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103Y1 - 방향제 - Google Patents

방향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103Y1
KR200497103Y1 KR2020210002257U KR20210002257U KR200497103Y1 KR 200497103 Y1 KR200497103 Y1 KR 200497103Y1 KR 2020210002257 U KR2020210002257 U KR 2020210002257U KR 20210002257 U KR20210002257 U KR 20210002257U KR 200497103 Y1 KR200497103 Y1 KR 200497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reshener
wing
protruding
protrus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197U (ko
Inventor
이수철
Original Assignee
이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철 filed Critical 이수철
Priority to KR2020210002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103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1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1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1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제공되고, 복수 개의 배수 홀을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바디의 테두리에 제공되는 날개부; 및 상기 바디의 일측에 제공되는 손잡이부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향제{AIR FRESHENER}
본 고안은 방향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변기용 방향제는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 근처에 단순 안착되어 물이 배수됨과 동시에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변기는 배수구 근처가 곡면 형상으로 제공되므로, 종래의 방향제는 이러한 곡면 형상을 갖는 변기에 고정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방향제는 장치에 관통 형성된 홀을 통해 물의 배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물질이 홀 내부로 유입되어 홀을 막거나, 이물질이 홀을 통과하여 배수구로 유입되는 바, 배수구가 막힐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7843호(2011.12.30. 등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 형상을 갖는 설치부에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방향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거를 수 있는 방향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제공되고, 복수 개의 배수 홀을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바디의 테두리에 제공되는 날개부; 및 상기 바디의 일측에 제공되는 손잡이부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방향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1 돌출돌기; 및 상기 바디의 타측면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2 돌출돌기를 포함하는 방향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의 크기가 감소하는 방향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바디에 대한 상대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는 방향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단부면과 상기 날개부의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연결홈을 더 포함하는 방향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의 두께는 상기 바디의 두께보다 작은 방향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감소하는 방향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의 길이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길이의 1.5배 이상인 방향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 홀을 포함하는 방향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제공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압착될 수 있는 방향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 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에 대한 상대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는 여과부재를 더 포함하는 방향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 홀의 내측면과 상기 여과부재의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여과부재 연결홈을 더 포함하는 방향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곡면 형상을 갖는 설치부에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거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향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방향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향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방향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1)는 특정 향료를 포함하여 발향되는 것으로서, 배수구에 설치되어 물이 배수됨과 함께 발향되어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방향제(1)가 소변기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나, 본 고안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소변기 외의 배수구에 설치되어 발향 가능한 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제(1)는 욕조 및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어 발향되는 장치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소변기 또는 배수구와 같이 방향제(1)가 설치되는 곳 또는 방향제(1)가 안착하는 면을 설치부라 하겠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는 바디(10)와, 바디(1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20)와, 바디(1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날개부(30)와, 바디(10)의 일측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제공되는 손잡이부(40)와, 방향제(1)를 배수구와 같은 설치 부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와 돌출부(20)와 날개부(30)와 손잡이부(40)는 일체로 제공될 수 있고,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디(10)와 돌출부(20)와 날개부(30)와 손잡이부(40)는 중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정도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디(10)와 돌출부(20)와 날개부(30)와 손잡이부(40)가 일체로 제공되는 것을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디(10)는 방향제(1)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디(10)가 전체적으로 팔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바디(10)는 육각형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바디(10)는 원형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바디(10)는 중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 가능하게 제공되는 바, 곡면 형상을 갖는 설치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바디(10)는 바디(1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수 홀(13)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홀(13)은 후술할 돌출부(20)의 돌출돌기(21, 22)의 단면상 최대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0)는 바디(10)로부터 돌출되어 바디(10)를 설치부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돌출부(20)는 바디(10)의 배수 홀(13)과 상이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0)는 바디(10)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1 돌출돌기(21) 및 바디(10)의 타측면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2 돌출돌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 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일 수 있고, 타측 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돌출돌기(21)는 바디(10)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2 돌출돌기(22)는 바디(10)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바디(10)를 기준으로 제1 돌출돌기(21)가 돌출되는 방향을 상측 방향, 바디(10)를 기준으로 제2 돌출돌기(22)가 돌출되는 방향을 하측 방향이라 하겠다.
제1 돌출돌기(21) 및 제2 돌출돌기(22)는 그 돌출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출돌기(21)의 길이는 바디(10)의 상측면으로부터 제1 돌출돌기(21)의 단부까지의 직선 길이일 수 있고, 제2 돌출돌기(22)의 길이는 바디(10)의 하측면으로부터 제2 돌출돌기(22)의 단부까지의 직선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방향제(1)가 배수구와 같은 설치부에 설치되는 경우, 제1 돌출돌기(21) 및 제2 돌출돌기(22) 중 어느 하나는 그 단부가 설치부에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는, 제2 돌출돌기(22)가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바, 제2 돌출돌기(22)의 단부가 설치부에 접촉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돌출돌기(21) 및 복수 개의 제2 돌출돌기(22)는 원형 단면을 가진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돌기(21) 및 제2 돌출돌기(22)는 바디(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단면의 크기란, 단면적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돌출돌기(21)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돌출돌기(22)도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 개의 돌출돌기(21, 2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물이 이동되어 배수될 수 있다.
