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836Y1 -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836Y1
KR200336836Y1 KR20-2003-0030309U KR20030030309U KR200336836Y1 KR 200336836 Y1 KR200336836 Y1 KR 200336836Y1 KR 20030030309 U KR20030030309 U KR 20030030309U KR 200336836 Y1 KR200336836 Y1 KR 200336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connector
support
drain trap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중
Original Assignee
권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중 filed Critical 권혁중
Priority to KR20-2003-0030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8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8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에 비해 직경이 크고 높이가 높은 배수트랩을 적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단위시간당 배수량을 증대시켜 빠른 배수를 이룰 수 있게 하고, 봉수깊이를 깊게 하여 악취의 역류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하며, 배수트랩의 설치높이를 바닥면 높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한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배수관과 배수트랩을 직각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구의 배수트랩 연결부위의 직경을 배수관 연결부위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하면서 연결구의 절곡부위를 직각으로 형성한 것이므로 배수관의 직경에 비례하여 시공되는 일반적인 배수트랩의 직경과 높이에 비해 큰 직경과 깊은 깊이를 갖는 배수트랩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연결구에 슬라이딩 가능한 뚜껑과 배수트랩을 구비하여 배수관으로부터 바닥면까지의 높이에 맞게 연결구로부터 뚜껑을 빼내어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보조부재없이도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Water sealing type drain trap increasable it's draining quantity}
본 고안은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수를 배출함과 동시에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을 배수관과 연결함에 있어 배수관경이 작은 경우에도 구경이 크고 깊이가 깊은 봉수형 배수트랩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른 배수와 함께 완벽한 악취차단의 효과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욕실, 화장실, 베란다, 세면대, 욕조 등과 같이 물이 사용되는 장소의 바닥과 설비들에는 폐수를 배수관으로 배출함과 아울러 배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트랩이 설치되는데, 바닥에 위치된 배수구를 통해 배수하는 장소에서는 배수관이 매설되어 있는 바닥면의 높이를 감안하여 대부분 봉수형 배수트랩(이하, 배수트랩이라 통칭함)을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건축물의 바닥면은 높이가 매우 낮아 배수관을 매설할 때 그 직경이 제한되며, 특히 일반적인 가정용 건물의 경우 사무실용 건물보다 바닥면의 높이가 더욱 낮아 직경 50㎜정도의 배수관을 매설하여 사용함이 보통이다.
한편, 배수관과 배수트랩은 물흐름 방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므로 배수관과 배수트랩을 연결할 때에는 이들을 직각방향으로 연결해주는 엘보우라 불리우는 연결구가 끼워지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구 역시 직경이 작은 배수관의 사이즈에 맞는 것을 사용할 수밖에 없고, 또 연결구의 절곡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배수트랩이 끼워지는 높이가 제한되어 배수트랩 역시 직경이 작고 높이가 낮은 작은 사이즈의 것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배수트랩을 통한 단위시간당 배수량이 적어져 폐수의 배수시간이 지연됨은 물론 그에 해당하는 만큼 폐수로부터 악취가 발생될 수밖에 없으며, 배수트랩의 봉수깊이가 낮아지게 되어 조금만 증발이 발생하여도 봉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배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역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바닥면은 장소에 따라 그 높이가 다르므로 연결구는 가장 높이가 낮은 바닥면을 기준으로 설계되며, 일반적으로는 이러한 연결구의 배수트랩 삽입위치에 보조관을 끼운 상태에서 배수트랩의 설치시에 바닥면 높이를 감안한 길이로 잘라내어 시공하고 있으므로 시공이 매우 불편하고, 쓰레기가 다량 배출되며, 불필요한 부재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배수관 연결부위보다 배수트랩 연결부위의 직경이 크고 절곡부위가 직각을 이루게 형성된 연결구를 사용하여 배수관에 비해 직경이 크고 높이가 높은 배수트랩을 적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단위시간당 배수량을 증대시켜 빠른 배수를 이룰 수 있게 하고, 봉수깊이를 깊게 하여 오랜시간 방치하여 약간의 증발이 발생하여도 확실한 봉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악취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는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견지로는, 배수트랩의 설치높이를 바닥면 높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불필요한 부재의 사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봉수형 배수트랩의 연결구 사시도.
