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939B1 - 가역냉동 사이클용의 압축기 - Google Patents

가역냉동 사이클용의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939B1
KR890000939B1 KR1019860005291A KR860005291A KR890000939B1 KR 890000939 B1 KR890000939 B1 KR 890000939B1 KR 1019860005291 A KR1019860005291 A KR 1019860005291A KR 860005291 A KR860005291 A KR 860005291A KR 890000939 B1 KR890000939 B1 KR 890000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slider
refrigerant
control circuit
refrigera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511A (ko
Inventor
마사오 오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7000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6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of fluid flow rever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839Four port revers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역냉동 사이클용의 압축기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 냉동 사이클회로의 구성도.
제2도 압축기의 압축기 부요부의 종단면도.
제3도 압축기부의 횡단면도.
제4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4도 압축기 부요부의 종단면도.
제5도 또 다른 압축기부의 종단면도.
제6도 또 다른 압축기 부요부의 종단면도.
제7도 또 다른 압축기 부요부의 종단면도.
제8도 그 압축기부의 횡단 평면도.
제9도 또 다른 압축기 부요부의 종단면도.
제10도 종래예의 것을 나타낸 냉동 사이클회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밀폐용기 7 : 압축기부
Pa : 제1의 냉매관 Pb : 제2의 냉매관
19 : 슬라이더 13 : 밸부기구
30 : 개폐밸브 14 : 제어회로
본 발명은 가역 냉동 사이클인, 예를 들면 냉난방운전을 전환할 수 있는 히이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에 사용되는 압축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냉 난방운전을 전환할 수 있는 종래의 히이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는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가역냉동 사이클로 구성되었다.
즉, 도면중 1은 압축기, 2는 사방향 전환밸브, 3은 실외쪽 열교환기, 4는 감압장치인 팽창밸브, 5는 실내쪽 열교환기이며, 이것들은 냉매관(P)에 의하여 상호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압축기(1)는 특히 일반 가정용등 작은 용량의 것에서는 회전 효율이 좋고 소형인 회전식(로타리식)의 것이 많이 사용된다.
전술한 압축기(1)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냉매는 압축되고 냉매관(P)으로 토출한다.
냉방운전시에는 도면중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냉매가 흐르고, 난방운전시에는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냉매가 흐르도록 주지의 냉동사이클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같이 해서 냉난방운전을 전환하여도 압축기(1)의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의 회전방향은 항상 동일하므로 이것에 접속되는 한쪽의 냉매관(P)은 냉매 가스의 토출쪽이며 다른쪽의 냉매관(P)은 흡입쪽이라는 것은 변함이 없다.
냉난방 운전의 전환은 전술한 사방향 전환밸브(2)의 냉매 유동방향을 전환함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은 주지하는 바이다.
일반적으로 사방향 전환밸브(2)는 밸브 본체내에 밸브기구와 파일롯밸브 및 이것을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 코일부로 이루어지지만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고장율이 많으며 신뢰성이 낮고, 가격면으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밸브 본체에는 4개의 냉매관의 끝부분을 접속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동시에 솔레노이드 코일부에 대한 전기 배선을 할 필요가 있어서 배관 공간 및 공정수가 많아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또한 전환 동작시에 있어서는 밸브기구의 동작음 및 냉매음이 크며 또한 솔레노이드 코일부가 전기를 소비하여서 운전비용에 영향을 준다.
이와같은 일로 인하여 냉매의 유동방향의 전환에 있어서 사방향 전환밸브(2)의 대신하는 간단한 구성으로서 신뢰성이 높고, 또한 비용면에서도 경제적인 것을 채택하기를 소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소형이며 고장율이 적고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배관 및 배선의 공정수가 적게들고 저렴한 비용으로 운전되며 사이클 전환시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한 가역 냉동 사이클용의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밀폐용기내에 회전축을 거쳐서 서로 연결되는 전동기부 및 압축기부를 수용하고 전술한 밀폐용기에 냉동사이클 구성기기와 통하도록 연결하는 제1, 제2의 냉매관을 접속하며 전술한 압축기부에 슬라이더(slider)가 있는 밸브 기구를 설치하고, 이 밸브기구에 개폐밸브가 있는 제어회로의 적어도 한 끝부분을 접속하여 전술한 개폐밸브의 개폐조작에 따라서 슬라이더를 미끄럼 동작시켜서 냉매 가스를 어느쪽인가 한쪽의 냉매관으로 부터 빨아드려 다른쪽의 냉매관으로 부터 토출하도록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역냉동 사이클용의 압축기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소위 히이트 펌프식이라 불리우는 가역냉동 사이클을 나타낸 것이며 도면중 10은 회전식 압축기(이하 “압축기”라 칭함)이며 종래의 것과 완전히 동일한 실외쪽 열교환기(3), 감압장치인 캐필레리튜브(capillary tube) (팽창밸브라도 좋다) (4 ), 실내쪽 열교환기(5)들이 냉매관(P)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압축기(10)와 실내쪽 열교환기(5)를 통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제1의 냉매관(Pa), 압축기(10)와 실외쪽 열교환기(3)를 통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제2의 냉매관(Pb)이라한다.
