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673A - 디지틀 데이터 송신장치, 디지틀 데이터 수신장치, 디지틀방송 수신장치, 디지틀 데이터 송신방법, 디지틀 데이터수신방법, 디지틀 방송 수신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틀 데이터 송신장치, 디지틀 데이터 수신장치, 디지틀방송 수신장치, 디지틀 데이터 송신방법, 디지틀 데이터수신방법, 디지틀 방송 수신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673A
KR20050009673A KR1020040054995A KR20040054995A KR20050009673A KR 20050009673 A KR20050009673 A KR 20050009673A KR 1020040054995 A KR1020040054995 A KR 1020040054995A KR 20040054995 A KR20040054995 A KR 20040054995A KR 20050009673 A KR20050009673 A KR 20050009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packets
mpeg2
stream
str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1463B1 (ko
Inventor
키리하라사토시
요시가하라노리유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9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4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2Systems in which the television signal is transmitted via one channel or a plurality of parallel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televis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4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g. by modifying time stamps or remapping the packet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4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additional data with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e.g. of EPG data or interactive icon with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Abstract

멀티플렉서(106)는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103) 및 각종 인터페이스(104), (105)로부터 입력된 각종 데이터열을,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를 부가하면서 시분할 다중하고, 디멀티플렉서(109)는, 멀티플렉서(106)에서 다중화된 시분할 다중 데이터를 분해하고, 상기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패킷도착시각을 보정하고, PCR보정부(110)는, 멀티플렉서(106)에서 부가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시스템 클록을 보정함으로써, MPEG2 스트림과 그 밖의 데이터를, 프로그램 동기를 유지하면서 병렬로 전송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디지틀 데이터 송신장치, 디지틀 데이터 수신장치,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 디지틀 데이터 송신방법, 디지틀 데이터 수신방법, 디지틀 방송 수신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DIGITAL DATA TRANSMISSION APPARATUS, DIGITAL DATA RECEPTION APPARATUS, DIGITAL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DIGITAL DATA TRANSMISSION METHOD, DIGITAL DATA RECEPTION METHOD, DIGITAL BROADCAST RECEP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디지틀 데이터 송신장치, 디지틀 데이터 수신장치,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 디지틀 데이터 송신방법, 디지틀 데이터 수신방법, 디지틀 방송 수신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MPEG2 스트림과 임의의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하는 데 적합하다.
MPEG2의 TS(Transport Stream: 트랜스포트 스트림)에는, PCR(Program ClockReference)이라 불리는 기준클록정보(MPEG2의 PS(Program Stream: 프로그램 스트림)에서의 SCR(System Clock Reference))과, DTS(Decode Time Stamp) 및 PTS(Presentation Time Stamp)라 불리는 복호시각 및 표시시각에 관한 프로그램 동기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송신측이 상정한 동기를 취하기 위해서, 수신측은 시스템 클록을 PCR에 의거해서 보정할 필요가 있다.
시스템 클록의 보정에는 2종류가 있는 바, 그 중, 제 1보정에서는, PCR에 의해서 표시되는 송신측의 클록치를 수신측에 설정하고, 제 2보정에서는, 송신측이 상정한 PCR도착시각과 실제의 PCR도착시각과의 차를, PCR변동으로서 검출하고, 시스템 클록주파수를 소정의 범위내에서 증감시킨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의 송신측의 클록치(PCR카운터치)를 수신측의 클록치로 설정하는 조작을, "PCR기준시각보정"이라 하는 한편, 후자의 PCR의 변동보정을 "PCR변동보정"이라 칭한다.
MPEG2의 TS(이하, "MPEG2 TS"라 칭함)를 수신한 후, 외부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JPEG나 DV(Digital Video) 등의 다른 데이터와 동시에 MPEG2 TS를 전송하고자 하는 요구는, 입력을 관리하는 입력관리부와,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신호처리부와의 사이에 전송로가 존재할 경우에 고려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MPEG2 TS는, PCR의 도착시각에 의해서 PCR기준시각보정 및 PCR변동보정을 행하므로, MPEG2 TS와 임의의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여기서, "임의의 데이터"란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제어 시스템 데이터를 칭한다
일반적으로는, MPEG2 TS를 어느 처리부로부터 다른 처리부로 전송할 경우에는, 전송로를 MPEG2 TS에서 점유하고, MPEG2 TS와 다른 데이터의 병행전송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하거나, 혹은, 전송로를 MPEG2 TS와 다른 데이터에 의해 공유할 경우에는, PCR을 이용한 프로그램 동기를 행하지 않고 프로그램 동기정보를 파기한다. 종래기술에서 MPEG2 TS와 병행해서 JPEG 및 DV의 정보를 보내면서, PCR 등의 동기정보도 반영시키는 일반적인 수법에 의하면, MPEG2 TS를 일단 디멀티플렉스(즉, 분해 혹은 분리)하고, 이 디멀티플렉스된 MPEG2 TS와 JPEG 및 DV정보를 재차 MPEG2 TS로 다중화한다. 이 방법은, 처리량과 사용메모리의 양쪽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 제 2000-183841호 공보에서는, 디멀티플렉스하지 않고 복수의 TS를 1본의 TS로 다중화하는 수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MPEG2 TS와 임의의 데이터의 다중화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아, 이 방법은, 임의의 데이터에 대해서 응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MPEG2 스트림과 그 밖의 데이터를, 프로그램 동기를 유지하면서 병렬로 전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는,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복수의 MPEG2 프로그램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동일 크기의 패킷(packet)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대해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를 부가하고, 해당 패킷에 대해 시분할 다중을 행함으로써, 다중화 스트림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송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각각 188바이트를 지닌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SYNC패턴을, 다중화할 패킷의 내용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변경하고, 얻어진 SYNC패턴을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부가해서, 다중화 스트림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송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복수의 MPEG2 프로그램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동일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대해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를 부가하고, 해당 패킷에 대해 시분할 다중을 행함으로써 얻어진 다중화 스트림을 분리하는 디멀티플렉서 및 상기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다중화 스트림의 시각정보를 보정하는 시각정보 보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수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복수의 MPEG2 프로그램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동일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대해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를 부가하고, 해당 패킷에 대해 시분할 다중을 행함으로써 다중화 스트림을 작성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에 의해 작성된 다중화 스트림을 분리하는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에 의해 부가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다중화 스트림의 시각정보를 보정하는 시각정보 보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장치의 송신측 및 수신측에 약간 수정을 가함으로써, 프로그램 동기를 유지하면서 MPEG2 스트림과 기타의 데이터를 병렬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복수의 MPEG2 스트림을 병렬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예를 표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멀티플렉서에 의해 작성된 다중화 패킷의 구조예를 표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멀티플렉서에 의해 작성된 다중화 패킷열의 구조예를 표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예를 표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멀티플렉서에 의해 작성된 다중화 패킷의 구조예를 표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멀티플렉서에 의해 작성된 다중화 패킷열의 구조예 및 제 2 PCR보정정보의 부가예를 표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r_offset_table의 작성수법의 일례를 표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예를 표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멀티플렉서에 의해 부가된 SYNC패턴의 일례를 표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멀티플렉서에 의해 작성된 다중화 패킷의 구조예를 표시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멀티플렉서에 의해 작성된 다중화 패킷열의 구조예를 표시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예를 표시한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멀티플렉서에 의해 부가된 SYNC패턴의 일례를 표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멀티플렉서에 의해 작성된 SYNC패턴의 대응표의 일례를 표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예를 표시한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멀티플렉서에 의해 작성된 다중화 패킷의 구조예를 표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안테나 102, 301, 401: 신호수신부
103: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 104: USB 인터페이스
105: IEEE1394 인터페이스 106, 205, 302, 402, 502: 멀티플렉서
107, 206: 전송로 108, 207, 303, 403, 503: 신호처리부
109, 208, 304, 404, 504: 디멀티플렉서
110, 209: PCR보정부 111, 210: MPEG2복호부
112: JPEG복호부 113: DV복호부
114, 211: 합성부 115, 212: 화상표시장치
201: 하드디스크(HDD) 202: 하드디스크(HDD) 컨트롤러
203: 신호수신부 204: TS유지메모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예를 표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신호수신부는, 튜너로부터 입력된 MPEG2 TS와, 디지틀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JPEG 데이터와, DVC(Digital Video Camera)로부터 입력된 DV스트림을 수신하고, 시분할 다중하고, 얻어진 신호를 신호처리부에 전송하고, 신호처리부에서는 MPEG2 TS, JPEG, DV를 복호화하고, 출력화상을 합성해서 표시한다.
