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715Y1 - 유골함 운반구 - Google Patents

유골함 운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715Y1
KR200472715Y1 KR2020130000642U KR20130000642U KR200472715Y1 KR 200472715 Y1 KR200472715 Y1 KR 200472715Y1 KR 2020130000642 U KR2020130000642 U KR 2020130000642U KR 20130000642 U KR20130000642 U KR 20130000642U KR 200472715 Y1 KR200472715 Y1 KR 200472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ser
lower main
ashtray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기천
Original Assignee
(주)국민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국민상조 filed Critical (주)국민상조
Priority to KR2020130000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7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7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유골함을 운반하는 유골함 운반구가 개시된다. 유골함 운반구에 로서, 상 단부는 유골함(50)을 넣었다 빼낼 수 있도록 개구되어 형성된 하부본체(12)와 상기 하부본체(12)의 하 단부는 상기 유골함(50)을 내부에서 외부로 열기를 배출하는 고정홈(13)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본체(12)의 양측 단부에 유골함(50)의 중량을 분산시켜 주면서 사용자의 양손을 이용하여 파지가 용이 하도록 상기 사용자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곡률이 형성된 손잡이(20)를 구비하는 본체(10)와 일측은 상기 하부본체(10)의 개구된 부위를 개폐하도록 배치된 경첩(16)과 타 측은 상기 손잡이를 놓쳤을 때 유골함(5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쇠(30)가 배치되는 덮개(14)를 포함하는 유골함 운반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골함 운반구 {Apparatus for carrying funeral}
본 고안은 유골함 운반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골을 담은 유골함을 안치소까지 운반할 수 있는 유골함운반구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장례 문화는 유교의 영향으로 인해 사람이 사망하면 땅 속에 묻는 매장문화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매장문화로 인한 국토의 묘지화 내지 황폐화 등의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근래에는 시신을 화장시켜 남은 뼈를 유골함에 넣어 보관하는 납골문화가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납골 문화로 변화에 따른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 측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부응하여, 유골을 보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유골함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도자기, 옥, 돌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천편일률적인 유골함에서 벗어나, 결로 발생을 방지하고 세균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 등을 갖는 유골함 등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0-0046713’등은 유골을 보관하는 유골함 자체를 개선된 제품만을 제시하고 있다. 유골함을 운반하는 수단에 대해서는 어떤 고려도 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화장터에서 시신을 화장한 후, 유골을 유골함에 담아 유족에게 건네주는데, 유족은 그 유골함을 그대로 들고 가거나 아니면 보자기에 포장한 후 납골당까지 들고 운반해야만 했다.
화장터에서 납골당까지 유골함을 운반할 때 단순히 보자기에 싸서 손으로 들고 가거나 아니면 포장도 하지 아니한 채 유골함을 그대로 외부에 노출시킨 채 운반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례식의 경건한 분위기를 해치기도 하며, 포장도 하지 아니한 채 운반하는 경우 유골함을 떨어뜨려 난처한 사항에 처하기도 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유골함을 놓쳐서 깨지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하는 유골함 운반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골함 운반구로서, 상 단부는 유골함(50)을 넣었다 빼낼 수 있도록 개구되어 형성되고 하 단부는 상기 유골함(50)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고정홈(13)이 형성된 하부본체(12)와 상기 하부본체(12)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골함(50)의 중량을 분산시켜 주면서 사용자의 양 손이 파지가 용이하도록 사용자 방향으로 곡률이 형성된 손잡이(20) 및 상기 하부본체(10)의 개구된 부위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덮개(14)를 포함하는 유골함 운반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14)를 관통하여 상기 유골함(50)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구(18)는 도형 또는 글자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 유골함(50)의 중량을 분산하기 위해 사용자의 착용품의 일부분과 연결시켜 중량을 분산시켜 주는 연결고리(4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유골함 운반구는, 양 옆에 손잡이가 있어 유골함을 운반시 안정적으로 운반 가능하고, 손잡이의 형태가 곡선형이라 유골함 운반구를 들었을 때 손에 편안하게 파지가 가능하고 유골함 운반구 몸체를 운반자의 몸쪽으로 당겨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배출구를 다양한 형태로(도형 및 문자) 사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순환하여 유골함을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배출구를 덮개로 관통하면 유골함을 보자기로 싸서 생긴 매듭으로 인해 유골함 운반구의 덮개가 안 닫히는 사항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골함 운반구의 하단부에 고정홈을 형성하여 유골함을 꺼낼 때 해당 고정 홈을 통해 유골함을 밀어 올려 손쉽게 유골함을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유골함 운반구의 사용자측에 위치되는 연결고리를 사용하여 운반자의 허리띠나 바지에 걸어서 혹시 있을지 모를 낙하사고(손잡이를 놓치는 상황)에서 유골함의 낙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골함 운반구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대한 정면도.
