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383A -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383A
KR20050001383A KR1020040047277A KR20040047277A KR20050001383A KR 20050001383 A KR20050001383 A KR 20050001383A KR 1020040047277 A KR1020040047277 A KR 1020040047277A KR 20040047277 A KR20040047277 A KR 20040047277A KR 20050001383 A KR20050001383 A KR 20050001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o
methylsulfanyl
trimethoxy
formula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7464B1 (ko
Inventor
김명화
천광우
최재원
조보영
박상우
김광희
오병규
최종희
Original Assignee
제일약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약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약품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01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1/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 C07C321/22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having thi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39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nitrogen atoms being part of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 C07C323/40Y being a hydrogen or a carbon atom
    • C07C323/41Y being a hydrogen or an acyclic carbon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95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e.g. thi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81/00Compounds containing carbon and sulfur and having functional groups not covered by groups C07C301/00 - C07C33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1Amides;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1Amides; Imides
    • C07D213/82Amides; Imides in position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7/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7/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7/6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33/3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06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five-membered ring
    • C07C2601/08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five-membered ring the ring being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3/00Systems containing at least three condensed rings
    • C07C2603/02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 C07C2603/04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three rings
    • C07C2603/30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three ring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 C07C2603/34Benzoheptalenes; Hydrogenated benzoheptal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toms (AREA)
  • Furan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콜히친의 유도체로서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사이클릭 유도체는 암세포주에 대해서는 매우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고, 동물독성시험에서는 콜히친 또는 탁솔 주사제보다 독성이 현저히 감소되며, 종양 크기 및 종양 무게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HUVEC 세포에서 강력한 혈관신생억제작용을 나타내므로, 임상적으로 유용한 항암제, 항증식억제제 및 혈관신생억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TRICYCLIC DERIVATIVE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THEIR PREPARATION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에서 R1, R2, R3, R4및 X는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다)
콜히친은 슈도 알칼로이드(pseudo-alkaloid) 화합물로서, 항염증작용을 갖고 있어 류마치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치료에도 사용된다는 보고[임상잡지내과, 86, No.2, 342-345, 2000]가 있으며, 콜히친 및 치오콜히친 유도체는 근육이완 작용 및 항 염증작용을 나타내며 (US 5 973 204호, EP 0870761 A1호), 티오콜히코사이드(thiocolchicoside)는 골격근에 대한 경축 및 염증상태를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또한, 콜히친은 동물 이식 시험에서 이식된 장기에 단핵구(monocyte) 및 T 세포의 침윤(infiltration)을 억제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인 TNF-α, IL-1 및 IL-6의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면역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J. Am. Soc. Nephrol.,4(6), 1294-1299, 1993;Transplantation Proceedings, 32, 2091-2092, 2002] 면역억제제로 개발하는 연구(WO 02/100824)도 진행되고 있다.
콜히친(colchicine)은 세관(tubulin)과의 반응을 통하여 미세관 (microtubule)을 불안정화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써 세포분열을 억제한다[The Alkaloids, 1991, 41, 125-176; US 4 533 675호]. 이러한 콜히친은 통풍(gout) 및 그와 관련된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콜히친은 위장관 독성 및 제한적인 치료학적 지표(therapeutic index)로 인하여 그 사용이 급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로 제한되고 있다[Pharmacotherapy, 11, 3, 196-211, 1991].
또한, 콜히친 유도체를 항암제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US 3 222 253; US 00/6080739; WO 97/01570]가 진행되어 왔으나 현재까지 성공을 이루지 못하였고, 단지 데메콜친(demecolcine)만이 백혈병 치료제로 병원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데메콜친 역시 위장관 독성 및 제한적인 치료학적 지표(therapeutic index)는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독성을 감소시켜 안정된 치료학적 지표를 나타내고, 항암작용, 항증식억제작용 및 혈관신생억제작용이 우수한 콜히친 유도체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성을 감소시켜 안정된 치료학적 지표를 나타내고, 항암작용, 항증식억제작용 및 혈관신생억제작용이 우수한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인간폐암세포주인 NCI-H460 세포를 이식한 BALB/c 누드 마우스에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실시예 8)를 투여하였을때, 종양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인간폐암세포주인 NCI-H460 세포를 이식한 BALB/c 누드 마우스에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실시예 8)를 투여하였을때,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인간폐암세포주인 NCI-H460 세포를 이식한 BALB/c 누드 마우스에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실시예 12)를 농도별(1, 3, 10 ㎎/㎏)로 투여하였을때, 종양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인간폐암세포주인 NCI-H460 세포를 이식한 BALB/c 누드 마우스에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실시예 12)를 농도별(1, 3, 10 ㎎/㎏)로 투여하였을때,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인간폐암세포주인 NCI-H460 세포를 이식한 BALB/c 누드 마우스에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를 투여한 후, 14일째 되는 날 인간폐암세포주인 NCI-H460 세포를 분리하여 종양 크기를 사진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HUVEC세포에서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의 혈관형성 억제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상기 식에서
(1) R1은 화학식 -T1-B1이고;
상기에서 T1은 -X1-, -X1-C(X2)-, -N(R5)-, -N(R5)C(X2)-, -N(R5)S(O)n1-, -N(R5)C(O)-X1- 또는 -N(R5)C(X1)NH- 이고, 이 때 X1, X2는 각각 O 또는 S이고, R5는 각각 수소 또는 C1∼C5알킬기이고, n1은 1~2의 정수이고; B1은 다음 (a)∼(j)의 기중 하나에서 선택되고,
상기에서 R6과 R8은 각각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C1∼C3알콕시, 아미노,니트로, 시아노 또는 C1∼C3저급알킬기이고; R7과 R9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하이드록시, 메르캅토, -ONO, -ONO2또는 SNO이며, 이 때 R7과 R9은 같거나 다를 수 있고;
는 헤테로원자를 1~2개 포함하는 C5∼C6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이고, 이 때 상기 헤테로원자는 O, S 및 N에서 각각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위치 2번 및 6번 또는 2번 및 5번에 치환된 C1(피리딜기), 2번 및 5번 또는 2번 및 4번에 치환된 C7(피롤릴기), C11(티오페닐기) 또는 C12(푸라닐기)이며, 치환체의 결합은 대칭 및 비대칭 위치에 있을 수 있고; Z1은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를 갖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2∼C5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를 갖는 알킬이거나 치환기를 갖는 사이클로 알킬기이고; Z2와 Z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를 의미하며, 이 때 Z2가 메틸기일 때는 Z3는 수소이고, Z3가 메틸기일 때는 Z2가 수소이고; T2는 -X1- 또는 -X1-C(X2)- 이고, 이 때 X1, X2는 각각O나 S이고; B2는 상기 (a), (b), (c), (d) 또는 (e) 기중 하나에서 선택되고;n2는 0~3의 정수이고, n3는 0~5의 정수이고, n4는 1~5의 정수이고, n5와 n6는 각각 독립적으로 1~6의 정수이고;
(2) R2과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PO3H2, 포스포네이트, 설페이트, C3∼C7사이클로알킬, C2∼C7알케닐, C2∼C7알카이닐, C1∼C7알카노일, C1∼C7의 직쇄 또는 측쇄알킬 또는 당이고, 이 때 당은 글루크로닐, 글루코실 또는 갈락토실과 같은 단당류를 의미하고;
(3) R4는 OCH3, SCH3또는 NR10R11이고, 이 때 R10과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5알킬이고;
(4) X는 O 또는 S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에서
(1) R1은 화학식 -T1-B1이고;
상기에서 T1은 -N(R5)C(X2)-, -N(R5)C(O)-X1- 또는 -N(R5)C(X1)NH- 이고, 이 때 X1, X2는 각각 O 이고, R5는 각각 수소 또는 C1∼C5알킬기이고; B1은 다음 (a)∼(j)의 기중 하나에서 선택되고,
상기에서 R6과 R8은 각각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C1∼C3알콕시, 아미노, 니트로, 시아노 또는 C1∼C3저급알킬기이고; R7과 R9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하이드록시, 메르캅토(티올기), -ONO, -ONO2또는 SNO이며, 이 때 R7과 R9은 같거나 다를 수 있고;
는 헤테로원자를 1~2개 포함하는 C5∼C6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이고, 이 때 상기 헤테로원자는 O, S 및 N에서 각각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위치 2번 및 6번 또는 2번 및 5번에 치환된 C1(피리딜기), 2번 및 5번 또는 2번 및 4번에 치환된 C7(피롤릴기), C11(티오페닐기) 또는 C12(푸라닐기)이며, 치환체의 결합은 대칭 및 비대칭 위치에 있을 수 있고; Z1은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를 갖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2∼C5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를 갖는 알킬이거나 치환기를 갖는 사이클로 알킬기이고; Z2와 Z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를 의미하며, 이 때 Z2가 메틸기일 때는 Z3는 수소이고, Z3가 메틸기일 때는 Z2가 수소이고; T2는 -X1- 또는 -X1-C(X2)- 이고, 이 때 X1, X2는 각각 O나 S이고; B2는 상기 (a), (b), (c), (d) 또는 (e) 기중 하나에서 선택되고;n2는 0~3의 정수이고, n3는 0~5의 정수이고, n4는 1~3의 정수이고, n5와 n6는 각각 독립적으로 1~3의 정수이고;
(2) R2과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3∼C7사이클로알킬 또는 C1∼C7알킬이고;
(3) R4는 SCH3또는 OCH3이고;
(4) X는 O 또는 S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트리사이클릭 유도체는
1) 6-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니코틴아미드;
2) 5-니트로옥시메틸푸란-2-카르복실릭에시드-[(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
3) N-[(7S)-3-이소프로폭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4) N-[(7S)-3-에톡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5) 6-니트로옥시메틸피리딘-2-카르복실릭에시드-[(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
6) 5-니트로옥시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에시드-[(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
7) N-[(7S)-3-시클로펜틸옥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8) N-[(7S)-3-에톡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2-플루오로-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9) 2-플루오로-N-[(7S)-3-이소프로폭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0) 2-플루오로-3-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1) N-[(7S)-3-시클로펜틸옥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 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2-플루오로-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2) 3-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3) N-[(7S)-3-에톡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3-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4)3-플루오로-N-[(7S)-3-이소프로폭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5-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5) N-[(7S)-3-시클로펜틸옥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3-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6) 4-플루오로-3-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7) 2-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8) 3-하이드록시-5-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9) 3,5-bis-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20) 2-하이드록시-4-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21) 4-니트로옥시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에시드 [(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
22) 3-니트로옥시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에시드 [(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
23) 2-(3-니트로옥시메틸-페닐)-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세트아미드;
24)3-(2-니트로옥시-에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25) 3-니트로옥시벤조익에시드-5-[(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에스테르;
26) 4-니트로옥시부티릭에시드-5-[(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에스테르;
27) 3-니트로옥시메톡시벤조익에시드-6-[(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에스테르;
28) 4-니트로옥시부티릭에시드-6-[(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에스테르;
29)3-니트로옥시메틸벤조익에시드-2-[(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페닐에스테르;
30) 4-니트로옥시부티릭에시드-2-[(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페닐에스테르;
31)3-니트로옥시메틸벤조익에시드-3-[(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페닐에스테르;
32) 4-니트로옥시부티릭에시드-3-[(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페닐에스테르;
33)3-니트로옥시메틸벤조익에시드-3-[(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벤질에스테르;
34) 4-니트로옥시부티릭에시드-3-[(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벤질에스테르;
35) 2-니트로소티오-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36) 3-니트로소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
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37) 3-플루오로-5-니트로소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38) 3-니트로소티오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39) 3-플루오로-5-니트로소티오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40) 3-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N-[(7S)-1,2,3,10-테트라메톡시-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41) 3-니트로옥시메틸-N-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42) 3-플루오로-N-5-니트로옥시메틸-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43) 2-(3-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페닐)-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세트아미드; 또는
44) 2-(2-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페닐)-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세트아미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충분하게 염기성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산 부가염을 포함한다. 이러한 산 부가염은 할로겐화수소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제공하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을 보유하는 염들 또는 황산 또는 인산을 보유하는 염들,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릭산 또는 말레인산을 보유하는 염들을 포함한다. 적합한 염으로서는 염화수소염, 브롬화수소염, 인산염, 황산염, 알킬설포네이트염, 아릴설포네이트염, 아세트산염, 벤조산염, 시트릭산염, 말레일산염, 푸마르산염, 숙신산염, 락트산염 및 타타르산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충분하게 산성인 경우, 약학적으로 허용하는 염들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양이온을 제공하는 무기 염기 또는 유기염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염기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또는 마그네슘염 등이 포함되며, 상기 유기 염기로는 메틸아민염, 디메틸아민염, 트리메틸아민염, 피페리딘염또는 모르폴린염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사이클릭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사이클릭 유도체의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1 내지 반응식 8에 나타내며,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이 -T1-B1이고, B1이 상기 (a), (b), (c), (d), (e)의 기중 하나로 선택될 경우 반응식 1 내지 반응식 6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이 -T1-B1이고, B1이 상기 (f), (g), (h), (i), (j)의 기중 하나로 선택될 경우 반응식 7과 반응식 8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또한, 반응식 1 내지 반응식 8에서 화학식 1의 구체적인 화합물은 일반식 (IIa), (IIb), (IIc), (IId), (IIe), (IIf), (IIg), (IIh), (IIi), (IIj), (IIk), (IIl), (IIm), (IIn), (IIo) 및 (IIp)로 표시한다.
이 때, 상기 반응식에서 E는 각각 다음 E1~E6을 나타내며;
이때 X1,X2및 X3는 각각 O나 S이다.
상기 반응식에서 D는
이고, 이 때, R2, R3, R4및 X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5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을 나타내고, X1,X2또는 X3는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S를 나타내고, Hal1과 Hal2은 할로겐을 나타내고, 일반식(IV)과 (IX)의 Hal1과Hal2는 각각 같거나 다른 할로겐, 예를 들면 F, Cl, Br 또는 I를 나타내고; P는 메톡시메틸 또는 t-부틸디메틸실릴, 벤질과 같은 통상적인 하이드록시 보호기를 나타내고, Y와 Y'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다음 일반식 (a'), (b'), (c'), (d') 및 (e')을 나타내고,
이 때,, R6, R8, R9, Z1, Z2, Z3, n2, n3, n4, n5및 n6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n7및 n8은 1~2의 정수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방법 1)
화학식(IIa) 및 (IIb)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 1에 따르면, 제 1단계로 화학식(III)의 아민화합물과 화학식(IV)의 할로겐화합물을 반응시키는 일반적인 아미드화반응(amidation reaction)에 의하여 화학식(V)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 반응은 염기를 사용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아미드화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염기인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이소프로필아민 또는 N-메틸모르폴린 등의 존재 하에서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톨루엔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가온 하에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수행한다.
제 2단계에서는 제 1단계에서 생성된 화학식(V)의 화합물을 니트로화 반응 (nitration reaction)을 이용하여 화학식(IIa)의 니트로옥시 화합물(n7이 2인 경우)과 니트로소화 반응(nitrosation-reaction)을 이용하여 화학식(IIa)의 니트로소옥시화합물(n7이1인 경우)로 각각 전환시킨다. 니트로화 반응은 일반적으로 할로겐을 니트로화 반응시킬 수 있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질산은 (AgNO3), t-부틸암모늄 니트레이트(Bu4NNO3)등을 사용하여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클로로포름, 아세토니트릴, 아세토니트릴과 수용액의 혼합용액, 디클로로메탄 등의 존재 하에 수행한다. 니트로소화 반응은 일반적으로는 할로겐을 니트로소화 시킬 수 있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질산은 (AgNO2), 아질산 나트리움(NaNO2)등을 사용하여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클로로포름, 아세토니트릴, 아세토니트릴과 수용액의 혼합용액, 수용액 및 디클로로메탄 등의 존재 하에서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일반적으로 냉온 내지 가온 하에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수행한다.
