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0993A - 습기와 분진 제거 기능이 부여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보관 및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습기와 분진 제거 기능이 부여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보관 및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0993A
KR20050010993A KR1020050001768A KR20050001768A KR20050010993A KR 20050010993 A KR20050010993 A KR 20050010993A KR 1020050001768 A KR1020050001768 A KR 1020050001768A KR 20050001768 A KR20050001768 A KR 20050001768A KR 20050010993 A KR20050010993 A KR 20050010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chloride
dust
hood
salt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875B1 (ko
Inventor
정 환 신
Original Assignee
정 환 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 환 신 filed Critical 정 환 신
Priority to KR1020050001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875B1/ko
Publication of KR20050010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0Revolving doors; Cages or hous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제설용으로 쓰이기 위해 도로 옆에 보관되는 원료 상태를 항상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원료의 상,하차시에 발생되는 분진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환경 오염 발생 및 작업자의 건강 훼손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고안된 습기와 분진 제거 기능이 부여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프레임(1)에 고정된 원료호퍼(2)의 격리부재(3)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소금호퍼실(10) 및 염화칼슘호퍼실(20)과, 포대절개수단(4)이 설치된 원료투입구(11,21)와, 소금(a)과 염화칼슘(b)의 혼합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실린더(31)에 의해 중간배출부(12,22)를 개폐시키는 게이트부재(32)을 갖는 원료토출조절수단(30,30')과, 원료를 혼합시키기 위해 버티컬감속모터(41)에 의해 토출구(50)에서 회전되는 교반날개(42)를 가진 원료교반수단(40)과, 상기 토출구(50)를 개폐시키기 위한 실린더(61)와 게이트부재(62)를 갖는 토출개폐수단(60)을 갖는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50)에 수직선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신축관(310)과, 상기 신축관(310) 하단과 연결되는 후드(320)와, 상기 후드(320)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실린더(331)의 피스톤로드(332)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되는 이동로울러(333)가 있고 로프상단부(334a)가 지지프레임(1)에 고정된 후드로프(334)가 이동로울러(333)와 한쌍의 가이드로울러(335)를 거처 후드(320) 양측에 로프하단부(334b)가 고정되는 후드승강수단(330)을 구비하고, 상기 후드(320) 양측에는 분진 흡입을 위한 분진흡입구(321)가 있고 이 분진흡입구(321)에는
필터수단(240)의 제2,3흡입구(242,243)와 연결된 분진관(252,253)과 직결되는 플렉시블분진관(342,343)이 각각 연결되게 설치되는 원료배출부 분진제거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습기와 분진 제거 기능이 부여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Moisture and particulate matter delete function are given Snow removing salt and calcium chloride keeping and mixing a device}
본 발명은 도로 옆에 설치되어 겨울철 제설용으로 쓰이는 소금과 염화칼슘을 보관 및 혼합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되는 원료 상태를 항상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원료의 상,하차시에 발생되는 분진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환경 오염 발생 및 작업자의 건강 훼손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개선된 습기와 분진 제거 기능이 부여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 제설용으로 쓰이는 소금과 염화칼슘의 보관 및 혼합장치는 출원인에 의해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2-0043607호 및 실용신안 이중등록 출원 제20-2002-0022163호로 선출원 되고 제품으로 개시 되었다.
그러나 상기 선출원된 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겨울철 제설용으로 쓰이는 소금과 염화칼슘은 장기간 보관되는 제설용 원료이기 때문에 보관 상태가 양호해야 한다.
그러나 보관 중에 호퍼 내에 습기가 있는 경우 소금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지만 염화칼슘은 그 습기에 의해서 큰 덩어리 상태로 뭉쳐 버리게 됨으로써 실제 필요시에 소금과 혼합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될 뿐만 아니라 호퍼로부터 배출되지 못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소금과 염화칼슘을 호퍼에 저장시키기 위하여 원료가 담긴 종이포대를 절개시켜서 호퍼에 부어 넣는 하차 작업시, 또는 제설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제설차량에 상차시키기 위하여 배출시킬 때 소금의 경우는 분진이 발생되지 않지만 가루 상태인 염화칼슘은 많은 분진이 발생됨으로써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고 호흡에 의해 작업자가 염화칼슘을 섭취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건강 훼손의 문제점이 야기 되는 문제점이 초래 되었다.
