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798A -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798A
KR20050002798A KR10-2004-7001874A KR20047001874A KR20050002798A KR 20050002798 A KR20050002798 A KR 20050002798A KR 20047001874 A KR20047001874 A KR 20047001874A KR 20050002798 A KR20050002798 A KR 20050002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input
inquiry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0299B1 (ko
Inventor
오사무 하마다
히로시 가꾸다
고지 니시무라
다까시 사사이
가즈야 오다기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972764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00279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2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97Machine parts provided with a shroud or cover or shield, e.g. for preventing oil or dust scat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명령되었을 때에만, 조회에 대한 응답 신호를 마스터로 회신할 수 있도록 한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CPU(51)은, 조회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56)를 점멸시키고, LED(56)의 점등을 참조한 사용자로부터, 접속 응답 버튼(53)이 조작된 경우, 조회 신호에 대한 응답을 송신한다. 접속 응답 버튼(53)은, 사용자가, 조회 신호에 대하여 무선 통신을 명령하는 경우에 조작된다. 즉, 무선 헤드폰(2)은, 마스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고 있더라도, 사용자에 의해서, 접속 응답 버튼(53)이 조작되었을 때에만, 마스터로 조회에 대한 응답을 회신하여, 접속을 확립한다. 본 발명은, 무선 스토리지 서버, 무선 헤드폰, 음성 재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RADIO COMMUNIC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최근,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나 Bluetooth(등록상표)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IrDA는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통신 기술로서, 소프트웨어의 설정만으로 1.152 Mbps 및 4 Mbps의 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Bluetooth 통신은, 2.4 ㎓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 전송 방식으로서, 적외선을 이용하는 경우와 달리, 지향성이 없고, 침투성이 높다. Bluetooth 통신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주변 기기, 가전, 휴대 전화 등, 디바이스에 구애받지 않는 데이터 교환을 실현하는 인터페이스로서 기대되고 있다.
Bluetooth 대응 기기에는, 주파수 호핑 패턴을 결정하는 「마스터」와, 마스터에 따라서 통신하는 「슬레이브」가 존재하며, 한대의 마스터와 복수(최고 7대)의 슬레이브로 네트워크가 구성된다. 슬레이브는, 마스터가 정한 주파수 호핑 패턴에 동기하여, 마스터-슬레이브 사이의 통신을 행한다. 기기 사이의 통신은, 항상 마스터를 통해서 행해지고, 슬레이브 사이에서 직접 통신이 행하여지는 경우는 없다.
Bluetooth 통신에 있어서, 통신 상대의 기기를 선택하는 경우, 마스터는, 주위에 존재하는 기기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트로 조회 신호(Inquiry)를 송신하여, 통신 가능 기기의 탐색을 행하고, 슬레이브로부터의 응답을 모아, 통신 가능한 기기의 기종명이나 기기 ID 등의 일람을, 표시 화면 상에 표시하여, 그 중에서, 통신 상대의 기기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킨다고 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가 수많이 존재하고, 그 많은 기기와 통신을 원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도, 전부가 마스터의 표시부에 일람 표시된다. 예를 들면, 표시 화면 상의 일람 표시가 기기 ID로 행해지는 경우, 사용자에게는 직감적으로 알기 어려운 복수의 기기 ID의 표시의 중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은 곤란하다. 마찬가지로, 표시 화면 상의 일람 표시가 기종명으로 행해지는 경우, 통신 가능 기기 중에 동일한 종류의 기기가 복수 있었을 때, 사용자가 그 중의 어떤 기기를 선택할 지를 판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히, Bluetooth 통신 등의 지향성을 갖지 않는 단거리 무선 통신 기술에 있어서는, 지향성이 있는 적외선 등을 이용한 통신 기술과 달리, 모든 방향에서, 소정의 범위 내의 기기가 통신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복수의 통신 가능 기기로부터,통신 상대의 기기를 직감적으로 선택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통신 상대의 기기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표시를 참조시켜, 그 중에서 원하는 기기를 선택한다고 하는 조작을 강요하기 때문에, 간단한 조작으로 직관적으로 통신 상대의 기기를 확정할 수 있는 기술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무선 접속을 간단히 확립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무선 스토리지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무선 헤드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접속 응답 버튼과 LED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접속 응답 버튼과 LED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접속 응답 버튼과 LED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접속 확립 처리1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접속 확립 처리2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조회 패킷 및 조회 응답 패킷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접속 확립 처리3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11은 접속 확립 처리4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음성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음성 재생 장치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14는 음성 재생 장치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15는 Bluetooth 통신에 있어서의 조회의 송신과 수신의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직감적으로, 통신 상대가 될 무선 통신 장치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조회하는 조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것을 사용자가 허가하는 경우에 조작 입력을 받는 제1 입력 수단과, 제1 입력 수단에 의해 조작이 입력된 경우, 소정의 정보를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신 수단에 의해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것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통지 수단에는, 다른 통신 장치와의 데이터 링크가 확립된 것을 또한 통지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통지 수단에는, 다른 통신 장치와의 데이터 링크가 확립되지 않은 것을 또한 통지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통지 수단은, LED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제1 입력 수단은,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고, LED는, 버튼에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통지 수단에는, LED의 점멸에 의해,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것을 통지시키고, LED의 점등에 의해, 다른 통신 장치와의 데이터 링크가 확립된 것을 또한 통지시키고, LED의 소등에 의해, 다른 통신 장치와의 데이터 링크가 확립되지 않은 것을 또한 통지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통지 수단에는,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것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음성 재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1 입력 수단에는, 통지 수단에 의해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것이 통지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할 수가 있고, 송신 수단이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소정의 정보는, 조회 신호에 대한 조회 응답 신호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제1 입력 수단에는, 통지 수단에 의해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것이 통지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할 수가 있고, 송신 수단이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소정의 정보는, 접속 요구 신호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송신 수단에는, 사용자에 의해 제1 입력 수단이 조작 입력을 받은 후, 수신 수단에 의해,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소정의 정보를,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시키도록 할 수 있다.
송신 수단에는, 사용자에 의해 제1 입력 수단이 조작 입력을 받고 있는 기간 중에, 수신 수단에 의해,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소정의 정보를,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시키도록 할 수 있다.
수신 수단에는, 사용자에 의해 제1 입력 수단이 조작 입력을 받고 있는 기간 중에만, 조회 신호를 수신시키도록 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다른 무선 통신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조회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조회 신호의 송신을 명령하는 제2 입력 수단과, 제2 입력 수단에 의해 조회 신호의 송신이 명령된 경우, 조회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더 구비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통지 수단에는, 송신 수단에 의해 조회 신호가 송신된 것을 또한 통지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통지 수단에는, 다른 통신 장치와의 데이터 링크가 확립된 것을 또한 통지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통지 수단에는, 다른 통신 장치와의 데이터 링크가 확립되지 않은 것을 또한 통지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입력 수단과, 제2 입력 수단은, 일체화하여 제3 입력 수단으로서 구성되도록 할 수가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제3 입력 수단이 조작 입력을 받기 전에,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3 입력 수단에는, 제1 입력 수단으로서 동작시키도록 할 수가 있고, 수신 수단에 의해 조회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제3 입력 수단이 조작 입력을 받은 경우, 제3 입력 수단에는, 제2 입력 수단으로서 동작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3 입력 수단은,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고, 통지 수단은, LED로 구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고, LED는, 버튼에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할 수있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방법은,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조회하는 조회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단계와,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것을 사용자가 허가하는 경우의 조작 입력을 제어하는 입력 제어 단계와, 입력 제어 단계에 의해, 조작의 입력이 제어된 경우, 소정의 정보의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조회하는 조회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단계와,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것을 사용자가 허가하는 경우의 조작 입력을 제어하는 입력 제어 단계와, 입력 제어 단계에 의해, 조작의 입력이 제어된 경우, 소정의 정보의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조회하는 조회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단계와,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것을 사용자가 허가하는 경우의 조작 입력을 제어하는 입력 제어 단계와, 입력 제어 단계에 의해, 조작의 입력이 제어된 경우, 소정의 정보의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무선 통신을 행하는것이 가능한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조회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사용자로부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조회 신호를 소정의 범위 내의 모든 무선 통신 가능한 장치로 송신할 것이 명령되는 경우에, 조작 입력을 받는 제1 입력 수단과, 제1 입력 수단에 의해 조회 신호의 송신이 명령된 경우, 조회 신호를 소정의 범위 내의 모든 무선 통신 가능한 장치로 송신하는 제1 송신 수단을 구비하며,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것을 사용자가 허가하는 경우에 조작 입력을 받는 제2 입력 수단과, 제1 송신 수단에 의해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조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제2 입력 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것을 허가하는 것이 입력되고, 또한, 수신 수단에 의해,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소정의 정보를 제1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제2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소정의 정보는, 조회 신호에 대한 조회 응답 신호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제2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소정의 정보는, 제1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접속 요구 신호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조회하는 조회 신호가 수신되고,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것을 사용자가 허가하는 경우에 조작이 입력되고, 조작이 입력된 경우, 소정의 정보가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제1 무선 통신 장치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조회 신호가 생성되고, 사용자로부터, 조회 신호를 소정의 범위 내의 모든 무선 통신 가능한 장치로 송신할 것이 명령되는 경우에, 조작이 입력되고, 조회 신호의 송신이 명령된 경우, 조회 신호가, 소정의 범위 내의 모든 무선 통신 가능한 장치로 송신되고, 제2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것을 사용자가 허가하는 경우에 조작이 입력되고,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조회 신호가 수신되고,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것이 허가되고, 또한,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소정의 정보가 제1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 스토리지 서버(1)는, 그 내부에, 음성 데이터를 축적하여, 예를 들면, Bluetooth 통신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에 의해서, 소정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무선 헤드폰(2-1) 내지 무선 헤드폰(2-n) 중,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한다. 무선 스토리지 서버(1)는, 무선 통신의 마스터가 된다.
