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189B1 -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장례방법 - Google Patents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장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189B1
KR100874189B1 KR1020070047716A KR20070047716A KR100874189B1 KR 100874189 B1 KR100874189 B1 KR 100874189B1 KR 1020070047716 A KR1020070047716 A KR 1020070047716A KR 20070047716 A KR20070047716 A KR 20070047716A KR 100874189 B1 KR100874189 B1 KR 100874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eral
securing member
space securing
space
dece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228A (ko
Inventor
김형록
Original Assignee
김형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록 filed Critical 김형록
Priority to KR1020070047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189B1/ko
Publication of KR2008010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장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의 공간확보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가족이나 친지 등의 공동체에서 고인이 되는 순서에 대응하여 공동체의 구성인원 모두를 차례대로 적층하여 한 곳에 장례를 치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장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흙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빗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홀이 형성된 제1 공간확보부재; 상기 제1 공간확보부재의 상측에 적재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흙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빗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홀이 형성된 제2 공간확보부재; 그리고 상기 제2 공간확보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소정의 지름을 갖는 연통홀이 형성된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목장, 산골장, 다단식, 공간확보

Description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장례방법{Layer-built funeral apparatus for natural burials and method for funeral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의 전체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전체와 표지봉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의 전체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가 장례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를 이용한 장례방법의 단계별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공간확보부재 11, 31 : 손잡이 홈
13, 33 : 배수홀 30 : 제2 공간확보부재
50 : 상부커버 51 : 결합부
55 : 몸체부 100 : 적층장례장치
200 : 분골주머니 300 : 표지봉
310 : 플라스틱막대 330 : 숯막대
본 발명은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장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의 공간확보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가족이나 친지 등의 공동체에서 고인이 되는 순서에 대응하여 공동체의 구성인원 모두를 차례대로 적층하여 한 곳에 장례를 치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장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장(樹木葬)은 유해를 잘 보존하고 후손과 밀접한 유대를 유지할 수 있는 장묘법으로 산림에서 나무를 자르고 산을 헐며 묘석을 세우는 자연파괴를 막을 수 있고, 묘지관리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장묘법이다.
이러한 종래의 산골형 수목장(樹木葬)은 주로 화장에 의해 처리된 미세한 유골분을 부패가 용이한 상자 또는 보자기로 감싸 나무 주변에 묻거나 그 위에 나무 또는 꽃을 심는 산골형 수목장을 실시하는 장묘문화이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산골형 수목장은 현재 국내의 실정상 넓지 않은 국토의 면적을 감안하여 좁은 면적에 최대한 많은 고인을 안치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편, 서울시에서는 2003년 5월 1일부터 자연, 환경과 친화적이며, 고인도 빨리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는 산골장사방법과 시설을 마련하여 유족은 누구든지 경제적 부담없이 고인을 안장하도록 유족은 물론 일반시민도 가족과 함께 와서 추모와 휴식을 즐길 수 있는 산자와 죽은자가 함께 어우러지는 공원형 추모시설을 마련하여 추모의 숲으로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추모의 숲 등의 정부 대응방안도 계속되는 고인들의 장례에 따라 환경친화적인 수목장례에서도 종국에는 수목장례의 공간을 좁은 공간에서 최대의 고인들을 안치시킬 수 있는 제한적인 공간에서 최대의 고인들을 안치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장례를 치르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가족이나 친지 등의 공동체를 기준으로 고인이 되는 순서에 대응하여 한 곳에 상기 공동체의 고인들을 안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의 수목장례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실정에 대응하여 가족이나 친지 등의 공동체에 대한 고인들의 안치를 한 곳에 수직으로 적층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목장례에서는 가족이나 친지 등의 공동체에서 고인이 되는 순서에 따라 고인들을 안치하는데 있어서, 공동체 인원 중 첫번째 고인의 장례를 치를 때 공동체 인원에 대응하여 구덩이를 파고, 첫번째 고인의 분골주머니를 뭍은 후, 나머지 남는 공간을 흙으로 채우는 방식으로 장례를 치렀었다.
