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636A -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 Google Patents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636A
KR20050012636A KR1020030051773A KR20030051773A KR20050012636A KR 20050012636 A KR20050012636 A KR 20050012636A KR 1020030051773 A KR1020030051773 A KR 1020030051773A KR 20030051773 A KR20030051773 A KR 20030051773A KR 20050012636 A KR20050012636 A KR 20050012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croll compressor
valve
bypass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7322B1 (ko
Inventor
신동구
김철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1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322B1/ko
Priority to US10/832,379 priority patent/US7513753B2/en
Priority to CNB2004100433080A priority patent/CN100343522C/zh
Publication of KR20050012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1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 F04C28/16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using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는 응축기로부터 분지되고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공간으로 연장되어 응축기의 고압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조정관로; 상기 조정관로와 일단이 닿고, 그 타단은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공간과 닿는 주입 포트; 상기 주입 포트에 형성되어, 상기 조정관로에 고압 유체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체가 흐르게 되고, 상기 고압 유체가 인가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주입 밸브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없이, 스크롤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되기 전과, 압축된 후의 유체 압력을 이용하여 밸브를 구동함으로써, 스크롤 압축기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축 용량을 보다 많은 단계로 변경시키며, 스크롤 압축기를 운전할 수 있게 되므로, 시스템의 용량에 맞추어 보다 적합하게 스크롤 압축기를 가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 with volume regulating capability}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스크롤 압축기의 토출 용량을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냉동 시스템은 에어컨 또는 냉장고에 적용되는 시스템으로서, 냉동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에 의한 열의 흡수 및 방출에 의해서 특정 부분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시스템으로 사용된다. 상세하게 냉동 시스템은 계(boundary)의 내부에서 열을 흡수하고, 계의 외부로 흡수된 열을 방출하는 동작이 반복해서 수행됨으로써, 계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시스템이다.
또한, 열펌프 시스템은 냉동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냉매의 순환을 냉동 시스템과는 역방향으로 운전하여, 열의 흡수 및 배출 운전을 냉동 시스템과는 반대로 운전함으로써, 계의 내부를 외부보다 고열로 유지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냉동 시스템 및 열펌프 시스템은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 중에서 스크롤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스크롤 압축기는 본원 발명의 출원인이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1999-0000607", 발명의 명칭, "스크롤 압축기"등과 같은 다수의 문헌에 의해서 이미 공지된 바가 있으므로, 그 구성 및 동작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에 의해서 압축되는 유체의 압축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스크롤 압축기의 동작 중에서 압축 용량의 가변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한다.
냉동 시스템 및 열펌프 시스템에서는 방열량등과 같이 일정하게 주어지는 제한 조건 하에서, 그 기기의 사양에 맞는 스크롤 압축기를 선택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므로, 그 사용처를 예상하여 가장 불리한 작동 조건, 예를 들면 가장 큰 압축 용량이 필요한 조건(예를 들면, 공조기의 난방 운전)과 작은 압축 용량이 필요한 조건(예를 들면, 공조기의 냉방 운전)을 예상하여 스크롤 압축기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불리한 조건은 실제 작동시에는 거의 발생되지 아니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결국 압축기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용량이 큰 압축기를 선택하게 되면, 고 비율의 작동시간 동안 저부하 조건하에서 압축기가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결과적으로 시스템의 전체적인 작동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그러므로, 보통의 작동 조건하에서 전체적인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압축기가 가장 불리한 조건하에서도 작동 조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압축 용량의 조절이 가능한 압축기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용량을 가변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방법은, 전기적으로 회전수를 제어하는 방법과, 압축 중인 냉매의 누설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종래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용량을 가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회전수를 제어하는 방법은 성능이 우수하지만, 모터를 정확한 회전수로 제어하기 위해서 인버터등과 같은 추가적인 부품이 소요되고, 고속 회전시에 마찰부위의 신뢰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누설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1-0062567(미국특허출원번호 09/686,561)등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 또한 다수의 복잡한 부품이 적용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압축 모터의 회전수가 동일한 상태에서, 바이패스(Bypass)기능을 이용하여 압축 용량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없이, 스크롤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되기 전과, 압축된 후의 유체 압력을 이용하여 밸브를 구동함으로써, 압축 용량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 용량의 조정 단계가 두 단계 이상의 다단으로 조정될수 있도록 하여, 다양하게 주어지는 냉동 시스템 및 열펌프 시스템의 운전조건 하에서도, 특정의 압축 용량에 맞추어서 유체가 압축될 수 있도록 하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터의 손실이나 추가적인 동력의 제공없이, 압축 용량을 가변하여 스크롤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선회 스크롤 부재의 저면도.
도 3과 도 5는 도 1에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와 도 6은 바이패스 포트의 개폐 상태에 따른 스크롤 부재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적용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포트의 형성 위치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의 또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내지 도 14는 다수의 압축 용량 조정 구조가 동시에 적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밀폐성 외각 12 : 밀폐 플레이트 13 : 흡입 챔버
14 : 토출 챔버 15 : 비선회 스크롤 부재
16 : 선회 스크롤 부재 17 : 비선회 나선형 랩
18 : 선회 나선형 랩 19 : 구동축
21 : 베어링 22 : 흡입구 23 : 토출구
26 : 중앙 토출 관로 242 : 제 2 바이패스 포트
254 : 주입밸브 257 : 주입포트 304 : 제 4 조정관로
312 : 제 2 바이패스 관로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는 응축기로부터 분지되고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공간으로 연장되어 응축기의 고압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조정관로; 상기 조정관로와 일단이 닿고, 그 타단은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공간과 닿는 주입 포트; 상기 주입 포트에 형성되어, 상기 조정관로에 고압 유체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체가 흐르게 되고, 상기 고압 유체가 인가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주입 밸브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는 응축기로부터 분지되고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공간으로 연장되어 응축기의 고압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조정관로; 상기 조정관로와 일단이 닿고, 그 타단은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공간과 닿는 주입 포트; 상기 주입 포트에 형성되어, 상기 조정관로에 고압 유체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체가 흐르게 되고, 상기 고압 유체가 인가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주입 밸브; 스크롤 부재의 압축 공간을 따라서 한개 이상 형성되어, 압축 중인 유체가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지점에서 각각 바이패스 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포트; 일단이 상기 바이패스 포트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롤 압축기 내에서 압축되기 전의 저압 상태인 유체가 저장되는 흡입 챔버와 연결되는 바이패스 관로; 상기 바이패스 포트와 상기 바이패스 관로의 연결 상태를 개방 또는 폐쇄 상태로 조작하기 위한 막음 밸브; 상기 막음 밸브의 위치를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흡입구의 저압 유체와,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토출구의 고압 유체가 선택적으로 상기 막음 밸브에 인가되도록 하기 위한 조정 밸브가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되기 전의 저압또는 고압유체의 압력이 밸브에 의해서 선택되어 인가되는 관로; 상기 관로에 의해서 스크롤 부재의 압축 경로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포트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막음밸브; 및 응축기로부터 바이패스되는 고압의 유체가 소정의 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흡입되어 주입 포트를 통해서 압축기의 압축 공간의 안으로 흡입되는 주입밸브가 포함된다.
