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043Y1 -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043Y1
KR200497043Y1 KR2020220002826U KR20220002826U KR200497043Y1 KR 200497043 Y1 KR200497043 Y1 KR 200497043Y1 KR 2020220002826 U KR2020220002826 U KR 2020220002826U KR 20220002826 U KR20220002826 U KR 20220002826U KR 200497043 Y1 KR200497043 Y1 KR 200497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ture
clasp
latch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락준
Original Assignee
손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락준 filed Critical 손락준
Priority to KR2020220002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0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0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34Bottom br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2015/001Frames adapted to be easily dismant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수단용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판의 테두리를 따라 걸쇠홈을 이격형성하고, 고정판에 축회전 결합되는 지지체의 지지단부에는 레버조작으로 걸쇠장공에 유도되어 걸쇠홈에 삽입탈착 동작하는 걸쇠를 구비하여, 걸쇠홈과 걸쇠의 삽입탈착을 통해 지지체의 폴딩작동을 수행하되, 걸쇠장공의 상측으로 지지단부에 회전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형 고정구의 누름단부가 걸쇠홈에 삽입결합된 걸쇠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지지체의 축고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레버조작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수단용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수단용 폴딩장치{Folding device for means of transportation}
본 고안은 이동수단용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판의 테두리를 따라 걸쇠홈을 이격형성하고, 고정판에 축회전 결합되는 지지체의 지지단부에는 레버조작으로 걸쇠장공에 유도되어 걸쇠홈에 삽입탈착 동작하는 걸쇠를 구비하여, 걸쇠홈과 걸쇠의 삽입탈착을 통해 지지체의 폴딩작동을 수행하되, 걸쇠장공의 상측으로 지지단부에 회전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형 고정구의 누름단부가 걸쇠홈에 삽입결합된 걸쇠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지지체의 축고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레버조작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수단용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 롤러보드, 자전거, 스쿠터 등의 이동수단에서 사용자가 탑승 또는 신체를 지지하는 본체에 대해 조향부인 지지체는 수직 또는 예각/둔각의 각도로 분기되어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본체에 대해 지지체가 분기되어 형성되는 이동수단의 경우, 보관 및 휴대의 용이함을 도모하고자 본체에 대해 지지체를 절첩할 수 있도록 하는 폴딩장치가 설치된다.
상기한 이동수단용 폴딩장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04403호(2000.09.15.등록; 절첩 가능한 킥보드), 등록실용신안 제20-0202860호(2000.08.31.등록; 스쿠터의 절첩장치), 등록실용신안 제20-0196567호(2000.07.06.등록; 스쿠터의 절첩구조) 및 공개특허 제10-2017-0142009호(2017.12.27.공개; 후륜 견인 타입 링크부재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등에서와 같이, 서로 상이한 구성을 갖는 다양한 구조의 이동수단용 폴딩장치가 이미 많이 소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04403호(2000.09.15.등록) 등록실용신안 제20-0202860호(2000.08.31.등록) 등록실용신안 제20-0196567호(2000.07.06.등록) 공개특허 제10-2017-0142009호(2017.12.27.