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116A -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및 이를 사용하여 집진된먼지를 처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및 이를 사용하여 집진된먼지를 처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116A
KR20050012116A KR1020040034150A KR20040034150A KR20050012116A KR 20050012116 A KR20050012116 A KR 20050012116A KR 1020040034150 A KR1020040034150 A KR 1020040034150A KR 20040034150 A KR20040034150 A KR 20040034150A KR 20050012116 A KR20050012116 A KR 20050012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robot cleaner
main body
dust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4479B1 (ko
Inventor
김기만
송정곤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AU2004202836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04202836B2/en
Priority to GB0415156A priority patent/GB2404139B/en
Priority to JP2004200843A priority patent/JP2005040597A/ja
Priority to SE0401801A priority patent/SE526979C2/sv
Priority to US10/887,840 priority patent/US20050015920A1/en
Priority to FR0408014A priority patent/FR2857847A1/fr
Priority to NL1026703A priority patent/NL1026703C2/nl
Priority to CNB2004100544721A priority patent/CN1307928C/zh
Priority to RU2004122773/12A priority patent/RU2277372C2/ru
Priority to DE102004035760A priority patent/DE102004035760A1/de
Publication of KR20050012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36Connecting plates, e.g. collars, end closures
    • A47L9/1445Connecting plates, e.g. collars, end closures with closur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은 흡기구와 배기구를 가지며, 로봇청소기의 집진실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본체에 형성된 먼지배출구;를 포함하여, 로봇청소기 내부에 집진된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 만아니라 그 제거방법도 편리하다.

Description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및 이를 사용하여 집진된 먼지를 처리하는 방법{A DUST COLLECTOR OF ROBOT-CLEANER, AND METHOD FOR CLEANING DUST COLLECTED THEREIN}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 스스로 주행하면서 먼지 및 오물을 청소하는 로봇청소기내의 집진실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먼지수거통 및 이를 이용하여 집진먼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로봇청소기내로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이물질은 통상적으로, 집진실내에 수거된 후,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집진실내에 수거된 이물질은, 로봇청소기의 외면에 시각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도어를 개방시키거나 혹은 집진실내에 별도로 내장된 먼지수거통을 외부로 인출시켜 제거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로봇청소기에 수거된 이물질을 처리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 먼지수거통이 없는경우에는, 로봇청소기를 뒤집어서 내부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하고, 한편, 먼지수거통이 있는 경우에도, 로봇청소기내에 먼지수거통을 인출철회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로봇청소기의 무게나 부피를 작게하기 위하여,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먼지수거통이나 페이퍼백에 비하여 용량이 작게 구성되기때문에, 사용자는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을 자주 비워주어야 한다.
종래에는 특히, 이물질이 집진되는 공간에 비하여 그 배출구멍이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켜 처리하기 곤란하며, 처리하더라도 깨끗하게 제거되지 않고 일부가 집진공간내에 잔존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집진공간내에 잔존하는 이물질들은 내부 벽면에 점차적으로 증착되는 등 시간이 경과하면서 그 처리가 더욱 곤란해지고 한편, 흡입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래서, 이물질을 양호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로봇청소기 혹은 먼지수거통을 심하게 흔들어여만 하는등 귀찮고 번잡한 작업이 필요하고, 이러한 작업에 의해서도 이물질은 용이하고 깨끗하게 제거되지 아니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로봇청소기의 내부에 집진되는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고, 그 제거도 용이하고 편리한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및 이를 이용하여 그 내부에 집진된 먼지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수거통이 적용된 로봇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로서, 집진실내에 인출철회 가능한 먼지수거통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태낸 도면,
도 3은 도 2의 먼지수거통이 로봇청소기의 집진실내에 수용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수거통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에 집진된 먼지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수거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로봇청소기 21 : 흡진부
22 : 흡기포트 23 : 집진실
24 : 배기포트 25 : 도어
35 : 촬상유닛 41 : 상부덮개
51 : 먼지수거통 53 : 본체
55 : 커버 56 : 배기구
61 : 흡기구 63 : 흡기관부
67 : 먼지배출구 69 : 가스켓
71 : 손잡이부 91 : 필터
100 : 밀봉부재 110 : 밀봉부재손잡이