도 1에 있어서, (101)은 디지틀 방송파를 수신하는 안테나, (102)는 본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수신부(본 발명에 있어서의 "디지틀 데이터 전송장치"이기도 함), (103)은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 (104)는 디지틀 카메라 등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로서 배치되는 USB 인터페이스, (105)는 DVC 등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로서 배치되는 IEEE1394 인터페이스이다.
(106)은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103) 및 각종 인터페이스(104), (105)로부터입력된 각종 데이터열을,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를 부가하면서 시분할 다중하는 멀티플렉서이다. (108)은 본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처리부(본 발명에 있어서의 "디지틀 데이터 수신장치"이기도 함), (107)은 신호수신부(102)로부터 신호처리부(108)에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로, (109)는 멀티플렉서(106)에서 다중화된 시분할 다중데이터를 분리, 즉, 분해하는 디멀티플렉서이다. (110)은 멀티플렉서(106)에서 부가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시스템 클록을 보정하는 PCR보정부, (111)은 MPEG2 데이터의 복호를 행하는 MPEG2복호부, (112)는 JPEG 데이터의 복호를 행하는 JPEG복호부, (113)은 DV 데이터의 복호를 행하는 DV복호부이다. (114)는 MPEG2복호부(111), JPEG복호부(112) 및 DV복호부(113)의 출력에 의거해서 화상을 화면상에 합성하는 합성부, (115)는 CRT(음극선관)모니터 등의 화상표시장치(출력장치)이다.
안테나(101)에서 수신된 디지틀 방송신호와, 디지틀 카메라로부터 공급된 화상신호와, DVC로부터 공급된 DV신호는, 본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수신부(102)에서 수신된다. 신호수신부(102)는, 유저의 입력 및 데이터의 입력에 의거해서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이다. 신호수신부(102)는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103), USB 인터페이스(104)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105)를 지니고,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103), USB 인터페이스(104)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105)는, 각각, 디지틀 방송의 MPEG2 신호, 디지틀 카메라로부터의 JPEG 신호 및 DVC로부터의 DV스트림을 수신한다. 수신한 신호는 멀티플렉서(106)에 보내져, 다중화된다.
다중화 패킷은, 예를 들면,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은 형식을 지닌다. 도 2에 있어서, (116)은 패킷의 선두를 식별하기 위한 SYNC영역, (117)은 패킷에 arrival_revise가 부가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arrival_revise_flag영역이다. (118)은 이 패킷의 Payload영역(121)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의 종류를 표시하는 Stream_Type영역, (119)는 스트림의 번호를 표시하는 Stream_ID영역, (120)은 PCR 보정정보를 표시하는 arrival_revise영역, (121)은 각 데이터의 실체가 격납되는 Payload영역이다.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103) 및 각종 인터페이스(104), (105)로부터 입력된 스트림 데이터가 Payload영역(121)에 들어가, 그것에 각종 헤더(116) 내지 (120)가 부가된다. 특히, arrival_revise영역(120)에 있어서의 정보는, 패킷도착시각의 정보이며, 이것은 중요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가되는 정보는, 본래의 MPEG2 패킷사이에 삽입된 JPEG 패킷 및 DV 패킷의 수이다.
멀티플렉서(106)에서 다중화한 신호는, 전송로(107)를 통해서 시스템의 신호처리부(108)에 보내진다. 전송로(107)상의 대역은 임의이다. 신호처리부(108)는, 전송로(107)로부터 입력된 신호군을 복호하고, 해당 복호된 신호를 출력하는 처리부이다.
디멀티플렉서(109)는, 멀티플렉서(106)에 의해서 다중화된 패킷을 수취하여, 분해처리를 행한다. 또, 디멀티플렉서(109)는, 본래의 TS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PCR정보와, 멀티플렉서(106)에 의해서 부가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 즉, 원래의 TS패킷사이에 삽입된 패킷 수와, 전송로(107)의 비트 레이트에 의거해서, PCR 보정치를 계산하여, 해당 산출된 PCR보정치를 PCR보정부(110)에 보낸다.
PCR보정부(110)는, 그 정보에 의거해서 시스템 클록을 PCR변동보정한다. PCR기준시각보정이 행해지지 않은 상태이면, PCR보정부(110)는, 시스템 클록을 PCR기준시각보정을 행한다. MPEG2복호부(111)는, 통상의 MPEG2복호를 행하고, PCR보정부(110)에서 보정한 시스템 클록에 의거해서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한다. JPEG복호부(112) 및 DV복호부(113)는, 일반적인 것이어도 된다. 얻어진 화상들은, 합성부(114)에서 합성되어, 멀티화면으로서 화상표시장치(출력장치)(115)로부터 출력된다.
이하, 멀티플렉서(106)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멀티플렉서는,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103)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04), (105)로부터의 입력을 수취하여, 각각의 데이터로부터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은 고정크기를 지닌 패킷형식의 데이터를 작성한다. 패킷 크기는, 임의이어도 된다. 각 스트림본체는 Payload영역(121)에 배치된다. 패킷은 적당한 순번으로 배열되어, 전송로(107)로부터 출력된다. 패킷의 순서는 소망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103)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04), (105)로부터 입력된 순번으로 배치하는 것으로 한다. 다중화의 모식도를 도 3에 표시한다.
도 3에 있어서, (122)는 MPEG2 TS 스트림, (123)은 본래의 JPEG스트림, (124)는 본래의 DV스트림, (125)는 본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다중화 스트림, (126)은 제 1 MPEG2 TS 패킷, (127)은 제 1 JPEG패킷, (128)은 제 1 DV패킷, (129)는 제 2 MPEG2 TS 패킷, (130)은 제 3 MPEG2 TS패킷이다.
멀티플렉서(106)에 의해 부가되는 정보와, 디멀티플렉서(109)와PCR보정부(11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멀티플렉서(106)에서 부가되는 정보는, 다중화한 정보를 디멀티플렉서(109)가 분해할 수 있도록 부가하는 정보와,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로서 부가하는 정보의 2종류를 포함한다.
전자의 정보로서는, 패킷의 선두를 인식하는 SYNC정보(SYNC영역(116))와, 패킷의 Payload영역(121)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림의 유형(MPEG2 TS, JPEG 또는 DV 등)을 표시하는 정보(stream_type영역(118))와, 스트림의 번호(MPEG2 TS의 3번 또는 JPEG의 2번 등)를 표시하는 정보(stream_ID 영역(119))를 부가한다. 상기 SYNC정보는, 미리 결정된 임의의 값이어도 되나, 0×47(여기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0×..."는 16진법으로 표현된 수를 나타냄)은, MPEG2 TS의 식별자이므로 피해야만 한다.
후자의 정보로서는,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가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arrival_revise_flag영역(117))와,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본체(arrival_revise영역(120))가 있다.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arrival_revise영역(120)에는, 본래의 MPEG2 TS패킷사이에 삽입된 임의의 패킷의 개수가 멀티플렉서(106)에 의해 부가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표시한 예이면, 제 1 MPEG2 TS패킷(126)과 제 2 MPEG2 TS패킷(129)은, 본래의 MPEG2 TS 스트림(122)상에서는 연속한 패킷이다. 그러나, 멀티플렉서(106)에 의해, 제 1 MPEG2 TS패킷(126)과 제 2 MPEG2 TS패킷(129)과의 사이에, 제 1 JPEG패킷(127)과 제 1 DV패킷(128)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 2 MPEG2TS패킷(129)의 arrival_revise영역(120)에 "2"라는 수치가 부가된다.
디멀티플렉서(109)는, 멀티플렉서(106)에 의해 부가된, 다중화 분해용 정보에 의거해서 분해를 행하는 동시에,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PCR이 나타내는 패킷도착시각을 보정한다. 구체적으로는, arrival_revise영역(120)에서 표시된 값과, 패킷 크기 및 비트 레이트에 의거해서, PCR이 표시하는 본래의 도착시각을 지연시킨 PCR값으로 보정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표시한 예에서는, arrival_revise영역(120)에서 표시된 값을 2패킷, 패킷 크기를 256바이트, 비트 레이트를 30Mbps로 하면(= 30×1024×1024÷8바이트/초 = 3932160바이트/초), PCR보정치(ΔPCR)는, 이하의 식 (1)과 같이 된다.
ΔPCR[초] = 2[패킷]×256[바이트]/3932160[바이트/초] ≒ 0.0001302[초]....식(1)
PCR의 카운터치(ΔPCR)는, 27㎒의 정밀도를 지니므로, 실제의 PCR보정치는, 다음 식(2)로 표시한 바와 같이 된다.
