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0355A -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 및 구급 반창고 - Google Patents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 및 구급 반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0355A
KR20050000355A KR1020040047701A KR20040047701A KR20050000355A KR 20050000355 A KR20050000355 A KR 20050000355A KR 1020040047701 A KR1020040047701 A KR 1020040047701A KR 20040047701 A KR20040047701 A KR 20040047701A KR 20050000355 A KR20050000355 A KR 20050000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skin
film
pressure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야마사요시
스즈키세이시
사사키야스유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0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35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61L15/58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02Wound bandages oblo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dhesive Tap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연질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의 대체물로서 비염소 재료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을 이용한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는 (1)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05초과 1×106이하이고, 용융 유속이 1.0g/10분 이하이고,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28중량% 초과 35중량% 이하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0 내지 80중량%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고, 용융 유속이 0.3 내지 4.0g/10분의 범위에 있는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수지 80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 및 (2) 피부 부착용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 및 구급 반창고{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APPLICATION TO SKIN AND FIRST-AID PLASTER}
본 발명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상에 마련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 뿐만 아니라 점착 시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에 필요한 중요한 특성, 예를 들어 유연하고 피부에 잘 추종하여 부착시 느낌(부착감)이 뛰어날 것, 유연함에도 불구하고 실용상 충분한 강도를 가질 것, 부착동안 의복 등과의 마찰시 박리되는 일이 없도록 표면 미끄러짐성이 뛰어날 것, 및 박리지가 붙은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지를 벗길 때 생성된 응력으로 인해 상당히 말리지(굽혀지지) 않을 것 등의 물성을 모두 갖는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 시트의 용도, 예를 들어 구급 반창고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연한 기재 필름상에 점착제층이 마련된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는 드레싱, 외과용 테이프 등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용도에서 사용되는 것 외에,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의 표면의 중앙 부분에 가제 등의 흡액성 패드를 마련함으로써 구급 반창고로서 일반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또한, 임의의 여러가지 약제를 함유시킨 점착제층을 기재 필름상에 마련한 점착성 피부 부착용 약물 시트는 다양한 의료 용도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를 위한 기재 필름으로서, 종래 유연한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는 이러한 기재 필름이 유연하고 피부에 잘 추종하여 부착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가공성이나 인쇄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질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는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 디옥틸 프탈레이트와 같은 가소제를 다량 배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그리고 그밖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가소제가 점착제층으로 이동하여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저하시키고, 이는 점착력의 저하를 야기하고 점착 시트로 덮힌 피부면에 접착제를 남긴다.
또한, 연질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는 감온성이 크고 주변 온도에 따른 물성 변화가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를 위한 기재 필름으로서 연질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를 이용한 경우, 겨울철이나 부엌일 동안 낮은 온도에 노출시 기재 필름은 딱딱해진다. 즉, 유연성이 저하된다. 그 결과, 점착 시트가 나쁜 부착감을 제공하거나, 피부에의 추종성을 저하시켜, 피부로부터의 벗겨짐 또는 들뜸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손의 손가락에 부착된 점착 시트의 기재 필름이 매우 딱딱해진 경우, 기재 필름이 세수하는 동안 얼굴의 피부에 상처를 입힐 가능성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다양한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제품에 있어서의 비염소 재료로의 대체화가 각 분야에서 진행중에 있다. 경제성이나 안전성을 고려하여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대체 재료 후보로서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사정하에,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를 위한 기재 필름 분야에서도, 연질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의 대체물로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이 검토되어 왔다.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종래 사용되는 연질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과 동일한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기재 필름의 두께를 얇게 하고,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엘라스토머 성분을 배합하는 것이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이렇게하여 얻어진 기재 필름은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했다. 특히, 점착 시트가 피부에 부착된 동안 피부가 축축하게 되는 것을 완화하기 위해 점착 시트에 직경 약 1㎜의 관통 구멍을 다수 뚫는 경우, 피부로부터 박리될 때 점착 시트가 파손되는 경우가 생기는 단점을 가졌다.