상기 목적은, 흡기구와 배기구를 가지며, 로봇청소기의 집진실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본체에 형성된 먼지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먼지수거통의 상기 배기구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에는 집진된 먼지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필터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공기중에 함유된 먼지의 집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먼지등이 상기 로봇청소기의 배기포트 후단에 설치된 흡입모터로 유입될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흡기구로부터 내향 돌출된 흡기관부 및 상기 먼지배출과 인접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기관부의 개구에는 막힌지가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개구를 차단하고 상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개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잡고 용이하게 본 발명이 먼지수거통을 로봇청소기의 집진실에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관부를 먼지수거통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막힌지를 설치함으로써, 유입된 먼지가 함유된 공기가 역류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먼지배출구에는 밀봉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먼지배출구에 억지끼움 가능하도록 탄성부재로 성형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밀봉부재에는 상기 먼지배출구로부터의 이탈을 용이하게 해주도록 구비된 밀봉부재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청소기의 흡기포트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집진실내에 수용된 먼지수거통에 집진시킨 후, 배기포트를 통해 배기시키는 단계; 및 상기 먼지수거통에 형성된 먼지배출구에 별도의 배출유닛의 흡입구를 밀착시켜 상기 먼지수거통내에 집진된 먼지를 제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에 집진된 먼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의하여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유닛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 또는 핸디청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용량이 적은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을 자주 비워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고, 집진실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먼지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먼지수거통이 적용된 로봇청소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로봇청소기(20)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덮개(41) 및 이 상부덮개(41)의 중앙에는 촬상유닛 노출공(도 2의 42참조)이 개구되어 있고, 일측에는 디스플레이창(43) 및 복수의 표시램프 노출공(45)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조립단면도로서, 로봇청소기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20)에는 외부의 이물질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시켜 처리하는 흡진부(21), 및 주행 및 청소를 위한 부하구동부(31)가 내장된다. 이러한 로봇청소기(20)는 촬상유닛(35) 및 송수신부(도시않음)를 탑재하고, 이들을 사용하여 자기 위치 및 장애물을 확인하며 주행가능하다.
흡진부(21)는, 상향 개구된 집진실(23)과 집진실(23)의 상향 개구를 개폐시키는 도어(25), 및 집진실(23)내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본 발명의 먼지수거통(51)을 구비한다. 집진실(23)의 일측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27)가 장착되어 있다. 흡진부(21)는 또한, 외부의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집진실(23)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브러쉬유닛(도시않음)을 포함한다.
집진실(23)은, 그 바닥면에 흡기포트(22)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 벽면에 배기포트(24)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포트(22)는 집진실(23)의 내부를 향해 상향 돌출된 포트리브(22')를 구비한다. 이러한 집진실(23)의 상측 개구에는 예를 들어, 후크공(도시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25)에는 한편, 집진실(23)의 후크홈과 맞물리는 후크가 형성되어, 집진실(23)의 상향 개구에 개방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집진실(23)의 하부에 흡입브러쉬유닛이 설치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먼지수거통의 분해사시도이다. 먼지수거통(51)은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먼지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53)와, 이 본체(5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55)로 구성된다. 본체(53)는 집진실(23)의 배기포트(24)가 형성된 벽면과 대응하는 일측 면이 개구(54)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54)에 커버(55)가 결합되며, 커버(55)의 일면에는 배기포트(24)에 대응하는 배기구(56)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55)의배기구(56)에는 필터(91)가 결합된다.
상기 본체(53)에는, 그 바닥판에 흡기구(도 3의 61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기구(61)는 집진실(23)의 흡기포트(22)에 대응하여 개구되고, 흡기포트(22)의 포트리브(22')를 수용가능한 크기를 가진다. 이에 의해, 흡기포트(22)를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먼지수거통(53)의 내부로 유입가능하다. 본체(51)의 흡기구(61)에는 상향 돌출된 흡기관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기관부(63)의 말단에 형성된 개구에는 막힌지(도 3의 65)가 설치되어 개폐가능하다. 막힌지(65)는 자중에 의해 하향 회동하여 흡기관부(63)의 개구를 차단하고, 외부로부터 본체(53)내로 토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개방된다.
