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188Y1 -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 - Google Patents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188Y1
KR200497188Y1 KR2020230000083U KR20230000083U KR200497188Y1 KR 200497188 Y1 KR200497188 Y1 KR 200497188Y1 KR 2020230000083 U KR2020230000083 U KR 2020230000083U KR 20230000083 U KR20230000083 U KR 20230000083U KR 200497188 Y1 KR200497188 Y1 KR 2004971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rive shaft
blocking bar
shaf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복락
Original Assignee
오복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복락 filed Critical 오복락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1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1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바; 일 측은 상기 차단바와 연결되고 타 측은 구동부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차단바를 회동시키는 링크부;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고, 외부에는 상기 차단바와 상기 링크부가 연결되는 바디프레임; 및 상기 바디프레임의 외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링크부가 연결된 상기 구동축의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에 강제로 가해지는 미는 힘 또는 당겨지는 힘을 감소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PARKING CROSSING GATE FOR DAMAGE PREVENTION}
본 고안은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진입 및 출입을 통제하는 주차차단기는 오피스건물, 주상복합건물, 아파트단지, 공영주차장 등 대형 주차장은 물론이고 인도에 인접한 소형 연립주택까지 그 설치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주차차단기는 차량의 진/출입 시, 차량을 인식하여 차단바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 올려 주차장 진/출입구를 개방하여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주차차단기는 외팔보 형태의 차단바(B)가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위치하여 차량의 출입을 차단하고, 수직방향으로 위치하여 차량의 출입을 허용한다. 이러한 차단바(B)는 90도 범위에서 왕복 회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동을 위해 차단바(B)는 복수개의 링크(3,4,6)와 조인트(5,7,8)와 같은 부품들에 의해 모터의 구동축(2)과 연결되고,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으면 링크(3,4,6)가 작동되면서 차단바(B)가 회동되게 된다. 특히,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작동되는 링크(3,4,6) 중 모터의 구동축(2)과 직접적으로 고정된 링크(3)가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다른 링크(4, 6)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주차차단기는, 도 1a와 같이, 차단바(B)가 지면과 수평인 상태이거나, 도 1b와 같이 차단바(B)가 지면과 수직인 상태일 때, 구동축(2)과 연결된 제1링크(3)와, 제1링크(3)와 조인트(5)에 의해 연결된 제2링크(4)가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제작된다. 이처럼, 차단바(B)가 수직 또는 수평 상태일 때 제1링크(3)와 제2링크(4)가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제작하는 이유는, 차단바(B)가 수직 또는 수평 상태일 때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지 않도록 하고, 쉽게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도 1a와 같이, 차단바(B)가 수평으로 위치되어 제1링크(3)와 제2링크(4)가 일직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차단바(B)를 강제로 수직으로 올리려는 힘이 가해지게 되면, 차단바(B)와 연결된 제3링크(6)와 제2링크(4)가 연결된 조인트(7) 부분에 위로 올라가려는 힘이 발생(도 1b 참조)하게 된다. 이때, 제1링크(3)와 제2링크(4)가 회전되면서 제2링크(4)가 상측으로 올라가야 하는데, 제1링크(3)와 제2링크(4)가 일직선상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링크(3)와 제2링크(4)가 서로 회전되지 못하고,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1링크(3)와 제2링크(4)에 사선 방향 상측으로 당겨지는 힘이 가해지게 된다.
반대로, 도 1a와 같이, 차단바(B)가 수평으로 위치되어 제1링크(3)와 제2링크(4)가 일직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차단바(B)를 강제로 수직으로 내리려는 힘이 가해지게 되면, 차단바(B)와 연결된 제3링크(6)와 제2링크(4)가 연결된 조인트(7) 부분에 아래로 내려가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제1링크(3)와 제2링크(4)가 회전되어야 하는데, 제1링크(3)와 제2링크(4)가 일직선상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링크(3)와 제2링크(4)가 서로 회전되지 못하고,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1링크(3)와 제2링크(4)에 사선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당겨지는 힘이 가해지게 된다. 즉, 모터의 구동축(2)을 통해 제1링크(3)와 제2링크(4)를 회전시켜서, 차단바(B)가 회전되는게 아닌 경우에는, 차단바(B)가 수평과 수직 상태일 때는 제1링크(3)와 제2링크(4)를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외력에 의해서 강제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정리하면, 차단바(B)가 수직 또는 수평상태일 때는, 제1 링크(3)와 제2 링크(4)가 일직선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인데, 이때는 제1 링크(3)와 제2 링크(4) 각각의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회전되어야지만 제1 링크(3)와 제2 링크(4)가 서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제1 링크(3)와 제2링크(4)가 일직선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각 링크가 연결된 축의 축회전 방향이 아닌, 회전 방향과 충돌하는 방향에서 강제로 당겨지거나 미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제1 링크(3)와 제2 링크(4)는 서로 회전할 수 없다.