제시되는 바와 같은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에 의해서,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없이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용량을 가변하여 운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크롤 압축기에 요구되는 두 단계 이상의 운전 조건에 대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압축 용량을 가변하여 스크롤 압축기를 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및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는 스크롤 압축기의 일반적인 구성과, 압축 용량이 조정되기 위한 바이패스 구조와, 상기 바이패스 구조를 조정하기 위한 바이패스 조정 구조가 포함된다.
먼저, 일반적인 스크롤 압축기의 구성으로는 계의 내부를 밀폐하여 외계와 분리하는 밀폐성 외각(11)과, 상기 밀폐성 외각(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압축기의 내부를 저압의 흡입 챔버(13)와 고압의 토출 챔버(14)로 밀폐하여 분리하는 밀폐 플레이트(12)와, 상기 흡입 챔버(13)와 연결되어 압축되는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22)와, 상기 토출 챔버(14)와 연결되어 압축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23)와, 상기 밀폐성 외각(11)에 고정되는 비선회 스크롤 부재(15)와, 모터(미도시)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축(19)과 연계되는 선회 스크롤 부재(16)와, 상기 비선회 스크롤 부재(15)에 형성되는 공기의 압축 경로로서 비선회 나선형 랩(17)과, 상기 비선회 나선형 랩(17) 간헐적으로 면접되어 공기의 압축경로를 형성하는 선회 나선형 랩(18)과, 상기 구동축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1)과, 상기 비선회 스크롤 부재(15)의 중심부가 관통되어 압축된 유체가 상기 토출 챔버(14)로 배출되기 위한 중앙 토출 관로(26)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구조는 상기 비선회 스크롤 부재(15)의 중심이 아닌 다른 소정 부위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바이패스 포트(24)와, 상기 바이패스 포트(24)의 후방에 형성되어 유체의 경로를 가이드 하는 막음 밸브(25)와, 상기 막음 밸브(25)에서 분지되어 상기 바이패스 포트(24)를 통해서 유출된 유체가 상기 흡입 챔버(13)로 유출되도록 하는 관로인 바이패스 관로(31)가 포함된다.
그리고, 바이패스 조정 구조로는 상기 막음 밸브(25)와 연결되어 상기 막음 밸브(25)를 조정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조정관로(30)와, 상기 조정관로(30)에 가하여지는 압력이 저압관로(27) 또는 고압관로(28)로 부터 선택적으로 절환되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조정 밸브(29)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저압 관로(27)는 일단은 상기 조정 밸브(29)와 연결되고 타단은 흡입구(22)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22)의 압력이 상기 저압관로(27)에 적용된다. 그리고, 고압 관로(28)는 일단은 상기 조정 밸브(29)와 연결되고 타단은 토출구(23)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23)의 압력이 상기 고압관로(28)에 가하여 지도록 한다.
상세하게, 상기 막음 밸브(25)는 플로우트 밸브(Float Valve)가 적용되어, 소정 하우징의 내부를 자유로이 움직이는 물체에 의해서,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자유로이 움직여서 관로의 연결 상태를 변경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제시되는 바와 같은 원기둥 형상의 부체가 원형의 하우징 내부를 움직이도록 하여, 양측 중에서 저압이 가하여지는 방향으로 자유로이 움직이도록 하는 구조가 가능하고, 또 다른 예로서는 하우징의 내주를 상하로 하우징의 내부를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원형의 구슬이 공기의 흐름을 밀폐하기 위하여 통기구를 개폐하는 일정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조정 밸브(29)는 소정의 콘트롤러에 의해서 움직이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되는 바와 같은 압력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일반적인 스크롤 압축기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되는 구동축(19)이 회전되면, 상기 구동축(19)과 접촉되는 선회 스크롤 부재(16)가 선회 운동하게 된다. 이때, 비선회 스크롤 부재(15)는 정지 상태로 놓여있다.
그리고, 선회 스크롤 부재(16)가 회전되면, 선회 스크롤 부재(16)에 형성되는 선회 나선형 랩(18)과, 비선회 스크롤 부재(15)에 형성되는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흡입 챔버(13)의 내부에 있는 저압의 피 압축 유체가 유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압축된 유체는 비선회 스크롤 부재(15)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앙 토출 관로(26)를 통하여, 상기 토출 챔버(14)로 토출되고, 토출 챔버(14)의 고압 유체는 토출구(23)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압축 중인 유체의 바이패스 구조로서, 상기 막음 밸브(25)가 형성되어 있어, 막음 밸브(25)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바이패스 포트(24)를 통해서 유체가 배출될 수 없다. 그러나, 막음 밸브(25)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바이패스 포트(24)를 경유한 유체가, 상기 바이패스 관로(31)를 통해서 상기 흡입 챔버(13)의 내부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상기 막음 밸브(25)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압축 용량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바이패스 구조를 조정하는 상기 바이패스 조정 구조로서, 상기 막음 밸브(25)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하여, 막음밸브(25)에 일단이 연결되어 일정의조정 압력을 인가하는 조정관로(30)가 포함된다. 상기 조정 관로(30)의 타단에는 조정 밸브(29)가 형성되고, 상기 조정 밸브(29)는 상기 저압 관로(27) 및 고압 관로(28)로 부터 공급되는 압력이 선택적으로 상기 조정 관로(30)로 가하여지도록 함으로써, 조정 관로(30)의 압력 상태를 조정한다.