도 3 은 도 2에 대한 측면도.
도 4 는 도 3의 b-b에 대한 단면도.
도 5 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6 은 도 2에 대한 a-a에 대한 단면도.
도 7 은 도 1의 사용자가 파지한 예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들어가기에 앞서,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골함 운반구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대한 정면도, 도 3 은 도 2에 대한 측면도, 도 4 는 도 3의 b-b에 대한 단면도, 도 5 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6 은 도 2에 대한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골함 운반구(1)는, 내부에 유골함(50)을 보관하는 본체(10)와 유골함(50)과 본체(10)의 무게를 지지하면서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20)와 유골함(50) 운반구를 놓쳤을 때 유골함(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쇠(30)와 유골함(50) 운반구의 무게를 분산해주는 연결고리(40)가 포함된다.
본체(10)는 유골함(50)이 내부에 안착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10)의 현상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본체(10)의 재질은 최대한 무게를 줄여서 유골함(50)을 받쳐주는 강성을 유지하고 유골함(5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견디는 재질은 어떠한 재질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체(10)는 유골함(50)이 안착되어 위부의 충격으로부터 유골함(50)을 보호하는 하부본체(12)와 하부본체(12)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덮개(14)를 포함한다.
하부본체(12)는 유골함(50)을 외부의 충격으로 보호하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본체(12)는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하부본체(12)의 형상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하부본체(12)는 유골함(50)보다는 길이가 길다. 하부본체(12)의 바닥 중앙에는 유골함(50)이 안착될 수 고정홈(13)이 형성된다. 고정홈(13)은 유골함(50)의 지름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이는 유골함(50)이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고정홈(13)을 통하여 유골함(50)을 하부본체(12)에서 분리시킨다. 즉, 고정홈(13)에 사용자의 손을 통과시켜 하부본체(12)를 이탈시켜 사용자가 유골함(50)을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한다. 고정홈(13)은 유골함(50)에서 발생되는 화장(시체를 불에 살라 장사 지냄)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하부본체(12)의 일측면에 고인의 영전사진을 부착하여 운반할 수도 있다.
덮개(14)는 하부본체(12)의 개구부를 덮는다. 덮개(14)는 하부본체(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덮개(14)는 화장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8)가 형성된다. 배출구(18)는 사용자의 종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독교 및 천주교는 십자(十)가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고 불교일 경우에는 만(卍)자가 형성된다. 이는 배출구(18)의 형태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더욱이, 배출구(18)은 문자를 사용하여 생전에 고인이 좋아하는 글귀를 남길 수도 있다.
배출구(18)는 유골함(5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외부로 순환시켜 유골함을 냉각시킨다. 배출구(18)는 유골함(50)을 운반 시에 보자기 및 천으로 유골을 싸서 옮기는데 생긴 매듭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즉 덮개를 닫을 때 매듭에 의해 덮개가 닫히지 않는 부분을 사전에 차단한다. 덮개(14)는 무게를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14)는 사용자가 유골함 운반구(1)을 놓쳤을 때 유골함(50)이 일측 단부에는 유골함(50)의 이탈을 막는 걸림 쇠(30)가 배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경첩(16)이 배치된다. 경첩(16)은 하부본체(12)와 덮개(14)를 연결해주면서 개폐가 가능하다. 경첩(16)은 사용자가 유골함 운반구(1)을 놓쳤을 때 유골함(5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걸림쇠(30)는 하부본체(12)에 배치되는 걸림턱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손잡이(20)는 하부본체(12)의 양단부에 배치된다. 손잡이(20)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손잡이(20)는 곡률부위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손잡이(20)의 곡률부위를 파지시 유골함 운반구가 사용자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욱이, 유골함 운반구가 사용자의 신체와 밀착되면 운반시 안전감도 향상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1의 유골함 운반구를 사용자가 파지한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덮개(14)를 개봉 후 유골함(50)을 유골함 운반구(1) 내부에 배치시킨다. 유골함(50)의 배치가 끝나면 덮개(14)를 사용하여 유골함 운반구(1)를 닫는다. 걸림쇠(30)를 이용하여 유골함 운반구(1)가 개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유골함(50) 내에서 발생되는 열은 배출구(18)를 통하여 외부로 열기를 배출한다.
사용자는 유골함 운반구(1)의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20)를 이용하여 유골함 운반구(1)를 파지한다.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20)의 곡률형태 바깥부분을 사용자가 파지한다. 사용자가 손잡이(20)를 파지 시에 유골함(50의 중량과 유골함 운반구(1)의 중량을 최대한 사용자 몸과 밀착하기 위함이다. 또한, 연결고리(40)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20)를 놓쳐서 유골함(5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연결고리(40)는 사용자의 혁띠 및 별도의 밴드에 체결하여 유골함(50)의 중량과 유골함 운반구(1)의 중량을 분산해준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유골함 운반구
10: 본체
12: 하부본체 13: 고정홈 14: 덮개 16: 경첩 18: 배출구
20: 손잡이
22: 연결부재 24:곡선부재
30: 걸림 쇠
40: 연결고리
50: 유골함

