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0514A - 양면 펠티어 접합을 이용하는 열전 장치 및 그 열전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양면 펠티어 접합을 이용하는 열전 장치 및 그 열전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0514A
KR20050000514A KR10-2004-7016486A KR20047016486A KR20050000514A KR 20050000514 A KR20050000514 A KR 20050000514A KR 20047016486 A KR20047016486 A KR 20047016486A KR 20050000514 A KR20050000514 A KR 20050000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heat source
source member
elements
thermoelectric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벤카타수브라마니안라마
시보라에드워드피
Original Assignee
리써치 트라이앵글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써치 트라이앵글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리써치 트라이앵글 인스티튜트
Publication of KR20050000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5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1Structural details of the junction
    • H10N10/817Structural details of the junction the junction being non-separable, e.g. being cemented, sintered or sold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10N10/852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comprising tellurium, selenium or sulf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 장치와 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반대의 전도 방식의 열전 소자(23, 27)들은 열원 부재(25)의 각각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히트 싱크(20, 29)는 열전 소자(23, 27)의 양측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펠티어 금속 접점들은 열전 소자와 각각의 열원 부재 및 히트 싱크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 개의 장치는 열적으로 병렬, 전기적으로 직렬인 배열로 혹은 열적으로 병렬, 전기적으로 병렬인 배열로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자들의 배치는 상기 소자들의 쌍을 통한 전류 흐름의 방향이 금속 접점을 통한 전류 흐름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도록 해준다.

Description

양면 펠티어 접합을 이용하는 열전 장치 및 그 열전 장치의 제조 방법 {THERMOELECTRIC DEVICE UTILIZING DOUBLE-SIDED PELTIER JUNC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DEVICE}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관련 기술로서 합체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6,330,150호에는 열전 장치와 그 열전 장치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열전 소자(p, n)들은 헤더의 동일한 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호 접속 부재들의 표면은 헤더의 표면에 대해 평행하다. 상기 열전 장치의 단면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열전 장치는 냉각 헤더의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열전 소자들을 포함한다. p형 열전 소자(13)는 금속배선(metalization)(12)에 의해 제1 히트 싱크(10) 상의 전기 리드선(11)에 그 일측면이 접속되어 있다. 펠티어 접합 금속배선(예컨대, Cr/Au, Ni/Au, Cr/Au/Ni/Au)은 전기적으로 도전성이 있다. 상기 p형 열전 소자(13)는 펠티어 접합 금속배선(16)에 의해 열원(예컨대, 헤더)(17)에 그 타측면이 접속되어 있다. 소자(14)는 Cr/Au 등의 저항성 금속배선이며, 소자(15)는 Ni와 같은 확산 배리어(diffusion barrier)이다. n형 열전 소자(19)는 펠티어 접합 금속배선(20)에 의해 히트 싱크(10) 상의 전기 리드선(21)에 그 일측면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n형 열전 소자(19)는 펠티어 접합 금속배선(16)에 의해 열원(17)에 그 타측면이 접속되어 있다. 소자(18)는 소자(14)와 같은 저항성 금속배선이다. 전압 극성(+,-)은 냉각용을 도시되어 있다.
p형 및 n형 열전 소자(13, 19) 양자용으로 통상적인 하나의 히트 싱크(10)와, 열전 소자용으로 통상적인 하나의 열원(예컨대, 헤더)(17)이 존재한다. 상기 n형 및 p형 소자들은 모듈 제작 도중에 헤더(17)의 동일한 측면 상에서 혼합(intermingling)되며, 이것은 제조 공정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열전 장치(thermoelectric device)의 배열과 비교하여 그 열전 장치의 효율성 및 제조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열전 소자(thermoelement)들을 구비한 열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열전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 장치의 열 흐름(heat flow)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열 적으로 병렬, 전기적으로 직렬인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열 적으로 병렬, 전기적으로 직렬인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열 적으로 병렬, 전기적으로 병렬인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 장치의 치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초격자(superlattice) 열전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모듈의 제조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모듈의 제조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모듈의 제조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모듈의 제조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모듈의 제조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개량된 열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 장치의 제조를 단순화시키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열원 부재와, 상기 열원 부재의 일측면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전도 방식의 제1 열전 소자와, 상기 열원 부재의 일측면에 반대인 열원 부재의 타측면 상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하나의 전도 방식에 반대인 전도 방식의 제2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제1 히트 싱크는 상기 제1 열전 소자에 부착될 수 있고, 또한 제2 히트 싱크는 상기 제2 열전 소자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에 접점이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를 통한 전류 흐름의 방향이 상기 접점을 통한 전류 흐름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는 각각 벌크 소자, 박막 소자 혹은 초격자 소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또한 제1 전도 방식의 제1 열전 소자와, 상기 제1 전도 방식과 반대인 전도 방식의 제2 열전 소자와,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들 사이에 배치된 열원 부재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에는 접점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와 상기 접점은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를 통한 전류 흐름의 방향이 상기 접점을 통한 전류 흐름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히트 싱크는 상기 제1 열전 소자에 부착될 수 있고, 또한 제2 히트 싱크는 상기 제2 열전 소자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는 각각 벌크 소자, 박막 소자 혹은 초격자 소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열원 부재와, 상기 열원 부재의 일측면에 접속되어 있는 단 하나의 전도 방식의 복수 개의 제1 열전 소자와, 상기 열원 부재의 일측면에 반대인 열원 부재의 타측면 상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하나의 전도 방식에 반대인 전도 방식의 복수 개의 제2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제1 히트 싱크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열전 소자의 각각에 부착될 수 있고,제2 히트 싱크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열전 소자의 각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와 상기 접점은,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의 각각의 쌍을 통한 전류 흐름의 방향이 상기 접점을 통한 전류 흐름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는 각각 벌크 소자, 박막 소자 혹은 초격자 소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전도 방식의 열전 소자들만이 열원 부재의 양측면 중 각각에 있게 되도록 열원 부재의 양측면에 제1 및 제2 열전 소자들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를 조작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접점을 통한 전류 흐름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의 각 쌍을 통한 전류의 흐름을 초래하도록 각각의 열전 소자들과 열원 부재 사이에 접점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완벽한 이해와 본 발명의 부수적인 여러 장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고찰한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체의 도면을 걸쳐 같은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일치하는 구성 부품들을 지시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전압 극성(+, -)이 냉각용으로 도시되어 있는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 도면은 축척으로 도시된 것이 아니지만 상기 장치의 특징들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된 것임을 주목해야 한다. 구성 요소들의 치수는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의 치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상기 장치는 냉각 헤더(cooling header)의 양측면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열전 소자를 포함한다. p형 열전 소자(27)는 펠티어 접합 금속배선(Peltier junction metalization)(28)에 의해 제1 히트 싱크(29) 상의 전기 리드선(30)에 그 일측면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펠티어 접합 금속배선은 전기적으로 도전성이 있다. 상기 p형 열전 소자(27)는 펠티어 접합 금속배선(26)에 의해 열원(헤더)(25) 상의 접점(31)에 그 타측면이 접속되어 있다. n형 열전 소자(23)는 펠티어 접합 금속배선(22)에 의해 히트 싱크(20) 상의 전기 리드선(21)에 그 일측면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n형 열전 소자(23)는 펠티어 접합 금속배선(24)에 의해 열원(25) 상의 접점(31)에 그 타측면이 접속되어 있다.