따라서, 점착 시트용 기재 필름의 소재로서, 특정 범위의 특성, 즉, 특정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분자량 분포, 용융 유속(MFR) 및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을 갖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부터 수득된 점착 시트용 기재 필름이 제안되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1999-206869호 참조). 그러나, 이에 사용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캘린더 가공시 용융 점도가 낮기 때문에 캘린더 가공에 의한 필름 제조시 롤로부터 필름을 박리할 때 필름 늘어짐, 파손 등의 불량이 생기기 쉽다. 특히, 두께가 100㎛ 이하인 얇은 필름을 캘린더 가공에 의해 제조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한편, 필름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이러한 문제는 다소간 회피할 수 있지만 필름의 제조 비용이 헛되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캘린더 가공에 의해 수득된 필름을 롤로 감은 경우, 필름이 블록킹된다. 이 때문에, 점착 시트의 제조시 롤로부터 필름을 공급하는 것, 즉 롤을 푸는 것은 힘을 필요로 하고, 필름에 장력이 가해진다. 그 결과, 이러한 필름을 사용하여 수득된 점착 시트는 잔류 응력으로 인해 수축하거나 말리게 되고, 점착 시트를 롤로 감을 때에 소위 타이트닝, 텔레스코핑 등의 불량이 생길 수도 있다.
또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공지된 필름은 표면 미끄러짐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나 반창고용 기재 필름으로서 이용된 경우, 상기 접착 시트 또는 반창고가 의류 등과의 마찰시 쉽게 박리되는 결점을 가졌다.
한편, 적절한 용융 점도를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 특히, 소위 리액터 TP0 수지(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종래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 수지로부터 캘린더 가공에 의한 수득된 필름도 이미 공지되어 있다(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2001-131383호 참조). 이러한 리액터 TPO 수지는 캘린더 가공성이 뛰어나다. 그러나, 수득된 필름을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를 위한 기재 필름으로서 이용한 경우, 상기 필름은 상기 점착 시트로부터 이형지를 벗길 때 생성된 응력으로 인해 필름이 쉽게 말리는, 이른바 말림성이 현저하다. 따라서, 점착 시트를 피부에 부착하기 어렵고, 일부 경우에서는 피부에 밀착하여 붙일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연질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로 이루어진 점착 시트용 기재 필름의 대체품에 있어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것을 발견하였다. 특정 범위의 특성을 갖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은 캘린더 가공에 의해 얇은 필름을 안정하게 제공하여, 이와 같은 필름을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를 위한 기재 필름으로서 이용한 경우, 유연하고 피부에 잘 추종하여, 피부에 붙였을 때 부착감이 뛰어났다. 또한, 상기 필름은 표면 미끄러짐성이 뛰어나고, 말림성도 현저하지 않다. 따라서, 이 필름은 구급 반창고를 비롯한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를 위한 기재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은 상기 발견에 기초하여 달성되었다.
즉, 본 발명은 (1)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05초과 1×106이하이고, 용융 유속이 1.0g/10분 이하이고,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28중량% 초과 35중량% 이하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0 내지 80중량%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고, 용융 유속이 0.3 내지 4.0g/10분의 범위에 있는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수지 80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 및 (2) 피부 부착용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 및 점착제층의 표면(바람직하게는 중앙 부분)에 마련된 흡액성 패드로 이루어진 구급 반창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캘린더 가공에 의해 필름으로 성형하고, 이렇게 수득된 기재 필름상에 점착제층을 마련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의해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다.
도 1은 박리 강도의 측정에 사용되고 다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점착 시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는 기재 필름, 및 그 위에 마련된 피부 부착용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재 필름은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105초과 1×106이하이고, 용융 유속(MFR)이 1.0g/10분 이하이고,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28중량% 초과 35중량% 이하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0 내지 80중량%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고, 용융 유속이 0.3 내지 4.0g/10분의 범위에 있는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수지 80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융 유속은 JIS K-6730에 따라 측정된다.
사용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가 1×105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경우, 수득되는 필름은 기계적 강도가 실용상 불충분하다. 특히, 100㎛ 이하의 두께를 갖는 얇은 필름을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에서 기재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수득된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를 피부로부터 박리할 때에 파손되는 등의 불량이 생기기 쉽다. 그러나, 1×105를 초과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더라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28중량% 이하일 때에는, 유연성이 떨어지고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를 위한 기재 필름으로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할 수 있는 필름이 수득될 수 있다.