본 발명은 보관되는 원료 상태를 항상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원료의 상,하차시에 발생되는 분진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환경 오염 발생 및 작업자의 건강 훼손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원료호퍼의 격리부재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소금호퍼실 및 염화칼슘호퍼실과, 포대절개수단이 설치된 원료투입구와, 소금과 염화칼슘의 혼합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실린더에 의해 중간배출부를 개폐시키는 게이트부재를 갖는 원료토출조절수단과, 원료를 혼합시키기 위해 버티컬감속모터에 의해 토출구에서 회전되는 교반날개를 가진 원료교반수단과, 상기 토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실린더와 게이트부재를 갖는 토출개폐수단을 갖는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 수직선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신축관과, 상기 신축관 하단과 연결되는 후드와, 상기 후드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되는 이동로울러가 있고 로프상단부가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후드로프가 이동로울러와 한쌍의 가이드로울러를 거처 후드 양측에 로프하단부가 고정되는 후드승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후드 양측에는 분진 흡입을 위한 분진흡입구가 있고 이 분진흡입구에는 필터수단의 제2,3흡입구와 연결된 분진관과 직결되는 플렉시블분진관이 각각 연결되게 설치되는 원료배출부 분진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드의 분진흡입구에는 강한 분진 흡입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흡입팬이 더 설치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의 전체 외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실시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의 전체 개략 구성도,
도 3은 도 2의 X - X'선 단면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수단의 종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Y - Y'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배출부 분진제거수단의 상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료배출부 분진제거수단에 실시된 후드승강수단의 일부 확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원료배출부 분진제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일부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격리부재 3 : 포대절개수단
10 : 소금호퍼실 20 : 염화칼슘호퍼실
30,30' : 원료토출조절수단 40 : 원료교반수단
50 : 토출구 60 : 토출개폐수단
100 : 습기제거수단 120 : 송풍기
130 : 히터부 140 : 열풍통로
200 : 원료투입부 분진제거수단 210 : 모터
220 : 공기흡입기 230 : 연결관
240 : 필터수단 241,242,243 : 제1,2,3흡입구
244 : 필터 251,252,253 : 분진관
300 : 원료배출부 분진제거수단 310 ; 신축관
320 : 후드 330 : 후드승강수단
331 : 실린더 333 : 이동로울러
334 : 후드로프 335 : 가이드로울러
340 : 플렉시블분진관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의 전체 외관 구성도이고, 도 2는 그 단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지프레임(1)에는 크게 구분하여 2개의 커다란 원료호퍼(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료호퍼(2.2')에 있어서 도면상 우측에 있는 원료호퍼(2)는 소금과 염화칼슘이 각각 양분되게 격리되어 보관되는 원료호퍼(2)이고, 좌측에 있는 원료호퍼(2')는 소금만 저장되어 보관되는 호퍼(2')이다.
이들 원료호퍼(2,2')들의 위쪽으로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료 이송차량이 올라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아래쪽에는 제설차량(C)이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원료호퍼(2,2') 중에서 소금과 염화칼슘이 각각 양분되게 격리되어 보관되는 원료호퍼(2)에 관련된 것으로서, 도로의 여건상 상기한 원료호퍼(2)만 단독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에 고정된 원료호퍼(2)에는 포대절개수단(4)과 원료토출조절수단(30,30') 및 원료교반수단(40)과 토출개폐수단(6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습기제거수단(100)과 원료투입부 분진제거수단(200) 및 원료배출부 분진제거수단(300)이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프레임(1)에 고정된 원료호퍼(2)의 내부에는 격리부재(3)에 의해 그 양측에 소금호퍼실(10) 및 염화칼슘호퍼실(20)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소금호퍼실(10) 및 염화칼슘호퍼실(20) 위에는 원료투입구(11,21)가 있고, 그 내부에는 포대절개수단(4)이 설치되어 있다. 부호 13, 23은 원료를 투입시킨 후 원료투입구(11,21)를 폐쇄시키기 위한 덮개이다.
포대절개수단(4)은 원료가 담긴 종이포대(미도시됨)를 찢어지게 절개되게 하는 것이며, 종이포대가 절개되면 그 내부에 담겨져 있던 원료가 각각의 소금호퍼실(10) 및 염화칼슘호퍼실(20)에 쏟아져서 저장되는 것으로서, 이때 원료가 염화칼슘(b)의 경우 많은 분진이 발생된다.