n형 및 p형 열전 소자들은 유기금속 화학 증착법(MOCVD), 화학 증착법(CVD), 분자선 에피택시(MBE: molecular beam epitaxy) 및 다른 에피택셜/비에피택셜 프로세스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성장 혹은 증착 혹은 전달된 수 미크론 내지 수십 미크론 범위의 두께의 박막이다. 상기 박막은 박막 초격자 혹은 비초격자 열전 재료, 양자-우물(quantum-well)(2차원으로 양자 구속 타입) 및 양자-도트(quantum-dot)(3차원으로 양자 구속 타입) 구조의 재료, 그리고 비 양자 구속(non-quantum-confined)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벌크 재료(bulk material)로부터 박리되는 재료를 사용해도 좋다.
상기 헤더(17)의 양측면 상에 p형 및 n형 열전 소자(13, 19)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얻게 되는 장점은 히트 소스 헤더의 일측면 상의 모든 p형 소자들의 배치와 이에 대응하게 히트 소스 헤더의 타측면 상의 n형 소자들의 배치를 단순화시키는 데 있다.
열원(25)으로부터 나오는 에너지는 펠티어 접합부에 인터페이스로 접속/연통(interfaced/communicated) 된다. 이것은 공기의 흐름이나 다른 높은 열전달 계수의 액체, 예컨대 물이나 탄화불소 유체의 흐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열은 예컨대, 금속배선(24, 26)에 의해 형성된 펠티어 접합부에서 열원 유체로부터 병렬식(화살표 32로 개략적으로 표시됨)으로 흡수된다. 헤더(20, 29) 상에 평행하게 쌓인 열은 제거된다(화살표 33 과 34로 각각 개략적으로 표시됨). 도 3에 도시된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전류는 금속(28)에서 p형 열전 소자(27)를 통해, 펠티어 접합부를 통해 그리고 n형 열전 소자(23)를 통해 금속(22)으로 흐른다. p형 열전 소자(27)는 Bi2Te3/Sb2Te3초격자 혹은 Si/Ge 초격자 등의 p형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n형 열전 소자(23)는 Bi2Te3/Bi2Te3- xSex초격자 혹은 Si/Ge 초격자 등의 n형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개개의 초격자 층들 사이에서 교번하는 격자 상수를 지닌 열전 재료로 이루어진 다른 적절한 초격자가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치는 미국 특허 제6,300,15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헤더의 동일한 측면 상에서 n형 및 p형 요소들의 혼합(intermingling)과 관련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로 인해, p-n 커플(couple), 나아가 풀-스케일(full-scale) 모듈을 생성하기 위해 p형 및 n형 열전 소자들의 어셈블리에서 실질적인 장점이 도출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고밀도(large-scale) 웨이퍼를 사용하는 데에도더욱 편리하게 만들 수 있다. 예컨대, 유사한 형태의 열전 재료의 증착, 증착된 열전 재료의 패턴화, 그리고 이에 후속하는 금속화는 동일한 열전 장치의 웨이퍼 상에서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장치 웨이퍼는 적절한 열전도율을 가질 경우 헤더 자체를 구성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증착된 장치의 층들은 장치 웨이퍼로부터 제거되고 또 헤더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열전 소자들은 모듈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열적으로 병렬, 전기적으로 직렬인 양면 펠티어 접합 모듈을 도시한 도 4에 그 일례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헤더의 동일한 측면 상에 형성된 동일한 전도 방식의 요소들을 구비하는 3개의 열전 장치(40, 41, 42)가 열원(44)과 히트 싱크(헤더)(43, 45)에 접속되어 있다. 열의 움직임은 개략적으로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이 전압 극성(+, -)의 배열은 냉각용으로 도시되어 있다.
열적으로 병렬, 전기적으로 직렬인 양면 펠티어 접합 모듈의 또 다른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 모듈은 열원(헤더)(54)과 히트 싱크(헤더)(53, 55)에 접속된 열전 장치(50, 51, 52)를 포함한다. 열전달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헤더에 대한 상기 장치의 n 및 p형 소자의 배향은 교체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전술한 "혼합(intermingled)" 형상에서, 도 4에 제안된 양면 펠티어 접합 개념에 따라 헤더의 동일한 측면 상에서 종래의 p형 및 n형의 연장부인 장치(50)의 n형 소자는 상호 접속부(56)에 의해 장치(51)의 p형 소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장치(51)의 n형 소자는 상호 접속부(57)에 의해 장치(52)의 p형 소자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전기 리드선(56, 57)은 인접하는 장치들 사이에서 전기적 상호접속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기 리드선이나 상호 접속부들은 필요에 따라 헤더(53, 55)에서 컴팩트한 동축의 전기 지그(jig)를 통해 경로가 정해질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전기적인 경로를 지정하는 것은 도 4의 모듈의 경우보다 더 간단하다. 더욱이, 동일한 경우, 이러한 전기 리드선은 이 전기 리드선이 히트 싱크 쪽에 있는 한 열의 "발열체(radiator)"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미국 특허 출원번호 제10/169,721호를 참조하기 바라며, 이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관련 기술로서 합체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6,300,150호에 개시된 열 적으로 병렬이고, 전기적으로 직렬인 단일면 펠티어 접합 열전 모듈에 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적으로 병렬, 전기적으로 직렬인 열전 모듈의 잠재적인 하나의 장점은 펠티어 접합에서의 상호 접속부 저항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 접속부 저항의 감소는 본 발명에서 펠티어 금속배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열전 소자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따른다는 사실로부터 도출된다. 이것은 측면 방향에 비해 수직 방향으로 저항을 감소시키기가 더 용이하다는 사실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열적으로 병렬, 전기적으로 직렬인 양면 펠티어 접합 열전 모듈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장치(60, 61, 62)들은 히트 싱크(헤더)(63, 65)와 열원(헤더)(64)에 접속되어 있다. 열 흐름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장치(60-62)의 각각의 p형 소자는 상호 접속부(66)에 접속되어 있고, 장치(60-62)의 각각의 n형 소자는 상호 접속부(67)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는 전류 요구 조건이 낮을 때 낮은-T(낮은 냉각 온도 요구 조건 혹은 대기로부터 낮은 가열 온도 요구 조건) 시스템에 특히유용할 수 있다. 낮은 전류 요구 조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의 병렬식 확립(parallel confirmation)으로 충족될 수 있지만, 전기적인 경로를 정하는 것은 또한 도 4의 장치에 비해 현저하게 더 간단해진다.
