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0334A - 인쇄 파라미터들의 설정에 따른 기록을 수행하기 위한기록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 파라미터들의 설정에 따른 기록을 수행하기 위한기록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0334A
KR20050000334A KR1020040046505A KR20040046505A KR20050000334A KR 20050000334 A KR20050000334 A KR 20050000334A KR 1020040046505 A KR1020040046505 A KR 1020040046505A KR 20040046505 A KR20040046505 A KR 20040046505A KR 20050000334 A KR20050000334 A KR 20050000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image
data
image data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야시히로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33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processing required or performed, e.g. for reproduction or before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8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는 인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설정 데이터를 무선으로 프린터에 송신한다.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프린터는 설정 데이터에 따라 인쇄 파라미터를 인쇄 컨트롤러에 설정한다. 그 후, 프린터는 휴대폰으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된 이미지를 형성하고, 인쇄 컨트롤러에 의해 렌더링된 이미지를 인쇄한다. 설정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프린터는 디폴트 인쇄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디폴트 파라미터에 따라, 프린터는 휴대폰으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된 이미지를 형성하고, 렌더링된 이미지를 인쇄한다.

Description

인쇄 파라미터들의 설정에 따른 기록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FOR EXECUTING RECORDING ACCORDING TO SETTING OF PRINT PARAMETERS}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록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은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image-data supplying device)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고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록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린터는 보통 호스트 장치들로서 기능하는 접속된 컴퓨터들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수행한다.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가 보다 일반화됨에 따라, 다른 유형들의 프린터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어떤 프린터들은,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captured)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며 디지털 카메라에 착탈될 수 있는 메모리 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슬롯들(slot)을 갖고 있어서, 그 프린터들은 메모리 카드 상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직접 판독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어떤 프린터들은 그 프린터들이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직접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도록,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나 다른 특수한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디지털 카메라에 접속된다. 상술한 프린터들은 프린터들과 디지털 카메라들 사이에서 동작하는 호스트 장치들이 없이도 이미지들을 인쇄할 수 있다.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설정은 프린터들의 조작 패널들이나 그 프린터들에 접속된 디지털 카메라들의 조작 패널들을 통해 수행된다.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징 기능(imaging capability)과 동등한 이미징 기능을 갖는 휴대폰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들은 보통의 디지털 카메라들의 화소수(number of pixels)와 동등한 기록 화소수, 즉 해상도(resolution)로 이미징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어떤 휴대폰들은 외부 장치들과의 적외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들을 갖는데, 이들 인터페이스들은 외부 장치들과 무선으로 적외선 통신들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휴대폰들은, 예컨대, 텔레비전 세트용 리모콘으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전화 회선을 사용하지 않고 휴대폰들 간에 데이터 또는 캡쳐된 이미지들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잉크젯 프린터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1-7576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1-75765호에서 개시된 잉크젯 프린터는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복수의 인터페이스 간의 전환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문서는, 예컨대, 상술한 휴대폰의 적외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도록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방식을 개시하거나 제시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휴대폰이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무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휴대폰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에 의해 캡쳐된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절차를 밟아야 한다. 먼저, 이미지 데이터는 전화선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휴대폰으로부터 컴퓨터로 전송된다. 이미지 데이터는 일단 컴퓨터에 저장되며, 컴퓨터는 이미지 데이터를 프린터에 송신한다. 그 후, 프린터가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한다. 따라서, 전통적인 방식은 인쇄를 위해 복잡하고 많은 조작들을 필요로 한다.
또한, 컴퓨터에 접속된, 일반 사용자용 프린터의 경우에는, 인쇄를 위한 조작들 및 설정들이 컴퓨터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프린터만으로는 복잡한 조작들을 수행할 수 없다. 더욱이, 휴대폰들의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무선 통신들에 의해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형식들은 제조업체들마다 서로 상이하다. 그러므로,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휴대폰들에 의해 캡쳐된 이미지들을, 호환 가능한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한 프린터들로 송신하여, 프린터들에 의해 이미지들을 인쇄하기 위한 편리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았다.
프린터에 접속된 컴퓨터 상에 설치된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인쇄될 이미지 데이터가 프린터로 송신되는 경우에는, 인쇄 부수, 인쇄 크기, 인쇄용 기록 매체로서 사용되는 용지의 유형, 인쇄 품질 등이 각각의 인쇄 명령에 대해 명시된다. 그 후, 이러한 설정을 갖는 이미지 데이터가 프린터로 송신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가 인쇄될 것이다. 그러나, 휴대폰과 같은 소형 단말기는 그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나 파일들의 교환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통신들을 할 수 있을 뿐이고, 인쇄에 대한 다양한 설정을 허용하지 않는다. 더욱이, 프린터 드라이버의 기능들을 휴대폰에 구현하는 것은 휴대폰의 비용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극복하도록 이루어졌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원하는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록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록 장치의 키 조작(key operation)에 의해 원하는 기록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록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기록 장치 및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각각에 대하여 원하는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데, 이 기록 장치는,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설정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유닛, 및 설정 데이터와 분리되어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기록 파라마터들이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된 경우에는 기록 제어 유닛은 기록 파라미터들에 따라 이미지를 기록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무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데, 이 기록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키들을 구비한 키 조작 유닛(key operation unit), 키 조작 유닛에 의한 미리 정의된 키 조작에 따라 하나 이상의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유닛, 및 설정 데이터와 분리되어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기록 파라미터들이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된 경우에는 기록 제어 유닛은 기록 파라미터들에 따라 이미지를 기록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기록 매체 상에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데, 이 기록장치는,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 외부에서 접속된 호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고 - 이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에 종속적인 데이터 형식을 가짐 -, 추출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며,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된 이미지를 형성하고, 렌더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한 제1 기록 제어 유닛,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서 접속된 호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한 제2 기록 제어 유닛, 그리고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의 각각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이미지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기록 매체 상에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데, 기록 장치는,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 - 이 복수의 인터페이스는 서로 상이한 통신 방법들을 지원함 -, 복수의 인터페이스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제어 유닛, 및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하나 이상의 이미지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의 기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기록 제어 방법은,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전송된 설정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 및 설정 데이터와 분리되어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이미지를 기록하는 기록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기록 파라미터들이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경우에, 이미지는 기록 제어 단계에서 기록 파라미터들에 따라 기록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의 기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기록 제어 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키 정보(key information)를 입력하는 키 입력 단계, 키 입력 단계에서의 미리 정의된 키 조작에 따라 하나 이상의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 및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기록하는 기록 제어 단계 - 이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에 종속적인 데이터 형식을 가짐 - 를 포함하며, 기록 파라미터들이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경우에, 이미지는 기록 제어 단계에서 기록 파라미터들에 따라 기록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기록 매체 상에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기록 제어 방법은,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제1 수신 단계, 외부에서 접속된 호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제2 수신 단계,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고 - 이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에 종속적인 데이터 형식을 가짐 -, 추출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며,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된 이미지를 형성하고, 렌더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기록하는 제1 기록 제어 단계,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서 접속된 호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제어 단계, 및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의 각각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이미지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원하는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 장치의 키 조작들에 의해 원하는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 장치가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경우에는, 원하는 기록 파라미터들이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각각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성 및 카메라를 장착한 휴대폰과의 통신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기능 블록도.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기능 블록도.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기능 블록도.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기능 블록도.
