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543B1 - 분진방지형 제설제 혼합투입장치 - Google Patents

분진방지형 제설제 혼합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543B1
KR100545543B1 KR1020050046323A KR20050046323A KR100545543B1 KR 100545543 B1 KR100545543 B1 KR 100545543B1 KR 1020050046323 A KR1020050046323 A KR 1020050046323A KR 20050046323 A KR20050046323 A KR 20050046323A KR 100545543 B1 KR100545543 B1 KR 100545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ention film
dust prevention
dust
mixing
snow re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식
Original Assignee
이텍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텍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텍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6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having bottom discharging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65D88/32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in multipl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5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제설제(염화칼슘, 소금)를 복합적으로 혼합하여 즉석으로 살포차량에 투입시키는 제설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임펠러에 의해 제설제의 혼합·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져 구조가 매우 간단함은 물론 혼합력이 뛰어나고, 분진방지막이 적재함의 상부 전역을 덮어주어 분진이 비산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상기 분진방지막이 적정상태로 펼쳐지면 자동으로 하강을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분진방지형 제설제 혼합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저장호퍼의 하단부에 형성된 혼합조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한 쌍의 임펠러가 맞물리며 동시 회전하면서 제설제를 혼합, 파쇄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설제 혼합·배출수단과;
상기 베이스판의 저부 사방 둘레면을 따라 저장호퍼를 감싸게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하강하면서 살포차량의 적재함 상부 전역을 덮어주어 분진이 비산됨을 방지하는 분진방지막과; 상기 투입호퍼 외측에 설치된 윈치의 가동에 따라 분진방지막의 하단부에 연결된 와이어를 당겨주어 분진방지막을 인양시키는 인양수단을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분진방지형 제설제 혼합투입장치{Mixing and input equipment of snow removal drug}
도 1은 본 발명 저장호퍼의 하측에 살포차량이 위치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분진방지막의 하강상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설제 혼합·배출수단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설제 혼합·배출수단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윈치 및 가이드롤러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방지막 지지대와 분진방지막의 연결상태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형태유지대 및 분진방지막의 결합상태 일부절결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분진방지막 리미팅수단의 일실시예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분진방지막 리미팅수단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분진방지막 리미팅수단의 다른 실시예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베이스판 7: 혼합조
10: 제설제 혼합·배출수단 12,12a: 임펠러
13: 임펠러모터 20: 분진방지막
22: 방지막 지지대 30: 인양수단
31: 윈치 33: 와이어
34: 와이어연결구 35: 가이드롤러
41: 리미트스위치 43: 스위칭와이어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제설제(염화칼슘, 소금)를 복합적으로 혼합하여 즉석으로 살포차량에 투입시키는 제설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임펠러에 의해 제설제의 혼합·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져 구조가 매우 간단함은 물론 혼합력이 뛰어나고, 분진방지막이 적재함의 상부 전역을 덮어주어 분진이 비산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상기 분진방지막이 적정상태로 펼쳐지면 자동으로 하강을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분진방지형 제설제 혼합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동절기 결빙해소 및 제설을 위해 주로 모래와 염화칼슘을 골고루 혼합하여 도로에 살포하고 있는 실정이나, 이 경우 모래는 도로에 그대로 방치됨에 따라 별도의 모래수거기 등과 같은 장비를 활용하여 이를 수거하는 2차 작업을 요하며, 상기한 모래수거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자동차의 주행시 미끄럼 및 분진이 발생되어 대형사고를 유발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 상기 모래를 대신하여 후처리가 용이한 소금이 대두됨에 따라 상기 소금과 염화칼슘을 혼합하여 도로 상에 살포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위한 장치로는 상기 소금과 염화칼슘을 포장된 상태로 보관하였다가 필요시 즉석으 로 이를 혼합하여 살포차량에 공급하는 혼합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혼합장치는 혼합 및 배출작업시 가루상태의 염화칼슘에서 많은 분진이 발생됨은 물론 특히 상기 분진은 배출시 외부로 비산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비산되는 염화칼슘의 분진은 차량의 흡기구를 통해 엔진으로 유입된 후 산화, 부식되므로써 차량의 엔진을 손상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야기되며, 주변 구조물에 녹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건강에도 치명적인 것이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출원 제2005-10993호 명칭 습기와 분진 제거 기능이 부여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보관 및 혼합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출원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함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다소의 개선점을 내포하게 된다.