공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선행기술들과 차별되는 구성을 소개하여 기술의 풍부성을 제공하는 한편, 제공되는 이동수단용 폴딩장치가 쉽게 간편하게 폴딩작동이 가능하나, 부주의나 안전사고 등과 같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경우에는 절대로 폴딩장치의 폴딩동작이 작동하지 않는, 안전수단이 구비된 이동수단용 폴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이동수단용 폴딩장치는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판의 테두리를 따라 걸쇠홈을 이격형성하고, 상기 고정판에 축회전 결합되는 지지체의 지지단부에는 레버조작으로 걸쇠장공에 유도되어 상기 걸쇠홈에 삽입탈착 동작하는 걸쇠를 구비하여, 상기 걸쇠홈과 상기 걸쇠의 삽입탈착을 통해 상기 지지체의 폴딩작동을 수행하되, 상기 걸쇠장공의 상측으로 상기 지지단부에 일단부인 회전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구의 타단부인 누름단부가 상기 걸쇠홈에 삽입결합된 상기 걸쇠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체의 축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구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고정구는 누름단부의 질량 또는 체적을 회전단부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하여, 누름단부에 의한 고정구의 회전모멘텀이 제약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구는 상기 지지단부와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접촉면의 반대면인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회전단부에서 누름단부를 향해 상기 접촉면과 가까워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누름단부에 의한 고정구의 회전모멘텀이 제약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지지단부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접촉면에 탄성돌출 동작하는 탄성볼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단부에는 상기 탄성볼이 탈착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볼홈을 구비하여, 상기 볼홈과 상기 탄성볼의 삽입결합에 의한 상기 고정구의 위치고정으로 상기 걸쇠홈에 삽입결합된 상기 걸쇠의 이동이 저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이동수단용 폴딩장치는, 레버조작을 통해 본체에 대해 지지체를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동작하는 걸쇠의 상측인 지지체의 지지단부 상에는, 본체의 고정판 테두리에 형성된 걸쇠홈에 삽입결합된 걸쇠의 삽입결합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동작하는 고정구가 구비되고, 이렇게 구비된 고정구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레버조작에 의해 걸쇠와 걸쇠홈의 삽입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동작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폴딩장치가 구비된 이동수단의 일부개략도.
도 2는 본 고안 폴딩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걸쇠가 고정구로 누름고정된 상태(A) 및 누름고정이 해제된 상태(B)를 나타내는 작동개념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도면에 의해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을 실시하는 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고안에서 본체(1)와 지지체(2)를 절첩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용 폴딩장치는, 본체(1)에 설치되는 고정판(10)의 걸쇠홈(11)에, 지지체(2)의 지지단부(20)에 구비되어 레버(30)의 조작으로 탄성스프링(50)에 의해 탄성동작하는 걸쇠(40)가 상기 걸쇠홈(11)에 삽입탈착을 통해 폴딩동작하는 구성으로, 걸쇠(40)와 걸쇠홈(11)의 삽입결합상태를 임의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6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킥보드의 경우, 상기 본체(1)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곳이다. 이 본체(1)의 일단부에 상기 고정판(10)이 설치되고, 이 고정판(10)에 상기 레버(30), 상기 걸쇠(40), 상기 탄성스프링(50) 및 상기 고정구(60)가 연결구성된 상기 지지체(2)의 지지단부(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앞바퀴를 폴딩동작시킨다. 본체(1)의 타단부에는 뒷바퀴가 설치되고, 본체(1)의 중간부에는 수납공간을 마련하여 배터리가 수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의 일단부에는 고정판(10)이 일체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판(10)은 부채꼴 형상의 판체로, 2개의 판체가 소정거리의 이격공간인 작동홀(H)을 형성하는 한 쌍의 대칭구조로 형성된다. 이렇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고정판(10) 사이의 작동홀(H) 상에 상기 지지체(2)의 지지단부(20)가 삽입결합되어 폴딩동작하게 된다.