특히, 상기 저압 관로(27) 및 고압 관로(28)는 상기 흡입구(22) 및 토출구(23)에 그 타단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서 압축되기 전 또는 압축된 후의 유체압력이 저압 관로(27) 및 고압 관로(28)에 가하여 지도록 한다.
상세하게, 상기 조정 밸브(29)가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으로 이동되어 고압 관로(28)와 조정 관로(30)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조정 관로(30)에는 고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막음 밸브(25)는 도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막음 밸브(25)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닫혀 있을 때는, 상기 바이패스 포트(24)가 막혀져 압축되는 중에 있는 유체가 바이패스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압축 용량의 손실없이 많은 유체가 압축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조정 밸브(29)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저압 관로(27)와 조정 관로(30)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조정 관로(30)에는 저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막음 밸브(25)는 도 1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이동되어 열리게 된다. 왜냐하면, 스크롤 부재(15)(16)의 상호 운동에 의해서 압축 중인 유체는 적어도 흡입구(22)내의 압력보다는 압력이 높기 때문에, 플로우팅 밸브인 상기 막음 밸브(25)는 열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막음 밸브(25)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열려 있을 때는, 상기 바이패스 포트(24)가 열려 압축되는 도중에 있는 유체가 바이패스 관로(31)를 통해서 상기 흡입 챔버(13)의 내부로 바이패스되어 빠진다. 그러므로, 압축 용량이 줄어들게 되고, 이러한 경우는 유체가 바이패스되는 양만큼 압축 용량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선회 스크롤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비선회 스크롤 부재(15)는 나선형으로 꼬여있는 비선회 나선형 랩(17)과, 상기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압축된 유체가 토출되는 중앙 토출 관로(26)와, 상기 비선회 나선형 랩(17)들이 상호간에 이격되는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소정의 홀로서 압축되는 도중에 있는 유체가 바이패스되기 위한 바이패스 포트(24)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압력 조절식 스크롤 부재의 동작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5는 도 1에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와 도 6은 바이패스 포트의 개폐 상태에 따른 스크롤 부재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한편, 도 3과 도 4는 바이패스 포트가 막혀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고, 도 5와 도 6은 바이패스 포트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대향되는 상기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이격되는 공간의 사이에 바이패스 포트(24)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포트(24)는 막음 밸브(25)에 의해서 막혀있다. 이때, 상기 조정관로(30)에는 고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막음 밸브(25)는 강하게 상기 바이패스 포트(24)를 막고 있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바이패스 포트(24)가 막혀있는 상태에서는, 비선회 나선형 랩(17)과 선회 나선형 랩(18)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제 1 흡입체적(41)이 비선회 나선형 랩(17)과 선회 나선형 랩(18)이 만나는 첫 위치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흡입 체적의 형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비선회 나선형 랩(17)과 선회 나선형 랩(18)이 접촉되어 형성되는 흡입 체적은 두개가 있을 수 있다.
하나는,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내주면과 선회 나선형 랩(18)의 외주면이 만나서 형성되는 제 1 흡입 공간으로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제 1 흡입체적(41)으로 설명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외주면과 선회 나선형 랩(18)의 내주면이 만나서 형성되는 제 2 흡입 공간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지만, 선회 나선형 랩(18)이 선회되는 동작에 의해서 생성되는 흡입체적을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공간이 처음으로 시작되는 지점은 CS1(Compress Start 1)로 표시되는 지점이고, 상기 제 2 흡입공간이 처음으로 시작되는 지점은 CS2(Compress Start 2)로 표시되는 지점이다. 한편, 제 1, 2 흡입 공간의 시작 지점이 대칭적이지 아니하므로, 이러한 동작 상태를 '비대칭 운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2 흡입 공간의 시작 지점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볼 때, 한쪽에 같이 형성되는 경우를 '비대칭 운전'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는 바이패스 포트(24)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세히는, 대향되는 상기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이격되는 공간의 사이에 바이패스포트(24)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포트(24)는 막음 밸브(25)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개방된다. 이때, 상기 조정관로(30)에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저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막음 밸브(25)가 개방되어 압축 중인 유체가 바이패스되어 바이패스 포트(24) 및 바이패스 관로(31)를 통하여 흡입 챔버(13)의 내부로 바이패스되어 유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바이패스 포트(24)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비선회 나선형 랩(17)과 선회 나선형 랩(18)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제 2 흡입 체적(42)이 비선회 나선형 랩(17)과 선회 나선형 랩(18)이 만나는 첫 위치부터 형성되지 아니한다. 그 대신에 상기 바이패스 포트(24)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를 지난 지점부터 제 2 흡입체적(42)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세하게 흡입 체적의 형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비선회 나선형 랩(17)과 선회 나선형 랩(18)이 접촉되어 형성되는 흡입 체적은 기 설명된 바와 같이 두개가 있을 수 있다.
즉, 하나는,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내주면과 선회 나선형 랩(18)의 외주면이 만나서 형성되는 제 1 흡입 공간으로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제 1 흡입체적(41)으로 설명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외주면과 선회 나선형 랩(18)의 내주면이 만나서 형성되는 제 2 흡입 공간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지만, 선회 나선형 랩(18)이 선회되는 동작에 의해서 생성되는 흡입체적을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포트(24)는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내주면에 가까이 형성되므로, 제 2 흡입 공간의 형성에는 방해가 없다. 즉, 제 2 흡입 공간이 형성될 때, 상기 바이패스 포트(24)는 선회 나선형 랩(18)에 의해서 막히게 되므로, 제 2 흡입 공간은 바이패스 포트(24)의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는 것이다.