도 1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기능 블록도.
도 14는 제7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기능 블록도.
도 16은 제8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기능 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기능 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키들에 의한 인쇄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린터
101 : 컨트롤러
110 : 데이터 프로세서
112 : 데이터 분석기
114 : 데이터 추출기
120 : 저장 유닛
130 : JPEG 프로세서
132 : 렌더러
150 : 인쇄 엔진
200 : 카메라 장착 휴대폰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의 개략적인 구성 및 카메라를 장착한 휴대폰(200)과의 통신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를 장착한 휴대폰(200)은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205)를 구비하며,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 데이터 등을 외부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린터(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프린터(100)는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105)를 구비하며, 휴대폰(200)의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205)와 통신할 수 있다. 프린터(100)에서는, 컨트롤러(101)가 프린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01)는 CPU, CPU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ROM, CPU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며 다양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RAM, 및 그 밖의 관련 장치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프로세서(110)는 데이터 분석기(112) 및 데이터 추출기(114)를 포함한다. 데이터 분석기(112)는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105)를 통해 수신된 파일(데이터)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에기초하여, 데이터 추출기(114)는 차후에 설명될 인쇄 설정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한다. 추출된 이미지 데이터 및 인쇄 설정 데이터는 저장 유닛(120)에 저장된다. 이미지 데이터는 JPEG 프로세서(130)에 의해 디코딩되며,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는 렌더러(renderer; 132)에 의해 렌더링된다. 렌더링된 이미지는 인쇄 엔진(print engine; 150)에 공급되어 인쇄된다. 이러한 경우에서의 인쇄 사양들은 저장 유닛(120)에 저장되는 인쇄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USB 인터페이스(140)는 개인용 컴퓨터(PC)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장치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므로, 이미지 데이터는 USB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수신된 후 인쇄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110) 및 JPEG 프로세서(130)에서의 처리는 컨트롤러(101)의 CPU의 제어 프로그램들에 따른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추출된 이미지 파일은 JPEG 파일이고, 렌더러(132)는 압축된 이미지 파일을 디코딩하고 렌더링한다.
JPEG 프로세서(130)는 이미지 데이터의 인쇄 크기에 따라, 렌더러(132)에 의해 렌더링된 이미지 데이터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도 있다. 즉, 인쇄 엔진(150)에 이미지 데이터를 공급하기 전에, JPEG 프로세서(130)는 이미지 데이터가 특정된 인쇄 크기에 수용될 수 있도록 이미지 데이터의 크기를 변환한다.
제1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 인쇄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설정 파일은 OBEX(Object Exchange) 포맷으로 휴대폰(200)으로부터 프린터(100)로 송신된다. 설정 파일이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폴트 인쇄 파라미터들이 인쇄에 사용된다. 인쇄 파라미터들은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휴대폰(200)으로부터 프린터(100)로 단일 파일로 송신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 파라미터들은, 예컨대, 시트 크기, 용지 유형, 레이아웃, 인쇄 품질, 이미지 처리 방법, 인쇄 부수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인쇄 파라미터들은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도 사용된다.
제1 실시예에서, 설정 파일이 수신된 경우, 설정 파일에 포함된 인쇄 파라미터들은 설정 파일 바로 다음에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만 유효하다. 후속적으로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는 프린터(100)의 디폴트 인쇄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인쇄된다. 설정 파일이 인쇄 데이터 이전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쇄 데이터, 즉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가 도달하는 경우에, 인쇄 데이터는 프린터(100)의 디폴트 인쇄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인쇄된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서의 프린터(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의 부분들에 대응되는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컨트롤러(211)는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105)를 통해 수행되는 적외선 무선 통신들을 제어한다. 인쇄 설정 판독기(212)는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저장된 디폴트 인쇄 설정을 판독하여, 디폴트 인쇄 설정을 메모리(212a)에 임시로 저장한다. 인쇄가 시작되기 직전에, 인쇄 설정 판독기(212)는 메모리(212a)에 저장된 인쇄 설정을 인쇄 컨트롤러(213)에 설정한다. 데이터 분석기(112)는 휴대폰(20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한다. 수신된 데이터에 설정 파일이 포함된 경우에, 데이터분석기(112)는 설정 파일에 기초하여 인쇄 컨트롤러(213)의 인쇄 파라미터들을 설정한다.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는 도 1에서 도시된 저장 유닛(120)에 포함되며, 인쇄 컨트롤러(213)는 인쇄 엔진(150)을 포함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를 수행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은 컨트롤러(101)의 ROM에 저장되며, CPU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스는 프린터(100)의 전원이 인가된 때에 시작된다. 단계(S1)에서, 인쇄 설정 판독기(212)는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로부터 디폴트의 인쇄 설정을 판독하여, 디폴트 인쇄 설정을 인쇄 설정 판독기(212)의 메모리(212a)에 저장한다. 단계(S2)에서는, 프린터(100)의 전원이 차단되었는지 여부가 검사된다. 만약 프린터(100)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3)로 진행하여, 통신 컨트롤러(211)가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105)를 통해 파일을 수신한다. 그 후, 단계(S4)에서, 데이터 분석기(112)는 수신된 파일의 내용을 분석하여, 파일이 인쇄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인쇄 설정 파일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파일이 인쇄 설정 파일이라면 프로세스는 단계(S5)로 진행하여, 인쇄 설정 파일에서 명시된 인쇄 설정이 메모리(212a)에 임시로 저장된다. 프로세스는 그 후 단계(S2)로 복귀하여 그 다음 파일의 수신을 대기한다.