압축기(10)는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된다.
즉 밀폐용기(6)내의 하부에 압축기부(7)가 수용되며 이것과 회전축(8)에 의해서 도시하지 않은 전동기부가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압축기부(7)는 회전축(8)에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끼워서 부착되며 회전축(8)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주베어링(9)와 보조베어링(10)와, 이들 주베어링과 보조베어링 사이에 설치되는 실린더(11)와, 이 실린더(11)내에서 편심회전하는 로울러(12) 및 다음에 설명하는 밸브기구(13)와 제어회로(14)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기구(13) 및 제어회로(14)를 제외한 구성은 종래부터 사용되는 공지의 회전식 압축기와 완전히 동일하다.
전술한 밸브기구(13)는 실린더(11)와 주베어링(9) 및 보조베어링(10)의 플랜지부에 걸쳐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제1의 냉매관(Pa)과 제2의 냉매관(Pb)은 실린더(11)의 내주벽으로 부터 외주벽에 걸쳐서 관통하는 동시에 밀폐용기(6)를 관통하며, 또한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의 흡입구멍(15a)과 제2의 흡입구멍(15b)과 각각 일직선상에 있다.
또한 실린더(11)에 있어서의 전술한 제1, 제2의 흡입구멍(15a) (15b)의 중간 부분은 상하 방향에 걸쳐서 설치되는 슬라이더 가이드구멍(16)에 의해서 통하도록 연결된다.
이 슬라이더 가이드구멍(16)의 상단부인 주베어링(9)의 플랜지부에는 오목부분으로 된 고압실(17)이 설치되고 하단부인 보조베어링(10)의 플래지부에는 오목부인 저압실(18)이 설치된다.
전술한 슬라이더 가이드구멍(16)에는 슬라이더(19)가 축선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자유롭도록 끼워 맞추어져 있어서 이것은 둘레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어떠한 수단이 취하여져 있다.
전술한 저압실(18)에는 압축스프링(20)이 수용되어 있어서 슬라이더(19)를 항상 고압실(17)쪽으로 탄성적으로 누르고 있다.
슬라이더(19)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전술한 제1, 제2의 흡입구멍(15a), (15b)과 일직선상에 일치하게 되는 제1, 제2의 관통구멍(21a) (22b)이 뚫어져 있다.
또한 이것들 제1, 제2의 관통구멍(21a) (21b)의 상하 양쪽에도 단면에 대략 U자형의 제1, 제2의 슬릿(22a) (22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주베어링(9)의 플랜지부 윗면으로 부터 실린더(11)의 둘레벽 중간 부분에 걸쳐서 가스구멍(23)이 설치된다.
즉, 이 가스구멍(23)은 전술한 슬라이더 가이드구멍(16)과 소정의 간격을 두며 또한 이것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이 가스구멍(23)과 제1의 흡입구멍(15a) 및 슬라이더 가이드구멍(16)은 제1의 가스 배출구멍(24a)에 의해서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가스구멍(23)과 제2의 흡입구멍(15b) 및 슬라이더 가이드구멍(16)은 제2의 가스 배출구멍(24b)으로 통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실린더(11) 상단쪽의 슬라이더 가이드구멍(16)과 실린더(11)내 사이에는 고압쪽 슬릿(25)에 의해서 통하도록 연결되며 실린더(11) 하단쪽의 슬라이더 가이드구멍(16)과 실린더(11)내 사이에는 저압쪽 슬릿(26)에 의해서 통하도록 연결된다.