상기 고정판(10)은 부채꼴형 판체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거리 이격하여 걸쇠홈(11)이 다수개 형성된다. 다수개로 형성되는 상기 걸쇠홈(11)은 킥보드의 주행방향을 전방으로 할 때, 가장 앞쪽에는 킥보드의 주행을 목적으로 상기 지지체(2)가 펼침상태로 고정되는 주행 걸쇠홈(11)이 형성되고, 가장 뒷쪽에는 킥보드의 부피감소를 목적으로 지지체(2)가 접힘상태가 유지되는 접힘 걸쇠홈(11)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쇠홈(11)은 주행 걸쇠홈(11)과 접힘 걸쇠홈(11)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주행 걸쇠홈(11)과 접힘 걸쇠홈(11)의 사이에 보조 걸쇠홈(1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쇠홈(11)은 상단이 개구된 개구부를 갖는 홈형태이며, 개구부를 이루는 양쪽의 개방단 중 어느 하나의 개방단은 상기 고정구(60)의 축회전을 저지하는 걸림단(11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걸림단(11a)은 모든 걸쇠홈(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 처럼 상기 주행 걸쇠홈(11)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쇠홈(11)의 하방으로는 판축공(12)이 판체의 중앙부에 관통형성되고, 주행방향인 판체의 전방단부에는 폴딩지지공(13)이 관통형성 될 수 있다. 이 폴딩지지공(13)에는 폴딩지지봉(14)이 삽입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쇠홈(11)에는 상기 걸쇠(40)를 이용해 상기 지지체(2)가 접힘상태 및 펼침상태가 유지되도록 결합된다. 도 3은 지지체(2)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지지체(2)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지지체(2)에 결합되는 앞바퀴가 노면에 지지지되고, 이에 따라 킥보드는 주행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판(10)은 판체의 전방단부에 폴딩지지공(13)이 관통형성되고, 이 폴딩지지공(13)에는 폴딩지지봉(14)이 삽입결합되어 주행을 위한 상기 지지체(2)의 폴딩전개시 지지체(2)의 전방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렇게 폴딩지지봉(14)이 지지체(2)의 전방면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면, 도 3(B)와 같이 앞바퀴의 전개시 사용자는 지지체(2)를 폴딩지지봉(14)에 지지시킨체로 상기 걸쇠(40)와 상기 걸쇠홈(11)의 결합을 수행할 수 있어 앞바퀴의 전개동작이 수월해 진다. 또한, 도 3(A)와 같이 킥보드의 주행시에도 지지체(2)가 폴딩지지봉(14)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노면 충격 등과 같은 외력에도 지지체(2)가 고정판(10)에 안정적으로 고정지지되게 된다.
도 2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판(10)의 사이인 작동홀(H) 상에는 상기 지지체(2)의 지지단부(20)가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단부(20)에는 레버(30), 걸쇠(40), 탄성스프링(50) 및 고정구(60)를 포함하는 구성이 결합설치된다.
상기 지지단부(20)에는 지지축공(21)이 단부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지지축공(21)과 상기 고정판(10)의 판축공(12)이 축봉(P)인 지지축봉(P1)으로 결합되는 것을 통해, 고정판(10)에 대해 지지단부(20)가 작동홀(H)에서 축회전 가능하게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축회전 동작에 있어서, 지지단부(20)에는 지지체(2)의 접힘상태 및 펼침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레버(30), 걸쇠(40), 탄성스프링(50) 및 고정구(60)가 결합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단부(20)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태의 관체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각형의 관체이다. 이 사각 관체는 킥보드의 주행방향에 대해 수직관계에 있는 양측면에 상기 지지축공(21)이 관통형성되고, 이 지지축공(21)의 상측에는 회전축공(22)과 걸쇠장공(23)이 관통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쇠장공(23)은 도 2 내지 도 3에서 처럼 상기 지지체(2)의 길이방향인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형태의 관통공이다. 그리고 상기 걸쇠장공(23)의 상측으로는 고정공(24)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사각 관체인 지지단부(20)는 킥보드의 주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방면과 후방면 중 어느 한 면에 레버장착공(25)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레버장착공(25)은 사용자가 지지체(2)의 폴딩을 위해 후술할 레버(30)를 동작시키기 위한 곳으로, 상기 본체(1)의 발판에 탑승한 사용자에 의한 레버(30) 동작의 편의를 고려하여 후방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30)는 상기 레버장착공(25)을 통해 상기 지지단부(20)에 결합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레버(30)는 사용자가 레버(30)를 작동할 수 있도록 지지단부(20)로부터 노출되는 레버손잡이(31)와, 상기 레버손잡이(31)의 반대쪽 단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지지단부(20)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걸쇠(40)를 작동시키는 작동결합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30)의 작동결합부(32)는 일단에 구비되는 레버축공(32a) 및 타단에 구비되는 걸쇠결합공(32b)이 각각 관통형성된다. 상기 레버축공(32a)은 상기 레버손잡이(3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지지단부(20)의 회전축공(22)에 축봉(P)인 레버축봉(P2)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레버(30)는 레버축공(32a)에 결합된 레버축봉(P2)을 축으로 지지단부(20)에 대해 축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결합부(32)의 일단에 구비된 레버축공(32a)을 통한 레버(30)의 축회전시, 작동결합부(32)의 타단에 구비된 상기 걸쇠결합공(32b)은 레버축공(32a)을 중심축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점을 고려하여 상기 지지단부(20)에 관통형성된 걸쇠장공(23)은 걸쇠결합공(32b)의 회전운동에 대응하여 지지단부(20)에 관통형성된다.