단계(S4)에서, 수신된 파일이 인쇄 설정 파일이 아니라고 결정된 경우에는, 프로세스는 단계(S6)로 진행하여, 수신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즉 이미지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인지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수신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이라면 프로세스는 단계(S7)로 진행하여, 단계(S1) 또는 단계(S5)에서 메모리(212a)에 저장된 인쇄 설정이 판독되어 인쇄 컨트롤러(213)에 설정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8)로 진행하여, 인쇄 컨트롤러(213)가 인쇄 설정에 따라 인쇄를 수행한다. 상술한 방식으로 인쇄가 종료되는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S1)로 복귀하여, 인쇄 설정 판독기(212)가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로부터 디폴트 인쇄 설정을 판독하고 디폴트 인쇄 설정을 메모리(212a)에 기록한다.
따라서, 인쇄 설정 파일에 포함된 인쇄 파라미터들은 인쇄 설정 파일 바로 다음에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의 인쇄를 위해서만 사용된다. 인쇄 설정 파일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저장된 디폴트 인쇄 설정이 인쇄에 사용된다.
제2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한번 설정된 인쇄 파라미터가 소프트 전원 차단(soft power off) 시까지 유효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소프트 전원 차단 후에, 다시 프린터(100)의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는, 프린터(100)의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저장된 디폴트 인쇄 파라미터들이 유효하게 된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의 부분들에 대응되는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신된 파일에 인쇄 설정이 포함되어 있다고 데이터 분석기(112)가 결정하면, 인쇄 설정은 임시로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에 저장된다.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 및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는 도 1에 도시된 저장 유닛(120)에 포함된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를 수행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은 컨트롤러(101)의 ROM에 저장되고, CPU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프린터(100)의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프로세스가 시작한다. 단계(S11)에서, 인쇄 설정 판독기(212)는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로부터 디폴트 인쇄 설정을 판독하고, 디폴트 인쇄 설정을 메모리(212a)에 저장한다. 단계(S12)에서는, 프린터(100)의 전원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프린터(100)의 전원이 차단되지 않았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13)로 진행하여, 통신 컨트롤러(211)는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105)를 통해 파일을 수신한다. 그 후, 단계(S14)에서, 데이터 분석기(112)는 수신된 파일의 내용을 분석하여 파일이 인쇄 설정 파일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수신된 파일이 인쇄 설정 파일이면 프로세스는 단계(S15)로 진행하여, 인쇄 설정 파일에 명시된 인쇄 설정이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에 저장된다. 이러한 경우에, 메모리(212a)의 내용도 새로운 인쇄 설정을 반영하기 위하여 갱신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12)로 복귀하여 다음 파일의 수신을 대기한다.
단계(S14)에서 수신된 파일이 인쇄 설정 파일이 아니라고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S16)로 진행하여, 수신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즉, 이미지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수신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이면 프로세스는 단계(S17)로 진행하여, 인쇄 설정 판독기(212)는 메모리(212a)에 저장된 인쇄 설정을 판독하여, 인쇄 설정을 인쇄 컨트롤러(213)에 설정한다. 단계(S15)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 즉 인쇄 설정이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11)에서 메모리(212a)에 저장된 디폴트 인쇄 설정이 인쇄 컨트롤러(213)에 설정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18)로 진행하여, 인쇄 컨트롤러(213)는 단계(S17)에서 생성된 인쇄 설정에 따라 인쇄를 수행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12)로 복귀해서, 다음 파일의 수신을 대기한다. 또한, 수신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이 아니라고 단계(S16)에서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S12)로 복귀해서 다음 파일의 수신을 대기한다.
따라서, 휴대폰(200)으로부터 수신된 인쇄 설정 파일에 포함된 인쇄 파라미터들은 소프트 전원 차단 시까지 인쇄에 대하여 유효하다.
제3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한번 설정된 인쇄 파라미터들은 인쇄 파라미터들이 다음 번에 설정될 때까지 유효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프린터(100)의 전원이 일단 차단된 후에 다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프린터(100)의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저장된 디폴트 인쇄 파라미터들이 유효하게 된다.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의 부분들에 대응되는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쇄 설정이 수신된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데이터 분석기(112)는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인쇄 설정을 저장한다.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는 도 1에 도시된 저장 유닛(120)에 포함된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를 수행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은 컨트롤러(101)의 ROM에 저장되고, CPU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린터(100)의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프로세스가 시작한다. 단계(S21)에서, 인쇄 설정 판독기(212)는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로부터 디폴트 인쇄 설정을 판독하여, 디폴트 인쇄 설정을 메모리(212a)에 저장한다. 단계(S22)에서는, 프린터(100)의 전원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프린터(100)의 전원이 차단되지 않았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23)로 진행하여, 통신 컨트롤러(211)는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105)를 통해 파일을 수신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24)로 진행하여, 데이터 분석기(112)는 수신된 파일의 내용을 분석하여, 파일이 인쇄 설정 파일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수신된 파일이 인쇄 설정 파일이라면 프로세스는 단계(S25)로 진행하여, 인쇄 설정 파일에 명시된 인쇄 설정이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저장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21)로 복귀한다.