이처럼, 제1링크(3)와 제2링크(4)가 일직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차단바(B)에 들어올리는 힘 또는 내리려는 힘이 강제로 가해지게 되면, 제1링크(3)와 제2링크(4)가 회전되지 않고, 사선방향으로 강제로 미는 힘만 가해지며, 이러한 힘은 결국 제1링크(3)와 고정되어 있는 구동축(2)에도 전달되면서, 구동축(2)에 휘어지는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처럼, 외부에서 강제적인 힘이 반복해서 가해지는 경우, 휘어지는 힘을 반복해서 받게 된 구동축(2)이 끊어지며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의 주차차단기는 구동축(2) 파손에 의한 고장 문제가 꾸준히 발생해왔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도 1a와 같이 커넥터(40) 구성 없이, 제1 링크(3)와 구동축(2)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차단바(B)가 수평 상태인 경우, 차단바(B)에 강제로 들어올려지는 외부의 힘이 가해지면, 차단바(B)와 연결된 제3 링크(6)의 제2 연결축(7)에 상승하려는 힘이 발생한다. 일직선상에 사선으로 위치된 상태의 제1 링크(3)와 제2 링크(4)가 서로 회전될 수 없기 때문에, 링크들(3,4,6)이 서로 회전하지 못하면서, 제1 링크(3)와 제2 링크(4)에 사선방향 상측으로의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처럼 제1 링크(3)와 제2 링크(4)에 사선방향 상측으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제1 링크(3)가 연결된 구동축(2)에도 강제로 사선방향 상측으로의 힘이 가해지게 되며, 이러한 힘이 반복적으로 구동축(2)에 가해질 경우 구동축(2)이 파손되는 것이다.
반대로, 종래의 도 1b와 같이 커넥터(40) 구성 없이, 제1 링크(3)와 구동축(2)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 차단바(B)에 강제로 내려지는 외부의 힘이 가해지면서, 차단바(B)와 연결된 제3 링크(6)의 제2 연결축(7)이 하강하려는 힘이 발생하는데, 이때, 일직선상에 사선으로 위치된 상태의 제1 링크(3)와 제2 링크(4)가 서로 회전될 수 없기 때문에, 링크들(3,4,6)이 회전하지 못하며, 제1 링크(3)와 제2 링크(4)에 사선방향 하측으로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처럼 제1 링크(3)와 제2 링크(4)에 사선방향 하측으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제1 링크(3)가 연결된 구동축(2)에도 강제로 사선방향 하측으로의 힘이 가해지게 되며, 이러한 힘이 반복적으로 구동축(2)에 가해질 경우 구동축(2)이 파손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6396호(2001.08.31)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의 구동축에 커넥터를 더 설치하여, 제1 링크가 연결된 구동축의 단부가, 바디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인 커넥터의 연결부에 끼워짐으로써, 연결부가 구동축의 단부를 그립하고 있는 상태가 되어, 구동축에 구동축의 회전축과 수직으로 만나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힘 가해지는 경우, 구동축을 그립하고 있는 연결부에 의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따라 구동축이 휘어지거나 변화하려는 힘이 감소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차단바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구동축이나 구동축과 연결된 링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링크부가 연결되는 구동축에 커넥터가 연결됨으로써, 차단바가 올라가고 내려가고 하는 동작에서 흔들림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특히 리바운딩(차단바가 다운되고 있는 상태에서 업신호가 들어와 강하게 올라가는 현상)시 강한 흔들림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는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주차 차단바의 리바운딩 시, 구동축과 연결된 링크의 사선방향으로 당겨질 때 구동축이 휘어지면서 구동축(모터/감속기)의 기어의 마모가 생기는데 이것도 줄여 주므로 구동축(모터와 감속기)의 기어 수명을 늘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는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차단바가 지면과 수평(또는 수직) 상태일 때, 강제로 차단바를 들어올리거나(정전시), 술취한 사람이 강제로 차단바(10)를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 등 지렛대의 원리로 구동축(31)에 힘이 가해져 구동축(31)이 휘어지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동축에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는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나의 막대기에서 한쪽 끝부분을 살짝 잡기만 한 상태에서, 막대기의 반대편 부분을 누르면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수평상태가 무너지게 되지만, 막대기의 한쪽 끝부분에도 힘을 주어 잡고 있는 상태에서, 막대기의 반대편 부분을 누르면, 양 쪽에서 막대기를 잡고 있는게 되므로 막대기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치와 마찬가지로, 구동축에 커넥터를 연결하여, 차단바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커넥터에 의해 잡혀있는 구동축이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바; 일 측은 상기 차단바와 연결되고 타 측은 구동부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차단바를 회동시키는 링크부;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고, 외부에는 상기 차단바와 상기 링크부가 연결되는 바디프레임; 및 상기 바디프레임의 외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링크부가 연결된 상기 구동축의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에 강제로 가해지는 미는 힘 또는 당겨지는 힘을 감소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는, 일 단부가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이 축회전됨에 따라 일 단부도 함께 회전하여 타 단부가 회동하는 제1 링크; 일 단부가 상기 제1 링크의 타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의 타 단부가 회동함에 따라 작동되는 제2 링크; 일 단부는 상기 제2 링크의 타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링크의 