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326Y1 - 서적형 납골함 - Google Patents

서적형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326Y1
KR200497326Y1 KR2020210000859U KR20210000859U KR200497326Y1 KR 200497326 Y1 KR200497326 Y1 KR 200497326Y1 KR 2020210000859 U KR2020210000859 U KR 2020210000859U KR 20210000859 U KR20210000859 U KR 20210000859U KR 200497326 Y1 KR200497326 Y1 KR 200497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remains
storage space
storage box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310U (ko
Inventor
배소정
Original Assignee
배소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소정 filed Critical 배소정
Priority to KR2020210000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326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3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3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2Coffin closures; Pack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61G17/0405Joints, e.g.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6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 B65D65/18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with some areas transparent and others opaqu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적형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이는,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서적의 모양을 갖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는 것으로서, 유골을 수용하며, 유골을 외부로 내보이는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는 금속재 방화케이스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서적형 납골함은, 내화능력을 가지므로 화재 시 유골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실수로 떨어뜨리더라도 열리지 않아 유골의 분실 염려가 없다. 또한, 밀봉된 상태라 하더라도 투광윈도우를 통해 유골을 직접 볼 수 있으므로 추억의 정을 더욱 깊게 느낄 수 있으며, 유골을 수용하는 내부용기의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유골의 양이 적다 하더라도 투광윈도우 뒤에 충분히 위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서적형 납골함{Book type funeral urn}
본 고안은 서적형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시에도 유골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떨어뜨리더라도 열리지 않는 구조를 갖는, 서적형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과거의 매장 식 장묘 풍습에서 탈피하여 근래에는 거의 대부분 시신을 화장하여 납골함에 모시고 있다. 납골함은 보통 봉안시설에 안치하지만, 경우에 따라, 가정 내에 모시기도 하는데 이 때에는 가정용 납골함이 사용된다. 그런데, 납골함에 모셔진 고인의 유골은, 아무리 관리를 잘 한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충의 침입이나 습기 등의 이유로 점차 변질되고 부패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있었으며, 그 방편의 하나로써, 골분을 아예 융해시켜 마치 보석과 같은 모양의 사리로 만드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골분에 나노 크기의 첨가물을 혼합한 상태로 대략 2000℃ 정도의 온도로 가열하여 골분을 녹이면 구슬모양의 사리를 얻을 수 있다. 사리는 여러 가지 칼라를 가져 후가공을 통해 더욱 아름답고 기품 있는 형태로 만들 수 있고, 부패나 변질의 문제도 해결한다.
한편, 사리를 모시는 납골함도 과거의 단순한 항아리의 모양에서 벗어나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되고 있다. 그 중에는 두꺼운 서적의 모양을 갖는 타입의 것도 있다. 이러한 서적형 납골함은, 서적의 모양을 갖는 외부케이스와, 사리가 담겨진 내부케이스의 기본 구조를 갖는다. 외부케이스를 개방하면 내부케이스가 나오고, 내부케이스를 열면 사리를 볼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서적형 납골함은,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를 개방하는 방향이 동일하므로, 실수로 떨어뜨릴 경우,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의 도어가 모두 열린다는 단점을 갖는다. 