양호하게는, 상기 p형 및 n형 열전 소자들은 벌크 재료 혹은 박막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장치들은 용례에 알맞은 임의의 치수일 수 있다. 도 7은 일반적인 열전 소자의 치수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서, p형 열전 소자(70)는 접점(71, 7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박막형 장치에 있어서, l은 약 1.0 ㎛ 내지 1000 ㎛, w는 약 10 ㎛ 내지 1000 ㎛, 그리고 h는 약 1.0 ㎛ 내지 1000 ㎛의 범위에 속한다. 벌크 장치의 경우, l, h 및 w는 각각 통상 1 mm이다. n형 열전 소자에 대한 기본적인 치수는 성능 지수(figure-of-merit)(ZT), 열전도율(K), 그리고 전체의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Venkatasubramanian 등의 명의의, Nature, 제413권, 제597-602면(2001. 10. 11일자)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n형 및 p형 소자의 제벡(Seebeck) 계수(∝) 및 전기 전도도(σ) 등의 다른 파라미터에 따라 p형 열전 소자에 대한 기본적인 치수와 유사한 것으로 예측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열전 소자의 단면이 직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원형 단면 또는 다른 단면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열전 소자의 상기 치수 l 과 w, 열원 플레이트의 깊이,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히트 싱크 플레이트의 치수들은 열전달 계수를 최적화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티어 금속배선(71, 72)의 높이는 더 양호한 열전달을 위해 열원 플레이트의 높이와 상이하게 만들 수 있다(예컨대, 소자(71)의 높이 ≒ 소자(28, 30)의 높이를 더한 높이, 그리고 소자(72)의 높이 ≒ 소자(22, 31)의 높이를 더한 높이). 예컨대, 열원 플레이트의 높이가 더 높을수록 더 용이한 유체 흐름을 유발할 수 있는 반면(채널의 높이는 열원 플레이트 내에서 펠티어 금속의 높이임), 펠티어 금속배선의 높이가 더 작아질수록 더 낮은 펠티어 금속배선의 전기 저항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n형 및 p형 열전 소자의 또 다른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n형 열전 소자(83)는 펠티어 금속배선(82)에 의해 히트 싱크(헤더)(80)의 전기 리드선(81)에, 그리고 펠티어 금속배선(84)에 의해 열원(헤더)(85)의 전기 리드선(91)에 접속되어 있는 초격자 열전 소자(평행선들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됨)이다. p형 열전 소자(87)는 펠티어 금속배선(88)에 의해 히트 싱크(헤더)(89)의 전기 리드선(90)에, 그리고 펠티어 금속배선(86)에 의해 열원(헤더)(85)의 전기 리드선(91)에 접속되어 있는 초격자 열전 소자이다. 초격자 n형 및 p형 열전 소자들에 있어서, 전류 흐름은 초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직이거나 대략 수직이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전류는 p형 열전 소자에서 n형 열전 소자로 진행하는 동안 펠티어 접합 금속배선을 통해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흐른다. 초격자 열전 소자들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임의의 구조에 사용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펠티어 접합 금속배선 저항을 낮출 수 있으며, 그리고 현저한 손실 없이 작동(열전달) 유체와 펠티어 접한 금속배선 사이에서 효율적인 열 전달을 달성할 수 있다. 양면 펠티어 접합 구조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복사 및 대류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 p형 및 n형 열전 소자는 또한 양자-구속(quantum-confined) 구조 혹은 양자-도트(quantum-dot) 초격자 재료일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 장치는 또한 AlN, Al2O3, 다이아몬드, BeO 등의 열 스프레더(spreader)/플레이트, 혹은 양호한 열전도율을 갖는 다른 재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장치는 또한 캐스캐이딩(cascading) 혹은 다단 열전 냉각기 개념과 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합체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6,505,468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냉각 이외에, 전술한 장치들은 전력 전환(power conversion)에도 응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서는, 열은 히트 싱크 플레이트보다 더 고온인 열원 플레이트 내에 흡수되고 히트 싱크 플레이트에 배치될 것이기 때문에 외부 전류를 생성한다. 이것은 열전 장치가 소정의 모드에서 작동할 때 냉각기나 히터에 전류 공급원으로 제공되는 구조와 대조를 이룬다.
이러한 장치들은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해 미국 특허 제6,300,150호에 개시된 제조 방법을 응용 및/또는 채택할 수 있다. 도 9에서, 대응하는 펠티어 금속배선(104-106)을 지닌 열전 소자(101-103)를 구비하는 기판(1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열전 소자들은 n형 혹은 p형 일 수 있고, 또 벌크, 박막 혹은 초격자 타입의 소자일 수 있다. 상기 열전 소자들은 통상적으로 개시된 기법을 사용하여 기판(100) 상에서 층으로서 형성된다. 그 다음, 펠티어 금속배선의 층은 상기 기판 상의 층에형성될 수 있다. 개개의 소자(101-103)들은 포토리소그래피 및 에칭 등의 표준 패턴화 기법(standard patterning technique)을 사용하여 희망하는 치수로 형성된다. 상기 소자들은 매트릭스와 같은 임의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108, 109, 110)를 포함하여 소정 패턴의 접속부를 구비하는 히트 싱크(냉각 헤더)(107)는 펠티어 금속배선(104-106)을 통해 상기 소자들에 부착된다. 상기 접속부(108-110) 및 금속배선(104-106)은 가능한 저항이 낮은 전지 접점을 형성한다. 헤더(107) 상의 접속부들은 희망에 따라 열전 소자들에 접속부 및/또는 상호 접속부를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기판은 그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되고, 금속배선(111, 112, 113)을 형성하는 제2 펠티어 금속배선은 기판(100)이 제거될 열전 소자쪽에 형성된다. 그 대안으로, 열전 소자들의 적어도 몇몇은 직접 헤더(107) 상에 증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 소자의 재료가 증착되거나 에칭 처리될 기판은 서셉터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증착에 의해 전구체(precursor, 예컨대, 금속-유기체) 크래킹 온도(cracking temperature)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며, 상기 서셉터는 석영 등의 낮은 열전도율을 지닌 광투과성 물질로 구성되고 기판이 탑재될 분리기를 구비한다. 상기 서셉터는 전구체 크래킹 온도로 가열되는 반면에, 기판은 분리기에 의해 낮은 증착 온도로 유지된다. 상기 기판은 분리기를 통해 기판으로 전달된 흑체(black body) 복사에 의해 가열된다. 전술한 미국 특허 제6,071,351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방법에 의해, 열전 재료는 헤더 상에 증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더는 반도체 웨이퍼 자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온 기법에 의해 집적 회로 소자 혹은 전력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처리된 반도체 웨이퍼일 수 있다.