도 2는 도 1을 적용한 배수트랩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봉수형 배수트랩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봉수형 배수트랩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봉수형 배수트랩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봉수형 배수트랩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3실시예에 적용되는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바닥면 2 : 배수관 3 : 배수트랩
4,203,203' : 그릴 100 : 연결구 101 : 배수트랩 연결부위
102 : 배수관 연결부위 103 : 절곡부위 104 : 컵
105 : 칸막이 200,200' : 뚜껑 201 : 외부 지지구
201' : 지지구 202 : 내부 지지구 300,300' : 슬라이딩부재
301,301' : 지지다리 302,302',204 : 돌기 303' : 원통
304' : 플렌지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봉수형 배수트랩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건축물 바닥면(1)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매설된 배수관(2)에 배수트랩(3)을 연결구(100)를 통해 연결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연결구(100)는 상부와 측부로 통하도록 "L"자 형상으로 구성하되, 배수트랩 연결부위(101)의 직경이 배수관 연결부위(102)의 직경보다는 크고 그 절곡부위(103)가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이며, 여기에는 일반적인 봉수형 배수트랩이 적용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4는 배수트랩(3)에 얹혀지는 그릴을 나타낸다.
이러한 연결구(100)는 그 직경에 있어 배수관 연결부위(102)측보다 배수트랩 연결부위(101)측이 훨씬 크게 구성되어 있고 또 연결구(100)의 절곡부위(103)가 직각을 이루므로 배수트랩(3)을 삽입할 수 있는 직경과 높이가 크게 증대되어 배수관(2)에 비례하여 적용되던 배수트랩에 비해 직경이 크고 봉수길이가 긴 배수트랩(3)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직경이 크고 봉수길이가 긴 배수트랩(3)을 적용하게 되면 동일한 배수관(2) 사이즈를 갖는 다른 장소에서보다 단위시간당 배수량이 증대되어 빠른 배수를 유도할 수 있고, 봉수부위에서 약간의 증발이 발생되어도 봉수상태를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어 악취의 역류를 충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제시된 것과 동일한 형상으로 연결구(100)를 형성하며, 이 연결구(100)의 바닥부에는 소정높이의 컵(104)을 상방향으로 개방되게 일체로 구성하고, 하부에 연결구(100)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외부 지지구(201)와 컵(104)의 내경보다는 작은 내경을 갖는 내부 지지구(202)를 각각 가지며 내부 지지구(202)의 안쪽이 상부로 개방되어 있는 뚜껑(200)을 마련하여 외부 지지구(201)를 연결구(10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하되, 컵(104)의 중심과 내부 지지구(202)의 중심이 수직상으로 동일하게 위치되게 하고, 내부 지지구(202)의 안쪽에는 하부에 다수의 지지다리(301)를 가지며 그 외경이 내부 지지구(202)의 내경과 동일한 원통형의 슬라이딩부재(300)를 승하강 가능하게 끼워 지지다리(301)의 하단부가 컵(104)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슬라이딩부재(300)의 상부 테두리에는 머리카락을 걸러낼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302)를 상방향으로 등간격 돌출 형성하고, 뚜껑(200)의 내부 지지구(202) 위쪽 개방된 부위 주위에는 슬라이딩부재(300)의 돌기(302)와 마찬가지로 머리카락을 걸러낼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204)를 상방향으로 등간격 돌출 형성하며, 각 지지구(201)(202)는 뚜껑(200)의 일측에 편심위치되게 구성하고, 이와 함께 내부 지지구(202)는 외부 지지구(201)와의 사이가 배수위치 반대측에서 더 좁아지도록 편심 위치되게 구성하며, 컵(104)은 연결구(100) 몸체와의 사이가 배수위치 반대측에서 더 좁아지도록 편심위치되게 구성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203은 뚜껑(200)에 얹혀지는 그릴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면, 바닥면(1)의 높이에 따라 뚜껑(200)과 슬라이딩부재(300)의 상하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배수관(2)으로부터 바닥면(1)까지의 높이가 연결구(100)의 높이보다 높아지면 뚜껑(200)을 연결구(100)로부터 빼내어 바닥면(2)과 수평이 되게 맞출 수 있으며, 뚜껑(200)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300)는 그 지지다리(301)의 하단부가 컵(104)의 바닥면에 접할 때까지 아래로 밀어주면 되는 것이다. 물론, 뚜껑(200)을 연결구(100)로부터 어느 정도의 높이까지 빼내더라도 뚜껑(200)의 외부 지지구(201) 길이범위내에서는 뚜껑(200)이 연결구(10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슬라이딩부재(300) 역시 뚜껑(200)으로부터 밀어내리더라도 내부 지지구(202) 길이범위내에서는 뚜껑(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배수트랩은 필요한 어떠한 장소이건 상관없이, 또 높이를 맞추기 위한 별도의 보조부재없이도 간단한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부재(300)의 상부 내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302)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폐수중에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이를 걸러내어 배수관(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각 지지구(201)(202)가 뚜껑(200)의 일측에 편심위치되어 있으므로 배수트랩의 설치 장소특성에 맞게 뚜껑의 위치를 변경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내부 지지구(202)는 외부 지지구(201)와의 사이가 배수위치 반대측에서 더 좁아지도록 편심 위치되어 있고 컵(104)은 연결구(100) 몸체와의 사이가 배수위치 반대측에서 더 좁아지도록 편심위치되어 있으므로 폐수의 배수시 전혀 막힘없이 원활한 배수가 가능해지는것이다.