타 단부가 작동됨에 따라 회전하는 제3 링크; 및 일 단부는 상기 제3 링크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차단바와 연결되어, 상기 제3 링크의 회전에 따라 축회전하여 상기 차단바를 회전시키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링크, 상기 제2 링크, 상기 제3 링크 및 상기 회동축이 회전되어, 상기 차단바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거나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기 설정된 각도 내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소정 두께의 삼각 판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판넬; 상기 고정판넬의 복수의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판넬을 상기 바디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판넬의 어느 한 지점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의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링크가 연결된 상기 구동축의 단부가, 상기 바디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상기 커넥터의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판넬과 고정되는 외륜; 내측 중공에 상기 구동축이 끼워지는 내륜; 및 상기 외륜과 내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륜이 회전 가능하게 하는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상기 커넥터는, 상기 구동축이 상기 연결부에 끼워져서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축에 가해지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축과 수직으로 만나는 방향에서의 당겨지는 힘이나 미는 힘을 감소시키고, 상기 구동축이 회전축을 따라 축회전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의 상기 내륜이 함께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축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부의 구동축에 커넥터를 더 설치하여, 외부에서 차단바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구동축이나 구동축과 연결된 링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링크부가 연결되는 구동축에 커넥터가 연결됨으로써, 차단바가 올라가고 내려가고 하는 동작에서 흔들림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특히 리바운딩(차단바가 다운되고 있는 상태에서 업신호가 들어와 강하게 올라가는 현상)시 강한 흔들림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구동축(모터/감속기)의 기어의 마모를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차단바가 지면과 수평(또는 수직) 상태일 때, 강제로 차단바를 들어올리거나(정전시), 술취한 사람이 강제로 차단바(10)를 올리는 경우(올리거나 내리거나 할 경우) 등 지렛대의 원리로 구동축(31)에 힘이 가해져 구동축(31)이 휘어지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동축에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막대기에서 한쪽 끝부분을 살짝 잡기만 한 상태에서, 막대기의 반대편 부분을 누르면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수평상태가 무너지게 되지만, 막대기의 한쪽 끝부분에도 힘을 주어 잡고 있는 상태에서, 막대기의 반대편 부분을 누르면, 양 쪽에서 막대기를 잡고 있는게 되므로 막대기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치와 마찬가지로, 구동축에 커넥터를 연결하여, 차단바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커넥터에 의해 잡혀있는 구동축이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의 종래의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의 차단바가 지면과 수평상태일 때의 링크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의 커넥터의 연결부와 구동축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의 차단바가 지면과 수직상태로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의 차단바가 지면과 수직상태일 때의 링크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의 사시도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가 정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충돌방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의 차단바가 지면과 수평상태일 때의 링크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의 커넥터의 연결부와 구동축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의 차단바가 지면과 수직상태로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의 차단바가 지면과 수직상태일 때의 링크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의 사시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1)는 차단바(10), 링크부(20), 구동부(30), 커넥터(40), 바디프레임(50) 및 하우징(6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바(1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바(10)는 외팔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거나 출입을 허용할 수 있는 각도 내에서 왕복 회동할 수 있다. 차단바(10)가 지면과 수평하게 유치되는 경우 차량의 진출입을 차단할 수 있고, 차단바(10)가 지면과 수직하게 회동되면 차량의 진출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단바(10)는 수평방향을 유지한 채로 대기하고 있다가 필요한 경우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지고, 다시 수평방향으로 복귀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부(20)는 일 측은 상기 차단바(10)와 연결되고 타 측은 구동부(30)의 구동축(31)과 연결되어, 구동부(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차단바(10)를 회동시킬 수 있다.