수신된 파일이 인쇄 설정 파일이 아니라고 단계(S24)에서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S26)로 진행하여,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즉, 이미지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인지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수신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이라면 프로세스는 단계(S27)로 진행하여, 메모리(212a)에 저장된 인쇄 설정, 즉 이 경우에는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저장된 인쇄 설정이 인쇄 컨트롤러(213)에 설정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28)로 진행하여, 인쇄 컨트롤러(213)는 인쇄 설정에 따라 인쇄를 수행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21)로 복귀하여, 다음 파일의 수신을 대기한다. 단계(S26)에서, 수신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이 아니라고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S22)로 복귀하여 다음 파일의 수신을 대기한다.
따라서, 인쇄 설정 파일이 한번 수신되면, 그 인쇄 설정은 다음 인쇄 설정 파일이 수신될 때까지의 인쇄에 대하여 유효하다.
제4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서는, 수신된 설정 명령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식들 중의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의 부분들에 대응되는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인쇄 설정이 수신된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데이터 분석기(112)는 인쇄 설정에 첨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설정을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에 저장할 것인지, 아니면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인쇄 설정을 저장한다.
도 9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를 수행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은 컨트롤러(101)의 ROM에 저장되고, CPU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린터(100)의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프로세스가 시작한다. 단계(S31)에서, 인쇄 설정 판독기(212)는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저장된 인쇄 설정을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에 등록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32)로 진행하여, 인쇄 설정 판독기(212)는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로부터 인쇄 설정을 판독하여 메모리(212a)에 인쇄 설정을 저장한다. 그 후, 단계(S33)에서, 프린터(100)의 전원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프린터(100)의 전원이 차단되지 않았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34)로 진행하여, 통신 컨트롤러(211)는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105)를 통해 파일을 수신한다. 그 후, 단계(S35)에서 데이터 분석기(112)는 수신된 파일의 내용을 분석하여, 파일이 인쇄 설정 파일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수신된 파일이 인쇄 설정 파일이 아니면 프로세스는 단계(S36)로 진행하여,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즉, 이미지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인지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수신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이면 프로세스는 단계(S37)로 진행하여, 메모리(212a)에 저장된 인쇄 설정에 따라 인쇄 파라미터들이 인쇄 컨트롤러(213)에 설정되고, 인쇄 컨트롤러(213)가 인쇄 설정에 따라 인쇄를 수행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32)로 복귀한다. 메모리(212a)의 내용은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로부터 판독된 인쇄 설정이다.
단계(S35)에서, 수신된 파일이 인쇄 설정 파일이라고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S39)로 진행하여, 수신된 설정 명령이 디폴트 인쇄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그렇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43)로 진행하여,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저장된 인쇄 설정이 변경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31)로 복귀한다. 단계(S39)에서, 설정 명령이 디폴트 인쇄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지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S40)로 진행하여, 설정 명령이 소프트 전원 차단 시까지 유효한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그렇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42)로 진행하여,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의 내용이 변경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32)로 복귀하여, 다음 파일의 수신을 대기한다. 만약 인쇄 설정이 다음 파일에 대해서만 유효한 것으로 단계(S40)에서 결정되면, 인쇄 설정 판독기(212)는 메모리(212a)의 내용을 디폴트 인쇄 설정으로 변경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33)로 진행하여, 다음 파일의 수신을 대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인쇄 설정은 디폴트 인쇄 설정 또는 임시 인쇄 설정으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수신된 인쇄 설정의 유효 기간(effective period)은 그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
제5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파라미터들은 프린터(100)의 조작 패널 상의 키들을 조작함으로써 프린터에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에서, 도 8의 부분들에 대응되는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키 입력 유닛(216)은 프린터(100)의 조작 패널의 조작 키들에 대응된다. 키 조작 프로세서(217)는 키 입력 유닛(216) 상에서의 키 조작들을 인식함으로써 인쇄 설정을 생성하고,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에 인쇄 설정을 저장한다. 제5 실시예에서, 한번 생성된 인쇄 설정은 다음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만 유효하다. 후속적으로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는, 프린터(100)의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저장된 디폴트 인쇄 설정이 사용된다. 설정 동작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지 데이터나 텍스트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에는, 프린터(100)의 디폴트 인소 설정이 인쇄에 사용된다.
프린터(100)의 조작 패널 상의 키 조작들에 의한 인쇄 설정은 이하에서 도 1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를 수행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은 컨트롤러(101)의 ROM에 저장되고, CPU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프로세스는 프린터(100)의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 시작한다. 단계(S51)에서, 인쇄 설정 판독기(212)는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저장된 인쇄 설정을 판독하고, 인쇄 설정을 메모리(212a)에 저장한다. 단계(S52)에서, 프린터(100)의 전원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프린터(100)의 전원이 차단되지 않았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53)로 진행하여, 키 조작 프로세서(217)는, 키 입력 유닛(216)을 통해 키 조작이 수행되었는지 여부 및 키 조작이 인쇄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키 조작이 인쇄 설정의 변경을 요청한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54)로 진행하여,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에 저장된 인쇄 설정이 변경되고 메모리(212a)의 내용이 갱신된다.
단계(S53)에서, 키 조작이 인쇄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지 않는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55)로 진행하여, 파일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55)에서, 진행 중인 동작이 파일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S52)로 복귀한다. 반면에, 단계(S55)에서, 진행 중인 동작이 파일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고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S56)로 진행하여, 파일의 수신이 수행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57)로 진행하여, 데이터 분석기(112)는 수신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수신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이면, 프로세스는 단계(S58)로 진행하여, 인쇄 설정 판독기(212)는 메모리(212a)에 저장된 인쇄 설정을 판독하고, 인쇄 설정을 인쇄 컨트롤러(213)에 설정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59)로 진행하여, 인쇄 컨트롤러(213)는 인쇄를 수행한다. 상술한 방식으로 인쇄가 완료되거나, 또는 단계(S57)에서, 수신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이 아니라고 결정된 경우에, 프로세스는 단계(S51)로 복귀하여, 인쇄 설정 판독기(212)는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저장된 인쇄 설정을 판독하고, 메모리(212a)에 인쇄 설정을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라, 인쇄 설정은 키 조작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인쇄 설정은 인쇄 설정의 수행 다음에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제6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6 실시예에서는, 제5 실시예에서와 같이, 프린터의 조작 패널 상의 키들을 조작함으로써 인쇄 파라미터들이 프린터(100)에 설정될 수 있다. 제6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의 기능적인 구성은 도 10에 도시된 기능적인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되지 않는다. 제6 실시예에서, 한번 생성된 인쇄 설정은 소프트 전원 차단 시까지 유효하다. 제6 실시예에서, 키 조작들에 의해 생성된 인쇄 설정은 다음의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뿐만 아니라, 후속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소프트 전원 차단 후에 프린터(100)의 전원이 다시 인가된 경우에는, 프린터(100)의 디폴트 인쇄 설정이 유효하게 된다.