주베어링(9)의 플랜지부에는 실린더(11)내에 대향하는 배출구멍(27)이 설치되며 배출 밸브(28)에 의해서 개폐된다.
전술한 제어회로(14)는 그 한쪽 끝부분의 밀폐용기(6)내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 끝부분은 밀폐용기(6)와 주베어링(9)의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전술한 고압실(17)로 연결되어 있는 압력 인출관(29)과, 이 압력 인출관(29)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전자 개폐밸브(30)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서 제1도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냉매를 유도할때 즉 압축기(10), 실외쪽 열교환기(3), 캐필레리튜브(4), 실내쪽 열교환기(5)의 순서로 냉매를 흐르도록 하는 냉방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전자 개폐밸브(30)을 개방 하면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압축기(10)의 구동에 따라서 밀폐용기(6)내에 압축된 고압의 냉매 가스가 충만하며, 그 일부는 압력 인출관(29)과 전자 개폐밸브 (30)를 거쳐서 고압식(17)로 유도된다.
그렇게 되면 이 냉매 가스압력에 의해서 압축 스프링(20)의 탄성력에 맞서서 슬라이더(19)가 밀어 내려지며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1의 냉매관(Pa)은 슬라이더(19)에 설치되는 제1의 관통구멍(21a)과 통하도록 연결되며 제1의 관통구멍(21a)은 제1의 흡입구멍(21a)은 제1의 흡입구멍 (15a)과도 통하도록 연결됨으로써 냉매 가스가 실린더(11)내로 흡입된다.
흡입된 냉매가스는 로울러(12)의 편심회전에 따라서 압축되며, 배출밸브(28)가 개방한 배출구멍(27)을 통하여 밀폐용기(6)내로 유출된다.
이때 슬라이더(19)에 형성되어 있는 제2의 슬릿(22b)은 제2의 냉매관(Pb) 및 제2의 가스 배출구멍(24b)과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밀폐용기(6)내에 유출된 냉매가스는 가스구멍(23)으로부터 전술한 각 구멍 및 제2의 냉매관(Pb)을 거쳐서 실외쪽 열교환기(3)로 토출하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제1의 가스 배출구멍(24a)과 실린더(11)의 내주벽에 면한 제2의 흡입구멍(15b)은 슬라이더(19)에 의해서 차단된다.
제1도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냉매를 흐르게 할때 즉, 압축기(10), 실내쪽 열교환기(5), 캐필레리튜브(4), 실외쪽 열교환기(3)의 순서로 냉매를 흐르게 하는 난방운전을 하려면, 전자 개폐밸브(30)를 차단하면 된다.
압축기(10)의 구동에 따라서 밀폐용기(6)내에 압축된 고압의 냉매가스가 충만되지만 전자 개폐밸브(30)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고압실(17)에는 압축가스가 들어가지 않는다.
냉방운전중에 고압실(17)에 고인 냉매가스는 고압쪽 슬릿(25)을 통하여 실린더(11)내로 들어간다.
또는 슬라이더(19)와 슬라이더 가이드구멍(16)의 약간의 틈새를 통해서 제1, 제2의 흡입구멍(15a) (15b)로부터 실린더(11)내로 들어간다.
압축스프링(20)의 탄성력은 그대로 슬라이더(19)로 전달되어서 이것을 밀어 올린다.
또한, 실린더(11)내의 압축가스는 저압쪽 슬릿(26)을 거쳐서 저압실(18)로 들어가서 슬라이더(19)를 위로 밀어 올리는 작용을 보조한다.
제2의 냉매관(Pb)은 제2의 관통구멍(21b) 및 제2의 흡입구멍(15b)과 통할 수 있도록 일직선상으로 연결되며 냉매가스를 실외쪽 열교환기(3)로 부터 실린더(11)내로 흐르게 한다.
냉매가스는 로울러(12)의 편심회전에 따라서 압축되고 배출밸브(28)가 개방된 배출구멍(27)을 통하여 밀폐용기(6)내로 방출된다.
이때 슬라이더(19)에 설치되는 제1의 슬릿(22a)은 제1의 냉매관(Pb) 및 제1의 가스 배출구멍(24a)과 통하도록 연결하므로 밀폐용기(6)내로 방출된 냉매가스가 가스구멍(23)으로 부터 전술한 각 구멍 및 제1의 냉매관(Pa)을 거쳐서 실내쪽 열교환기 (5)로 토출하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제2의 가스 배출구멍(24b)과 실린더(11)의 내주벽에 면한 제1의 흡입구멍(15a)은 슬라이더(19)에 의해서 차단된다.