링크부(20)는 제1 링크(21), 제2 링크(22), 제1 연결축(23), 제3 링크(24), 제2 연결축(25) 및 회동축(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21)는 일 단부가 구동축(31)과 연결되며, 구동축(31)이 축회전됨에 따라 일 단부도 함께 회전하여 타 단부가 회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21)의 일 단부는 구동축(31)과 연결되고, 타 단부는 제2 링크(2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링크(21)의 일 단부는 구동축(31)을 관통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구동축(3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제1 링크(21)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축(31)이 축회전함에 따라 제1 링크(21)의 일 단부가 구동축(31)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동될 수 있다. 제1 링크(21)의 일 단부가 구동축(31)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동함에 따라 제1 링크(21)의 타 단부도 함께 회동되며 이동될 수 있다.
제2 링크(22)는 일 단부가 제1 링크(21)의 타 단부와 연결되며, 제1 링크(21)의 타 단부가 회동함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링크(22)의 일 단부는 제1 연결축(23)에 의해 제1 링크(2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22)의 타 단부는 제2 연결축(25)에 의해 제3 링크(24)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링크(22)의 일 단부는 제1 링크(21)의 타 단부와 연결되며, 제2 링크(22)의 타 단부는 제3 링크(24)의 일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링크(21)의 타 단부가 회동됨에 따라, 제1 링크(21)의 타 단부와 연결된 제2 링크(22)의 일 단부도 함께 회동되며 작동되고, 제2 링크(22)의 일 단부가 회동됨에 따라 제2 링크(22)의 타 단부가 함께 회동되며, 제2 링크(22)의 타 단부와 연결된 제3 링크(24)도 작동될 수 있다.
제1 연결축(23)은 제2 링크(22)와 제1 링크(21)를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제3 링크(24)는 일 단부가 제2 링크(22)의 타 단부와 연결되어, 제2 링크(22)의 타 단부가 작동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링크(24)는 일 단부가 제2 연결출(25)에 의해 제2 링크(22)의 타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링크(24)의 중심부에는 회동축(26)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링크(22)의 타 단부가 회동됨에 따라 제3 링크(24)의 일 단부가 회전하게 되고, 제3 링크(24)의 일 단부가 회전됨에 따라 제3 링크(24)의 중심에 고정된 회동축(26)이 회전될 수 있다.
제2 연결축(25)은 제2 링크(22)와 제3 링크(24)를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회동축(26)은 일 단부는 제3 링크(24)와 수직하게 연결되고, 타 단부는 차단바(10)와 수직하게 연결되어, 제3 링크(24)의 회전에 따라 축회전하여 차단바(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동축(26)의 일 단부는 제3 링크(24)의 중심부에 고정되되 제3 링크(24)와 수직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회동축(26)의 타 단부는 차단바(10)와 연결되되 차단바(10)와 수직하게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40)는 구동축(31)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구동축(3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40)는 고정판넬(41) 연결부(42) 및 고정부(4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넬(41)은 소정 두께의 판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되, 바디프레임(5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판넬(41)은 삼각형 형태의 소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삼각판 형태의 고정판넬(41)의 어느 하나의 꼭짓점에는 연결부(42)가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두 개의 꼭짓점에는 고정부(43)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42)에는 구동축(31)이 연결될 수 있고, 고정부(43)는 고정판넬(41)을 바디프레임(50)에 고정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연결부(42)는 고정판넬(41)의 어느 하나의 꼭짓점에 형성되어, 구동축(31)이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42)는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42)는 내륜(421), 외륜(422) 및 볼(423)을 포함할 수 있다. 내륜(421)은 볼베어링의 내륜을 이루는 구성으로써,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륜(421)의 내측 중공에는 구동축(31)이 끼워질 수 있다. 즉, 내륜(421)의 내주면과 구동축(31)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구동축(31)이 회전됨에 따라 구동축(31)과 밀착된 내륜(421)이 회전될 수 있다.
외륜(422)은 볼베어링의 외륜을 이루는 구성으로써,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되, 내륜(421)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륜(422)은 내륜(421)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외륜(422)은 고정판넬(41)과 용접에 의해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볼(423)은 내륜(421)과 외륜(422)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될 수 있다. 즉, 볼(423)이 회전됨에 따라 내륜(421)이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륜(422)은 고정판넬(41)에 고정된 상태이고, 내륜(421)의 내측 중공에는 구동축(31)이 끼워진 상태에서, 구동축(31)이 회전됨에 따라 내륜(421)이 구동축(3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내륜(421)과 외륜(422) 사이에 위치된 볼(423)에 의해 내륜(421)이 구동축(31)의 회전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고정부(43)는 연결부(42)가 설치되지 않은 고정판넬(41)의 두 개의 꼭짓점에 설치되어, 바디프레임(50)에 고정판넬(41)을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43)는 PE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3)는 고무로 형성되어, 고정판넬(41)과 바디프레임(50) 사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고정판넬(41)이 바디프레임(5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커넥터(40)는 바디프레임(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 측이 구동축(31)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21)가 연결된 구동축(31)의 단부가, 바디프레임(50)에 고정된 상태의 고정판넬(41)의 연결부(42)에 연결될 수 있다.