도 1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를 수행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은 컨트롤러(101)의 ROM에 저장되어, CPU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도 12에서, 도 11의 단계들에 대응되는 단계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되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와 도 11간의 비교를 통해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도 12에서, 단계들(S54, S55, S57 및 S59)은 단계(S52)로 복귀한다. 따라서, 인쇄 컨트롤러(213)에 설정된 인쇄 파라미터들은 새로운 인쇄 파라미터들이 설정될 때까지 변경되지 않는다.
제7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7 실시예에서는, 프린터(100)의 조작 패널 상의 키들을 조작함으로써 프린터(100)에 인쇄 파라미터들이 설정될 수 있다. 제7 실시예는 한번 생성된 인쇄 설정이 다음 번 인쇄 설정이 생성될 때까지 유효하다는 점에서 제6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인쇄 설정이 일단 생성되면, 인쇄 설정은 다음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뿐만 아니라, 후속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더욱이, 인쇄 설정은 프린터(100)의 전원이 일단 차단되고 그 후에 인가된 경우에도 유효하다. 그러나, 새로운 인쇄 설정이 생성되거나, 디폴트 인쇄 파라미터들이 변경된 경우에는 인쇄 설정이 변경된다.
도 13은 제7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3에서, 도 10의 부분들에 대응되는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키 조작 프로세서(217)는 키 입력 유닛(216) 상의 키 조작들을 인식함으로써 인쇄 설정을 생성하고,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인쇄 설정을 저장한다.
도 14는 제7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를 수행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은 컨트롤러(101)의 ROM에 저장되어, CPU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프로세스는 프린터(100)의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 시작한다. 단계(S61)에서, 인쇄 설정 판독기(212)는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저장된 인쇄 설정을 판독하여, 메모리(212a)에 인쇄 설정을 저장한다. 단계(S62)에서, 프린터(100)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프린터(100)의 전원이 차단되지 않았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63)로 진행하여, 키 조작 프로세서(217)는, 키 조작이 키 입력 유닛(216)을 통해 수행되었는지 여부 및 키 조작이 인쇄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그렇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64)로 진행하여,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저장된 인쇄 설정이 변경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61)로 복귀하며, 메모리(212a)의 내용도 새로운 인쇄 설정을 반영하기 위해갱신된다.
단계(S63)에서, 키 조작이 인쇄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S65)로 진행하여, 진행 중인 동작이 파일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단계(S65)에서, 진행 중인 동작이 파일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S62)로 복귀한다. 반면에, 단계(S65)에서, 진행 중인 동작이 파일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S66)로 진행하여, 파일의 수신이 수행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67)로 진행하여, 데이터 분석기(112)는 수신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수신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이면, 프로세스는 단계(S68)로 진행하여, 인쇄 설정 판독기(212)는 메모리(212a)에 저장된 인쇄 설정을 판독하고, 인쇄 설정을 인쇄 컨트롤러(213)에 설정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69)로 진행하여, 인쇄 컨트롤러(213)는 인쇄를 수행한다. 상술한 방식으로 인쇄가 완료된 경우에, 프로세스는 단계(S62)로 복귀하여, 인쇄 설정이 수행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그 후, 상술한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7 실시예에 따라, 인쇄 설정이 일단 생성되면, 인쇄 설정은 다음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뿐만 아니라, 후속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더욱이, 설정은 프린터(100)의 전원이 일단 차단되고 그 후에 다시 인가된 경우에도 유효하다.
제8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8 실시예에서, 인쇄 파라미터들은 프린터(100)의 조작 패널 상의 키들을 조작함으로써, 프린터(100)에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인쇄 설정이 다음의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만 유효할 것인지, 인쇄 설정이 소프트 전원 차단 시까지 유효할 것인지, 아니면 디폴트 인쇄 설정이 변경될 것인지를, 키 조작에 의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는 제8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5에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의 부분들에 대응되는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된다. 제8 실시예에서, 키 조작 프로세서(217)는 키 조작에 따라 인쇄 설정이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에 저장될 것인지, 아니면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저장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16은 제8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를 수행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은 컨트롤러(101)의 ROM에 저장되어, CPU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프린터(100)의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 프로세스가 시작한다. 단계(S71)에서, 인쇄 설정 판독기(212)는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저장된 인쇄 설정을 판독하여,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에 인쇄 설정을 등록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72)로 진행하여, 인쇄 설정 판독기(212)는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로부터 인쇄 설정을 판독하고, 메모리(212a)에 인쇄 설정을 저장한다. 단계(S73)에서는, 프린터(100)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프린터(100)의 전원이 차단되지 않았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74)로 진행하여, 키 조작 프로세서(217)는 키 입력 유닛(216)으로부터의 키 입력에 기초하여, 키 조작이 인쇄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그렇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79)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75)로 진행하여, 진행 중인 동작이 파일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S75)에서, 진행 중인 동작이 파일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S73)로 복귀한다. 반면에, 단계(S75)에서, 진행 중인 동작이 파일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S76)로 진행하여, 파일의 수신이 수행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77)로 진행하여, 수신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인지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수신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이면 프로세스는 단계(S78)로 진행하여, 메모리(212a)에 저장된 인쇄 설정에 따라 인쇄 파라미터들이 인쇄 컨트롤러(213)에 설정되고, 인쇄가 수행된다.
단계(S79)에서는, 키 조작의 내용이 분석된다. 그 후, 단계(S80)에서, 키 조작이 디폴트 인쇄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그렇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84)로 진행하여,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에 저장된 인쇄 설정이 변경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71)로 복귀한다.