소금호퍼실(10) 및 염화칼슘호퍼실(20)의 하측에는 중간배출부(12,22)를 구비하고 이 중간배출부(12,22)에는 원료토출조절수단(30,30')이 설치되어 있다.
원료토출조절수단(30,30')은, 소금(a)과 염화칼슘(b)의 혼합 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실린더(31)에 의해 중간배출부(12,22)를 개폐시키는 게이트부재(32)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게이트부재(32)가 열리는 정도에 따라 소금(a)과 염화칼슘(b)이 배출되는 양이 다르게 되어 혼합 비율이 결정되어 원료교반수단(40)의 교반날개(42)의 회전에 의해 소금(a)과 염화칼슘(b)이 혼합되어 토출구(50)로 토출되게 된다.
원료교반수단(40)은 원료호퍼(2)의 중간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버티컬감속모터(41)에 의해 교반날개(42)가 토출구(50)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토출구(50) 하부에는, 실린더(61)에 의해 게이트부재(62)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토출구(50)를 개폐시키는 토출개폐수단(6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령 토출구(50)에서 제설차량(C)으로 곧바로 원료가 토출되어 상차시키게 되면 토출구(50)와 제설차량(C) 간에 낙차거리가 있기 때문에 소금(a)과 혼합된 상태의 염화칼슘(b)이라도 많은 분진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염화칼슘(b)이 염화칼슘호퍼실(20) 내부에서 보관되는 동안 습기에 의해서 뭉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습기제거수단(100)이 설치되는 한편 염화칼슘(b)을 염화칼슘호퍼실(20)에 투입하는 과정 및 토출구(50)로 배출시키는 과정에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원료투입부 분진제거수단(200)과 원료배출부 분진제거수단(300)이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습기제거수단(100)은 공기구멍(110)으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송풍기(120)에 의해 히터부(130)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히터(131)에 의해서 가온된 열풍공기가 열풍통로(140)를 통해 염화칼슘호퍼실(20)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히터부(130)로 공급된 외부공기는 그 공기 자체에 가지고 있던 습기가 열에 의해서 제거되게 되고, 이와 같이 습기가 제거된 상태의 더운공기가 열풍통로(140)를 통해 염화칼슘호퍼실(20)로 투입된다.
따라서, 염화칼슘호퍼실(20)은 더운공기로 가득 차게 되기 때문에 염화칼슘(b)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습기)이 증발되어 제거되게 되고, 이러한 수분제거 시간이 어느정도 지나게 되면 이후에 설명되는 원료투입부 분진제거수단(200)이 가동되어 염화칼슘호퍼실(20)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시키게 되는 분진관(251)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염화칼슘호퍼실(20)에는 습도감지기(미도시됨)가 있어서 제어부(미도시됨)에 항상 습도 상태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송풍기(120)와 히터(131)는 염화칼슘호퍼실(20)의 습도가 사전에 설정된 습도 이상의 고습도 상태가 되면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서 자동으로 가동되어 열풍공기를 염화칼슘호퍼실(20)로 공급되게 하고 저습도 상태가 되면 가동이 중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 상태의 염화칼슘(b)은 습기에 의해서 뭉쳐지지 않게 되고 원래의 분말 상태를 항상 유지하게 되므로 소금(a)과의 혼합이 양호한 상태를 갖게 한다.
원료투입부 분진제거수단(200)은, 모터(210)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211)에 의해 공기흡입기(220)가 가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기흡입기(220)는 팬(221)이 회전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공지된 공기흡입기(220)가 이용된다.
공기흡입기(220)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22)가 있는 동시에 흡입된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구(223)가 있다.
상기 흡입구(222)에는 연결관(230)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230)에는 필터(244)가 내장되고 제1,2,3흡입구(241,242,243)를 가진 필터수단(240)이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다.
필터수단(240)은, 도 4a 및 도 4b와 같이 필터(244)가 가이드부재(245)를 따라서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다시 빼낼때는 손잡이(246)를 이용하여 가상선 도시와 같이 위쪽으로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밖으로 빼낸 필터(244)는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에 다시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한편, 수명이 다한 필터(244)일 경우에는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다시 도3을 참조하면, 필터수단(240)의 제1흡입구(241)는 분진관(251)에 의해서 염화칼슘호퍼실(20)의 상측부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다.