바디프레임(50)의 내부에는 구동부(30)가 설치되고, 외부에는 차단바(10), 링크부(20) 및 커넥터(4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바디프레임(50)은,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고 각 구성들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바디프레임(50)의 내측에 구동부(30)가 설치되고, 구동부(30)의 구동축(31)이 일 측면으로 관통되어 돌출될 수 있다. 바디프레임(50)에서 구동축(31)이 돌출된 일 측면에 커넥터(40)와 링크부(20)가 설치되며, 바디프레임(50)의 상측에 링크부(20)의 회전축이 설치되고, 바디프레임(50)의 타 측면에 차단바(10)가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60)은 내부에 바디프레임(50), 링크부(20), 커넥터(40)가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다른 구성들을 보호하며 외부 케이스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1)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은 차단바(10)가 지면과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의 진출입을 차단한 상태의 링크부(20)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제1 링크(21)의 경우, 제2 링크(22)와 연결된 제1 연결축(23) 부분이 구동축(31)와 연결된 단부보다 좌측 대각선 방향으로 하측에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21)와 제2 링크(22)가 동일한 대각선 방향(도 2기준 1방향과 2방향을 따르는 사선 방향)으로 비듬하게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차단바(10)가 지면과 수평 상태인 경우, 제1 링크(21)와 제2 링크(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도 3 기준)의 사선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링크(21)와 제2 링크(22)가 수평선상에 위치된 상태이다.
제3 링크(24)는 제2 링크(22)와 연결된 제2 연결축(25) 부분이 우측의 하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차단바(10)과 지면과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30)의 동력에 의해 구동축(31)이 회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동축(31)이 회전됨에 따라 구동축(31)과 연결된 제1 링크(21)의 일 단부도 함께 회전된다. 제1 링크(21)의 일 단부가 회전됨에 따라 제1 링크(21)의 타 단부도 회전된다. 즉, 구동축(31)이 회전됨에 따라 제1 링크(21)가 회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구동축(31)이 회전하여 제1 링크(21)의 일 단부가 회전되면, 제2 링크(22)와 연결된 제1 링크(21)의 타 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호를 그리며 회전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축(23)이 연결된 제1 링크(21)의 타 단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21)의 타 단부의 회동에 따라 제2 링크(22)도 작동된다. 제1 링크(21)의 타 단부가 우측 방향의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제2 링크(22)도 상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제2 링크(22)의 타 단부와 연결된 제3 링크(24)의 일 단부(즉, 제2 연결축(25) 부분)가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제3 링크(24)가 회전됨에 따라 제3 링크(24)의 중심에 고정된 회동축(26)이 회전하게 되고, 회동축(26)이 회전됨에 따라 차단바(1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링크부(20)의 작동에 따라 차단바(10)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차단바(10)가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회전되는 것은 상술한 작동이 반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먼저, 도 7 및 도 8은 차단바(10)가 지면과 수직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의 진출입이 가능한 상태의 링크부(20)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제1 링크(21)의 경우, 제2 링크(22)와 연결된 제1 연결축(23) 부분이 구동축(31)와 연결된 단부보다 상측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21)와 제2 링크(22)가 동일한 대각선 방향(도 7기준 1방향과 2방향을 따르는 사선 방향)으로 비듬하게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차단바(10)가 지면과 수직 상태인 경우, 제1 링크(21)와 제2 링크(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도 7 기준)의 사선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링크(21)와 제2 링크(22)가 수평선상에 위치된 상태이다.