그 다음 접속부(115, 116, 117)를 구비하는 열원(헤더)(114)은 금속배선(111-113)을 통해 도 12에 도시된 봐와 같이 열전 소자들에 부착된다. 상기 헤더(114) 내의 접속부는 열전 소자(101-103)들을 헤더(114)의 반대편에 배열될 열전 소자들에 접속하기 위해 희망하는 패턴으로 배치된다.
열전 소자(101-103)에 정반대의 전도 방식을 갖는 타입의 또 다른 열전 소자들의 세트는 도 9 내지 도 1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트의 열전 소자(121, 122, 123)들은 펠티어 금속배선(124, 125, 126)을 통해 히트 싱크(헤더)(127)의 접점(128, 129, 130)에 부착된다. 상기 열전 소자(121-123)들은 펠티어 금속배선(118, 119, 120)을 통해 헤더(114)의 접속부(115-117)에 부착된다. 그 대안으로, 열전 소자와 펠티어 금속 배선의 적어도 몇몇은 헤더(127) 상에 직접 증착될 수 있다. 상기 헤더 접속부의 상이한 패턴이 열전 소자의 직렬 혹은 병렬의 전기 접속부를 생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미국 가출원번호 제60/428,75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단극형 커플(unipolar couple)의 각 단부를 가로질러 매우 높은 온도차를 달성하기 위해 2 개의 전기 단자와 3 개의 온도 단자를 갖는 단극형 p-p 혹은 n-n형 커플을 이용하는 트랜스써미스터(transthermistor)를 열전 장치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p-p형 트랜스써미스터 단극형 커플은, 비록 완전한 모듈이 p-p 혹은 n-n 단극형 트랜스써미스터 커플 세트와 함께 구성될 수 있지만, 모듈 소자로 용이하게 통합되도록 n-n 트랜스써미스터 단극형 커플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이러한 단극형 트랜스써미스터 소자의 장점 중에는, 높은 성능 지수(ZT)를 지닌 p형 혹은 n형 열전 소자와 같은 단지 하나의 방식의 단극형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전류는 단극형 소자들의 쌍의 각각을 가로질러 온도차가 형성되도록 단극형 소자의 쌍을 통해 양방향으로 구동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 모듈은 종래의 p-n형 커플을 형성하기 위해 300K에서 성능 지수(ZT)가 -1.2 내지 1.9인 n형 Bi2Te3을 기반으로 한 초격자 열전 소자와 결합시키는 대신 300K에서 성능 지수(ZT)가 -2.5인 단지 p형 Bi2Te3/Sb2Te3초격자 열전 소자만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본 발명은 300K에서 성능 지수(ZT)가 매우 낮은 p형 PbTe를 기반으로 한 초격자 열전 소자와 결합시키는 대신 300K에서 성능 지수(ZT)가 -1.6인 단지 n형 PbTeSe/PbTe 양자-도트 초격자 열전 소자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열전 소자(27)는 n형 열전 소자로 구성되며, 전류는 열원(25)을 확실히 냉각시키기 위해 열전 소자(27, 23)를 통해 양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펠티어 접합 장치에 수많은 응용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으로는 실온에 가까운 냉각 응용(예컨대, 냉동기 및 에어 컨디셔닝 유닛 및 다른 냉각 장치에서 압력을 기초로 한 냉각 엔진의 교체, 반도체 IC 및 전원 장치의 열 관리에서 강제 공냉의 교체 혹은 추가, 그리고 액체상 변화 냉각의 교체 혹은 추가 등) 뿐만 아니라 극저온 냉각 응용에도 확대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응용으로 전기 모터와 발전기에 설치된 초전도 코일(superconductioncoil)을 냉각하는 것이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열전 장치는 초전도 코일과 열 적으로 접촉 상태로 놓이게 된다. 초전도 코일과의 열 접촉은 미국 특허 제6,505,468호에 개시된 기술과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전력 소모가 큰 산업용 모터와 발전기는 초전도 코일을 사용하면 매우 유리할 수 있다. 산업용 모터와 발전기에 초전도 코일을 응용함으로써 회전자의 저항 손실을 상당히 줄이게 된다(즉, I2R). I2R 손실의 감소는 초전도 코일의 냉각에 필요한 여분의 동력을 보충하는 것 이상이다. 몇몇 고온 초전도체는 자계의 존재 하에서 (전기 모터 혹은 발전기 등) 77K의 액체 질소 온도로 초전도되고 있는 동안 이러한 액체 질소 초전도체의 전류 운반 능력은 저하된다. 따라서, 초전도 코일을 30 내지 50K로 유지하기 위해 자계의 존재 하에서 전류 운반 능력이 저하되지 않는 고가의 액체 헬륨(4.2K의 온도에서)이 사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의 양면 펠티어 접합 장치는 냉각 혹은 전력 헤더로서 집적 회로 칩 혹은 전력 스위칭 소자의 이면(裏面)과 열적으로 접촉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면, 특히 그것이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이면은 전류를 열전 소자로 구속하기 위해 적절하게 변형될 필요가 있다. 적절한 준비의 일례로는 칩의 이면에서의 p-n 접합 격리이며, 그것에 따라 전류는 의도한 열전 전기 소자를 통해 즉, 그 소자에 구속되고 칩 이면의 전도에 의한 분로(分路)를 만들지 않고 흐르게 된다. 전류의 유사한 구속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이면의 다른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그 다음, 이면은 열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 열은 발전 등의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열을 이용하여 발생된 전력은 다른 회로 혹은 다른 냉각 장치로 공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집적 회로 칩 혹은 반도체 전력 스위칭 소자의 상기 이면 혹은 전면은 본 발명의 양면 펠티어 접합 장치에 열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많은 변형 및 수정은 전술한 교시의 견지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한정한 것 이상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0)

  1. 열원 부재(heat source member)와;
    상기 열원 부재의 일측면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전도 방식의 제1 열전 소자(thermoelectric element)와;
    상기 열원 부재의 타측면 상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하나의 전도 방식과 반대인 전도 방식의 제2 열전 소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들은 상기 열원 부재의 두께를 가로질러 접속되는 것인 열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 소자에 부착된 제1 히트 싱크와;
    상기 제2 열전 소자에 부착된 제2 히트 싱크를 더 포함하는 열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 소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열전 소자와 상기 열원 부재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제1 금속 접점과;
    상기 제2 열전 소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열전 소자와 상기 열원 부재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제2 금속 접점을 더 포함하는 열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부재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접점에 접속되어 있는 제3 접점을 더 포함하는 열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접점의 각각은 펠티어 금속 접점을 포함하는 열전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 소자에 부착된 제1 히트 싱크와;
    상기 제2 열전 소자에 부착된 제2 히트 싱크와;
    상기 제1 열전 소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열전 소자와 상기 제1 히트 싱크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제3 금속 접점과;
    상기 제2 열전 소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열전 소자와 상기 제2 히트 싱크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제4 금속 접점을 더 포함하는 열전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와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접점은,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를 통한 전류 흐름의 방향이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접점을 통한 전류 흐름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 열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들 중 하나 이상은 벌크 소자, 박막 소자 및 초격자 소자 중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초격자 소자는 Bi2Te3/Sb2Te3초격자 혹은 Si/Ge 초격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열전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초격자 소자는 상기 열원 부재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이한 열전 재료들로 구성되는 동시에 1보다 큰 성능 지수(ZT)를 갖는 층들을 포함하는 열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들 중 하나 이상은 양자-우물(quantum-well) 재료 및 양자-도트(quantum-dot) 구조의 재료 중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부재는 냉각 유닛과 에어 컨디셔닝 유닛 중 하나 이상에서 열교환기에 열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인 열전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부재는 초전도 소자에 열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인 열전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부재는 집적 회로와 반도체 전력 스위칭 소자 중 하나 이상에 열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인 열전 장치.