압축 초기에 상기 제 1 흡입공간이 처음으로 시작되는 지점은 CS1로 표시되는 지점이고, 압축 초기에 상기 제 2 흡입공간이 처음으로 시작되는 지점은 CS2로 표시되는 지점이다. 즉, 상기 제 1, 2 흡입 공간의 시작 지점이 스크롤 부재(15)(16)의 중심을 기점으로 양자가 대칭적이므로, 이러한 동작 상태를 '대칭 운전'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상기된 바와 같은 '대칭 운전'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바이패스 포트(24)의 형성 위치는 비선회 스크롤 부재(15)의 중심부를 기점으로 비선회 나선형 랩(17) 시작 부위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제 1 흡입체적(41)과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제 2 흡입체적(42)을 비교하면, 흡입체적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제 1 흡입체적(41)은 제 2 흡입체적(42)에 비하여 크고, 이는 곧 비대칭 운전 상태에서는, 보다 많은 유체가 압축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상기 제 2 흡입공간은 양자간에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흡입체적(41)과 제 2 흡입체적(42)의 공간이, 바이패스 포트(24)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에 따라 양자 간에 차이가 남으로써 발생되는흡입 공간의 체적 차이에 의해서, 압축 용량에 차이가 날 수 있게 된다.
실험에 따르면, 바이패스 포트(24)가 폐쇄되어 압축이 가능한 전체의 용량(전 부하)으로 압축을 시행할 경우에는, 바이패스 포트(24)가 개방되어 압축이 가능한 전체의 용량에 대비하여 일 부분의 용량(부분 부하)에 대해서만 압축을 시행할 경우에 비하여, 18%정도의 압축 용량의 증대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바이패스 포트(24)의 개방 상태/막음 밸브(25)의 개방 상태/조정 밸브(29)의 조정 상태의 변경에 따라서, 스크롤 압축기는 비대칭/대칭 운전으로 운전 상태가 전환된다. 그리고, 운전 상태의 전환은 흡입체적의 증감으로 이어져 압축 용량의 가변을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정 밸브(29)의 조정 상태가 고압 관로(28)와 조정관로(30)를 연결하는 쪽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막음 밸브(25)가 도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이동되고, 바이패스 포트(24)는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 흡입공간의 시작 지점이 비대칭으로서 스크롤 압축기는 비대칭 운전상태가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는 압축 용량이 증가되므로, 큰 압축 용량이 요구되는 공조기의 난방 운전 상태에 적합할 수 있다..
이와 반대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조정 밸브(29)의 조정 상태가 저압 관로(27)와 조정관로(30)를 연결하는 쪽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막음 밸브(25)가 도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이동되고, 바이패스 포트(24)는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 흡입공간의 시작 지점이 대칭으로서 스크롤 압축기는 대칭 운전상태가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는 압축 용량이 감소되므로, 작은 압축 용량이 요구되는공조기의 냉방 운전 상태에 적합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공조기의 냉/난방의 운전 상태를 예시적인 설명에 지나지 아니하면, 압축 용량의 차이가 필요한 그 어느 사용처라 하더라도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많은 부분에서 기 설명된 바가 있는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조정 밸브를 기점으로 하는 연결 상태만이 변경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조정관로(52)와, 조정 밸브(53), 및 고압관로(51)가 형성되는 것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 밸브(53)의 또 다른 연결관로인 저압 관로(도 1의 27참조)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저압 관로(27)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조정밸브(53)가 도 7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이동되어 고압이 조정관로(52)에 가해지지 아니한다.
또한, 그 경우에는 조정관로(52)의 내부 압력이, 바이패스 포트(24)가 형성된 지점의 압력으로서,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중인 유체의 중간 압력보다 작으므로, 상기 막음 밸브(25)가 개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막음 밸브(25)는 소정의 하우징 내부에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플로우팅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적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많은 부분에 있어서는 도 1내지 도 7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여, 스크롤 압축기에 압축되는 중에 있는 유체가 중간 단계에서 바이패스되어 압축이 수행되지 아니하는 것은 동일하다. 다만, 두개 이상의 조정관로, 조정 밸브, 저압 관로, 고압 관로, 및 바이패스 포트 등이 하나의 스크롤 압축기에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바이패스되는 냉매의 양 및 압축되는 상기 냉매의 양에 따르는 압축용량의 차이가 다단으로 조정되도록 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하면, 다수의 바이패스 포트가 개별적으로 조작되어, 압축 중인 냉매가 각각의 바이패스 포트에서 다른 상태에서 바이패스되도록 함으로써, 바이패스되는 냉매의 양을 다수의 단계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스크롤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 중에 있는 유체가 바이패스될 수 있는 첫번째 바이패스 구조로서, 제 1 바이패스 포트(241), 제 1 막음 밸브(251), 제 1 바이패스 관로(311), 제 1 조정관로(291), 제 1 조정밸브(291), 제 1 고압관로(281), 제 1 저압관로(271)가 형성되어 압축 중인 유체가 바이패스되도록 한다.
상기되는 첫번째 바이패스 구조의 유로 조작에 의해서, 유체가 스크롤 부재(15)(16)의 선회/비선회 운동에 의해서 압축되는 중에 바이패스되어, 압축 용량을 변경시킬 수 있다. 그 외의 상세한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두번째 바이패스 구조로서, 제 2 바이패스 포트(242), 제 2 막음 밸브(252), 제 2 바이패스 관로(312), 제 2 조정관로(292), 제 2 조정밸브(292),제 2 고압관로(282), 제 2 저압관로(272)가 형성되어 압축 중인 유체가 바이패스 되도록 한다.
상기 두번째 바이패스 구조는, 상기 첫번째 바이패스 구조에 의해서 바이패스된 뒤에, 다시 압축되기 시작하는 유체가 바이패스되기 위한 구조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 1 바이패스 포트(241)는 제 2 바이패스 포트(242) 보다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나선 방향의 꼬임에서 안쪽에 형성된다.
상기 두번째 바이패스 구조에 의해서 유체가 바이패스되는 경우에는, 스크롤 압축기를 통해서 압축되는 유체의 양은 첫번째 바이패스 구조만이 열리는 경우보다 더욱 줄어들게 된다.