만약 키 조작이 디폴트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지 않는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81)로 진행하여, 키 조작이 소프트 전원 차단 시까지 유효한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그렇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83)로 진행하여,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에 저장된 인쇄 설정이 변경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72)로 복귀한다. 단계(S81)에서, 키 조작이 다음 파일에 대해서만 유효한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S82)로 진행하여, 인쇄설정이 인쇄 설정 판독기(212)의 메모리(212a)에 저장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73)로 복귀하여 다음 동작을 대기한다.
따라서, 인쇄 설정이 다음의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만 유효할 것인지, 인쇄 설정이 소프트 전원 차단 시까지 유효할 것인지, 아니면 디폴트 인쇄 설정이 변경될 것인지를, 키 조작에 의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9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9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인터페이스들의 각각에 대하여 인쇄 설정이 개별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멀티 인터페이스(multi-interface) 프린터에 있어서, 인쇄 설정이 인터페이스들의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인터페이스 및 IrDA 인터페이스를 갖는 프린터에서, USB 인터페이스에 대한 인쇄 설정과 IrDA 인터페이스에 대한 인쇄 설정이 모두 허용된다. 상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의 인쇄 설정은, 예컨대, 시트 크기, 용지 유형, 레이아웃, 인쇄 품질, 이미지 처리 방법, 인쇄 부수 등을 포함한다.
인쇄 설정의 유효 기간(effective period) 및 인쇄 설정의 변경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들에서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도 17은 제9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7에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의 부분들에 대응되는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된다. 프린터(100)는 적외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제1 인터페이스, 및 USB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제2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프린터(100)는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a), 및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a)를 포함한다. 프린터(100)는 또한 USB 인터페이스를 위한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b), 및 USB 인터페이스를 위한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b)도 포함한다.
제10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0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인쇄 설정이 각각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터페이스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멀티 인터페이스 프린터에 있어서, 인쇄 설정이 인터페이스들의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인터페이스 및 IrDA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프린터에서, USB 인터페이스에 대한 인쇄 설정과 IrDA 인터페이스에 대한 인쇄 설정이 각각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예에서와 같이, 인쇄 설정은 키 조작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의 인쇄 설정은, 예컨대, 시트 크기, 용지 유형, 레이아웃, 인쇄 품질, 이미지 처리 방법, 인쇄 부수 등을 포함한다.
인쇄 설정의 유효 기간 및 인쇄 설정의 변경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들에서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도 18은 제10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8에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의 부분들에 대응되는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프린터(100)는 적외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제1 인터페이스, 및 USB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제2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프린터(100)는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a), 및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a)를 포함한다. 또한, 프린터(100)는 USB 인터페이스를 위한 임시 인쇄 설정 메모리(215b), 및 USB 인터페이스를 위한 디폴트 인쇄 설정 메모리(214b)도 포함한다.
제9 및 제10 실시예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들의 절차는 제1 내지 제8 실시예에 관련된 흐름도들에 도시된 프로세스들을 인터페이스들의 각각에 적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는 생략한다.
도 19는 제5 내지 제8 실시예, 및 제10 실시예에서의 프린터(100)의 키 조작들에 의한 인쇄 설정의 프로세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프린터(100)는 오류로부터 복귀하거나 인쇄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리셋 키(reset key), 및 전원 인가 또는 전원 차단을 위한 전원 키(power key)를 포함하는 동작 키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리셋 키와 전원 키가 사용되는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S101)에서, 프린터(100)가 인쇄 동작 중이 아닌 경우에, 리셋 키가 눌려져 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리셋 키가 눌려져 있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102)로 진행하여, 리셋 키가 소정의 시간 이상 동안 계속 눌려져 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그렇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103)로 진행하여, 예컨대 오류를 나타내는 LED가 점등된다. 그 후, 단계(S104)에서 카운터가 증가된다. 단계(S105)에서는 LED가 소정의 시간 동안 계속 점등되어 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만약 그렇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106)로 진행하여, LED가 소등된다. 그 후, 단계(S107)에서는 리셋 키가 해제되어 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리셋 키가 해제되어 있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상술한 단계들(S102 내지 S107)을 반복한다. 만약 리셋 키가 해제되어 있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108)로 진행하여, LED가 점멸된 횟수, 즉 카운터의 값에 따라 인쇄 설정이 변경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인쇄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LED가 7회 점멸된 후에 리셋 키가 해제된다면, 시트 크기는 명함 크기와 L 크기 사이에서 전환된다. 만약 LED가 6회 점멸된 후에 리셋 키가 해제된다면, 사진을 인쇄하기 위한 특수 코팅 용지가 사용되는 파인 모드(fine mode)와 염가의 보통 용지가 사용되는 보통 용지 모드 사이에서 전환이 발생한다.
리셋 키가 해제되기 전에 LED가 점멸된 횟수에 따라 특정 인쇄 파라미터를 전환하는 대신에, 예컨대, 리셋 키가 해제되기 전에 LED가 점멸된 횟수에 따라 인쇄 파라미터가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가 5회 점멸된 후에 리셋 키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명함 크기가 선택되고, LED가 6회 점멸된 후에 리셋 키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L 크기가 선택된다.