화학식(IIa)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또 다른 방법은 화학식(III)의 화합물을화학식(V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VII)의 화합물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화학식(V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a)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III)과 화학식(VI)의 화합물의 반응 조건은 커플링 시약(coupling reagent)인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디이미드(1-(3-dimethylaminopropyl)-3-ethylcarbodiimide, EDCI),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하이드레이트(1-hydroxybenzotriazole hydrate, HOBT) 또는 1,3-디사이클로헥실 카보디이미드(1,3-dicyclohexyl carbodiimide, DCC)등의 존재 하에 반응시킨다. 이 반응은 염기를 사용하지 않고 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나, 아미드화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염기인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이소프로필아민, N-메틸모르폴린 또는 디메틸페닐아민 등의 존재 하에서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클로로메탄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가온 하에 수행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냉온 또는 상온에서 수행한다. 또한, 화학식(VII)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알콜을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 PPh3), N-브로모 숙신이미드(N-bromo succineimide, NBS)와 질산은 또는 아질산은과 반응시켜 직접 화학식(IIa)의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이 때 사용되는 용매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클로로포름,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니트릴과 디클로로메탄의 혼합용액 등의 존재 하에 수행할 수 있으며,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상온 하에 수행한다. 화학식(V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a)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또 다른 방법은 화학식(VII)의 화합물을 할로겐 화합물인 화학식(V)의 화합물로 전환시킨 후 화학식(IIa)의 화합물로 전환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이 때 할로겐 화합물의 전환은 일반적으로 하이드록시기를 할로겐으로 전환시키는 시약인 트리브로모 포스핀, 테트라브로모 메탄 등을 이용하여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클로로포름,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등의 존재 하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상온 하에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방법 1의 화학식(IIb)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화학식(VII)의 알콜의 수소를 메실레이트, 토실레이트 또는 트리프레이트 같은 이탈기(leaving group)로 전환시킨 후 포타슘티오아세테이트와 반응시켜 티오아세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만든 후 염기의 존재 하에 가수분해시켜 화학식(VIII)의 화합물을 합성한다. 이 때 사용되는 염기는 에스테르 화합물을 가수분해할 수 있는 일반적인 염기인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소듐 티오메톡사이드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하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콜 용액을 사용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가온 하에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냉온 또는 상온에서 수행한다. 화학식(VIII)의 화합물을 산 조건에서 아질산 나트륨과 반응시켜 화학식(IIb)의 니트로소티오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이 때 사용되는 용매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메탄올,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아세토니트릴과 수용액의 혼합용액 또는 디클로로메탄 등의 존재 하에서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가온 하에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수행한다.
(방법 2)
화학식(IIc) 및 (IId)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 2에 따르면, 우선 제 1단계에서는 화학식(III)의 화합물을 화학식(IX)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X)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는 방법 1의 화학식(III)의 화합물을 화학식(V)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아미드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한다.
제 2단계에서는 제 1단계에서 생성된 화합물(X)을 사용하여 니트로화 및 니트소화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IIc)의 화합물을 합성한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는 방법 1의 화학식(V)의 화합물을 화학식(IIa)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으로 반응을 수행한다.
화학식(IIc)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또 다른 방법은 화학식(III)의 화합물을 화학식(X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XII)의 화합물을 생성시키고, 이 화학식(X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c)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III)과 화학식(XI)의 화합물의 반응조건은 방법 1의 화학식(III)의 화합물을 화학식(V)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아미드화 반응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행한다. 화학식(X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c)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은 방법 1의 화학식 (V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a)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한다.
화학식(XII)의 화합물을 화학식 (IId)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는 방법 1의 화학식(V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b)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한다.
(방법 3)
화학식(IIe) 및 (IIf)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 3에 따르면, 우선 제 1단계에서 화학식(XIV)의 화합물과 화학식(IV)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XV)의 화합물을 생성시킨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는 알콜(X2=O)나 티오알콜 (X2=S)과 아실 또는 티오아실 할라이드와의 에스테르화 반응(esterification reaction)으로 일반적인 에스테르화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염기의 존재 하에서 수행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염기는 피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이소프로필아민, 2,6-루티딘, 소디움히드리드 (NaH), 탄산세시움 또는 수산화나트륨이 있고, 벤질트리에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와 같은 상 전이촉매(phase transfer catalyst)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의 존재 하에서 수행하며,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예로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토니트릴 또는 수용액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가온 하에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수행한다.
제 2단계에서는 제 1단계에서 생성된 화학식(XV)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니트로화 반응 및 니트로소화 반응을 이용하여 화학식(IIe)의 화합물을 생성시킨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는 방법 1의 화학식(V)의 화합물을 화학식(IIa)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반응과 같은 조건으로 수행한다.
화학식(IIe)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또 다른 방법은 화학식(XIV)의 화합물을 알콜기에 보호기를 갖는 화학식(V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XVII)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탈보호반응 후 화학식(XVIII)의 화합물을 만들어 화학식(IIe)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합성한다. 이 때 화학식(XIV)의 화합물과 화학식(VI')의 화합물의 반응조건은 일반적인 알콜(X2=O)이나 티오알콜(X2=S)과 카르복실 산 또는 티오카르복실 산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진행하는데, 이 때 반응 조건은 염산, 황산, 도데실벤젠설포닉 산 또는 p-톨루엔설포닉 산 등의 산을 사용하여 수용액 상에서 상온 또는 가온 하에서 수행하거나, 방법 1의 화학식(III)의 화합물을 화학식(VII)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동일한 조건으로 수행한다. 또 다른 에스테르화 반응은 트리페닐포스핀과 디에틸 아조디카복실레이트를 사용하는 미즈노브 반응 (Misunobu reaction)을 이용하여 수행하는데, 이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의 존재 하에서 수행되며,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예로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톨루엔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이 때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냉온 내지 상온에서 수행한다. 알콜기의 보호반응과 탈보호 반응은 일반적인 유기합성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진행한다.
또한, 화학식(XVIII)의 화합물은 화학식(XIV)의 화합물과 화학식(XVI)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으며, 이 반응은 방법 3의 화학식(XIV)의 화합물을 화학식(XV)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행한다.
화학식(XVI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e)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은 방법 1의 화학식(V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a)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행한다.
화학식(XVIII)의 화합물을 화학식 (IIf)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는 방법 1의 화학식(V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b)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한다.
(방법 4)
화학식(IIg) 및 (IIh)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 4에 따르면, 우선 제 1단계에서는 화학식(III)의 화합물과 화학식(XX)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XXI)의 화합물을 생성시킨다.
화학식(IIg)의 화합물이 설피닐아미드(n8이1인 경우)인 경우, 화학식(III)의 화합물과 화학식(XX)의 설피닐할라이드의 반응은 염기를 사용하지 않고 반응을수행하거나, 아미드화 반응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염기인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이소프로필아민, N-메틸모르폴린 또는 디메틸페닐아민 등의 존재 하에서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톨루엔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가온 하에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수행한다.
화학식(IIg)의 화합물이 설포닐아미드(n8이2인 경우)인 경우, 화학식(III)의 화합물과 화학식(XX)의 설포닐할라이드의 반응은 염기를 사용하지 않고 반응을 수행하거나 아미드화 반응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염기인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이소프로필아민, N-메틸모르폴린, 소디움하이드록시드, 소디움카보네이트 또는 포타시움카보네이트 등의 존재 하에서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톨루엔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가온 하에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수행한다.
제 2단계에서는 제 1단계에서 생성된 화학식(XXI)의 화합물을 화학식(IIg)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데 방법 1의 화학식(V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a)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조건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화학식(XXI)의 화합물을 화학식(IIh)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는 방법 1의 화학식(V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b)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조건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방법 5)
화학식(IIi) 및 (IIj)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 5에 따르면, 제 1단계에서는 화학식(III)의 화합물과 알콜기에 보호기를 갖는 화학식(XXIII)의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탈보호반응 후 화학식(XXIV)의 화합물을 만들어 화학식(IIi)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합성한다. 이 때 화학식(III)의 화합물과 화학식(XXIII)의 화합물의 반응은 커플링 시약인 카보닐 디클로라이드, 트리포스젠, 디-t-부틸 디카보네이트 또는 1,1'-카보닐 디이미다졸 등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이 반응은 염기를 사용하지 않고 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아미드생성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염기인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이소프로필아민, N-메틸모르폴린 또는 디메틸페닐아민 등의 존재 하에서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에탄올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상온에서 수행한다. 그리고 탈보호 반응은 일반적인 유기합성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진행한다.
제 2단계에서는 제 1단계에서 생성된 화학식(XXIV)의 화합물을 화학식(IIi)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데, 방법 1의 화학식(V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a)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조건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화학식(XXIV)의 화합물을 화학식(IIj)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은 방법 1의 화학식(V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b)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조건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방법 6)
화학식(IIk) 및 (IIl)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 6에 따르면, 제 1단계에서는 화학식(III)의 화합물과 알콜기에 보호기를 갖는 화학식(XXVI)의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탈보호반응 후 화학식(XXVII)의 화합물을 생성시킨 다음 화학식(IIk)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합성한다. 이 때 화학식(III)의 화합물과 화학식(XXVI)의 화합물의 반응은 염기를 사용하지 않고 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아미드화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염기인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이소프로필아민 또는 N-메틸모르폴린 등의 존재 하에서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벤젠, 아세토나이트릴 등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상온에서 수행한다. 이 때, 알콜기의 보호반응과 탈보호 반응은 일반적인 유기합성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진행한다.
제 2단계에서는 제 1단계에서 생성된 화학식(XXVII)의 화합물을 화학식 (IIk)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데, 방법 1의 화학식(V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a)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조건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화학식(XXV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l)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는방법 1의 화학식(V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b)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조건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방법 7)
화학식(IIm) 및 (IIn)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 7은 화학식(XXIX)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방법 3과 동일한 합성법으로 수행한다.
(방법 8)
화학식(IIo) 및 (IIp)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 8 에 따르면, 제 1단계에서는 화학식(XXIX)의 화합물을 화학식(IX')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XXXIV)의 화합물을 생성시킨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알콜(X2=O)이나 티오알콜(X2=S)과 알킬할라이드와의 에테르화반응으로 에테르 생성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염기의 존재 하에 수행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염기의 예로는 소디움히드리드(NaH), t-포타시움 부톡시드(t-BuOK), n-부틸리치움 (n-BuLi),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벤질트리에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와 같은 상 전이촉매(phase transfer catalyst), 또는 크라운 에테르(crown ether)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의 존재 하에서 수행하며,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예로는 디크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미드, 수용액, 디메틸 설프옥시드 또는 벤젠등이 있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가온 하에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냉각 내지 상온에서 수행한다.
제 2단계에서는 제 1단계에서 생성된 화합물(XXXIV)을 사용하여 니트로화 또는 니트로소화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IIo)의 화합물을 합성한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는 방법 1의 화학식(V)의 화합물을 화학식(IIa)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으로 반응을 수행한다.
화학식(IIo)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또 다른 방법은 화학식(XXIX)의 화합물과 알콜이 보호기를 갖는 화학식(XI')의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탈보호반응 후 화학식(XXXV)의 화합물을 생성시키고, 이 화학식(XXXV)의 화합물을 화학식(IIo)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XXIX)의 화합물을 화학식(X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XXXV)과의 방법 8의 화학식(XXIX)의 화합물을 화학식(XXXIV)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에테르 생성 반응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한다.
화학식(XXXV)의 화합물을 화학식(IIo)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은 방법 1의 화학식(V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a)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반응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화학식(XXXV)의 화합물을 화학식(IIp)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은 방법 1의 화학식(VII)의 화합물을 화학식(IIb)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한다.
상기 반응식에서 생성된 목적 화합물들은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면 컬럼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암세포주에 대해서는 매우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고, 동물독성시험에서는 콜히친 또는 탁솔 주사제보다 독성이 현저히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는 인간폐암세포주인 NCI-H460 세포를 이식한 BALB/c 누드 마우스에 투여한 경우, 종양 크기 및 종양 무게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투여용량이 높을수록 종양 크기 및 종양 무게는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는 HUVEC세포에서 강력한 혈관신생억제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항암제, 항증식억제제 및 혈관신생억제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일일 투여량은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가 3~30㎎/㎏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7-데아세틸콜히친(7-deacetylcolchicine)은 문헌 [EP 0493064; Synthetic Communications 1997, 27(2), 293-296]의 방법에 의하여 합성하였다.
7-아미노-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6,7-디하이드로-5H-벤조[a]-헵타렌-9-온은 문헌(WO 9421598;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Vol 5, No. 12, pp 2277-2282, 1997)의 방법에 의하여 합성하였다.
치오데메콜신은 참고문헌(J. Med. Chem, 1985, 28, 1204-1208)에 의하여 합성하였다.
(7S)-7-아미노-3-시클로펜틸옥시-1,2-디메톡시-10- 메틸설파닐-6,7-디하이드로-5H-벤조[a]헵타렌-9-온, (7S)-7-아미노-3-이소프로폭시-1,2-디메톡시-10- 메틸설파닐-6,7-디하이드로-5H-벤조[a]헵타렌-9-온, (7S)-7-아미노-3-에톡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6,7-디하이드로-5H-벤조[a]헵타렌-9-온은 참고문헌(WO 9611184)에 의하여 합성하였다.
<실시예 1> 6-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니코틴아미드의 합성
(단계 1)6-하이드록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니코틴아미드의 합성
6-하이드록시메틸-니코틴 산은 참고문헌(Bioorg. Med. Chem. Lett, 1996,6, 3025-3028)에 의하여 합성하였다.
7-아미노-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6,7-디하이드로-5H-벤조[a]-헵타렌-9-온(300mg, 0.80mmol)과 6-히드록시메틸니코틴 산(135mg, 0.88mmol), DMAP(60mg, 0.48mmol)을 아세토나이트릴 10ml에 용해시키고, 0℃로 낮춘 다음 EDCI(308mg, 1.60mmol)를 적가하였다. 이를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다음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8: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44mg, 수율: 60%,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2.07-2.15(m, 1H), 2.31-2.44(m, 2H), 2.45(s, 3H), 2.56-2.59(m, 1H), 3.75(s, 3H), 3.91(s, 3H), 3.97(s, 3H), 4.66(q, J=10.2Hz, 2H), 4.90-4.93(m, 1H), 6.56(s, 1H), 7.13(t, J=9.1Hz, 2H), 7.40(d, J=10.2Hz, 1H), 7.52(s, 1H), 8.15(dd, J=2.2, 5.8Hz, 1H), 8.80(d, J=6.9Hz, 1H), 8.96(s, 1H)
(단계 2)6-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니코틴아미드의 합성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0mg, 0.19mmol)과 트리페닐포스핀(57mg, 0.21mmol)을 아세토나이트릴/디클로로메탄 (1.25ml/0.5ml)에 용해시키고 -35℃로 낮춘 다음 NBS(42mg, 0.23mmol)를 적가하여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여기에 질산은(40mg, 0.23mmol)을 천천히 적가하고, 상온으로 천천히 올린 다음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로 반응을 종결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 농축하여 잔여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8mg, 수율: 35%, 노란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2.09-2.13(m, 1H), 2.31-2.43(m, 2H), 2.46(s, 3H), 2.55-2.64(m, 1H), 3.75(s, 3H), 3.91(s, 3H), 3.97(s, 3H), 4.93-4.98(m, 1H), 5.50(s, 2H), 6.56(s, 1H), 7.16(t, J=10.9Hz, 1H), 7.26(d, J=8.8Hz, 1H), 7.40(d, J=10.6Hz, 1H), 7.59(s, 1H), 8.27(dd, J=2.2, 5.8Hz, 1H), 8.77(d, J=7.3Hz, 1H), 9.08(s, 1H)
<실시예 2~4>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는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필요한 중간체는 아래의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중간체 1) 5-하이드록시메틸푸란-2-카르복실릭 엑시드는 (Helv. Chim. Acta,1926,9, 1068)에 의하여 합성하였다.
(중간체 2) 3-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의 합성
이소프탈릭에시드 디에틸에스테르(9.100g, 40.95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ml)에 용해시키고 리튬보로하이드라이드(11.26ml, 22.52mmol, 2M 테트라하이드로푸란용액)를 천천히 적가하여 3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물로 종결하고 0℃ 에서 1N 염산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2:1)로 정제하여 3-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 에틸에스테르(5.76g, 반응수율: 77.1%, 무색액체)를 얻었다.
