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467B1 - 스템 일체형 접이식 핸들 - Google Patents

스템 일체형 접이식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467B1
KR101555467B1 KR1020130144438A KR20130144438A KR101555467B1 KR 101555467 B1 KR101555467 B1 KR 101555467B1 KR 1020130144438 A KR1020130144438 A KR 1020130144438A KR 20130144438 A KR20130144438 A KR 20130144438A KR 101555467 B1 KR101555467 B1 KR 101555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handle bar
handle
pin
handle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0241A (ko
Inventor
복 성 김
김도환
Original Assignee
복 성 김
김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복 성 김, 김도환 filed Critical 복 성 김
Priority to KR1020130144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4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0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6Handlebars; Handlebar stems having adjustable parts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 구성된 좌측 핸들바와 우측 핸들바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는 스템 일체형 접이식 핸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핸들은 후측에 포크 장착홀이 형성되는 스템; 일단이 상기 스템의 전측에 형성된 제1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측 핸들바; 상기 좌측 핸들바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스토퍼; 일단이 상기 스템의 전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에 이웃하여 형성되는 제2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측 핸들바; 및 상기 우측 핸들바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템 일체형 접이식 핸들{FOLDING HANDLE}
본 발명은 접이식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 구성된 좌측 핸들바와 우측 핸들바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는 스템 일체형 접이식 핸들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자전거(100)는 프레임(110)에 후측에 후륜이 연결되고, 전측에는 포크(120)가 연결된다.
도 2는 스템(140)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140)은 몸체부(141)와 핸들고정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41)의 일측에는 포크(120)가 관통하고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몸체부(141)의 타측에는 핸들(130)이 안착되는 핸들안착홈이 형성되고, 핸들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핸들고정부(142)가 구비된다. 따라서 핸들(130)은 몸체부(141)의 핸들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핸들고정부(142)를 감싸도록 위치시키고, 볼트(143)를 이용하여 핸들고정부(142)와 몸체부(141)를 고정함으로써 핸들(130)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승용차를 이용하여 자전거를 유원지나 자전거 도로가 있는 장소로 이동한 후 자전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승용차에 자전거를 수납할 때 공간적으로 가장 문제되는 것이 핸들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143)를 풀어서 스템(140)으로부터 핸들(130)을 분리한 후, 승용차에 수납하여 이동하여 왔다. 그러나 핸들(130)의 탈부착을 위해 공구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과 함께 핸들(130)의 탈부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좌측 핸들바와 우측 핸들바를 분리 구성하고, 이들을 용이하게 접을 수 있는 스템 일체형 접이식 핸들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템 일체형 접이식 핸들은 후측에 포크 장착홀이 형성되는 스템; 일단이 상기 스템의 전측에 형성된 제1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측 핸들바; 상기 좌측 핸들바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스토퍼; 일단이 상기 스템의 전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에 이웃하여 형성되는 제2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측 핸들바; 및 상기 우측 핸들바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스토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좌측 핸들바의 일단에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스템의 전측을 관통하고 상기 제1걸림홈에 안착되어 상기 좌측 핸들바가 펼쳐진 상태에서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제1걸림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우측 핸들바의 일단에는 제2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스템의 전측을 관통하고 상기 제2걸림홈에 안착되어 상기 우측 핸들바가 펼쳐진 상태에서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제2걸림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걸림핀 또는 제2걸림핀의 외주면에는 탄성복원을 위한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걸림핀 또는 제2걸림핀을 상기 제1걸림홈 또는 제2걸림홈으로부터 도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템의 전측 상면에는 상기 제1걸림핀 또는 제2걸림핀이 전후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장공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 구성된 좌측 핸들바와 우측 핸들바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전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200)는 스템(210)과, 좌측 핸들바(220)와, 우측 핸들바(230)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는 스템(210)이 핸들과 일체로 형성된 스템 일체형 핸들이면서, 핸들이 좌측 핸들바(220)와 우측 핸들바(230)로 분리 구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스템(210)은 후측에 포크 장착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스템(210)의 전측에는 이웃하는 한 쌍의 제1회전축(212)과 제2회전축(213)이 구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좌측 핸들바(220)는 일단이 상기 제1회전축(2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회전축(212)을 중심으로 펼치거나 접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측 핸들바(220)의 일단에는 제1걸림홈(도 8의 '22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우측 핸들바(230)는 일단이 상기 제2회전축(2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회전축(213)을 중심으로 펼치거나 접혀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우측 핸들바(230)의 일단에는 제2걸림홈(도 8의 '23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 핸들바(220)와 우측 핸들바(230)가 펼쳐진 상태에서 임의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로서 제1걸림핀(240)과 제2걸림핀(250)이 구비된다.
상기 제1걸림핀(240)은 상기 스템(210)의 전측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걸림홈(221)에 안착되어 상기 좌측 핸들바(220)가 펼쳐진 상태에서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좌측 핸들바(220)를 접기 위해서는 상기 제1걸림핀(240)을 상기 제1걸림홈(221)으로부터 도피시킨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걸림핀(250)은 상기 스템(210)의 전측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걸림홈(231)에 안착되어 상기 우측 핸들바(230)가 펼쳐진 상태에서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우측 핸들바(230)를 접기 위해서는 상기 제2걸림핀(250)을 상기 제2걸림홈(231)으로부터 도피시킨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걸림핀(240)을 상기 제1걸림홈(221)으로부터 도피시키기 위하여, 또는 상기 제2걸림핀(250)을 상기 제2걸림홈(231)으로부터 도피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템(210)의 전측 상면에는 상기 제1걸림핀(240) 또는 제2걸림핀(250)이 전후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장공(26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걸림핀(240,250)을 걸림홈(221,231)으로부터 도피시키기 위하여 상기 장공(26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 후, 외력을 제거하면 원상태로 탄성복원하기 위하여 스프링(270)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270)은 상기 제1걸림핀(240)과 제2걸림핀(25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좌측 핸들바(220)와 우측 핸들바(230)가 펼쳐진 상태에서 이들을 접기 위하여 먼저, 제1걸림핀(240)을 장공(26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제1걸림핀(240)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걸림핀(240)은 제1걸림홈(221)으로부터 도피된다. 이와 같이 제1걸림핀(240)이 제1걸림홈(221)으로부터 도피되면 비로소 좌측 핸들바(220)는 제1회전축(21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접힐 수 있는 것이다(도 7 참조).
이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2걸림핀(250)을 장공(26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시켜 제2걸림핀(250)을 제2걸림홈(231)으로부터 도피시키면 우측 핸들바(230)는 제2회전축(213)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양측 핸들바(220,230)가 모두 접히게 된다(도 8 참조).
반대로 접혀진 핸들바(220,230)를 펼치게 되면 걸림핀(240,250)이 장공(26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걸림홈(221,231)에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해 펼쳐진 핸들바(220,230)가 임의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200: 실시예 210: 스템
211: 포크 장착홀 212, 213: 회전축
220, 230: 핸들바 240, 250: 걸림핀
260: 장공 270: 스프링