또한, 세번째 바이패스 구조로서, 제 3 조정관로(293), 제 3 조정밸브(293), 제 3 고압관로(283), 제 3 저압관로(273)가 형성되어 압축 중인 유체가 바이패스 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는 제 3 바이패스 포트, 제 3 막음밸브, 및 제 3 바이패스 관로가 더 포함된다.
상기 세번째 바이패스 구조는, 상기 첫번째 바이패스 구조 및 두번째 바이패스 구조에 의해서 바이패스된 뒤에, 다시 압축되기 시작하는 유체가 바이패스되기 위한 구조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 3 바이패스 포트(243)는 제 1, 2 바이패스 포트(241)(242)보다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나선 방향의 꼬임에서 안쪽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바이패스 포트(241)(242)(243)의 형성 위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포트의 형성 위치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비선회 스크롤 부재(15)의 내면에는 비선회 나선형 랩(17)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 랩을 따라서 형성되는 나선형의 공간에는 외측에서 안쪽으로 들어가는 순서대로, 제 1 바이패스 포트(241), 제 2 바이패스 포트(242), 제 3 바이패스 포트(24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바이패스 포트(241) 및 제 3 바이패스 포트(243)는 상기 제 2 흡입 공간을 통해서 흡입되는 유체가 바이패스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2 바이패스 포트(242)는 상기 제 1 흡입 공간을 통해서 바이패스 된다. 제 1, 2 바이패스 포트의 설명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비선회 나선형 랩과 선회 나선형 랩이 접촉되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구분될 수 있다.
다만, 다수의 바이패스 포트(241)(242)(243)가 형성될 수 있는 위치는 설명된 바와 같은 것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도면에 제시되는 3 개를 넘어서 보다 많거나 적으면서도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흡입 공간 또는 제 2 흡입 공간 중에서 어느 곳에 형성되는 지에 있어서도 요구되는 구체적인 압축 용량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제시되는 위치에 바이패스 포트가 형성되는 경우에 구현이 가능한 압축 용량의 변화는 표 1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압축 용량 제 1 바이패스 포트 제 2 바이패스 포트 제 3 바이패스 포트
100% 닫힘 닫힘 닫힘
80% 열림 닫힘 닫힘
60% 열림 열림 닫힘
40% 열림 열림 열림
상기 바이패스 포트(241)(242)(243)가 상기 막음밸브(251)(252)(253)에 가하여지는 압력에 따라 열리거나 닫힘으로써, 스크롤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되는 용량의 변화가 네 단계로 달리 압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가 냉동 시스템 또는 열펌프 시스템에 적용될 때, 구체적인 압축 용량의 변화가 세개 이상의 단계별로 달리 운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열려있는 바이패스 포트(241)(242)(243) 중에서 비선회 나선형 랩(17)을 따라서 가장 안쪽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포트가 열리는 경우에는, 그 바깥쪽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포트가 열리는 지에 무관하게 압축되는 용량은 기대된 바와 같이 정하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40%의 압축용량으로 스크롤 압축기를 운전하고자할 때에는, 제 3 바이패스 포트(243)가 열리기만 하면 무관하고, 제 1 바이패스 포트(241)의 열림 또는 닫힘과는 무관하다. 그러나, 제 1 바이패스 포트(241)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유체를 압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터 일이 그만큼 증가하기 때문에, 기기의 전체 효율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할 수는 있다.
다만, 이와 같이 비선회 나선형 랩(17)을 따라서 안쪽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포트가 열리는 경우에, 바깥 쪽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포트의 열림/닫힘과는 무관하게 압축 용량이 산정될 수 있는 것은, 동일한 흡입 공간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포트에 한정된다. 상세하게, 제 1 흡입 공간에 형성되는 다수의 바이패스 포트들은 제 1 흡입공간들에만 영향을 미치고, 제 2 흡입 공간에 형성되는 다수의 바이패스 포트들은 제 2 흡입 공간에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제 2 흡입 공간에 형성되는 제 1 바이패스 포트(241) 및 제 3 바이패스 포트(243)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 3 바이패스 포트(243)가 열리는 경우에, 제 1 바이패스 포트(241)는 열림/닫힘과 무관하게 정하여져 있는 압축용량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의 또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형태에 따른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는, 스크롤 압축기의 일반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바이패스 포트가 형성되는 도 1내지 도 10에 의해서 설명된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바이패스 포트를 통해서 유체가 바이패스되는 것과 달리, 일정한 고압 유체가 바이패스 포트에 더 가하여 짐으로써, 스크롤 압축기의 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히는, 스크롤 압축기의 비선회 스크롤 부재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비선회 스크롤 부재의 외주에서 내부의 압축 공간까지 연장되어 닿는 주입포트(257)와, 상기 주입포트(257)의 유로 상에 형성되는 주입밸브(254)와, 주입밸브(254)으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고압이 인가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 탄성을 인가하는 탄성부재(256)와, 상기 주입 포트(257)에서 스크롤 압축기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 4 조정관로(304)와, 상기 조정관로(304)의 일정위치에 형성되는 제 4 조정밸브(294)와, 제 4 조정밸브(294)에서 더 연장되어 냉동/열펌프 시스템의 구성요소로 형성되는 응축기와 연결되는 응축기 연결 관로(274)가 포함된다.
한편, 주입밸브(254), 주입포트(257), 및 탄성 부재(256)등은 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으로서, 단면의 형상이 제시되는 바와 같은 형상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세히는, 제 4 조정관로(304)는 제 4 조정밸브(294)로부터 연장되어 주입밸브(254)로까지 연장 형성되기만 하면 족하다. 그리고, 주입포트(257)는 비선회 스크롤 부재의 압축 공간에 일단이 닿아 형성되고, 상기 비선회 스크롤 부재의 바깥까지 연장되기만 하면 족하고, 주입밸브(254)는 주입포트(257)의 관로 상에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단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또한, 탄성부재(256)는 주입밸브(254)에 응축기로부터 바이패스되는 고압이 가하여지는 경우에 유체가 관로를 통해서 흐를 수 있고, 압력이 가하여지지 아니하는 경우에, 유체가 관로를 통해서 흐리지 아니할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이 가하여지기만 하면 족하고, 그 형태는 제시되는 바와 같은 스프링 형상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되는 바와 같이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의 운전 상태를 인젝션 운전(Injection Operation)이라고 이름할 수 있다.