무선 스토리지 서버(1)는, 접속 버튼(11)을 구비하고 있다. 접속 버튼(11)이 눌려진 경우, 무선 스토리지 서버(1)는, 브로드캐스트로(즉, 무선 네트워크 내의 모든 기기에 대하여), 조회 신호(Inquiry)를 송신하여, 통신 가능 기기의 탐색을 행하고, 슬레이브인 무선 헤드폰(2)으로부터의 응답을 모아, 통신 가능한 무선 헤드폰(2)을 검출하여, 통신을 확립(데이터 링크를 확립)한다. 여기서, 조회 신호란,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신호, 또는, 무선 통신 장치(자기 자신)의 존재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 신호를 포함한다.
무선 헤드폰(2-1) 내지 무선 헤드폰(2-n)은,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무선 스토리지 서버(1)가 송신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선 헤드폰(2)은, 무선 통신의 슬레이브가 된다.
이하 무선 헤드폰(2-1) 내지 무선 헤드폰(2-n)을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순히, 무선 헤드폰(2)이라 총칭한다.
도 2는, 무선 스토리지 서버(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PU(31)는, 무선 스토리지 서버(1)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접속 버튼(11)이 조작된 경우, 무선 모듈(34)을 제어하여, 안테나(35)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트로 조회 신호를 송신하거나, 조작부(32)에 입력되는 조작에 따라서, HDD(37)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여, 무선 모듈(34)을 제어하여, 안테나(35)를 통하여, 통신처가 되는 기기로 송신한다.
조작부(32)는, 예를 들면, 버튼, 키보드, 죠그다이얼,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아, 그 조작 내용을, CPU(31)에 공급한다.
접속 버튼(11)은,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무선 헤드폰(2)과의 통신을 개시하는 것을 명령하는 경우에 조작된다.
무선 모듈(34)은, CPU(31)으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 등을, 무선 통신 가능한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증폭하여, 안테나(35)를 통하여 송신하거나, 안테나(35)가 수신한 데이터, 또는 응답 신호 등의 입력을 받아, 증폭하여,CPU(31)가 처리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CPU(31)에 공급한다.
또한, CPU(31)에는, 버스(36)를 통하여, HDD(Hard Disk Drive)(37), RAM(Random Access Memory)(38), 및, ROM(Read Only Memory)(39)이 접속되어 있다.
HDD(37)는, 하드디스크를 구동하여, 이들에 CPU(11)에 의해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시키거나, 무선 헤드폰(2)으로 송신하여 재생시키는 음악 콘텐츠를 기록하여, CPU(31)의 제어에 따라서, 버스(36)를 통하여 출력한다.
RAM(38)는, CPU(31)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실행에 있어서 적절하게 변화하는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ROM(39)는, CPU(31)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용의 파라미터 중의 기본적으로 고정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CPU(31)에는, 필요에 따라, 버스(36)를 통하여, 드라이브(40)가 접속되어 있고, 드라이브(40)에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41), 광 디스크(42), 광 자기 디스크(43), 및 반도체 메모리(44)가 장착되어,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도 3은, 무선 헤드폰(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PU(51)는, 무선 헤드폰(2)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안테나(55) 및 무선 모듈(54)을 통하여,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부터 송신된 조회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56)를 점멸시키거나, 접속 응답 버튼(53)이 조작된 경우, 무선 모듈(54)을 제어하여, 안테나(55)를 통하여, 조회 신호에 대한 응답을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 송신하여, 통신을 확립하여, 점멸 중의 LED를 점등시키거나, 안테나(55) 및 무선 모듈(54)을 통하여,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부터 송신된 음악콘텐츠를, 음성 재생부(57)로 출력하여, 스피커(58)로부터 음성 출력시킨다.
조작부(52)는, 예를 들면, 버튼, 키보드, 죠그다이얼,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음성 재생의 볼륨의 변경 등의, 무선 통신에 관계하지 않은 처리에 관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아, 그 조작 내용을, CPU(31)에 공급한다.
접속 응답 버튼(53)은, 사용자가,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의 통신을 행하는 것을 명령하는 경우에 조작된다. 즉, 무선 헤드폰(2)은,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부터, 조회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도(즉,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무선 스토리지 서버(2)가 존재한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에 의해서, 접속 응답 버튼(53)이 조작되었을 때에만,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의 접속을 확립한다.
무선 모듈(54)은, CPU(51)으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 등을, 무선 통신 가능한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증폭하여, 안테나(55)를 통하여 송신하거나, 안테나(55)가 수신한 데이터, 또는 응답 신호 등의 입력을 받아, 증폭하여, CPU(51)가 처리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CPU(51)에 공급한다.
LED(56)는, CPU(51)의 제어에 따라서, 점등하거나, 소등하거나, 점멸시킨다. 또한, LED(56)에는, CPU(51)의 제어에 따라서, 예를 들면, 서로 다른 빛깔로 점등시킬 수 있는 것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무선 헤드폰(2)의 접속 응답 버튼(53) 및 LED(5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응답 버튼(53) 내에 LED(56)가 설치됨으로써, 1개의 입출력 수단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무선 헤드폰(2)의 복수의 개소를 보고, 조작 및 상태의 확인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무선 헤드폰(2)의 접속 응답 버튼(53) 및 LED(5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무선 헤드폰(2)은, 복수의 LED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응답 버튼(53) 이외에, LED(56-1) 및 LED(56-2)을 구비하게 하도록 함으로써, 2개의 LED의 점등, 소등, 또는 점멸의 조합에 의해, 조회 신호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 또는, 접속이 확립되었는지의 여부 등의, 무선 헤드폰(2)의 상태에 대하여, 많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음성 재생부(57)는, CPU(51)로부터, 안테나(55) 및 무선 모듈(54)을 통하여,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부터 송신된 음악 콘텐츠의 입력을 받아, D/A(Digital to Analog) 변환이나, 포맷 변환, 또는, 복호 처리 등의 소정의 재생 처리를 실시하여, 스피커(58)로 출력하여, 콘텐츠를 재생시킨다.
또한, CPU(51)에는, 버스(59)를 통하여, RAM(60), 및, ROM(61)이 접속되어 있다.