이와같이 전술한 밸브기구(13) 및 제어회로(14)를 구비하고 제어회로(14)의 개폐밸브(30)를 개폐하는 것만으로 냉난방운전의 전환을 할 수 있게 되어 종래와 같은 사방향 전환밸브 및 복잡한 배관 접속이 불필요하며, 더구나, 간단한 구성으로끝나므로 가스 누출이나 배관의 공진(共振), 파손등의 사고 발생을 방지해서 신뢰성이 높아서, 비용절감에 이바지된다.
또한, 밸브기구(13)는 밀폐용기(6)내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냉난방 전환시에 있어서의 전환소음이나 냉매음이 거의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는다.
더구나, 전자 개폐밸브(30)를 개폐가 자유롭도록 제어하는 장치에 관해서는 현재, 마이크로 콤퓨터가 부착된 공기 조화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것을 이용하면 된다.
따라서 제어가격은 거의 불필요하게 된다.
이하, 변형예를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부품은 같은 번호를 붙여서 새로운 설명은 생략한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어회로(14A)는 밀폐용기(6)와 고압실(17)을 통하도록 연결하고 중간부분에 제1의 전자 개폐밸브(30a)가 있는 제1의 압력 인출관(29a)과, 한쪽끝 부분이 저압실(18)로 연결되고 다른 끝부분이 밀폐용기(6)와 제1의 전자 개폐밸브(30a)와의 사이의 제1의 압력 인출관(29a)의 중간부분으로 연결된 제1의 압력 인출관(29b)과, 이 제2의 압력 인출관(29b)의 중간부분에 설치되는 제2전자 개폐밸브 (30b)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고, 저압쪽 슬릿은 불필요하게 된다.
난방운전을 할때에는 제1의 전자 개폐밸브(30a)를 차단하고, 제2의 전자 개폐밸브(30b)를 개방한다.
저압실(18)에는 압축되어 밀폐용기(6)내로 유출되는 고압의 냉매가스의 일부가 흘러들어가 압축 스프링(20)의 탄력성과 더불어 슬라이더(19)를 위로 밀어 올린다.
따라서 밸브기구(13A)의 각 구멍은 앞에서 설명한 난방운전의 경우와 같은 상태로 되어 제1의 냉매관(Pb)으로 부터 실린더(11)내로 냉매가스를 흡입해서 압축한 다음, 제1의 냉매관(Pa)으로 부터 토출할수 있다.
냉방운전을 할 때에는 제1의 전자 개폐밸브(30a)를 개방하고 제2의 전자 개폐밸브(30b)를 차단하면 된다.
슬라이더(19)는 압축 스프링(2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밑으로 밀어 내려져서 각 구멍은 앞에서 설명한 냉방운전의 경우와 같은 배치로 변하여 소기의 운전이 된다.
즉 이와같은 제어회로(14A)라면 고, 저압쪽 슬릿을 불필요하게 되며 슬라이더 (19)에 대한 작용이 더욱 확실 또한 원할하게 된다.
제5도는 변형된 주베어링(9a)의 플랜지부에 밸브기구(13B)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다.
밸브기구(13B)는 전술한 실시예와 완전이 동일한 것을 플랜지부내에 수평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어회로도 동일하게 한다.
단, 전술한 플랜지부의 주단부는 상방으로 튀어나온 동시에 머플러판(31)으로 폐쇄하여서 공간실인 저압 머플러실(32)을 형성한다.
전술한 머플러판(31)에는 가스구멍(31a)이 설치되며, 밸브기구(13B)에 통하도록 연결된다.
전술한 저압 머플러실(32)과 주베어링(9a)의 플랜지부 및 실린더(11)내부 사이는 가스 유동구멍(33) (34)에 의하여 통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밀폐용기(6)내에 방출되는 고압의 냉매가스의 일부는 머플러판(31)의 가스구멍(31a)으로 부터 밸브기구(13B)로 흐르며,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에 적합하도록 슬라이더를 이동시킨다.