한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3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수득되는 필름은 롤 형상으로 감길 때 매우 쉽게 블록킹된다. 이 때문에, 필름을 롤로부터 풀어 기재 필름으로서 이용할 때, 필름이 롤로부터 원활히 풀릴 수 없기 때문에 필름에 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그 결과, 수득된 점착 시트는 잔류 응력으로 인해 수축, 말림 등이 생기기 쉽다. 또한, 이러한 점착 시트를 롤 형상으로 감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소위 타이트닝, 텔레스코핑 등의 불량이 생길 수도 있다. 또한, 수득되는 필름은 표면 미끄러짐성도 떨어진다.
그러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06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공중합체는 거친 표면을 갖는 필름을 생성하여 균일한 필름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사용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이 1.0g/10분을 초과하는 경우, 이러한 공중합체는 용융 점도가 낮기 때문에 캘린더 가공시 수지가 롤에 부착되기 쉽다. 특히, 캘린더 장치의 최종 롤로부터 필름을 취할 수 없는 소위 롤 부착이 일어나고, 캘린더 롤로부터 필름을 취할 때 연신 및 파손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표면이 매끄럽고 결함이 없는 필름을 수득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이용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이 너무 느린 경우에도, 공중합체는 거친 표면을 갖는 필름을 생성하여, 균일한 필름을 얻을 수 없다. 예컨대, 의장성을 높이기 위해 보통 필름을 인쇄할 수 있다. 그러나, 필름의 거친 표면은 인쇄시 불충분한 잉크 이송을 야기하므로, 거친 표면을 갖는 필름은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를 위한 기재 필름으로서 이용하기 부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가 0.05g/10분 이상의 용융 유속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105초과 1×106이하이고, 용융 유속(MFR)이 1.0g/10분이하,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g/10분이고,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28중량% 초과 35중량% 이하인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의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은 30 내지 33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도, 캘린더 가공에 의한 필름 제조시 단독으로 사용된 경우, 표면 미끄러짐성이 나쁜 필름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서 사용하여 얻어지는 점착성 피부 부착용 약물 시트는 피부에 부착했을 때 의류와의 마찰로 인해 피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했던 특성을 갖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80중량% 이하의 양으로 사용하고, 이와 조합해서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캘린더 가공성이 뛰어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지 조성물를 캘린더 가공함으로써, 구급 반창고를 비롯한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를 위한 기재 필름으로서 사용하기 적합한 기재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그러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이라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비율이 20중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점착 시트용 기재 필름으로서 사용하기 부적합한 필름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 필름을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의 기재 필름으로서 이용한 경우,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지를 벗길 때 말림성이 현저하고, 피부에의 부착시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에 필요로 하는 취급성을 손상시킨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 중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비율은 40 내지 70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전술했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조합해서 사용된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고, 0.3 내지 4.0g/10분 범위의 용융 유속을 갖는 1종 이상이다. 이 중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으로도 공지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한데, 이는 블록킹성을 현저히 경감시킨 필름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2.0 내지 3.0g/10분 범위의 용융 유속을 갖는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이외에,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0.3 내지 4.0g/10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g/10분 범위의 용융 유속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및 리액터 TPO가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는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및 리액터 TPO는 이미 널리 공지되어 있다.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은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에틸렌을 중합함으로써 수득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이다. 종래의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를 사용하여 수득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비교해서,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은 분자량 분포나 조성 분포가 고르고, 비점착성, 충격 강도 등이 대폭 개선되었다. 예컨대, 일본 폴리켐 코포레이션(Japan Polychem Corp.)에 의해 제조된 "카넬(Carnel)"을 비롯한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리액터 TPO는 융점이 100℃ 이상인 올레핀계 열가소성엘라스토머(TPO) 중 하나이고, 보통 폴리프로필렌(몇몇의 경우에는 폴리뷰텐)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을 갖는 블록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이다. 