ΔPCR[카운터치] = 0.0001302[초]×27000000[㎐] ≒ 3515[카운터치]....식(2)
그러므로,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2 MPEG2 TS패킷(129)의 PCR값은, "본래의 PCR(= 13000) + 2패킷 지연분(= 3515)"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MPEG2 TS패킷(129)의 PCR값은, 13000에 3515를 더해서 얻어진 16515로 된다.
PCR보정부(110)는,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해서 보정된 PCR값과, 실제의 도착시각을 이용해서, PCR요동량을 계산하여, 시스템 클록을 PCR요동보정한다.PCR기준시각보정도 PCR보정부(110)에서 행한다. 또, MPEG2복호부(111)와 합성부(114)는 복호 및 표시하기 위해 PTS/DTS를 필요로 하나, 디멀티플렉서(109)는, PCR을 보정해서 얻어진 보정치 및 PTS/DTS의 값을 유지하고 있어, MPEG2복호부(111) 및 합성부(114)로부터의 PTS/DTS조회에 응해서, PCR과 마찬가지로 보정한 값을 통지한다. 도 3에 표시한 예에서는, 제 3 MPEG2 TS패킷(130)은, 본래 14000이라고 하는 PTS를 지니고 있으나, PCR이 상기 계산식에 의거해서 보정되어 있으므로, 마찬가지 방식으로 PTS가 보정된다. 실제의 PTS값은 14000에 3515를 가산해서 얻어진 17515로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해서 처리함으로써, 프로그램 동기정보를 유지하면서, MPEG2 TS와 임의의 데이터를 다중화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복수의 MPEG2 TS에 대해서도, 프로그램 동기정보를 유지하면서 다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전송로(107)의 비트 레이트와 각 입력 스트림이 상정하는 비트 레이트를 동일하게 하였으나, 실제는 이와 같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에는, 우선 전송로(107)의 비트 레이트와 스트림이 상정하는 비트 레이트의 차이에 의거해서 도착시각의 보정을 행할 필요가 있으나, 본 실시형태를 참조해서 설명한 수법을 이용함으로써 보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멀티플렉서(106)에 의해 삽입된 신규의 패킷의 수를 그대로 이용해서 패킷도착시각의 보정을 행하도록 하였으나, 패킷도착시각의 보정수단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술한 디멀티플렉서(109)대신에멀티플렉서(106)에서 계산을 행하여, 그 계산결과를 패킷상에 기재해도 된다.
이 경우,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는, 예를 들면, 제 2 MPEG2 TS패킷(129)에 부가되어 있는 PCR을, 제 1 MPEG2 TS패킷(126)과 제 2 MPEG2 TS패킷(129)사이에 삽입된 패킷의 수에 의거한 정보에 의거해서 보정해서 얻어진 정보로 된다.
또, 본 실시형태가 나타내는 것은, 본 발명의 일례이며,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구성 및 다중패킷의 구조는 본 발명의 취지에 의거한 것인 한 변경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MPEG2 TS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MPEG2 PS를 이용해도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해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예를 표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녹화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하드디스크로부터 입력된 3개의 MPEG2 TS를 신호수신부에서 수신하고, 해당 3개의 MPEG2 TS에 대한 시분할 다중을 행하고, 얻어진 신호를 신호처리부에 전송하고, 신호처리부에서 상기 3개의 MPEG2 TS의 복호를 행하여, 출력화상을 합성해서 표시한다.
도 4에 있어서, (201)은 디지틀 방송을 기억해 놓는 하드디스크(HDD), (202)는 하드디스크 컨트롤러(HDD컨트롤러), (203)은 본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수신부, (204)는 HDD(201)로부터 판독한 TS를 유지하는 TS유지메모리이다. (205)는 TS유지메모리(204)로부터 독출된 복수의 TS를,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 및 스트림간 PCR차이분 정보를 부가하면서 시분할 다중하는 멀티플렉서이다. (207)은 본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처리부, (206)은 신호수신부(203)로부터 신호처리부(207)에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로, (208)은 멀티플렉서(205)에 의해 다중된 시분할 다중데이터를 분해하는 디멀티플렉서이다. (209)는 멀티플렉서(205)에서 부가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 및 스트림간 PCR차이분정보에 의거해서 시스템 클록을 보정하는 PCR보정부, (210)은 각종 MPEG2 TS를 복호하는 MPEG2복호부이다. (211)은 MPEG2복호부(210)가 출력하는 화상을 화면상에 합성하는 합성부, (212)는 CRT모니터 등의 화상표시장치(출력장치)이다.
유저가, HDD(201)에 기억된 복수의 MPEG2 TS프로그램을 선택하면, HDD컨트롤러(202)를 개재해서 본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수신부(203)에 복수의 TS가 입력된다. 신호수신부(203)는, TS유지메모리(204)와 멀티플렉서(205)를 포함한다. TS유지메모리(204)에는, HDD 컨트롤러(202)로부터 입력된 각 MPEG2 TS 스트림을 축적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TS를 입력한 상태를 상정해서 TS유지메모리(204)를 3개 표시하였으나, 도 4는 개략도이며, TS유지메모리는 이론적으로 3개의 영역이 있으면 충분하다.
여기서, 멀티플렉서(205)에 의해 작성된 패킷의 예를 도 5에 표시한다.
도 5에 있어서, 제 1실시형태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 영역에는, 도 2에 부가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13)은 스트림간 PCR차이분정보로서 부가되는 테이블의 크기를 표시하는 pcr_offset_table_size영역, (214)는 스트림간 PCR차이분정보를 표시하는pcr_offset_table영역이다.
각 MPEG2 TS의 실체는, Payload영역(121)에 들어가, 각종 헤더(116) 내지 (120)와, pcr_offset_table_size영역(213)과, pcr_offset_table영역(214)이 부가되어 있다. 헤더정보에는,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로서, arrival_revise영역(120)이 부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가된 정보는, 본래의 MPEG2 TS패킷사이에 삽입된 별개의 MPEG2 TS패킷의 수이다.
또, pcr_offset_table영역(214)에는, 스트림간 PCR차이분정보로서, 각각의 MPEG2 TS가 가진 PCR간의 차이분값을 테이블형태로 부가한다. pcr_offset_table영역(214)의 패킷중의 크기를 확정하기 위해, pcr_offset_table_size영역(213)에, 테이블의 크기를 부가한다.
멀티플렉서(205)에서 다중화한 신호는, 전송로(206)를 통해서 시스템의 신호처리부(207)에 전송된다. 전송로(206)의 대역은, 임의이다. 신호처리부(207)는, 전송로(206)로부터 입력된 신호군을 복호하고, 그 복호된 신호군을 출력하는 처리부이다.
디멀티플렉서(208)는, 멀티플렉서(205)에서 다중화한 패킷을 분해하는 동시에,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arrival_revise영역(120))에 의거해서, 패킷도착시각을 표시하는 PCR값을 보정한다.
또, 디멀티플렉서(208)는, 유저 혹은 시스템에 의해 선택된, 시스템 클록을 보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되는 MPEG2 TS의,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보정된 PCR값을 PCR보정부(209)에 보낸다. 시스템 클록은 단일하며, PCR변동보정의기준으로 되는 스트림은, 예를 들면, 복수의 MPEG2 TS가 있어도 1개이면 된다.
PCR보정부(209)는, 기준으로서 선택된 TS의,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를 이용해서 보정된 PCR값에 의거해서 시스템 클록에 대한 PCR변동 보정을 행한다. PCR기준시각보정도 PCR보정부(209)에서 행한다. PCR기준스트림으로서 선택되지 않았던 스트림에 대해서는, 스트림간 PCR차이분 정보(pcr_offset_table영역(214))에 의거해서, 더욱 PCR값을 보정한다.
MPEG2복호부(210)는, 각각의 MPEG2 TS를 복호하고, PCR보정부(209)가 보정한 시스템 클록에 따라, 각각의 스트림을 출력한다. 얻어진 스트림은 합성부(211)에서 합성되고, 멀티화면으로서 화상표시장치(출력장치)(212)로부터 출력된다.
이하, 멀티플렉서(205)의 동작과, 스트림간 PCR차이분 정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멀티플렉서(205)의 패킷다중동작은,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 디멀티플렉서(208)의 패킷분해를 위해 부가하는 정보도,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가 제 1실시형태와 다른 것은, MPEG2 TS가 복수개, 즉, 프로그램 동기정보를 각각 지닌 스트림이 복수개 있는 점이다. 프로그램 동기정보를 각각 지닌 스트림이 복수개 있어도, 시스템 클록에 PCR기준시각보정 및 PCR변동보정을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한 스트림은, 단일한 시스템 클록을 사용하므로 1개인 것은 명백하다. 또, 선택된 스트림에 대해서 PCR기준시각보정 및 PCR변동보정을 행한다. 따라서, 이 점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는, 제 1실시형태와 다르지 않다.