상기 걸쇠(40)는 상기 레버(30)의 걸쇠결합공(32b)에 고정결합되는 봉 형상이다. 이러한 봉의 양단부는 상기 지지단부(20)의 걸쇠장공(2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판(10)에 대칭으로 형성된 걸쇠홈(11)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탄성스프링(50)은 양단이 상기 지지축봉(P1)과 상기 걸쇠(40)에 각각 고정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스프링(50)은 코일스프링으로, 일단부는 위치이동이 불가능한 상기 지지축봉(P1)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레버(30)의 축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걸쇠장공(23)에 유도되어 이동동작되는 상기 걸쇠(40)에 고정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탄성스프링(50)은 걸쇠(40)가 걸쇠장공(23)의 상측으로 이동시 걸쇠장공(23)의 하측을 향해 압축력을 발생시켜, 걸쇠(40)가 걸쇠장공(23)의 하측에 위치하도록하는 항상성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고정구(60)는 상기 걸쇠홈(11)에 삽입결합된 상기 걸쇠(40)의 삽입결합상태를 임의로 고정유지시킴으로써, 상기 본체(1)에 상기 지지체(2)가 안정적으로 축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킥보드의 주행 중 지지체(2)가 접히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구(60)는, 바람직하게 일단부인 회전단부(61)가 상기 지지단부(20)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공(24)에 회전가능하게 체결수단인 나사못을 이용해 결합설치되고, 타단부인 누름단부(62)는 상기 걸쇠홈(11)에 삽입결합된 걸쇠(40)를 선택적으로 누름고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임의로 고정구(60)를 회전시켜 고정구(60)의 누름단부(62)가 걸쇠홈(11)에 삽입결합된 걸쇠(40)를 누르도록 이동시키면,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걸쇠홈(11)에 삽입결합된 걸쇠(40)를 누르고 있는 고정구(60)로 인해 걸쇠(40)가 걸쇠홈(11)을 이탈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고정구(60)는 기본적으로 회전단부(61)의 회전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는 경우에만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지지단부(20)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고정구(60)는 회전이 정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3에서 처럼 상기 고정구(60)는 바람직하게 상기 걸쇠장공(23)의 상측에 결합설치되되, 상기 걸쇠(40)의 누름고정시 고정구(60)의 누름단부(62)가 회전단부(61)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중력에 의한 고정구(60)의 회전모멘텀이 작게 작용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60)의 회전모멘텀을 낮추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단부(61)와 누름단부(62)의 질량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예컨데, 고정구(60)에서 회전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누름단부(62)의 질량을 회전의 중심축이 되는 회전단부(61)의 질량보다 가볍게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무게중심이 회전단부(61)에 집중되어 고정구(60)의 회전동작시 및/또는 고정구(60)의 회전정지시 상대적으로 가벼운 누름단부(62)로 인해 고정구(60) 전체의 회전모멘텀이 저하된다. 이를 위해 회전단부(61)와 누름단부(62)는 비중을 서로 달리하는 이종(異種)의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는 달리, 고정구(60)를 동종(同種)의 재질로 구성하면서도 회전모멘텀을 낮추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단부(61)와 누름단부(62)의 체적을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고정구(60)에서 회전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누름단부(62)의 부피를 회전의 중심축이 되는 회전단부(61)의 부피보다 작게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단부(20)의 표면과 접촉하는 고정구(60)의 접촉부를 제외한 고정구(60)의 비접촉부를 회전단부(61)에서 누름단부(62)를 향해 부피를 줄이는 형태로 표면을 깎아 경사면(63)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경사면(63)은 고정구(60)의 비접촉부를 구성하는 다각형 또는 원형 형태의 표면 일부 또는 