이후, 공동체 인원 중 두번째, 세번째 등으로 시일이 지나고 발생하는 고인들에 대하여 상기 최초 장례를 치른 고인이 안치된 구덩이를 다시 파고, 첫번째 고인이 안치된 분골주머니 상측으로 차례대로 적층하여 다시 뭍는 방식으로 공동체 인원을 한 곳에 합장하는 개념으로 장례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목장례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가족이나 친지 등의 공동체 인원 중 고인이 되는 순서에 대응하여 최초 고인의 분골주머니 상부에 이후에 발생하는 고인들을 순서대로 합장시킬 공간에 대한 확보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공간확보가 용이하지 않음으로써 공동체 인원의 고인이 되는 순서에 대응하여 고인들을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서대로 적층시켜 안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첫번째 고인의 분골주머니를 묻은 후, 두번째 및 세번째 고인 등의 분골주머니를 안치시킬 때, 첫번째 고인의 분골주머니 상부가 흙으로 덮여 있는 상태이므로 첫번째 고인의 분골주머니의 위치를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단의 공간확보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가족이나 친지 등의 공동체에서 고인이 되는 순서에 대응하여 공동체의 구성인원 모두를 차례대로 적층하여 한 곳에 장례를 치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장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흙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 며, 바닥면에 빗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홀이 형성된 제1 공간확보부재; 상기 제1 공간확보부재의 상측에 적재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흙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빗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홀이 형성된 제2 공간확보부재; 그리고 상기 제2 공간확보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소정의 지름을 갖는 연통홀이 형성된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수목장례 후 고인이 안치된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커버의 연통홀에 삽입되는 표지봉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제2 공간확보부재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측에 수목장례 후 미관을 부가시킬 수 있도록 잔디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가지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1 공간확보부재 및 제2 공간확보부재는 운반이 용이할 수 있도록 외주면 상부 소정의 위치에 손잡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를 이용한 장례방법은 고인의 유골이 담긴 분골주머니를 안치시키기 위한 구덩이를 파고, 구덩이의 바닥부에 상기 분골주머니를 안치시키는 단계; 상기 분골주머니 상부에 내측에 흙을 담은 제1 공간확보부재를 적층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공간확보부재 상단에 내측에 흙이 담긴 제2 공간확보부재를 적층시키는 단계; 상기 제2 공간확보부재 상단에 상부커버를 밀착시켜 결합하고, 상기 상부커버의 연통홀을 통하여 여백이 생기는 내측 공간을 흙으로 채우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와 지면이 수평이 되도록 상기 분골주머니, 제1 공간확보부재, 제2 공간확보부재 및 상부커버가 적층된 구덩이의 여백을 메운 후, 상기 상부커버의 상측에 구비된 수용홈에 잔디를 입히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의 수목장 또는 수목장례에 대한 정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산골이란, 화장한 고인의 유회(화장분골재)를 납골 외의 방법에 의해 장사지내는 것으로 자연장(自然葬)이라고도 하며, 나무장(樹葬), 바다장(海葬), 산골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선진 외국에서는 이미 보편화된 장사방법이며, 본 발명에서 수목장(례)으로 언급하는 장사방법은 상기 나무장(樹葬)과 유사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산골장, 수목장이라고 지칭하는 자연, 환경친화적인 장사방법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의 전체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전체와 표지봉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의 전체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100)는 제1 공간확보부재(10), 제2 공간확보부재(30), 그리고 상부커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공간확보부재(10)는 상부가 개방되어 흙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빗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홀(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공간확보부재(30)는 상기 제1 공간확보부재(10)의 상측에 적재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흙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빗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홀(3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50)는 