Claims (4)

  1. 유골함 운반구로서,
    상단부는 유골함(50)을 넣었다 빼낼 수 있도록 개구되어 형성되고 하 단부는 상기 유골함(50)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고정홈(13)이 형성된 하부본체(12)와
    상기 하부본체(12)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골함(50)의 중량을 분산시켜 주면서 사용자의 양 손이 파지가 용이하도록 사용자 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된 손잡이(20) 및
    상기 하부본체(12)의 개구된 부위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덮개(14)
    를 포함하는 유골함 운반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
    상기 덮개(14)의 상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유골함(50)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8)를 더 구비하는 유골함 운반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
    상기 배출구(18)는 도형 또는 글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운반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
    상기 유골함(50)의 중량을 분산하기 위해 사용자의 의복 중 일부분에 연결되어 중량을 분산시켜 주는 연결고리(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운반구.
KR2020130000642U 2013-01-24 2013-01-24 유골함 운반구 KR200472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42U KR200472715Y1 (ko) 2013-01-24 2013-01-24 유골함 운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42U KR200472715Y1 (ko) 2013-01-24 2013-01-24 유골함 운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715Y1 true KR200472715Y1 (ko) 2014-05-19

Family

ID=5149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642U KR200472715Y1 (ko) 2013-01-24 2013-01-24 유골함 운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7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310U (ko) * 2021-03-19 2022-09-27 배소정 서적형 납골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189B1 (ko) 2007-05-16 2008-12-15 김형록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장례방법
KR20120005658U (ko) * 2011-01-28 2012-08-07 이철영 장례용품 운반장치
KR101177550B1 (ko) 2010-05-03 2012-08-28 이철영 유골함 운반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189B1 (ko) 2007-05-16 2008-12-15 김형록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장례방법
KR101177550B1 (ko) 2010-05-03 2012-08-28 이철영 유골함 운반구
KR20120005658U (ko) * 2011-01-28 2012-08-07 이철영 장례용품 운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310U (ko) * 2021-03-19 2022-09-27 배소정 서적형 납골함
KR200497326Y1 (ko) * 2021-03-19 2023-10-06 배소정 서적형 납골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372B1 (ko) 구조 운반 장치
US20100307649A1 (en) First-aid case for home visits
US20040129305A1 (en) Oxygen bottle carrier appliance
US20200390210A1 (en) Suitcase for transporting bottles
US20210106110A1 (en) Bag with Transparent Compartment
KR200472715Y1 (ko) 유골함 운반구
US20220183448A1 (en) Consumer Convenience and Sanitary Pack
JP2012513350A (ja) 荷物の人力搬送用装置
AU2016273915B2 (en) Transport Pack With Expandable Lower Portion
KR20170055349A (ko) 신생아 대피용 배낭
US20040238583A1 (en) Personal pillow transport system
US20040159691A1 (en) Apparatus having a bottom opening pocket
KR101530480B1 (ko) 유아용품용 백팩
KR102440110B1 (ko) 탈부착 가능한 파우치가 있는 모자
KR200441366Y1 (ko) 유골함 운반구
US20110249914A1 (en) Traveling Pillow Tote
EP1661541A1 (en) Rescue cocoon
KR101177550B1 (ko) 유골함 운반구
TWM583227U (zh) 行李箱組合及其行李箱
KR200475190Y1 (ko) 유아용품 수납가방
ES1063021U (es) "contenedor para residuos urbanos".
USD450919S1 (en) Umbrella carrier
KR102171698B1 (ko) 시신 운반 및 보관용 기능성 백
US1512772A (en) Brief case
KR20200070814A (ko) 단일 손잡이 지퍼 에코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