필터수단(240)의 제2,3흡입구(242,243)는 또다른 분진관(252,253) 및 플렉시블분진관(342,343)에 의해서 후드(32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이 부분은 이후에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모터(210)는 필요시에만 제어부(미도시됨)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가동되게 하는 것으로서, 모터(210) 동력에 의해 공기흡입기(220)가 가동되면 흡입구(222)로 공기를 빨아 들이기 때문에 필터수단(240) 쪽의 공기를 빨아 들이므로 제1,2,3흡입구(241,242,243)와 연결된 분진관(251,252,253)을 통해서 공기를 빨아 들이게 되고, 그로 인해 분진관(251)을 통해서 염화칼슘호퍼실(20)에 있는 분진이 필터수단(240)으로 빨려 들어 가게 된다.
필터수단(240)으로 빨려 들어간 분진은 필터(244)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공기만 흡입구(222)로 흡입되어 배출구(223)를 통해 외부로 배기됨으로써 염화칼슘호퍼실(20)에서 발생된 분진이 제거된다.
원료배출부 분진제거수단(300)은,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토출구(50)에 수직선상으로 신축관(310)이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신축관(310) 하단에는 후드(320)가 연결되게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후드(32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후드승강수단(330)이 설치된다.
후드승강수단(330)은 실린더(331)의 피스톤로드(332)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되는 이동로울러(333)가 구비된다.
그리고 로프상단부(334a)가 지지프레임(1)에 고정된 후드로프(334)가 이동로울러(333)와 한쌍의 가이드로울러(335)를 거처 후드(320) 양측에 로프하단부(334b)가 고정되게 구성된다.
또한, 후드(320) 양측에는 분진 흡입을 위해 필터수단(240)의 제2,3흡입구(242,243)와 연결된 분진관(252,253)과 직결되는 플렉시블분진관(342,343)이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도 6은 상기한 이동로울러(333)의 수평 이동을 위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로울러 지지부재(336)에 있는 가이드로울러(336a)가 가이드부재(337)의 안내홈(337a)을 따라 안내되게 이동 됨으로써 이동로울러(333)는 수평선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후드(320)는 소금(a)과 염화칼슘(b)이 혼합된 원료를 토출구(50)로 배출시켜 제설차량(C)에 상차시킬 때 승,하강되게 하는 것으로서, 후드(320)가 상승된 상태에서 제설차량(C)이 토출구(50) 밑에 정차되면 후드(320)를 하강시키고 원료를 탑재하게 되는 것이고 원료 상차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후드(320)를 상승시키고 제설차량(C)이 빠져 나가게 되는 것이다.
후드승강수단(330)의 실린더(331)는 필요시에만 제어부(미도시됨)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가동되게 하는 것으로서, 도 5의 실선 도시는 후드(320)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는, 실린더(331)의 피스톤로드(332)가 후진된 상태이기 때문에 후드로프(334) 중간부가 이동로울러(333)에 의해 당겨진 상태이므로 후드(320)가 후드로프(334)에 의해 윗쪽으로 당겨져서 상승된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의 가상선 도시와 같이 실린더(331)의 피스톤로드(332)가 전진된 상태가 되면 이동로울러(333)가 전진되게 이동됨으로써 후드(320)는 자중이 있기 때문에 하강되게 이동된다.
후드(320)가 하강된 상태가 되면 토출개폐수단(60)에 의해 토출구(50)가 개방되어 혼합된 원료가 신축관(310)과 후드(320)를 통해서 제설차량(C)으로 배출되게 된다.
신축관(310)과 후드(320)에 의해서 원료가 배출될 때 제설차량(C)과의 낙하 거리를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되지만 염화칼슘(b)은 분말이기 때문에 다소의 분진은 발생되게 된다.