제3 링크(24)는 제2 링크(22)와 연결된 제2 연결축(25) 부분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기울어진 상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주차 차단 장치와 비교하여, 본 고안의 커넥터(40) 구성을 통해, 구동축(3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종래의 도 1a와 같이 커넥터(40) 구성 없이, 제1 링크(3)와 구동축(2)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차단바(B)가 수평 상태인 경우, 차단바(B)에 강제로 들어올려지는 외부의 힘이 가해지면, 차단바(B)와 연결된 제3 링크(6)의 제2 연결축(7)에 상승하려는 힘이 발생한다. 일직선상에 사선으로 위치된 상태의 제1 링크(3)와 제2 링크(4)가 서로 회전될 수 없기 때문에, 링크들(3,4,6)이 서로 회전하지 못하면서, 제1 링크(3)와 제2 링크(4)에 사선방향 상측으로의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처럼 제1 링크(3)와 제2 링크(4)에 사선방향 상측으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제1 링크(3)가 연결된 구동축(2)에도 강제로 사선방향 상측으로의 힘이 가해지게 되며, 이러한 힘이 반복적으로 구동축(2)에 가해질 경우 구동축(2)이 파손되는 것이다.
(참고로, 차단바(B)가 수직 또는 수평상태일 때는, 제1 링크(3)와 제2 링크(4)가 일직선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인데, 이때는 제1 링크(3)와 제2 링크(4) 각각의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회전되어야지만 제1 링크(3)와 제2 링크(4)가 서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제1 링크(3)와 제2 링크(4)가 일직선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각 링크가 연결된 축의 축회전 방향이 아닌, 회전 방향과 충돌하는 방향에서 강제로 당겨지거나 미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제1 링크(3)와 제2 링크(4)는 서로 회전할 수 없다.)
반대로, 종래의 도 1b와 같이 커넥터(40) 구성 없이, 제1 링크(3)와 구동축(2)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 차단바(B)에 강제로 내려지는 외부의 힘이 가해지면서, 차단바(B)와 연결된 제3 링크(6)의 제2 연결축(7)이 하강하려는 힘이 발생하는데, 이때, 일직선상에 사선으로 위치된 상태의 제1 링크(3)와 제2 링크(4)가 서로 회전될 수 없기 때문에, 링크들(3,4,6)이 회전하지 못하며, 제1 링크(3)와 제2 링크(4)에 사선방향 하측으로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처럼 제1 링크(3)와 제2 링크(4)에 사선방향 하측으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제1 링크(3)가 연결된 구동축(2)에도 강제로 사선방향 하측으로의 힘이 가해지게 되며, 이러한 힘이 반복적으로 구동축(2)에 가해질 경우 구동축(2)이 파손되는 것이다.
반면에, 본 고안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는, 바디프레임(50)에 고정된 상태의 커넥터(40)를 통해, 차단바(10)의 수직 또는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동축(31)의 회전이 중단된 상태에서, 차단바(10)에 강제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에 의해 링크부(20)와 구동축(3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링크(21)가 연결된 구동축(31)의 단부는 커넥터(40)의 연결부(42)의 내륜(421)에 끼워진 상태이다. 즉, 구동축(31)은 내륜(421)을 통해 커넥터(40)와 연결되고, 구동축(31)이 연결된 커넥터(40)는 바디프레임(50)에 고정된 상태이다. 즉, 연결부(42)에 연결된 구동축(31)의 단부는 바디프레임(50)에 고정된 커넥터(40)에 의해 잡혀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구동축(31)의 단부가 바디프레임(50)에 고정된 상태인 커넥터(40)의 연결부(42)에 끼워짐으로써, 커넥터(40)가 구동축(31)의 둘레를 그립하고 있는 상태가 되어, 구동축(31)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 회전 방향 이외의, 구동축(31)의 외주면과 충돌하는 다른 방향에서 힘(즉, 구동축(31)을 당기거나 미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이러한 힘에 의해 구동축(31)이 휘어지거나 변화하려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넥터(40)가 구동축(31)의 잡고있는 상태가 되어, 구동축(31)이 휘어지거나 끈어지는 방향으로 구동축(31)에 가해지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축(31) 단부를 누군가가 강제로 아래로 당긴다고 했을 때, 구동축(31)의 단부가 다른 누군가에 의해 잡혀있지 않은 자유로운 상태일 때보다, 구동축(31)의 단부가 다른 누군가에게 잡혀있는 상태일 때, 강제로 아래로 당겨지는 힘을 적게 받게 된다.