  15. 제1 전도 방식의 제1 열전 소자와;
    상기 제1 전도 방식과 반대인 전도 방식의 제2 열전 소자와;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를 열원 부재의 두께를 가로질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들 사이에 배치된 열원 부재
    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 소자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열전 소자와 상기 열원 부재에 접촉하는 제1 금속 접점과;
    상기 제2 열전 소자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열전 소자와 상기 열원 부재에 접촉하는 제2 금속 접점을 더 포함하는 열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부재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접점에 접속되어 있는 제3 접점을 더 포함하는 열전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접점의 각각은 펠티어 금속 접점을포함하는 열전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 소자에 부착된 제1 히트 싱크와;
    상기 제2 열전 소자에 부착된 제2 히트 싱크와;
    상기 제1 열전 소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열전 소자와 상기 제1 히트 싱크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제3 금속 접점과;
    상기 제2 열전 소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열전 소자와 상기 제2 히트 싱크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제4 금속 접점을 더 포함하는 열전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와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접점은,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를 통한 전류 흐름의 방향이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접점을 통한 전류 흐름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 열전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 소자에 부착된 제1 히트 싱크와;
    상기 제2 열전 소자에 부착된 제2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의 각각은 벌크 소자, 박막 소자 및 초격자 소자 중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들 중 하나 이상은 벌크 소자, 박막 소자 및 초격자 소자 중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초격자 소자는 Bi2Te3/Sb2Te3초격자 혹은 Si/Ge 초격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열전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초격자 소자는 열원 부재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이한 열전 재료들로 구성되는 동시에 1 보다 큰 성능 지수(ZT)를 갖는 층들을 포함하는 열전 장치.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들 중 하나 이상은 양자-우물 재료 및 양자-도트 구조의 재료 중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2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부재는 냉동 유닛과 에어 컨디셔닝 유닛 중 하나 이상에서 열교환기에 열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인 열전 장치.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부재는 초전도 소자에 열적으로 접속되어 있는것인 열전 장치.
  2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부재는 집적 회로와 반도체 전력 스위칭 소자 중 하나 이상에 열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인 열전 장치.
  30. 열원 부재와;
    상기 열원 부재의 일측면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전도 방식의 복수 개의 제1 열전 소자와;
    상기 열원 부재의 타측면 상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하나의 전도 방식과 반대인 하나의 전도 방식의 복수 개의 제2 열전 소자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열전 소자와 상기 복수 개의 제2 열전 소자들은 상기 열원 부재의 두께를 가로질러 접속되는 것인 열전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열전 소자의 각각에 부착된 제1 히트 싱크와;
    상기 복수 개의 제2 열전 소자의 각각에 부착된 제2 히트 싱크를 더 포함하는 열전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열전 소자의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열전 소자의 각각과 상기 열원 부재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제1 금속 접점과;
    상기 복수 개의 제2 열전 소자의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열전 소자와 상기 열원 부재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제2 금속 접점을 더 포함하는 열전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부재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접점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3 접점을 더 포함하는 열전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접점의 각각은 펠티어 금속 접점을 포함하는 열전 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열전 소자의 각각에 부착된 제1 히트 싱크와;
    상기 복수 개의 제2 열전 소자의 각각에 부착된 제2 히트 싱크와;
    상기 복수 개의 제1 열전 소자의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열전 소자의 각각과 상기 제1 히트 싱크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제3 금속 접점과;
    상기 복수 개의 제2 열전 소자의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열전 소자의 각각과 상기 제2 히트 싱크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제4 금속 접점을 더 포함하는 열전 장치.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와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접점은,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의 각 쌍을 통한 전류 흐름의 방향이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접점을 통한 전류 흐름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 열전 장치.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의 각각은 벌크 소자, 박막 소자 및 초격자 소자 중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38.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열전 소자는 열적으로 병렬, 전기적으로 직렬인 배열로 상호 접속되어 있는 것인 열전 장치.
  39.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및 제2의 열전 소자는 열적으로 병렬, 전기적으로 병렬인 배열로 상호 접속되어 있는 것인 열전 장치.
  40.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들 중 하나 이상은 벌크 소자, 박막 소자 및 초격자 소자 중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초격자 소자는 Bi2Te3/Sb2Te3초격자 혹은 Si/Ge 초격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열전 장치.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초격자 소자는 열원 부재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이한 열전 재료들로 구성되는 동시에 1 보다 큰 성능 지수(ZT)를 갖는 층들을 포함하는 열전 장치.
  4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들 중 하나 이상은 양자-우물 재료 및 양자-도트 구조의 재료 중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4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부재는 냉각 유닛과 에어 컨디셔닝 유닛 중 하나 이상에서 열교환기에 열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인 열전 장치.