돌출부(20)가 바디(10)의 양측에 모두 구비되는 바, 방향제(1)를 양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날개부(30)는 바디(1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바디(10)의 테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개부(30)는 바디(10)의 둘레의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날개부(30)는 바디(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3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30)의 두께는 바디(1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날개부(30)는 바디(10)보다 중력에 의한 탄성 변형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날개부(30)는 바디(10)에 대한 상대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개부(30)의 단부는 바디(10)와의 연결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날개부(30)가 연장되는 바디(10)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경계부 연결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계부 연결홈(15)은 바디(10)의 단부면과 날개부(30)의 상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계부 연결홈(15)은 바디(10)의 단부면과 날개부(30)의 하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30)가 경계부 연결홈(15)에 의해 바디(10)에 대한 상대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고, 날개부(30)의 두께가 바디(10)의 두께보다 작게 제공되는 바, 방향제(1)가 설치부에 설치되어 제2 돌출돌기(22)에 의해 바디(10)의 하측면이 설치부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날개부(30)의 단부가 바디(10)의 단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날개부(30)와 바디(10)의 상대 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날개부(30)의 길이는 돌출돌기(21, 22)의 길이의 1.5배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날개부(30)의 길이는 바디(10)의 단부로부터 날개부(30)의 단부까지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향제(1)가 설치부에 설치되는 경우, 중력에 의해 날개부(30)와 바디(10)가 이루는 각도가 변화됨으로써, 날개부(30)의 단부가 설치부에 적어도 일부 접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날개부(30)의 단부가 설치부에 접촉되는 바, 제2 돌출돌기(22)에 의해 이격된 바디(10)의 하측면과 설치부 사이의 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30)의 단부가 설치부에 접촉되는 바, 방향제(1)가 설치부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경계부 연결홈(15)과 돌출돌기(21, 22)보다 길게 형성되는 날개부(30)에 의해 날개부(30)의 외측 단부 전체는 설치부에 접촉되거나 밀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날개부(30)와 설치부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바, 이물질이 날개부(30)와 설치부 사이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30)의 외측 단부에는 돌기(도면 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날개부(30)와 설치부가 밀착되는 경우에도, 액체만을 날개부(30)의 돌기 사이로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돌기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손잡이부(4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제공되는 구성으로서, 바디(1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40)는 바디(1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40)는 날개부(30)가 형성되지 않은 바디(10)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날개부(30)는 바디(10)의 전체 테두리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고, 손잡이부(40)는 바디(10)의 전체 테두리의 다른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부(40)를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해, 손잡이부(40)의 길이는 날개부(30)의 길이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부(40)의 길이는 바디(10)의 단부면으로부터 손잡이부(40)의 단부면까지의 직선 길이일 수 있고, 날개부(30)의 길이는 바디(10)의 단부면으로부터 날개부(30)의 단부면까지의 직선 길이일 수 있다.
손잡이부(40)는 바디(10)에 대한 상대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경계부 연결홈(15)은 손잡이부(40)와 바디(10)의 연결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경계부 연결홈(15)은 바디(10)의 단부면과 손잡이부(40)의 상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계부 연결홈(15)은 바디(10)의 단부면과 손잡이부(40)의 하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40)에 고정부(50)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40)는 고정부(5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홀(43)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홀(43)은 손잡이부(4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고정부(5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40)는 고정부(5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됨으로써, 고정부(50)를 설치부에 밀착시킨 후, 손잡이부(40)를 반대로 뒤집어 고정부(50)에 부착함으로써 방향제(1)를 양면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40)와 바디(10)의 상대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는 바, 방향제(1)가 손잡이부(40)에 결합되는 고정부(50)를 통해 곡면 형상의 설치부에 설치되는 경우, 방향제(1)가 설치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정부(50)는 방향제(1)를 설치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몸체(51)와, 고정몸체(51)의 일측에 제공되어 손잡이부(40)의 결합 홀(43)에 삽입되는 삽입부재(53)와, 삽입부재(53)의 일측에 제공되어 삽입부재(53)가 결합 홀(43)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끼움부재(5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몸체(51)와 삽입부재(53)와 끼움부재(55)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고정부(5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정부(50)는 고무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몸체(51)는 설치부에 고정되어 방향제(1)를 설치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몸체(51)는 외부에서 가하는 외력에 의해 압력에 의해 압착됨으로써, 설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삽입부재(53)는 고정몸체(51)의 일측에 제공되어, 손잡이부(40)의 결합 홀(43)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부재(53)는 고정몸체(51)와 끼움부재(5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삽입부재(53)의 일측에 고정몸체(51)가 제공될 수 있고, 삽입부재(53)의 타측에 끼움부재(55)가 제공될 수 있다.
삽입부재(53)는 결합 홀(43)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삽입부재(53)의 크기는 결합 홀(43)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재(53)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삽입부재(53)의 외측 둘레는 결합 홀(43)의 내측 둘레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즉, 삽입부재(53)의 단면상 지름은 결합 홀(43)의 지름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끼움부재(55)는 삽입부재(53)의 일측에 제공되어, 삽입부재(53)가 손잡이부(40)의 결합 홀(4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고정부(50)가 손잡이부(40)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끼움부재(55)가 결합 홀(43)을 통과한 후, 삽입부재(53)가 결합 홀(43)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고정부(50)가 손잡이부(40)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몸체(51)는 손잡이부(4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끼움부재(55)는 손잡이부(4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끼움부재(55)는 삽입부재(53)보다 큰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끼움부재(55)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끼움부재(55)의 외측 둘레는 결합 홀(43)의 내측 둘레 및 삽입부재(53)의 외측 둘레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끼움부재(55)의 단면상 지름은 삽입부재(53)의 단면상 지름 및 결합 홀(43)의 지름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부(50)가 손잡이부(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1') 대하여 도 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6 및 도 7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여과부재(17) 및 여과부재 연결홈(19)이 더 제공되고, 날개부(30')의 형상에 있어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10')는 배수 홀(13)의 내측에 배치되어 배수 홀(13)을 통과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재(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과부재(17)는 배수 홀(13)의 내측면으로부터 배수 홀(13)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과부재(17)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여과부재(17)의 두께는 바디(1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여과부재(17)가 일정한 두께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것을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여과부재(17)는 배수 홀(13)의 내측면으로부터 배수 홀(13)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바디(10')는 여과부재(17)의 일측면과 배수 홀(13)의 내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여과부재 연결홈(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여과부재(17)는 바디(10')에 대한 상대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1')는 배수 홀(13) 내측에 배치되는 바디(10)에 대한 여과부재(17)의 상대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는 바, 배수 홀(13)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여과부재(17)에 의해 여과되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날개부(30')는 바디(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작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날개부(30')의 단부가 설치부에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1, 1')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1': 방향제
10, 10': 바디
20: 돌출부
30, 30': 날개부
40: 손잡이부
50: 고정부