위에서 생성된 에스테르 화합물(1.317g, 7.311mmol)을 에탄올(6ml)에 용해시키고 2N 수산화나트륨(11.0ml, 21.93mmol) 수용액을 천천히 적가하여 1시간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 염산 수용액으로 중화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씻어주었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메틸알콜=5:1)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1.03g, 수율: 92.8%, 흰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3OD): δ4.66(s, 2H), 7.44(t,J=7.7Hz, 1H), 7.58(d,J=7.7Hz, 1H), 7.92(d,J=7.7Hz, 1H), 8.04(s, 1H)
<실시예 2> 5-니트로옥시메틸푸란-2-카르복실릭에시드-[(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
1H NMR (400MHz, CDCl3): δ2.37-2.51(m, 3H), 2.46(s, 3H), 2.61-2.92(m, 1H), 3.74(s, 3H), 3.93(s, 3H), 3.98(s, 3H), 4.82-4.85(m, 1H), 4.85(d, J=13.2Hz, 1H), 4.90(d, J=13.2Hz, 1H), 6.39(s, 1H), 6.58(s, 1H), 6.64(s, 1H), 7.16(d, J=10.6Hz, 1H), 7.42(d, J=10.2Hz, 1H), 7.72(s, 1H), 8.99(s, 1H)
<실시예 3> N-[(7S)-3-이소프로폭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H NMR (400MHz, CDCl3): δ1.42(t, J=6.6Hz, 6H), 2.22-2.27(m, 1H), 2.34-2.49(s, 2H), 2.54-2.57(m, 1H), 3.75(s, 3H), 3.96(s, 3H), 4.59-4.63(m, 1H), 4.93-4.97(m, 1H), 5.23(q, J=13.0Hz, 2H), 6.56(s, 1H), 7.15(d, J=10.6Hz, 1H), 7.18-7.25(m, 1H), 7.33(d, J=8.0Hz, 2H), 7.46(d, J=10.2Hz, 1H), 7.64(s, 1H),7.71(d, J=8.0Hz, 1H), 7.88(s, 1H), 8.40(s, 1H)
<실시예 4> N-[(7S)-3-에톡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H NMR (400MHz, CDCl3): δ1.49(t, J=6.9Hz, 3H), 2.17-2.24(m, 1H), 2.34-2.47(m, 2H), 2.45(s, 3H), 2.49-2.58(m, 1H), 3.75(s, 3H), 3.97(s, 3H), 4.12-4.15(m, 2H), 4.89-4.96(m, 1H), 5.24(q, J=12.0Hz, 2H), 6.56(s, 1H), 7.15(d, J=10.2Hz, 1H), 7.21-7.25(m, 1H), 7.31-7.35(m, 1H), 7.41(d, J=10.6Hz, 1H), 7.60(s, 1H), 7.71(d, J=7.3Hz, 1H), 7.78(s, 1H), 8.23(s, 1H)
<실시예 5> 6-니트로옥시메틸피리딘-2-카르복실릭에시드-[(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의 합성
(단계 1) 6-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2-카르복실릭에시드-[(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의 합성
6-하이드록시메틸 피리딘-2-카르복실릭엑시드(23mg, 0.17mmol)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표제 화합물(35mg, 수율: 53%,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2.45(s, 3H), 2.33-2.50(m, 3H) 2.52-2.73(m, 1H), 3.75(s, 3H), 3.92(s, 3H), 3.97(S, 3H), 4.28(d,J=14Hz, 1H), 4.44(d,J=14Hz, 1H) 4.86-4.92(m, 1H), 6.57(s, 1H), 7.13(d,J=10.4Hz, 1H), 7.37-7.48(m, 4H), 7.73(s, 1H), 9.80(d,J=8Hz, 1H)
(단계 2) 6-브로모메틸피리딘-2-카르복실릭에시드-[(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50mg, 0.098mmol)을 디클로로메탄 6ml에 용해시키고 0℃에서 트리브로모포스핀(PBr3,0.005ml, 0.05mmol)을 천천히 적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로 종결하고 용매를 감압 농축한 다음 잔여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99: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0mg, 수율: 71%,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2.06-2.14(m, 1H), 2.33-2.41(m, 1H), 2.41(s, 3H), 2.46-2.54(m, 1H) 2.58-2.63(m, 1H), 3.72(s, 3H), 3.90(s, 3H), 3.95(S, 3H), 4.55(d,J=2.8Hz, 2H), 4.77-4.83(m, 1H), 6.57(s, 1H), 7.04(d,J=10.4Hz, 1H), 7.29(s, 1H), 7.31(d,J=10.4Hz, 1H), 7.58(d,J=7.6Hz, 1H), 7.78(t,J=7.6Hz, 1H), 7.90(d,J=8.0Hz, 1H), 8.53(d,J=7.6Hz, 1H)
(단계 3) 6-니트로옥시메틸피리딘-2-카르복실릭에시드-[(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의 합성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40mg,0.070mmol)을 아세토니트릴 3ml에 용해시키고 질산은(23mg, 0.14mmol)을 적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종결된 반응 혼합물을 물로 씻어주고 감압 농축한 후, 잔여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클로로포름:메탄올=99: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7mg, 수율: 44.7%,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2.03-2.10(m, 1H), 2.33-2.41(m, 1H), 2.43(s, 3H), 2.46-2.54(m, 1H) 2.58-2.65(m, 1H), 3.73(s, 3H), 3.92(s, 3H), 3.95(S,3H), 4.77-4.83(m, 1H), 5.63(d,J=3.2Hz, 2H), 6.58(s, 1H), 7.06(d,J=10.4Hz, 1H), 7.27(s, 1H), 7.31(d,J=10.4Hz, 1H), 7.53(d,J=7.6Hz, 1H), 7.88(t,J=8.0Hz, 1H), 8.02(d,J=7.2Hz, 1H), 8.39(d,J=7.2Hz, 1H)
<실시예 6~24>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24는 상기 실시예 5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필요한 중간체는 아래의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중간체 3) 6-하이드록시메틸 피리딘-2-카르복실릭엑시드의 합성
6-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2-카르복실릭에시드 에틸에스테르(200mg, 1.1mmol) (J. Amer. Chem. Soc, 1982, 104, 2251-2257)를 메탄올 1ml에 용해시키고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ml을 적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종결된 반응 혼합물을 2N 염산으로 산성화(pH=3)하고 용매를 감압 농축한 다음 메탄올에 녹여서 여과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150mg, 수율: 89%, 흰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3OD): δ5.05(s, 2H), 8.34(d,J=8.0Hz, 1H), 8.47(d,J=8.0Hz, 1H) 8.73(d,J=8.0Hz, 1H)
(중간체 4): 5-하이드록시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에시드의 합성
티오펜-2,5-디카르복실릭에시드(4g, 23.3mmol)를 메탄올(300ml)에 용해시키고 촉매량의 황산을 적가하여 가열 환류하여 티오펜-2,5-디카르복실릭에시드 디메틸에스테르(3.8g, 반응수율: 81.7%, 흰색고체)를 얻은 후 질소하 실온에서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ml에 티오펜-2,5-디카르복실릭에시드 디메틸에스테르(3.7g, 18.84mmol)를 녹인 후 0℃에서 2.0M 리티윰보로하이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5.5ml, 11mmol)을 적가하여 3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여 5-하이드록시-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에시드 메틸에스테르(2.1g, 반응수율: 64.7%, 흰색고체)를 얻었다. 5-하이드록시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에시드 메틸 에스테르(2.1g, 12.2mmol)를 메탄올(20ml)에 용해시키고 2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15ml)을 적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표제화합물(1.75g, 수율: 89%, 흰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3.90(Br, 1H), 4.79(d,J=0.8Hz, 2H), 6.97(d,J=4Hz, 1H), 7.66(d,J=4Hz, 1H)
(중간체 5) 2-플루오로-3-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의 합성
2-플루오로이소프탈릭에시드(3g, 16.3mmol) (J. Amer. Chem. Soc.,1943, 65, 2308)를 메탄올 150ml에 용해시키고 촉매량의 황산을 적가 하여 가열 환류 하였다. 종결된 반응 혼합물의 용매를 감압 농축하여 제거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유기용매층을 포화 탄산나트륨으로 씻어준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헥산=1:2)하여 2-플루오로-이소프탈릭에시드 디메틸에스테르(3.1g, 반응수율: 88%, 흰색고체)를 얻은 후 질소하 실온에서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ml에 티오펜-2,5-디카르복실릭에시드 디메틸에스테르(3.1g, 14.6mmol)를 녹인 후 0℃에서 2.0M 리튬보로하이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4.4ml, 8.7mmol)을 적가하여 3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종결된 반응혼합물을 1N 염산 수용액으로 산성화하여 감압 농축하고 용매를 제거한 다음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한 다음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99:1)하여 2-플루오로-3-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 메틸에스테르(1.5g, 반응수율: 58%, 흰색고체)를 얻었다. 2-플루오로-3-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 메틸에스테르(1.3g, 7.6mmol)를 메탄올(20ml)에 용해시키고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14ml)을 적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종결된 반응혼합물을 2N 염산으로 산성화(pH=3)하고 용매를 감압 농축한 다음 메탄올에 녹여서 여과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표제화합물(1.15g, 수율: 88%, 흰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4.58(d,J=5.2Hz, 2H),5.37(t,J=5.2Hz, 1H) 7.28(t,J=8Hz, 1H), 7.68(t,J=8Hz, 1H), 7.74(t,J=8Hz, 1H)
(중간체 6) 3-플루오로-5-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의 합성
(단계 1):3-플루오로-5-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5-플루오로이소프탈릭에시드 디메틸에스테르(1.6g, 7.54mmol) (J. Org. Chem; 1969, 34, 1960-10-1961)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15ml)에 용해시키고 0℃에서 2.0M 리튬보로하이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2.6ml, 5.27mmol)을 적가하여 3시간 동안 환류 하였다. 종결된 반응 혼합물을 1N염산 수용액으로 산성화하여 감압 농축하고 용매를 제거한 다음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99:1)하여 표제화합물(800mg, 수율: 57%, 흰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3.92(d,J=1.6Hz, 3H), 4.75(d,J=4Hz, 2H),7.29-7.32(m, 1H), 7.61(dd,J=9.2, 1.6Hz, 1H), 7.8(d,J=0.8Hz, 1H)
(단계 2): 3-플루오로-5-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중간체 3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표제 화합물(1.6g, 수율: 94%, 흰색고체)을 얻었다.
1H NMR(400MHz, CD3OD): δ4.66(d,J=0.8Hz, 2H), 7.33-7.36(m, 1H), 7.56-7.59(m, 1H), 7.83-7.84(m, 1H)
(중간체 7) 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의 합성
(단계 1): 4-플루오로이소프탈릭에시드의 합성
4-플루오로-3-메틸벤조익에시드(2.52g, 16.346mmol)와 과망간산칼륨(10.33g, 65.382mmol)를 수용액(300ml)에 용해시키고 1일 동안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상온으로 낮춘 다음 진한 염산을 적가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가열하여 완전히 녹인 후 다시 상온으로 낮추어 고체를 여과하여 표제화합물(2.08g, 수율: 69.1%, 흰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3OD): δ7.32(dd,J=10.4, 8.6Hz, 1H), 8.21-8.25(m, 1H), 8.59(dd,J=7.0, 2.4Hz, 1H)
(단계 2): 4-플루오로-이소프탈릭에시드 디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2.08g, 11.29mmol)을 메탄올(30ml)에 용해시킨 후 진한 황산을 10방울 적가하였다. 이 반응용액을 1일 동안 환류시킨 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키고 클로로포름용액으로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 농축하여 표제화합물(2.21g, 수율: 92.2%, 흰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3.96(s, 3H), 3.97(s, 3H), 7.22(dd,J=10.3, 8.8Hz, 1H), 8.20-8.23(m, 1H), 8.64(dd,J=7.0, 2.2Hz, 1H)
(단계 3): 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 메틸에스테르와 2-플루오로-5-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104.5mg, 0.493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용액(4ml)에 녹인 후 2M 리티윰보로하이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0.123ml, 0.246mmol)을 적가하고 1일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을 물로 종결시킨 후 0℃에서 1M 염산용액으로 pH를 5로 맞춘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용액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고 관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아세테이트=2:1)하여 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 메틸에스테르(45.4mg, 반응수율: 50.1%, 무색액체)와 2-플루오로-5-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 메틸에스테르(15.4mg, 반응수율: 17.0%, 무색액체)을 얻었다.
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 메틸에스테르:
1H NMR (400MHz, CDCl3): δ2.73(t,J=5.1Hz, 1H), 3.90(s, 3H), 4.78(d,J=5.1Hz, 2H), 7.07(dd,J=9.2, 9.2Hz, 1H), 7.93-7.97(m, 1H), 8.14(dd,J=7.1, 2.2Hz, 1H)
2-플루오로-5-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 메틸에스테르:
1H NMR (400MHz, CDCl3): δ1.96(t,J=4.4Hz, 1H), 3.94(s, 3H), 4.70(d,J=4.4Hz, 2H), 7.13(dd,J=10.6, 8.4Hz, 1H), 7.52-7.56(m, 1H), 7.92(dd,J=7.0, 2.2Hz, 1H)
(단계 4): 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의 합성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화합물(1.074g, 5.380mmol)을 제외하고는 중간체 3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표제화합물(0.906g, 수율: 91.3%, 흰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3OD): δ4.69(s, 2H), 7.13(dd,J=9.9, 8.8Hz, 1H), 7.90-7.97(m, 1H), 8.16(dd,J=7.3, 2.2Hz, 1H)
(중간체 8) 2-플루오로-5-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의 합성
상기 중간체 7의 단계 3에서 얻어진 2-플루오로-5-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 메틸에스테르로부터 중간체 3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4.61(s, 2H), 7.17(dd,J=11.0, 8.4Hz, 1H), 7.55-7.59(m, 1H), 7.93(dd,J=7.1, 2.4Hz, 1H)
(중간체 9) 3-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의 합성
0℃, 질소하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20ml)에 5-하이드록시이소프탈릭에시드 메틸에스테르 (300mg, 1.42mmol)를 녹인 후 리튬알루미늄하이드리드(30mg, 0.7mmol)을 넣어주었다. 온도를 실온으로 올리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넣어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1N 염산 수용액으로 씻어주었다.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20:1)로 정제하였다. 위에서 얻은 3-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 메틸에스테르(170mg, 0.93mmol)를 메탄올(1ml)에 용해시키고 1N수산화나트륨 수용액(1ml)을 적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종결된 반응 혼합물을 2N염산으로 산성화(pH=3)하고 용매를 감압 농축한 다음 메탄올에 녹여서 여과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표제화합물(150mg, 수율: 96%, 흰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3OD): δ3.87(s, 3H), 4.57(s, 2H), 7.02(s, 1H), 7.31(s, 1H), 7.48(s, 1H)
(중간체 10) 3,5- bis -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의 합성
(단계 1): 3,5- bis -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벤젠-1,3,5-트리카르복실릭에시드 트리메틸에스테르(1.010g, 4.003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15ml)에 용해시키고 0℃로 낮춘 다음 리튬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0.160g, 4.003mmol)를 천천히 적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0.15ml)와 1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0.15ml)를 천천히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다시 수용액(0.45ml)을 첨가시켜 여과 후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2)하여 표제화합물 (0.34g, 수율: 43.1%, 무색액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3OD): δ3.91(s, 3H), 4.66(s, 4H), 7.59(s, 1H), 7.93(s, 2H)
(단계 2): 3,5- bis -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50g, 7.65mmol)을 사용하여 상기 중간체 3DMK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표제화합물(0.617g, 수율: 44.3%, 흰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3OD): δ5.21(s, 4H), 7.55(s, 1H), 7.92(s, 2H)
(중간체 11) 2-하이드록시-4-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의 합성
(단계 1): 2-하이드록시-4-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2-하이드록시-4-메틸벤조익에시드 메틸에스테르(166mg, 1mmol)를 CCl4(1.5ml)에 용해시키고 N-브로모숙신이미드(NBS, 177mg, 1mmol), 벤조일퍼옥사이드 (5mg, 0.02mmol)을 첨가한다. 7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씻어준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 헥산=1:4)하여 4-브로모메틸-2-하이드록시벤조익에시드 메틸에스테르(130mg, 반응수율: 53%, 흰색고체)를 얻었다. 위의 반응생성물 (130mg, 0.53mmol)을 수용액(1.5ml), 1,4-디옥산(1.5ml)에 용해시키고 9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헥산=1:4)하여 표제화합물 (55mg, 수율: 57%, 흰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3.95(s, 3H), 4.71(d,J=6Hz, 2H), 6.88(d,J=8Hz, 1H), 6.99(s, 1H), 7.82(d,J=8Hz, 1H), 10.79(s, 1H)
(단계 2): 2-하이드록시-4-히드록시메틸벤조익에시드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사용하여 중간체 3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표제 화합물(45mg, 수율: 90%, 흰색 고체)을 얻었다.
(중간체 12) 4-하이드록시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 에시드의 합성
(단계 1) A: 4-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 에시드,
B: 3-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 에시드의 합성
2.5M 부틸리튬(12.2ml, 30.55mmol)을 질소하 실온에서 디에틸 에테르(1ml)에 용해시킨 후 3-메틸치오펜(3g, 30.55mmol)을 디에틸 에테르에 녹인 후 천천히 적가 한 다음 가열 환류하여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기를 0℃로 냉각 한 후 드라이 아이스를 천천히 넣어준다. 물 45ml로 반응을 종결한 후 디에틸 에테르 층을 추출하여 제거하고 물층을 1N 염산 용액으로 산성화 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9:1)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A(900mg, 흰색 고체) 및 표제화합물 B(650mg, 흰색 고체)를 얻었다.
(단계 2): 4-브로모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생성된 4-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 에시드(900mg, 6.33mmol)를 메탄올(15ml)에 용해시키고 촉매량의 황산을 적가 하여 가열 환류 하여 4-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 에시드 메틸에스테르(890mg, 반응수율: 90%, 흰색고체)를 얻은 후 질소하 실온에서 4-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200mg, 1.28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NBS, 215mg, 1.216mmol), 촉매량의 벤조일 퍼옥사이드를 테트라클로로메탄(5ml) 용액에 녹인 후 70oC로 3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여 표제화합물 (165mg, 반응수율: 55%, 흰색고체)을 얻었다.