전부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사각 기둥형태인 고정구(60)의 접촉면과 반대면을 이루는 비접촉면인 상면의 일부를 깎아 경사면(63)을 형성한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60)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기둥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의 부분확대와 같이,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구(60)는 누름단부(62)가 상기 걸쇠홈(11)에 삽입결합된 상기 걸쇠(40)를 누름고정할 때, 회전단부(61)에서 누름단부(62)를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L)을 사선으로 배치하되, 주행방향에 대해 누름단부(62)가 회전단부(61)보다 하향하여 후방에 배치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이에 더해, 상기 걸쇠홈(11)은 고정구(60)의 회전동작시 중력에 의한 회전동작이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방향, 즉 킥보드의 주행방향 전방에 상기 걸림단(11a)을 형성시킨다. 이 같은 구성을 통해, 고정구(60)에 의도되지 않은 회전모멘텀이 발생되더라도 걸쇠홈(11)의 걸림단(11a)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고정구(60)의 회전동작은 모두 저지된다. 따라서, 고정구(60)의 누름단부(62)는 걸쇠홈(11)에 삽입결합된 걸쇠(40)의 누름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구(60)에는 상기 지지단부(20)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접촉면에 탄성돌출 동작하는 탄성볼(64)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단부(20)에는 상기 탄성볼(64)이 탈착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볼홈(26)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구(60)는 상기 볼홈(26)과 상기 탄성볼(64)의 삽입결합에 의해 위치고정이 용이하게 된다. 이같은 구성을 통해, 고정구(60)는 상기 걸쇠홈(11)에 삽입결합된 상기 걸쇠(40)를 보다 안정적으로 누름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볼(64)은 설치홈에 볼헤드가 코일스프링에 지지되는 공지의 탄성볼(64)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H: 작동홀 P: 축봉
P1: 지지축봉 P2: 레버축봉
1: 본체
10: 고정판 11: 걸쇠홈
11a: 걸림단 12: 판축공
13: 폴딩지지공 14: 폴딩지지봉
2: 지지체
20: 지지단부 21: 지지축공
22: 회전축공 23: 걸쇠장공
24: 고정공 25: 레버장착공
26: 볼홈
30: 레버 31: 레버손잡이
32: 작동결합부 32a: 레버축공
32b: 걸쇠결합공
40: 걸쇠
50: 탄성스프링
60: 고정구 61: 회전단부
62: 누름단부 63: 경사면
64: 탄성볼

Claims (5)

  1. 본체(1)에 축회전으로 절첩되는 지지체(2)를 갖는 폴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에 고정되는 고정판(10)의 테두리를 따라 걸쇠홈(11)을 이격형성하고, 상기 고정판(10)에 축회전 결합되는 지지체(2)의 지지단부(20)에는 레버(30)조작으로 걸쇠장공(23)에 유도되어 상기 걸쇠홈(11)에 삽입탈착 동작하는 걸쇠(40)를 구비하여, 상기 걸쇠홈(11)에 상기 걸쇠(40)의 삽입탈착을 통해 상기 지지체(2)의 폴딩작동을 수행하되,
    상기 지지단부(20)에 일단부인 회전단부(6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구(60)는 타단부인 누름단부(62)가 상기 걸쇠홈(11)에 삽입결합된 상기 걸쇠(4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회전저지되어 상기 본체(1)에 대한 상기 지지체(2)의 축고정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고정판(10)에 구비되는 상기 걸쇠홈(11) 중 적어도 이동수단의 주행을 위한 상기 지지체(2)의 축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주행 걸쇠홈(11)은 상기 걸쇠(40)가 출입하는 개구부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개방단이 상기 고정구(60)의 회전동작을 저지하는 걸림단(11a)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11a)에 회전저지된 상기 고정구(60)의 누름단부(62)가 상기 걸쇠(40)를 누름동작하는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고정구(60)는 상기 회전단부(61)의 질량 또는 체적이 상기 누름단부(62)의 질량 또는 체적을 초과하도록 구성되어, 고정구(60)의 회전모멘텀이 제약되는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60)는 상기 지지단부(20)의 표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접촉부를 제외한 비접촉부의 