첫째, 염화칼슘과 소금을 혼합하여 배출하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혼합력이 매우 저하되는 것이었다.
즉 염화칼슘과 소금을 혼합 및 배출하는 기술구성이 버티컬감속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날개로 이루어진 원료교반수단과, 실린더의 가동에 따라 조절되는 게이트부재로 이루어진 토출개폐수단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구조가 매우 복잡함은 물론 조작이 매우 번거로운 것이었다.
더욱이 상기 교반날개가 주로 액상물질을 교반하는 일반적인 프로펠러의 형태로 이루어져 교반력이 저하됨은 물론 교반날개에 염화칼슘 및 소금의 하중이 집중되므로써 파손의 우려가 매우 높은 것이었다.
둘째, 신축관에서 후드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은 후드 외부로 이탈되기 전에 플렉시블관을 통해 흡입한 후 이를 여과하여 배출함에 따라 후드 내부에서 발생되는 분진은 제거할 수 있는 반면, 상기 후드의 크기가 작아 살포차량의 적재함 상부면 전역을 덮어줄 수 없어 후드에서 배출된 후 적재함에 적재시(즉, 후드로부터 적재함 사이의 공간) 발생되는 분진은 사방으로 그대로 비산됨에 따라 분진의 비산발생 억제효과가 저하되며, 분진제거를 위한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적이지 못한 것이었다.
셋째, 상기 후드의 하부이송거리(하강)를 자동으로 제한할 수 없고 다만,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수동으로 후드가 살포차량의 적재함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조작하므로써 이에 따른 어려움이 가중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선출원 발명에서 야기되는 일부의 개선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분진방지형 제설제 혼합투입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을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장호퍼의 하부 혼합조에 제설제의 혼합기능 및 배출기능을 복합적으로 구비한 한 쌍의 임펠러를 맞물리도록 설치하여 장치의 구조가 매우 간소하면서도 혼합력이 배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설제의 투입시 분진방지막이 살포차량의 적재함 상부 전역을 덮어주어 분진이 외부로 비산됨을 완전하게 차단하도록 하며, 상기 분진방지막이 적재함의 표면에 밀착되는 순간 자동으로 분진방지막의 하강(펼쳐짐)작동을 차단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하므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건물 내부의 상측에 설치된 빔구조물(1)의 양측으로 사각체의 베이스판(2)이 안착되고, 상기 베이스판(2)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투입호퍼(3)가 설치되며, 상기 투입호퍼(3)의 내부에는 염화칼슘 및 소금이 담겨진 포대를 자동으로 절개시키는 절개장치(4)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투입호퍼(3)의 하부에는 상기 투입호퍼(3)를 통해 공급되는 제설제가 모아지는 저장호퍼(5)가 투입호퍼(3)와 연통하여 설치된 제설제 투입장치(6)의 기본구성을 전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설제 투입장치(6)에 있어서, 상기 저장호퍼(5)의 하단부에 형성된 혼합조(7)에 설치된 한 쌍의 임펠러(12)(12a)가 맞물리며 동시 회전하면서 제설제를 혼합,파쇄한 후 외부로 자동 배출시키는 제설제 혼합·배출수단(10)과, 상기 베이스판(2)의 저부에 저장호퍼(5)를 감싸게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하강하면서 살포차량(8)의 적재함(8a) 상부 전역을 덮어주어 분진이 비산됨을 방지하는 분진방지막(20)과, 상기 분진방지막(20)의 하단부에 연결된 와이어(33)를 윈치(31)의 가동에 따라 당겨주어 분진방지막(20)을 인양시키는 인양수단(3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가능하도록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상기 저장호퍼(5)의 하단부에 설치된 혼합조(7)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설제 혼합·배출수단(10)은 비교적 간단한 단일구조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제설제를 효과적으로 혼합하는 동시에 파쇄시킨 후 이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혼합조(7)의 내부에는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양측으로 회전지지구(11)에 의해 한 쌍의 임펠러(12)(12a)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임펠러(12)는 임펠러모터(13)와 체인(14)으로 연결되므로써 상기 임펠러모터(13)의 작동에 따른 회전동력을 