그러나, 각 스트림이 다른 시각에 작성된 PCR을 지니고 있으므로, 동일 시각에 보정할 필요가 있다. 동일 시간에 보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되는 스트림은, PCR변동보정을 반영시키는 스트림과 동일하게 되나, 이 선택은 유저 혹은 시스템이 행한다. 선택의 수법은 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면상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점유하고 있는 스트림을 기준으로 한다고 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멀티플렉서(205)는, 제 1실시형태에서 이용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 즉, 본래의 MPEG2 TS사이에 삽입된 패킷의 수를 arrival_revise영역(120)에 부가하는 동시에, 어느 시각에 있어서의 각 스트림의 PCR값의 상대관계를 프로그램간 PCR차이분 정보영역으로서 pcr_offset_table영역(214)에 부가한다. 멀티플렉서(205)가 작성하는 다중화 스트림과, 프로그램간 PCR차이분정보의 예는, 도 6과 같이 된다.
도 6에 있어서, (215)는 본래의 MPEG2 TS-1 스트림, (216)은 본래의 MPEG2 TS-2 스트림, (217)은 본래의 MPEG2 TS-3 스트림, (218)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다중화 스트림, (219)는 제 1 MPEG2 TS-1패킷, (220)은 제 1 MPEG2 TS-2패킷, (221)은 제 1 MPEG2 TS-3패킷, (222)는 제 2 MPEG2 TS-1패킷, (223)은 제 2 MPEG2 TS-2패킷, (224)는 제 2 MPEG2 TS-3패킷, (225)는 제 1 MPEG2 TS-1패킷(219)에 부가되는 pcr_offset_table, (226)은 제 1 MPEG2 TS-2패킷(220)에 부가되는 pcr_offset_table, (227)은 제 1 MPEG2 TS-3패킷(221)에 부가되는 pcr_offset_table이다.
각 프로그램간 PCR차이분 정보는, 모든 스트림간의 PCR차이분 정보를 지니고 있다. 이것은, 유저 혹은 시스템이 어느 스트림을 클록기준으로 선택해도 프로그램 동기정보가 파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디멀티플렉서(208)는, PCR을 포함하는 패킷을 수취하면, 그 패킷을 포함하는 스트림이 클록기준으로서 선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패킷을 포함하는 스트림이 클록기준으로서 선택되어 있는 스트림(클록기준스트림)이면, 스트림간 PCR차이분 정보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PCR값을 보정하고, PCR보정치를 PCR보정부(209)에 통지한다.
한편, 상기 패킷을 포함하는 스트림이 클록기준 스트림이 아닌 경우에는, 디멀티플렉서(208)는, 먼저,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PCR값을 보정한 후, 또 스트림간 PCR차이분 정보에 의거해서, 클록기준스트림과 그 자신의 PCR과의 차이분치를 취득하여, PCR값을 보정한다.
이하, 도 6에 표시한 예를 참조해서, 구체적인 PCR값의 보정을 설명한다. 스트림기준을 MPEG2 TS-1로 지정한 경우, MPEG2 TS-1에 관해서는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즉,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원래의 MPEG2 TS사이에 2개의 패킷이 있는 것이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인 arrival_revise영역(120)에 표시되어 있다. 제 1 MPEG2 TS-1 패킷(219)의 PCR이 10000이고, 제 2 MPEG2 TS-1 패킷의 PCR이 13000, 패킷 크기 256바이트, 비트 레이트 30Mbps를 가정하면,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한 PCR값은 제 1실시형태에서 계산한 바와 같이, 13515(10000+ 3515 = 13515)로 된다.
이하, MPEG2 TS-1이 PCR의 기준으로서 선택되어 있을 때의 MPEG2 TS-2 및 MPEG2 TS-3에 대해 행해진 시간보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를 나타내는 arrival_revise영역에는, 제 1 MPEG2 TS-2패킷(220) 및 제 1 MPEG2 TS-3패킷(221)의 쌍방모두 "2"가 표시되어 있고, 제 1실시형태에서 계산한 바와 같이, 각각의 PCR에 3515를 가한 것이 제 1 PCR값으로 된다. 또한, MPEG2 TS-2에 대해서는, 제 1 MPEG2 TS-2 패킷(220)에 부가되어 있는 pcr_offset_table(226)에 의거해서, MPEG2 TS-1에 대한 PCR오프셋이 +7700인 것을 알 수 있으므로, 가산이 행해져, 프로그램간 PCR차이분정보적용후의 PCR값은, 2300과 3515와 7700을 가산해서(2300 + 3515 + 7700), 13515로 된다. MPEG2 TS-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계산이 행해져, PCR값은 13515로 된다. 이 예에서는, 사이에 삽입된 패킷의 수가 동일하고, 동일한 타이밍에서 PCR이 취득되고 있으므로, 보정후의 PCR은 모두 동일한 값으로 되어, 프로그램 동기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프로그램간 PCR차이분 정보인 pcr_offset_table의 작성수법에 대해서 도 7을 이용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228)은 시스템 클록값을 표시하는 직선, (229)는 제 1 MPEG2 TS-1패킷(219)의 PCR값, (230)은 제 2 MPEG2 TS-1패킷(222)의 PCR값, (231)은 제 1 MPEG2 TS-2패킷(220)의 PCR값, (232)는 제 2 MPEG2 TS-2패킷(223)의 PCR값, (233)은 제 1 MPEG2 TS-3패킷(221)의 PCR값, (234)는 제 2 MPEG2 TS-3패킷(224)의 PCR값이다.
pcr_offset_table은, 각 스트림의 로컬시간의 차이분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2 MPEG2 TS-1 패킷(222)의 PCR값(230)을 수신한 때의 pcr_offset_table을 작성할 경우, 당연히 MPEG2 TS-1과의 차이분은 0이다. MPEG2 TS-2와의 차이분에 대해서는, 제 1 MPEG2 TS-2 패킷(220)의 PCR값(231)에 의거해서 계산되어 있는 시스템 클록과의 차이분과, 제 2 MPEG2 TS-1패킷(222)의 PCR값(230)으로 계산되어 있는 시스템 클록과의 차이분을 가산하면 된다. MPEG2 TS-3의 PCR값과의 차이분도 마찬가지로 해서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멀티플렉서(205)는, 각 스트림의 PCR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처리를 행함으로써, pcr_offset_table을 작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프로그램 동기를 지닌 스트림을 다중하는 경우에도, 간이한 변경으로 심각한 프로그램 동기의 실패를 초래하는 일없이 스트림다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전송로(206)의 비트 레이트와 각 입력스트림이 상정하는 비트 레이트를 동일하게 하였으나, 실제는, 이와 같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에는, 먼저, 전송로(206)의 비트 레이트와 스트림이 상정하는 비트 레이트와의 상위에 의거해서 도착시각의 보정을 행할 필요가 있으나, 본 실시형태를 참조해서 설명한 수법으로 보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멀티플렉서(205)에서 삽입한 신규 패킷의 수를 그대로 이용해서 패킷도착시각의 보정을 행하도록 하였으나, 패킷도착시각의 보정수단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술한 디멀티플렉서(208) 대신에멀티플렉서(205)쪽에서 계산을 행하여, 그 계산결과를, 패킷상에 기재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가 표시하는 것은, 본 발명의 1개의 예이며,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구성 및 다중패킷의 구조는 본 발명의 취지에 의거한 것인 한 변경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MPEG2 TS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MPEG2 PS를 이용해도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해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예를 표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튜너로부터 입력된 MPEG2 TS와, 디지틀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JPEG데이터, DV로부터 입력된 DV스트림을, 신호수신부에서 수신해서, 시분할 다중하고, 얻어진 신호를 신호처리부에 전송하고, 해당 신호처리부에서 MPEG2 TS, JPEG 및 DV의 복호를 행하고, 출력화상을 합성해서 표시한다.
도 8에 있어서, 제 1실시형태와 동일한 동작을 하는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도 1에 표기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30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신신호부, (302)는,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103) 및 각종 인터페이스(104), (105)로부터 입력된 각종 데이터열을, 다중화하는 스트림의 종류에 따라서 다른 SYNC패턴을 부가하면서 시분할 다중하는 멀티플렉서이다. (303)은 본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처리부, (304)는 멀티플렉서(302)에서 다중화한 시분할 다중데이터를 분해하는 동시에 본래 단일 스트림에 삽입된 패킷 수를 카운트하는 디멀티플렉서이다.