실린더(11)내에 냉매가스를 유동하며, 압축한 냉매가스를 토출하는 밸브기구 (13B)의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6도는 밸브기구(13C)와 제어회로(14C)를 변경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밸브기구(13C)에 있어서는 주베어링(9)의 플랜지부에 설치되는 고압실 (17)에 압축스프링(20)을 수용하여 슬라이더(19)를 탄성적으로 눌러서 압력을 가한다.
더구나 저압실(18)과 밀폐용기(6)내의 사이에는 고압쪽 슬릿(26c)에 의하여 통하도록 연결되며, 고압실(17)과 실린더(6)내의 사이에는 저압쪽 슬릿(25c)에 의해 통하도록 연결된다.
제어회로(14c)에 있어서의 압력 인출관(29c)의 한쪽 끝부분은 실린더(11)내의 저압쪽으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 끝부분은 전술한 저압실(18)로 연결되어 있다.
이 중간부분에는 전자 개폐밸브(30)가 설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렇게 해서 냉방운전을 할 때에는 전자 개폐 밸브(30)를 개방한다.
저압실(18)은 저압쪽으로 되어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압축 스프링(20)의 탄성력이 작용해서 슬라이더(19)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난방운전을 할 때에는 전자 개폐밸브(30)를 차단하면 된다.
밀폐용기(6)내로 유출되는 고압의 냉매가스의 일부가 고압쪽 슬릿(26c)을 거쳐서 저압실(18)로 들어간다.
그때 저압실(18)은 고압실로 전환되어 슬라이더(19)를 위로 밀어 올린다.
따라서 밸브기구(13c)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은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거의 동일하며, 동일한 작용을 한다.
제7도 및 제8도는 밸브기구(13D)의 슬라이더(19d)와 제어회로(14D)를 변경한 예를 나타낸다.
즉, 전술한 슬라이더(19d)에는 축선 방향에 따라서 가늘다란 구멍으로 된 가스통로(35)가 뚫려있다.
이 가스통로(35)는 전술한 제1, 제2의 관통구멍(21a)(21b) 및 제1, 제2의 슬릿(22a) (22b)하고는 교차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제어회로(14D)의 압력 인출관(29d)은 한쪽 끝부분이 냉동 사이클의 실외쪽 열교환기(3)와 캐필레리 튜브(4)을 연결하는 냉매관(P)의 중간부에 연결하고, 다른 끝부분은 전술한 고압실(17)로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압력 인출관(29d)의 중간부분에는 전자 개폐밸브(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어회로(14D)는 전술한 저압실(18)과 실린더(11)내로 트여진 분사구 (36)와 통하도록 연결하는 유도통로(37)로 이루어져 있다.
냉방운전을 할 때에는 전자 개폐밸브(30)를 개방한다.
압력 인출관(29d)에 실외쪽 열교환기(3)로 부터 도출되는 고압의 액체 냉매의 일부가 유도되어 고압실(17)로 들어가서 슬라이더(19)를 밀어 내린다.
따라서 제1의 냉매관(Pa)으로 부터 냉매가스가 흡입되어 제2의 냉매관(Pb)으로 부터 토출되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고압실(17)의 액체 냉매의 일부는 가스통로(35)를 거쳐서 저압실(18)로 흘러, 또 다시 유도통로(37)를 거쳐서 분사구(36)로 부터 실린더(11)내로 분출된다.
이로 인해서 실린더(11)내의 압축도중의 냉매가스는 냉각되고 냉방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난방운전을 하는데에는 전자 개폐밸브(30)를 폐쇄하게 되면 좋으며,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와 동일한 냉매의 흐름을 얻는다.
제9도는 압축기부가 왕복운동식의 예이다.
냉방운전시에 냉매가스는 제1의 냉매관(Pa)으로 부터 흡수되며, 밸브기구 (13 E)의 슬라이더(19e)를 거쳐서 밀폐용기(6e)내로 방출된다.
이어서, 흡입관(38)으로 부터 흡입실(39)과 흡입구멍(40)을 거쳐서 실린더 (1 1e)내로 도입되어, 피스톤(41)에 의해서 압축된다.
고압으로된 냉매가스는 배출구멍(42)으로 부터 배출실(43)로 유도되며, 또 다시 배출실(43)로 부터 두 개 천설된것 중의 한쪽의 가스 배출구멍(24e)으로 부터 전술한 슬라이더(19e)에 설치되는 슬릿을 거쳐서 제2의 냉매관(Pb)으로 토출된다.