본체(53)는 또한, 그 상부판의 일측에 먼지배출구(67)가 개구되어 있다. 먼지배출구(67)는 집진실(23)의 도어(25)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된다. 이 때, 사용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미도시) 또는 핸디청소기(미도시)의 흡입부를 먼지배출구(67)에 밀착시키고, 그 내부에 집진된 먼지를 배출시킬 수 있다. 진공청소기 또는 핸디청소기의 흡입부에는 본 발명의 먼지수거통 본체(53)의 먼지배출구(67)의 형상에 대응하는 흡입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53)의 먼지배출구(67)에는, 그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그루브가 내향 함몰되어 있다. 함몰된 그루브의 크기는 진공청소기 또는 핸디청소기의 흡입부에 형성된 흡입개구의 크기에 대응한다. 그루브에는 진공청소기 또는 핸디청소기의 흡입부와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가스켓(69)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53)의 상부판에는 또한, 그 중앙부분에는 손잡이부(7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부(71)도 집진실(23)의 도어(25)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며, 사용자는 손잡이부(71)를 파지하여 먼지수거통(51)을 인출철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71)는 상부판에 함몰시킨 구조로, 본체(53)의 사출성형시 간단히 일체형성가능하다. 여기서, 본체(53)는 내부에 집진된 이물질의 량을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55)는 본체(53)에 대하여 용이하게 착탈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제작가능하다. 예를 들어, 커버(55)의 결합연부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한편, 본체(53)에 돌기홈(5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55)의 상부에는 본체(53)에 대하여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분리돌기(57)가 돌출되어 있다. 본체(53)의 내면에는 본체(53)와의 기밀유지를 위해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스켓(93)을 장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55)의 배기구(56)에 착탈가능한 필터(91)는, 그 원주방향 외면에 다수의 필터창이 형성되어 있다. 필터창의 외면에는 다공질 필터링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물질을 필터링시킨다.
한편, 진공청소기 또는 핸디청소기는 그 내부에 진공발생장치를 내장한다. 를진공청소기 또는 핸디청소기의 흡입부를 먼지수거통(51)의 먼지배출구(67)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먼지수거통(51)내에 집진된 먼지를 흡입시켜 처리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로봇청소기에 집진된 먼지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 6의순서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청소명령이 인가되면, 로봇청소기(20)는 청소를 위한 주행을 개시한다(S1). 로봇청소기(20)는 도시않은 제어부와 교신하면서 청소공간내를 주행가능하다. 로봇청소기(20)는, 본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일반적인 주행방식에 따라, 전방에 나타나는 장애물을 실시간으로 피하면서 이동한다. 이러한 주행중에 내부에 장착된 진공발생장치를 작동시켜 청소를 수행한다(S2).
진공발생장치가 작동하면, 우선, 외부의 공기가 흡기포트(22)를 통해 흡입된다. 흡입공기는 먼지수거통(51)의 흡기관부(63)를 따라 이동하면서, 그 이동방향에 가로로 배치된 막힌지(65)를 밀어 개방시킨 후 내부로 토출된다. 먼지수거통(51)내로 토출되는 공기는 배기구(24)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데, 이 때, 배기에 포함된 먼지는 필터(91)에 의해 필터링된다. 이에 의해, 먼지수거통(51)내에 이물질이 집진되는 것이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먼지수거통(51)내에는 점차적으로 이물질의 량이 증가한다. 한편, 청소작업은 주행로봇(20)의 주행이 중단되거나 진공발생장치의 작동이 중단됨으로써, 정지된다. 이 때, 먼지수거통(51)의 막힌지(65)는 그 자중에 의해 하향 회동하여 개구를 차단시키며, 이에 의해, 흡기포트(22)로 필터링된 이물질이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먼지수거통(51)내에 집진된 이물질의 량은 집진실(23)의 도어(25)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어(25)를 투명재질로 제작한다면, 도어(25)를 개방시키지 아니하고도 집진된 이물질의 량을 용이하게 확인가능하다.