  4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부재는 초전도 소자에 열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인 열전 장치.
  4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부재는 집적 회로와 반도체 전력 스위칭 소자 중 하나 이상에 열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인 열전 장치.
  47. 열원 부재와;
    상기 열원 부재의 일측면에 접속되어 있는 소정의 전도 방식의 제1 열전 소자와;
    상기 열원 부재의 타측면 상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이한 전도 방식의 제2 열전 소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들은 상기 열원 부재의 두께를 가로질러 접속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는 상기 열전 소자의 각각을 가로지르는 온도차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반대되는 전류 흐름을 갖는 것인 열전 장치.
  48. 하나의 전도 방식의 열전 소자들만이 열원 부재의 양측면 중 각각에 설치되도록 열원 부재의 양측면에 열원 부재의 두께를 가로질러 접속된 제1 및 제2 열전 소자들과, 상기 열전 소자들의 각각과 상기 열원 부재 사이의 금속 접점을 구비하는 열전 장치를 조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금속 접점을 통한 전류 흐름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의 각 쌍을 통한 전류의 흐름을 초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의 조작 방법.
  49. 열원 부재와, 상기 열원 부재의 일측면에 접속되어 있는 제1 전도 방식의 제1 열전 소자와, 상기 열원 부재의 타측면 상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2 전도 방식의 제2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로서,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들이 상기 열원 부재의 두께를 가로질러 접속되는 것인 상기 열전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서셉터가 전구체 크래킹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제1 증착 시스템 내에서 상기 제1 열전 소자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1 열전 재료를 증착시키는 단계와;
    서셉터가 전구체 크래킹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제2 증착 시스템 내에서 상기 제2 열전 소자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2 열전 재료를 증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의 제조 방법.
  50. 열원 부재와, 상기 열원 부재의 일측면에 접속되어 있는 제1 전도 방식의 제1 열전 소자와, 상기 열원 부재의 타측면 상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2 전도 방식의 제2 열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열전 소자들이 상기 열원 부재의 두께를 가로질러 접속되어 있는 열전 장치로서, 상기 열전 장치는,
    서셉터가 전구체 크래킹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제1 증착 시스템 내에서 상기 제1 열전 소자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1 열전 재료를 증착시키는 단계와;
    서셉터가 전구체 크래킹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제2 증착 시스템 내에서 상기 제2 열전 소자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2 열전 재료를 증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열전 장치.
KR10-2004-7016486A 2002-04-15 2003-04-15 양면 펠티어 접합을 이용하는 열전 장치 및 그 열전장치의 제조 방법 KR200500005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213902P 2002-04-15 2002-04-15
US60/372,139 2002-04-15
PCT/US2003/011505 WO2003090286A1 (en) 2002-04-15 2003-04-15 Thermoelectric device utilizing double-sided peltier junc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514A true KR20050000514A (ko) 2005-01-05

Family

ID=2925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486A KR20050000514A (ko) 2002-04-15 2003-04-15 양면 펠티어 접합을 이용하는 열전 장치 및 그 열전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35735B2 (ko)
EP (1) EP1495498B1 (ko)
JP (1) JP4472359B2 (ko)
KR (1) KR20050000514A (ko)
AU (1) AU2003230920A1 (ko)
CA (1) CA2482363C (ko)
WO (1) WO200309028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913B1 (ko) * 2005-09-07 2006-09-07 이기철 열전 모듈
KR101046130B1 (ko) * 2009-06-26 2011-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열전소자
KR20150021367A (ko) * 2013-08-20 2015-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KR20200011999A (ko) * 2020-01-20 2020-02-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2010B2 (en) 2001-02-09 2011-05-17 Bsst, Llc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systems utilizing segmented thermoelectric elements
CN1515066B (zh) * 2001-06-07 2010-05-05 株式会社明电舍 热电效应装置、能量直接转换系统、能量转换系统
EP1579512A4 (en) * 2002-11-25 2008-11-19 Nextreme Thermal Solutions TRANS-THERMOELECTRIC DEVICE
JP4261890B2 (ja) * 2002-12-06 2009-04-30 義臣 近藤 熱電効果装置,エネルギー直接変換システム,エネルギー変換システム
US6987650B2 (en) * 2003-05-22 2006-01-17 Headway Technologies, Inc. Device with thermoelectric cooling
US20100257871A1 (en) * 2003-12-11 2010-10-14 Rama Venkatasubramanian Thin film thermoelectric devices for power conversion and cooling
US7638705B2 (en) 2003-12-11 2009-12-29 Nextreme Thermal Solutions, Inc. Thermoelectric generators for solar conversion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WO2006033875A2 (en) * 2004-09-09 2006-03-30 Orobridge, Inc. Thermoelectric devices with controlled current flow and related methods
US8063298B2 (en) * 2004-10-22 2011-11-22 Nextreme Thermal Solutions, Inc. Methods of forming embedded thermoelectric coolers with adjacent thermally conductive fields
US7523617B2 (en) * 2004-10-22 2009-04-28 Nextreme Thermal Solutions, Inc. Thin film thermoelectric devices for hot-spot thermal management in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s
US20060090787A1 (en) * 2004-10-28 2006-05-04 Onvural O R Thermoelectric alternators and thermoelectric climate control devices with controlled current flow for motor vehicles
CN101065853B (zh) * 2004-11-16 2010-12-29 株式会社明电舍 热能传递电路系统
WO2007002337A2 (en) * 2005-06-22 2007-01-04 Nextreme Thermal Solutions Methods of forming thermoelectric devices including conductive posts and/or different solder materials and related methods and structures
US20070101737A1 (en) 2005-11-09 2007-05-10 Masao Akei Refrigeration system including thermoelectric heat recovery and actuation
WO2007103249A2 (en) * 2006-03-03 2007-09-13 Nextreme Thermal Solutions Methods of forming thermoelectric devices using islands of thermoelectric material and related structures
US7870745B2 (en) * 2006-03-16 2011-01-18 Bsst Llc Thermoelectric device efficiency enhancement using dynamic feedback
KR100807068B1 (ko) 2006-03-24 2008-02-25 김홍일 열전소자
US8003879B2 (en) 2006-04-26 2011-08-23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 vivo thermoelectric power system
