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5284A - 하수용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용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5284A
KR20080015284A KR1020060076799A KR20060076799A KR20080015284A KR 20080015284 A KR20080015284 A KR 20080015284A KR 1020060076799 A KR1020060076799 A KR 1020060076799A KR 20060076799 A KR20060076799 A KR 20060076799A KR 20080015284 A KR20080015284 A KR 20080015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reservoir
tub
draina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훈
Original Assignee
이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훈 filed Critical 이대훈
Priority to KR1020060076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5284A/ko
Publication of KR20080015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0) 내측으로 배수트랩(30)과 배수안내관(50)을 결합하고 배수안내관(50)의 상단면에 걸름판(70)을 얹어서 구성함에 있어, 배수트랩(30)의 저수조(32)는 깊이가 얕은 호형으로 형성하고, 배수안내관(50)의 배수구(52) 하단부와 배수트랩(30)의 저수조(32) 상단부가 일정 길이로 겹치게 구성하되 겹침 부분이 최대한 짧도록 하여, 악취가 방지되면서 항상 배수가 잘 되도록 한 것이다.
배수장치, 배수트랩

Description

하수용 배수장치{DRAIN TRAP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분해한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결합한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호형의 저수조의 실시 예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배수트랩의 저수조 상단부와 배수안내관의 배수구 하단부가 겹치는 상태를 도시한 절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배수장치 (10)--본체
(30)--배수트랩 (50)--배수안내관
(12)--테두리부 (14)--걸림턱
(16)--고정홈 (32)--저수조
(34)--걸림돌기 (36)(36')--삽입홈
(38)--보조걸림턱 (52)--배수구
(56)(56')--삽입돌부 (58)--보조걸림돌기
(70)--걸름판 (h)--여과구멍
(s)--배수공간 (P)--하수관
본 발명은 배수트랩의 저수조가 깊이가 얕은 호형으로 형성된 하수용 배수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하수용 배수장치는 욕실, 베란다 등 주로 건물 내부의 하수구와 연결된 바닥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배수장치의 내측 하부에는 저수조를 형성하여서 배수된 물이 저수조를 거친 후에 하수도로 흘러가게 하고 항상 고여 있는 저수조의 물에 의하여 하수도의 악취가 가로막혀서 실내로 올라오지 않게 하는 것이다.
실용신안공개 제90-17158호 하수구 악취 역상 방지기는 본체에 내부용기를 설치하고 내부용기에는 저수조(저수용기)를 설치 구성함에 있어, 저수조는 윗면이 없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용기의 하단부는 저수조에 비교적 깊숙하게 위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저수조의 저면과 측면이 직각에 가깝게 형성되면 배수압에도 불구하고 특히 모래와 같이 입자의 무게가 무거운 쓰레기들이 저수조의 측벽을 넘지 못하고 계속 쌓임으로써, 배수공간이 좁아져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고 결국에는 거의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때 내부용기의 배수구 하단부가 저수조에 너무 깊게 위치하여 저수조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공간이 좁게 되는 것에 의하여서도 더욱 배수가 원활히 되지 않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모래 등의 쓰레기가 배수압에 의하여 쉽게 밀려나가도록 구성함으로써 막힘 현상 없이 배수가 항상 잘 되도록 하는 하수용 배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수트랩(30)의 저수조(32)는 깊이가 얕은 호형으로 형성하고, 배수안내관(50)의 배수구(52) 하단부와 배수트랩(30)의 저수조(32) 상단부가 일정 길이로 겹치게 구성하되 겹침 부분이 가능한 한 짧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하수용 배수장치(1)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배수트랩(30)과 배수안내관(50)이 결합 구성되는 본체(10)와, 여과구멍(h)들이 형성되는 걸름판(70)으로 구성된다.
배수장치(A)의 본체(10)는 배수트랩(30)과 배수안내관(50) 및 걸름판(70)의 결합의 중심축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2, 도 3에서와 같이 원통형 몸체의 내측면이 2단으로 구성되고 상측의 테두리부(12)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고정홈(10)이 형성된 구성이다.
배수트랩(30)은 본체(10)에 결합되어 배수장치의 하부를 결합하는 구성으로써, 몸체가 원통형이고 측단면이 호형(弧形)이며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인 저수 조(32)가 몸체를 가로지르면서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다. 저수조(32)는 단면이 호형이면서 가능한 한 깊이가 얕도록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그 내측 각도가 110~130°가 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120°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좋다. 저수조(32)의 깊이를 가능한 한 얕게 형성하여야 도 7에서처럼 모래 등 입자의 무게가 무거운 쓰레기들이 배수 시의 압력에 의해 하수와 함께 하수관(P)으로 쉽게 밀려나간다.
배수안내관(50)은 대체로 깔때기 형태의 몸체 아래에 직사각형의 배수구(52)가 일체로 돌출한 구성이다.
배수트랩(30)과 배수안내관(50)을 결합하였을 때 배수안내관(50)의 배수구(52) 하단부와 배수트랩(30)의 저수조(32) 상단부는 겹치도록 한다. 배수안내관(50)의 배수구(52) 하단부와 배수트랩(30)의 저수조(32) 상단부가 겹치는 것에 의하여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배수구(52) 하단과 저수조(32)의 상단이 겹치는 부분의 길이는 가능한 한 짧게 한다. 겹치는 부분의 길이가 짧을수록 저수조(32)와 배수구(52)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공간(s)이 넓어지기 때문에 배수가 더 잘되며, 이러한 구성은 저수조(32)의 단면이 호형이고 깊이가 얕은 구성으로 됨과 함께 모래나 흙 등의 쓰레기들이 쉽게 배출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배수구 하단과 저수조의 상단이 겹치는 부분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3㎜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저수조(32)에 항상 물이 차 있고 배수구(52)의 하단이 저수조(32) 의 물에 잠겨 있어 하수구의 악취가 방지되는 것은 종래와 같으나, 저수조(32)가 단면 호형으로 비교적 얕게 형성되고 배수구(52)의 하단이 저수조(32)의 상단과 겹치는 길이가 짧게 구성되어 배수공간(s)이 비교적 넓게 형성되므로, 모래나 흙 등 입자가 무거운 쓰레기들도 배수압에 밀려 쉽게 배출되고 저수조(32) 내에 쌓이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저수조에 입자의 무게가 무거운 쓰레기들이 쌓여 배수가 잘되지 않고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항상 배수가 잘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본체(10)와, 배수트랩(30)과, 배수안내관(50)과, 걸름판(70)으로 구성되는 배수장치(A)에 있어서,
    배수트랩(30)의 저수조(32)는 깊이가 얕은 단면 호형으로 형성하고, 배수안내관(50)의 배수구(52) 하단부를 배수트랩(30)의 저수조(32) 상단부와 겹치게 구성하되 겹치는 부분의 길이가 짧도록 구성하는 하수용 배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저수조(32)는 그 내측 각도를 110~130°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용 배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배수구(52) 하단부와 저수조(32) 상단부가 겹치는 길이를 1~3㎜가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용 배수장치.
KR1020060076799A 2006-08-14 2006-08-14 하수용 배수장치 KR20080015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799A KR20080015284A (ko) 2006-08-14 2006-08-14 하수용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799A KR20080015284A (ko) 2006-08-14 2006-08-14 하수용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284A true KR20080015284A (ko) 2008-02-19