한편, 도 7과 같이 연결구(100) 하면 배수측에 상단부보다는 낮은 높이로 칸막이(105)를 설치하게 되면 칸막이(105)를 통해 형성된 배수위치 반대측 공간이 컵(104)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할 경우에는 연결구(100) 제조시의 금형설계가 간단해지고 용융수지의 소요량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로서, 도 1에 제시된 것과 동일한 형상으로 연결구(100)를 구성하며, 이 연결구(100)의 바닥부에는 소정높이의 컵(104)을 상방향으로 개방되게 일체로 구성하고, 하부에 연결구(100)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형의 지지구(201')를 가지며 지지구(201')의 안쪽이 상부로 개방되어 있는 뚜껑(200')을 마련하여 지지구(201')를 연결구(10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하며, 지지구(201')의 안쪽에는 컵(104)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303')의 상부에 외경이 지지구(201')의 내경과 동일한 플렌지(304')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다수의 지지다리(301')를 갖는 슬라이딩부재(300')를 승하강 가능하게 컵(104)의 중심과 원통(303')의 중심이 수직상으로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끼워 지지다리(301')의 하단부가 컵(104)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에도 슬라이딩부재(300')의 원통 상부에는 머리카락을 걸러낼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302')를 상방향으로 등간격 돌출 형성하고, 지지구(201')는 뚜껑(200')의 일측에 편심위치되게 하며, 슬라이딩부재(300')의 원통(303')은 플렌지(304')의 테두리와의 사이가 배수위치 반대측에서 더 좁아지도록 편심 위치되게 하고, 컵(104)은 연결구(100) 몸체와의 사이가 배수위치 반대측에서 더 좁아지도록 편심위치되도록 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203'는 뚜껑(200')에 얹혀지는 그릴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의 제 2실시예와 대부분의 작용에 있어 동일하며, 다만 각 부재의 형상이 단순해져 금형작업이 용이하고, 슬라이딩부재(300')를 뚜껑(200')으로부터 빼냈을 경우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청소가 용이한 이점이 있게 된다.
이런 경우에도 도 7과 같이 연결구(100)의 하면 배수측에 상단부보다는 낮은 높이로 칸막이(105)를 설치하여 칸막이(105)를 통해 형성된 배수위치 반대측 공간이 컵(104)의 기능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배수관과 배수트랩을 직각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구의 형상이 배수관측 직경보다 배수트랩측 직경이 더 크고 그 절곡부위가 직각으로 구성되어 있어 보다 직경이 크고 깊이가 깊은 배수트랩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빠른 배수 및 완벽한 악취 차단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구와 세트로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배수트랩을 구성하게 되면 별도의 보조부재없이도 다양한 장소에 공히 적용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건축물 바닥면(1)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매설된 배수관(2)에 봉수형 배수트랩(3)을 연결구(100)를 통해 연결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0)는 상부와 측부로 통하도록 "L"자 형상으로 구성하되, 배수트랩 연결부위(101)의 직경이 배수관 연결부위(102)의 직경보다는 크고 그 절곡부위(103)가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
  2. 건축물 바닥면(1)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매설된 배수관(2)에 봉수형 배수트랩(3)을 연결구(100)를 통해 연결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0)는 상부와 측부로 통하도록 "L"자 형상으로 구성하되, 배수트랩 연결부위(101)의 직경이 배수관 연결부위(102)의 직경보다는 크고 그 절곡부위(103)가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하며;
    상기 연결구(100)의 바닥부에는 소정높이의 컵(104)을 상방향으로 개방되게 일체로 구성하고, 하부에 상기 연결구(100)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외부 지지구(201)와 상기 컵(104)의 내경보다는 작은 내경을 갖는 내부 지지구(202)를 각각 가지며 상기 내부 지지구(202)의 안쪽이 상부로 개방되어 있는 뚜껑(200)을 마련하여 상기 외부 지지구(201)를 상기 연결구(10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하되, 상기 컵(104)의 중심과 상기 내부 지지구(202)의 중심이 수직상으로 동일하게 위치되게 하고, 상기 내부 지지구(202)의 안쪽에는 하부에 다수의지지다리(301)를 가지며 그 외경이 상기 내부 지지구(202)의 내경과 동일한 원통형의 슬라이딩부재(300)를 승하강 가능하게 끼워 상기 지지다리(301)의 하단부가 상기 컵(104)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봉수형 배수트랩(3)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300)의 상부 테두리에는 머리카락을 걸러낼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302)를 등간격 돌출 형성하고, 상기 뚜껑(200)의 내부지지구(202) 위쪽 개방된 부위 주위에는 머리카락을 걸러낼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204)를 등간격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배수트랩.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구(201)(202)는 상기 뚜껑(200)의 일측에 편심위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지지구(202)는 상기 외부 지지구(201)와의 사이가 배수위치 반대측에서 더 좁아지도록 편심 위치되게 하며,