US8039727B2 (en) * 2006-04-26 2011-10-18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hunt for in vivo thermoelectric power system
US8538529B2 (en) * 2006-04-26 2013-09-17 Cardiac Pacemakers, Inc. Power converter for use with implantable thermoelectric generator
CN101517764B (zh) * 2006-07-28 2011-03-30 Bsst有限责任公司 高容量热电温度控制系统
DE102006046114B4 (de) * 2006-09-28 2012-02-02 Airbus Operations Gmbh Kühlanordnung zur Kühlung eines Wärmekörpers für ein Luftfahrzeug
US7821637B1 (en) 2007-02-22 2010-10-26 J.A. Woollam Co., Inc. System for controlling intensity of a beam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and method for investigating materials with low specular reflectance and/or are depolarizing
GB0704490D0 (en) * 2007-03-08 2007-04-18 Bg Res Ltd Improvements in thermal cyclers
WO2008148042A2 (en) 2007-05-25 2008-12-04 Bsst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thermoelectric heating and colling
US8241295B2 (en) * 2007-09-05 2012-08-14 Wolf Ii Erich W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ispensing of bone cement
US8058724B2 (en) * 2007-11-30 2011-11-15 Ati Technologies Ulc Holistic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semiconductor chip
US8018053B2 (en) * 2008-01-31 2011-09-13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Heat transfer device
US20090199887A1 (en) * 2008-02-08 2009-08-13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And Nextreme Thermal Solutions, Inc. Methods of forming thermoelectric devices including epitaxial thermoelectric elements of different conductivity types on a same substrate and related structures
US20090205696A1 (en) * 2008-02-15 2009-08-20 Nextreme Thermal Solutions, Inc. Thermoelectric Heat Pumps Providing Active Thermal Barrier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EP2315987A2 (en) 2008-06-03 2011-05-04 Bsst Llc Thermoelectric heat pump
US8710348B2 (en) * 2008-10-21 2014-04-29 Dirk N. Weiss Stacked thin-film superlattice thermoelectric devices
JP2012506813A (ja) 2008-10-23 2012-03-22 ビーエスエスティー エルエルシー 熱電デバイスを有するマルチモードhvacシステム
US8026567B2 (en) * 2008-12-22 2011-09-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irng Co., Ltd. Thermoelectric cooler f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TSV
US8404959B2 (en) * 2008-12-31 2013-03-26 Stmicroelectronics, Inc. Thermoelectric device
US8525016B2 (en) 2009-04-02 2013-09-03 Nextreme Thermal Solutions, Inc. Thermoelectric devices including thermoelectric elements having off-set metal pads and related structures, methods, and systems
KR100997994B1 (ko) * 2009-04-13 2010-12-03 삼성전기주식회사 열전소자
TWI407545B (zh) * 2009-08-19 2013-09-01 Ind Tech Res Inst 整合熱電元件與晶片的封裝體
DE102009045208A1 (de) * 2009-09-30 2011-04-14 Micropelt Gmbh Thermoelektr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thermoelektrischen Bauelementes
US9601677B2 (en) * 2010-03-15 2017-03-21 Laird Durham, Inc. Thermoelectric (TE) devices/structures including thermoelectric elements with exposed major surfaces
EP2552747A1 (de) * 2010-03-30 2013-02-06 Behr GmbH & Co. KG Temperierelement und temperier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EP2505913B1 (en) 2011-03-30 2016-03-23 Nxp B.V. An active thermal management device and thermal management method
WO2012170443A2 (en) 2011-06-06 2012-12-13 Amerigon Incorporated Cartridge-based thermoelectric systems
US9006557B2 (en) 2011-06-06 2015-04-14 Genther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current and increasing voltage in thermoelectric systems
US8779276B2 (en) * 2011-07-14 2014-07-15 Sony Corporation Thermoelectric device
WO2013094237A1 (ja) * 2011-12-23 2013-06-27 Watanabe Takaya 量子ナノ接合トムソン素子とその製造方法
DE102012105367A1 (de) * 2012-02-24 2013-08-29 O-Flexx Technologies Gmbh Thermoelektrisches Modul und Herstellungsverfahren
JP2015524894A (ja) 2012-08-01 2015-08-27 ゲンサ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効率熱電発電
DE102012022864A1 (de) * 2012-11-20 2014-05-22 Astrium Gmbh Thermoelektrischer Dünnfilm-Generator
KR102117141B1 (ko) 2013-01-30 2020-05-29 젠썸 인코포레이티드 열전-기반 열 관리 시스템
CN103219457A (zh) * 2013-04-27 2013-07-24 广东富信科技股份有限公司 半导体热电模块
US9099427B2 (en) 2013-10-30 2015-08-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hermal energy dissipation using backside thermoelectric devices
CN111998572B (zh) 2014-05-23 2022-05-03 莱尔德热管理系统股份有限公司 包括电阻加热器的热电加热/冷却装置
JP6269408B2 (ja) * 2014-09-17 2018-01-3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AT520418B1 (de) * 2017-09-08 2022-03-15 Avl List Gmbh Thermoelektrischer Generator mit Heuslerscher Legierung
JP7278030B2 (ja) * 2018-03-16 2023-05-19 株式会社アツミテック 熱電発電装置
US11075331B2 (en) 2018-07-30 2021-07-27 Gentherm Incorporated Thermoelectric device having circuitry with structural rigidity
US11152557B2 (en) 2019-02-20 2021-10-19 Gentherm Incorporated Thermoelectric module with integrated printed circuit board
CN113130732B (zh) * 2019-12-31 2023-11-21 广汽埃安新能源汽车有限公司 珀尔帖温控模组、温度控制系统和电动汽车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70368A (ko) * 1960-11-16
US3296034A (en) * 1962-01-04 1967-01-03 Borg Warner Thermoelectric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on
US3295034A (en) * 1963-08-26 1966-12-27 Westinghouse Electric Corp Two-speed single-phase electric motor
DE1904492A1 (de) * 1968-02-14 1969-09-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Thermoelektrische Anordnung
US3485680A (en) * 1966-10-06 1969-12-23 Monsanto Res Corp Thermoelement made by plasma spraying
DE1539330A1 (de) * 1966-12-06 1969-11-06 Siemens Ag Thermoelektrische Anordnung
JPS57172784A (en) * 1981-04-17 1982-10-23 Univ Kyoto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JPH0697512B2 (ja) 1984-11-19 1994-11-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ヘツド
NL8801093A (nl) * 1988-04-27 1989-11-16 Theodorus Bijvoets Thermo-electrische inrichting.