제어회로(14E)는 밸브헤드(44)를 관통하여 배출실(43)에 도달되는 구멍(45)에 일단부가 접속되며, 전술한 밸브기구(13E)의 고압실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압력 인출관(29e)과, 이 압력 인출관(29e)의 중간부에 설치된 전자 개폐밸브(30)로 되어있다.
따라서, 전자 개폐밸브(30)를 개방하게 되면 도시하는 바와같이 해서 냉매가스를 유통시켜서 냉방운전을 할 수 있게 되며, 전자 개폐밸브(30)를 차단하게 되면 냉매가스를 제2의 냉매관(Pb)으로 부터 도입하여서 제1의 냉매관(Pa)으로 부터 토출하는 난방운전을 할 수 있다.
이 밖에, 소위 스크로울식의 압축기부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밸브기구(13) 내지 (13D)는 모든것을 주베어링(9)의 플랜지부에 설치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실린더 (11) 내 또는, 보조베어링(10)에 설치하여도 좋다.
전술한 전자 개폐밸브(30)는 밀폐용기(6)내에 설치하여도 좋고, 또한 밀폐용기 (6)의 외부이더라도 도시하지 않은 터미널 박스(terminal box)의 내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아큐뮤레이터와 일체적으로 부착하여도 좋다.
이밖에, 본 발명의 요지를 넘어서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실시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 사이클이 단순화되어 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화 및 소음 감소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Claims (8)

  1. 냉동 사이클 구성기기인 실외쪽 열교환기(3), 캐필레리튜브(4) 및 실내쪽 열교환기(5)에 한쌍의 냉매관(Pa) (Pb)에 의해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로서, 전동기부에 회전축에 의해 연결된 압축기부(7)와, 압축기부와 전동기부를 수용한 밀폐용기(6)와, 압축기로부터 냉동 사이클 구성기기로의 냉매의 순환 경로를 전환하는 밸브 기구(13)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전술한 압축기부(7)는 한쌍의 흡입구멍(15a), (15b)과 한쌍의 가스 배출구멍(24a) (24b)이 있으며, 전술한 밸브 기구(13)는 슬라이더(19)를 포함하여, 또한 이 슬라이더의 미끄럼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14)를 구비하여서 되었으며, 이 제어회로에 의해서 슬라이더를 제어해서, 전술한 압축기부의 제1의 흡입구멍(15a)과 제1의 냉매관(Pa) 및 제2의 가스 배출구멍(24b)과 제2의 냉매관(Pb)이 통하도록 연결되는 제1의 상태와 ; 제2의 흡입구멍(15b)과, 제2의 냉매관(Pb) 및 제1의 가스 배출구멍(24a)과 제1의 냉매관(Pa)이 통하도록 연결되는 제2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 할 수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가역냉동 사이클용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슬라이더(19)는 한쌍의 냉매관(Pa) (Pb)가 대향하는 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슬릿(22a) (22b)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슬릿(22a) (22b)의 사이에 한쌍의 관통구멍(21a) (21b)을 구비하고 ; 전술한 제1의 상태에서는 제1의 냉매관(Pa)과 제1의 관통구멍(21a), 제2의 냉매관(Pb)과 제2의 슬릿(22b)이 통하도록 연결되고, 전술한 제2의 상태에 있어서는 제1의 냉매관(Pa)와 제1의 슬릿(22a), 제2의 냉매관(Pb)과 제2의 관통구멍(21b)이 통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어회로(14)는 개폐밸브(30a)를 포함하며, 그 한쪽끝이 밸브기구(13)의 슬라이더(19)의 미끄럼 방향쪽 일단부에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어회로(14)는 밸브 기구의 슬라이더(19)의 한쪽끝에 고압쪽 가스압 또는 저압쪽 가스압을 가하여 다른쪽 끝과의 압력차로 슬라이더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어회로(14)는 또한 개폐밸브(30b)를 포함하여 그 한쪽끝이 밸부기구(13)의 다른끝쪽에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압축기.
  7. 제4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어회로(14)는 어느 한쪽끝이 냉동사이클의 고압쪽에 통하도록 연결되고, 다른 한쪽끝은 슬라이더(19)에 설치된 가스통로(35)를 거쳐서 압축기부의 실린더(11)내로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회로에 도출되는 고압쪽의 액체냉매 또는 가스 냉매를 실린더 내로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8.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압축기부는 회전식, 스크로울식 또는 왕복 운동식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압축기.