몬텔 코포레이션(Montell Corp.)에 의해 제조된 "카탈로이(Catalloy)", 도쿠야마 코포레이션(Tokuyama Corp.)에 의해 제조된 "PER", 치소 코포레이션(Chisso Corp.)에 의해 제조된 "뉴콘(Newcon)" 등이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은 캘린더 가공성이 뛰어나고, 캘린더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필름으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캘린더 가공 동안에 엠보싱을 실시하여 표면 상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예컨대 새틴같은 표면 등의 매끄러운 표면에서 실크 천 직물 등의 깊숙이 엠보싱된 표면에 이르는 임의의 표면 상태를 갖도록 표면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에 사용되는 기재 필름은 피부에 부착했을 때 필름이 불편한 느낌 없이 피부에 잘 추종하고 유연할 수 있고, 유연함에도 불구하고 필름부착용 점착 시트를 위한 기재 필름에 필요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5.0N/19㎜ 폭 이하의 10% 모듈러스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모듈러스가 작을수록 피부에의 부착시 부착감이 우수해진다. 그러나, 10% 모듈러스가 일반적으로 파손강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얻어지는 필름은 점착 시트용 기재 필름에 필요한 실용적인 강도를 갖도록 20N/19㎜ 폭 이상의 파손 강도를 가져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에 사용되는 기재 필름의 두께는, 상기 필름이 구급 반창고를 비롯한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를 위한 기재 필름으로서 사용된 경우, 전술한 경우에서와 같이 피부에 불편한 느낌을 주지 않고 피부에 잘 추종하고 유연하고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보통 20 내지 200㎛의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에서 사용되는 기재 필름은, 이 필름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점착성 피부 부착용 약물 시트가 피부에 부착했을 때 의류와의 마찰로 인해 피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거나 말단이 들려지는 일이 없도록, 표면 미끄러짐성이 뛰어나야 한다. 이를 얻기 위해서, 200g의 하중 및 100㎜/분의 시험 속도의 조건하에 측정된 동적 마찰 계수가 바람직하게는 1.5N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1.0N의 범위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에 사용되는 기재 필름은 그 자체가 점착제에 대한 접착력, 즉 고정 효과가 뛰어나다. 그러나, 기재 필름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전에, 기재 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 처리하거나 상기 표면을 이미 공지된 다양한 프라이머 중 하나로 도포하여 기재 필름에 미치는 점착제의 고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코로나 방전 처리는 처리면에 프라이머 처리의 필요없이 기재 필름상에 점착제층을 충분한 고정력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는 전술한 기재 필름상에 피부 부착용 점착제층을 마련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점착제로서는, 피부를 자극하는 성질을 감소시키고 의약용 점착제로서 이용할 수 있는 한 특별한 제한없이 임의의 바람직한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종래 공지된 아크릴계 점착제 및 천연 고무계점착제 외에, 이용가능한 예로는 합성 고무계, 실리콘계 및 비닐에테르계 점착제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여러가지 점착제 중에서도 피부병학적 견지에서, 예를 들어 피부에 대한 알레르기성이 적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전이점이 낮은 중합체를 생성하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아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기가 4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메트)아크릴산, 및 알킬기가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과 유화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유화형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 부착용 점착제는 상기 유화계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유기 용매계 또는 고용융계 등의 임의의 바람직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점착제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피부에 대한 접착성 관점에서 일반적으로는 2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의 범위이다.
기재 필름상에 점착제층을 마련하기 위해서 기재 필름상에 점착제 용액을 직접 도포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또다르게는, 고용융 점착제를 용융시키고, 압출기를 사용하여 기재 필름상에 직접 도포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기재 필름이 불필요하게 신장되거나 굽혀지는(말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방법에 의해 박리지의 한 면에 미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이 점착제층에 기재 필름을 적층시켜상기 점착제층을 기재 필름에 전사하는, 소위 전사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는, 드레싱, 수술용 테이프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점착제층의 표면(바람직하게는 중앙 부분)상에 직포(예: 거즈)나 스폰지 패드 등의 상처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흡액성 패드를 마련함으로써 얻어지는 구급 반창고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어떠한 방식으로도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하기 표에 나타낸 폴리올레핀 수지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하기 실시예 및 표에 나타낸 수지 조성물에 사용된 각각의 수지의 부수는 중량부수이다.
울트라텐 YX11:
도소 코포레이션(Tosoh Corp.)에 의해 제조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32중량%; Mw=1.26×105; MFR=0.25g/10분.
울트라텐 635:
도소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25중량%; Mw=6.3×104; MFR=5.7g/10분.
울트라텐 751:
도소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28중량%; Mw=5.5×104; MFR=2.4g/10분.
카탈로이 KS353P:
몬텔에 의해 제조된 리액터 TPO; MFR=0.45g/10분.
카넬 KF282:
일본 폴리켐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수지; MFR=2.2g/10분.