도어가 모두 열리면 내부의 사리가 주변으로 흩어져 분실될 수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나 내부케이스가 목재나 합성수지로 제작되므로, 화재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화재 시 사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62317호 (책 구조형 유골 안치함)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유골 안치함은, 유골함 또는 고인의 유류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양측 및 전방이 개방되도록 하는 본체; 본체의 일측 개방부를 밀폐하도록 고정 결합되거나 본체와 일체로 제작되도록 하는 측면 고정커버; 본체의 타측 개방부를 힌지부재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도록 커버하며, 개방된 중앙부에는 고인의 사진이 부착 또는 새겨진 포토 플레이트가 고정되고, 외측면에는 중앙부에 고인의 사진, 출생에서 사망까지의 기간, 업적, 고인의 명복을 비는 비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착 또는 새겨진 외부 커버 플레이트를 중앙부에 부착한 측면 도어커버가 부착되는 측면 도어 및 본체의 전방측 개방부를 힌지부재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커버하며, 전면 도어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의 전방측 중앙부에는 고인의 사진, 출생에서 사망까지의 기간, 업적 또는 고인의 명복을 비는 비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착 또는 새겨지도록 한 내부 커버 플레이트가 부착되고, 라운딩 구조로 이루어지는 전방부의 하부에는 고인의 성명이 인쇄된 네임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전면 도어로 구성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62317호 (책 구조형 유골 안치함)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04032호 (바이블 납골함)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화재 시 유골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유골의 분실 염려가 없고, 유골을 직접 볼 수 있으므로 추억의 정을 더욱 깊게 느낄 수 있는, 서적형 납골함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고안의 서적형 납골함은,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서적의 모양을 갖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는 것으로서, 유골을 수용하며, 유골을 외부로 내보이는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는 금속재 방화케이스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사각의 바닥부와, 바닥부의 네 변에 고정되는 측벽부로 이루어지고, 커버는, 본체에 대해 지지샤프트로 연결되어, 지지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여 수납공간을 개폐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에는; 수납공간에 안치되어 있는 방화케이스를, 수납공간 외부로 밀어내기 위해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화케이스는, 유골을 수용하며 상기 개방구를 갖는 수납박스와, 수납박스를 밀폐시키는 밀폐캡을 포함하며, 밀폐캡은, 방화케이스가 수납공간에 안치된 상태에서 일측 측벽부에 막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수납박스에 형성된 개방구에는 투광윈도우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개방구에는, 투광윈도우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금속재 셔터플레이트가 분리 가능하도록 더 장착된다.
또한,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는, 유골이 담겨지는 투명한 내부용기와, 내부용기를 받쳐 내부용기가 투광윈도우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납박스에는, 상기 내부용기를 꺼내지 않은 상태로 받침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수납박스를 개방하는 하부캡이 더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서적형 납골함은, 내화능력을 가지므로 화재 시 유골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실수로 떨어뜨리더라도 열리지 않아 유골의 분실 염려가 없다.
또한, 밀봉된 상태라 하더라도 투광윈도우를 통해 유골을 직접 볼 수 있으므로 추억의 정을 더욱 깊게 느낄 수 있으며, 유골을 수용하는 내부용기의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유골의 양이 적다 하더라도 투광윈도우 뒤에 충분히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적형 납골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서적형 납골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수납박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수납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적형 납골함에 적용 가능한 다른 형태의 수납박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적형 납골함에서 본체에 장식부가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적형 납골함에 적용 가능한 방화케이스의 변형 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적형 납골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서적형 납골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수납박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의 수납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서적형 납골함(10)은, 외부케이스(11), 방화케이스(40), 내부용기(51), 셔터플레이트(43)를 구비한다.
외부케이스(11)는, 닫힌 상태로 서적의 형상을 취하며, 목재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작 가능하다. 외부케이스(11)에 다양한 형식의 데코레이션이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외부케이스(11)는 본체(12)와 커버(18)를 갖는다. 본체(12)는, 방화케이스(40)를 수용하는 수납공간(12a)을 제공한다. 수납공간(12a)은, 사각플레이트 형태의 바닥부(12e)와, 네 개의 측벽부(12c)로 이루어진 공간이다. 측벽부(12c)는 바닥부(12e)의 네 변에 고정되어 사각틀을 이룬다.