안테나(101)에 의해 수신된 디지틀 방송신호와, 디지틀 카메라로부터 공급된 화상신호와, DVC로부터 공급된 DV신호는, 본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수신부(301)에서 수신된다. 신호수신부(301)는, 유저의 입력 및 데이터입력에 의거한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이다. 신호처리부(301)는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103), USB 인터페이스(104)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105)를 지니고,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103), USB 인터페이스(104)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105)가 각각 디지틀 방송의 MPEG2신호, 디지틀 카메라로부터의 JPEG신호 및 DVC로부터의 DV스트림을 수신한다. 수신한 신호는 멀티플렉서(302)에 보내져, 다중화된다.
SYNC패턴은, MPEG2 TS이면 0×47이며, 그것이외의 임의의 패킷에 대해서는, SYNC패턴의 값은, 예를 들면,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미리 식을 결정해둔다. MPEG2 TS패킷에 대해서는 하등 변함이 없다. JPEG데이터를 다중화할 경우, 도 10A에 표시한 바와 같이, JPEG데이터를 표시하는 SYNC패턴 0×50후에, JPEG데이터가 그대로 삽입된다. 이것은, DV데이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도 10B에 표시한 바와 같이, DV데이터를 표시하는 SYNC패턴 0×30후에 그대로 DV데이터가 삽입된다.
멀티플렉서(302)에서 다중화한 신호는, 전송로(107)를 통해서 시스템의 신호처리부(303)에 보내진다. 전송로(107)의 대역은 임의이다. 신호처리부(303)는, 전송로(107)로부터 입력된 신호군을 복호하고, 그 복호된 신호군을 출력하는 처리부이다.
디멀티플렉서(304)는, 멀티플렉서(302)에 의해서 다중화된 패킷을 수취해서, 분해처리를 행한다. 또, 디멀티플렉서(304)는, 본래의 TS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PCR정보와, 본래의 TS패킷사이에 삽입된 패킷 수와, 전송로(107)의 비트 레이트에 의거해서, PCR보정치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PCR보정치를 PCR보정부(110)에 보낸다. 본래의 TS 패킷사이에 삽입된 패킷의 수는, 디멀티플렉서(304)가 카운트한다.
PCR보정부(110)는, 상기 정보에 의거해서 시스템 클록에 대한 PCR변동 보정을 행한다. PCR기준시각보정도 PCR보정부(110)에서 행한다. MPEG2복호부(111)는, 통상의 MPEG2복호를 행하고, PCR보정부(110)에서 보정한 시스템 클록에 의거해서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한다. JPEG복호부(112) 및 DV복호부(113)는 일반적인 것이어도 된다. 얻어진 화상군은, 합성부(114)에서 합성되어, 멀티화면으로서 화상출력장치(출력장치)(115)로부터 출력된다.
이하, 멀티플렉서(302)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멀티플렉서(302)는, 디지틀 방송 수신 튜너(103)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04), (105)로부터의 입력을 수취해서, MPEG2 TS에 대해서는 그대로, JPEG/DV데이터에 대해서는,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은 고정 크기를 지닌 패킷 형식의 데이터를 작성한다. 패킷 크기는, MPEG2 TS와 동일한 크기로 되어야만 하며, 그것은 188바이트이다. 각 스트림본체는 Payload영역(305)에 배치된다. 패킷은 적당한 순번으로 배열되어, 전송로(107)로부터 출력된다. 패킷의 순서는 소망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103) 및 입/출력인터페이스(104), (105)로부터 입력된 순번으로 패킷을 배치하는 것으로 한다. 다중화의 개략도를 도 11에 표시한다.
도 11에 있어서, (306)은 본래의 MPEG2 TS 스트림, (307)은 본래의 JPEG스트림, (308)은 본래의 DV스트림, (309)는 본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다중화 스트림, (310)은 제 1 MPEG2 TS 패킷, (311)은 제 1 JPEG패킷, (312)는 제 1 DV패킷, (313)은 제 2 MPEG2 TS 패킷, (314)는 제 3 MPEG2 TS패킷이다.
디멀티플렉서(304)는, 멀티플렉서(302)가 부가한 SYNC패턴에 의거해서 시분할 다중의 분해를 행하는 동시에, 본래의 MPEG2 TS패킷사이에 다중된 신규패킷의 수를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된 패킷의 수에 의거해서 PCR이 나타내는 패킷도착시각을 보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디멀티플렉서(304)는, 카운트된 패킷 수와 패킷 크기, 비트 레이트에 의거해서, PCR이 나타내는 본래의 도착시각을 지연시킨 PCR값으로 보정한다. 카운트된 패킷 수에 의거해서 PCR값을 보정하는 수단은, 제 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PCR보정부(110)는, 상기 계산에서 보정된 PCR값과, 실제의 도착시각을 이용해서, PCR변동량을 계산하고, 시스템 클록의 PCR변동을 보정한다. 이 보정도 제 1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해서 처리함으로써, 프로그램 동기정보를 유지하면서, MPEG2 TS와 임의의 데이터를 다중화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새롭게 삽입된 패킷의 수를 디멀티플렉서(304)에서 카운트하므로, 동일 SYNC패턴을 지니는 복수의 스트림을 다중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MPEG2 TS에대해서는, 패킷에 하등 조작을 가하지 않으므로, 디멀티플렉서(304)측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시분할 다중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0×47이 아닌 SYNC패턴을 지니는 패킷을 파기하도록 하는 것만으로, 본래의 MPEG2 TS를 수신해서 복호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가 나타내는 것은, 본 발명의 일례이며,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구성 및 다중패킷의 구조는 본 발명의 취지에 의거한 것인 한 변경가능하다.
(제 4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예를 표시한 블록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제 1실시형태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는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도 1에 표기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40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신신호부, (402)는,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103) 및 각종 인터페이스(104), (105)로부터 입력된 각종 데이터열을, 다중화하는 스트림의 종류 및 본래의 스트림간에 삽입된 패킷 수에 따라서 다른 SYNC패턴을 부가해서 시분할 다중하는 멀티플렉서이다. (403)은 본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처리부, (404)는 멀티플렉서(402)에서 다중화한 시분할 다중데이터를 분해하는 디멀티플렉서이다.
본 실시형태가 제 3실시형태와 다른 것은, SYNC패턴이 미리 규정되어 있지 않고, 멀티플렉서(402)가 SYNC패턴 대응표를 작성해서, 해당 SYNC패턴 대응표를 스트림에 다중하는 것과, 새롭게 다중한 패킷의 수의 정보를 SYNC패턴에 지니게 하는 점에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그외의 구성은 제 3실시형태와 변함없다.
이하, 멀티플렉서(402)에서 부가하는 SYNC패턴과, 디멀티플렉서(404)와 PCR보정부(11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멀티플렉서(402)에서 부가하는 SYNC패턴은, 디멀티플렉서(404)에서 다중화한 정보를 분해할 수 있도록 부가하는 정보와,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로서 부가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13에 SYNC패턴을 표시한다. 다중화한 정보를 분해할 수 있도록 부가하는 정보는, SYNC패턴의 상위 4비트에 부가하고, 패킷의 도착시각을 보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새롭게 삽입된 패킷의 수를 SYNC패턴의 하위 4비트에 부가한다.
SYNC패턴의 상위 4비트에 부가하는 정보는, 스트림의 종류를 표시하는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양한 스트림을 4비트로 표현하기 위해서, SYNC패턴 0×11을 지닌 패킷에 SYNC패턴 대응표를 다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YNC패턴 대응표를 다중하는 SYNC패턴의 패킷을 0×11로 하였으나, 멀티플렉서(402)와 디멀티플렉서(404)가 공통으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이면 다중하는 패턴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어도 된다.
SYNC패턴 대응표는, 일정 시간의 간격으로 다중된다. SYNC패턴 대응표의 예를 도 14에 표시한다. SYNC패턴의 하위 4비트에 부가하는 정보는, 본래의 MPEG2 TS패킷사이에 삽입된 새롭게 다중된 패킷의 수이다. 도 11에 표시한 예이면, 제 1 MPEG2 TS패킷(310)과 제 2 MPEG2 TS패킷(313)은, 본래의 MPEG2 TS스트림(306)상에서는 연속한 패킷이다. 그러나, 멀티플렉서(402)에 있어서, 제 1 MPEG2 TS패킷(310)과 제 2 MPEG2 TS패킷(313)사이에 제 1 JPEG패킷(311)과 제 1 DV패킷(312)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 2 MPEG2 TS패킷(313)에 있어서의 SYNC패턴의 하위 4비트에는 "2"라는 수치가 부가된다.
