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860Y1 - 스쿠터의 절첩장치 - Google Patents

스쿠터의 절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860Y1
KR200202860Y1 KR2020000015987U KR20000015987U KR200202860Y1 KR 200202860 Y1 KR200202860 Y1 KR 200202860Y1 KR 2020000015987 U KR2020000015987 U KR 2020000015987U KR 20000015987 U KR20000015987 U KR 20000015987U KR 200202860 Y1 KR200202860 Y1 KR 200202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ocking
bracket
fixed
scoo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갑형
Original Assignee
이갑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갑형 filed Critical 이갑형
Priority to KR2020000015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8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8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34Bottom br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2015/001Frames adapted to be easily dismant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1/00Springs used in cycle frames or parts thereof
    • B62K2201/04Helica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들이 구비된 조향축을 발판본체에 절첩할 때 회전레버의 손잡이를 잡고 용이하게 절첩하도록 함은 물론 작동부의 마찰을 방지하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쿠터의 절첩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발판본체에 고정되고, 조향축의 절첩되는 위치를 셋팅하는 제 1 및 제 2걸림홈이 형성된 가이드면을 갖는 고정브라켓트와, 일측은 조향축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은 상기 고정브라켓트에 힌지결합되어 절첩되고, 원호장공이 형성된 회전브라켓트와, 상기 원호장공에 결합되어 원호운동하고, 상기 회전브라켓트를 제 1 및 제 2걸림홈에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는 로킹축과, 상기 회전브라켓트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로킹축의 회전 지지점이 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과 토션스프링은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로킹축은 하측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브라켓트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지지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일체로 연장되어진 손잡이로 이루어진 회전레버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스쿠터의 절첩장치{Folding and unfolding device of scooter}
본 고안은 스쿠터의 절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이 구비된 조향축을 발판본체에 절첩할 때 회전레버의 손잡이를 잡고 용이하게 절첩하도록 함은 물론 작동부의 마찰을 방지하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쿠터의 절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쿠터는 레저용이나 근거리의 통근, 통학, 쇼핑 등에 이용되는 것으로, 구동모터를 장착한 스쿠터와 무동력으로 사용하는 스쿠터로 구분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가 알려져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쿠터는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조향축을 절첩하여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가 간편하게 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 1에서는 종래의 스쿠터의 일예를 들어 살펴본 도면으로서, 이는 발판본체(1)와 상기 발판본체 전방에 앞바퀴(2) 및 조향축(3)을 포함하는 조향핸들(4)과, 상기 조향핸들(4)을 발판본체(1)에 절첩되도록 하는 절첩장치(5)와, 상기 상기 발판본체(1)의 후방에 설치된 뒷바퀴(6)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에서도 상기 절첩장치(5)는 발판본체(1)에 고정설치되고 양끝단부에 걸림홈(5a)을 갖는 원호장공(5b)이 형성된 고정브라켓트(5c)와, 상기 고정브라켓트 (5c)와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힌지축(5d)을 지지점으로 절첩되는 조향축(3)에 고정되어진 회전브라켓트(5e)와, 상기 회전브라켓트(5e) 내측에 구비되고 작동레버(5f)의 작동에 의해 상기 원호장공(5b)에서 직선운동이 원호운동되도록 하는 로킹축(5g)과, 상기 작동레버(5f)와 로킹축(5g)을 연결하는 걸고리부재(5h)와, 상기 힌지축(5d)과 로킹축(5g)에 연결되는 탄성스프링(5i)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절첩장치는 잠김해제시 작동레버(5f)에 의해 걸고리부재(5h)가 로킹축(5g)을 당겨 로킹축(5g)이 걸림홈(5a)에서 직선운동하면서 이탈되고, 이탈된 로킹축(5g)은 원호장공(5b)에서 원호운동으로 변환함으로서 절첩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로킹축(5g)과 걸고리부재(5h) 사이에서 부하가 많이 발생하고 로킹축(5g)이 안내되는 원호장공(5b)부위에서 심한 마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동레버축(5l)에 고정되어 로킹축(5g)을 당기는 걸고리부재(5h)에서 부하 및 마찰이 발생하고, 로킹축(5g)이 가이드 되는 고정브라켓트(5c)에 구비된 원호장공(5b)에서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하여 조향축(3)이 심하게 유격되고 이에 따라 스쿠터의 내구성을 저해하는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로킹축(5g)이 탄성스프링(5i)에 의해 중앙에서 끌어 올려지지만 하중이 적정하게 배분되지 않아 필연적으로 어느 한쪽에서는 접촉에 의한 마찰 및 비틀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동레버축(5l)과 로킹축(5g)이 별도로 설치되어 로킹축(5g)을 원호운동시켜 위치를 세팅한 후 로킹축(5g)에 설치되어진 로킹레버(5j)와 로킹너트(5k)에 의해 회전브라켓트(5e)의 양측을 조여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2000년 4월 18일에 실용신안 출원번호 2000-0010948호의 스쿠터의 절첩장치를 개량하여 선출원한 바 있다.