이때, 분진은 후드(320)가 넓은 면적을 가질 뿐만 아니라 후드(320)에 연결된 플렉시블관(342,343)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분진이 후드(320) 외부로 이탈되기 전에 플렉시블관(342,343)으로 흡입되어 필터수단(240)의 제2,3흡입구(242,243)로 흡입됨으로써 필터(244)에 의해 분진이 걸러지게 되므로 공기만 공기흡입기(220)의 배기구(223)를 통해서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중간배출부(22)에서 염화칼슘(b)이 배출되는 과정이나 소금(a)과 염화칼슘(b)의 혼합과정에서 분진이 발생될 수도 있는데 이 과정에 발생되는 분진은 분진관(251)을 통해 필터수단(240)의 제1흡입구(241)로 흡입되어 필터(244)에 의해 분진이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원료배출부 분진제거수단(300)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후드(320)의 분진흡입구(321)에 전기로 가동되는 흡입팬(350)을 더 설치함으로써 플렉시블분진관(342,343)으로 분진이 보다 신속하고 확실하게 빨아 들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공기흡입기(220) 및 필터수단(240)이 후드(320) 간에 설치되는 거리가 멀어서 후드(320)에서 분진을 빨아 들이는 흡입력이 약한 경우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해 습기 제거 기능이 부여되어 보관되는 염화칼슘 원료 상태를 항상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소금 원료와의 원활한 혼합이 이루어지게 되어 기능 향상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고 원료의 상,하차시에 발생되는 분진이 제거됨으로서 환경오염 발생 및 작업자의 건강 훼손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지지프레임(1)에 고정된 원료호퍼(2)의 격리부재(3)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소금호퍼실(10) 및 염화칼슘호퍼실(20)과, 포대절개수단(4)이 설치된 원료투입구(11,21)와, 소금(a)과 염화칼슘(b)의 혼합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실린더(31)에 의해 중간배출부(12,22)를 개폐시키는 게이트부재(32)을 갖는 원료토출조절수단(30,30')과, 원료를 혼합시키기 위해 버티컬감속모터(41)에 의해 토출구(50)에서 회전되는 교반날개(42)를 가진 원료교반수단(40)과, 상기 토출구(50)를 개폐시키기 위한 실린더(61)와 게이트부재(62)를 갖는 토출개폐수단(60)을 갖는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화칼슘호퍼실(20)의 습기 제거를 위해 공기구멍(110)으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송풍기(120)에 의해 히터부(130)로 공급되고 히터(131)에 의해 가온되어 공기 자체에 함유된 습기가 제거된 더운 공기가 열풍통로(140)를 통해 염화칼슘호퍼실(20)로 공급되게 하여 염화칼슘(b)이 보유한 습기가 제거되게 하는 습기제거수단(100)과;
    상기 염화칼슘호퍼실(20)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모터(210)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211)에 의해 팬(221)이 회전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공지된 공기흡입기(220)의 흡입구(222)에 연결관(230)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230)에는 필터(244)가 내장되고 제1,2,3흡입구(241,242,243)를 가진 필터수단(240)이 있으며 상기 제1흡입구(241)와 염화칼슘호퍼실(20)의 상측부에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분진관(251)이 연결되게 설치되는 원료투입부 분진제거수단(200)과;
    상기 토출구(50)에 수직선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신축관(310)과, 상기 신축관(310) 하단과 연결되는 후드(320)와, 상기 후드(320)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실린더(331)의 피스톤로드(332)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되는 이동로울러(333)가 있고 로프상단부(334a)가 지지프레임(1)에 고정된 후드로프(334)가 이동로울러(333)와 한쌍의 가이드로울러(335)를 거처 후드(320) 양측에 로프하단부(334b)가 고정되는 후드승강수단(330)을 구비하고, 상기 후드(320) 양측에는 분진 흡입을 위한 분진흡입구(321)가 있고 이 분진흡입구(321)에는 필터수단(240)의 제2,3흡입구(242,243)와 연결된 분진관(252,253)과 직결되는 플렉시블분진관(342,343)이 각각 연결되게 설치되는 원료배출부 분진제거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와 분진 제거 기능이 부여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320)의 분진흡입구(321)에는 강한 분진 흡입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흡입팬(35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와 분진 제거 기능이 부여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
KR1020050001768A 2005-01-07 2005-01-07 습기와 분진 제거 기능이 부여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보관 및 혼합장치 KR100689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768A KR100689875B1 (ko) 2005-01-07 2005-01-07 습기와 분진 제거 기능이 부여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보관 및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768A KR100689875B1 (ko) 2005-01-07 2005-01-07 습기와 분진 제거 기능이 부여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보관 및 혼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993A true KR20050010993A (ko) 2005-01-28