RAM(60)는, CPU(51)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실행에 있어서 적절하게 변화하는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ROM(61)은, CPU(51)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용의 파라미터 중의 기본적으로 고정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CPU(51)에는, 필요에 따라, 버스(59)를 통하여, 드라이브(62)가 접속되어 있고, 드라이브(62)에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71), 광 디스크(72), 광 자기 디스크(73), 및 반도체 메모리(74)가 장착되어,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다음으로,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스토리지 서버(1)와 무선 헤드폰(2)과의 접속 확립 처리1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에서, 무선 스토리지 서버(1)의 CPU(31)는, 접속 버튼(11)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접속 버튼(11)이 눌려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단계 S1에서, 접속 버튼(11)이 눌려져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접속 버튼(11)이 눌려졌다고 판단될 때까지, 단계 S1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1에 있어서, 접속 버튼(11)이 눌려졌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2에 있어서, CPU(31)은, 조회 요구 커맨드를 생성하여, 무선 모듈(34)로 출력한다.
단계 S3에 있어서, 무선 모듈(34)은, CPU(31)으로부터 입력된 조회 요구 커맨드에 따라서, 조회 패킷을 생성하여, 안테나(35)를 통하여, 조회 패킷을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한다.
단계 S4에 있어서, 무선 헤드폰(2)의 무선 모듈(54)은, 안테나(55)를 통하여,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부터 송신된 조회 패킷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4에 있어서, 조회 패킷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조회 패킷을 수신하였다고 판단될 때까지, 단계 S4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4에 있어서, 조회 패킷을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5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CPU(51)에 조회 도착 이벤트를 출력한다.
단계 S6에 있어서, 무선 헤드폰(2)의 CPU(51)는, 예를 들면, LED(56)을 제어하여 점멸시키거나, 음성 재생부(57)를 제어하여, 「음악을 듣습니까?」 등의 메시지를 스피커(58)로부터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대하여 음성 안내를 행함으로써,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 접속 가능 상태인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무선 헤드폰(2)을 장착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LED(56)의 점멸을 확인하여,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부터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것을 확인할 수가 있고,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면, 접속 응답 버튼(53)을 누른다. 한편, 사용자가 무선 헤드폰(2)을 장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LED(56)의 점멸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음성 안내를 듣고,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부터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것을 확인할 수가 있고,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면, 접속 응답 버튼(53)을 누른다.
단계 S7에 있어서, CPU(51)은, 접속 응답 버튼(53)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기초로, 접속 응답 버튼(53)이 눌려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단계 S7에 있어서, 접속 응답 버튼(53)이 눌려져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8에 있어서, CPU(51)은, LED(56)을 제어하여, LED(56)를 소등하고, 처리는, 단계 S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7에 있어서, 접속 응답 버튼(53)이 눌려졌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9에 있어서, CPU(51)은, 조회 응답 커맨드를 생성하여, 무선 모듈(54)에, 조회 응답 커맨드를 출력한다.
단계 S10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CPU(51)으로부터 공급된 조회 응답 커맨드에 따라서, 조회 응답 패킷을 생성하고, 안테나(55)를 통하여, 조회 응답 패킷을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11에 있어서, 무선 스토리지 서버(1)의 무선 모듈(34)은, 안테나(35)를 통하여, 무선 헤드폰(2)으로부터 송신된 조회 응답 패킷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1에 있어서, 조회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처리는, 단계 S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11에 있어서, 조회 응답 패킷을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2에 있어서, 무선 모듈(34)은, CPU(31)에, 수신한 조회 응답 패킷을 출력한다. CPU(31)는, 조회 응답 패킷을 참조하여, 조회 응답 패킷의 송신원의 기기 ID 등을 추출하고, 조회 응답 패킷의 송신원에 대한 접속 요구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모듈(34) 및 안테나(35)를 통하여, 조회 응답 패킷의 송신원의 무선 헤드폰(2)으로 송신한다.
단계 S13에 있어서, 무선 헤드폰(2)의 무선 모듈(54)은, 안테나(55)를 통하여,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3에 있어서, 접속 요구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접속 요구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될 때까지, 단계 S13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13에 있어서, 접속 요구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4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접속 요구를 수신한 것을 CPU(51)에 통지한다. CPU(51)는, 접속 요구에 대하여, 접속 응답을 생성하여, 무선 모듈(54) 및 안테나(55)를 통하여,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15에 있어서, CPU(51)는,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LED(56)를 제어하여 점등한다.
단계 S16에 있어서, 무선 스토리지 서버(1)의 CPU(31)는, 접속 응답을 송신한 무선 헤드폰(2)과의 접속을 확립(데이터 링크를 확립)하여, 처리가 종료된다.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처리에 의해, 무선 헤드폰(2)의 사용자가,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의 접속을 희망하는 경우에만, 조회 신호에 대한 응답이 회신되기 때문에, 무선 스토리지 서버(1)가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한 조회 신호에 대한 응답은, 조회 신호의 도달 범위 내의 모든 기기로부터 회신되지 않고, 필요한 기기로부터만 회신된다. 따라서, 무선 스토리지 서버(1)에 있어서는, 조회 신호의 도달 범위 내의 모든 기기의 기기 ID 등을 표시시켜,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복잡한 조작을 행하게 하는 일없이, 원하는 무선 헤드폰(2)과의 접속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무선 헤드폰(2)에 대하여 사용자가 행하는 조작에 의해서,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 무선 헤드폰(2)이 무선 접속되는가 아닌가가 결정되기 때문에, 무선 스토리지 서버(1)에, 예를 들면, 조회 신호의 도달 범위 내의 모든 기기의 기기 ID 등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부나, 그 중에서,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입력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무선 스토리지 서버(1)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가 있어, 비용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접속 확립 처리1에 있어서는,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부터 조회 패킷이 송신되고, 조회 패킷을 수신한 무선 헤드폰(2)의 사용자에게, 조회 패킷의 도착이 통지되고, 사용자가,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의 통신을 개시할 것을 희망하는 경우, 조회 패킷에 대한 응답 버킷이 회신되어, 통신이 개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것에 대하여, 무선 헤드폰(2)에 있어서, 조회 패킷을 수신하기 전에, 접속 응답 버튼(53)이 미리 조작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헤드폰(2)이 회신하는 조회 응답 패킷에,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의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게 하도록 해도 된다.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스토리지 서버(1)와 무선 헤드폰(2)과의 접속 확립 처리2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31 내지 단계 S33에 있어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단계 S1 내지 단계 S3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된다. 즉, 접속 버튼(11)이 눌려진 경우,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부터, 브로드캐스트로, 조회 패킷이 송신된다.
단계 S34에 있어서, 무선 헤드폰(2)의 CPU(51)은, 접속 응답 버튼(53)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기초로, 접속 응답 버튼(53)이 눌려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단계 S34에 있어서, 접속 응답 버튼(53)이 눌려졌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35에 있어서, CPU(51)는, 무선 헤드폰(2)의 상태를, 접속 허가 상태인 것으로 한다.
단계 S34에 있어서, 접속 응답 버튼(53)이 눌려져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또는, 단계 S35의 처리의 종료 후, 단계 S36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안테나(55)를 통하여,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부터 송신된 조회 패킷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6에 있어서, 조회 패킷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처리는, 단계 S3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36에 있어서, 조회 패킷을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37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CPU(51)에 조회 도착 이벤트를 출력한다.
단계 S38에 있어서, CPU(51)은, 무선 헤드폰(2)의 상태가, 접속 허가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8에 있어서, 무선 헤드폰(2)의 상태는, 접속 허가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39에 있어서, CPU(51)은,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 회신하는 조회 응답 패킷에 포함되는 접속 수용 플래그를 ON 상태로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도 9에, 조회 패킷 및 조회 응답 패킷이 예를 나타낸다. 조회 패킷(71)은, 헤더(81), 및 송신원 어드레스(82)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조회 응답 패킷(72)은, 헤더(83), 송신처 어드레스(84), 송신원 어드레스(85), 및, 접속 수용 플래그(86)로 구성되어 있다. 무선 헤드폰(2)의 상태는 접속 허가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 회신하는 조회 응답 패킷(72)에 포함되는 접속 수용 플래그는, ON 상태로 설정된다.
단계 S38에 있어서, 무선 헤드폰(2)의 상태는, 접속 허가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40에 있어서, CPU(51)는,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 회신하는 조회 응답 패킷에 포함되는 접속 수용 플래그를 OFF 상태로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즉,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 회신하는 조회 응답 패킷(72)에 포함되는 접속 수용 플래그(86)는, OFF 상태로 설정된다.
