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159A -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159A
KR20160136159A KR1020150069998A KR20150069998A KR20160136159A KR 20160136159 A KR20160136159 A KR 20160136159A KR 1020150069998 A KR1020150069998 A KR 1020150069998A KR 20150069998 A KR20150069998 A KR 20150069998A KR 20160136159 A KR20160136159 A KR 20160136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rain
closing
closing head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8223B1 (ko
Inventor
김도균
Original Assignee
김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균 filed Critical 김도균
Priority to KR1020150069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223B1/ko
Publication of KR2016013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4Stoppers for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배수구와의 기밀성이 우수함은 물론 이물질 제거시 회전에 의한 원터치 방식에 의해 배수관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키도록 배수관의 양측에 형성된 유입공간 사이의 대응되는 면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각각의 착탈홈; 상면에 파지 돌기가 형성되며 중앙으로 체결공이 형성되는 개폐헤드; 상기 개폐헤드의 밑면에 패킹과 함께 상기 착탈홈 상에서 회전되는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개폐헤드를 승강시켜 배수구를 개폐하면서 착탈 가능한 한 쌍의 탄지편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승강부재; 상기 개폐헤드의 밑면에 상기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지지 로드; 및 상기 지지 로드의 하부에 고정구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트레이너;를 포함하는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 누구라도 배수관으로부터 머리카락을 비롯한 각종 이물질을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짐은 물론 그로 인한 항시 깨끗하고 청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갖는다.

Description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Drain Switchgear for washbasins}
본 발명은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회전방식의 개폐에 따른 배수구와의 기밀성이 우수함은 물론 이물질 제거시 회전에 의한 원터치 방식에 의해 배수관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켜 포집된 이물질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화장실 등에 설치되는 세면대는 일정량의 물을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세면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세면대에 물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장치가 설치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일정량의 물을 세면대에 저장하여 필요로 하는 용도로 사용한 후에는 배수장치를 통해 배수시킨다.
상기와 같이 세면대에 사용되는 통상의 배수장치는 작동방식에 따라 누름 버튼식 배수장치와, 레버식 배수장치로 구분된다.
누름 버튼식 배수장치는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트랩이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누름 작동에 의해 배수구를 개폐하는 방식이다.
레버식 배수장치는 배수구에 설치된 배수마개를 링크 등과 같은 연결되는 레버를 가압하고 당김에 따라 배수구를 개폐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종래 누름 버튼식 배수장치나 레버식 배수장치에서는 가장 큰 관건은 사용중에 사용자의 머리카락 등을 비롯하여 각종 이물질이 쌓여 배수관이 막히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상기 배수관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꼬챙이나 막대 또는 철사 등을 삽입하여 이물질을 빼내는 번거롭고 불편한 작업을 수시로 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레버식 배수장치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8972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합니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으로 팝업밸브를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레버식 배수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3052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배구수몸체의 상단부에는 착탈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름캡을 설치하여 배수구 내측 하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걸름차단하면서 착탈식으로 분리되는 걸름캡을 통해 상기 걸름캡에 걸린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아울러, 종래 누름 버튼식 배수장치에 이물질을 걸러 내기 위해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1759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합니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마개를 빼내게 되면 동시에 걸름구가 꺼내져 걸름구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청소하기가 아주 편리한 세면대용 배수트랩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누름 버튼식 배수장치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8837호(이하 '특허문헌 4'라 합니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배수전에 세공이 형성된 착탈식의 걸름망을 구성하여 작은 찌꺼기까지 완벽하게 걸러 배수관의 U형 트랩이 막히지 않도록 하면서 배수 흐름이 원활치 못할 때 배수전으로부터 걸름망을 쉽게 분리시켜 머리카락 등의 찌꺼기를 청소하고 다시 배수전에 쉽게 결합시켜 배수전의 청소가 용이할 수 있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특허문헌 1 내지 3과 같이 배수관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와 서로 연결되어 이물질 제거하기 를 위한 기술 이외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5213호(이하 '특허문헌 5'라 합니다)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8167호('이하 '특허문헌 6'이라 합니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와 연결되는 배수트랩에 이물질을 걸러 줄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897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305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175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883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52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8167호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2는 레버식 배수장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팝업 밸브를 제거 후에도 배수관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작업을 병행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3 내지 4는 누름 버튼식 배수장치의 특성상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특허문헌 3의 걸름구에 걸려진 이물질의 제거가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지며, 특허문헌 4는 분리 착탈이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과 함께 그리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또, 특허문헌 3 내지 4는 누름 버튼식 배수장치의 특성상 물과 자주 접촉되는 특성상 스프링의 탄성력이 단시간 내에 저하되어 자주 교체해주아야 단점도 가진다.