이는 첨부도면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발판본체(1)에 고정되고, 조향축(3)의 절첩되는 위치를 셋팅하는 제 1 및 제 2걸림홈(6a)(6a')이 형성된 가이드면(6b)을 갖는 고정브라켓트(6)와, 일측은 조향축(3)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은 상기 고정브라켓트(6)에 힌지결합되어 절첩되고, 원호장공(7a)이 형성된 회전브라켓트(7)와, 상기 원호장공(7)에 결합되어 원호운동하고, 상기 회전브라켓트(7)를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는 로킹축(8a)과, 상기 회전브라켓트(7)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로킹축(8a)의 회전 지지점이 되는 힌지축(8b)과, 상기 회전브라켓트(7)내에 설치되고, 상단에는 상기 힌지축(8b)과 토션스프링(8c)이 체결되며, 하단에는 상기 로킹축(8a)이 체결되는 회전지지체(8)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절첩장치는 로킹축(8a) 부위를 양측에서 손으로 잡고 로킹해제하여 절첩하여야 함으로서, 절첩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회전지지체(8)의 상단에 위치하는 힌지축(8b)을 지지점으로 로킹축(8a)이 회전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손잡이를 잡고 회전레버를 회전시켜 절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스쿠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쿠터의 절첩시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스쿠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쿠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스쿠터의 절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도 2의 측면도.
도 4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스쿠터의 절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스쿠터의 절첩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는 본 고안의 스쿠터의 작동상태도로서, 스쿠터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 도 5에서 스쿠터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 도 5의 측면도.
도 9 내지 도 13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여러가지 형태의 고정구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절첩장치 10: 조향축
20: 발판본체 30: 고정브라켓트
31: 가이드면 32,32a: 제1 및 제2걸림홈
33: 힌지축 40: 회전브라켓트
41: 원호장공 50: 절첩장치
51: 회전레버 51a: 회전지지부
51b: 손잡이 51c: 나사
52: 토션스프링 53: 힌지축
54: 로킹축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발판본체에 고정되고, 조향축의 절첩되는 위치를 셋팅하는 제 1 및 제 2걸림홈이 형성된 가이드면을 갖는 고정브라켓트와, 일측은 조향축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은 상기 고정브라켓트에 힌지결합되어 절첩되고, 원호장공이 형성된 회전브라켓트와, 상기 원호장공에 결합되어 원호운동하고, 상기 회전브라켓트를 제 1 및 제 2걸림홈에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는 로킹축과, 상기 회전브라켓트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로킹축의 회전 지지점이 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과 토션스프링은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로킹축은 하측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브라켓트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지지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일체로 연장되어진 손잡이로 이루어진 회전레버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도 3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스쿠터의 절첩장치를 표시하고 있다.
스쿠터의 절첩장치(100)는 조향축(10)과 발판본체(20)을 연결지지하여 절첩가능하게 조립되어진 것으로, 그 구성은 발판본체(2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30)와, 조향축(10)에 고정되어진 회전브라켓트(40)와, 상기 회전브라켓트를 상기 고정브라켓트에 절첩시키는 회전레버(51), 토션스프링(52), 힌지축(53) 및 로킹축(54)으로 이루어진 절첩수단(50)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브라켓트(30)는 발판본체(20)의 전방 상측에 나사결합되어져 있고, 원호형상의 상면은 후술할 로킹축(54)이 안내되는 가이드면(31)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이드면(31)에는 조향축이 펼쳐을 때 고정되는 제 1걸림홈(32)과 조향축(10)을 접었을 때 고정되는 제 2걸림홈(32a)이 형성되어져 있다.