단계 S39, 또는 단계 S40의 처리의 종료 후, 단계 S41에 있어서, CPU(51)은,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 회신하는 조회 응답 패킷에 포함되는 접속 수용 플래그가 ON인지 OFF 인지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포함한 조회 응답 커맨드를 생성하여, 무선 모듈(54)에, 조회 응답 커맨드를 출력하고, 예를 들면, LED(56)을 제어하여 점멸시켜서,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의 접속 처리 중인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단계 S42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CPU(51)으로부터 공급된 조회 응답 커맨드에 따라서, 조회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안테나(55)를 통하여,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43에 있어서, 무선 스토리지 서버(1)의 무선 모듈(34)은, 안테나(35)를 통하여, 무선 헤드폰(2)으로부터 송신된 조회 응답 패킷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43에 있어서, 조회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처리는, 단계 S3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43에 있어서, 조회 응답 패킷을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44에 있어서, 무선 모듈(34)은, CPU(31)에 조회 응답 패킷을 출력한다. CPU(31)은, 조회 응답 패킷을 참조하여, 접속 수용 플래그(86)는 ON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44에 있어서, 접속 수용 플래그(86)는 ON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처리는, 단계 S3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44에 있어서, 접속 수용 플래그(86)는 ON이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45 내지 단계 S49에 있어서, 도 7의 단계 S12 내지 단계 S16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되어,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 무선 헤드폰(2)과의 접속이 확립되어, 처리가 종료된다.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 처리에 의해, 무선 헤드폰(2)의 CPU(51)는, 접속 응답 버튼(53)이 미리 조작되었는가 아닌가에 기초하여, 조회 응답 패킷(72)의 접속수용 플래그(86)의 ON, OFF를 제어한다.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 접속 확립 처리2에 있어서는,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접속 확립 처리1과는 달리, 무선 스토리지 서버(1)가 송신한 조회 패킷(71)을 수신한 무선 헤드폰(2)은, 전부, 조회 응답 패킷(72)을 회신한다.
조회 응답 패킷(72)을 수신한 무선 스토리지 서버(1)는, 접속 수용 플래그(86)의 ON, OFF를 참조하여, 접속 수용 플래그(86)가 ON인 조회 응답 패킷(72)을 송신한 무선 헤드폰(2)과만, 접속을 확립한다.
따라서, 무선 스토리지 서버(1)에서, 조회 신호의 도달 범위 내의 모든 기기의 기기 ID 등을 표시시켜,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복잡한 조작을 행하게 하는 일없이, 원하는 무선 스토리지 서버(2)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무선 스토리지 서버(1)에, 예를 들면, 조회 신호의 도달 범위 내의 모든 기기의 기기 ID 등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부나, 그 중에서,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입력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무선 스토리지 서버(1)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가 있어, 비용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접속 확립 처리1,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 접속 확립 처리2에 있어서는, 무선 스토리지 서버(1)가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하는 조회 패킷에 대하여, 무선 헤드폰(2)으로부터 조회 응답 패킷이 회신되는가 아닌가, 또는, 회신된 조회 응답 패킷(72) 내의 접속 수용 플래그(86)가 ON 상태인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부터 무선 헤드폰(2)에 접속 요구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것에 대하여, 무선 헤드폰(2)의 사용자가, 무선 스토리지서버(1)와의 통신을 행하는 것을 희망하고 있는 경우, 무선 스토리지 서버(1)가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하는 조회 패킷에 대하여, 무선 헤드폰(2)으로부터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 접속 요구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무선 헤드폰(2)으로부터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접속 확립 처리3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61 내지 단계 S69에 있어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단계 S1 내지 단계 S9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된다. 즉, 접속 버튼(11)이 눌려진 경우,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부터, 브로드밴드로 조회 패킷이 송신된다. 무선 헤드폰(2)은, 조회 패킷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에게, 조회 패킷을 수신한 것을 통지한다. CPU(51)는, 사용자로부터 접속 응답 버튼(53)의 조작을 받은 경우, 조회 응답 커맨드를 무선 모듈(54)에 공급한다.
단계 S70에 있어서, 무선 헤드폰(2)의 무선 모듈(54)은, CPU(51)으로부터 공급된 조회 응답 커맨드에 기초하여, 접속 요구 신호를 생성하여, 안테나(55)를 통하여,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71에 있어서, 무선 스토리지 서버(1)의 무선 모듈(34)은, 안테나(35)를 통하여, 무선 헤드폰(2)으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71에 있어서, 접속 요구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처리는, 단계 S6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71에 있어서, 접속 요구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72에 있어서, 무선 모듈(34)은, 수신한 접속 요구를 CPU(31)로 출력한다. CPU(31)는, 접속 요구에 대하여, 접속 응답을 생성하여, 무선 모듈(34) 및 안테나(35)를 통하여 무선 헤드폰(2)으로 송신한다.
단계 S73에 있어서, CPU(31)는, 무선 헤드폰(2)과의 접속을 확립한다.
단계 S74에 있어서, 무선 헤드폰(2)의 CPU(51)는,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LED(56)를 제어하여 점등시키고, 처리가 종료된다.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 처리에 의해, 무선 헤드폰(2)의 사용자가,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의 접속을 희망하고 있는 경우에만, 무선 헤드폰(2)으로부터, 무선 스토리지 서버(1)에 대하여, 접속 요구가 송신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무선 스토리지 서버(1)에 있어서, 조회 신호의 도달 범위 내의 모든 기기의 기기 ID 등을 표시시켜,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복잡한 조작을 행하게 하는 일없이, 원하는 무선 스토리지 서버(2)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무선 스토리지 서버(1)에, 예를 들면, 조회 신호의 도달 범위 내의 모든 기기의 기기 ID 등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부나, 그 중에서,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입력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무선 스토리지 서버(1)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가 있어, 비용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0의 접속 확립 처리3에 있어서는,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접속 확립 처리1과 같이,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부터 조회 패킷이 송신되고, 조회 패킷을 수신한 무선 헤드폰(2)의 사용자에게, 조회 패킷의 도착이 통지되고, 사용자가,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의 통신을 개시할 것을 희망하여, 접속 응답 버튼(53)을 조작한 경우, 무선 헤드폰(2)으로부터 접속 요구가 송신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 접속 확립 처리2와 같이, 무선 헤드폰(2)의 사용자가,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의 통신을 개시할 것을 희망하여, 접속 응답 버튼(53)을 미리 조작하고 있었던 경우, 조회 패킷을 수신한 무선 헤드폰(2)으로부터 접속 요구가 송신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접속 확립 처리1,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 접속 확립 처리2에 있어서는, 무선 헤드폰(2)은, 수시로, 조회 패킷을 수신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무선 헤드폰(2)은, 접속 응답 버튼(53)이 눌려져 있는 동안에만, 조회 패킷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스토리지 서버(1)와 무선 헤드폰(2)과의 접속 확립 처리4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91 내지 단계 S93에 있어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단계 S1 내지 단계 S3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된다. 즉, 접속 버튼(11)이 눌려진 경우,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부터, 브로드밴드로, 조회 패킷이 송신된다.
단계 S94에 있어서, 무선 헤드폰(2)의 CPU(51)는, 접속 응답 버튼(53)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기초로, 접속 응답 버튼(53)이 눌려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94에 있어서, 접속 응답 버튼(53)이 눌려져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접속 응답 버튼이 눌려질 때까지, 단계 S94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94에 있어서, 접속 응답 버튼(53)이 눌려져 있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95에 있어서, CPU(51)는, 무선 헤드폰(2)의 상태를, 조회 패킷 대기 상태로 한다. 무선 헤드폰(2)은, 접속 응답 버튼(53)이 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 즉, 조회패킷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무선 스토리지 서버(1)에 의해 조회 패킷이 송신되었을 때에, 그 송신 범위 내에 존재하고 있더라도, 조회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다.
단계 S96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안테나(55)를 통하여,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부터 송신된 조회 패킷을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96에 있어서, 조회 패킷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처리는, 단계 S9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96에 있어서, 조회 패킷을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97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CPU(51)에 조회 도착 이벤트를 출력한다.