1H NMR(400MHz, CDCl3); δ3.89(s, 3H), 4.46(s, 2H), 7.49(s, 1H), 7.80(s, 1H)
(단계 3): 4-하이드록시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 에시드의 합성
상기 단계 2에서 생성된 화합물(150mg, 0.638mmol)을 1,4-디옥산(1.5ml),물(1.5ml)에 용해시키고, 질산은(130mg, 0.765mmol)을 천천히 적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4-하이드록시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60mg, 반응수율: 55%, 흰색고체)를 얻은 후 실온에서 상기에서 얻은 화합물 (60mg, 0.348mmol)을 메탄올(1ml)에 용해시키고, 1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1ml)을 적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표제화합물(50mg, 반응수율: 95%, 흰색고체)을 얻었다.
(중간체 13) 3-하이드록시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 에시드의 합성
(단계 1): 3-브로모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의 합성
상기 중간체 12의 단계 1에서 제조한 3-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 에시드 (650mg, 4.57mmol)를 사용하여 중간체 12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표제화합물(750mg, 반응수율: 79%, 흰색고체)을 얻었다.
1H NMR(400MHz, CDCl3); δ3.90(s, 3H), 4.91(s, 2H), 7.18(d, J=5.2Hz, 1H), 7.46(d, J=5.2Hz, 1H)
(단계 2): 3-하이드록시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 에시드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750mg, 3.19mmol)을 사용하여 중간체 12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표제화합물(210mg, 반응수율: 92%, 흰색고체)을 얻었다.
(중간체 14) (3-하이드록시메틸-페닐)-아세틱 에시드의 합성
m-톨릴아세틱 에시드 에틸 에스테르(1g, 5.6mmol)와 N-브로모숙신이미드 (NBS, 948mg, 5.33mmol)와 촉매량의 벤조일퍼옥사이드를 테트라클로로메탄(15ml)에 용해시키고 70℃로 3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여 (3-브로모메틸-페닐)-아세틱 에시드 에틸 에스테르(600mg, 반응수율: 42%, 흰색고체)를 얻었다. 다음 반응은 (3-브로모메틸-페닐)-아세틱 에시드 에틸 에스테르 (130mg, 0.50mmol)와 칼슘카보네이트 (300mg, 3mmol)를 물(2ml), 1,4-디옥산(2ml)에 넣고 가열 환류하여 (3-하이드록시메틸-페닐)-아세틱 에시드 에틸 에스테르(85mg, 반응수율: 87%, 흰색고체)를 얻은 후 실온에서 (3-하이드록시메틸-페닐)-아세틱 에시드 에틸 에스테르(85mg, 0.43mmol)를 메탄올(1ml)에 용해시키고 1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1ml)을 적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표제화합물(65mg, 반응수율: 91%, 흰색고체)을 얻었다.
1H NMR(400MHz, CDCl3); δ3.66(s, 2H), 4.57(s, 2H), 7.21-7.32(m, 4H)
(중간체 15) 3-(2-히드록시-에틸)-벤조익 에시드의 합성
이소프탈릭 에시드(5g, 30mmol)를 메탄올(50ml)에 용해시킨 후 촉매량의 황산을 넣고 12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여 이소프탈릭 에시드 디메틸 에스테르(5.2g, 반응수율: 90%, 흰색고체)를 얻고 이소프탈릭 에시드 디메틸 에스테르(5.2g, 26.7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30ml)에 용해시킨 후 2M 리티윰보로하이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13ml, 26.7mmol)을 넣고 가열 환류하여 3-히드록시메틸-벤조익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2.7g, 반응수율: 63%, 무색액체)를 얻었다. 다음 반응은 3-히드록시메틸-벤조익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200mg, 1.20mmol)를 디클로로메탄(5ml)에 용해시킨 후 PCC(388mg, 1.8mmol)을 넣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여 3-포르밀-벤조익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 (140mg, 반응수율: 72%, 흰색고체)를 얻었다. 질소하에서 (메톡시메틸)트리페닐포스포니움 클로라이드(770mg, 2.24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5ml)에 용해시킨 후 -78℃로 온도를 낮추고 1M 소디움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NaHMDS) 테트라히드로푸란(2ml, 2.04mmol)을 천천히 넣고 1시간동안 교반시킨후 3-포르밀-벤조익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160mg, 0.975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 (2ml)에 용해시킨 후 천천히 넣어주었다.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3-(2-메톡시-비닐)-벤조익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121mg, 반응수율: 65%, 흰색고체)를 얻고 3-(2-메톡시-비닐)-벤조익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120mg, 0.63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3ml)에 녹인 후 4M HCl(2ml)를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3-(2-옥소-에틸)-벤조익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60mg, 반응수율: 54%, 흰색고체)를 얻었다. 그 후 3-(2-옥소-에틸)-벤조익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60mg, 0.036mmol)를 에탄올 (2ml)에 녹인 후 0℃로 온도를 낮춘 후 소디움 보로히드리드(NaBH4, 25mg, 0.67mmol)을 넣고 1시간 동안 교반하여 3-(2-히드록시-에틸)-벤조익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50mg, 반응수율: 84%, 흰색고체)를 얻었다. 그 다음 3-(2-히드록시-에틸)-벤조익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50mg, 0.28mmol)를 메탄올 (1ml)에 용해시키고 1N수산화 나트륨 수용액(1ml)을 적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표제화합물(43mg, 반응수율: 95%, 흰색고체)을 얻었다.
1H NMR(400MHz, CDCl3); δ2.32(br, 1H), 2.89(t,J=6.4Hz, 2H), 3.85(t,J=6.4Hz, 2H), 7.36(t,J=7.6Hz, 1H), 7.42(d,J=5.6Hz, 1H), 7.88(d,J=8.8Hz, 1H), 7.89(s, 1H)
<실시예 6> 5-니트로옥시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에시드-[(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2.07-2.11(m, 1H), 2.32-2.45(m, 2H), 2.45(s, 3H), 2.53-2.56(m, 1H), 3.71(s, 3H), 3.91(s, 3H), 3.96(S, 3H), 4.84-4.91(m, 1H), 5.46(s, 2H), 6.56(s, 1H), 6.95(d,J=3.6Hz, 1H), 7.13(d,J=10.8Hz, 1H), 7.37(d,J=10.8Hz, 1H), 7.58(d,J=4.0Hz, 1H), 7.61(s, 1H), 8.50(d,J=6.8Hz, 1H)
<실시예 7> N-[(7S)-3-시클로펜틸옥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1.61-1.73(m, 2H), 1.85-2.00(m, 6H), 2.21-2.65(m, 4H), 2.44(s, 3H), 3.75(s, 3H), 3.93(s, 3H), 4.82-4.88(m, 1H), 4.92-5.00(m, 1H), 5.16(dd,J=12, 31.2Hz, 2H), 6.55(s, 1H), 7.13-7.17(m, 2H), 7.28(d,J=6.4Hz, 1H), 7.41(d,J=10.8Hz, 1H), 7.68-7.70(m, 1H), 7.72(s, 1H),7.78(s, 1H), 8.78(d,J=7.2Hz, 1H)
<실시예 8> N-[(7S)-3-에톡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2-플루오로-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1.49(t,J=6.9Hz, 3H), 1.93-1.98(m, 1H), 2.31-2.39(m, 1H), 2.43(s, 3H), 2.46-2.49(m, 1H), 2.51-2.59(m, 1H), 3.73(s, 3H), 3.96(s, 3H), 4.11-4.14(m, 2H), 4.83-4.86(m, 1H), 5.53(d,J=12.8Hz, 1H), 5.59(d,J=12.4Hz, 1H), 6.56(s, 1H), 7.07(d,J=10.2Hz, 1H), 7.10-7.15(m, 1H), 7.20-7.28(m, 1H), 7.31(d,J=10.2Hz, 1H), 7.57(t,J=6.4Hz, 1H), 7.97(t,J=6.9Hz, 1H)
<실시예 9>2-플루오로-N-[(7S)-3-이소프로폭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1.41(q,J=6.0Hz, 6H), 1.92-1.99(m, 1H), 2.31-2.40(m, 1H), 2.43(s, 3H), 2.46-2.52(m, 1H), 2.55-2.60(m, 1H), 3.72(s, 3H), 3.94(s, 3H), 4.57-4.63(m, 1H), 4.83-4.89(m, 1H), 5.53(d,J=12.8Hz, 1H), 5.59(d,J=12.4Hz, 1H), 6.57(s, 1H), 7.07(d,J=10.6Hz, 1H), 7.15-7.19(m, 1H), 7.23-7.27(m, 1H), 7.34(d,J=10.2Hz, 1H), 7.56(t,J=7.1Hz, 1H), 7.7(t,J=7.5Hz, 1H)
<실시예 10> 2-플루오로-3-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1.95-2.02(m, 1H), 2.31-2.54(m, 2H), 2.43(s, 3H), 2.59-2.63(m, 1H), 3.73(s, 3H), 3.87(s, 3H), 3.92(s, 3H), 4.82-4.88(m, 1H), 5.51(d,J=12.8Hz, 1H), 5.60(d,J=12.8Hz, 1H), 6.58(s, 1H), 7.06(d,J=10.6Hz, 1H), 7.22-7.27(m, 2H), 7.28(s, 1H), 7.32(d,J=10.6Hz, 1H), 7.54-7.58(m, 1H), 7.93-7.98(m, 1H)
<실시예 11> N-[(7S)-3-시클로펜틸옥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2-플루오로-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1.61-1.73(m, 2H), 1.85-2.00(m, 6H), 2.35-2.52(m, 4H), 2.42(s, 3H), 3.72(s, 3H), 3.93(s, 3H), 4.82-4.88(m, 2H), 5.57(dd,J=12.8, 37.6Hz, 2H), 6.55(s, 1H), 7.05(d,J=10.4Hz, 1H), 7.09-7.13(m, 1H), 7.26(d,J=7.2Hz, 2H), 7.32(d,J=10.4Hz, 1H), 7.55-7.59(m, 1H), 7.96-8.00(m, 1H)
<실시예 12> 3-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2.31-2.45(m, 3H), 2.46(s, 3H), 2.59-2.63(m, 1H), 3.75(s, 3H), 3.93(s, 3H), 3.98(S, 3H), 4.90-4.95(m, 1H), 5.11(dd,J=12.8, 45.6Hz, 2H), 6.57(s, 1H), 7.03(d,J=7.6Hz,1H), 7.19(d,J=8.8Hz, 1H),7.30-7.33(m, 1H), 7.42(d,J=10.8Hz, 1H), 7.55(s, 1H), 7.68(s, 1H), 8.76(d,J=7.2Hz, 1H)
<실시예 13> N-[(7S)-(3-에톡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3-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1.50(t, J=6.9, 3H), 2.33~2.42(m, 3H), 2.46(s, 3H), 2.51~2.59(m, 1H), 3.75(s, 3H), 3.98(s, 3H), 4.11~4.16(m, 2H), 4.90~4.93(m, 1H), 5.05(d, J=12.4, 1H), 5.17(d, J=12.4, 1H), 6.56(s, 1H), 7.03(d, J=7.3, 1H), 7.20(d, J=10.6, 1H), 7.31(d, J=9.1, 1H), 7.45(d, J=10.6, 1H), 7.55(s, 1H), 7.69(s, 1H), 8.88(d, J=7.3, 1H)
<실시예 14> 3-플루오로-N-[(7S)-3-이소프로폭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5-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1.37~1.44(m, 6H), 2.34~2.41(m, 3H), 2.46(s, 3H), 2.51~2.58(m, 1H), 3.75(s, 3H), 3.96(s, 3H), 4.57~4.62(m, 1H), 4.91~4.95(m, 1H), 5.05(d, J=12.4, 1H), 5.17(d, J=12.4, 1H), 6.56(s, 1H), 7.03(d, J=8.4, 1H), 7.20(d, J=10.6, 1H), 7.31(d, J=7.3, 1H), 7.45(d, J=10.6, 1H), 7.55(s, 1H), 7.70(s, 1H), 8.91(d, J=7.3, 1H)
<실시예 15> N-[(7S)-3-시클로펜틸옥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3-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1.64~1.69(m, 2H), 1.83~1.98(m, 6H), 2.35~2.43(m, 3H), 2.46(s, 3H), 2.51~2.58(m, 1H), 3.74(s, 3H), 3.94(s, 3H), 4.82~4.84(m, 1H), 4.91~4.94(m, 1H), 5.04(d, J=12.4, 1H), 5.16(d, J=12.4, 1H), 6.55(s, 1H), 7.02(d, J=8.4, 1H), 7.20(d, J=10.6, 1H), 7.31(d, J=7.3, 1H), 7.45(d, J=10.2, 1H), 7.55(s, 1H), 7.70(s, 1H), 8.93(d, J=6.9, 1H)
<실시예 16> 4-플루오로-3-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2.22-2.51(m, 3H), 2.46(s, 3H), 2.55-2.63(m, 1H), 3.76(s, 3H), 3.92(s, 3H), 3.98(s, 3H), 4.90-4.97(m, 1H), 5.10(d,J=12.1Hz, 1H), 5.35(d,J=12.1Hz, 1H), 6.57(s, 1H), 6.86(dd,J=9.2, 8.8Hz, 1H), 7.18(d,J=10.3Hz, 1H), 7.43(d,J=10.3Hz, 1H), 7.72(s, 1H), 7.76-7.80(m, 1H), 7.91(dd,J=6.80, 2.2Hz, 1H), 8.93(d,J=7.2Hz, 1H)
<실시예 17> 2-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1.94-2.01(m, 1H), 2.31-2.54(m, 2H), 2.43(s, 3H), 2.58-2.63(m, 1H), 3.73(s, 3H), 3.92(s, 3H), 3.97(s, 3H), 4.81-4.87(m, 1H), 5.36(s, 2H), 6.57(s, 1H), 7.06(d,J=10.3Hz, 1H), 7.16-7.28(m, 2H), 7.26(s, 1H), 7.33(d,J=10.3Hz, 1H), 7.51-7.55(m, 1H), 7.99(dd,J=7.3, 2.6Hz,1H)
<실시예 18> 3-하이드록시-5-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2.30-2.43(m, 6H), 2.56-2.57(m, 1H), 3.61(s, 3H), 3.90(s, 3H), 3.92(s, 3H), 4.82-4.85(m, 1H), 5.00(dd,J=30.8Hz, 12.8Hz, 2H), 6.56(s, 1H), 6.62(s, 1H), 7.11(s, 2H), 7.16-7.19(m, 2H), 7.41(d,J=10.8Hz, 1H), 7.66(s, 1H), 8.57(br s , 1H, NH), 8.78(brs , 1H, OH)
<실시예 19> 3,5- bis -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2.29-2.51(m, 3H), 2.46(s, 3H), 2.60-2.62(m, 1H), 3.77(s, 3H), 3.93(s, 3H), 3.99(s, 3H), 4.94-4.98(m, 1H), 5.18(s, 4H),6.58(s, 1H), 7.20(d,J=10.6Hz, 1H), 7.26(s, 1H), 7.45(d,J=10.6Hz, 1H), 7.77(s, 2H), 7.81(s, 1H), 9.12(d,J=7.0Hz, 1H)
<실시예 20> 2-하이드록시-4-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2.25-2.63(m, 4H), 2.47(s, 3H), 3.74(s, 3H), 3.91(s, 3H), 3.97(S, 3H), 4.85-4.92(m, 1H), 5.27(d,J=4.8Hz, 2H), 6.53(d,J=8.4Hz, 1H), 6.57(s, 1H), 6.61(s, 1H), 7.20(d,J=10.4Hz, 1H), 7.42(d,J=10Hz, 1H), 7.63(s, 1H), 7.72(d,J=8Hz, 1H), 9.13(d,J=6.8Hz, 1H), 12.29(s, 1H)
<실시예 21> 4-니트로옥시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에시드 [(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2.21-2.29(m, 1H), 2.34-2.46(m, 5H), 2.51-2.58(m, 1H), 3.71(s, 3H), 3.91(s, 3H), 3.96(S, 3H), 4.88-4.95(m, 1H), 5.18(dd,J=12.8, 20Hz, 2H), 6.56(s, 1H), 7.17(d,J=10.4Hz, 1H), 7.30(s, 1H), 7.41(d,J=10.4Hz, 1H), 7.61(s, 1H), 7.74(s, 1H), 8.81(d,J=6.4Hz, 1H)
<실시예 22> 3-니트로옥시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에시드 [(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2.04-2.17(m, 1H), 2.30-2.45(m, 5H), 2.57-2.64(m, 1H), 3.73(s, 3H), 3.91(s, 3H), 3.96(S, 3H), 4.67-4.88(m, 1H), 5.66(d,J=13.6Hz, 1H), 5.80(d,J=13.6Hz, 1H), 6.56(s, 1H), 7.02(d,J=4.4Hz, 1H), 7.08(d,J=10.4Hz, 1H), 7.26(d,J=4.4Hz, 1H), 7.29(d,J=10.4Hz, 1H), 7.43(s, 1H), 7.45(d,J=7.2Hz, 1H)
<실시예 23>2-(3-니트로옥시메틸-페닐)-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세트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1.82-1.95(m, 1H), 2.21-2.28(m, 1H), 2.31-2.42(m, 1H), 2.45(s, 3H), 2.47-2.53(m, 1H), 3.51(d,J=14.0Hz, 1H), 3.64(s, 3H), 3.66(d,J=14.0Hz, 1H), 3.88(s, 3H), 3.93(s, 3H), 4.66-4.72(m, 1H), 5.40(s, 2H), 6.51(s, 1H), 7.11(d,J=10.4Hz, 1H), 7.24-7.38(m, 5H), 7.48(s, 1H), 7.90(d,J=7.2Hz, 1H)