Family

ID=39383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799A KR20080015284A (ko) 2006-08-14 2006-08-14 하수용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52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888Y1 (ko) 2022-04-07 2022-09-14 박종은 천장형 샤워부스
KR20230117024A (ko) 2022-01-29 2023-08-07 박무정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7024A (ko) 2022-01-29 2023-08-07 박무정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KR200495888Y1 (ko) 2022-04-07 2022-09-14 박종은 천장형 샤워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6707A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0983466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20160081728A (ko) 배수트랩
KR20080015284A (ko) 하수용 배수장치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101710061B1 (ko) 기름 및 음식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101729274B1 (ko) 착탈형 트랩부재를 구비하는 오수받이
KR200437874Y1 (ko) 배수점검구
KR100552492B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100739365B1 (ko) 배수트랩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101690457B1 (ko) 배수 트랩
KR100905412B1 (ko) 소켓용 악취차단장치
KR101114822B1 (ko) 오수받이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200395072Y1 (ko) 배수트랩
KR20200133672A (ko) 우수 및 오폐수 받이장치
KR100836849B1 (ko) 착탈식 개폐기를 구비한 하수역류방지장치
KR100473604B1 (ko) 오수 및 하수용 합성수지맨홀
KR101607430B1 (ko) 트랜치가 구비된 배수트랩
KR200249102Y1 (ko) 냄새차단용 오수받이
KR200336813Y1 (ko) 배수조의 하수유입구에 결합되는 악취차단구
KR101032155B1 (ko) 하수용 맨홀
KR100737270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222

Effective date: 2009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