회전브라켓트(40)의 일측은 조향축(10)에 고정되고 타측은 고정브라켓트(30)에 힌지결합되어져 있다.
즉, 고정브라겟트(30)의 힌지축(33)을 지지점으로 조향축(10)이 고정된 회전브라겟트(40)가 절첩되고, 위치셋팅은 제 1걸림홈(32)과 제 2걸림홈(32a)에 로킹축(54)이 잠김되면서 가능한 것이다.
절첩수단(50)은 회전레버(51), 토션스프링(52), 힌지축(53) 및 로킹축(54)으로 이루어져 힌지축(53)을 중심으로 로킹축(54)이 원호운동하면서 고정브라켓트(30) 상의 제 1걸림홈(32) 및 제 2걸림홈(32a)에 잠김 및 잠김해제 됨면서 절첩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회전레버(51)는 힌지축(53)과 로킹축(54)이 결합되는 회전지지부(51a)와 상기 회전지지부(51a)에 일체로 연장된 손잡이(51b)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지지부(51a)는 상기 회전브라켓트(4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측에는 힌지축(53)이 하단에는 로킹축(54)이 결합 고정되어져 있다.
손잡이(51b)는 회전지지부(51a)에 일체로 연장됨과 아울러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부에서 손쉽게 조작이 가능한 것이다.
즉, 손잡이(51b)을 잡고 힌지축(53)을 지점으로 회전지지부(51a)를 회전시키게 되면 로킹축(54)이 고정브라켓트(30)의 걸림홈(32)(32a)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회전브라켓트(40)의 원호장공(41)을 따라 이동하면서 잠김해제 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레버(51)의 양측에는 토션스프링(52)이 구비됨과 아울러 힌지축(53)의 외주연에 감겨져 로킹축(54)의 잠김 및 잠김해제되는 탄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로킹축(54)은 회전레버(51)의 힌지축(53)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브라켓트 (40)상의 원호장공(41)내에서 원호운동하면서 고정브라켓트(30)의 걸림홈(32) (32a)에 잠김되는 것이다.
또한, 로킹축(54)의 중앙에는 외주면을 따라 요홈(54a)이 형성되고, 이 요홈(54a)에 회전레버의 외측에서 나사(51c)가 체결되면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로킹축(54)의 내경에는 고정구(70)가 삽입되고, 이의 일측에 고정너트(71)가 구비되어 고정브라켓트(30)의 걸림홈(32)(32a)과 회전브라켓트(40)를 조여주도록 함으로서, 핸들바(1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고정구(70)의 형태는 첨부도면 도 9 내지 도 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하여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한편, 미설명 부호 60은 힌지축(53)에 외주연에 삽입되는 부싱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판본체(20)와 핸들이 구비된 조향축(10)이 직각으로 펼쳐진 상태 즉, 스쿠터를 타고 다닐 수 있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향축(10)에 고정된 회전브라켓트(40)는 발판본체(2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30)의 제 1걸림홈(32)에 로킹축(54)이 잠금된 상태에서 로킹축(54)의 내경에 삽입되는 고정구(70)에 로킹너트(71)를 고정하면 고정브라켓트(30)의 내측에 안착되어진 회전브라켓트(4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견고히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쿠터를 보관 및 휴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레버(51)의 손잡이을 잡고 회전시키게 되면 힌지축(53)을 지지점으로 제 1걸림홈(32)에 잠금되어져 있는 로킹축(54)이 원호장공(41)을 따라 원호운동하게 되고, 로킹축(54)은 제 1걸림홈(32)에서 잠금해제되며, 이를 다시 고정브라켓트(30)의 상의 가이드면(31)을 따라 원호운동시키게 되어 조향축(10)과 발판본체(20)는 접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원호장공(41)이 로킹축(54)보다 구멍이 크게 천공되어져 있어 마찰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며, 회전레버(51)의 양측에 토션스프링(52)이 위치함으로서 힌지축(53)을 지지점으로 해서 양측에 균등하게 힘이 분배되므로 비틀림 등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스쿠터의 절첩장치는 회전레버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절첩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구조를 간단히 하여 작동부의 마찰을 방지함으로서, 내구성 및 사용성이 편리한 것이다.