디멀티플렉서(404)는, 먼저, 멀티플렉서(402)가 부가한, 다중화 분해용 정보에 의거해서 분해를 행한다. 디멀티플렉서(404)는, 먼저, 0×11의 패킷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고, SYNC패턴의 대응표를 취득한다. 디멀티플렉서(404)는, SYNC패턴의 대응표를 취득한 후에, 대응표에 지정된 정보에 의거해서 다중스트림의 디멀티플렉스를 행한다.
다음에, 디멀티플렉서(404)는,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PCR이 나타내는 패킷도착시각을 보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디멀티플렉서(404)는, PCR값에, SYNC패킷의 하위 4비트로 표시된 값과, 패킷 크기, 비트 레이트에 의거해서, PCR이 나타내는 본래의 도착시각을 지연시킨 PCR값으로 보정한다. 보정의 계산식은 제 1실시형태를 참조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PCR보정부(110)는,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보정된 PCR값과, 실제의 도착시각을 이용해서, PCR변동량을 계산하고, 시스템 클록을 PCR변동보정한다. PCR기준시각보정도 PCR보정부(110)에서 행한다. 보정 수법은, 제 1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해서 처리함으로써, 동기정보를 유지하면서, MPEG2 TS와 임의의 데이터를 다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본 실시형태가 표시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일례이며,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구성 및 다중패킷의 구조는 본 발명의 취지에 의거하는 것인 한 변경가능하다.
(제 5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5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예를 표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튜너로부터 입력된 MPEG2 TS, 녹화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하드디스크로부터 입력된 MPEG2 TS 및 DVC로부터 입력된 DV스트림을, 신호수신부에서 수신해서 시분할다중을 행하고, 얻어진 신호를 신호처리부로 전송하고, 해당 신호처리부에서 2개의 MPEG2 TS와 DV로의 복호를 행하여, 출력화상을 합성해서 표시한다.
도 15에 있어서, 제 1실시형태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는 구성부재에는, 도 1에 표기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15에 있어서, 제 2실시형태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는 구성부재에는, 도 4에 표기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501)은, 본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처리부이고, (502)는 안테나(101)로부터 입력된 방송파 MPEG2 TS, TS유지메모리(204)로부터 독출된 격납 MPEG2 TS 및 IEEE 1394로부터 입력된 DV스트림을,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 및 스트림간 PCR차이분 정보를 부가하면서 시분할 다중하는 멀티플렉서이다. (503)은 본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처리부, (504)는 멀티플렉서(502)에 의해 다중된 시분할 다중데이터를 분해하는 디멀티플렉서이다.
안테나(101)에 의해 수신된 디지틀 방송신호, 하드디스크(201)로부터 HDD컨트롤러(202)를 개재해서 입력된 격납 방송신호 및 DVC로부터 입력된 DV신호는, 본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수신부(501)에 입력된다. 신호수신부(501)는,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103), IEEE 1394 인터페이스(105) 및 TS유지메모리(204)를 지니고,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103), IEEE 1394 인터페이스(105) 및 TS유지메모리(204)는, 각각, 디지틀 방송의 MPEG2, DVC로부터의 DV스트림 및 하드디스크로부터의 격납 MPEG2를 수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안테나로부터 입력된 방송파 TS와 기억매체로부터 입력된 격납 TS를 포함한 2개의 TS입력과, DVC로부터의 1개의 DV스트림이 동시에 입력되는 상태를 상정한다. 수신된 신호는 멀티플렉서(502)로 보내져서 다중화된다.
멀티플렉서(502)가 작성하는 패킷은, 제 2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패킷이며, 그것은 도 5에 표시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도, 2개의 MPEG2 TS와 DV스트림의 실체는, Payload영역(121)에 들어가, 각종 헤더(116) 내지 (120)와, pcr_offset_table_size영역(213)과, pcr_offset_table영역(214)이 부가된다. 헤더정보에는,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로서, arrival_revise영역(120)이 부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가된 정보는, 본래의 MPEG2 TS패킷사이에 삽입된 별개의 MPEG2 TS패킷과 DV패킷의 수이다.
또, pcr_offset_table영역(214)에는, 스트림간 PCR차이분정보로서, 2개의MPEG2 TS가 가진 PCR간의 차이분값을 부가한다. pcr_offset_table영역(214)의 패킷중의 크기를 확정하기 위해, pcr_offset_table_size영역(213)에, 테이블의 크기를 부가한다.
멀티플렉서(502)에서 다중화한 신호는, 전송로(107)를 통해서 시스템의 신호처리부(503)에 전송된다. 전송로(107)의 대역은, 임의이다. 신호처리부(503)는, 전송로(107)로부터 입력된 신호군을 복호하고, 그 복호된 신호군을 출력하는 처리부이다.
디멀티플렉서(504)는, 멀티플렉서(502)에서 다중화한 패킷을 분해하는 동시에,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arrival_revise영역(120))에 의거해서, 패킷도착시각을 표시하는 PCR값을 보정한다.
또, 디멀티플렉서(504)는, 유저 혹은 시스템에 의해 선택된 시스템 클록을 보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되는 MPEG2 TS의,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보정된 PCR값을 PCR보정부(209)에 보낸다. 시스템 클록은 단일하며, 복수의 MPEG2 TS가 있더라고, PCR변동보정의 기준으로 되는 스트림은, 제 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1개이면 된다.
DV복호부(113)의 동작은 제 1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PCR보정부(209) 및 MPEG2복호부(210)는, 제 2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복호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스트림은 합성부(141)에서 합성되고, 멀티화면으로서 화상표시장치(출력장치)(115)로부터 출력된다.
이하, 멀티플렉서(502)의 동작과, 스트림간 PCR차이분 정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멀티플렉서(502)의 패킷다중동작은,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 디멀티플렉서(504)에서 행해질 분해를 위해 부가하는 정보도,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가 제 1 및 제 2실시형태와 다른 것은, MPEG2 TS가 복수개, 즉, 프로그램 동기정보를 각각 지닌 스트림이 복수개 있는 점과, 동기정보를 지니지 않은 DV스트림이 동시에 다중화된다는 점이다.
제 2실시형태를 참조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MPEG2 TS스트림은, 적시에 상이한 지점에서 작성된 PCR을 지니므로, 보정의 기준으로 되는 스트림이 선택되어, 스트림시각을 변경하는 처리를 행한다.
멀티플렉서(502)의 실제의 동작은, 제 1실시형태에서 행해진 처리와 제 2실시형태에서 행해진 처리의 조합으로 된다.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로서, 다른 MPEG2 TS와 DV의 패킷 수가 이용된다. 멀티플렉서(502)에 의해 작성된 다중화 스트림과 프로그램간 PCR차이분 정보의 예가 도 16에 표시되어 있다.
도 16에 있어서, (505)는 본래의 방송파의 MPEG2 TS-1 스트림, (506)은 본래 격납되어 있던 MPEG2 TS-2 스트림, (507)은 본래의 DV스트림이다. (508)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다중화 스트림, (509)는 제 1방송파 MPEG2 TS-1패킷, (510)은 제 1격납 MPEG2 TS-2패킷, (511)은 제 1 DV패킷, (512)는 제 2방송파 MPEG2 TS-1패킷, (513)은 제 2격납 MPEG2 TS-2패킷, (514)는 제 2 DV패킷, (515)는 제 1방송파 MPEG2 TS-1패킷(509)에 부가되는 pcr_offset_table, (516)은 제 1격납 MPEG2 TS-2패킷(510)에 부가되는 pcr_offset_table이다.