Claims (5)

  1. 후측에 포크 장착홀이 형성되는 스템;
    일단이 상기 스템의 전측에 형성된 제1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측 핸들바;
    상기 좌측 핸들바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스토퍼;
    일단이 상기 스템의 전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에 이웃하여 형성되는 제2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측 핸들바; 및
    상기 우측 핸들바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핸들바의 일단에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스템의 전측을 관통하고 상기 제1걸림홈에 안착되어 상기 좌측 핸들바가 펼쳐진 상태에서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제1걸림핀이고,
    상기 우측 핸들바의 일단에는 제2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스템의 전측을 관통하고 상기 제2걸림홈에 안착되어 상기 우측 핸들바가 펼쳐진 상태에서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제2걸림핀이며,
    상기 제1걸림핀 또는 제2걸림핀의 외주면에는 탄성복원을 위한 스프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걸림핀 또는 제2걸림핀을 상기 제1걸림홈 또는 제2걸림홈으로부터 도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템의 전측 상면에는 장공이 더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핀 또는 제2걸림핀은 하부는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장공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템 일체형 접이식 핸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144438A 2013-11-26 2013-11-26 스템 일체형 접이식 핸들 KR101555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438A KR101555467B1 (ko) 2013-11-26 2013-11-26 스템 일체형 접이식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438A KR101555467B1 (ko) 2013-11-26 2013-11-26 스템 일체형 접이식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241A KR20150060241A (ko) 2015-06-03
KR101555467B1 true KR101555467B1 (ko) 2015-09-24

Family

ID=53504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438A KR101555467B1 (ko) 2013-11-26 2013-11-26 스템 일체형 접이식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4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860Y1 (ko) * 2000-06-05 2000-11-15 이갑형 스쿠터의 절첩장치
JP2003127958A (ja) * 2001-10-19 2003-05-08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における折り畳み式ハンド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860Y1 (ko) * 2000-06-05 2000-11-15 이갑형 스쿠터의 절첩장치
JP2003127958A (ja) * 2001-10-19 2003-05-08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における折り畳み式ハンド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241A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9155B2 (en) Retrac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lever, vehicle having retrac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and method
EP3335970B1 (en) Folding personal mobility vehicle
US9764754B2 (en) Push cart
TW201527160A (zh) 可收合腳踏板
EP2842844B1 (en) Bicycle kickstand
WO2007064645A2 (en) Detachable bicycle frame
CN205059873U (zh) 折叠电动车前轮机构
KR101555467B1 (ko) 스템 일체형 접이식 핸들
CN201347108Y (zh) 幼儿推车
KR101915495B1 (ko) 자전거용 머드가드
TWI537166B (zh) 跨坐型車輛之腳踏板構造
CN203358651U (zh) 一种折叠童车
TWI688505B (zh) 嬰兒車
TWI570006B (zh) 具有可調式安裝臂之擋泥板
EP2481663A2 (en) Handlebar folding mechanism for foldable motorized vehicle
CN211642465U (zh) 折叠童车
KR101349801B1 (ko) 자전거 스템
KR101670201B1 (ko) 배터리팩이 고정되는 보조프레임을 갖는 자전거
CN102336211A (zh) 用于折叠式婴儿车的可锁定把手关节
CN202518302U (zh) 婴儿车后轮折叠结构
CN110509973B (zh) 一种儿童推车
CN215361687U (zh) 折叠电动车、车把及其车把折弯结构
US20170259870A1 (en) Method to reduce bicycle shipping and storage width by the addition of a lockable second axis of rotation for the crank arm
CN215949341U (zh) 一种安全型伸缩梯顶部与墙面之间的支撑结构
JP6106561B2 (ja) 折り畳み式自転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