키 조작들에 의한 인쇄 설정은 상술한 키 조작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린터 상에서 보통 제공되는 온라인 키 또는 전원 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ED가 점멸된 횟수에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설정은 버저 음향을 기초로 할 수 있다. 또한, 제9 및 제10 실시예들이 USB와 IrDA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한 멀티 인터페이스 프린터에 관해서 설명되었다고 해도, 본 발명은 USB 및 IrDA 인터페이스들에 제한되지 않고,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프린터, 또는 유선 통신을 위한 다른 유형들의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한 프린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IrDA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 및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와 같은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인쇄 설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터페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인쇄 설정이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이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관련되어 설명되었다하더라도,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도 1에 도시된 프린터(100)는 USB 인터페이스(140) 및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105)와 같은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들 중의 어느 것도 실제로 통신을 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인터페이스들의 각각은 통신에 대비한다. 인터페이스들 중의 하나가 통신을 개시하면, 다른 인터페이스들에 의한 통신은 금지된다. 통신이 완료되고 인쇄에 관한 처리가 완료된 경우, 예컨대, 최종 페이지의 인쇄가 완료된 경우에, 프린터(100)는 대기 상태에 다시 진입한다. 따라서, 통신이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105)를 통해 발생하고 있는 중에 외부 개인용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가 USB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수신되더라도,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105)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가 먼저 인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를 시스템 또는 장치에 제공하여,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CPU 또는MPU)가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도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은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되는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구현되므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저장 매체는, 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또는 ROM이 될 수 있다.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구현하는 대신에, 컴퓨터 상에서 작동되고 있는 운영 체제(OS)가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전체의 처리 또는 그 일부를 수행하여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달성할 수 있다. 이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더욱이,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배치된 기능 확장 보드(function extension board) 또는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function extension unit)의 메모리에 기록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기능 확장 보드 또는 기능 확장 유닛의 CPU 등이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전체의 처리 또는 그 일부를 수행할 것이다. 이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은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라고 간주되는 것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경 및 동등한 장치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는,모든 그러한 변경들 및 동등한 구조들 및 기능들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원하는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Claims (21)

  1.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설정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 및
    상기 설정 데이터와 분리되어 상기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이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경우에,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에 따라 이미지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을,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이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후에 최초로 기록되는 이미지 데이터에만 적용하는 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을, 상기 기록 장치의 전원이 차단될 때까지 유효한 기록 파라미터들로서 적용하는 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을 디폴트 기록 파라미터들(default recording parameters)로서 적용하는 기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데이터와 분리되어 상기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 - 상기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에 종속적인 데이터 형식을 가짐 -; 및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렌더링(rendering)하여 렌더링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렌더링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렌더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 가능하게 하는 제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제1 인터페이스와 상이한 제2 인터페이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들의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의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기록 장치.
  7.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키(key)들을 갖는 키 조작 수단;
    상기 키 조작 수단에 의한, 소정의 키 조작에 따라, 하나 이상의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 및
    설정 데이터와 분리되어 상기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이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경우에,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에 따라 이미지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을,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이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후에 최초로 기록되는 이미지에 데이터만 적용하는 기록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을, 상기 기록 장치의 전원이 차단될 때까지 유효한 기록 파라미터들로서 적용하는 기록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을 디폴트 기록 파라미터들로서 적용하는 기록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데이터와 분리되어 상기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 - 상기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에 종속적인 데이터 형식을 가짐 -; 및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렌더링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렌더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제1 인터페이스와 상이한 제2 인터페이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들의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의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기록 장치.
  13. 기록 매체 상에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에서,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
    외부에서 접속되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에 종속적인 데이터 형식을 가지는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며, 상기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된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렌더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기록하는 제1기록 제어 수단;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서 접속되는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제어 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들의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의 이미지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
    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록 제어 수단들 각각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들에 대해 설정된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을,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이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후에 최초로 기록되는 이미지들에만 적용하는 기록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록 제어 수단들 각각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들에 대해 설정된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을, 상기 기록 장치의 전원이 차단될 때까지 유효한 기록 파라미터들로서 적용하는 기록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록 제어 수단들 각각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1및 제2 인터페이스들에 대해 설정된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을, 상기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디폴트 기록 파라미터들(default recording parameters)로서 적용하는 기록 장치.
  17. 기록 매체 상에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에서,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서로 상이한 통신 방법들을 지원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들;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들 중의 하나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기록하는 기록 제어 수단; 및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들의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하나 이상의 이미지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
    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
  18.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의 기록 제어 방법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설정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 및
    상기 설정 데이터와 분리되어 상기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이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경우에, 이미지는 상기 기록 제어 단계에서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에 따라 기록되는 기록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데이터와 분리되어 상기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에 종속적인 데이터 형식을 가지는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 및
    상기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렌더링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더링 단계에서 형성되는 상기 렌더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제어 단계에서 이미지가 기록되는 기록 제어 방법.
  20.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의 기록 제어 방법에서,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키 정보를 입력하는 키 입력 단계;
    상기 키 입력 단계에서의, 소정의 키 조작에 따라, 하나 이상의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전송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에 종속적인 데이터 형식을 가지는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기록하는 기록 제어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이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경우에, 상기 기록 제어 단계에서 상기 기록 파라미터들에 따라 이미지를 기록하는 기록 제어 방법.
  21. 기록 매체 상에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제어 방법에서,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제1 수신 단계;
    외부에서 접속된 호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제2 수신 단계;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공급 장치에 종속적인 데이터 형식을 가지는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며, 상기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된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렌더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기록하는 제1 기록 제어 단계;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서 접속되는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제어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들의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의 이미지 기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기록 제어 방법.