특히, 방화케이스(40)는, 수납공간(12a)에 안치된 상태로, 바닥부(12e) 및 측벽부(12c)에 접한다. 이에 따라, 수납공간(12a)에 방화케이스(40)가 안치된 상태에서 밀폐캡(45)이 열리지 않는다. 안치된 상태의 밀폐캡(45)이, 측벽부(12c)에 막혀 화살표 e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바닥부(12e)에는 관통구멍(12g)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구멍(12g)은 수납공간(12a)에 수용되어 있는 방화케이스(40)를, 수납공간(12a) 외부로 밀어내기 위해, 가령 손가락을 넣는 구멍이다. 즉, 관통구멍(12g)을 통해 손가락을 넣어 방화케이스(40)를 수납공간(12a) 외부로 밀어낼 수 있는 것이다. 방화케이스(40)가 측벽부(12c)에 밀착하여, 방화케이스(40)와 측벽부(12c)의 사이로 손가락을 넣을 수 없기 때문에, 관통구멍(12g)이 없다면 방화케이스(40)를 꺼내기가 번거롭다. 방화케이스(40)를 꺼내는 이유는 내부 청소를 위해서 일 수 있다.
측벽부(12c)의 일단에는 자석(14)이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자석(14)은 커버(18)에 고정되어 있는 철편(18a)에 대응하며, 커버(18)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사용자가 커버(18)를 들추면 자석(14)으로부터 철편(18a)이 분리된다.
커버(18)는 지지샤프트(16)를 통해 본체(12)에 연결되는 판상부재로서, 지지샤프트(16)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납공간(12a)을 개폐 한다. 커버(18)의 단부에는 위에 언급한 철편(18a)이 위아래로 고정되어 있다.
본체(12)와 커버(18)는 연결부(21)를 통해 링크된다. 연결부(21)는, 링크브라켓(21a), 제1링크(21b), 제2링크(21f)를 갖는다. 링크브라켓(21a)은 커버(18)에 고정되는 지지부재이다. 제1링크(21b)는 지지핀(21d)을 통해 링크브라켓(2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링크(21b)는 수평으로 연장되며 장공(21c)을 갖는다.
제2링크(21f)는 다른 지지핀(21g)을 통해 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수평 연장된다. 또한 제2링크(21f)의 연장단부에는 슬라이더(21k)가 고정된다. 슬라이더(21k)는 장공(21c)에 끼워진다. 슬라이더(21k)는, 커버(18)를 열고 닫음에 따라 장공(21c)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한다.
한편, 방화케이스(40)는, 수납공간(12a) 내에 안치되는 상자로서 수납박스(41)와 밀폐캡(45)을 갖는다. 방화케이스(40)는 스테인리스스틸 등의 금속소재로 제작 된다.
수납박스(4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 개방된 공간부(41a)를 갖는다. 상부라 함은 서적형 납골함(10)을 세워 놓았을 때의 상부를 의미한다. 또한 수납박스(41)의 전면(前面)에는 개방구(41b)가 형성되어 있다. 개방구(41b)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되어 있는 유골(100)을 외부로 내보이는 구멍이다. 유골(100)은 유골을 가열 융해시켜 만든 사리이다.
개방구(41b)에는 투광윈도우(42)와 셔터플레이트(43)가 끼워진다. 투광윈도우(42)는 개방구(41b)를 차단하여 유골(100)이 앞으로 쏟아지지 않게 하는 투명한 내열 유리판이다. 투광윈도우(42)는 개방구(41b)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홈(41c)에 붙박이로 고정된다.
셔터플레이트(43)는 수납박스(41)와 동일한 금속판으로 제작된 판상 부재로서 개방구(41b)에 끼워져 투광윈도우(42)를 보호한다. 이와 같이, 개방구(41b)에 셔터플레이트(43)를 끼움으로서 화재 시 투광윈도우(42) 및 내부의 유골(100)을 보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유골(100)을 보고 싶을 때에는 셔터플레이트(43)를 열고, 추모가 끝난 후에는 셔터플레이트(43)를 개방구(41b)에 끼운다. 도면부호 43a는 셔터플레이트(43)를 잡기 위한 손잡이이다.
밀폐캡(45)은 수납박스(41)의 상부에 씌워져 공간부(41a)를 차단하는 뚜껑이다. 밀폐캡(45)의 재질은 수납박스(41)와 동일하다.
수납박스(41)의 내부에는, 내부용기(51)와 받침부(53)가 설치된다. 내부용기(5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골(100)을 수용하는 통으로서 투명한 강화유리로 제작된다. 내부용기(51)가 개방구(41b)에 대응 위치함은 물론이다.