Claims (13)

  1.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제공되고, 복수 개의 배수 홀을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바디의 테두리에 제공되는 날개부;
    상기 바디의 일측에 제공되는 손잡이부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고정부; 및
    상기 바디의 단부면과 상기 날개부의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연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바디에 대한 상대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는,
    방향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1 돌출돌기; 및
    상기 바디의 타측면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2 돌출돌기를 포함하는 방향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의 크기가 감소하는 방향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두께는 상기 바디의 두께보다 작은 방향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감소하는 방향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길이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길이의 1.5배 이상인 방향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 홀을 포함하는 방향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에 대한 상대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는 방향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제공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압착될 수 있는 방향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에 대한 상대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는 여과부재를 더 포함하는 방향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홀의 내측면과 상기 여과부재의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여과부재 연결홈을 더 포함하는 방향제.
KR2020210002257U 2021-07-16 2021-07-16 방향제 KR200497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257U KR200497103Y1 (ko) 2021-07-16 2021-07-16 방향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257U KR200497103Y1 (ko) 2021-07-16 2021-07-16 방향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97U KR20230000197U (ko) 2023-01-26
KR200497103Y1 true KR200497103Y1 (ko) 2023-07-28

Family

ID=8510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257U KR200497103Y1 (ko) 2021-07-16 2021-07-16 방향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10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856B1 (ko) * 2020-08-13 2021-05-25 김도연 소변기용 오염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843Y1 (ko) 2010-05-26 2012-01-10 김원제 향기 발산 기능을 가지는 악취 차단 커버
KR101284457B1 (ko) * 2011-12-01 2013-07-0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변기
KR20200103732A (ko) * 2017-12-20 2020-09-02 프레쉬 프로덕츠, 인크. 소변기 스크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856B1 (ko) * 2020-08-13 2021-05-25 김도연 소변기용 오염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97U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3386C2 (ru) Основание душевой кабины с увеличивающим поток закрытым сливом
KR200497103Y1 (ko) 방향제
KR100954013B1 (ko) 배수트랩
KR20100011281U (ko) 배수트랩
KR20160136159A (ko)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EP1433904A1 (en) Drainage device for shower tray
KR200444012Y1 (ko) 배수트랩
KR200154243Y1 (ko) 방취막이 부착된 배수트랩
KR102330104B1 (ko) 악취차단이 가능한 배수트랩
KR20160020902A (ko)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배수트랩
KR20110007997U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JP2007198021A (ja) 排水枡のトラップ取付構造
KR200257140Y1 (ko) 배수트랩
KR20030004650A (ko) 배수트랩
KR200295976Y1 (ko) 배수트랩
KR200301744Y1 (ko) 배수트랩
KR200314070Y1 (ko) 배수트랩
KR200262264Y1 (ko) 배수구 장착구
KR200496211Y1 (ko)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
KR200336836Y1 (ko)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
JP2008156881A (ja) 目皿装着型排水構造
JP6019279B2 (ja) 排水トラップ
KR102499795B1 (ko) 가변형 배수 장치
KR20090129111A (ko) 배수 트랩 구조물
JP4099751B2 (ja) 排水口の被覆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