원활하게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임펠러(12)(12a)는 임펠러축(12b)의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교반날개(12c)가 부착되고, 상기 교반날개(12c)의 사이사이에는 교반날개(12c)가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보강리브(12d)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임펠러(12)는 타측 선단에 주기어(15)가 설치되고 상기 주기어(15)는 대응하는 다른 하나의 임펠러(12a)에 설치된 종동기어(16)와 치합되므로써 상기 임펠러모터(13)의 작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임펠러(12)(12a)는 동시에 맞물리면서 회전하므로써 소금과 염화칼슘을 골고루 교반시킴은 물론 다수의 교반날개(12c)가 덩어리로 굳어버린 염화칼슘을 파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골고루 혼합된 제설제는 하부로 자동 배출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임펠러(12)(12a)는 종래와 같이 별도의 게이트부재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미작동시 혼합조(7)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여 제설제가 하부 로 누출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상기 임펠러(12)(12a)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에 따라 제설제의 배출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설제 혼합·배출수단(10)을 이용하여 살포차량(8)에 제설제를 투입함에 있어 염화칼슘으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이 사방으로 비산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분진방지막(20)은 베이스판(2)의 저부 사방 둘레를 따라 설치된 메인프레임(2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프레임(21)의 저면에는 방지막 지지대(22)가 부착되고, 상기 방지막 지지대(22)에는 다수의 연결고리(23)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고리(23)에는 분진방지막(20)이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고리(23)는 분진방지막(20)을 방지막 지지대(22)에 연결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고리(23)를 생략한 상태에서 상기 분진방지막(20)을 방지막 지지대(22)에 직접적으로 부착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분진방지막(20)은 얇은 비닐이나 천막 등과 같은 소재로 구성되므로써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펄럭임에 따라 적재함(8a)을 효과적으로 덮어주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단부가 도 7과 같이 형태유지대(24)를 감싸주도록 결합되므로써 상기 형태유지대(24)의 하중에 의해 분진방지막(20)이 하부로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하단부가 사각체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진방지막(20)은 하강시 살포차량(8)의 적재함(8a) 상부 전역을 완전하게 덮어주므로써 혼합조(7)로부터 배출되는 제설제가 적재함(8a)의 바닥면에 적재될 때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지 못하도록 완전하게 밀폐시키게 된다.
즉 상기 혼합조(7)로부터 적재함(8a)의 바닥면 사이에서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분진은 적재함(8a)의 상부 전역을 덮어주는 분진방지막(20)에 의해 어떠한 경우에도 외부로 비산되는 일이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분진방지막(20)을 윈치(31)의 선택적인 가동에 따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인양수단(30)은 투입호퍼(3)의 외측 베이스판(2)에 윈치(31)에 권양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인양모터(3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윈치(31)에 권양된 와이어(33)는 베이스판(2)을 관통하여 형태유지대(24)에 나사결합된 와이어연결구(34)에 연결되므로써 상기 와이어(33)를 감아주거나 풀어주는 선택적인 작동에 따라 분진방지막(20)을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분진방지막(20)의 승,하강작동시 와이어(33)는 메인프레임(21) 및 방지막 지지대(22)에 각각 설치된 가이드롤러(35) 및 가이드링(36)에 안내되어 더욱 원활한 이송을 보장한다.