아울러, 특허문헌 5 내지 6은 배수장치와 별개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조를 가짐으로서, 추가적인 비용이 더 소요되는 단점과 함께 조립 또한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회전방식의 개폐에 따른 배수구와의 기밀성이 우수함은 물론 이물질 제거시 회전에 의한 원터치 방식에 의해 배수관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켜 포집된 이물질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한 배수라인을 통하여 올라오는 악취의 차단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세면대에 결합 고정되는 배수관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개폐장치는 배수관의 양측에 형성된 유입공간 사이의 대응되는 면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력에 의해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각각의 착탈홈; 상면에 파지 돌기가 형성되며 중앙으로 체결공이 형성되는 개폐헤드; 상기 개폐헤드의 밑면에 패킹과 함께 상기 착탈홈 상에서 회전되는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개폐헤드를 승강시켜 배수구를 개폐하면서 착탈 가능한 한 쌍의 탄지편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승강부재; 상기 개폐헤드의 밑면에 상기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지지 로드; 및 상기 지지 로드의 하부에 고정구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트레이너(strainer);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부재는 중앙에 관통된 통공이 형성되는 원판, 상기 원판의 양측에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상기 탄지편, 및 상기 탄지편에 구비되는 걸림돌기는 일체 또는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연결관의 하부에는 배수라인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트랩이 체결 고정되되, 상기 배수트랩은 상부에 배수성을 가지는 걸름캡과 함께 상기 연결관의 하부에 체결되는 상부캡,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관의 밑단 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격벽에 의한 챔버와 배수로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수라인과 연결하기 위한 하부캡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에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점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회전방식의 개폐에 따른 배수구와의 기밀성이 우수함은 물론 이물질 제거시 회전에 의한 원터치 방식에 의해 배수관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켜 포집된 이물질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누구라도 배수관으로부터 머리카락을 비롯한 각종 이물질을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짐은 물론 그로 인한 항시 깨끗하고 청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갖는다.
또한, 간단한 구조에 의한 배수라인을 통하여 올라오는 악취의 차단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문가가 아닌 사용자 누구라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가지는 효과와 함께 그로 인해 쾌적한 생활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통상적인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패킹과 너트 등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연결관(120)을 포함하여 세면대(100)에 통상적인 너트와 패킹 등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배수관(110)의 배수구(112)를 개폐하는 개폐장치(1)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회전방식의 개폐에 따른 배수구와의 기밀성이 우수함은 물론 이물질 제거시 회전에 의한 원터치 방식에 의해 배수관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켜 포집된 이물질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개폐장치(1)는 배수관(110)의 양측에 세면대로부터 오버 플로우된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공간(114) 사이의 대응되는 면에 회전을 위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력에 의해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각각의 착탈홈(11)과; 상면에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파지돌기(12)가 형성되며 중앙으로 후술하는 지지 로드를 체결하기 위해 체결공(14)이 형성되는 개폐헤드(1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개폐헤드(10)의 밑면에 폐쇄시 누수되지 않도록 통상적인 패킹(21)과 함께 상기 착탈홈(11) 상에서 회전되는 걸림돌기(22)에 의해 상기 개폐헤드(10)를 승강시켜 배수구(112)를 개폐하면서 착탈 가능한 한 쌍의 탄지편(24)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승강부재(20)와; 상기 개폐헤드(10)의 밑면에 상기 체결공(14)을 통하여 볼트 또는 스크류 등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지지 로드(30); 및 상기 지지 로드(30)의 하부에 통상적인 클립 또는 핀 등과 같은 고정구(42)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개폐헤드의 개방에 따른 배수되는 물에 포함된 머리카락이나 이물질 등을 걸러주는 스트레이너(40);을 포함한다.