JP3166228B2 (ja) * 1990-10-30 2001-05-14 株式会社デンソー 熱電変換装置
JP3138036B2 (ja) * 1991-12-05 2001-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ノー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通信ネットワーク
JP2636119B2 (ja) * 1992-09-08 1997-07-30 工業技術院長 熱電素子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JPH0697512A (ja) * 1992-09-16 1994-04-08 Sumitomo Special Metals Co Ltd 熱電変換素子
US5900071A (en) * 1993-01-12 1999-05-0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uperlattice structures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as thermoelectric materials
US5824561A (en) 1994-05-23 1998-10-20 Seiko Instruments Inc. Thermoelectric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5837929A (en) * 1994-07-05 1998-11-17 Mantron, Inc. Microelectronic thermoelectric device and systems incorporating such device
US5778018A (en) * 1994-10-13 1998-07-07 Nec Corporation VCSELs (vertical-cavity surface emitting lasers) and VCSEL-based devices
WO1996039625A1 (en) * 1995-06-06 1996-12-12 Beltronics Inc. Automatic protein and/or dna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5545531A (en) * 1995-06-07 1996-08-13 Affymax Technologies N.V. Methods for making a device for concurrently processing multiple biological chip assays
US5869242A (en) * 1995-09-18 1999-02-09 Myriad Genetics, Inc. Mass spectrometry to assess DNA sequence polymorphisms
EP0805501B1 (en) 1995-09-29 2003-09-17 Frigistor Trading Co., Ltd. Thermoelectric device and thermoelectric cooler/heater
WO1997041276A1 (en) * 1996-05-02 1997-11-06 Rama Venkatasubramanian Low temperat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etching apparatus and method
JP3502724B2 (ja) * 1996-07-16 2004-03-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熱電材料
US5955772A (en) * 1996-12-17 1999-09-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eterostructure thermionic coolers
US6084050A (en) * 1997-01-09 2000-07-04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Thermo-optic devices
EP2090366B1 (en) 1997-03-28 2012-12-19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Improvements in thermal cycler for PCR
JP3313608B2 (ja) * 1997-03-31 2002-08-12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WO1998044562A1 (en) 1997-03-31 1998-10-08 Research Triangle Institute Thin-film thermoelectric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of same
US6060657A (en) * 1998-06-24 2000-05-0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Lead-chalcogenide superlattice structures
US6062681A (en) * 1998-07-14 2000-05-16 Hewlett-Packard Company Bubble valve and bubble valve-based pressure regulator
US6094919A (en) * 1999-01-04 2000-08-01 Intel Corporation Package with integrated thermoelectric module for cooling of integrated circuits
IT1309710B1 (it) * 1999-02-19 2002-01-30 Pastorino Giorgio Dispositivo termoelettrico a stato solido
US6180351B1 (en) * 1999-07-22 2001-01-30 Agilent Technologies Inc. Chemical array fabrication with identifier
US6337435B1 (en) 1999-07-30 2002-01-08 Bio-Rad Laboratories, Inc. Temperature control for multi-vessel reaction apparatus
US6605772B2 (en) * 1999-08-27 2003-08-1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Nanostructured thermoelectric materials and devices
US6347521B1 (en) * 1999-10-13 2002-02-19 Komatsu Ltd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282907B1 (en) * 1999-12-09 2001-09-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hermoelectric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ximizing energy transport
US6505468B2 (en) * 2000-03-21 2003-01-14 Research Triangle Institute Cascade cryogenic thermoelectric cooler for cryogenic and room temperature applications
US6297441B1 (en) * 2000-03-24 2001-10-02 Chris Macris Thermoelectr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271459B1 (en) * 2000-04-26 2001-08-07 Wafermasters, Inc. Heat management in wafer processing equipment using thermoelectric device
US6365821B1 (en) * 2000-07-24 2002-04-02 Intel Corporation Thermoelectrically cooling electronic devices
US6367261B1 (en) * 2000-10-30 2002-04-09 Motorola, Inc. Thermoelectric power generator and method of generating thermoelectric power in a steam power cycle utilizing latent steam heat
US6384312B1 (en) * 2000-12-07 2002-05-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hermoelectric coolers with enhanced structured interfaces
US6403876B1 (en) * 2000-12-07 2002-06-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ed interface thermoelectric coolers with all-metal tips
US6539725B2 (en) * 2001-02-09 2003-04-01 Bsst Llc Efficiency thermoelectrics utilizing thermal isolation
KR100376161B1 (ko) * 2001-04-24 200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열전소자를 이용한 저장고
US6410971B1 (en) * 2001-07-12 2002-06-25 Ferrotec (Usa) Corporation Thermoelectric module with thin film substrat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913B1 (ko) * 2005-09-07 2006-09-07 이기철 열전 모듈
KR101046130B1 (ko) * 2009-06-26 2011-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열전소자
KR20150021367A (ko) * 2013-08-20 2015-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KR20200011999A (ko) * 2020-01-20 2020-02-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90286A1 (en) 2003-10-30
JP2005522893A (ja) 2005-07-28
CA2482363C (en) 2011-06-14
EP1495498A4 (en) 2008-03-05
US20030230332A1 (en) 2003-12-18
JP4472359B2 (ja) 2010-06-02
AU2003230920A1 (en) 2003-11-03
EP1495498B1 (en) 2013-04-10
CA2482363A1 (en) 2003-10-30
EP1495498A1 (en) 2005-01-12
WO2003090286B1 (en) 2004-02-12
US7235735B2 (en) 2007-06-26
WO2003090286A9 (en)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0514A (ko) 양면 펠티어 접합을 이용하는 열전 장치 및 그 열전장치의 제조 방법
USRE41801E1 (en) Thin-film thermoelectric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of same
US20100257871A1 (en) Thin film thermoelectric devices for power conversion and cooling
US6639242B1 (en) Monolithically integrated solid-state SiGe thermoelectric energy converter for high speed and low power circuits
US7838760B2 (en) Trans-thermoelectric device
US20070028956A1 (en) Methods of forming thermoelectric devices including superlattice structures of alternating layers with heterogeneous periods and related devices
US20040155251A1 (en) Peltier cooler integrated with electronic device(s)
US20050150537A1 (en) Thermoelectric devices
JP2007535803A (ja) 電力変換及び冷却用の薄膜熱電装置
US8166769B2 (en) Self-cooled vertical electronic component
US20090199887A1 (en) Methods of forming thermoelectric devices including epitaxial thermoelectric elements of different conductivity types on a same substrate and related structures
JP3554861B2 (ja) 薄膜熱電対集積型熱電変換デバイス
JP2015076607A (ja) 半導体チップ構造
US20200006618A1 (en) Thermoelectric device
Habbe et al. Thin film thermoelectrics today and tomorrow
US20180226559A1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JP2020013957A (ja) 熱電変換装置
US20170324016A1 (en) Highly-integrated thermoelectric cooler
JP2020013956A (ja) 熱電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