<실시예 24> 3-(2-니트로옥시-에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H NMR(400MHz, CDCl3); δ2.05-2.11(m, 1H), 2.17-2.56(m, 2H), 2.46(s, 3H), 2.56-2.60(m, 1H), 2.81-2.91(m, 2H), 3.69(s, 3H), 3.91(s, 3H), 3.97(s, 3H), 4.45(t,J=6.8,Hz, 2H), 4.89-4.95(m, 1H), 6.56(s, 1H), 7.12-7.24(m, 3H), 7.39(d,J=10.4Hz, 1H), 7.61-7.64(m, 2H), 7.69(s, 1H), 8.22(d,J=6.8Hz, 1H)
<실시예 25> 3-니트로옥소벤조익에시드-5-[(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에스테르의 합성
(단계 1) 3-클로로메틸벤조익엑시드-{5-[(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닐]피리딘-2-일}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0mg, 0.19mmol)을 디클로로메탄 3㎖에 용해시킨 후 3-(클로로메틸)벤조일클로라이드(0.030ml, 0.21mmol)와 트리에틸아민 (0.082ml, 0.59mmol)을 각각 적가하였다. 이를 상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디클로로메탄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9mg, 수율: 79%,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2.14-2.16(m, 1H), 2.30-2.39(m, 1H), 2.43-2.45(m, 1H), 2.48(s, 3H), 2.68-2.96(m, 1H), 3.67(s, 3H), 3.90(s, 3H), 3.91(s,3H), 4.83-4.93(m, 1H), 4.88(s, 2H), 5.51(s, 2H), 6.77(s, 1H), 7.27(s, 1H), 7.52(t, J=7.7Hz, 1H), 7.65-7.70(m, 2H), 8.05(d, J=7.7Hz, 1H), 8.14(s, 1H), 8.28(d, J=10.6Hz, 1H), 9.02(s, 1H)
(단계 2) 3-니트로옥소벤조익에시드-{5-[(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90mg, 0.13mmol)과 요오드화나트륨(31mg, 0.20mmol)을 아세톤 3ml에 용해시켜 상온에서 1일 동안 반응시켰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반응농축액과 질산은(30mg, 0.045mmol)을 아세토나이트릴 5ml에 용해시켜 상온에서 1일 동안 반응시켰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짧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고, 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6mg, 수율: 29%,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2.09-2.17(m, 1H), 2.35-2.41(m, 2H), 2.44(s, 3H), 2.55-2.58(m, 1H), 3.74(s, 3H), 3.91(s, 3H), 3.96(s, 3H), 4.92-4.95(m,1H), 5.45(s, 2H), 5.47(s, 2H), 6.56(s, 1H), 7.13(d, J=10.2Hz, 1H), 7.35(t, J=9.1Hz, 2H), 7.50(t, J=8.5Hz, 1H), 7.54(s, 1H), 7.62(d, J=7.3Hz, 1H), 8.14(d, J=8.3Hz, 2H), 8.24(dd, J=2.2, 6.2Hz, 1H, ArH), 8.36(d, J=6.9Hz, 1H), 9.09(s, 1H)
<실시예 26~34>
실시예 26 내지 실시예 34는 상기 실시예 25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필요한 중간체는 아래의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중간체 16) 2-하이드록시-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2-하이드록시벤조익에시드(203mg, 1.47mmol)과 EDCI(385mg, 2.01mmol), HOBt (271mg, 2.01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10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0.37mL, 2.67mmol)을 적가하여 하루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여기에 화합물 7-아미노-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포닐-6,7-디하이드로-5H-벤조[a]-헵타렌-9-온 (500mg, 1.34mmol)을 적가하여 상온에서 하루 동안 교반하고 물로 반응을 종결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아세테이트=1:5)한 후 메탄올에서 재결정하여 표제화합물(516mg, 수율: 78%,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2.14-2.17(m, 1H), 2.31-2.37(m, 1H), 2.40-2.44(s, 1H), 2.45(s, 3H), 2.56-2.60(m, 1H), 3.74(s, 3H), 3.91(s, 3H), 3.97(s, 3H), 4.85-4.92(m, 1H), 6.56(s, 1H), 6.64(d, J=7.7Hz, 1H), 6.77(d, J=8.4Hz, 1H), 7.15(d, J=10.6Hz, 1H), 7.22(d, J=7.3Hz, 1H), 7.38(d, J=10.6Hz, 1H), 7.57(s, 1H), 7.71(d, J=8.0Hz, 1H)
(중간체 17) 3-하이드록시-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3-하이드록시벤조익에시드(497mg, 1.33mmol)을 사용하여 상기 중간체 16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표제 화합물(558mg, 수율: 85%,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2.07-2.15(m, 1H), 2.18-2.35(m, 6H), 3.55(s, 3H), 3.80(s, 3H), 3.84(s, 3H), 4.53-4.56(m, 1H), 6.81(s, 1H), 6.92(d,J=6.8Hz, 1H), 7.10(s, 1H), 7.15-7.31(m, 5H), 8.98(d,J=7.6Hz, 1H, -NH), 9.70(s, 1H, -OH)
<실시예 26> 4-니트로옥소부티릭에시드-5-[(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에스테르
1H NMR (400MHz, CDCl3): δ2.06-2.16(m, 1H), 2.08-2.11(m, 2H), 2.31-2.49(m, 1H), 2.45(s, 3H), 2.57(t, J=7.1Hz, 2H), 3.75(s, 3H), 3.91(s, 3H), 3.96(s, 3H), 4.52(t, J=6.4Hz, 2H), 4.91-4.94(m, 1H), 5.21(s, 2H), 6.56(s, 1H), 7.13(d, J=10.9Hz, 1H), 7.21-7.25(m, 1H), 7.38(d, J=10.6Hz, 1H), 7.52(s, 1H), 8.22(d, J=8.0Hz, 1H), 9.05(s, 1H)
<실시예 27> 3-니트로옥시메톡시벤조익에시드-6-[(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에스테르
1H NMR (400MHz, CDCl3): δ1.84-1.92(m, 1H), 2.33-2.60(m, 1H), 2.43(s, 3H), 2.46-2.54(m, 1H) 2.55-2.60(m, 1H), 3.73(s, 3H), 3.92(s, 3H), 3.96(S, 3H), 4.74-4.81(m, 1H), 5.51(s, 2H) 5.57(d,J=4.0Hz, 1H), 6.56(s, 1H), 7.04(d,J=10.4Hz, 1H), 7.25(d,J=10.4Hz, 1H), 7.54-7.60(m, 2H), 7.65(d,J=7.6Hz, 1H), 7.87(t,J=8.0Hz, 1H), 7.99(d,J=7.6Hz, 1H), 8.21(s, 2H), 8.22(s, 1H), 8.41(d,J=7.2Hz, 1H)
<실시예 28> 4-니트로옥시부티릭에시드-6-[(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에스테르
1H NMR (400MHz, CDCl3): δ2.02-2.09(m, 1H), 2.11-2.18(m, 2H), 2.21-2.40(m, 2H), 2.43(s, 3H), 2.47-2.56(m, 1H), 2.63(t,J=7.2Hz, 2H), 3.73(s,3H), 3.92(s, 3H), 3.96(S, 3H), 4.57(t,J=6.4Hz, 2H), 4.77-4.83(m, 1H), 5.30(d,J=4.8Hz, 2H), 6.58(s, 1H), 7.05(d,J=10.4Hz, 1H), 7.25(S, 1H), 7.32(d,J=10.4Hz, 1H), 7.52(d,J=8.0Hz, 1H), 7.84(t,J=8.0Hz, 1H), 7.98(d,J=8.0Hz, 1H), 8.45(d,J=6.8Hz, 1H)
<실시예 29> 3-니트로옥시메틸벤조익에시드-2-[(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페닐에스테르
1H NMR (400MHz, CDCl3): δ1.48-1.55(m, 1H), 1.83-1.89(m, 1H), 2.22-2.39(m, 2H), 2.42(s, 3H), 3.62(s, 3H), 3.87(s, 3H), 3.92(s, 3H), 4.63-4.70(m, 1H), 5.54(s, 2H), 6.47(s, 1H), 6.89(d, J=7.4Hz, 1H), 7.03(d, J=10.2Hz, 1H), 7.17(s, 1H), 7.23(d, J=10.1Hz, 1H), 7.35(t, J=7.3Hz, 1H), 7.54(t, J=7.4Hz, 1H), 7.58(t, J=7.6Hz, 1H), 7.72(d, J=8.0Hz, 1H), 7.83(d, J=7.7Hz, 1H), 8.26(m, 2H)
<실시예 30>4-니트로옥시부티릭에시드-2-[(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페닐에스테르
1H NMR (400MHz, CDCl3): δ1.60-1.90(m, 1H), 2.10-2.14(m, 2H), 2.26-2.39(m, 1H), 2.44(s, 3H), 2.46-2.51(m, 1H), 2.56-2.61(m, 1H), 2.80(t, J=7.1Hz, 2H), 3.70(s, 3H), 3.92(s, 3H), 3.96(s, 3H), 4.55(t, J=6.2Hz, 2H), 4.74-4.81(m, 1H), 6.57(s, 1H), 6.82(d, J=6.9Hz, 1H), 7.08(d, J=10.6Hz, 1H), 7.13(d, J=9.1Hz, 1H), 7.23(s, 1H), 7.28-7.36(m, 1H), 7.47(t, J=9.9Hz, 1H), 7.68(d, J=9.5Hz, 1H)
<실시예 31> 3-니트로옥시메틸벤조익에시드-3-[(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페닐에스테르
1H NMR (400MHz, CDCl3): δ2.05-2.15(m, 1H), 2.23-2.59(m, 6H), 3.75(s, 3H), 3.91(s, 3H), 3.97(s, 3H), 4.90-5.00(m, 1H), 5.49(s, 2H), 6.56(s, 1H),7.03(d,J=10.4Hz, 1H), 7.27(s, 2H), 7.34(d,J=8.8Hz, 2H) 7.53-7.65(m, 2H), 7.76(s, 1H), 7.77(d,J=6.4Hz, 1H), 8.13(m, 3H)
<실시예 32> 4-니트로옥시부티릭에시드-3-[(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페닐에스테르
1H NMR (400MHz, CDCl3): δ2.04-2.18(m, 3H), 2.25-2.60(m, 6H), 2.65(t,J=6.8Hz, 2H), 3.74(s, 3H), 3.91(s, 3H), 3.96(s, 3H), 4.56(t,J=6.4Hz, 2H), 4.87-4.94(m, 1H), 6.56(s, 1H), 7.08-7.12(m, 2H), 7.26-7.35(m, 2H), 7.48(s, 1H), 7.59(s, 1H), 7.71(d,J=8.0Hz, 1H), 7.75 (d,J=7.6Hz, 1H, -NH)
<실시예 33> 3-니트로옥시메틸벤조익에시드-3-[(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벤질에스테르
1H NMR (400MHz, CDCl3): δ2.05-2.18(m, 1H), 2.31-2.47(m, 2H), 2.40(s, 3H), 2.55-2.59(m, 1H), 3.75(s, 3H), 3.91(s, 3H), 3.97(s, 3H), 4.90-4.96(m, 1H), 5.24(s, 2H), 5.44(s, 2H), 6.56(s, 1H), 7.09(d,J=10.6Hz, 1H), 7.27(dd,J=7.6, 7.6Hz, 1H), 7.36(d,J=10.6Hz, 1H), 7.44(d,J=7.6Hz, 1H), 7.45(dd,J=8.0, 7.6Hz, 1H), 7.58(d,J=8.0Hz, 1H), 7.59(s, 1H), 7.79(d,J=7.6Hz, 1H), 7.91(s, 1H), 8.05(d,J=7.6Hz, 1H), 8.06(s, 1H), 8.18(d,J=7.2Hz, 1H)
<실시예 34> 4-니트로옥시부티릭에시드-3-[(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 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벤질에스테르
1H NMR (400MHz, CDCl3): δ2.00-2.14(m, 3H), 2.31-2.51(m, 4H), 2.44(s, 3H), 2.56-2.60(m, 1H), 3.75(s, 3H), 3.92(s, 3H), 3.97(s, 3H), 4.49(t,J=6.2Hz, 2H), 4.89-4.95(m, 1H), 4.99(d,J=12.4Hz, 1H), 5.04(d,J=12.4Hz, 1H), 6.56(s, 1H), 7.11(d,J=10.6Hz, 1H), 7.26(dd,J=7.6, 7.6Hz, 1H), 7.35-7.37(m, 2H), 7.54(s, 1H), 7.76(d,J=8.0Hz, 1H), 7.81(s, 1H), 8.00(d,J=7.6Hz, 1H)
<실시예 35> 2-니트로소티오-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단계 1) 2-메르캅토-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티오살리실릭에시드(115mg, 0.75mmol)에 과량의 티오닐클로라이드를 넣고 하루 동안 가열 교반 하였다. 이를 감압 농축하여 티오닐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클로라이드화합물을 합성하였다. 7-아미노-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포닐-6,7-다이히이드로-5H-벤조[a]-헵타렌-9-온(243mg, 0.62mmol)을 정제된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0.26mL, 1.86mmol) 적가하고 0℃로 낮춘 후 티오살리실릭 클로라이드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켜 적가하였다. 이를 30분 동안 교반하고 물로 반응을 종결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씻어주었다. 용매를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12:1)하여 표제화합물(210mg, 수율: 66%, 흰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 δ2.06-2.17(m, 1H), 2.33-2.49(m, 2H), 2.42(s, 3H), 2.54-2.59(m, 1H), 3.72(s, 3H), 3.92(s, 3H), 3.96(s, 3H), 4.86-4.93(m, 1H), 6.56(s, 1H), 7.06(d, J=10.6Hz, 1H), 7.14(t, J=7.5Hz, 1H), 7.24(d, J=7.7Hz, 1H), 7.31(d, J=10.6Hz, 1H), 7.51(s, 1H), 7.58(d, J=7.3Hz, 1H),7.63(t, J=8.6Hz, 2H)
(단계 2) 2-니트로소티오-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40mg, 0.078mmol)을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1N 염산 수용액(3ml)을 적가한 후 아질산나트륨(NaNO2, 6.5mg, 0.094mmol)을 물(1.5㎖)에 용해시켜 적가하였다. 이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탄산수소나트륨으로 반응을 종결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용매를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12:1)하여 표제화합물 (34.1mg, 수율: 81%,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2.07-2.14(m, 1H), 2.31-2.37(m, 1H), 2.42(s, 3H), 2.45-2.48(m, 1H), 2.54-2.59(m, 1H), 3.72(s, 3H), 3.91(s, 3H), 3.96(s, 3H), 4.88-4.94(m, 1H), 6.56(s, 1H), 7.06(d, J=10.6Hz, 1H), 7.10(t, J=7.5Hz, 1H), 7.21(t, J=6.9Hz, 1H), 7.31(d, J=10.6Hz, 1H), 7.54(s, 1H), 7.64(t, J=8.6Hz, 2H), 7.72(d, J=7.3Hz, 1H)
<실시예 36> 3-니트로소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3-클로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19.8mg, 0.228mmol)와 요오드화나트륨 (136,5mg, 0.911mmol)을 아세톤(15ml)에 용해시키고 1일 동안 55℃에서 교반하였다. 종결된 반응 혼합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씻어준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여물과 아질산은 (125.5mg, 0.812mmol)을 아세토니트릴(5ml)에 용해시키고 1일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종결된 반응혼합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하여 용매를 감압 농축 하였다. 얻어진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클로로포름=4:1)하여 표제화합물 (35.4mg, 수율: 32.4%,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2.35-2.55(m, 3H), 2.48(s, 3H), 2.62-2.66(m, 1H), 3.76(s, 3H), 3.84(d,J=12.8Hz, 1H), 3.92(s, 3H), 3.98(s, 3H), 4.26(d,J=12.8Hz, 1H), 4.91-4.97(m, 1H), 6.58(s, 1H), 6.96(dd,J=7.7, 7.7Hz, 1H), 7.22(d,J=10.6Hz, 1H), 7.26-7.30(m, 2H), 7.44-7.47(m, 2H), 7.86(s, 1H),9.30(d,J=6.8Hz, 1H)
<실시예 37> 3-플루오로-5-니트로소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상기 실시예 36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2.04~2.20(m, 1H), 2.47(s, 3H), 2.52~2.62(m, 2H), 2.67~2.72(m, 1H), 3.81(s, 3H), 3.91(s, 3H), 3.97(s, 3H), 4.71(s, 2H), 4.93~4.96(m, 1H), 6.42(d, J=6.2, 1H), 6.58(s, 1H), 7.14~7.21(m, 2H), 7.30(d, J=8.4, 1H), 7.42(s, 1H), 7.53(d, J=10.6, 1H)
<실시예 38> 3-니트로소티오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단계 1): 메탄설포닉에시드-3-[(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 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벤질에스테르의 합성