인젝션 운전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인젝션 운전은 냉동/열펌프 시스템에서 응축기를 통과하거나 통과중인 고압의 유체를 압축기로 바이패스함으로써, 압축기에 보다 많은 일이 가하여지도록 함으로써, 유체가 보다 고압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세히는, 상기 제 4 조정밸브(294)가 열림 상태로서 응축기로부터의 고압이 가하여지는 경우에는, 주입밸브(254)가 고압의 유체에 의한 미는 힘에 의해서, 탄성 부재(256)의 탄성력을 이기고, 주입포트(257)를 통해서 비선회 스크롤 부재의 압축 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다.
그러나, 제 4 조정밸브(294)가 닫힘 상태로서, 응축기로부터의 고압이 가하여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256)의 탄성력에 의해서 주입밸브(254)가 닫힘으로써, 응축기로부터의 고압 유체가 압축공간으로 주입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비선회 스크롤 부재의 압축 공간에서 압축 중에 있는 유체가 바이패스될 수도 없다.
결국에는, 제 4 조정 밸브(294)의 열림/닫힘 상태에 따라서,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조건이 변화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압축 조건의 변화에 의해서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용량이 조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적은 압축 용량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4 조정밸브(294)를 닫아서 보통의 상태로 운전될 수 있도록 하고, 많은 압축 용량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조정밸브(294)를 열어서, 보다 고압의 상태에서 스크롤 압축기가 운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내지 도 14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다수의 압축 용량 조정 구조가 동시에 적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의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내지 도 14에 도시되는 스크롤 압축기는 대칭/비대칭 운전 및 인젝션 운전을 위한 구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크롤 압축기의 상태이다. 상세하게 이와 같은 스크롤 압축기는 인젝션 운전을 위한 응축기 연결 관로(274), 제 4 조정밸브(294), 제 4 조정관로(304), 주입밸브(254), 주입 포트(257), 탄성 스프링(25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입밸브(254)의 상단부는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되어, 응축기로부터 바이패스된 고압의 유체가 바이패스 포트(257)로 가이드되도록 한다.
또한, 대칭/비대칭 운전을 위한 제 1, 2 저압관로(271)(272), 제 1, 2 조정관로(301)(302), 제 1, 2 고압관로(281)(282), 제 1, 2 조정밸브(291)(292), 제 1, 2 막음밸브(251)(252), 제 1, 2 바이패스 포트(241)(242), 제 1, 2 바이패스 포트(241)(242), 흡입구(22), 토출구(23)가 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다만, 스크롤 압축기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지점에서 압축 중인 유체가 바이패스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바이패스 포트 및 그와 연관되는 유체의 바이패스 통로가 형성될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막음밸브(251)(252)의 동작은 막음밸브(251)(252)에 가하여지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조작됨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주입밸브(254)의 상단은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주입밸브(254)가 하향 이동되었을 때에는, 제 4 조정관로(304)가 주입 포트(257)와 연통되어, 고압의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주입밸브(254)가 상향 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주입밸브(254)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소정의 관로를 통하여 주입 포트(257)와 제 2 바이패스 관로(312)가 상호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제 2 막음밸브(252)를 통하여 압축 중인 유체가 바이패스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제 2 막음밸브(252)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압축 중인 유체가 제 2 바이패스 관로(312)를 통하여 빠져나갈 수 없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한편, 도면에서 제 1 바이패스 포트(241)는 제 2 바이패스 포트(242)에 비해서 비선회 스크롤 부재의 바깥 쪽에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 1 막음밸브(251)는 열려있고, 제 2막음밸브(252) 및 주입밸브(254)는 닫혀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약간의 압축 중인 유체가 바이패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느 정도의 압축 중인 유체가 바이패스될 수 있는 상태의 운전을 '표준 운전 조건'이라고 이름하도록 한다.
도 12에 제시되는 상태에서는, 제 1 막음밸브(251) 및 제 2 막음밸브(252)는 열려있고, 주입밸브(254)는 닫혀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제 1 막음밸브(251)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제 2 막음밸브(252)를 통해서도 압축 중인 유체가 바이패스되기 때문에, 스크롤 압축기에 의한 압축 용량은 상기 '표준 운전 조건'에 비해서 더 작게 된다.
이러한 운전 조건을 '바이패스 운전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3에 제시되는 상태에서는, 제 1 막음밸브(251), 제 2 막음밸브(252) 및 주입밸브(254)가 모두 닫혀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스크롤 압축기에서 압축 도중에 바이패스되는 유체가 하나도 없는 상태이므로, '표준 운전 조건' 또는 '바이패스 운전 조건'에 비해서 압축 용량이 더 크다.
만약, 두개의 바이패스 포트가 비선회 스크롤 부재의 대략 중심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바이패스 포트는 상기 비선회 스크롤 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에 비대칭으로 형성될 것이므로, 이러한 운전 조건을 '비대칭 운전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4에 제시되는 상태에서는, 제 1 막음밸브(251)는 닫혀있고, 제 2 막음밸브(252) 및 주입밸브(254)는 열려있다. 그러므로, 응축기로부터 바이패스되는 고압의 유체가 스크롤 압축기로 주입되고,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용량은 보다 커지게된다.
물리적으로 그 상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주입밸브(254)에 의해서, 제 2 바이패스 관로(312)로 바이패스되는 유체는 없고, 그 대신에 제 4 조정관로(304)를 통해서 주입되는 유체가 주입포트(257), 제 2 바이패스 포트(242)를 통해서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공간의 내부로 주입된다. 이러한 운전 상태를 '비대칭/인젝션 운전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도 11내지 도 14에서 제시되는 상태는 하나의 실시 형태에 지나지 아니하며, 다수의 바이패스 포트가 형성되거나, 다수의 주입포트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수의 압축 용량 단계로 스크롤 압축기를 운전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상기되는 각각의 운전 조건을 단일의 표로 구성하면, 하기 되는 표 2와 같다.