상기 제2 공간확보부재(30)의 상단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소정의 지름을 갖는 연통홀(57)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목장례 후 고인이 안치된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커버(50)의 연통홀(57)에 삽입되는 표지봉(300)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표지봉(300)은 자연친화적인 생분해성플라스틱 재질의 플라스틱막대(310)와 상기 플라스틱막대(310) 상측에 연결된 숯재질의 숯막대(330)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막대(310)는 생분해성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가족이나 친지 등의 공동체의 구성원이 다년간의 기간을 두고 고인이 됨에 따른 첫번째 고인으로부터 두번째 이후의 고인이 안치되기까지의 기일이 장기간이 되는 것을 감안하여 통상의 썩지 않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지봉(300)의 상단부에 구비된 숯막대(330)는 수목장례를 치를 때, 지면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묻음으로써 다른 장소로의 이장이 요구되거나 고인들의 후손이 추모를 위해 찾고자 할 경우에 고인들이 묻힌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50)는 상기 제2 공간확보부재(3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51)와, 상기 결합부(51)의 상부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측에 수목장례 후 미관을 부가시킬 수 있도록 잔디가 수용되는 수용홈(56)을 가지는 몸체부(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50)는 상기 제2 공간확보부재(30)와 같이, 배수홀이 구비된 바닥면이 형성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커버(50)의 몸체부(55) 상측에 수용홈(56)이 형성됨으로써 장례를 치른 후, 상기 수용홈(56)에 잔디를 입힘으로써 고인이 안치된 주변의 수풀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상부커버(50)의 결합부(51)는 길이방향 소정의 위치에 내측으로 절곡된 단턱부(52)가 구비되며, 이때 상기 단턱부(52)는 상기 제2 공간확보부재(30)의 상단 테두리부와 대응되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공간확보부재(30)의 상단 테두리부에 상기 상부커버(50) 결합부(51)의 단턱부(52)가 밀착되어, 상기 상부커버(50)가 상기 제2 공간확보부재(3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공간확보부재(10) 및 제2 공간확보부재(30)는 운반이 용이할 수 있도록 외주면 상부 소정의 위치에 손잡이 홈(11, 31)이 형성되되, 상호 대응되는 한 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 홈(11, 3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공간확보부 재(10) 및 제2 공간확보부재(30)를 수목장례 시에 적층시키고, 다시 들어내는데 상기 손잡이 홈(11, 31)을 파지하여 용이하게 적층시키고, 들어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손잡이 홈(11, 31)은 상기 제1 공간확보부재(10) 및 제2 공간확보부재(30)의 외주면 상부 소정의 위치에 각각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하나의 손잡이 홈(미도시)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 홈(미도시)이 파지할 수 있는 방향성이 한정되지 않음으로써 수목장례 시, 상기 제1 공간확보부재(10) 및 제2 공간확보부재(30)를 구덩이에 적층시키고 다시 걷어내는데 있어서, 용이하게 파지하여 적층시키고 다시 걷어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1 공간확보부재(10) 및 제2 공간확보부재(30)는 내측에 흙이 담길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상부커버(50)의 연통홀(57)과 같이 중앙부에 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미도시)을 통하여 내측공간에 흙을 담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하지 않은 미설명 부호 '200'은 고인의 분골이 담긴 분골주머니(200)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분골주머니에는 가족이나 친지 등의 공동체 구성원 중에서 고인이 된 시신의 분골이 1기만 수용되어 밀봉될 수 있으나, 상기 시신의 분골이 2기가 수용되어 밀봉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공간확보부재(10) 및 제2 공간확보부재(30)는 그 길이가 가족이나 친지 등의 공동체 구성원 중, 1명이 고인이 되거나 2명이 고인이 됨에 상관없이 상기 제1 공간확보부재(10)를 제거한 후, 장례를 치를 수 있도록 고인의 분 골 1기에 해당하는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2명이 동시에 고인이 될 수도 있으므로 고인의 분골 2기에 해당하는 길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가 장례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를 이용한 장례방법의 단계별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다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를 이용한 장례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고인의 유골이 담긴 분골주머니(200)를 안치시키기 위한 구덩이를 파고, 구덩이의 바닥부에 상기 분골주머니(200)를 안치시키는 