이처럼, 바디프레임(50)에 고정된 커넥터(40)는 구동축(31)의 단부에 강제로 당겨지거나 밀리는 힘이 가해지는 것을 감소시켜, 구동축(3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커넥터(40)는 구동축(31)이 연결부(42)에 끼워져서 지지되도록 하여, 구동축(31)에 가해지는, 구동축(31)의 회전축과 수직으로 만나는 방향에서의 당겨지는 힘이나 미는 힘을 감소킬 수 있다. 또한, 구동축(31)이 회전축을 따라 축회전되는 경우, 연결부(42)의 내륜(421)이 함께 회전되도록 하여, 구동축(31)의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1)가 정산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1)는 정산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산부(70)는 백화점 등 줄이 긴 주차장에서 결제를 빠르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산부(70)는 수직바(71), 수평바(72), 하이패스결제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바(71)는 하우징(60)의 상면에 설치되되, 지면과 수직하게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바 일 수 있다. 수평바(72)는 수직바(71)의 상단에서 지면과 수평하게 연장된 형태의 바 일 수 있다. 차단바(10)가 지면과 수평방향을 이루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수평바(72)는 차단바(10)와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수평바(72)가 차단바(10) 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수평바(72)는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1) 앞에 출차를 대기하는 차량의 줄이 형성되었을 때, 대기하는 2번째 차량의 앞유리가 보일 수 있는 각도 및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하이패스결제부(73)는 수평바(72)에 설치될 수 있다. 하이패스결제부(73)는 주차장의 정산부(70)(미도시)와 연결되어, 각 차량의 주차요금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즉, 하이패스결제부(73)는 각 차량의 주차를 이용한 시간에 따라 정산해야하는 요금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후, 첫번째 차량이 관리자 또는 정신장치를 통해 요금을 정산을 하는 동안, 하이패스결제부(73)는 줄 서 있는 두번째 차량에 하이패스가 설치된 경우, 하이패스를 통해 주차 요금을 정산할 수 있다.
첫번째 차량과 두번째 차량이 출차하는 동안, 하이패스가 설치된 세번째 차량이 하이패스결제부(73)가 인식하는 범위 내에 위치되면 하이패스결제부(73)가 세번째 차량의 주차 요금도 정산할 수 있다.
이처럼, 하이패스결제부(73)를 통해 주차 요금 정산을 빠르게 진행하여, 통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이패스결제부(73)가 줄 서 있는 상태의 차량을 미리 정산함으로써, 첫번째 차량이 출차할 때 열린 상태의 차단바(10)가 다시 닫히기 않고, 열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번째 차량이 관리자를 통해 정산하는 동안, 하이패스결제부(73)가 두번째 차량의 주차 요금을 정산함으로써, 첫번째 차량 출차 시에 첫번째 차량 출차와 동시에 두번째 차량도 출차할 수 있다. 이때, 차단바(10)는 첫번째 차량 출차 후에 닫히고나서 두번째 차량 출차할 때 다시 열리는 것이 아니라, 이미 정산이 완료된 차량들이 모두 나갈 때까지 열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바(10)가 열렸다 닫혔다하는 회동을 반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차단바(10) 작동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충돌방지부(9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1)는 보행자충돌방지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행자충돌방지부(90)는 보행자감지부(91), 보행자이동속도확인부(92) 및 충돌가능성산출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보행자감지부(91)는 하우징(60)에 설치되어, 차단바(10)의 전방의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보행자가 위치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보행자감지부(91)는 기 설정된 높이 내에 움직이는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것이다. 즉, 차단바(10)가 지면과 이격되어 있는 높이에서부터(이때, 차단바(10)의 하면 높이를 기준으로 함) 일반적인 성인의 키 이상의 높이까지의 범위 내에서 물체가 존재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바(10)의 하면이 지면과 이격된 높이가 100cm 라고 할 때, 보행자감지부(91)는 지면으로부터 높이 85cm에서부터 210cm까지의 범위 내에서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보행자감지부(91)에서 차단부의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물체가 감지되고, 차단부가 지면과 수직하게 회전되어 차량의 진입로를 개방한 상태인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차단바(10)가 다시 차량의 진입로를 차단하기 위해 회전되는 것을 중단하여, 보행자가 회전하는 차단바(10)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행자이동속도확인부(92)는 보행자감지부(91)에서 감지되는 물체의 이동 속도를 확인하여, 감지된 물체가 사람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보행자가 아니라 날아가는 새일 경우에는 보다 빠른 속도로 지나간다. 따라서, 제어부는 물체의 이동속도에 따라 차단바(10)가 회전하는 속도 또는 중지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충돌가능성산출부(93)는 보행자감지부(91)에서 설정된 기 설정된 거리 밖에서의 보행자를 감지하고, 가까워지는 이동 속도를 산출하여, 충돌 가능성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보행자가 기 설정된 거리 밖에서 달려서 차단바(10)와 가까워질 경우, 차단바(10)가 회전하는 것을 중단하여, 예측하지 못한 보행자와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
10: 차단바 20: 링크부
21: 제1 링크 22: 제2 링크
23: 제1 연결축 24: 제3 링크
25: 제2 연결축 26: 회동축
30: 구동부 31: 구동축
40: 커넥터 41: 고정판넬
42: 연결부 421: 내륜
422: 볼 423: 외륜
43: 고정부 50: 바디프레임
60: 하우징 70: 정산부
71: 수직바 72: 수평바
73: 하이패스결제부 90: 보행자충돌방지부
91: 보행자감지부 92: 보행자이동속도확인부
93: 충돌가능성산출부

Claims (5)