    상기 컵(104)은 상기 연결구(100) 몸체와의 사이가 배수위치 반대측에서 더좁아지도록 편심위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
  6. 건축물 바닥면(1)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매설된 배수관(2)에 봉수형 배수트랩(3)을 연결구(100)를 통해 연결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0)는 상부와 측부로 통하도록 "L"자 형상으로 구성하되, 배수트랩 연결부위(101)의 직경이 배수관 연결부위(102)의 직경보다는 크고 그 절곡부위(103)가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하며;
    상기 연결구(100)의 바닥부에는 소정높이의 컵(104)을 상방향으로 개방되게 일체로 구성하고, 하부에 상기 연결구(100)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형의 지지구(201')를 가지며 상기 지지구(201')의 안쪽이 상부로 개방되어 있는 뚜껑(200')을 마련하여 상기 지지구(201')를 상기 연결구(10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하며, 상기 지지구(201')의 안쪽에는 상기 컵(104)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303')의 상부에 외경이 상기 지지구(201')의 내경과 동일한 플렌지(304')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다수의 지지다리(301')를 갖는 슬라이딩부재(300')를 승하강 가능하게 상기 컵(104)의 중심과 상기 원통(303')의 중심이 수직상으로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끼워 상기 지지다리(301')의 하단부가 상기 컵(104)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봉수형 배수트랩(3)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300')의 원통(303') 상부에는 머리카락을 걸러낼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302')를 상방향으로 등간격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201')는 상기 뚜껑(200')의 일측에 편심위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
  9.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300')의 원통(303')은 상기 플렌지(304')의 테두리와의 사이가 배수위치 반대측에서 더 좁아지도록 편심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컵(104)은 상기 연결구(100) 몸체와의 사이가 배수위치 반대측에서 더 좁아지도록 편심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
  10.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0)의 하면 배수측에는 상단부보다는 낮은 높이로 칸막이(105)를 설치하여 상기 칸막이(105)를 통해 형성된 배수위치 반대측 공간이 상기 컵(104)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
KR20-2003-0030309U 2003-09-25 2003-09-25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 KR200336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309U KR200336836Y1 (ko) 2003-09-25 2003-09-25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309U KR200336836Y1 (ko) 2003-09-25 2003-09-25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836Y1 true KR200336836Y1 (ko) 2003-12-24

Family

ID=4942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309U KR200336836Y1 (ko) 2003-09-25 2003-09-25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8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91893C (en) Hair straining device
US20140259344A1 (en) Adjustable Fixture Screen System
KR100954013B1 (ko) 배수트랩
KR100361326B1 (ko)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200265950Y1 (ko) 악취방지용 배수구
KR20080081572A (ko)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KR200336836Y1 (ko) 배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봉수형 배수트랩
KR20030012778A (ko) 배수트랩
KR200444012Y1 (ko) 배수트랩
JP3569842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を用いた浴室構造
JP3460056B2 (ja) 排水トラップ
KR101424746B1 (ko) 악취방지 무수소변기
KR200220668Y1 (ko) 배수트랩 슬리브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KR101263603B1 (ko) 사출 배수 트랜치의 하수관 연결장치
KR20090129111A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0181388Y1 (ko) 배수트랩
JP2007303193A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の封水高さ調整部材
KR101304762B1 (ko) 볼을 이용한 악취 차단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장치
KR200191219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0395729Y1 (ko) 악취방지용 배수유가
KR100809283B1 (ko) 배수구체
KR200200789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0360041Y1 (ko) 편심 조절 가능한 배수 트렌치용 배수장치
KR20080015284A (ko) 하수용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