단계 S98에 있어서, CPU(51)는, 조회 응답 커맨드를 생성하여, 무선 모듈(54)에, 조회 응답 커맨드를 출력하여, 예를 들면, LED(56)을 제어하여 점멸시켜,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의 접속 처리 중에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단계 S99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CPU(51)으로부터 공급된 조회 응답 커맨드에 따라서, 조회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안테나(55)를 통하여,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100에 있어서, 무선 스토리지 서버(1)의 무선 모듈(34)은, 안테나(35)를 통하여, 무선 헤드폰(2)으로부터 송신된 조회 응답 패킷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00에 있어서, 조회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처리는, 단계 S9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100에 있어서, 조회 응답 패킷을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01 내지 단계 S105에 있어서, 도 7의 단계 S45 내지 단계 S49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되어,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 무선 헤드폰(2)과의 접속이 확립되어, 처리가 종료된다.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 처리에 의해, 무선 헤드폰(2)은, 접속 응답 버튼(53)이 눌려져 있는 동안에만, 무선 스토리지 서버(1)로부터 송신되는 조회 패킷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무선 스토리지 서버(1)는, 접속을 희망하지 않은 무선 헤드폰(2)으로부터, 조회 응답을 수신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무선 스토리지 서버(1)에 있어서, 조회 신호의 도달 범위 내의 모든 기기의 기기 ID 등을 표시시켜,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복잡한 조작을 행하게 하는 일없이, 원하는 무선 스토리지 서버(2)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무선 스토리지 서버(1)에, 예를 들면, 조회 신호의 도달 범위 내의 모든 기기의 기기 ID 등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부나, 그 중에서,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입력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무선 스토리지 서버(1)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가 있어, 비용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 접속 확립 처리4에 있어서는, 무선 스토리지 서버(1)가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하는 조회 패킷에 대하여, 접속 응답 버튼(53)이 눌려져 있는 상태의 무선 헤드폰(2)으로부터 조회 응답 패킷이 회신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접속 응답 버튼(53)이 눌려져 있는 상태의 무선 헤드폰(2)은,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 접속 확립 처리3과 같이, 무선 스토리지 서버(1)가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하는 조회 패킷에 대하여, 접속 요구를 회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에 있어서는,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스토리지와 서버가 각각 서로 다른 기기인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했다. 계속해서, 무선 통신에 있어서, 스토리지로서도 서버로서도 동작 가능한 기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무선 통신에 있어서, 스토리지로서도 서버로서도 동작 가능한 음성 재생 장치(9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무선 헤드폰(2)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한다.
즉, 도 12의 음성 재생 장치(91)는, CPU(51)에 대신하여 CPU(101)가 구비되고, 접속 응답 버튼(53)에 대신하여 접속 버튼(102)이 구비되고, HDD(103)가 새롭게 구비되어 있는 이외에는, 도 3의 무선 헤드폰(2)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것이다.
CPU(101)는, 음성 재생 장치(91)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접속 버튼(102)이 조작된 경우, 조회 신호의 수신 전인가, 수신 후인가를 판단하여, 조회 신호의 수신 전일 때, 무선 모듈(54)을 제어하여, 안테나(55)를 통하여, 조회 신호를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하고, 조회 신호의 수신 후일 때, LED(56)를 제어하여 점멸시켜, 사용자에게 조회 패킷을 수신한 것을 통지한다. 또한, CPU(101)은, 조작부(5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서, HDD(103)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를, 음성 재생부(57)로 출력하여, 스피커(58)로부터 음성 출력시키거나, 무선 모듈(54) 및 안테나(55)를 통하여, 다른 기기로 송신한다.
접속 버튼(102)은, 조회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는, 무선 통신의 마스터가 되어, 브로드캐스트로 조회 신호를 송신할 것이 명령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고, 조회 신호를 수신한 후에는, 무선 통신의 슬레이브가 되어, 마스터의 조회 신호에 대한 응답을 회신하는 것이 명령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된다. 또한, 접속 버튼(102)과 LED(56)는, 예를 들면,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접속 응답 버튼(53) 및 LED(56)과 같이, 1개의 입출력 수단으로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즉, 사용자는, 음성 재생 장치(91)의 복수의 개소를 보고, 조작 및 상태의 확인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음성 재생 장치(91)의 접속 버튼(102)과 LED(56)는,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접속 응답 버튼(53) 및 LED(56)과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HDD(103)는, 하드디스크를 구동하여, 이들에 CPU(101)에 의해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시키거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면, 다른 음성 재생 장치(91))로 송신하여 재생시키는 음악 콘텐츠를 기록하여, CPU(101)의 제어에 따라서, 버스(59)를 통하여 출력한다.
다음으로, 음성 재생 장치(9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 모듈(54)이, 다른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면, 다른 음성 재생 장치(91))로부터, 조회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 버튼(102)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경우, CPU(101)는, 음성 재생 장치(91)를 마스터라고 인식하여, 무선 모듈(54)을 제어하여, 브로드캐스트로, 조회 패킷을 안테나(55)로부터 송신시킨다.
CPU(101)는, 안테나(55) 및 무선 모듈(54)을 통하여, 조회 응답 패킷을 수신한 경우, 조회 응답 패킷의 송신원에 대하여,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등에 의해, 무선 접속을 확립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서, HDD(103)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를, 무선 모듈(54) 및 안테나(55)를 통하여, 조회 응답 패킷의 송신원으로 송신한다.
접속 버튼(102)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기 전에, 무선 모듈(54)이, 다른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면, 다른 음성 재생 장치(91))로부터, 조회 신호를 수신한 경우, CPU(101)는, 음성 재생 장치(91)를 슬레이브라고 인식하고, LED(56)를 제어하여, 점멸시켜, 사용자에게 조회 패킷을 수신한 것을 통지한다.
그리고, CPU(101)는, 소정의 시간 내에, 사용자로부터, 접속 버튼(102)이 조작된 경우, 조회에 대한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 모듈(54) 및 안테나(55)를 통하여, 조회 패킷의 송신원으로 송신한다.
또한, CPU(101)은, 소정의 시간 내에, 사용자로부터, 접속 버튼(102)이 조작되지 않은 경우, LED(56)를 제어하여, 소등시켜, 사용자에게 처리 중이 아닌 것을 통지한다.
또한, 접속 버튼(102)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타이밍과, 무선 모듈(54)이, 다른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면, 다른 음성 재생 장치(91))로부터, 조회 신호를 수신한 타이밍이 동시였던 경우, 어느 한쪽의 기기를 마스터로 하고, 다른 쪽의 기기를 슬레이브로 함으로써, 무선 통신의 확정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음성 재생 장치(9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21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조회 패킷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21에 있어서, 조회 패킷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처리는, 단계 S131로 진행한다.
단계 S121에서, 조회 패킷을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음성 재생 장치(91)는, 슬레이브로서 기능한다. 단계 S122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CPU(101)에 조회 도착 이벤트를 출력한다. CPU(101)는, 조회 도착 이벤트를 받아, 자기 자신이, 슬레이브가 된 것을 인식한다.
단계 S123에 있어서, CPU(101)는, 예를 들면, LED(56)을 제어하여 점멸시키거나, 음성 재생부(57)를 제어하여, 「음악을 듣습니까?」 등의 메시지를 스피커(58)로부터 출력시켜서, 사용자에게 대하여 음성 안내를 행함으로써,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단계 S124에 있어서, CPU(101)는, 접속 버튼(102)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기초로, 접속 버튼(102)이 눌려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단계 S124에 있어서, 접속 버튼(102)이 눌려져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25에 있어서, CPU(101)은, LED(56)을 제어하여 소등하고, 처리는, 단계 S12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124에 있어서, 접속 버튼(102)이 눌려졌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26에 있어서, CPU(101)는, 무선 모듈(54)에, 조회 응답 커맨드를 출력한다.
단계 S127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안테나(55)를 통하여, 조회 신호의 송신원으로, 조회 응답 패킷을 송신한다.
단계 S128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안테나(55)를 통하여, 접속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28에 있어서, 접속 요구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접속 요구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될 때까지, 단계 S128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128에 있어서, 접속 요구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29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접속 요구를 수신한 것을 CPU(101)에 통지한다. CPU(101)는, 무선 모듈(54) 및 안테나(55)를 통하여, 접속 요구의 송신원에, 접속 응답을 송신한다.
단계 S130에 있어서, CPU(101)는, 조회 신호의 송신원과의 접속을 확립하고, LED(56)를 점등하여, 처리가 종료된다.