먼지수거통(51)내에 집진된 먼지를 제거(S3)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한편, 먼지수거통(51)을 인출시키는 방식과 먼지수거통(51)을 인출시키기 않고 진공청소기 또는 핸디청소기를 사용하는 방식이 제공된다. 이들 두가지의 방식중 어느 일측을 선택가능하며(S4), 먼저 핸디청소기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S6)에는, 집진실(23)의 도어(25)를 개방시킨다. 그런 다음, 핸디청소기의 흡입부(11)를 먼지수거통(51)의 먼지배출구(67)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핸디청소기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먼지수거통(51)내의 이물질을 단시간내에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예를 들어, 핸디청소기가 충전이 안되어 있거나 작동이 불량한 경우, 먼지수거통(51)을 인출시켜 내부에 집진된 먼지를 제거시킬 수 있다(S5). 먼지수거통(51)은 그 상부판에 형성된 손잡이부(71)를 파지하여 간단히 집진실(23)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다. 인출된 먼지수거통(51)은 커버(55)를 개방시켜 그 내부에 집진된 이물질을 역시 용이하게 처리가능하다(S7). 그런 다음, 커버(55)를 다시 결합시킨 후, 집진실(23)내에 수용시키면(S8),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에 따른 이물질의 청소를 수행할 수 재차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내지 도 5의 참조번호는 도 6에 나타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수거통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수거통(51)은 본체(53)에 형성된 먼지배출구(67)를 밀폐 및 개방할 수 있는 밀봉부재(100)를 구비한다.
상기 밀봉부재(100)에는 밀봉부재(100)의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밀봉부재손잡이(110)가 달려있다. 이러한 밀봉부재(100)는 먼지배출구(67)의 외주면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먼지배출구(67)를 밀폐시키게된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100)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봇청소기(20)가 청소 중일 때는 상기 밀봉부재(100)가 먼지배출구(67)를 밀폐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먼지배출구(67)로의 먼지등이 배출되어 집진실(23, 도 2참조)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뿐아니라 먼지배출구(67)에 의한 흡입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먼지수거통(51)에 먼지를 제거하기 할 경우, 밀봉부재(100)의 밀봉부재손잡이(110)를 이용하여 밀봉부재(100)를 열고, 먼지배출구(67)에 진공청소기(미도시) 나 핸디청소기(미도시)의 흡입구를 결합하여 먼지수거통(51)에 집진된 먼지등을 흡입하여 먼지수거통(51)을 청소하게 된다.
도 6에 나타난 것처럼 밀봉부재(100)에 먼지배출구의 외주면을 억지끼워맞춤함에 의해 먼지배출구(67)를 밀폐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밀봉부재(100)가 먼지배출구(67)의 내면에 억지끼워맞춤의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로봇청소기의 내부에 집진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용량이 작은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을 매번 꺼내서 청소할 필요 없이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기존에 구비하고 있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깨끗하게 먼지수거통을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거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에 먼지나 오물등을 묻일 염려가 없이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을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로 제거한 후,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페이퍼백에 먼지가 다 찰 경우 이를 버리면 된다.
또한, 먼지배출구를 밀폐가능하도록 함에 의해 청소중 먼지배출구에 의한 흡입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 만아니라, 먼지배출구로 집진된 먼지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집진실내의 오염을 방지하여 집진실 내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8)

  1. 흡기구와 배기구를 가지며, 로봇청소기의 집진실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본체;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커버;
    상기 본체에 형성된 먼지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에는 집진된 먼지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필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흡기구로부터 내향 돌출된 흡기관부 및 상기 먼지배출과 인접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부의 개구에는 막힌지가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개구를 차단하고 상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배출구에는 밀봉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먼지배출구에 억지끼움 가능하도록 탄성부재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에는 상기 먼지배출구로부터의 이탈을 용이하게 해주도록 구비된 밀봉부재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8. 로봇청소기의 흡기포트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집진실내에 수용된 먼지수거통에 집진시킨 후, 배기포트를 통해 배기시키는 단계; 및
    상기 먼지수거통에 형성된 먼지배출구에 별도의 배출유닛의 흡입구를 밀착시켜 상기 먼지수거통내에 집진된 먼지를 제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에 집진된 먼지를 처리하는 방법.
KR1020040034150A 2003-07-24 2004-05-14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및 이를 사용하여 집진된먼지를 처리하는 방법 KR100544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4202836A AU2004202836B2 (en) 2003-07-24 2004-06-24 Dust Receptacle of Robot Cleaner
GB0415156A GB2404139B (en) 2003-07-24 2004-07-06 Dust receptacle for a robotic vacuum cleaner
JP2004200843A JP2005040597A (ja) 2003-07-24 2004-07-07 ロボット掃除機のホコリ収去筒及びこれを使用して集塵されたホコリを処理する方法
SE0401801A SE526979C2 (sv) 2003-07-24 2004-07-08 Dammbehållare för en robotstädare samt ett förfarande för avlägsnande av däri uppsamlat damm
US10/887,840 US20050015920A1 (en) 2003-07-24 2004-07-12 Dust receptacle of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removing dust collected therein
FR0408014A FR2857847A1 (fr) 2003-07-24 2004-07-20 Receptacle de poussiere pour robot de nettoyage et son procede de mise en oeuvre
NL1026703A NL1026703C2 (nl) 2003-07-24 2004-07-22 Stofreservoir voor een robotreinigingsmachine, en werkwijze voor het verwijderen van hierin verzamelt stof.