3-하이드록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252.5mg, 0.497mmol)를 디클로로메탄(10ml)에 용해시키고 0℃로 낮춘 다음 메탄 설포닐클로라이드(42.4㎕, 0.547mmol)와 트리에틸아민(0.104ml, 0.745mmol)을 각각 적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종결된 반응혼합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유기 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하여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클로로포름=3:2)하여 표제화합물(182.3mg, 수율: 62.6%,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2.14-2.21(m, 1H), 2.31-2.50(m, 2H), 2.46(s, 3H), 2.57-2.62(m, 1H), 2.85(s, 3H), 3.76(s, 3H), 3.92(s, 3H), 3.97(s, 3H), 4.87-4.94(m, 1H), 5.06(d,J=12.7Hz, 1H), 5.10(d,J=12.7Hz, 1H), 6.57(s, 1H), 7.14(d,J=10.6Hz, 1H), 7.28(dd,J=7.7, 7.7Hz, 1H), 7.38-7.42(m, 2H), 7.56(s, 1H), 7.74(d,J=8.0Hz, 1H), 8.24(d,J=7.7Hz, 1H)
(단계 2): 티오아세틱에시드-S-{3-[(7S)-1,2,3-트리메톡시-10-메틸 설파닐-9- 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벤질}에스테르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82.3mg, 0.311mol)를 아세톤(6ml)에 용해시키고 0℃로 낮춘 다음 포타슘티오아세테이트(53.2mg, 0.467mmol)를 적가 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종결된 반응 혼합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유기 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 농축하여 표제화합물 (173.6mg, 수율: 98.6%, 노란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2.05-2.14(m, 1H), 2.30(s, 2H), 2.32-2.49(m, 2H), 2.44(s, 3H), 2.52-2.61(m, 1H), 3.74(s, 3H), 3.92(s, 3H), 3.97(s, 3H), 4.01(d,J=13.9Hz, 1H), 4.05(d,J=13.9Hz, 1H), 4.87-4.93(m, 1H), 6.56(s, 1H), 7.10(d,J=10.3Hz, 1H), 7.21(dd,J=7.7, 7.7Hz, 1H), 7.32-7.36(m, 2H), 7.49(s, 1H), 7.64-7.71(m, 3H)
(단계 3): 3-머캅토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165.2mg, 0.292mol)를 메탄올(6ml)에 용해시키고 0℃로 낮춘 다음 소듐티오메톡사이드(21.5mg, 0.307mmol)를 적가하여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1N염산 수용액으로 종결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씻어주었다. 유기 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클로로포름=1:1)하여 표제화합물(182.3mg, 수율: 62.6%,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1.70(t,J=7.3Hz, 1H), 2.12-2.19(m, 1H), 2.31-2.50(m, 2H), 2.18(s, 3H), 2.57-2.61(m, 1H), 3.58(d,J=7.3Hz, 1H), 3.74(s, 3H), 3.92(s, 3H), 3.97(s, 3H), 4.89-4.95(m, 1H), 6.57(s, 1H), 7.12(d,J=10.3Hz, 1H), 7.19(dd,J=7.7, 7.7Hz, 1H), 7.34(d,J=7.7Hz, 1H), 7.37(d,J=10.3Hz, 1H), 7.55(s, 1H), 7.59(d,J=7.7Hz, 1H), 7.70(s, 1H), 7.93(d,J=7.3Hz, 1H)
(단계 4) 3-니트로소티오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화합물(101.2mg, 0.193mol)을 메탄올 3ml와 디메틸포름아미드 3ml에 용해시키고 0℃로 낮춘 다음 0.1N 염산 수용액 3ml과 아질산 나트륨 16.0mg을 적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종결된 반응 혼합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포화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씻어준 다음 유기용매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하여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클로로포름:헥산=3:2:1.5)하여 표제화합물(19.5mg, 수율: 18.3%, 노란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2.08-2.16(m, 1H), 2.31-2.51(m, 2H), 2.45(s, 3H), 2.57-2.61(m, 1H), 3.57(s, 3H), 3.80(s, 2H), 3.92(s, 3H), 3.97(s, 3H), 4.89-4.96(m, 1H), 6.57(s, 1H), 7.10(d,J=10.3Hz, 1H), 7.25(dd,J=7.7, 7.7Hz, 1H), 7.36(d,J=10.3Hz, 1H), 7.38(d,J=7.7Hz, 1H), 7.53(s, 1H), 7.68(d,J=7.7Hz, 1H), 7.77(s, 1H), 7.79(d,J=7.0Hz, 1H)
<실시예 39> 3-플루오로-5-니트로소티오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상기 실시예 38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실시예 39의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2.30~2.48(m, 3H), 2.44(s, 3H), 2.56~2.59(m, 1H), 3.57(q, J=13.9, 16.5, 2H), 3.73(s, 3H), 3.91(s, 3H), 3.97(s, 3H), 4.97~5.03(m, 1H), 6.57(s, 1H), 7.02(d, J=8.4, 1H), 7.15(d, J=10.6, 1H), 7.39(d, J=10.2, 1H), 7.43(s, 1H), 7.64(d, J=9.1, 1H), 7.73(s, 1H), 8.96(d, J=7.3, 1H)
<실시예 40>3-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N-[(7S)-1,2,3,10-테트라메톡시-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단계 1) 3-플루오로-5-하이드록시메틸-N-[(7S)-1,2,3,10-테트라메톡시-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데아세틸콜히신(150mg, 0.42mmol)과 3-플루오로-5-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 에시드(85mg, 0.50mmol), HOBt(67mg, 0.50mmol)를 디메틸포름아미드 (2ml) 용액에 용해시키고 0℃로 낮춘 다음 EDCI(95mg, 0.50mmol)를 적가하였다. 이를 상온에서 교반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다음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에틸아세테이트=2:1)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110mg, 반응수율: 52%, 노란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2.40-2.58(m, 3H), 2.62-2.69(m, 1H), 3.64-3.78(m, 1H), 3.74(s, 3H), 3.92(s, 3H), 3.98(s, 3H), 4.07(S, 3H), 4.23-4.28(m, 1H), 4.81-4.88(m, 1H), 6.58(s, 1H), 6.87(d,J=9.2Hz, 1H), 6.97(d,J=9.2Hz, 1H), 7.03(d,J=10.4Hz, 1H), 7.38(s, 1H), 7.50(d,J=10.4Hz, 1H), 7.96(s, 1H), 9.64(d,J=6.0Hz, 1H)
(단계 2) 3-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N-[(7S)-(1,2,3,10-테트라메톡시-9-옥소- 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90mg, 0.18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5의 단계 2 및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표제화합물(30mg, 반응수율: 30%, 노란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2.38-2.49(m, 3H), 2.58-2.59(m, 1H), 3.75(s, 3H), 3.92(s, 3H), 3.98(s, 3H), 4.05(S, 3H), 4.89-4.93(m, 1H), 4.94(d,J=12.8Hz, 1H), 5.10(d,J=12.8Hz, 1H), 6.58(s, 1H), 6.96(d,J=8.4Hz, 1H), 7.01(d,J=10.4Hz, 1H), 7.17(d,J=8.4Hz, 1H), 7.45(s, 1H), 7.48(d,J=10.4Hz, 1H), 7.89(s, 1H), 9.25(d,J=6.4Hz, 1H)
<실시예 41> 3-니트로옥시메틸-N-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단계 1) 3-클로로메틸-N-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치오데메콜신(50mg, 0.129mmol)과 피리딘(0.012ml, 0.154mmol)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후 0℃로 온도를 낮추어 낮춘 다음 3-(클로로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0.022ml, 0.154mmol)를 적가하였다. 이를 상온에서 교반시키고, 물을 첨가하여반응을 종결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다음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2:1)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45mg, 반응수율: 67%, 노란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2.24-2.38(m, 2H), 2.44(s, 3H),2.45-2.58(m, 1H), 2.61-2.74(m, 1H), 3.25(s, 3H), 3.72(s, 3H), 3.91(s, 3H), 3.92(s, 3H), 4.54(s, 2H), 5.05(br, 1H), 6.57(s, 1H), 7.06(d,J=10.0Hz, 1H), 7.09(s, 1H), 7.22-7.41(m, 5H)
(단계 2)3-니트로옥시메틸-N-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45mg, 0.085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5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표제화합물(40mg, 반응수율: 83%, 노란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2.24-2.38(m, 2H), 2.44(s, 3H),2.45-2.58(m, 1H), 2.61-2.74(m, 1H), 3.24(s, 3H), 3.71(s, 3H), 3.91(s, 3H), 3.92(s, 3H),4.77(br, 1H), 5.58(s, 2H), 6.85(s, 2H), 7.21(d,J=10.0Hz, 1H), 7.29(d,J=10.4Hz, 1H), 7.40-7.53(m, 4H)
<실시예 42>3-플루오로-N-5-니트로옥시메틸-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단계 1) 3-플루오로-5-하이드록시메틸-N-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질소하에서 3-플루오로-5-하이드록시메틸-벤조익 에시드(52mg, 0.309mmol)를 디클로로메탄(3ml)에 용해시킨 후 0℃로 온도를 낮춘 다음 에틸클로로포메이트 (0.022ml, 0.231mmol), 트리에틸아민(TEA, 0.042ml, 0.309mmol)를 적가하였다. 0℃에서 30분간 교반시킨 후 피리딘(0.012ml, 0.154mmol), 치오데메콜신(60mg, 0.154mmol)을 넣어준다. 이를 상온에서 3시간 교반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다음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에틸아세테이트=2:1)로정제하여 표제화합물(30mg, 반응수율: 21%, 노란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1.76(br, 1H), 2.24-2.38(m, 2H), 2.44(s, 3H),2.45-2.58(m, 1H), 2.61-2.74(m, 1H), 3.23(s, 3H), 3.72(s, 3H), 3.93(s, 3H), 3.97(s, 3H), 4.65(s, 2H), 5.02(br, 1H), 6.57(s, 1H), 6.92(s, 1H), 6.99-7.24(m, 4H), 7.34(s, 1H)
(단계 2) 3-플루오로-N-5-니트로옥시메틸-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55mg, 0.101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5의 단계 2 및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표제화합물(20mg, 반응수율: 37%, 노란색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2.22-2.41(m, 2H), 2.45(s, 3H), 2.45-2.58(m, 1H), 2.61-2.74(m, 1H), 3.24(s, 3H), 3.75(s, 3H), 3.91(s, 3H), 3.95(s, 3H), 5.02(br, 1H), 5.39(s, 2H), 6.57(s, 1H), 7.05-7.24(m, 5H), 7.34(s, 1H)
<실시예 43> 2-(3-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페닐)-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세트아미드의 합성
(단계 1): (3-플루오로-5-하이드록시메틸-페닐)-아세틱 에시드의 합성
상기 중간체 6의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2.5g, 13.57mmol)을 디클로로메탄(30ml)에 녹인 후 트리브로모포스핀(PBr3, 1.15ml, 12.21mmol)를 넣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한 후 3-브로모메틸-5-플루오로-벤조익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1.6g, 반응수율: 50%, 흰색고체)를 얻고 3-브로모메틸-5-플루오로-벤조익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1.5g, 6.1mmol)와 포타시움 시아나이드(KCN, 1.6g, 24.4mmol), 18-크라운-6 (820mg, 3.1mmol)를 아세토니트릴(10ml)에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18시간 교반한 후 3-시아노메틸-5-플루오로-벤조익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900mg, 반응수율: 77%, 흰색고체)를 얻은 후 3-시아노메틸-5-플루오로-벤조익 에시드 메틸 에스테르(900mg, 4.65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ml)에 용해시킨 후 2M 리티윰보로하이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2.3ml, 4.6mmol)을 넣고 가열 환류하여 (3-플루오로-5-하이드록시메틸-페닐)-아세토니트릴 (430mg, 반응수율: 56%, 흰색고체)을 얻고, (3-플루오로-5-하이드록시메틸-페닐)-아세토니트릴(400mg, 2.42mmol)과 포타슘히드록시드 (1.34g, 23.8mmol)를 에탄올(10ml), 물(5ml)에 녹인 후 24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여 표제화합물(356mg, 반응수율: 80%, 흰색고체)을 얻었다.
1H NMR(400MHz, CD3OD); δ3.62(s, 2H), 4.59(s, 2H), 6.94(d,J=9.6Hz, 1H), 7.04(d,J=9.6Hz, 1H), 7.08(s, 1H)
(단계 2): 2-(3-플루오로-5-하이드록시메틸-페닐)-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세트아미드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30mg, 0.16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표제화합물(58mg, 반응수율: 70%,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1.92-2.01(m, 1H), 2.19-2.40(m, 2H), 2.41(s, 3H), 2.46-2.52(m, 1H), 3.46(d,J=14.0,Hz, 1H), 3.52(d,J=14.0,Hz, 1H), 3.63(s, 3H), 3.89(s, 3H), 3.91(s, 3H), 4.64-4.74(m, 1H), 4.75(s, 2H), 6.53(s,1H), 6.86-6.94(m, 3H), 7.07(d,J=10.8Hz, 1H), 7.13(s, 1H), 7.30(d,J=10.8Hz, 1H), 7.39(s, 1H)
(단계 3): 메탄설포닉에시드 3-플루오로-5-[(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메틸]-벤질에스테의 합성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58mg, 0.107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38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표제화합물(60mg, 반응수율: 90%, 노란색고체)을 얻었다.
(단계 4):2-(3-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페닐)-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세트아미드의 합성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화합물(60mg, 0.097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5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표제화합물(30mg, 반응수율: 83%,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1.92-1.98(m, 1H), 2.22-2.42(m, 2H), 2.46(s, 3H), 2.49-2.52(m, 1H), 3.50(d,J=14.0,Hz, 1H), 3.65(s, 3H), 3.66(d,J=14.0,Hz, 1H), 3.89(s, 3H), 3.93(s, 3H), 4.64-4.74(m, 1H), 5.37(s, 2H), 6.52(s, 1H), 6.97(d,J=8.8Hz, 1H), 7.11-7.17(m, 3H), 7.35(d,J=10.8Hz, 1H), 7.50(s, 1H), 8.04(d,J=7.2Hz, 1H)
<실시예 44> 2-(2-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페닐)-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세트아미드
상기 실시예 43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필요한 중간체는 아래의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1.89-1.93(m, 1H), 2.26-2.29(m, 1H), 2.34-2.40(m, 1H), 2.43(s, 3H), 2.49-2.54(m, 1H), 3.61(s, 3H), 3.62(d,J=15.2Hz,1H), 3.72(d,J=15.2Hz, 1H), 3.89(s, 3H), 3.92(s, 3H), 4.70-4.75(m, 1H), 5.49(s, 2H), 6.53(s, 1H), 7.06-7.11(m, 2H), 7.25-7.31(m, 2H), 7.35(t,J=7.6Hz, 1H), 7.44(s, 1H), 7.57(d,J=7.2Hz, 1H)
(중간체 18) (2-플루오로-5-하이드록시메틸-페닐)-아세틱 에시드의 합성
상기 중간체 5에서 제조된 화합물(2.2g, 11.94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43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표제화합물(400mg, 반응수율: 90%, 흰색 고체)을 얻었다.