Claims (1)

  1. 발판본체(20)에 고정되고, 조향축(10)의 절첩되는 위치를 셋팅하는 제 1 및 제 2걸림홈(32)(32a)이 형성된 가이드면(31)을 갖는 고정브라켓트(30);
    일측은 조향축(10)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은 상기 고정브라켓트(30)에 힌지결합되어 절첩되고, 원호장공(41)이 형성된 회전브라켓트(40);
    상기 원호장공(41)에 결합되어 원호운동하고, 상기 회전브라켓트(40)를 제 1 및 제 2걸림홈(32)(32a)에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는 로킹축(54);
    상기 회전브라켓트(40)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로킹축(54)의 회전 지지점이 되는 힌지축(53);
    상기 힌지축(53)과 토션스프링(52)은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로킹축(54)은 하측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브라켓트(40)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지지부(51a)와, 상기 회전지지부(51a)에 일체로 연장되어진 손잡이(51b)로 이루어진 회전레버(5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의 절첩장치.
KR2020000015987U 2000-06-05 2000-06-05 스쿠터의 절첩장치 KR200202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987U KR200202860Y1 (ko) 2000-06-05 2000-06-05 스쿠터의 절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987U KR200202860Y1 (ko) 2000-06-05 2000-06-05 스쿠터의 절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860Y1 true KR200202860Y1 (ko) 2000-11-15

Family

ID=1965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987U KR200202860Y1 (ko) 2000-06-05 2000-06-05 스쿠터의 절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86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896B1 (ko) * 2006-10-31 2007-09-14 허문회 농축산 차량용 방역 소독장치
KR101555467B1 (ko) * 2013-11-26 2015-09-24 복 성 김 스템 일체형 접이식 핸들
CN110303466A (zh) * 2019-08-07 2019-10-08 芜湖佩霆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涂胶机器人维修平台及其使用方法
KR200497043Y1 (ko) 2022-12-01 2023-07-07 손락준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896B1 (ko) * 2006-10-31 2007-09-14 허문회 농축산 차량용 방역 소독장치
KR101555467B1 (ko) * 2013-11-26 2015-09-24 복 성 김 스템 일체형 접이식 핸들
CN110303466A (zh) * 2019-08-07 2019-10-08 芜湖佩霆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涂胶机器人维修平台及其使用方法
KR200497043Y1 (ko) 2022-12-01 2023-07-07 손락준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47709B (en) Folding riding vehicle
US6173976B1 (en) Folding collapsible kick scooter
JP3504270B2 (ja) 自転車キャリヤ
JPS61176367A (ja) 折畳式訓練用自転車
US5469945A (en) Foldaway luggage pull handle
KR20040032042A (ko) 접이식 자전거
JP2003246290A (ja) 伸縮式自転車
KR200202860Y1 (ko) 스쿠터의 절첩장치
JP5394611B2 (ja) 回動自在な引き具構造体
KR200196528Y1 (ko) 스쿠터의 절첩장치
JP4833580B2 (ja) 回動自在な引き具構造
WO2011026300A1 (zh) 一种折叠接头装置
CA2358350A1 (en) Pedal cycle handle folding mechanism
US20040020322A1 (en) Brake handle structure for mobility aid
CN211844750U (zh) 折叠机构及可折叠车辆
KR200199363Y1 (ko) 접철식 킥 스쿠터
KR200213762Y1 (ko) 각도가 가변되는 차량용 보조핸들
JP4241966B2 (ja) テーブル
JP2591900B2 (ja) 折畳式自転車
KR200343359Y1 (ko) 접는 자전거용 프레임
WO2020252571A1 (en) Steer locking mechanism for a bicycle
JP2001334011A (ja) スケートボード
JP2007106335A (ja) 二輪車
JPH11235221A (ja) 杖のグリップ取付け構造
KR20190104792A (ko) 소형 이동수단용 접이식 핸들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