단계(S510)가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분골주머니(200) 상부에 내측에 흙을 담은 제1 공간확보부재(10)를 적층시키는 단계(S520)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공간확보부재(10) 상단에 내측에 흙이 담긴 제2 공간확보부재(30)를 적층시키는 단계(S530)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공간확보부재(30) 상단에 상부커버(50)를 밀착시켜 결합하고, 상기 상부커버(50)의 연통홀(57)을 통하여 여백이 생기는 내측 공간을 흙으로 채우는 단계(S540)가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상기 상부커버(50)와 지면이 수평이 되도록 상기 분골주머니(200), 제1 공간확보부재(10), 제2 공간확보부재(30) 및 상부커버(50)가 적층된 구덩이의 여백을 메운 후, 상기 상부커버(50)의 상측에 구비된 수용홈(56)에 잔디를 입히는 단계(S550)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를 이용한 장례가 이루어지며, 더욱이 상기 분골주머니(200)는 생분해성비닐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골주머니(200) 내측에는 고인의 분골과 함께 구연산이 함유된 음식물이 혼합하여 밀봉하여 고인의 분골에 대하여 부패를 촉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를 이용한 장례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골주머니(200)에 고인의 분골을 담아 장례를 치르는 방법은 상기 분골주머니(200)가 아닌 분골함(미도시)에 고인의 분골을 담아 장례를 치를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분골주머니(200) 및 분골함(미도시)가 없이 고인의 분골을 흙 및 부패를 위한 음식물과 섞어 장례를 치를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장례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확보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가족이나 친지 등의 공동체 인원에 대하여 고인이 되는 순서에 대응하여 최초 고인의 분골주머니 상부에 이후에 발생하는 고인들을 순서대로 합장시킬 공간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둘째, 합장에 대한 공간확보가 용이함으로써 공동체 인원의 고인이 되는 순 서에 대응하여 고인들을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서대로 적층시켜 한 곳에 안치시킬 수 있다.
셋째, 첫번째 고인의 분골주머니를 묻은 후, 두번째 및 세번째 고인 등의 분골주머니를 안치시킬 때, 첫번째 고인의 분골주머니 상부에 공간확보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첫번째 고인의 분골주머니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넷째, 공간확보부재의 외주면에 손잡이 홈을 구비함으로써 공간확보부재의 파지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수목장례 시 공간확보부재를 적층시키고, 들어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흙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운반이 용이하도록 외주면 상부 소정의 위치에 손잡이 홈(11)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빗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홀(13)이 형성된 제1 공간확보부재(10);
    상기 제1 공간확보부재(10)의 상측에 적재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흙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운반이 용이하도록 외주면 상부 소정의 위치에 손잡이 홈(31)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빗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홀(33)이 형성된 제2 공간확보부재(30); 그리고
    상기 제2 공간확보부재(30)의 상단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소정의 지름을 갖는 연통홀(57)이 형성된 상부커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수목장례 후, 고인이 안치된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커버(50)의 연통홀(57)에 삽입되는 표지봉(3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50)는
    상기 제2 공간확보부재(3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51)와,
    상기 결합부(51)의 상부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측에 수목장례 후 미관을 부가시킬 수 있도록 잔디가 수용되는 수용홈(56)을 가지는 몸체부(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4. 삭제
  5. 고인의 유골이 담긴 분골주머니를 안치시키기 위한 구덩이를 파고, 구덩이의 바닥부에 상기 분골주머니를 안치시키는 단계(S510);
    상기 분골주머니 상부에 내측에 흙을 담은 제1 공간확보부재를 적층시키는 단계(S520);
    상기 제1 공간확보부재 상단에 내측에 흙이 담긴 제2 공간확보부재를 적층시키는 단계(S530);
    상기 제2 공간확보부재 상단에 상부커버를 밀착시켜 결합하고, 상기 상부커버의 연통홀을 통하여 여백이 생기는 내측 공간을 흙으로 채우는 단계(S540);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와 지면이 수평이 되도록 상기 분골주머니, 제1 공간확보부재, 제2 공간확보부재 및 상부커버가 적층된 구덩이의 여백을 메운 후, 상기 상부커버의 상측에 구비된 수용홈에 잔디를 입히는 단계(S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를 이용한 장례방법.
