707A4 (en) 2005-10-19
JP2004025548A (ja) 200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165B1 (ko) 전동스테이플러에서의 테이블의 락기구
US7681770B2 (en) Stapler
AU2004315246A1 (en) Stapler
US6820787B2 (en) Stapler
JP4103765B2 (ja) ステープラーのステープル脚切断機構
JP2004230483A (ja) ホッチキス
EP1655109B1 (en) Locking mechanism for stapler paper presser table
JPH04269182A (ja) 手動のホッチキス
WO2005115698A1 (ja) ステープラーのクリンチャ装置
JPH0650143Y2 (ja) ホッチキス
JP4513439B2 (ja) ステープラーの可動クリンチャ駆動機構
US7661570B2 (en) Stapler
JP2004230482A (ja) ホッチキス
JPH0453909Y2 (ko)
JPH0647663Y2 (ja)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過負荷防止装置
JPH0631652A (ja)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ステープルの送り機構
JP2005014416A (ja) 電動ステープラーのステープル供給機構
JPH0631651A (ja)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マガジンの上下回動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