KR1020040046505A 2003-06-23 2004-06-22 인쇄 파라미터들의 설정에 따른 기록을 수행하기 위한기록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KR200500003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78617 2003-06-23
JP2003178617A JP2005020101A (ja) 2003-06-23 2003-06-23 記録装置及びその記録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334A true KR20050000334A (ko) 2005-01-03

Family

ID=3341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505A KR20050000334A (ko) 2003-06-23 2004-06-22 인쇄 파라미터들의 설정에 따른 기록을 수행하기 위한기록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26716B2 (ko)
EP (1) EP1491993A3 (ko)
JP (1) JP2005020101A (ko)
KR (1) KR20050000334A (ko)
CN (1) CN157380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118B1 (ko) * 2022-03-21 2022-08-18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잉크젯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2204A1 (ja) * 2005-03-30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携帯端末装置、印刷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用印刷装置
JP2006327017A (ja) * 2005-05-26 2006-12-07 Citizen Watch Co Ltd 印刷装置及び条件設定方法
EP1727345B1 (de) * 2005-05-27 2009-11-18 Norbert Weig Verfahren und System zur Herstellung von Fotobüchern
US7791757B2 (en) 2005-05-27 2010-09-07 Norbert Weig Procedure and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photo books
JP4049174B2 (ja) * 2005-07-22 2008-02-2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データ処理方法
JP4082427B2 (ja) 2005-10-14 2008-04-3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US7804612B2 (en) * 2006-01-31 2010-09-28 Ricoh Company, Ltd. Network printing with driverless clients
JP4683642B2 (ja) * 2006-02-20 2011-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装置、画像印刷装置及びそれらからなる画像印刷システム
JP4404064B2 (ja) * 2006-03-31 2010-01-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重複設定防止プログラム。
JP4232802B2 (ja) * 2006-08-23 2009-03-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受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084359B2 (ja) * 2007-06-13 2012-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190252A (ja) * 2008-02-14 2009-08-27 Seiko Epson Corp 印刷制御装置、印刷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0173151A (ja) * 2009-01-28 2010-08-12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ー
US8773687B2 (en) 2009-03-06 2014-07-08 Ricoh Company, Ltd. Driverless architecture for printing systems
JP5315217B2 (ja) * 2009-11-26 2013-10-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842334B2 (en) * 2010-06-30 2014-09-23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Maintaining print settings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JP5752017B2 (ja) * 2011-11-28 2015-07-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52572B2 (ja) * 2011-11-29 2014-03-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82604B2 (ja) 2012-09-20 2015-03-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6015546A (ja) * 2014-06-30 2016-01-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CN104139525A (zh) * 2014-07-08 2014-11-12 燕山大学 一种3d打印机断电保护系统及其实现方法
CN106933518A (zh) * 2015-12-29 2017-07-07 口碑控股有限公司 一种打印装置及打印方法
JP6720705B2 (ja) * 2016-06-07 2020-07-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ー、及び制御方法
JP6870924B2 (ja) * 2016-06-08 2021-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方法及び印刷制御用プログラム
JP7255277B2 (ja) * 2019-03-25 2023-04-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2022138650A (ja) * 2021-03-10 2022-09-2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3473A (ja) 1986-04-28 1987-11-05 Tokyo Electric Co Ltd 印字装置
US5075874A (en) * 1989-04-10 1991-12-24 Eastman Kodak Company Communications interface for computer output printer
US5638183A (en) * 1989-05-10 1997-06-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electively controlled resolution
JPH0550665A (ja) 1991-08-20 1993-03-02 Hokuriku Nippon Denki Software Kk ページプリンタ装置
US5250986A (en) * 1992-05-06 1993-10-05 Hewlett-Packard Company Peripheral unit control panel with smart key
JP3225711B2 (ja) 1993-10-27 2001-11-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ジョブ処理システムおよびジョブ処理実行装置
FI102923B1 (fi) * 1996-08-08 1999-03-15 Nokia Mobile Phones Ltd Tiedontulostusjärjestelmä, menetelmä tiedon tulostamiseksi sekä päätelaitteet tiedon tulostamiseksi
EP0994578B1 (en) * 1998-08-31 2007-04-04 Canon Europa N.V. Adaptation of radio transmission parameters of a cord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1075765A (ja) 1999-09-07 2001-03-23 Canon Inc 電子装置、他の機器との交換情報管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3893442B2 (ja) * 2000-01-14 2007-03-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プリント注文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印刷装置
JP2001253122A (ja) * 2000-03-10 2001-09-18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ト方法、携帯通信端末及び携帯型プリンタ
JP2001325182A (ja) * 2000-03-10 2001-11-22 Ricoh Co Ltd 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該印刷システムにおける携帯通信機器、プリンタ、プリントサーバー及びクライアント
US7414746B2 (en) * 2000-05-23 2008-08-19 Fujifilm Corporation Image data communication method
JP2002116679A (ja) * 2000-07-31 2002-04-1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3877944B2 (ja) * 2000-08-03 2007-02-0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制御システム
JP4363555B2 (ja) * 2000-09-11 2009-11-11 株式会社リコー 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US20020097408A1 (en) * 2001-01-19 2002-07-25 Chang William Ho Output device for universal data output
IL142057A0 (en) * 2001-03-18 2002-03-10 Ink Jet Tech Ltd A unified device for scanning, printing and photo taking in cellular telephony
JP4193378B2 (ja) 2001-06-27 2008-12-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
US7760375B2 (en) * 2001-06-29 2010-07-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by reference service method
US20040001217A1 (en) * 2002-06-26 2004-01-0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rs of mobile computing devices to print documents
US20040137919A1 (en) * 2003-01-13 2004-07-15 Biundo Marc C.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e-mail configuration message
US20040137928A1 (en) * 2003-01-13 2004-07-15 Biundo Marc C. Cellular phone printing configuration short message system mess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118B1 (ko) * 2022-03-21 2022-08-18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잉크젯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91993A3 (en) 2006-04-05
CN1573805B (zh) 2010-04-28
US20040257605A1 (en) 2004-12-23
CN1573805A (zh) 2005-02-02
EP1491993A2 (en) 2004-12-29
JP2005020101A (ja) 2005-01-20
US7626716B2 (en) 200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0334A (ko) 인쇄 파라미터들의 설정에 따른 기록을 수행하기 위한기록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JP4059027B2 (ja)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タの印刷条件設定方法
JP4726239B2 (ja) 印刷システム、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612224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JP201203798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画像形成システム
JP4582208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03143520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と記録装置とを有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EP1724670A2 (en)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print processing,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 product
JP2007200235A (ja) リムーバブルメディア装置、リムーバブルメディア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ネット機器制御プログラム
JP6333032B2 (ja) 通信方法、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1014757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4574282B2 (ja)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該デバイス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と印刷制御方法
JP4262186B2 (ja) 画像供給装置及び該装置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US20030210420A1 (en) Print system, portable information device, print apparatus, print data source apparatus, print execution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4720882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6172094A (ja) 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サーバ
JP4609536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CN109479237A (zh) 通过使用移动终端建立成像设备的无线连接的方法以及用于执行该方法的成像设备
JP6711852B2 (ja) 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2007002488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WO2022259709A1 (ja)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244281A (ja) 画像検索システム、画像検索装置、画像検索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0389858B1 (ko) 인쇄기 및 그 인쇄데이터 처리방법
JP4618447B2 (ja)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タの印刷条件設定方法
JP6642965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1201

Effective date: 2007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