EG7F:
일본 폴리켐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MFR=1.3g/10분.
실시예 1
캘린더 가공에 의한 필름의 제조 및 캘린더 가공성의 평가
표 1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을 170℃의 표면온도를 갖는 2-롤 밀을 이용하여 100㎛ 두께의 필름으로 성형가공했다. 이 가공동안, 이형성과 인취성에 근거한 캘린더 가공성에 대해 수지 조성물을 조사했다. 즉, 이형성과 관련해서, 롤로부터 필름을 박리할 때 수지 조성물이 롤로부터 용이하게 벗겨질 경우를 A로 표기하고, 상기 수지가 롤로부터 벗겨지기 어려운 경우를 B로 표기했다. 인취성과 관련해서, 롤로부터 박리할 때 임의의 불량 없이 필름이 인취될 수 있는 경우를 A로 표기하고, 롤로부터 박리할 때 필름이 늘어지거나 파손되는 경우를 B로 표기했다.
기재 필름의 제조 및 블록킹 저항성의 평가
다음으로, 상기 이형성과 인취성에 근거한 캘린더 가공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을 밀폐식 혼합기로 혼련하고, 스트레이너를 통과시켰다. 그 후, 180℃의 롤 표면 온도를 갖는 역 L형 4-롤 캘린더 장치를 이용하여 70㎛의 두께를 갖는 필름을 제조하고, 이 필름을 롤에 감았다. 그 다음, 이 감겨진 필름을 풀고 상기 조작시의 블록킹의 유무를 조사했다. 블록킹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를 A로 표기하고, 블록킹이 관찰되는 경우를 B로 표기했다.
점착 시트의 제조 및 그 특성의 평가
질소 분위기하에 아크릴산 2중량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93중량부 및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를 유화 공중합하여, 유화형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얻었다. 한 면을 실리콘 처리한 박리지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40㎛가 되도록 상기 유화형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도포하였다. 상기 코팅물을 120℃에서 3분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박리지상에 형성했다.
상기 캘린더 가공에 의해 수득된 두께가 70㎛인 필름의 한 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였다. 필름의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상기 박리지상의 점착제층을 적층시켜, 박리지를 갖는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점착 시트의 10% 모듈러스, 부착감, 동적 마찰 계수, 표면 미끄러짐성, 말림성 및 박리 강도를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10% 모듈러스
수득된 점착 시트를 폭 19㎜, 길이 100㎜의 크기로 재단했다. 23±2℃의 온도, 65±15%의 상대 습도의 분위기하에, 50㎜의 척사이거리, 300㎜/분의 인장속도의 조건하에 10% 신장시의 하중을 10% 모듈러스로 간주했다. 이 10% 모듈러스가5.0N/19㎜ 폭 이하인 경우, 점착 시트는 유연한 것으로 판정한다.
부착감
수득된 점착 시트를 폭 19㎜, 길이 72㎜의 크기로 재단했다. 점착 시트를 피험자의 손의 제2 손가락, 제3 손가락 및 제4 손가락의 제2 관절에 점착 시트가 겹쳐지도록 감았다. 관절을 굽히고 신장시켜 굽힘 및 신장의 긴장 정도로 부착감을 평가했다. 긴장이 없는 경우, 약간 있는 경우, 강한 경우를 각각 A, B, C로 표기했다.
동적 마찰 계수
온도 23±2℃, 상대습도 65±15%의 분위기하에, 수득된 점착 시트의 기재 필름의 표면에 크기 63㎜2, 중량 200g의 스테인레스제 미끄러짐 판을 놓았다. 인장속도 100㎜/분으로 미끄러짐 판을 잡아 당겨, 미끄러짐 판이 움직이기 시작해서 안정적인 값을 가질 때 측정된 하중을 동적 마찰 계수로 간주했다. 동적 마찰 계수가 1.5N 이하인 경우, 점착 시트는 기재 필름의 표면 미끄러짐성이 뛰어난 것으로 판정한다.
미끄러짐성
수득된 점착 시트를 폭 19㎜, 길이 72㎜의 크기로 재단했다. 점착 시트의 긴 방향이 수평이 되도록(무릎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펼쳐지도록) 피험자의 무릎에 점착 시트를 부착했다. 24 시간후, 의류와의 마찰로 인한 점착 시트의 박리 정도를 관찰하여 평가했다. 점착 시트가 박리되지 않는 경우, 말단이 약간 벗겨져들뜬 경우, 말단이 박리된 경우를 각각 A, B, C로 표기했다.