KR1019860005291A 1985-06-29 1986-06-28 가역냉동 사이클용의 압축기 KR890000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43723A JPS623180A (ja) 1985-06-29 1985-06-29 可逆冷凍サイクル用の圧縮機
JP60-143723 1985-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511A KR870000511A (ko) 1987-02-18
KR890000939B1 true KR890000939B1 (ko) 1989-04-14

Family

ID=1534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291A KR890000939B1 (ko) 1985-06-29 1986-06-28 가역냉동 사이클용의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02088A (ko)
JP (1) JPS623180A (ko)
KR (1) KR890000939B1 (ko)
IT (1) IT11918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0995A (ja) * 1989-03-02 1990-09-13 Mitsubishi Heavy Ind Ltd ヒートポンプ用圧縮機及びその運転方法
EP0652372B1 (en) * 1993-10-27 1998-07-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versible rotary compressor
TW310003U (en) * 1994-03-30 1997-07-01 Toshiba Co Ltd Kk Fluid compressor
JPH102434A (ja) * 1996-06-19 1998-01-06 Toshiba Corp 切換え弁と、流体圧縮機およびヒートポンプ式冷凍サイクル
US6289931B1 (en) 2000-01-19 2001-09-18 Emerson Electric Co. Cycle reversing valve for use in heat pumps
AU2002314569A1 (en) * 2002-02-27 2003-09-09 Yun-Boon Lee Four-way reversing valve
KR100531287B1 (ko) * 2003-05-13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KR100531285B1 (ko) 2003-05-13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DE10346823A1 (de) * 2003-10-06 2005-04-21 Behr Gmbh & Co Kg Klimaanlag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WO2006046784A1 (en) * 2004-10-26 2006-05-04 Lg Electronics Inc. Rotary compressor
WO2019203963A1 (en) 2018-04-16 2019-10-24 Carrier Corporation Dual compressor heat pump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012A (en) * 1978-07-19 1980-02-01 Doboku Sokki Center:Kk Ground pressure meter
US4445344A (en) * 1982-09-07 1984-05-01 General Electric Company Reversible refrigeration system rotary compressor
US4619118A (en) * 1984-11-05 1986-10-28 Carrier Corporation Reversible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3180A (ja) 1987-01-09
IT8620992A1 (it) 1987-12-30
IT8620992A0 (it) 1986-06-30
KR870000511A (ko) 1987-02-18
US4702088A (en) 1987-10-27
IT1191837B (it) 1988-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147B1 (ko) 증기 분사 시스템을 가진 스크롤 압축기
EP1617082B1 (en) Multicylinder rotary compressor and compressing system and refrigerating unit provided with same
KR100629872B1 (ko)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콘의운전 방법
US10309700B2 (en) High pressure compressor and refrigerating machine having a high pressure compressor
KR100961301B1 (ko) 밀폐형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KR890000939B1 (ko) 가역냉동 사이클용의 압축기
KR20030074372A (ko) 다단 압축식 로터리 압축기 및 이를 이용한 냉매 회로 장치
WO2006073048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ロータリ式密閉型圧縮機
KR100758403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US20050019176A1 (en) Variable capacity scroll compressor
US5049044A (en) Compressor for heat pump and method of operating said compressor
KR100620042B1 (ko)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에어콘
JP2008508473A (ja) 容積可変型ロータリ圧縮機及びその運転方法、並びにそれを備えたエアコンの運転方法
KR102403950B1 (ko) 고압식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동사이클 장치
WO2023144953A1 (ja) 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2331606B1 (ko) 압축기
JP2018179353A (ja) 冷凍サイクル装置、ロータリ圧縮機
KR101926045B1 (ko) 단일 스테이지 로터리 압축기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시스템
KR100724451B1 (ko)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JPS623196A (ja) 可逆冷凍サイクル用の回転式圧縮機
JPH11257265A (ja) 熱搬送装置
KR20050088765A (ko) 압축기
JP2021017852A (ja) 圧縮機、室外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20210015098A (ko) 압축기와 팽창기를 동시에 제어하는 인버터를 구비한 냉동사이클 시스템
KR20060087254A (ko)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에어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