  1.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바;
    일 측은 상기 차단바와 연결되고 타 측은 구동부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차단바를 회동시키는 링크부;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고, 외부에는 상기 차단바와 상기 링크부가 연결되는 바디프레임; 및
    상기 바디프레임의 외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링크부가 연결된 상기 구동축의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에 강제로 가해지는 미는 힘 또는 당겨지는 힘을 감소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일 단부가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이 축회전됨에 따라 일 단부도 함께 회전하여 타 단부가 회동하는 제1 링크;
    일 단부가 상기 제1 링크의 타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의 타 단부가 회동함에 따라 작동되는 제2 링크;
    일 단부는 상기 제2 링크의 타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링크의 타 단부가 작동됨에 따라 회전하는 제3 링크; 및
    일 단부는 상기 제3 링크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차단바와 연결되어, 상기 제3 링크의 회전에 따라 축회전하여 상기 차단바를 회전시키는 회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소정 두께의 삼각 판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판넬;
    상기 고정판넬의 복수의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판넬을 상기 바디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판넬의 어느 한 지점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의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판넬과 고정되는 외륜;
    내측 중공에 상기 구동축이 끼워지는 내륜; 및
    상기 외륜과 내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륜이 회전 가능하게 하는 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링크가 연결된 상기 구동축의 단부가, 상기 바디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인 상기 커넥터의 상기 연결부에 끼워져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구동축의 단부를 그립하고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구동축에 상기 구동축의 회전축과 수직으로 만나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힘 가해지는 경우, 상기 구동축에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구동축이 휘어지거나 변화하려는 힘이, 상기 구동축을 그립하고 있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감소되고,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축이 축회전되는 경우, 상기 구동축의 단부가 끼워진 상기 내륜이 함께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축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링크, 상기 제2 링크, 상기 제3 링크 및 상기 회동축이 회전되어, 상기 차단바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거나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기 설정된 각도 내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30000083U 2022-04-21 2023-01-12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 KR20049718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970 2022-04-21
KR20220000970 2022-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188Y1 true KR200497188Y1 (ko) 2023-08-25

Family

ID=8779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083U KR200497188Y1 (ko) 2022-04-21 2023-01-12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18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396Y1 (ko) 2001-06-08 2001-10-29 주식회사 메그텍 주차장용 자동 차단기
KR101747829B1 (ko) * 2016-05-27 2017-06-27 (주)토마토전자 주차차단기의 차단바 동작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396Y1 (ko) 2001-06-08 2001-10-29 주식회사 메그텍 주차장용 자동 차단기
KR101747829B1 (ko) * 2016-05-27 2017-06-27 (주)토마토전자 주차차단기의 차단바 동작각도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50168B (zh) 一种智能车位锁系统
US5146710A (en) Parking space control
KR100610571B1 (ko)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로 개선구조
CN211646126U (zh) 一种电子感应的门禁护栏
KR200497188Y1 (ko) 파손방지용 주차차단기
KR102395114B1 (ko) 차량용 2단 주차설비
JP2006511746A (ja) 遠隔制御パーキングバリア装置
JPH10121767A (ja) ロック式駐車装置
US6779581B2 (en) Secondary physical/visual barrier
CN107038969B (zh) 广告杆及含有该广告杆的道闸
KR200428486Y1 (ko)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차량 및 보행자 차단기
WO2021017473A1 (zh) 自行车收容设备
WO2011062479A2 (en) Barrier device
JP4883444B2 (ja) 起伏式防水扉装置
JP2006144529A (ja) 駐車場の出庫阻止装置
CN112854054A (zh) 车型可控通行的道闸
CN219033019U (zh) 一种停车场用防撞道闸
CN220666039U (zh) 一种新型车辆交通道闸
JP3947099B2 (ja) 駐車装置
CN216524827U (zh) 车库入口汽车底盘防刮检测装置
CN219992294U (zh) 闸机
CN220813567U (zh) 一种自动识别的停车场道闸
CN214737624U (zh) 双驱高速放行道闸
CN214695306U (zh) 一种基于弱电工程的智能楼宇停车道闸
AU624290B2 (en) Securit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