말림성
수득된 점착 시트를 폭 19㎜, 길이 72㎜의 크기로 재단했다. 온도 23±2℃, 상대습도 65±15%의 분위기하에,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지를 벗꼈다. 결과로서 나타나는 말림성의 정도로 말림성을 평가했다. 말림성이 없는 경우를 A로 표기했다. 말림성이 있지만 이 말림성이 실용상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를 B로 표기했다. 점착 시트가 상당히 말려 피부에 부착하기 어려운 경우를 C로 표기했다.
박리 강도
수득된 점착 시트를 폭 19㎜, 길이 72㎜의 크기로 재단하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배열로 직경 1㎜의 관통 구멍을 뚫었다. 이 점착 시트를 피험자의 손의 제2 손가락, 제3 손가락 및 제4 손가락의 제2관절에 점착 시트가 겹쳐지도록 점착 시트를 부착해서 감았다. 1시간의 후, 점착 시트를 상기 손가락으로부터 박리하여 점착 시트가 벗겨진 형태에 근거하여 박리 강도를 평가했다. 즉, 점착 시트가 아무런 지장 없이 벗겨진 경우를 A로 표기했다. 점착 시트가 상당히 신장되었지만 파손 없이 벗겨진 경우를 B로 표기했다. 점착 시트가 파손된 경우를 C로 표기했다.
실시예 2 내지 8
각각 표 1에 나타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점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지 조성물의 캘린더 가공성을 조사했다. 그 후, 각각의 수지 조성물을 캘린더 가공에 의해 두께 70㎛의 필름으로 성형했다. 수득된 필름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블록킹 유무를 조사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서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점착 시트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10% 모듈러스, 부착감, 동적 마찰 계수, 표면 미끄러짐성, 말림성 및 박리 강도를 조사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내지 12
각각 표 2 및 표 3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점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캘린더 가공에 의해 두께 100㎛의 필름을 제조할 때의 수지 조성물의 캘린더 가공성을 조사했다. 캘린더 가공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을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70㎛의 필름으로 성형했다. 수득된 필름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블록킹 유무를 조사했다. 결과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내지 3 및 8에서는 각각 본 발명에서 규정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하지만,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한 조성물에 있어서 그 비율이 너무 높다. 이 때문에, 상기 수지 조성물은 캘린더 가공성이 뛰어나지만 블록킹성이 높은 필름을 생성한다. 반대로, 비교예 4 및 5에서는 본 발명에서 규정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에 대한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수지 및 리액터 TPO의 비율이 각각 너무 높다. 그 결과, 수지 조성물의 캘린더 가공성이 불량하여 목적하는 필름을 얻을 수 없다.
비교예 6에서는 본 발명에서 규정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에 대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비율이 너무 높다. 이 때문에, 수득되는 필름은 미끄러짐성은 뛰어나지만, 딱딱하고 피부 부착감이 나쁘다. 비교예 9 및 10에서는 사용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가 본 발명에서 규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나 용융 유속을 갖지 않았고, 폴리올레핀 수지와 조합해서 사용하지도 않았다. 이 때문에 캘린더 가공에 의해 필름을 얻을 수 없다.
비교예 11 및 12에서는 본 발명에서 규정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하지 않고, 본 발명에서 규정한 폴리올레핀 수지만을 유일한 중합체로서 이용하여 캘린더 가공을 실시했다. 필름을 얻을 수 있지만, 수득된 필름은 말림성이 현저하다.
비교예 7은 본 발명에서 규정한 배합 비율로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올레핀 수지의 조합을 이용한다. 그러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본 발명에서 규정한 값보다 작고, 용융 유속은 그보다 높다. 이 때문에, 캘린더 가공시 조성물의 인취성은 불량하여 목적하는 필름을 얻을 수 없다.