길이방향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회전단부(61)에서 상기 누름단부(62)를 향해 부피가 감소하도록 경사면(63)을 형성하여, 고정구(60)의 회전모멘텀이 제약되는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60)에는 상기 지지단부(20)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접촉면에 탄성돌출 동작하는 탄성볼(64)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단부(20)에는 상기 탄성볼(64)이 탈착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볼홈(26)을 구비하여, 상기 볼홈(26)과 상기 탄성볼(64)의 삽입결합에 의한 상기 고정구(60)의 위치고정으로 상기 걸쇠홈(11)에 삽입결합된 상기 걸쇠(40)의 이동이 저지되는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5. 삭제
KR2020220002826U 2022-12-01 2022-12-01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KR2004970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826U KR200497043Y1 (ko) 2022-12-01 2022-12-01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826U KR200497043Y1 (ko) 2022-12-01 2022-12-01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043Y1 true KR200497043Y1 (ko) 2023-07-07

Family

ID=8715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826U KR200497043Y1 (ko) 2022-12-01 2022-12-01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043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67Y1 (ko) 2000-04-27 2000-09-15 주식회사오토엠아이티 스쿠터의 절첩구조
KR200202860Y1 (ko) 2000-06-05 2000-11-15 이갑형 스쿠터의 절첩장치
KR200204403Y1 (ko) 2000-06-02 2000-11-15 삼천리자전거공업주식회사 절첩 가능한 킥보드
KR20170142009A (ko) 2016-06-16 2017-12-27 이국환 후륜 견인 타입 링크 부재를 이용한 전동 킥보드
CN213892774U (zh) * 2020-10-29 2021-08-06 浙江阿尔郎科技有限公司 一种滑板车折叠机构及滑板车
CN215706882U (zh) * 2021-09-16 2022-02-01 杨武能 一种滑板车折叠结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67Y1 (ko) 2000-04-27 2000-09-15 주식회사오토엠아이티 스쿠터의 절첩구조
KR200204403Y1 (ko) 2000-06-02 2000-11-15 삼천리자전거공업주식회사 절첩 가능한 킥보드
KR200202860Y1 (ko) 2000-06-05 2000-11-15 이갑형 스쿠터의 절첩장치
KR20170142009A (ko) 2016-06-16 2017-12-27 이국환 후륜 견인 타입 링크 부재를 이용한 전동 킥보드
CN213892774U (zh) * 2020-10-29 2021-08-06 浙江阿尔郎科技有限公司 一种滑板车折叠机构及滑板车
CN215706882U (zh) * 2021-09-16 2022-02-01 杨武能 一种滑板车折叠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936B2 (en) Foldable bicycle frame
KR100981059B1 (ko) 접철식 자전거
US6286843B1 (en) Steering mechanism of handle-controlled skate board
US8146947B2 (en) Spark generating device for scooter and removable spark generating cartridge
KR200331983Y1 (ko) 삼륜이송보드
US20020145264A1 (en) Folding structure of a scooter
CN211731697U (zh) 滑板车结构
KR20160138589A (ko) 가변형 접이식 전기 스쿠터
KR20170142009A (ko) 후륜 견인 타입 링크 부재를 이용한 전동 킥보드
JP4599907B2 (ja) 走行装置
KR200497043Y1 (ko)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CN210011837U (zh) 一种电动滑板车折叠装置以及电动滑板车
WO2001068440A1 (en) Collapsible tricycle
CN112158287A (zh) 一种电动代步车
CN112224314A (zh) 二合一儿童滑板车
CN218907507U (zh) 新型折叠滑板车
KR200484935Y1 (ko) 조절레버가 구비된 킥보드용 폴딩 장치
CN211196487U (zh) 一种便于脚踩折叠的滑板车
CN109094705B (zh) 折叠机构及电动车
CN210822589U (zh) 电动车车架及电动车
CN210149483U (zh) 滑板车
CN210707758U (zh) 一种坐骑式电动独轮车
GB2360985A (en) Foldable scooter
JP3103657U (ja) キックボード
CN218806312U (zh) 一种折叠式老年代步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