단계 S121에 있어서, 조회 패킷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31에서, CPU(101)는, 접속 버튼(102)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기초로, 접속 버튼(102)이 눌려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단계 S131에 있어서, 접속 버튼(102)이 눌려져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처리는, 단계 S12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131에 있어서, 접속 버튼(102)이 눌려졌다고 판단된 경우, 음성 재생 장치(91)는, 마스터로서 기능한다. 단계 S132에 있어서, CPU(101)는, 자기 자신이 마스터가 된 것을 인식하여, 무선 모듈(54)로, 조회 요구 커맨드를 출력한다.
단계 S133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조회 패킷을 생성하여, 안테나(55)를 통하여, 조회 패킷을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하고, LED(56)를 제어하여 점멸시킨다.
단계 S134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안테나(55)를 통하여, 조회 응답 패킷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34에 있어서, 조회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35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조회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않은 것을 CPU(101)에 통지한다. CPU(101)는, LED(56)을 제어하여 소등하고, 처리는, 단계 S12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134에 있어서, 조회 응답 패킷을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36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조회 응답 패킷을 수신한 것을 CPU(101)에 통지한다. CPU(101)은, 무선 모듈(54), 및 안테나(55)를 통하여, 조회 응답 패킷의 송신원으로,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 S137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안테나(55)를 통하여, 접속 응답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37에 있어서, 접속 응답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접속 응답을 수신하였다고 판단될 때까지, 단계 S137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137에 있어서, 접속 응답을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38에 있어서, 무선 모듈(54)은, 접속 응답을 수신한 것을 CPU(101)에 통지한다. CPU(101)는, 접속 응답의 송신원과의 접속을 확립하고, LED(56)를 제어하여 점등시키고, 처리가 종료된다.
도 13 및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 처리에 있어서는, 음성 재생 장치(91)는, 조회 패킷이 수신되기 전에 접속 버튼(102)을 조작된 경우, 마스터로서 동작하고, 접속 버튼(102)이 조작되기 전에 조회 패킷을 수신한 경우, 슬레이브로서 동작한다.
즉, 접속 버튼(102)은, 그 조작 타이밍에 따라서, 조회 패킷의 송신을 명령하는 경우와, 조회에 대한 응답 패킷의 송신을 명령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음성 재생 장치(91)는, 예를 들면, 조회 신호의 도달 범위 내의 모든 기기의 기기 ID 등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부나, 그 중에서,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입력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또한, 조회 패킷의 송신과, 조회에 대한 응답 패킷의 송신을 동일한 접속 버튼(102)으로 명령할 수 있으므로, 구성을 간단히 할 수가 있어, 비용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3의 단계 S127에 있어서는, 음성 재생 장치(91)는, 조회 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음성 재생 장치(91)는, 조회 응답 패킷에 대신하여, 접속 요구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음성 재생 장치(91)는, 단계 S134에 있어서 조회 응답 패킷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조회 응답 패킷을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S136에 있어서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들의 처리에 대신하여, 단계 S134에 있어서 접속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접속 요구를 수신한 경우, 단계 S136에 있어서 접속 응답을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여기서는, 음성 재생 장치(91)는, 음성 재생부(57) 및 스피커(58)를 갖고,조회 패킷을 수신한 것을 통지하기 위해서, 음성에 의한 통지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음성에 의한 통지를 행할 수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LED(56)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면, LED(56)만으로 사용자에 대한 통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슬레이브 상태가 아닌 2개의 음성 재생 장치(91)에 있어서, 동시에 접속 버튼이 눌려진 경우, 어느 한쪽의 음성 재생 장치(91)가 마스터가 되고, 다른 쪽의 음성 재생 장치(91)가 슬레이브가 됨으로써, 2개의 음성 재생 장치(91)의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재생 장치(91)가, 음성 재생 장치(91) 이외의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Bluetooth 통신에 있어서, 마스터에는, General Inquiry와, Limited Inquiry의 2개의 조회 신호를 송신하는 모드가 있다. 한편, 슬레이브에는, General Discoverable Mode와, Limited Discoverable Mode의 2개의 모드가 있다. 상술한, 무선 스토리지 서버(1), 및, 음성 재생 장치(91)(마스터)는, 버튼의 눌려짐에 따라, 각각, Limited Inquiry를 행한다. 그리고, 상술한 무선 헤드폰(2), 및, 음성 재생 장치(91)(슬레이브)는, 버튼의 눌려짐에 따라, Limited Discoverable Mode가 된다.
예를 들면, General Discoverable Mode의 슬레이브가, 상술한, 무선 스토리지 서버(1), 또는, 마스터가 된 음성 재생 장치(91)의 조회 신호의 도달 범위에 존재한 경우에 있어서도, Limited Inquiry에 대하여, General Discoverable Mode의 슬레이브는 응답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무선 접속을 바라지않는 General Discoverable Mode의 슬레이브가 부근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스터는, 그 응답을 받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으로, 참으로 접속을 희망하는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접속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11에 있어서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를 무선 통신에 의해서 송신하는 무선 스토리지 서버(1)와, 음악 콘텐츠 데이터를 무선 통신에 의해서 수신하여 재생하는 무선 헤드폰(2)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12 내지 도 14에 있어서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를 무선 통신에 의해서 수수하여, 음악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음성 재생 장치(91)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음악 콘텐츠 이외의 모든 정보(예를 들면, 음악 이외의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프로그램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 동화상 데이터, 또는, 이들의 데이터를 복수 포함하는 데이터 등)를 수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그 소프트웨어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2, 도 3,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와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41), 또는 자기 디스크(71)(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 광 디스크(42), 또는 광 디스크(72)(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 광 자기 디스크(43), 또는 광 자기 디스크(73)(MD(Mini-Disk)(상표)를 포함), 또는 반도체 메모리(44), 또는 반도체 메모리(74)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로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허가한 경우에만,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 자신이 무선 통신 장치의 슬레이브인 경우, 마스터가 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조회 신호의 도달 범위 내의 모든 기기의 기기 ID 등을 표시시켜, 마스터가 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기를 선택시키는 복잡한 조작을 행하게 하는 일없이, 원하는 슬레이브와의 접속을 확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의 슬레이브에 있어서의 조작도 매우 간단한 것이다.
또한, 제1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터가 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조회 신호의 도달 범위 내의 모든 기기의 기기 ID 등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부나, 그 중에서,원하는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입력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다른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무선 통신 장치에서,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가 있고, 특히, 슬레이브 측의 무선 통신 장치의 사용자가, 마스터가 되는 무선 통신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허가한 경우에만,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마스터가 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조회 신호의 도달 범위 내의 모든 기기의 기기 ID 등을 표시시켜, 마스터가 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기를 선택시키는 복잡한 조작을 행하게 하는 일없이, 원하는 슬레이브와의 접속을 확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의 슬레이브에 있어서의 조작도 매우 간단한 것이다.