받침부(53)는, 내부용기(51)를 받쳐, 내부용기가 투광윈도우(42)의 후방에 정위치 되도록 지지하는 부재이다. 투광윈도우(42)를 지지할 수 있는 한, 받침부(53)의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받침부(53)는 금속재이다.
특히 받침부(53)의 사이즈를 달리하여 내부용기(5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가령, 유골(100)의 양이 적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받침부(53)를 사용하여 내부용기(51)를 높임으로써, 보다 많은 유골(100)이 투광윈도우(42)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적형 납골함에 적용 가능한 다른 형태의 수납박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캡(45)이 연결힌지(44)를 통해 수납박스(41)에 연결될 수도 있다. 밀폐캡(45)은 연결힌지(44)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공간부(41a)를 개폐한다.
또한 밀폐캡(45)에는 시일(45a)이 구비된다. 시일(45a)은 밀폐캡(45)이 닫힌 상태에서, 밀폐캡(45)과 수납박스(41)의 사이 틈새를 밀폐시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게 한다.
아울러 밀폐캡(45)의 저면에는 제습부(45d)가 설치된다. 제습부(45d)는 다수의 구멍(45e)이 천공된 다공박스(45f)와, 다공박스에 내장되는 제습제(45g)로 이루어진다. 제습부(45d)는 교체 가능하다. 제습부(45d)를 적용함으로서 방화케이스(40)가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적형 납골함(10)에서 본체에 장식부(31)가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12)에 안치되어 있는 방화케이스(40)와 측벽부(12c)의 사이에 장식부(31)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장식부(31)는 장식용 원단을 이용해 만든 것으로서 방화케이스(40)를 돋보이게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적형 납골함(10)에 적용 가능한 방화케이스(40)의 변형 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박스(41)의 하단부가 하부로 개방되어 있고, 하부캡(55)으로 밀폐되어 있다. 수납박스(41)의 상단부에는 위에 설명한 밀폐캡(45)이 당연히 위치한다.
하부캡(55)을 적용한 이유는, 받침부(53)를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해서이다. 하부캡(55)이 없다면, 받침부(53)를 교체하기 위해, 밀폐캡(45)을 열고, 내부용기(51)를 먼저 꺼내어야 하는데 이러한 불편을 없애기 위해 하부캡(55)을 적용한 것이다.
하부캡(55)도 본체(12)의 측벽부(12c)에 막혀 열리지 않는다. 즉, 방화케이스(40)가 본체의 수납공간(12a)에 안치된 상태에서 측벽부(12c)에 막혀 열리지 않는 것이다. 납골함(10)을 실수로 떨어뜨려 커버(18)가 열린다 하더라도, 밀폐캡(45)과 하부캡(55)이 열릴 염려가 없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서적형 납골함 11:외부케이스 12:본체
12a:수납공간 12c:측벽부 12e:바닥부
12g:관통구멍 14:자석 16:지지샤프트
18:커버 18a:철편 21:연결부
21a:링크브라켓 21b:제1링크 21c:장공
21d:지지핀 21f:제2링크 21g:지지핀
21k:슬라이더 31:장식부 40:방화케이스
41:수납박스 41a:공간부 41b:개방구
41c:장착홈 42:투광윈도우 43:셔터플레이트
43a:손잡이 44:연결힌지 45:밀폐캡
45a:시일 45d:제습부 45e:구멍
45f:다공박스 51:내부용기 53:받침부
55:하부캡 100:유골

Claims (8)

  1.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서적의 모양을 갖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는 것으로서, 유골을 수용하며, 유골을 외부로 내보이는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는 금속재 방화케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는;
    사각의 바닥부와, 바닥부의 네 변에 고정되는 측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와 커버는 연결부를 통해 링크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지지부재인 링크브라켓과; 상기 링크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수평으로 연장되며 장공을 갖는 제1링크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수평 연장되며, 연장단부에는 상기 장공에 끼워지는 슬라이더가 고정되는 제2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버를 열고 닫음에 따라 상기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서적형 납골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수납공간에 안치되어 있는 방화케이스를, 수납공간 외부로 밀어내기 위해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서적형 납골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케이스는, 유골을 수용하며 상기 개방구를 갖는 수납박스와, 수납박스를 밀폐시키는 밀폐캡을 포함하며,
    밀폐캡은, 방화케이스가 수납공간에 안치된 상태에서 일측 측벽부에 막혀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서적형 납골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박스에 형성된 개방구에는 투광윈도우가 설치된,
    서적형 납골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에는, 투광윈도우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금속재 셔터플레이트가 분리 가능하도록 더 장착되는,
    서적형 납골함.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는,
    유골이 담겨지는 투명한 내부용기와,
    내부용기를 받쳐 내부용기가 투광윈도우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부가 더 구비된,
    서적형 납골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박스에는,
    상기 내부용기를 꺼내지 않은 상태로 받침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수납박스를 개방하는 하부캡이 더 설치된,
    서적형 납골함.