운전 조건 압축용량비교(%)
비대칭/인젝션 운전 조건 130%
비대칭 운전 조건 115%
표준 운전 조건 100%
바이패스 운전 조건 40%
상기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바이패스 포트가 개방되어 유체가 바이패스되는 상태를 표준 운전 조건인 100%로 보는 상태에서, 그 외의 운전 조건은 여러 단계별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바이패스 포트가 형성되는 경우 또는 주입포트만이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서, 보다 폭 넓은 압축 용량의 단계로 구분되어 스크롤 압축기를 운전할 수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다단으로 구분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롤 압축기의 운전 상태는 부하 조건에 따라서 여러 단계별로 구분되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크롤 압축기의 사용상의 효율은 한층 더 높아질 수 있게된다.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압축 용량을 다단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냉동 시스템 또는 열펌프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압축 용량에 보다 적합하게 대응하여 스크롤 압축기를 운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인젝션 운전 및 바이패스 운전이 동시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크기 및 출력이 적용되는 스크롤 압축기에 비해서 상하로 보다 넓은 압축 용량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 모터의 회전수가 동일한 상태에서 간단한 구성으로도 유체의 바이패스 기능 및 고압 유체의 주입을 이용하여 압축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없이, 스크롤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되기 전과, 압축된 후의 유체 압력을 이용하여 밸브를 구동함으로써, 스크롤 압축기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축 용량을 보다 많은 단계로 변경시키며, 스크롤 압축기를 운전할 수 있게 되므로, 시스템의 용량에 맞추어 보다 적합하게 스크롤 압축기를 가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응축기로부터 분지되고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공간으로 연장되어 응축기의 고압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조정관로;
    상기 조정관로와 일단이 닿고, 그 타단은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공간과 닿는 주입 포트;
    상기 주입 포트에 형성되어, 상기 조정관로에 고압 유체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체가 흐르게 되고, 상기 고압 유체가 인가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주입 밸브가 포함되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밸브는 주입 밸브에 압력이 가하여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원 상태를 유지하고, 고압이 가하여지는 경우에는 주입 포트를 폐쇄하기 위한 탄성 부재가 포함되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3. 응축기로부터 분지되고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공간으로 연장되어 응축기의 고압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조정관로;
    상기 조정관로와 일단이 닿고, 그 타단은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공간과 닿는 주입 포트;
    상기 주입 포트에 형성되어, 상기 조정관로에 고압 유체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체가 흐르게 되고, 상기 고압 유체가 인가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주입 밸브;
    스크롤 부재의 압축 공간을 따라서 한개 이상 형성되어, 압축 중인 유체가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지점에서 각각 바이패스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포트;
    일단이 상기 바이패스 포트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롤 압축기 내에서 압축되기 전의 저압 상태인 유체가 저장되는 흡입 챔버와 연결되는 바이패스 관로;
    상기 바이패스 포트와 상기 바이패스 관로의 연결 상태를 개방 또는 폐쇄 상태로 조작하기 위한 막음 밸브;
    상기 막음 밸브의 위치를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흡입구의 저압 유체와,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토출구의 고압 유체가 선택적으로 상기 막음 밸브에 인가되도록 하기 위한 조정 밸브가 포함되어 다단으로 압축 용량이 조정되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포트는 상기 바이패스 관로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밸브의 몸체에는 소정의 홀이 형성되어, 압축 중인 유체가 상기 주입 밸브의 움직임에 따라 바이패스 관로를 통해 바이패스될 수 있도록 하는 용량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밸브의 상단은 유체의 흐름이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해서 경사져 형성되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7.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되기 전의 저압 또는 고압유체의 압력이 밸브에 의해서 선택되어 인가되는 관로;
    상기 관로에 의해서 스크롤 부재의 압축 경로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포트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막음밸브; 및
    응축기로부터 바이패스되는 고압의 유체가 소정의 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흡입되어 주입 포트를 통해서 압축기의 압축 공간의 안으로 흡입되는 주입밸브가 포함되어 압축 용량이 가변 조절되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KR1020030051773A 2003-07-26 2003-07-26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KR100547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773A KR100547322B1 (ko) 2003-07-26 2003-07-26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US10/832,379 US7513753B2 (en) 2003-07-26 2004-04-27 Variable capacity scroll compressor
CNB2004100433080A CN100343522C (zh) 2003-07-26 2004-05-14 变容量涡旋式压缩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773A KR100547322B1 (ko) 2003-07-26 2003-07-26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636A true KR20050012636A (ko) 2005-02-02
KR100547322B1 KR100547322B1 (ko) 2006-01-26

Family

ID=3407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773A KR100547322B1 (ko) 2003-07-26 2003-07-26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13753B2 (ko)
KR (1) KR100547322B1 (ko)
CN (1) CN100343522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007B1 (ko) * 2012-08-01 201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20160086654A (ko) * 2015-01-12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US10578106B2 (en) 2014-12-12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res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517B1 (ko) * 2005-01-27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 가변형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US20070036661A1 (en) * 2005-08-12 2007-02-15 Copeland Corporation Capacity modulated scroll compressor
US20090071183A1 (en) * 2007-07-02 2009-03-19 Christopher Stover Capacity modulated compressor
WO2009055009A2 (en) 2007-10-24 2009-04-3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croll compressor for carbon dioxide refrigerant
KR101368394B1 (ko) * 2007-10-30 2014-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ES2647783T3 (es) 2008-05-30 2017-12-2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or que tiene un sistema de modulación de la capacidad
CN102089523B (zh) 2008-05-30 2014-01-08 艾默生环境优化技术有限公司 具有容量调节系统的压缩机
EP2307728B1 (en) 2008-05-30 2016-08-1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output adjustment assembly including piston actuation
FR2940373B1 (fr) * 2008-12-19 2014-07-04 Danfoss Commercial Compressors Compresseur frigorifique a spirales
US8328531B2 (en) * 2009-01-22 2012-12-11 Danfoss Scroll Technologies, Llc Scroll compressor with three-step capacity control
US7988433B2 (en) 2009-04-07 2011-08-0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assembly
US8568118B2 (en) * 2009-05-29 2013-10-2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piston assembly
US8616014B2 (en) * 2009-05-29 2013-12-3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or fluid injection systems