또한, 마스터가 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조회 신호의 도달 범위 내의 모든 기기의 기기 ID 등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부나, 그 중에서,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입력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5)

  1.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무선으로 정보를 수수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조회하는 조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정보를 수수하는 것을 사용자가 허가하는 경우에 조작 입력을 받는 제1 입력 수단과,
    상기 제1 입력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이 입력된 경우, 소정의 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것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데이터 링크가 확립된 것을 또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데이터 링크가 확립되지 않은 것을 또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LED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수단은, 버튼으로 구성되고,
    상기 LED는, 상기 버튼에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LED의 점멸에 의해, 상기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것을 통지하고,
    상기 LED의 점등에 의해,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데이터 링크가 확립된 것을 또한 통지하고,
    상기 LED의 소등에 의해,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데이터 링크가 확립되지 않은 것을 또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것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음성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수단은, 상기 통지 수단에 의해 상기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것이 통지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상기 송신 수단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상기 소정의 정보는, 상기 조회 신호에 대한 조회 응답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수단은, 상기 통지 수단에 의해 상기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것이 통지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상기 송신 수단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상기 소정의 정보는, 접속 요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입력 수단이 조작 입력을 받은 후,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입력 수단이 조작 입력을 받고 있는 기간 중에,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입력 수단이 조작 입력을 받고 있는 기간 중에만, 상기 조회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조회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조회 신호의 송신을 명령하는 제2 입력 수단과,
    상기 제2 입력 수단에 의해 상기 조회 신호의 송신이 명령된 경우, 상기 조회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상기 조회 신호가 송신된 것을 또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데이터 링크가 확립된 것을 또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데이터 링크가 확립되지 않은 것을 또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수단과, 상기 제2 입력 수단은, 일체화하여 제3 입력 수단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3 입력 수단이 조작 입력을 받기 전에,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3 입력 수단은, 상기 제1 입력 수단으로서 동작하고,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조회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3 입력 수단이 조작 입력을 받은 경우, 상기 제3 입력 수단은, 상기 제2입력 수단으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입력 수단은, 버튼으로 구성되고,
    상기 통지 수단은, LED로 구성되고,
    상기 LED는, 상기 버튼에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무선으로 정보를 수수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조회하는 조회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단계와,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정보를 수수하는 것을 사용자가 허가하는 경우의 조작 입력을 제어하는 입력 제어 단계와,
    상기 입력 제어 단계에 의해, 상기 조작의 입력이 제어된 경우, 소정의 정보의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1.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무선으로 정보를 수수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용의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조회하는 조회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단계와,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정보를 수수하는 것을 사용자가 허가하는 경우의 조작 입력을 제어하는 입력 제어 단계와,
    상기 입력 제어 단계에 의해, 상기 조작의 입력이 제어된 경우, 소정의 정보의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22.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무선으로 정보를 수수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조회하는 조회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단계와,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정보를 수수하는 것을 사용자가 허가하는 경우의 조작 입력을 제어하는 입력 제어 단계와,
    상기 입력 제어 단계에 의해, 상기 조작의 입력이 제어된 경우, 소정의 정보의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23. 무선 통신에 의해 서로 통신이 가능한 제1 무선 통신 장치 및 제2 무선 통신장치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조회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조회 신호를 소정의 범위 내의 모든 무선 통신 가능한 장치로 송신할 것이 명령되는 경우에, 조작 입력을 받는 제1 입력 수단과,
    상기 제1 입력 수단에 의해 상기 조회 신호의 송신이 명령된 경우, 상기 조회 신호를, 상기 소정의 범위 내의 모든 상기 무선 통신 가능한 장치로 송신하는 제1 송신 수단을 구비하며,
    제2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것을 사용자가 허가하는 경우에 조작 입력을 받는 제2 입력 수단과,
    상기 제1 송신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조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제2 입력 수단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정보를 수수하는 것을 허가하는 것이 입력되고, 또한,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조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제2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소정의 정보는, 상기 조회 신호에 대한 조회 응답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소정의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접속 요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047001874A 2002-06-07 2003-05-26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970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66849 2002-06-07
JP2002166849A JP3862073B2 (ja) 2002-06-07 2002-06-07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PCT/JP2003/006505 WO2003105408A1 (ja) 2002-06-07 2003-05-26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798A true KR20050002798A (ko) 2005-01-10
KR100970299B1 KR100970299B1 (ko) 2010-07-16

Family

ID=2972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874A KR100970299B1 (ko) 2002-06-07 2003-05-26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7177595B2 (ko)
EP (4) EP2375708B1 (ko)
JP (1) JP3862073B2 (ko)
KR (1) KR100970299B1 (ko)
CN (1) CN1327661C (ko)
AU (1) AU2003235423A1 (ko)
WO (1) WO20031054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757B1 (ko) * 2001-02-13 2003-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링크 연결 무선 헤드셋 및 방법
JP3862073B2 (ja) * 2002-06-07 2006-12-2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320162A (ja) 2003-04-11 2004-11-11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無線通信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
JP2004320161A (ja) * 2003-04-11 2004-11-11 Sony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情報通信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
JP4025254B2 (ja) 2003-06-30 2007-12-19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接続方法及び電子機器
US20050130647A1 (en) * 2003-10-22 2005-06-1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Wireless la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program
US20060089174A1 (en) * 2004-04-29 2006-04-27 Tapwave, Inc.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a physical butt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8253693B2 (en) * 2005-02-17 2012-08-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capable of being operated within a network, network system, method of operating a device within a network, program eleme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4550636B2 (ja) * 2005-03-18 2010-09-22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登録方法及び登録プログラム
US7603083B2 (en) * 2005-09-06 2009-10-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ntrolling visibility of a wireless device in discoverable mode
US7796979B2 (en) * 2005-09-06 2010-09-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ntrolling visibility of a wireless device
DE602005007352D1 (de) * 2005-09-06 2008-07-17 Research In Motion Ltd Steuerung der Sichtbarkeit eines drahtlosen Kommunikationsgerätes im auffindbaren Modus
US7574361B2 (en) * 2005-09-30 2009-08-11 Motorola, Inc. Radio audio indicator
JP5055901B2 (ja) * 2005-10-26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型再生装置、関連情報通知方法および関連情報通知プログラム
GB2431813B (en) * 2005-10-28 2008-06-04 Eleanor Johnson Audio system
ATE542319T1 (de) * 2006-08-03 2012-02-15 Oticon As Verfahren und system zur visuellen funktionsanzeige von drahtlosen empfängern und ein drahtloser empfänger.
KR100735365B1 (ko) 2006-09-12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장치 간에 자동 연결 방법 및 그시스템
JP2008090747A (ja) * 2006-10-04 2008-04-17 Sony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方法
KR100782083B1 (ko) * 2006-10-11 200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소리 재생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JP4922812B2 (ja) * 2007-04-16 2012-04-25 三洋電機株式会社 通信方法ならびにそれを利用した端末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4874158B2 (ja) * 2007-04-16 2012-02-15 三洋電機株式会社 通信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端末装置
US8218785B2 (en) * 2008-05-05 2012-07-10 Sensimetrics Corporation Conversation assistant for noisy environments
US8364325B2 (en) 2008-06-02 2013-01-29 Adura Technologies, Inc. Intelligence in distributed lighting control devices
US7839017B2 (en) * 2009-03-02 2010-11-23 Adura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ical load
US20100114340A1 (en) * 2008-06-02 2010-05-06 Charles Huizenga Automatic provisioning of wireless control systems
US8275471B2 (en) 2009-11-06 2012-09-25 Adura Technologies, Inc. Sensor interface for wireless control
US8277113B2 (en) 2008-06-18 2012-10-02 Actamax Surgical Materials, Llc Adhesive dispenser apparatus having a mixing device with a corrugated conveying plate
CN101726738B (zh) * 2008-10-30 2012-12-26 日电(中国)有限公司 多目标定位系统以及基于功率控制的多路访问控制方法
KR101672455B1 (ko) * 2009-01-28 2016-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체 통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청음기 및 이를 위한 데이터 제어방법
US8775801B2 (en) * 2009-06-12 2014-07-08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imite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2011072583A (ja) * 2009-09-30 2011-04-14 Fujifilm Corp 超音波プローブ、および超音波診断システム
JP5521774B2 (ja) * 2010-05-25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9192019B2 (en) 2011-12-07 2015-11-17 Abl Ip Holding Llc System for and method of commissioning lighting devices