승강부재(20)는 중앙에 관통된 통공(20a)이 형성되는 원판(20A)과, 상기 원판(20A)의 양측에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상기 탄지편(24), 및 상기 탄지편(24)에 구비되는 걸림돌기(22)는 일체 또는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걸림돌기(22)는 탄지편(24)을 형성시 가압에 의해 탄지편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탄지편에 관통된 결합공을 형성한 후 공지된 리벳 등을 압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는 착탈홈으로부터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반구(半球)나 또는 구(球)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은 배수관에 형성된 착탈홈에서 회전되는 승강부재의 탄지편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사용자가 개폐헤드의 파지돌기를 잡고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배수구를 개폐시킴에 따라 세면대의 물을 배수시키거나 모여지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탄지편의 걸림돌기가 착탈홈의 하사점에 위치하였을 때에는 개폐헤드는 하강하여 배수구를 폐쇄시켜 물이 배수되지 않고 세면대로 수용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개폐헤드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잡고 회전에 의해 배수구를 폐쇄시킴에 따라 우수한 기밀성을 가질 수 있다.
반면에, 회전에 의해 상기 탄지편의 걸림돌기가 착탈홈의 상사점에 위치하였을 때에는 개폐헤드는 상승하면서 배수구를 개방시킴으로써, 세면대의 수용되었던 물이 배수되게 된다.
이렇게, 개폐헤드가 개방되어 배수되는 과정에서 물에 포함된 머리카락이나 각종 이물질 등은 상기 개폐헤드의 밑면에 체결 고정된 지지 로드에 결합된 스트레이너로 점점 포집된다.
상기와 같이 스트레이너로 머리카락을 비롯하여 각종 이물질이 포집하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개폐헤드를 회전시켜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착탈홈으로 탄지편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탄지편의 탄성력 보다 큰 힘으로 더 회전시키거나 상부로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탄지편은 내측으로 수축되면서 개폐헤드를 포함하여 지지로드에 체결된 스트레이너가 한 번에 인출되어 진다.
그에 따라 지지 로드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 스트레이너를 분리시켜 그에 포집된 머리카락을 비롯하여 각종 이물질을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가진다.
이는 종래 상기 배수관으로 각종 막대나 꼬챙이 등을 넣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에 비하여 단시간 내에 간단하고 편리하게 분리시켜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더욱더 깨끗하게 제거함으로써, 위생적이면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한편, 머리카락과 각종 이물질을 제한 후에는 다시 분리하는 역순으로, 즉 스트레이너를 지지 로드에 삽입하여 고정구로 고정한 후 배수관의 배수구로 삽입시킴으로써, 승강부재의 탄지편이 내측으로 수축됨과 동시에 착탈홈으로 걸림돌기가 위치할 경우 팽창되면서 자연스럽게 걸려지게 된다. 이로써, 분리 후 고정작업도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편리성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면대에 구비되는 배수관 상에서 분리 또는 결합이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단시간 내에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배수관의 배수구를 통하여 물을 배수하는 과정에서 쌓이는 머리카락을 비롯하여 각종 이물질의 제거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그로 인해 배수관 또한 항시 깨끗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종래 배수관 상에서 악취가 유입되지 않도록 여러 구성품으로 조립되는 영문 알파벳의 유(U)자 형태인 통상의 배수트랩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연결관(120)의 하부에는 배수라인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트랩(50)이 체결 고정되되, 상기 배수트랩(50)은 상부에 배수성을 가지는 통상의 망 형태인 걸름캡(52)과 함께 상기 연결관(120)의 하부에 공지된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상부캡(53)과,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관(120)의 밑단 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격벽(54)에 의한 물이 고여있을 수 있는 챔버(55)와 상기 챔버(55)로부터 무너미 방식에 의해 배수가 이루어지는 배수로(56)가 형성되는 본체(58), 및 상기 본체(58)의 하부에 배수라인과 통상적인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연결하기 위한 하부캡(59)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의 밑단을 챔버의 내부로 위치한다.
또한, 상기 본체(58)에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점검부(58A)를 더 포함한다.
점검구(58A)는 본체에 형성되는 체결관(58a)과, 상기 체결관(58)에 공지된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투명창(58b)이 형성된 점검캡(58c)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전술한 본 발명의 개폐장치에 의해 배수되는 물은 다시 한번 걸름캡에 의해 일부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챔버를 거친 후 배출로를 통하여 배수라인으로 배수된다.