각 프로그램간 PCR차이분 정보는, 2개의 MPEG2 TS스트림간의 PCR차이분 정보를 지니고 있다. 이것은, 유저 혹은 시스템이 상기 스트림중의 하나를 클록기준으로 선택해도 프로그램 동기정보가 파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디멀티플렉서(504)는, stream_type(118)의 정보에 의거해서 패킷이 프로그램 동기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인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해당 패킷이 프로그램 동기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이면, 디멀티플렉서(504)는, 그 패킷을 포함하는 스트림이 클록기준으로서 선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패킷을 포함하는 스트림이 클록기준으로서 선택되어 있는 스트림(클록기준스트림)이면, 스트림간 PCR차이분 정보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제 1 및 제 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PCR값을 보정하고, PCR보정부(209)에 PCR보정치를 통지한다.
stream_type(118)에 의해 표시되는 스트림타입이 프로그램 동기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이고, 클록기준스트림이 아닌 경우 행하는 동작은, 이미 제 2실시형태를 참조해서 설명하였다. 즉, PCR값의 보정은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행한 후, 클록기준스트림과 그 자신의 PCR간의 PCR차이값은, 스트림간 PCR차이정보에 의거해서 획득하고, PCR값은 더욱 보정된다.
stream_type(118)에 의해 표시되는 스트림타입이 프로그램 동기정보,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DV스트림을 포함하지 않는 스트림인 경우, payload부(121)는 단지 DV복호부(113)로 출력된다.
이하, 도 6에 표시한 예를 참조해서, 구체적인 PCR값보정에 대해 설명한다. 스트림 기준으로서 방송파 MPEG2 TS-1을 지정한 경우, 방송파 MPEG2 TS-1에 관해서는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즉,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래의 MPEG2 TS 사이에 2개의 패킷이 있는 것이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인 arrival_revise영역(120)에 표시되어 있다. 제 1 MPEG2 TS-1패킷(219)의 PCR이 10000이고, 제 2 MPEG2 TS-1의 PCR이 13000, 패킷 크기 256바이트, 비트 레이트 30Mbps를 가정하면,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한 PCR값은 제 1실시형태에서 계산한 바와 같이, 13515(10000 + 3515 = 13515)로 된다.
방송파 MPEG2 TS-1이 PCR의 기준으로서 선택되어 있을 때의 격납 MPEG2 TS-2에 대한 시간보정은, 제 2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즉, 먼저,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를 나타내는 arrival_revise영역에 있어서는, 제 1 방송파 MPEG2 TS-1패킷(509) 및 제 1 DV스트림 패킷(511)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2"가 제 1격납 MPEG2 TS-2패킷(510)에 표시되어 있고, 제 1실시형태에서 계산한 바와 같이, PCR에 3515를 가한 것이 제 1 PCR값으로 된다. 또한, 방송파 MPEG2 TS-1에 대한 PCR오프셋은, 제 1 격납 MPEG2 TS패킷(510)에 부가되어 있는 pcr_offset_table(515)에 의거해서 +7700인 것을 알 수 있으므로, 가산이 행해져, 프로그램간 PCR차이분 정보 적용후의 PCR값은, 2300과 3515와 7700을 가산해서(2300 + 3515 + 7700), 13515로 된다.
프로그램간 PCR차이분 정보인 pcr_offset_table의 작성수법도 제 2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실시형태가 표시하는 것은, 본 발명의 1개의 예이며,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구성 및 다중패킷의 구조는 본 발명의 취지에 의거한 것인 한 변경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MPEG2 TS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MPEG2 PS를 이용해도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해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
이하, 각종 디바이스와 접속된 장치 혹은 시스템내의 컴퓨터에 대해서,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코드를 공급하고, 그 장치 혹은 시스템의 컴퓨터(CPU 혹은 MPU)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각종 디바이스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각종 실시형태를 실시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또, 이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상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현함으로써, 그 프로그램 코드 자체, 및 그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예를 들면,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를 격납한 기록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하는 기록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컴퓨터가 공급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있어서 가동하고 있는 OS(Operationg System) 혹은 다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소프트웨어와 공동해서 상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공급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의 기능확장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확장유닛에 구비된 메모리에 격납된 후,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의거해서 그 기능확장보드나 기능확장유닛에 구비된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서 상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장치의 송신측 및 수신측에 약간 수정을 가함으로써, 프로그램 동기를 유지하면서 MPEG2 스트림과 기타의 데이터를 병렬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복수의 MPEG2 스트림을 병렬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3)

  1.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복수의 MPEG2 프로그램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동일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대해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를 부가하고, 해당 패킷에 대해 시분할 다중을 행함으로써, 다중화 스트림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송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는,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PCR 또는 상기 MPEG2 프로그램 스트림의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SCR을, 상기 PCR 또는 SCR이 부가되어 있는 패킷사이에 새롭게 삽입된 상기 임의의 데이터의 패킷 수에 의거한 정보를 이용해서 보정함으로써 얻어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송신장치.
  3.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각각 188바이트를 지닌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SYNC패턴을, 다중화할 패킷의 내용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변경하고, 얻어진 SYNC패턴을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부가해서, 다중화 스트림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송신장치.
  4.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복수의 MPEG2 프로그램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동일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대해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를 부가하고, 해당 패킷에 대해 시분할 다중을 행함으로써 얻어진 다중화 스트림을 분리하는 디멀티플렉서; 및
    상기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다중화 스트림의 시각정보를 보정하는 시각정보 보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수신장치.
  5.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복수의 MPEG2 프로그램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동일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대해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를 부가하고, 해당 패킷에 대해 시분할 다중을 행함으로써 다중화 스트림을 작성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에 의해 작성된 다중화 스트림을 분리하는 디멀티플렉서; 및
    상기 멀티플렉서에 의해 부가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다중화 스트림의 시각정보를 보정하는 시각정보 보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복수의 MPEG2 프로그램 스트림을 공급하는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 및
    상기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공급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복수의MPEG2 프로그램 스트림을, 상기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로부터 수취하고, 상기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는,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PCR 또는 상기 MPEG2 프로그램 스트림의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SCR을, 상기 PCR 또는 SCR이 부가되어 있는 패킷사이에 새롭게 삽입된 상기 임의의 데이터의 패킷 수에 의거한 정보를 이용해서 보정함으로써 얻어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는,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패킷사이에 삽입된 상기 임의의 데이터의 패킷 수에 의거한 정보 또는 상기 MPEG2 프로그램 스트림의 패킷사이에 삽입된 상기 임의의 데이터의 패킷 수에 의거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멀티플렉서는,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PCR 또는 상기 MPEG2 프로그램 스트림의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SCR을, 상기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는, 상기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PCR의 차이분에 의거한 정보 또는 상기 복수의 MPEG2 프로그램 스트림의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SCR의 차이분에 의거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
  10.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 크기인 각각 188바이트를 지닌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SYNC패턴을, 다중화할 패킷의 내용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변경하고, 얻어진 SYNC패턴을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부가해서, 다중화 스트림을 작성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멀티플렉서에 의해 작성된 다중화 스트림을 분리하는 디멀티플렉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공급하는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 및
    상기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공급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상기 디지틀 방송 수신튜너로부터 수취하고, 상기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멀티플렉서는,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패킷사이에 새롭게 삽입된 상기 임의의 데이터의 패킷 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패킷 수에 의거해서,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부가되어 있는 PCR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할 패킷의 내용에 따라 다른 SYNC패턴은, 미리 정해진 각 스트림을 표시하는 패턴에,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삽입된 상기 임의의 데이터의 패킷 수를 부가해서 얻어진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방송 수신장치.
  14.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복수의 MPEG2 프로그램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동일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대해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를 부가하고, 해당 패킷에 대해 시분할 다중을 행함으로써, 다중화 스트림을 작성하는 다중화 스트림 작성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송신방법.
  15.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 크기인 각각 188바이트를 지닌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SYNC패턴을, 다중화할 패킷의 내용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변경하고, 얻어진 SYNC패턴을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부가해서, 다중화 스트림을 작성하는 다중화 스트림 작성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디지틀 데이터 송신방법.
  16.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복수의 MPEG2 프로그램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동일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대해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를 부가하고, 해당 패킷에 대해 시분할 다중을 행함으로써 작성된 다중화 스트림을 분리하는 다중화 스트림 분리 공정; 및
    상기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다중화 스트림의 시각정보를 보정하는 시각정보 보정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수신방법.
  17.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복수의 MPEG2 프로그램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동일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대해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를 부가하고, 해당 패킷에 대해 시분할 다중을 행함으로써 다중화 스트림을 작성하는 다중화 스트림 작성공정;
    상기 다중화 스트림 작성공정에서 작성된 다중화 스트림을 분리하는 다중화 스트림 분리공정; 및
    상기 다중화 스트림 작성공정에서 부가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다중화 스트림의 시각정보를 보정하는 시각정보 보정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방송 수신방법.
  18.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 크기인 각각 188바이트를 지닌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SYNC패턴을, 다중화할 패킷의 내용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변경하고, 얻어진 SYNC패턴을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부가해서, 다중화 스트림을 작성하는 다중화 스트림 작성공정; 및
    상기 다중화 스트림 작성공정에서 작성된 다중화 스트림을 분리하는 다중화 스트림 분리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방송 수신방법.