<실험예 1>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 측정시험
약물의 인비트로(in vitro) 항암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설포로다민(Sulforhodamin)-B <SRB>법(1989, 미국국립암연구소(NCI))을 사용하여 A549(한국화학연구원), SK-OV-3(한국화학연구원), SK-MEL-2(한국화학연구원), HCT-15(한국화학연구원) 및 MCF7 세포(서울대 의과대학 암 연구소 세포주 은행)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할 세포들은 0.25% 트립신-EDTA용액으로 부착면으로부터 분리시키고 5×103~ 2×104세포/웰의 세포현탁액으로 제조한 후, 96웰 플레이트에 웰당 100ℓ씩 가하여 37℃, 5% CO2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시료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사용하였으며, 실험 직전에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시킨 후 배지(RPMI 1640)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의 최종 농도는 1μM ~ 0.00001μM의 다양한 농도로 사용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의 배지를 제거한 후 시료 희석액을 100ℓ씩 가한 후 37℃, 5% CO2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시료를 가한 시점에서 Tz(time zero)플레이트를 수집하였다. Tz 플레이트 및 배양이 완료된 후 각 플레이트로부터 배지를 제거하고 10% 트리클로로아세트산 (TCA)을 웰당 100ℓ씩 가하였다. 4℃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여 세포들을 플레이트의 바닥면에 고정시켰다. 세포의 고정이 완료된 후 플레이트를 물로 5~6회 세척하여 잔존한 트리클로로아세트산 용액을 완전히 제거하고 실온에서 남은 물기가 없도록 건조시켰다. 1% 아세트산 용액에 0.4% 설포로다민-B를 용해시킨 염색 용액을 완전히 건조된 플레이트에 웰당 100ℓ씩 가하여 30분 동안 세포를 염색하였다. 이것을 다시 1% 아세트산 용액으로 5~6회 세척하여 세포에 결합하지 않은 설포로다민-B를 모두 제거한 후 플레이트를 다시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여기에 10mM 트리스 용액 100ℓ를 가하여 염료를 용해시키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로 520㎚에서의 광학 밀도(OD, optical density)값을 측정하였다.
시료의 암세포에 대한 ED50값(암세포의 성장을 50% 억제하는 농도, 50% 유효농도(effective dose, nM/ml)를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시료를 가하여 배양을 시작하는 시간의 OD값을 Tz(time zero)값으로,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배양할 웰의 OD값을 대조값(C)으로, 시료를 처리하고 배양한 웰의 OD값을 시험값(T)으로 각각 정하였다. TZ, C 및 T를 구한 후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시료의 세포독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T ≤Tz인 경우, (T-Tz)/(C-Tz) x 100
T > Tz인 경우, (T-Tz)/Tz x 100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 값으로부터 로터스 프로그램의 회귀기능을 이용하여 약물의 암세포 성장을 50% 억제하는 농도인 유효농도(ED50)를 계산하였다.
또한, 대조 물질로서 파클리탁셀, 독소루비신 및 콜히친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NT: Not tested)
실시예 세포독성 [ED50: nM]
A549 SK-OV-3 SK-MEL-2 HCT15 MCF-7
파클리탁셀 0.2 1.5 0.1 0.1 0.9
독소루비신 13.0 47.0 16.0 25.0 50.0
콜히친 21.0 18.0 6.0 9.0 NT
실시예 1 1.8 1.0 0.4 0.6 NT
실시예 2 15.8 9.3 5.4 2.3 2.9
실시예 3 2.4 4.0 1.0 4.8 2.3
실시예 4 0.01 0.01 0.01 0.03 0.01
실시예 5 1.0 1.0 3.1 4.4 NT
실시예 6 0.70 0.37 0.08 0.27 0.16
실시예 7 >50 >50 >50 >50 >50
실시예 8 0.02 0.04 0.01 0.03 0.01
실시예 9 0.49 0.34 0.22 0.64 0.13
실시예 10 0.28 0.23 0.12 0.39 0.09
실시예 11 >50 >50 >50 >50 39.0
실시예 12 0.05 0.27 0.11 0.05 0.03
실시예 13 0.13 0.18 0.04 0.11 0.02
실시예 14 28.2 30.6 32.8 9.9 11.2
실시예 15 30.2 >50 22.5 23.4 18.8
실시예 16 1.6 1.0 1.0 1.0 NT
실시예 17 0.21 0.19 0.17 0.19 0.08
실시예 18 8.1 3.8 1.0 5.3 NT
실시예 19 23.5 34.8 31.0 10.1 8.2
실시예 20 3.93 1.83 2.47 1.03 1.15
실시예 21 0.97 0.59 0.29 0.13 0.10
실시예 22 1.11 1.41 0.87 0.95 0.21
실시예 23 5.4 5.6 3.5 3.4 3.3
실시예 25 8.8 5.4 14.0 15.0 NT
실시예 26 21.0 >50.0 47.0 >50.0 NT
실시예 27 5.0 16.0 7.0 2.0 NT
실시예 28 6.0 15.0 4.0 3.0 NT
실시예 29 1.1 3.0 0.9 0.8 NT
실시예 30 3.6 8.2 3.6 5.2 NT
실시예 31 1.10 3.0 0.9 0.8 NT
실시예 32 6.2 1.0 0.05 0.08 NT
실시예 33 3.8 6.6 2.9 1.0 NT
실시예 34 0.06 0.01 0.01 0.01 0.01
실시예 35 >50 >50 41.9 20.9 24.7
실시예 36 2.9 1.1 0.1 0.7 NT
실시예 37 >50 38.8 9.4 7.5 10.3
실시예 38 2.4 4.1 3.3 3.0 NT
실시예 39 40.7 28.2 >50 9.9 5.0
실시예 40 43.9 45.6 60.7 24.3 10.5
실시예 41 >50 >50 >50 36.4 47.3
실시예 42 >50 >50 >50 >50 >50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리사이클릭 유도체는 암세포주에 대해서 매우 강한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의 종양성장억제활성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의 종양성장억제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시료는 실험기간 중 냉장 보관하였다. 마우스 투여용량은 실시예 8에서 제조한 화합물(10 mg/kg),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화합물(1, 3, 10 mg/kg), 양성대조물질[탁솔(Taxol) - 3 mg/kg,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 2 mg/kg]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12의 화합물은 4% 트윈80, 양성대조물질인 탁솔의 경우에는 5% 에탄올 + 25% 크레모포(cremophor) + 75% PBS를 용매로 사용하였다. 조제된 시료는 방치할 경우 침전이 생기는 문제가 있어 투여 직전에 팁 소니케이션(tip sonication)을 실시하여 잘 분산시킨 뒤 동물에 투여하였다.
실험동물은 일본 Charles River 회사의 7주령 암컷 S.P.F BALB/c 누드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1주일 이상 무균동물실에서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물실의 온도는 21±2℃, 습도는 55±5 %였고, 명암은 12시간주기로 자동 조절하였다.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제일제당)는 방사선 멸균제품이었으며, 음수는 고압증기멸균기로 멸균하였다. 사료와 음수는 자유 섭취시켰다. 암세포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보존중인 인간폐암세포주(Human lung tumor cell line; NCI-H460)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이식할 암세포는 액체 질소 속에서 냉동보관 중이던 세포를 해동(thawing)한 후, CO2배양기내에서 온도 37℃와 CO2농도 5%로 맞춰서 적절한 기간 동안 배양한 후 최종일에 모든 세포를 수거하여 계수하고 PBS를 이용하여 3×107cells/ml의 세포농도로 조절하였다. 이렇게 조절된 세포배양액을 마우스에 마리 당 0.3ml씩 우측의 견갑부와 흉벽사이의 액와 부위 피하에 주입하였다. NCI-H460 이종이식된 누드 마우스(xenografted nude mice)는 암세포 이식 후 다음날부터 매일 1회 마우스 몸무게 20g당 0.2 ml씩 복강투여를 개시하였다.
암세포 이식 후 종양의 크기를 개체별로 측정하였으며, 종양의 크기는 vernier caliper를 이용하여 3 방향을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2로 표현하였다.
종양 크기(Tumor volume) = (길이×넓이×높이)/2
동물의 체중변화는 주 3회 정도 측정하였다. 각각의 암세포 이식 누드 마우스는 최종 부검일에 동물을 희생시켜 종양을 분리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모든 처리군의 실험결과는 t-Test로 대조군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종양의 크기 및 무게 측정 결과는 표 2, 도 1, 도 3 및 도 5에 나타내었으며, 마우스의 체중변화는 표 3, 도 2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투여량(㎎/㎏) 종양 크기(㎣) 종양 무게(㎎)
0일 4일 7일 9일 11일 14일 14일
V.C-1 0 0.0±0.0 28.3±8.1 53.5±13.7 98.3±25.5 167.5±43.8 295.2±62.2 1171.2±383.5
V.C-2 0 0.0±0.0 26.7±3.8 49.6±12.3 80.9±26.7 138.2±54.9 289.0±53.1 1087.9±300.5
실시예 8 10 0.0±0.0 18.0±3.7* 25.2±12.8** 29.6±13.8*** 35.2±14.0*** 44.5±15.0*** 143.4±57.8***
실시예 12 1 0.0±0.0 20.7±3.1 49.2±12.2 78.1±13.0 146.5±8.8 299.3±41.5 950.9±174.8
3 0.0±0.0 16.9±5.1* 31.2±11.7* 49.7±15.8** 96.1±26.1** 206.8±48.0* 714.5±103.8*
10 0.0±0.0 16.1±6.7* 24.6±9.8** 35.2±12.9*** 69.4±26.9*** 103.0±0 390.9±0
탁솔 2.5 0.0±0.0 17.5±4.6*** 32.7±3.8** 47.2±0 - - -
아드리아마이신 2 0.0±0.0 21.8±8.3 33.7±8.7* 47.6±16.2** 81.6±24.5** 138.1±39.9*** 534.1±87.9
※ 유의성 검정(t-Test) : *(p<0.05), **(p<0.01), ***(p<0.001),
V.C-1(용해보조액-1) : 4% 트윈80,
V.C-2(용해보조액-2) : 5% 에탄올 + 25% 크레모포 + 75% PBS
실험군 투여량(㎎/㎏) 동물수(n) 체중변화(%)
1일 3일 7일 9일 11일 14일
V.C-1 0 6 100.0±0.0 105.4±2.5 108.7±2.4 107.2±3.7 107.8±4.6 107.8±3.2
V.C-2 0 6 100.0±0.0 106.9±2.4 110.5±1.5 108.5±2.6 109.0±52.6 108.9±3.6
실시예 8 10 5 100.0±0.0 103.5±2.2 99.8±4.3** 92.3±4.1*** 89.3±3.7*** 89.4±5.3***
실시예 12 1 6 100.0±0.0 105.0±1.4 104.2±5.3 99.6±4.4** 97.5±3.6** 98.3±3.2***
3 6 100.0±0.0 102.8±2.0 101.8±4.2** 99.3±3.3* 99.1±2.8** 94.5±3.9***
10 6(14일- 2) 100.0±0.0 103.9±0.9 92.2±3.5*** 89.4±2.0** 92.3±2.9*** 93.4±0
탁솔 2.5 6(9일-2,11일, 14일-1) 100.0±0.0 106.0±1.5 99.2±4.0*** 97.1±0 - -
아드리아마이신 2 6 100.0±0.0 105.0±4.1 103.9±5.5 100.5±4.6* 96.4±3.5*** 85.1±1.8***
※ 유의성 검정(t-Test) : *(p<0.05), **(p<0.01), ***(p<0.001),
V.C-1(용해보조액-1) : 4% 트윈80,
V.C-2(용해보조액-2) : 5% 에탄올 + 25% 크레모포 + 75% PBS
표 2, 도 1, 도 3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실시예 8 및 실시예 12)를 인간폐암세포주인 NCI-H460 세포를 이식한 BALB/c 누드 마우스에 투여한 경우, 용매만 투여한 군(V.C-1, V.C-2) 및 양성대조물질(탁솔, 아드리아마이신)을 투여한 군보다 종양 크기 및 종양 무게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특히 실시예 12 화합물의 경우 1㎎/㎏ 투여하였을때보다 10㎎/㎏을 투여하였을때 종양 크기 및 종양 무게가 현저히 감소하였고, 실시예 8의 화합물인 경우 10㎎/㎏을 투여하였을때 85%의 종양 크기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종양 크기 및 종양 무게의 감소율은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의 투여량에 비례함을 알 수있다.
또한, 표 3, 도 2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실시예 8 및 실시예 12)를 인간폐암세포주인 NCI-H460 세포를 이식한 BALB/c 누드 마우스에 10㎎/㎏으로 투여한 경우, 용매만 투여한 군(V.C-1, V.C-2) 및 양성대조물질(탁솔, 아드리아마이신)을 투여한 군보다 마우스의 체중이 약 10% 정도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는 종양 크기 및 종양 무게를 감소시킴으로 항암억제효과가 우수하여, 항암제 및 항증식억제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3> HUVEC세포에서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의 혈관형성 억제활성에 미치는 영향(Capillary-like tube formation assay)
실험에 사용한 마트리겔(matrigel)은 BioCoat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사용하기 전에 24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여 녹였다. 녹인 마트리겔과 96 웰 플레이트, 노란 팁(yellow tip)을 얼음 위에 놓아둔 다음, 마트리겔을 96 웰 프레이트에 40㎕씩 분주하였다. 분주 후에 플레이트는 30분 동안 37℃ 배양기에서 중합 (polymerization) 시켰다. 각 플레이트에 HUVEC 세포를 2×104cells/㎖의 농도로 180㎕,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화합물 용액(in free serum media)을 용량별 (0.3, 1, 3, 10 및 30 ㎍/㎖)로 20㎕씩 각각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평가방법은 현미경상으로 사진 촬영하여 튜브형성 정도를 가지고 신생혈관생성억제활성을 판단하였다.