US8517703B2 (en) * 2010-02-23 2013-08-27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including valve assembly
US9249802B2 (en) 2012-11-15 2016-02-0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US9651043B2 (en) 2012-11-15 2017-05-1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valve system and assembly
US9127677B2 (en) 2012-11-30 2015-09-0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capacity modulation and variable volume ratio
US9435340B2 (en) 2012-11-30 2016-09-0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croll compressor with variable volume ratio port in orbiting scroll
US20150004039A1 (en) * 2013-06-28 2015-01-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apacity-modulated scroll compressor
US9739277B2 (en) 2014-05-15 2017-08-2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apacity-modulated scroll compressor
US9989057B2 (en) 2014-06-03 2018-06-0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ariable volume ratio scroll compressor
JP6090248B2 (ja) * 2014-07-08 2017-03-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
JP2016142258A (ja) * 2015-02-05 2016-08-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US9790940B2 (en) 2015-03-19 2017-10-17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ariable volume ratio compressor
US10378540B2 (en) 2015-07-01 2019-08-1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thermally-responsive modulation system
US10598180B2 (en) 2015-07-01 2020-03-24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thermally-responsive injector
CN207377799U (zh) 2015-10-29 2018-05-18 艾默生环境优化技术有限公司 压缩机
CN105927540B (zh) * 2016-05-02 2018-02-23 东北电力大学 涡旋‑旋转式多级变容量压缩机
US10890186B2 (en) 2016-09-08 2021-01-1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US10801495B2 (en) 2016-09-08 2020-10-1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Oil flow through the bearings of a scroll compressor
CN109996961B (zh) * 2016-11-24 2020-12-1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涡旋式压缩机
US10753352B2 (en) 2017-02-07 2020-08-2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discharge valve assembly
CN108626117B (zh) * 2017-03-23 2020-05-19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双圈涡旋压缩组件及涡旋压缩机
US11022119B2 (en) 2017-10-03 2021-06-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ariable volume ratio compressor
US10962008B2 (en) 2017-12-15 2021-03-3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ariable volume ratio compressor
CN110067749A (zh) * 2018-01-22 2019-07-30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具有容量调节系统的涡旋压缩机
US10995753B2 (en) 2018-05-17 2021-05-04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assembly
CN111502987B (zh) * 2019-01-30 2022-06-28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容量调节和喷气增焓一体式涡旋压缩机及其系统
US11656003B2 (en) 2019-03-11 2023-05-2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limate-control system having valve assembly
KR102461069B1 (ko) * 2020-11-18 2022-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압축기
US11655813B2 (en) 2021-07-29 2023-05-2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modulation system with multi-way valve
US11846287B1 (en) 2022-08-11 2023-12-19 Copeland Lp Scroll compressor with center hub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0789A (en) 1980-12-27 1982-07-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ntrol device for scroll type compressor
JPS60101296A (ja) * 1983-10-21 1985-06-05 Hitachi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JP2631649B2 (ja) 1986-11-27 1997-07-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5180182A (ja) 1992-01-07 1993-07-20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装置
JP3376692B2 (ja) * 1994-05-30 2003-02-10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3767129B2 (ja) * 1997-10-27 2006-04-19 株式会社デンソー 可変容量圧縮機
US6478550B2 (en) * 1998-06-12 2002-11-12 Daikin Industries, Ltd. Multi-stage capacity-controlled scroll compressor
JP2974009B1 (ja) 1998-06-12 1999-11-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多段階容量制御スクロール圧縮機
JP4300712B2 (ja) * 2000-03-15 2009-07-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蔵庫
JP2001354028A (ja) * 2000-06-14 2001-12-25 Denso Corp 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
US6266968B1 (en) * 2000-07-14 2001-07-31 Robert Walter Redlich Multiple evaporator refrigerator with expansion valve
KR100397561B1 (ko) * 2001-08-20 2003-09-1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스크롤 압축기의 보호장치
KR100459451B1 (ko) 2002-04-29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고진공 방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007B1 (ko) * 2012-08-01 201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US10578106B2 (en) 2014-12-12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ressor
KR20160086654A (ko) * 2015-01-12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7322B1 (ko) 2006-01-26
CN1576604A (zh) 2005-02-09
CN100343522C (zh) 2007-10-17
US7513753B2 (en) 2009-04-07
US20050019178A1 (en)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322B1 (ko)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KR100547321B1 (ko)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US10962008B2 (en) Variable volume ratio compressor
KR100557057B1 (ko)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KR100557056B1 (ko)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KR930012234B1 (ko) 용량제어 공기조화기
KR100323564B1 (ko) 이코노마이저와 흡입부 사이에 언로더 밸브를 구비한 스크롤압축기
JP4856091B2 (ja) 容量可変型ロータリ圧縮機及びこれを備える冷却システム
US7674098B2 (en) Scroll compressor with vapor injection and unloader port
US9360011B2 (en) System including high-side and low-side compressors
KR100629872B1 (ko)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콘의운전 방법
AU756840B2 (en) Air conditioner
WO2014192898A1 (ja) スクリュー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8221104B2 (en) Screw compressor having a slide valve with hot gas bypass port
JP5515289B2 (ja) 冷凍装置
KR890000939B1 (ko) 가역냉동 사이클용의 압축기
CN108361195A (zh) 可变排量涡旋压缩机
JP2017186924A (ja) 圧縮機
KR100621027B1 (ko)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KR100621026B1 (ko)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KR101122080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194608B1 (ko)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WO2018003431A1 (ja) 多段圧縮機
JP5321055B2 (ja) 冷凍装置
KR20080093759A (ko) 다-속도 스크롤 압축기 및 이코노마이저 서킷이 구비된냉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