이들 비교예와는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캘린더 가공성이 뛰어나고, 유연하고 피부에 잘 추종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서 이용하여 수득된 점착 시트는 피부에 부착했을 때에 불편한 느낌 없이 뛰어난 부착감을 제공한다. 또한, 이들 점착 필름은 필름의 표면 미끄러짐성이 뛰어나고, 말림성도 없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는 모든 평가에서 뛰어난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점착 시트는 유연하고, 유연함에도 불구하고 실용상 충분한 강도를 갖고, 표면 미끄러짐성이나 말림성도 뛰어나다. 이들 점착 시트는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로서 필요한 균형 잡힌 특성 조합을 갖고, 구급 반창고로서 이용될 수 있는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로서 사용하기 특히 적합하다.
비교예 1 내지 3의 점착 시트는 각각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비율이 본 발명에서 규정한 것보다 높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 수지로 구성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을 이용하여 수득된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와 비교해서 분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의 점착 시트 각각의 표면(즉, 필름측)은 높은 동적 마찰 계수 및 불량한 미끄러짐성을 갖는다. 반대로, 비교예 4 내지 6의 점착 시트는 각각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비율이 본 발명에서 규정한 것보다 낮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 수지로 구성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을 이용하여 수득된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와 비교해서 분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 4 내지 6의 점착 시트는 말림성이 현저하고, 부착감도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에 비해 떨어진다.
비교예 8의 점착 시트는 본 발명에서 규정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단독으로부터 형성된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서 이용하여 수득된 것이다. 이 점착 시트는 미끄러짐성이 떨어진다. 비교예 11 및 12의 점착 시트는 각각 폴리올레핀 수지 단독으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을 이용하여 수득된 것이다. 이 점착 필름은 말림성이 현저하다.
반대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각각 유연하고, 부착감도 뛰어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용상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또한, 이들은 표면 미끄러짐성이 뛰어나고 말리지도 않는다. 그 결과, 이들 점착 시트는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태양과 관련해서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을 실시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출원은 2003년 6월 24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3-179230 호(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음)에 근거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는 특정 범위의 특성을 갖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을 이용하였다. 이 점착 시트는 실용상 필요한 유연성 및 강도를 겸하여 갖는다. 또한, 상기 점착 시트는 피부에 부착했을 때 피부에 잘 맞고 추종하여 불편한 느낌이 없이 뛰어난 부착감을 제공한다. 또한, 점착 시트는 표면 미끄러짐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의류 등과의 마찰시에도 피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캘린더 가공시 롤로부터의 이형성 및 인취성, 즉 캘린선 가공성이 뛰어나고, 얇은 필름이라도 안정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수득되어 롤로 감긴 필름을 점착 시트용 기재 필름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예컨대 그 위에 점착제층을 도포하기 위해 푼 후에도, 상기 필름은 블로킹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기재 필름상에 마련된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지를 박리하더라도 기재 필름은 말리지 않는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는 구급 반창고를 비롯한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1)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05초과 1×106이하이고, 용융 유속이 1.0g/10분 이하이고,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28중량% 초과 35중량% 이하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0 내지 80중량%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고, 용융 유속이 0.3 내지 4.0g/10분의 범위에 있는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수지 80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 및 (2) 피부 부착용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이 5.0N/19㎜ 폭 이하의 10% 모듈러스를 갖는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200g의 하중 및 100㎜/분의 시험 속도의 조건하에 측정된 기재 필름의 동적 마찰 계수가 1.5N 이하인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의 두께가 20 내지 200㎛인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a) 알킬기가 4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b) (메트)아크릴산, 및 알킬기가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과 공중합함으로써 수득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 및 점착제층의 표면에 마련된 흡액성 패드를 포함하는 구급 반창고.