CNB2004100544721A CN1307928C (zh) 2003-07-24 2004-07-22 自动清洁器的灰尘容器和清洁其中所收集灰尘的方法
RU2004122773/12A RU2277372C2 (ru) 2003-07-24 2004-07-23 Пылесборник робота-пылесоса
DE102004035760A DE102004035760A1 (de) 2003-07-24 2004-07-23 Staubbehälter eines Reinigungsroboters und Verfahren zum Entfernen von darin gesammeltem Stau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1143 2003-07-24
KR1020030051143 2003-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116A true KR20050012116A (ko) 2005-01-31
KR100544479B1 KR100544479B1 (ko) 2006-01-24

Family

ID=3232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150A KR100544479B1 (ko) 2003-07-24 2004-05-14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및 이를 사용하여 집진된먼지를 처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44479B1 (ko)
SE (1) SE0401114D0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769B1 (ko) * 2006-07-06 2007-06-22 (주)경민메카트로닉스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WO2011004915A1 (ko) * 2009-07-06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KR101292126B1 (ko) * 2006-03-06 2013-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CN112603207A (zh) * 2018-11-13 2021-04-06 牟欣阳 一种方便收集垃圾的扫地机器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82538B1 (en) * 2013-12-20 2018-02-21 Aktiebolaget Electrolux Autonomous cleaner
US10231591B2 (en) * 2013-12-20 2019-03-19 Aktiebolaget Electrolux Dust container
JP7243967B2 (ja) 2017-06-02 2023-03-22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ロボット清掃デバイスの前方の表面のレベル差を検出する方法
WO2019063066A1 (en) 2017-09-26 2019-04-04 Aktiebolaget Electrolux CONTROL FOR MOVING A ROBOTIC CLEANING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126B1 (ko) * 2006-03-06 2013-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KR100731769B1 (ko) * 2006-07-06 2007-06-22 (주)경민메카트로닉스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WO2011004915A1 (ko) * 2009-07-06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US8732901B2 (en) 2009-07-06 2014-05-27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CN112603207A (zh) * 2018-11-13 2021-04-06 牟欣阳 一种方便收集垃圾的扫地机器人
CN112603207B (zh) * 2018-11-13 2021-10-08 烟台华腾技术有限公司 一种方便收集垃圾的扫地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0401114D0 (sv) 2004-04-30
KR100544479B1 (ko)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02836B2 (en) Dust Receptacle of Robot Cleaner
US7144438B2 (en)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vacuum cleaner
KR20040026305A (ko) 습건식 진공청소기
EP2721985A2 (en) Device for connecting vacuum cleaner bag
KR20150125223A (ko) 청소기
KR100544479B1 (ko)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및 이를 사용하여 집진된먼지를 처리하는 방법
JP2008154801A (ja) 集塵容器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20050013696A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
JP2009504235A (ja) 真空掃除機のフィルタ装着構造
JP4814062B2 (ja) 電気掃除機
KR100478635B1 (ko) 진공청소기용 필터
CN114727735B (zh) 真空清洁器
JP2006346281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集塵装置
KR100587098B1 (ko) 진공 청소기 집진 유니트의 실링 구조
JP2003245232A (ja) 電気掃除機
KR100417800B1 (ko) 진공흡입펌프를 이용한 산업용 수봉식 진공청소기
JP3940052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機を清掃する方法
JP4738063B2 (ja) 電気掃除機
KR0158386B1 (ko) 흡입구가 2개인 진공청소기
JP2004298494A (ja) 電気掃除機
KR100557595B1 (ko)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집진실 커버구조
JP2008142255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101042644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실청소방법
JP2003310497A (ja) フィルタ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掃除機
KR100593093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