한편, 상기 제설제 혼합·배출수단(10)의 하부를 감싼 상태로 펼쳐지는 분진방지막(20)은 하강시 상기 형태유지대(24)가 적재함(8a)의 표면에 밀착되는 순간 자동으로 인양모터(32)의 가동을 중단하여 최적의 작업상태를 간편하게 조성할 수 있는 분진방지막 리미팅수단(4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분진방지막 리미팅수단(40)은 리미트스위치(41)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리미트스위치(41)는 도 8과 같이 형태유지대(24)에 일체로 설치되므로써 분진방지막(20)의 하강시 하단에 결합된 형태유지대(24)가 적재함(8a)의 표면에 밀 착되는 순간 자동으로 인양모터(32)의 가동을 중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리미트스위치(41)는 형태유지대(24)에 직접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도 9 내지 도 10과 같이 메인프레임(21)의 저부에 설치된 스위치지지대(4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리미트스위치(41)는 형태유지대(24)와 스위칭와이어(43)로 연결된다.
상기 스위칭와이어(43)는 형태유지대(24)가 살포차량(8)의 적재함(8a) 상부면에 밀착되는 순간 리미트스위치(41)를 가동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제작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통해 살포차량(8)에 제설제를 투입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상기 제설제 투입장치(6)의 저부에 도 1과 같이 살포차량(8)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인양모터(32)를 가동하여 분진방지막(20)을 하강시킨다. 상기 분진방지막(20)은 하강도중 형태유지대(24)가 적재함(8a)의 상부 표면에 밀착되는 순간 리미트스위치(41)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작동이 중단되므로써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최적의 작업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분진방지막(20)은 살포차량(8)의 적재함(8a) 상부 전역을 완전하게 덮어주므로써 어떠한 경우에도 분진이 외부로 비산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투입호퍼(3)에 소금 및 염화칼슘이 담겨진 포대를 각각 낙하시키면 절개장치(4)에 의해 포대가 자동으로 절개되면서 투입호퍼(3)를 통해 저장호퍼(5)로 모여진다.
그리고 상기 투입호퍼(3)에 저장된 제설제는 한 쌍의 임펠러(12)(12a)에 의해 골고루 혼합, 파쇄된 후 자동으로 하부로 낙하되어 살포차량(8)의 적재함(8a)에 적재되며, 이때 발생되는 분진은 적재함(8a)의 상부면 전역을 완전하게 덮어주는 분진방지막(20)에 의해 외부로 비산되는 일이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저장호퍼의 하부에 설치된 한 쌍의 임펠러가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하므로써 다양한 종류의 제설제를 골고루 혼합 및 파쇄하는 동시에 외부로 자동배출시키는 작업을 병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비의 구조가 매우 간소하고 콤팩트하여 제작에 따른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한 구조의 간소화에 비해 오히려 혼합력은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설제의 투입작업시 분진방지막이 살포차량의 적재함 상부 전역을 덮어주므로써 미세한 분진조차 외부로 비산됨을 완전하게 차단하여 분진발생으로 인한 문제점을 말끔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분진방지막은 리미트스위치의 가동에 따라 펼침작동시 적재함의 상부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자동으로 윈치의 가동이 중단되므로써 상기 분진방지막의 조작을 자동으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7)

  1. 건물 내부의 빔구조물(1)에 안착된 베이스판(2)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투입호퍼(3)와, 상기 투입호퍼(3)의 하단부에 설치된 저장호퍼(5)와, 상기 저장호퍼(5)의 혼합조(7)에 설치된 임펠러(12)(12a)가 제설제를 혼합, 파쇄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제설제 혼합·배출수단(10)과, 상기 저장호퍼(5)를 감싸게 설치된 분진방지막(20)을 윈치(31)의 가동에 따라 와이어(33)로 당겨주어 분진방지막(20)을 인양시키는 인양수단(30)으로 이루어진 제설제 혼합투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진방지막(20)은 베이스판(2)의 저부 사방에 설치된 메인프레임(21)의 방지막 지지대(22)에 다수의 연결고리(23)를 매개로 저장호퍼(5)를 감싸게 설치되고, 상기 분진방지막(20)의 하단에는 살포차량(8)의 적재함(8a) 상부 전역을 분진방지막(20)이 완전하게 덮어주는 형태를 유지하는 형태유지대(24)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방지형 제설제 혼합투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분진방지막(20)은 