  8. 수지 조성물을 캘린더 가공에 의해 필름으로 성형하고, 기재 필름상에 점착제층을 마련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항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의 두께가 20 내지 200㎛인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a) 알킬기가 4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b) (메트)아크릴산, 및 알킬기가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과 공중합함으로써 수득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040047701A 2003-06-24 2004-06-24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 및 구급 반창고 KR200500003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79230A JP4365624B2 (ja) 2003-06-24 2003-06-24 皮膚貼付用粘着シート及び救急絆創膏
JPJP-P-2003-00179230 2003-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355A true KR20050000355A (ko) 2005-01-03

Family

ID=3341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701A KR20050000355A (ko) 2003-06-24 2004-06-24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 및 구급 반창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265361A1 (ko)
EP (1) EP1491219A2 (ko)
JP (1) JP4365624B2 (ko)
KR (1) KR20050000355A (ko)
CN (1) CN1331540C (ko)
AU (1) AU2004202821A1 (ko)
CA (1) CA24719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902A (ko) * 2019-04-19 2020-10-28 방민영 피부 부착형 패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6947B2 (ja) * 2005-08-05 2011-09-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4769575B2 (ja) * 2005-12-28 2011-09-07 帝國製薬株式会社 貼付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4916757B2 (ja) * 2006-04-10 2012-04-18 日東電工株式会社 医療用粘着テープまたはシート
CA2583954C (en) * 2006-04-10 2014-01-28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US8282754B2 (en) 2007-04-05 2012-10-09 Avery Dennison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shrink label
CN101679818A (zh) 2007-04-05 2010-03-24 艾利丹尼森公司 压敏收缩标签
JP5154823B2 (ja) * 2007-04-17 2013-02-27 日東電工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該組成物よりなる粘着テープ基材、並びに、粘着テープ
JP2010207571A (ja) * 2009-02-10 2010-09-24 Nitto Denko Corp 貼付剤及び貼付製剤
MX2012008762A (es) 2010-01-28 2012-08-31 Avery Dennison Corp Sistema de cinta de aplicador de etiqueta.
EP2557918A2 (en) * 2010-04-14 2013-02-20 Avery Dennison Corporation Methods for increasing effectiveness of antimicrobial agents in polymeric films
CN102373015A (zh) * 2010-08-11 2012-03-14 赵志强 一种eva胶带
WO2014071470A1 (pt) * 2012-11-06 2014-05-15 Braskem S.A. Método para preparo de uma poliolefina adesivada, poliolefina adesivada, uso da mesma, e, artigo de manufatura
JP2016537039A (ja) * 2013-09-24 2016-12-01 ゾディアック コーティング 医療用接着性材料の製造方法
JP2016189844A (ja) * 2015-03-31 2016-11-10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
EP4051717A1 (en) * 2019-10-31 2022-09-0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he produc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ethylene-based polyme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1935B2 (ja) * 1992-07-14 2001-06-04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性に優れた貼付剤
JP4799778B2 (ja) * 2001-08-23 2011-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医療用粘着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てなる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902A (ko) * 2019-04-19 2020-10-28 방민영 피부 부착형 패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31540C (zh) 2007-08-15
US20040265361A1 (en) 2004-12-30
CN1572330A (zh) 2005-02-02
EP1491219A2 (en) 2004-12-29
AU2004202821A1 (en) 2005-01-13
JP4365624B2 (ja) 2009-11-18
JP2005013316A (ja) 2005-01-20
CA2471996A1 (en) 200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0355A (ko) 피부 부착용 점착 시트 및 구급 반창고
USRE31887E (en) Moisture-vapor-perme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terials
JP4755284B2 (ja) 貼付材
EP0051935B1 (en) Medical device for covering a portion of the anatomical surfaces of a living being
AU742636B2 (en) Substrate for adhesive dressing, and medical adhesive dressing and adhesive tape using the same
US6210704B1 (en) Medical adhesive dressing and first-aid adhesive tape
JP4461499B2 (ja) 医療用貼付材および救急絆創膏
JP5902427B2 (ja) 救急絆創膏用基材フィルム、救急絆創膏及び救急絆創膏の製造方法
JP2002248124A (ja) 医療用貼付材及び救急絆創膏
JP3757218B2 (ja) 粘着シート用基材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2696543B2 (ja) 外用材
JP4372882B2 (ja) 貼付材用基材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医療用貼付材、ならびに救急絆創膏
JP4222578B2 (ja) 皮膚貼付材
JP4461500B2 (ja) 医療用貼付材および救急絆創膏
EP1020196B1 (en) Medical adhesive dressing and first-aid adhesive tape
JPH0748458A (ja) ポリオレフィン系軟質フィルムおよびそのフィルムを基材とする絆創膏
JP4484988B2 (ja) 医療用貼付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99381A (ja) 救急絆創膏
JPH07330923A (ja) 軟質オレフィンフィルム
JPH07148240A (ja) 救急絆創膏用フィルム
JP2001058004A (ja) 貼付材用フィルム
JPH0759839A (ja) 救急絆創膏用フィルム
JP2001299899A (ja) 貼付材用フィルム
JPH08322924A (ja) 絆創膏用フィルム
JPH07227422A (ja) 救急絆創膏用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