GB201205275D0 (en) 2012-03-26 2012-05-09 Soundchip Sa Media/communications system
DE102012106923A1 (de) * 2012-07-30 2014-01-30 Eaton Electrical Ip Gmbh & Co. Kg Schaltvorrichtung mit Funkmodul und Deaktivierungsfunktion
CN104010350B (zh) * 2013-02-22 2017-10-24 佳能株式会社 通信装置及其控制方法
USD772298S1 (en) 2015-08-28 2016-11-22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Combined wireless speaker and video recorder
US9277103B1 (en) * 2015-08-28 2016-03-01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Wireless speaker and digital camera
CN109074323A (zh) * 2016-03-07 2018-12-21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JP2019042215A (ja) * 2017-09-04 2019-03-22 株式会社トキノカンパニー グループ運動システム
US20200324446A1 (en) * 2019-04-14 2020-10-15 Building Envelope Materials LLC Injection controller with insulation component monitoring and verbal announcement of dispense-related information
CN113810884B (zh) * 2021-09-15 2022-08-09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连接方法、电子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0490A (en) 1973-10-01 1975-04-29 Lockheed Aircraft Corp Means and method for protecting and spacing clamped insulated wires
DE4121137C3 (de) 1990-04-14 1995-07-13 Alps Electric Co Ltd Verbindungseinrichtung mit einem nach Art einer Uhrfeder angeordnetem elektrischen Kabel
US5850573A (en) * 1990-08-16 1998-12-15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method for peripheral device in host computer connectable to a plurality of peripheral devices
US5246382A (en) 1992-03-02 1993-09-21 G & H Technology, Inc. Crimpless, solderless, contactless, flexible cable connector
CA2216881A1 (en) * 1995-04-04 1996-10-10 Ericsson, Inc. Mobile station user group operation
JP2738340B2 (ja) * 1995-05-11 1998-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アクセス通信方式
US5718601A (en) 1995-12-21 1998-02-17 Masters; Greg 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123933B2 (ja) * 1996-09-19 2001-01-15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EP0833405A1 (de) 1996-09-28 1998-04-01 Harting KGaA Steckverbindung für Koaxialkabel
JPH10136088A (ja) 1996-10-24 1998-05-22 Fuji Xerox Co Ltd 通信システム
FR2756978B1 (fr) 1996-12-06 1999-01-08 Radiall Sa Connecteur circulaire modulaire
JP3534597B2 (ja) 1997-12-12 2004-06-07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無線データ伝送方式
US6484027B1 (en) * 1998-06-15 2002-11-19 Sbc Technology Resources, Inc. Enhanced wireless handset, including direct handset-to-handset communication mode
US6339806B1 (en) * 1999-03-23 2002-0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mary bus to secondary bus multiplexing for I2C and other serial buses
US6323775B1 (en) * 1999-08-10 2001-11-27 Telefonaktiebolaget Im Ericsson (Publ)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ximity-based recharge notification
US6600902B1 (en) * 1999-10-22 2003-07-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ple link data object conveying method for conveying data objects to wireless stations
IT1315458B1 (it) * 1999-10-26 2003-02-11 Paolo Borlenghi Sistema di identificazione di un articolo personale,per esempio uncapo di abbigliamento,un accessorio o un apparecchio portatile
JP2001145163A (ja) * 1999-11-15 2001-05-25 Casio Comput Co Ltd 無線接続装置及び記録媒体
GB0007617D0 (en) 2000-03-29 2000-05-17 Psion Dacom Plc A short range radio transceiver device
US6792247B2 (en) * 2000-05-08 2004-09-14 Microtune (San Diego), Inc. Co-located frequency-agile system and method
US6708040B1 (en) * 2000-06-19 2004-03-16 Rajiv Laroia Link level support of wireless data
US6928263B2 (en) * 2000-06-26 2005-08-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ocal data delivery through beacons
MXPA01006905A (es) * 2000-07-10 2003-08-20 Scoreboard Inc COLECCION Y ANALISIS DE PROPAGACION DE SEnAL EN UN SISTEMA INALAMBRICO.
GB0023182D0 (en) * 2000-09-20 2000-11-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ow level mobility management procedures
JP2002101104A (ja) * 2000-09-21 2002-04-05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検索方法
ES2215017T3 (es) * 2000-10-16 2004-10-01 Alcatel Metodo y aparato para suministrar a un usuario de un terminal de comunicacion movil o a un grupo de usuarios un mensaje de informacion con informacion adaptada.
JP3558125B2 (ja) * 2000-10-17 2004-08-2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接続先特定方法
US7039391B2 (en) * 2000-11-28 2006-05-02 Xanboo,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device
US6826387B1 (en) * 2000-11-30 2004-11-30 Palmsource, Inc. Efficient service registration for legacy applications in a bluetooth environment
US6865371B2 (en) * 2000-12-29 2005-03-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devices via an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0395332B1 (ko) * 2001-02-09 2003-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무선장치를 구비한 통신 단말간의 링크 연결 방법
US8126982B2 (en) * 2001-02-16 2012-0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erforming service discovery in a pervasive network
FI113145B (fi) * 2001-05-03 2004-02-27 Nokia Corp Laitteen piilottaminen
US20020176579A1 (en) * 2001-05-24 2002-11-28 Deshpande Nikhil M. Location-based services using wireless hotspot technology
US6757520B2 (en) * 2001-06-26 2004-06-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serving sector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US7792484B2 (en) * 2001-07-05 2010-09-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rrangement and a method in a telephony system permitting communication using a stationary telephony terminal via a mobile radio telephone
US7233808B2 (en) * 2001-09-05 2007-06-19 Agere Systems Inc. Smart BLUETOOTH interface gateway to mate a non-BLUETOOTH wireless device with a BLUETOOTH headset
US7085532B2 (en) * 2001-10-26 2006-08-01 Nokia Corporation Accelerating a set-up procedure for wireless connections between devices
US7689225B2 (en) * 2002-01-28 2010-03-30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ormant mode support with paging
US6795421B1 (en) * 2002-02-12 2004-09-21 Nokia Corporation Short-range RF access point design enabling services to master and slave mobile devices
US20030162556A1 (en) * 2002-02-28 2003-08-28 Libes Michael A.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wireless-enabled devices
US6856789B2 (en) * 2002-04-02 2005-02-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luetooth paging with transmit power reduced according to channel metrics measured during inquiry process
JP3862073B2 (ja) * 2002-06-07 2006-12-2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3928489B2 (ja) * 2002-06-07 2007-06-1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機器
US7068165B2 (en) * 2002-06-21 2006-06-2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Environment setup system, electronic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program
US7574174B2 (en) * 2002-07-10 2009-08-11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 remote-page device
US7664463B2 (en) * 2005-08-17 2010-02-16 Mourad Ben Ayed Portable loss prevention system
KR100741325B1 (ko) * 2006-06-27 200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시스템에서 원격 명칭 획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75708A3 (en) 2014-09-10
EP2375708A2 (en) 2011-10-12
KR100970299B1 (ko) 2010-07-16
US20050020207A1 (en) 2005-01-27
US20070111739A1 (en) 2007-05-17
EP2760187A3 (en) 2017-01-11
WO2003105408A1 (ja) 2003-12-18
EP1513292A4 (en) 2008-02-20
AU2003235423A1 (en) 2003-12-22
EP2375708B1 (en) 2018-03-07
EP1513292B1 (en) 2012-05-02
EP3029965A1 (en) 2016-06-08
USRE44185E1 (en) 2013-04-30
JP3862073B2 (ja) 2006-12-27
EP2760187A2 (en) 2014-07-30
US7177595B2 (en) 2007-02-13
EP3029965B1 (en) 2018-03-14
US7356308B2 (en) 2008-04-08
EP2760187B1 (en) 2018-08-08
CN1327661C (zh) 2007-07-18
EP1513292A1 (en) 2005-03-09
JP2004015484A (ja) 2004-01-15
CN1547829A (zh) 2004-11-17
USRE45126E1 (en) 2014-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299B1 (ko)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US10521183B2 (en) Control terminal device and audio system control method that displays a source selection screen with an area image background
CN101292500B (zh) 提供歌曲播放列表的移动无线通信终端、系统、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JP5259788B2 (ja) ソングファイルの再生を管理するための移動無線通信端末、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20160295348A1 (en) Proximity and interface controls of media devices for media presentations
US20040063459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content data, and content reproducing method of reproducing content data using external device
EP1376572A2 (en) A set of electronic apparatuses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nic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US20140270698A1 (en) Proximity-based control of media devices for media presentations
JP200210110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検索方法
JP2004208171A (ja) 無線音響装置及び同装置における音声取得方法
EP1267523B1 (en) Extended user interface in a wireless headset
JP2008160646A (ja) 通信システム、電子機器および通信方法
JP2002082790A (ja)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通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を提供する媒体
JP2008124776A (ja) 電子機器
JP3737804B2 (ja) 通信機器及び通信接続方法
JP6747563B2 (ja) 無線lan機能を備えた録音再生装置及び共聴システム
JP2004236163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266968B2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スピーカ装置、映像表示装置、通信装置および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200401356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CN115696282A (zh) 立体声组网方法、电子设备、音频设备和存储介质
JP2002368846A (ja) メディア出力制御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KR20160076812A (ko) 오디오 출력장치
KR20160076811A (ko)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디오 출력 시스템
KR2016007681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오디오 출력 시스템
KR20020027102A (ko) 무선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정보 자동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