양성대조물질로는 푸마질린(fumagilin)과 독소루비신(doxorubicin)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실시예 12)는 0.3㎍/㎖ 이상에서 혈관형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양성대조물질인 푸마질린 10㎍/㎖과 동등한 저해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실시예 12)가 10㎍/㎖ 이상에서는 혈관형성이 완전히 저해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는 혈관신생억제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4> 급성 독성실험
실험동물로 5주된 체중 25 내지 30g의 ICR 마우스(SPF, 생산업체: 일본 SLC 사)를 각각의 실험 화합물 당 암수 각각을 사용하였다. 각 그룹당 실험동물 10 마리로 구성된 그룹(T2, T3, T4 및 T5)을 지정하고,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급성 독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하기 표 4에 나타내어진 용량으로 실험동물에게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용매제[5% DMSO; 20% 트윈 80; 75% PBS(-)]에 용해하여 복강주사 후 7일동안 관찰하였다. 대조군(T1)으로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제외한 용매제만을 투여한 그룹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 물질로서 콜히친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동물에 대한 급성 독성을 관찰하였다. 콜히친에 대해서 그룹은 실험동물 6 마리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 물질로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즈사의 탁솔 주사제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동물에 대한 급성 독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 독성 실험
그룹 동물수 투여용량(mg/kg) 실험일(사망)
1 2 3 4 5 6 7 총계
T1 10 용매제 - - - - - - - 0/10
T2 10 30 - - - - - - - 0/10
T3 10 40 - - - - - - - 0/10
T4 10 50 - - - - - - - 0/10
T5 10 60 - - - - - - - 0/10
콜히친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 독성 실험
그룹 동물수 투여용량(mg/kg) 실험일(사망)
1 2 3 4 5 6 7 총계
T1 6 용매제 - - - - - - - 0/6
T2 6 0.5 - - - - - - - 0/6
T3 6 1.0 - - - - - - - 0/6
T4 6 2.0 - - 1 - - 2 - 3/6
T5 5 5.0 - 3 - 1 1 - - 5/5
탁솔 주사제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 독성 실험
그룹 동물수 투여용량(mg/kg) 실험일(사망)
1 2 3 4 5 6 7 총계
T1 5 4.0 - - - - - - - 0/5
T2 5 6.0 - 1 - - - - - 1/5
T3 5 9.0 - - - - 2 - - 2/5
T4 5 13.0 2 2 - - - - - 4/5
T5 5 20.0 5 - - - - - - 5/5
표 4, 표 5 및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연물인 콜히친의 마우스에 대한 독성은 LD50= 2mg/kg을 나타내어 문헌에 보고된 LD50= 1.6mg/kg과 근접한 결과 [참고: Medicinal Research Reviews, Vol.8, No.1, 77-94 (1988)]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파클리탁셀 제제인 탁솔 주사제의 독성은 LD50= 9∼13 mg/kg 정도 (i.v.투여)로 나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화합물의 경우 LD50= 60mg/kg 이상을 나타내어 콜히친보다 30배 이상 독성이 약함을 알 수 있고, 파클리탁셀 제제인 탁솔 주사제 보다도 독성이 약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콜히친 또는 탁솔 주사제보다 정상 세포에 대한 독성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사이클릭 유도체는 암세포주에 대해서는 매우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고, 동물독성실험에서는 콜히친 또는 탁솔 주사제보다 독성이 현저히 감소되며, 종양 크기 및 종양 무게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HUVEC 세포에서 강력한 혈관신생억제작용을 나타내므로, 임상적으로 유용한 항암제, 항증식억제제 및 혈관신생억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리사이클릭 유도체는 비교적 간단하여 쉽게 얻을 수 있고, 수용해도가 높아서 경구용 제제, 주사제등으로 제제화가 보다 더 용이한 장점을 갖고 있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1) R1은 화학식 -T1-B1이고;
    상기에서 T1은 -X1-, -X1-C(X2)-, -N(R5)-, -N(R5)C(X2)-, -N(R5)S(O)n1-, -N(R5)C(O)-X1- 또는 -N(R5)C(X1)NH- 이고, 이 때 X1, X2는 각각 O 또는 S이고, R5는 각각 수소 또는 C1∼C5알킬기이고, n1은 1~2의 정수이고; B1은 다음 (a)∼(j)의 기중 하나에서 선택되고,
    상기에서 R6과 R8은 각각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C1∼C3알콕시, 아미노, 니트로, 시아노 또는 C1∼C3저급알킬기이고; R7과 R9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하이드록시, 메르캅토, -ONO, -ONO2또는 SNO이며, 이 때 R7과 R9은 같거나 다를 수 있고;
    는 헤테로원자를 1~2개 포함하는 C5∼C6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이고, 이 때 상기 헤테로원자는 O, S 및 N에서 각각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위치 2번 및 6번 또는 2번 및 5번에 치환된 C1(피리딜기), 2번 및 5번 또는 2번 및 4번에 치환된 C7(피롤릴기), C11(티오페닐기) 또는 C12(푸라닐기)이며, 치환체의 결합은 대칭 및 비대칭 위치에 있을 수 있고; Z1은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를 갖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2∼C5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를 갖는 알킬이거나 치환기를 갖는 사이클로 알킬기이고; Z2와 Z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를 의미하며, 이 때 Z2가 메틸기일 때는 Z3는 수소이고, Z3가 메틸기일 때는 Z2가 수소이고; T2는 -X1- 또는 -X1-C(X2)- 이고, 이 때 X1, X2는 각각 O나 S이고; B2는 상기 (a), (b), (c), (d) 또는 (e) 기중 하나에서 선택되고;n2는 0~3의 정수이고, n3는 0~5의 정수이고, n4는 1~5의 정수이고, n5와 n6는 각각 독립적으로 1~6의 정수이고;
    (2) R2과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PO3H2, 포스포네이트, 설페이트, C3∼C7사이클로알킬, C2∼C7알케닐, C2∼C7알카이닐, C1∼C7알카노일, C1∼C7의 직쇄 또는 측쇄알킬 또는 당이고, 이 때 당은 글루크로닐, 글루코실 또는 갈락토실과 같은 단당류를 의미하고;
    (3) R4는 OCH3, SCH3또는 NR10R11이고, 이 때 R10과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5알킬이고;
    (4) X는 O 또는 S 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1) R1은 화학식 -T1-B1이고;
    상기에서 T1은 -N(R5)C(X2)-, -N(R5)C(O)-X1- 또는 -N(R5)C(X1)NH- 이고, 이 때 X1, X2는 각각 O 이고, R5는 각각 수소 또는 C1∼C5알킬기이고; B1은 다음 (a)∼(j)의 기중 하나에서 선택되고,
    상기에서 R6과 R8은 각각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C1∼C3알콕시, 아미노, 니트로, 시아노 또는 C1∼C3저급알킬기이고; R7과 R9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하이드록시, 메르캅토(티올기), -ONO, -ONO2또는 SNO이며, 이 때 R7과 R9은 같거나 다를 수 있고;
    는 헤테로원자를 1~2개 포함하는 C5∼C6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이고, 이 때 상기 헤테로원자는 O, S 및 N에서 각각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위치 2번 및 6번 또는 2번 및 5번에 치환된 C1(피리딜기), 2번 및 5번 또는 2번 및 4번에 치환된 C7(피롤릴기), C11(티오페닐기) 또는 C12(푸라닐기)이며, 치환체의 결합은 대칭 및 비대칭 위치에 있을 수 있고; Z1은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를 갖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2∼C5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를 갖는 알킬이거나 치환기를 갖는 사이클로 알킬기이고; Z2와 Z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를 의미하며, 이 때 Z2가 메틸기일 때는 Z3는 수소이고, Z3가 메틸기일 때는 Z2가 수소이고; T2는 -X1- 또는 -X1-C(X2)- 이고, 이 때 X1, X2는 각각 O나 S이고; B2는 상기 (a), (b), (c), (d) 또는 (e) 기중 하나에서 선택되고;n2는 0~3의 정수이고, n3는 0~5의 정수이고, n4는 1~3의 정수이고, n5와 n6는 각각 독립적으로 1~3의 정수이고;
    (2) R2과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3∼C7사이클로알킬 또는 C1∼C7알킬이고;
    (3) R4는 SCH3또는 OCH3이고;
    (4) X는 O 또는 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사이클릭 유도체가
    1) 6-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니코틴아미드;
    2) 5-니트로옥시메틸푸란-2-카르복실릭에시드-[(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
    3) N-[(7S)-3-이소프로폭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4) N-[(7S)-3-에톡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5) 6-니트로옥시메틸피리딘-2-카르복실릭에시드-[(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
    6) 5-니트로옥시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에시드-[(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
    7) N-[(7S)-3-시클로펜틸옥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8) N-[(7S)-3-에톡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2-플루오로-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9) 2-플루오로-N-[(7S)-3-이소프로폭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0) 2-플루오로-3-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1) N-[(7S)-3-시클로펜틸옥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 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2-플루오로-3-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2) 3-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3) N-[(7S)-3-에톡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3-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4)3-플루오로-N-[(7S)-3-이소프로폭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5-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5) N-[(7S)-3-시클로펜틸옥시-1,2-디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3-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벤즈아미드;
    16) 4-플루오로-3-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7) 2-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8) 3-하이드록시-5-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19) 3,5-bis-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20) 2-하이드록시-4-니트로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21) 4-니트로옥시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에시드 [(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
    22) 3-니트로옥시메틸-티오펜-2-카르복실릭에시드 [(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미드;
    23) 2-(3-니트로옥시메틸-페닐)-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세트아미드;
    24)3-(2-니트로옥시-에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25) 3-니트로옥시벤조익에시드-5-[(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에스테르;
    26) 4-니트로옥시부티릭에시드-5-[(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에스테르;
    27) 3-니트로옥시메톡시벤조익에시드-6-[(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에스테르;
    28) 4-니트로옥시부티릭에시드-6-[(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에스테르;
    29)3-니트로옥시메틸벤조익에시드-2-[(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페닐에스테르;
    30) 4-니트로옥시부티릭에시드-2-[(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페닐에스테르;
    31)3-니트로옥시메틸벤조익에시드-3-[(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페닐에스테르;
    32) 4-니트로옥시부티릭에시드-3-[(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페닐에스테르;
    33)3-니트로옥시메틸벤조익에시드-3-[(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벤질에스테르;
    34) 4-니트로옥시부티릭에시드-3-[(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카바모일]-벤질에스테르;
    35) 2-니트로소티오-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36) 3-니트로소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
    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37) 3-플루오로-5-니트로소옥시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38) 3-니트로소티오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39) 3-플루오로-5-니트로소티오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히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40) 3-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N-[(7S)-1,2,3,10-테트라메톡시-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41) 3-니트로옥시메틸-N-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42) 3-플루오로-N-5-니트로옥시메틸-메틸-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벤즈아미드;
    43) 2-(3-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페닐)-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세트아미드; 또는
    44) 2-(2-플루오로-5-니트로옥시메틸-페닐)-N-[(7S)-1,2,3-트리메톡시-10-메틸설파닐-9-옥소-5,6,7,9-테트라하이드로-벤조[a]헵타렌-7-일]-아세트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4. 하기 반응식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1)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화학식(IV)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V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V)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VII)의 화합물을 제조하거나, 생성된 화학식(VII)의 화합물을 할로겐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V)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및
    (2) 상기 제조된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VII)을 니트로화 반응 또는 니트로소화 반응시켜 화학식 (II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로 이루어지는 트리사이클릭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반응식 1>
    (상기 반응식에서 D는
    이고, 이 때, R2, R3, R4및 X는 제 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5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을 나타내고, X1은 O 또는 S를 나타내고, Hal1과 Hal2은 할로겐을 나타내고, 일반식(IV)의 Hal1과 Hal2는 각각 같거나 다른 할로겐, 예를 들면 F, Cl, Br 또는 I를 나타내고; Y는 다음 일반식 (a'), (b'), (c'), (d') 또는 (e')을 나타내고,
    이 때,, R6, R8, R9, Z1, Z2, Z3, n2, n3, n4, n5및 n6는 제 1항의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또는 항증식억제제.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억제제.
KR1020040047277A 2003-06-25 2004-06-23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0667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1547 2003-06-25
KR1020030041547 2003-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383A true KR20050001383A (ko) 2005-01-06
KR100667464B1 KR100667464B1 (ko) 2007-01-10

Family

ID=3609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277A KR100667464B1 (ko) 2003-06-25 2004-06-23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070179143A1 (ko)
EP (1) EP1646608B1 (ko)
JP (1) JP4430071B2 (ko)
KR (1) KR100667464B1 (ko)
CN (1) CN100393698C (ko)
AT (1) ATE500216T1 (ko)
AU (1) AU2004249639B2 (ko)
CA (1) CA2531543C (ko)
DE (1) DE602004031621D1 (ko)
DK (1) DK1646608T3 (ko)
ES (1) ES2358801T3 (ko)
HK (1) HK1095133A1 (ko)
RU (1) RU2326864C2 (ko)
WO (1) WO20041132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2160B2 (en) 2009-07-08 2014-06-03 Je Il Pharmaceutical Co., Ltd. Method for preparing tricyclic derivatives
KR101494280B1 (ko) * 2012-12-28 2015-02-23 한국화학연구원 콜치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2612B2 (en) 2001-05-28 2009-11-24 Chemtech Research Incorporation Tricyclic derivatives and their use
US20070135380A1 (en) 2005-08-12 2007-06-14 Radiorx, Inc. O-nitro compound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and uses thereof
US7507842B2 (en) 2005-08-12 2009-03-24 Radiorx, Inc. Cyclic nitro compound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and uses thereof
ES2524474T3 (es) 2006-02-21 2014-12-09 Toyama Chemical Co., Ltd.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ón de éster 3-[5-[4-(ciclopentiloxi)-2-hidroxibenzoil]-2-[3-(hidroxi-1,2-benzisoxazol-6-il)metoxi]fenil]propionato e intermedio para este procedimiento
PL2470499T3 (pl) * 2009-08-26 2019-11-29 Alberta Health Services Nowe pochodne kolchicyny, sposoby i ich zastosowania
US8471041B2 (en) 2010-02-09 2013-06-25 Alliant Techsystems Inc. Methods of synthesizing and isolating N-(bromoacetyl)-3,3-dinitroazetidine and a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KR101130754B1 (ko) * 2010-06-25 2012-03-28 제일약품주식회사 난용성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화합물의 용해도가 향상된 약학적 조성물
US8664247B2 (en) 2011-08-26 2014-03-04 Radiorx, Inc. Acyclic organonitro compounds for use in treating cancer
JP6019126B2 (ja) 2011-10-07 2016-11-02 エピセントアーレ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EpicentRx, Inc. 有機ニトロチオエーテル化合物およびその医療用途
WO2013052803A2 (en) 2011-10-07 2013-04-11 Radiorx,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a nitrite-reductase promoter for treatment of medical disorders and preservation of blood products
CN104649943B (zh) * 2015-01-28 2016-10-05 中国科学院上海高等研究院 秋水仙碱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0342778B1 (en) 2015-10-20 2019-07-09 Epicentrx, Inc. Treatment of brain metastases using organonitro compound combination therapy
US9987270B1 (en) 2015-10-29 2018-06-05 Epicentrix, Inc. Treatment of gliomas using organonitro compound combination therapy
KR20190040931A (ko) 2016-01-11 2019-04-19 에피센트알엑스, 인코포레이티드 2-브로모-1-(3,3-디니트로아제티딘-1-일)에타논의 정맥내 투여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WO2017148902A1 (de) 2016-03-03 2017-09-08 Bayer Pharma Aktiengesellschaft Neue 2-substituierte indazol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pharmazeutische präparate die diese enthalten, sowie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arzneimitteln
WO2017207385A1 (de) 2016-05-31 2017-12-07 Bayer Pharma Aktiengesellschaft Substituierte 3-methylindazol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pharmazeutische präparate, die diese enthalten, sowie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arzneimitteln
SG11201809470RA (en) 2016-06-01 2018-11-29 Bayer Animal Health Gmbh Substituted indazoles useful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llergic and/or inflammatory diseases in animals
WO2018060174A1 (de) 2016-09-29 2018-04-05 Bayer Pharma Aktiengesellschaft Substituierte benzimidazole, pharmazeutische präparate diese enthaltend, sowie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arzneimitteln
EP3526195A4 (en) 2016-10-14 2020-05-20 EpicentRx, Inc. SULFOXYALKYL ORGANONITRO AND RELATED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USE IN MEDICINE
KR102420944B1 (ko) * 2016-10-26 2022-07-15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3-메틸-2-티오펜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US11744859B2 (en) 2017-07-07 2023-09-05 Epicentrx,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of therapeutic agents
WO2019164593A2 (en) 2018-01-08 2019-08-29 Epicentrx,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utilizing rrx-001 combination therapy for radiopro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3675A (en) 1984-04-17 1985-08-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arbamates of colchicine for treatment of gout
IT1276996B1 (it) * 1995-06-27 1997-11-04 Indena Spa Derivati della colchicina, loro uso e formulazioni che li contengono
IT1291550B1 (it) 1997-04-11 1999-01-11 Indena Spa Derivati della colchicina e della tiocolchicina ad attivita' antinfiammatoria e miorilassante
JP2004529204A (ja) 2001-05-28 2004-09-24 ケムテック、リサーチ、インコーポレーション 新規なアルカロイド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2160B2 (en) 2009-07-08 2014-06-03 Je Il Pharmaceutical Co., Ltd. Method for preparing tricyclic derivatives
KR101494280B1 (ko) * 2012-12-28 2015-02-23 한국화학연구원 콜치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249639B2 (en) 2008-07-17
HK1095133A1 (en) 2007-04-27
EP1646608A1 (en) 2006-04-19
KR100667464B1 (ko) 2007-01-10
AU2004249639A1 (en) 2004-12-29
ES2358801T3 (es) 2011-05-13
RU2006101987A (ru) 2006-07-10
RU2326864C2 (ru) 2008-06-20
CA2531543C (en) 2010-10-12
CA2531543A1 (en) 2004-12-29
CN1826316A (zh) 2006-08-30
JP2007520422A (ja) 2007-07-26
ATE500216T1 (de) 2011-03-15
JP4430071B2 (ja) 2010-03-10
DK1646608T3 (da) 2011-06-14
EP1646608B1 (en) 2011-03-02
WO2004113281A1 (en) 2004-12-29
DE602004031621D1 (de) 2011-04-14
EP1646608A4 (en) 2006-11-22
CN100393698C (zh) 2008-06-11
US20070179143A1 (en)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464B1 (ko)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SK50793A3 (en) Method for preparing taxane derivatives, novel derivatives thereby obtaine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EP3190103A1 (en) Inhibitors of the pd-1/pd-l1 protein/protein interaction
JP4451595B2 (ja) 炎症ベースの疾患用薬剤としてのニトロ誘導体
KR20040022238A (ko) 카르복실산 유도체 화합물 및 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약제
KR20100132073A (ko) Pai―1 저해제
WO2019008156A1 (en) INHIBITORS OF PROTEIN / PROTEIN INTERACTION PD-1 / PD-L1
US10905668B2 (en) Retinoid derivatives with antitumor activity
US4904680A (en) Amino acid derivatives having anti-tumor activity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11819484B2 (en) Retinoid derivatives with antitumor activity
JP3231775B2 (ja) 心循環器系に作用する2−アミノ−1,2,3,4−テトラヒドロナフタレン誘導体、それら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れらを含む医薬組成物
US7119229B2 (en) Alkaloid derivative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6251882B1 (en) Alkyl ketones as potent anti-cancer agents
WO2000000469A2 (en) Alkyl ketones as potent anti-cancer agents
WO2019008152A1 (en) 3-CYANOTHIOPHE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PROTEIN / PROTEIN INTERACTION PD-1 / PD-L1
WO2019008154A1 (en) 3- (AZOLYLMETHOXY) BIPHENYL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PROTEIN / PROTEIN INTERACTION PD-1 / PD-L1
CN110526955A (zh) 含异羟肟酸结构片段的18β-甘草次酸类化合物及其应用
JP3093280B2 (ja) フェニルアセトアミド誘導体
US10112918B2 (en) 15-oxospiramilacton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and uses thereof
JPH06500315A (ja) ベンズアミド誘導体
JP2011513259A (ja) 細胞増殖の阻害剤、及びそれらの使用
WO2004016622A1 (es) Derivados de 4-4&#39;-bipiridil-2-2&#39;-bisoxazoles y 4-4&#39;-bipiridil-2-2&#39;-bistiazoles como agentes antineoplásicos
KR20010113007A (ko) 항암제로서 유용한 n-치환된 피페리디닐우레아 유도체 및그의 제조방법
BR102012022547A2 (pt) Oxazolidinas aromáticas quirais n-substituídas, processo de síntese,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uso
DE10241287A1 (de) 9-Benzyliden-naphtho-[2,3b]-thiophen-4-one als neue Inhibitoren der Tubulin-Polymeris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