KR2020210000859U 2021-03-19 2021-03-19 서적형 납골함 KR200497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859U KR200497326Y1 (ko) 2021-03-19 2021-03-19 서적형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859U KR200497326Y1 (ko) 2021-03-19 2021-03-19 서적형 납골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10U KR20220002310U (ko) 2022-09-27
KR200497326Y1 true KR200497326Y1 (ko) 2023-10-06

Family

ID=8344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859U KR200497326Y1 (ko) 2021-03-19 2021-03-19 서적형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32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6467A (ja) 2010-07-08 2012-01-26 Tomizo Takizawa ブック墓
KR200472715Y1 (ko) * 2013-01-24 2014-05-19 (주)국민상조 유골함 운반구
KR101862317B1 (ko) 2017-05-26 2018-05-29 재단법인 송파공원 책 구조형 유골 안치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032B1 (ko) * 2004-09-06 2007-04-17 주식회사 본향 바이블 납골함
KR20110093539A (ko) * 2010-02-11 2011-08-18 엄대용 투시부가 구비된 납골함
KR20170142455A (ko) * 2016-06-17 2017-12-28 안상훈 고인의 유골분 또는 유품을 영구보관하는 캡슐과 이 캡슐을 보관하는 신상(神像)장식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6467A (ja) 2010-07-08 2012-01-26 Tomizo Takizawa ブック墓
KR200472715Y1 (ko) * 2013-01-24 2014-05-19 (주)국민상조 유골함 운반구
KR101862317B1 (ko) 2017-05-26 2018-05-29 재단법인 송파공원 책 구조형 유골 안치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10U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0288A (en) Urn for housing of ashes
RU2010147380A (ru) Колумбарий,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урн с прахом
KR200497326Y1 (ko) 서적형 납골함
KR101018430B1 (ko) 개방형 이중 수납구조를 갖춘 납골안치단
KR200182922Y1 (ko) 유니트화된 다중 서랍식 납골함
JP5324624B2 (ja) 墓石の外柵における燈明台装置
KR200385017Y1 (ko) 유골함 보관상자
KR101862317B1 (ko) 책 구조형 유골 안치함
JP2005230452A (ja) 化粧用容器
KR200247396Y1 (ko) 자체 정화기능을 갖는 접힘구조 납골함
JP3954620B2 (ja)
JP3032495B2 (ja)
JP2002121930A (ja)
JPS62672Y2 (ko)
KR100614699B1 (ko) 납골함
JP5840882B2 (ja) 墓石の外柵における燈明台装置
JP3151430B2 (ja) とうろう
JP2001049971A (ja) 物置用ドア
JP3016760U (ja) 仏 壇
ES1201836U (es) Columbario
JPH10146367A (ja)
JPH0342831Y2 (ko)
KR200366596Y1 (ko) 방습 및 방충기능을 갖는 쌀통
JPH06193313A (ja)
JP3124312U (ja) 墓用収納具および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