KR1020070047716A 2007-05-16 2007-05-16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장례방법 KR100874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16A KR100874189B1 (ko) 2007-05-16 2007-05-16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장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16A KR100874189B1 (ko) 2007-05-16 2007-05-16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장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228A KR20080101228A (ko) 2008-11-21
KR100874189B1 true KR100874189B1 (ko) 2008-12-15

Family

ID=40287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716A KR100874189B1 (ko) 2007-05-16 2007-05-16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장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1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15Y1 (ko) 2013-01-24 2014-05-19 (주)국민상조 유골함 운반구
KR101700177B1 (ko) 2016-07-18 2017-01-26 홍만식 자연장과 평장의 운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40126003A (ko) 2023-02-12 2024-08-20 권병석 골분의 다중안장 시설과 자연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074B1 (ko) 2021-07-12 2022-05-13 주식회사 푸른 산골장 장치
KR102509602B1 (ko) 2022-03-11 2023-03-14 주식회사 푸른 산골장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867Y1 (ko) 2000-06-19 2001-01-15 정상수 투명 납골함
KR200221015Y1 (ko) * 2000-09-18 2001-04-16 최창배 유골함
KR200256261Y1 (ko) * 2001-09-17 2001-12-14 김병호 유골함
KR200382820Y1 (ko) 2005-01-20 2005-04-25 이중우 습기 및 결로 방지형 가족 납골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867Y1 (ko) 2000-06-19 2001-01-15 정상수 투명 납골함
KR200221015Y1 (ko) * 2000-09-18 2001-04-16 최창배 유골함
KR200256261Y1 (ko) * 2001-09-17 2001-12-14 김병호 유골함
KR200382820Y1 (ko) 2005-01-20 2005-04-25 이중우 습기 및 결로 방지형 가족 납골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15Y1 (ko) 2013-01-24 2014-05-19 (주)국민상조 유골함 운반구
KR101700177B1 (ko) 2016-07-18 2017-01-26 홍만식 자연장과 평장의 운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WO2018016791A1 (ko) * 2016-07-18 2018-01-25 홍만식 자연장과 평장의 운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40126003A (ko) 2023-02-12 2024-08-20 권병석 골분의 다중안장 시설과 자연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228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7652A (en) Tree forest cemetery
KR100874189B1 (ko) 수목장 및 산골장 적층장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장례방법
US20080083102A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connecting cremation ashes with living plants
WO2007030339A3 (en) Vertically installed burial container and burial method
Zion Trees for architecture and landscape
US20190040648A1 (en) Burial complex
CN106285180A (zh) 一种青山树葬的方法
KR101700177B1 (ko) 자연장과 평장의 운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E102008004490A1 (de) Urne, insbesondere zur Erdbeisetzung, und Erdbeisetzungsverfahren
KR101875157B1 (ko) 미니어처 봉분
KR100990779B1 (ko)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KR101467668B1 (ko) 화분장묘
CN202376395U (zh) 骨灰坛
US20090044580A1 (en) Corpse Treatment Method
KR102692086B1 (ko) 계단식 가족 수목장
KR200447362Y1 (ko) 산골 및 수목장용 유골 보관운반 용기
KR200404501Y1 (ko) 납골 분묘 유택
KR101654482B1 (ko) 자연장지용 분골 매장방법
CA2562325C (en) Structure and method for connecting cremation ashes with living plants
JP2007111081A (ja) 紙製骨壺及びこれを用いた自然埋葬方法並びに自然埋葬墓地構造
KR101614269B1 (ko) 다층식 공동묘
KR200455892Y1 (ko) 가계용 지하 수직 다층 봉안시설
KR200325773Y1 (ko) 유골 보관용 봉투
Chamberland Saguaro Horticulture Selecting and Planting Saguaro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