KR100689875B1 KR100689875B1 (ko) 2007-03-09

Family

ID=3722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768A KR100689875B1 (ko) 2005-01-07 2005-01-07 습기와 분진 제거 기능이 부여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보관 및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87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0731A1 (ko) * 2014-06-12 2015-12-17 김경호 심토파쇄기용 투입물 공급장치
CN108584473A (zh) * 2018-02-11 2018-09-28 江西亿丰精密铸造有限公司 一种筛分机落砂量控制系统
CN109573620A (zh) * 2019-01-16 2019-04-05 南通飞跃重型工程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带有智能控制系统的粉体真空输送系统
CN110886271A (zh) * 2019-11-29 2020-03-17 宿州市众力保温节能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平滑路面撒砂设备
CN110979767A (zh) * 2019-12-31 2020-04-10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农副食品自动装盒设备
KR102405263B1 (ko) * 2022-04-06 2022-06-07 와이제이산업 주식회사 비산방지용 분진배출장치
CN116792363A (zh) * 2023-06-30 2023-09-22 扬州市飞龙气动液压设备有限公司 一种油缸活塞储存用的翻转式除水防锈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216B1 (ko) * 2010-06-09 2010-11-05 서울특별시 강북구 소금 및 염화칼슘의 혼합살포를 위한 살포기
KR101177761B1 (ko) * 2012-01-16 2012-08-30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 제설을 위한 염화칼슘용액 제조기의 염화칼슘 분진 흡수활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317B1 (ko) 1998-03-12 2001-04-02 민병률 제설재혼합이송장치의염화칼슘저장호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0731A1 (ko) * 2014-06-12 2015-12-17 김경호 심토파쇄기용 투입물 공급장치
CN106455479A (zh) * 2014-06-12 2017-02-22 金庚镐 障碍物检测装置和方法
CN108584473A (zh) * 2018-02-11 2018-09-28 江西亿丰精密铸造有限公司 一种筛分机落砂量控制系统
CN108584473B (zh) * 2018-02-11 2023-09-19 江西江工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筛分机落砂量控制系统
CN109573620A (zh) * 2019-01-16 2019-04-05 南通飞跃重型工程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带有智能控制系统的粉体真空输送系统
CN110886271A (zh) * 2019-11-29 2020-03-17 宿州市众力保温节能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平滑路面撒砂设备
CN110979767A (zh) * 2019-12-31 2020-04-10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农副食品自动装盒设备
CN110979767B (zh) * 2019-12-31 2021-09-14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农副食品自动装盒设备
KR102405263B1 (ko) * 2022-04-06 2022-06-07 와이제이산업 주식회사 비산방지용 분진배출장치
CN116792363A (zh) * 2023-06-30 2023-09-22 扬州市飞龙气动液压设备有限公司 一种油缸活塞储存用的翻转式除水防锈设备
CN116792363B (zh) * 2023-06-30 2024-02-20 扬州市飞龙气动液压设备有限公司 一种油缸活塞储存用的翻转式除水防锈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875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875B1 (ko) 습기와 분진 제거 기능이 부여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보관 및 혼합장치
US6491070B1 (en) Device for capturing dust in the loading of concrete mixer trucks
JP2005104076A (ja) コンクリート・建材・残土処理用混合機の除塵装置
CN211309890U (zh) 一种螺旋输送机
JP2000128324A (ja) 粉粒体積込装置
CN211002861U (zh) 一种干混砂浆原料存储装置
KR100545543B1 (ko) 분진방지형 제설제 혼합투입장치
CN207172411U (zh) 一种可升降搅拌的砂石搅拌机
CN212505728U (zh) 一种牵引撒布车
CN210230113U (zh) 一种原料药生产中无尘破碎投料系统
CN209623268U (zh) 塑料颗粒烘干装置
CN220998358U (zh) 电动真空上料设备
CN208269536U (zh) 平仓玉米果穗烘干机
CN217807080U (zh) 一种节能的腻子提升装置
CN220998366U (zh) 气动真空输料设备
CN213761695U (zh) 一种具有除尘机构的自动配料装置
CN113757674B (zh) 一种危险废料焚烧处理设备及其工艺
CN220422988U (zh) 一种小麦谷朊粉干燥提取装置
JP4197793B2 (ja) 生コンクリート製造装置
KR100444289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CN212426926U (zh) 粉尘收集吸尘车
CN214163468U (zh) 一种用于水泥窑耐火砖的混料装置
CN216037423U (zh) 一种便于上料的无尘投料站
JPH0814741A (ja) 穀粒乾燥貯留装置
CN219970676U (zh) 一种混凝土加工无尘原料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