하강시 형태유지대(24)가 살포차량(8)의 적재함(8a) 표면에 밀착되는 순간 자동으로 작동이 중단되도록 하는 분진방지막 리미팅수단(4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방지형 제설제 혼합투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분진방지막 리미팅수단(40)은 형태유지대(24)에 설치되고, 적재함(8a)의 표면에 밀착시 자동으로 인양모터(32)의 가동을 중단하는 리미트스위치(4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방지형 제설제 혼합투입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분진방지막 리미팅수단(40)은 메인프레임(21)의 저부에 설치된 스위치지지대(42)에 리미트스위치(41)가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41)는 형태유지대(24)가 적재함(8a)의 표면에 밀착시 형태유지대(24)와 연결된 스위칭와이어(43)에 의해 당겨지면서 인양모터(32)의 가동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방지형 제설제 혼합투입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50046323A 2005-05-31 2005-05-31 분진방지형 제설제 혼합투입장치 KR100545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323A KR100545543B1 (ko) 2005-05-31 2005-05-31 분진방지형 제설제 혼합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323A KR100545543B1 (ko) 2005-05-31 2005-05-31 분진방지형 제설제 혼합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5543B1 true KR100545543B1 (ko) 2006-01-24

Family

ID=3717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323A KR100545543B1 (ko) 2005-05-31 2005-05-31 분진방지형 제설제 혼합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5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20Y1 (ko) 2008-09-04 2009-11-24 주식회사 부원유압 포장된 분상체의 공급기구
CN107472852A (zh) * 2016-06-08 2017-12-15 德国邮政股份公司 用于在递送路线的不同地点递送托运物的递送车辆和方法
KR20180070822A (ko)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원발효산업 제설제용 혼합 및 포장장치
CN112726481A (zh) * 2020-12-29 2021-04-30 龙口市恒源环卫设备有限公司 一种电机驱动的融雪剂抛洒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20Y1 (ko) 2008-09-04 2009-11-24 주식회사 부원유압 포장된 분상체의 공급기구
CN107472852A (zh) * 2016-06-08 2017-12-15 德国邮政股份公司 用于在递送路线的不同地点递送托运物的递送车辆和方法
KR20180070822A (ko)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원발효산업 제설제용 혼합 및 포장장치
CN112726481A (zh) * 2020-12-29 2021-04-30 龙口市恒源环卫设备有限公司 一种电机驱动的融雪剂抛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8937A (en) Crawler type soil improving machine
KR100938954B1 (ko) 도로노면의 낙엽 및 쓰레기 청소차량
KR100545543B1 (ko) 분진방지형 제설제 혼합투입장치
KR100689875B1 (ko) 습기와 분진 제거 기능이 부여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보관 및 혼합장치
CN209937292U (zh) 一种混凝土搅拌机
KR101256527B1 (ko)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EP2226429B1 (en) Bucket for earth moving machines
WO1994006561A1 (en) Self-propelled crushing machine
EP0971075A1 (en) Suction and handling device for dust produced by scarifiers
CN212223571U (zh) 一种市政工程用道路标线划线装置
CN205833053U (zh) 立式搅拌机
JP2001121022A (ja) 自走式粉砕処理装置
CN215693704U (zh) 聚氨酯碎石混合料搅拌机
KR102462413B1 (ko) 제설재 분쇄장치
CN108274625A (zh) 一种全自动混凝土搅拌设备
CN206733304U (zh) 一种一体化履带式干喷车
CN201525085U (zh) 移动自提式混凝土搅拌机
KR200165497Y1 (ko) 염화칼슘 모래 살포장치
CN215291526U (zh) 一种混凝土浇筑装置
CN209848996U (zh) 秸秆粉碎机
CN108453892A (zh) 一种基于全自动混凝土搅拌设备的混凝土搅拌方法
CN216329164U (zh) 一种工地减重混凝土搅拌设备
CN211415695U (zh) 一种水利工程用混凝土搅拌运输装置
JP4739614B2 (ja) 破砕機
CN217626502U (zh) 一种过滤机下料口防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