  19.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복수의 MPEG2 프로그램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동일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대해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를 부가하고, 해당 패킷에 대해 시분할 다중을 행함으로써, 다중화 스트림을 작성하는 다중화 스트림 작성 공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지닌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20.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 크기인 각각 188바이트를 지닌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SYNC패턴을, 다중화할 패킷의 내용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변경하고, 얻어진 SYNC패턴을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부가해서, 다중화 스트림을 작성하는 다중화 스트림 작성 공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지닌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21.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복수의 MPEG2 프로그램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동일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대해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를 부가하고, 해당 패킷에 대해 시분할 다중을 행함으로써 작성된 다중화 스트림을 분리하는 다중화 스트림 분리 공정; 및
    상기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다중화 스트림의 시각정보를 보정하는 시각정보 보정공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지닌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22.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복수의 MPEG2 프로그램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동일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대해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를 부가하고, 해당 패킷에 대해 시분할 다중을 행함으로써 다중화 스트림을 작성하는 다중화 스트림 작성공정;
    상기 다중화 스트림 작성공정에서 작성된 다중화 스트림을 분리하는 다중화 스트림 분리공정; 및
    상기 다중화 스트림 작성공정에서 부가된 패킷도착시각 보정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다중화 스트림의 시각정보를 보정하는 시각정보 보정공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지닌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23. 복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복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 크기인 각각 188바이트를 지닌 패킷으로 분할하고, 상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SYNC패턴을, 다중화할 패킷의 내용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변경하고, 얻어진 SYNC패턴을 상기 분할에 의해 얻어진 패킷에 부가해서, 다중화 스트림을 작성하는 다중화 스트림 작성공정; 및
    상기 다중화 스트림 작성공정에서 작성된 다중화 스트림을 분리하는 다중화 스트림 분리공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지닌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40054995A 2003-07-18 2004-07-15 디지틀 데이터 송신장치, 디지틀 데이터 수신장치, 디지틀방송 수신장치, 디지틀 데이터 송신방법, 디지틀 데이터수신방법, 디지틀 방송 수신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기록매체 KR100631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77077 2003-07-18
JPJP-P-2003-00277077 2003-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673A true KR20050009673A (ko) 2005-01-25
KR100631463B1 KR100631463B1 (ko) 2006-10-09

Family

ID=3347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995A KR100631463B1 (ko) 2003-07-18 2004-07-15 디지틀 데이터 송신장치, 디지틀 데이터 수신장치, 디지틀방송 수신장치, 디지틀 데이터 송신방법, 디지틀 데이터수신방법, 디지틀 방송 수신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60149B2 (ko)
EP (1) EP1499135A3 (ko)
KR (1) KR100631463B1 (ko)
CN (1) CN159216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771B1 (ko) * 2007-03-28 2009-09-04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Pcr 보정 회로
KR20190101145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디에스브로드캐스트 복호화를 수행하는 장치에서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방송 송신용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0700799B2 (en) 2017-12-28 2020-06-30 Ds Broadcas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7738A (ja) * 2003-07-18 2005-03-03 Canon Inc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0727653A (en) * 2006-01-03 2007-07-16 Avermedia Tech Inc Digital media multiplexer and method thereof
FR2897228A1 (fr) * 2006-02-08 2007-08-10 Thomson Licensing Sas Methode de transmission d'informations temporelles a latence fixe
KR100793963B1 (ko) 2006-04-04 200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방법
JP2008005374A (ja) * 2006-06-26 2008-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ストリーム対応マルチプレクサ及びデマルチプレクサシステム
GB2500616A (en) * 2012-03-26 2013-10-02 Sony Corp Concurrent decoding of a composite packetized audio-video data stream according to packet arrival times
WO2014041592A1 (ja) 2012-09-11 2014-03-20 三菱電機株式会社 補正パラメータ算出装置及びシステム及び補正パラメータ算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510205B2 (ja) * 2013-10-11 2019-05-0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WO2017047399A1 (ja) * 2015-09-15 2017-03-23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方法、送信装置および方法
KR20170068946A (ko) * 2015-12-10 201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6182A (ja) * 1991-03-25 1992-10-20 Nec Corp 動画像伝送装置及び動画像伝送システム
BR9505850A (pt) * 1994-02-28 1996-02-13 Sony Corp Processo e aparelho de gravação de dados,meio de gravação de dados e processo e aparelho de reprodução de dados para reproduzir um meio de gravação de dados
US5448568A (en) * 1994-04-28 1995-09-0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ystem of transmitting an interactive TV signal
US5790543A (en) * 1995-09-25 1998-08-04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jitter in data packets
JPH10145753A (ja) 1996-11-15 1998-05-29 Sony Corp 受信装置および方法
US6233253B1 (en) 1997-05-23 2001-05-15 Thomson Licensing S.A. System for digital data format conversion and bit stream generation
JP3024599B2 (ja) * 1997-07-22 2000-03-21 日本電気株式会社 Aal5ジッタ低減方法及び装置
WO1999034561A1 (fr) * 1997-12-27 1999-07-08 Sony Corporation Dispositif de traitement de donnees et procede associe
DE69924106T2 (de) * 1998-05-20 2006-04-13 Sony Corp. Empfänger und empfangsverfahren
JP2000174813A (ja) * 1998-12-03 2000-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トリーム多重化装置および方法
JP3051729B1 (ja) 1998-12-11 2000-06-12 日本放送協会 複数のトランスポートストリームの多重化装置および分離装置
JP2000295601A (ja) * 1999-04-12 2000-10-20 Hitachi Ltd 画像伝送装置
JP4783987B2 (ja) 2000-04-24 2011-09-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及び情報端末受信方法、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出力時間演算装置及び方法
EP1150445A3 (en) * 2000-04-24 2008-06-04 Sony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media data comprising time stamp inform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receiving this data,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s and method and device for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media data, based on the time stamp information
JP2002077092A (ja) * 2000-09-01 2002-03-15 Sony Corp 多重装置、受信装置及び多重伝送方法
JP2005057738A (ja) 2003-07-18 2005-03-03 Canon Inc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771B1 (ko) * 2007-03-28 2009-09-04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Pcr 보정 회로
US10700799B2 (en) 2017-12-28 2020-06-30 Ds Broadcas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KR20190101145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디에스브로드캐스트 복호화를 수행하는 장치에서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방송 송신용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1463B1 (ko) 2006-10-09
CN1592163B (zh) 2010-04-07
US7260149B2 (en) 2007-08-21
US20050013377A1 (en) 2005-01-20
EP1499135A2 (en) 2005-01-19
EP1499135A3 (en) 2006-04-12
CN1592163A (zh) 200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6528B1 (ko) 다중화 압축화상/음성데이타의 복호장치
AU713735B2 (en) Remultiplexing apparatus
US5598415A (en) Transmission of high rate isochronous data in MPEG-2 data streams
US6477185B1 (en) Demultiplexing and decoding apparatus for coded audio and video data
US5742623A (en)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for high rate isochronous data in MPEG-2 data streams
KR100631463B1 (ko) 디지틀 데이터 송신장치, 디지틀 데이터 수신장치, 디지틀방송 수신장치, 디지틀 데이터 송신방법, 디지틀 데이터수신방법, 디지틀 방송 수신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기록매체
CN100401784C (zh) 数字多媒体数据接收机的数据同步方法和设备
JP4650112B2 (ja) 記録出力装置、記録出力方法及び記録装置
JP3382021B2 (ja) 番組探索装置および方式
EP1269743B1 (en)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DEVICE AND PROCESS FOR AT LEAST TWO TRANSPORT STREAMS using MPEG transport priority bit
EP1284578A1 (en) Data separation and decoding device
CA2181194C (en) Transmission of high rate isochronous data in mpeg-2 data streams
JP3893643B2 (ja) 信号多重化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伝送信号生成装置
JP3885068B2 (ja) デジタルデータ受信装置、デジタルデータ受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H08275151A (ja) 多重化圧縮画像音声データの分配復号装置
JP447527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EP0806874B1 (en) Timing error recovery in isochronous packetized data transmission
US20080037591A1 (en)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7190697B2 (en) Multiplexing of selection from among streams and parsed-out tim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JPH11340936A (ja) データ多重化方法及び装置
EP1225770B1 (en)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for high rate isochronous data in mpeg-2 data streams
JP4187767B2 (ja) ディジタル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JPH1051496A (ja) 多重化装置及び多重化方法
JP2001136456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H1070710A (ja) 多重化装置及び多重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