아울러, 배수라인을 통하여 유입되는 악취는 챔버에 고여 있는 물로 인하여 세면기의 배수구를 통하여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로 인해 세면대가 설치된 화장실이나 욕실 등지에서도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트랩은 연결관과 공지된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체결 고정 및 분리될 수 있는 관계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 누구나가 간단하고 편리하게 설치와 분리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1 : 개폐장치
10 : 개폐헤드 11 : 착탈홈
12 : 파지돌기 14 : 체결공
20 : 승강부재 20A : 원판
20a : 통공 21 : 패킹
22 : 걸림돌기 24 : 탄지편
30 : 지지 로드 40 : 스트레이너
42 : 고정구 50 : 배수트랩
52 : 걸름캡 53 : 상부캡
54 : 격벽 55 : 챔버
56 : 배수로 58 : 본체
58A : 점검구 58a : 체결관
58b : 투명창 58c : 점검캡
59 : 하부캡
100 : 세면대
110 : 배수관 112 : 배수구
120 : 연결관

Claims (4)

  1. 하부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세면대에 결합 고정되는 배수관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개폐장치는 배수관의 양측에 형성된 유입공간 사이의 대응되는 면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력에 의해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각각의 착탈홈;
    상면에 파지 돌기가 형성되며 중앙으로 체결공이 형성되는 개폐헤드;
    상기 개폐헤드의 밑면에 패킹과 함께 상기 착탈홈 상에서 회전되는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개폐헤드를 승강시켜 배수구를 개폐하면서 착탈 가능한 한 쌍의 탄지편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승강부재;
    상기 개폐헤드의 밑면에 상기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지지 로드; 및
    상기 지지 로드의 하부에 고정구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트레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중앙에 관통된 통공이 형성되는 원판, 상기 원판의 양측에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상기 탄지편, 및 상기 탄지편에 구비되는 걸림돌기는 일체 또는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하부에는 배수라인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트랩이 체결 고정되되, 상기 배수트랩은 상부에 배수성을 가지는 걸름캡과 함께 상기 연결관의 하부에 체결되는 상부캡,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관의 밑단 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격벽에 의한 챔버와 배수로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수라인과 연결하기 위한 하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점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1020150069998A 2015-05-19 2015-05-19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101728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998A KR101728223B1 (ko) 2015-05-19 2015-05-19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998A KR101728223B1 (ko) 2015-05-19 2015-05-19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159A true KR20160136159A (ko) 2016-11-29
KR101728223B1 KR101728223B1 (ko) 2017-04-18

Family

ID=5770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998A KR101728223B1 (ko) 2015-05-19 2015-05-19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2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576A (ko) * 2018-04-24 2019-11-01 서광복 배수량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용 회전식 개폐장치
CN111576564A (zh) * 2020-06-03 2020-08-25 福州台江筑途科技有限公司 一种防线状物堵塞的建筑排水装置
KR102621413B1 (ko) * 2023-04-05 2024-01-09 이형칠 세면대용 올인원 팝업
WO2024104187A1 (zh) * 2022-11-16 2024-05-23 宁波搏盛阀门管件有限公司 一种承水装置及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77Y1 (ko) * 2012-12-03 2014-03-27 최미숙 세면대 배수구용 원터치 개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576A (ko) * 2018-04-24 2019-11-01 서광복 배수량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용 회전식 개폐장치
CN111576564A (zh) * 2020-06-03 2020-08-25 福州台江筑途科技有限公司 一种防线状物堵塞的建筑排水装置
WO2024104187A1 (zh) * 2022-11-16 2024-05-23 宁波搏盛阀门管件有限公司 一种承水装置及组件
KR102621413B1 (ko) * 2023-04-05 2024-01-09 이형칠 세면대용 올인원 팝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223B1 (ko)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550B1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RU2615490C2 (ru) Сливной фильтр
KR101728223B1 (ko)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20080001524U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US11773574B2 (en) Drain strainer
US6153095A (en) Drainpipe filter kit
KR101251960B1 (ko) 누름식 개폐구조용 배수트랩
KR200368837Y1 (ko) 착탈식 걸름망이 구비된 세면기용 배수전
KR20120098273A (ko)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JP3166721U (ja) 排水回路用脱臭装置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200426500Y1 (ko)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KR20110001706U (ko) 세면기의 회전 분리형 팝업밸브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2045116B1 (ko) 노출형 세면기 배수트랩
KR100873854B1 (ko) 배수용 개폐장치
KR20110007997U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80016983A (ko) 싱크대 걸름 장치
KR200262247Y1 (ko) 씽크대용 배수구
KR200400063Y1 (ko) 세면기용 배수밸브
CN213572212U (zh) 一种可快速拆卸清洗的防臭排水器
KR101312665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192977Y1 (ko) 세면대용 배수마개
KR100642591B1 (ko) 별도의 분리형 배수트랩을 구비한 싱크대용 배수전
KR101274967B1 (ko) 배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