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495B1 - 자전거용 머드가드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머드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495B1
KR101915495B1 KR1020177030418A KR20177030418A KR101915495B1 KR 101915495 B1 KR101915495 B1 KR 101915495B1 KR 1020177030418 A KR1020177030418 A KR 1020177030418A KR 20177030418 A KR20177030418 A KR 20177030418A KR 101915495 B1 KR101915495 B1 KR 101915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mudguard
bicycle
line
fold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5989A (ko
Inventor
김동진
이상혁
Original Assignee
김동진
이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이상혁 filed Critical 김동진
Publication of KR20170125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5/00Mud-guards for wheels
    • B62J15/04Mud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전거용 머드가드가 개시된다. 본 머드가드는,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을 기준으로 할 때, X축 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Y축 방향으로 폭이 좁은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자전거의 시트포스트 및 안장 사이의 체결부위에 삽입되는 고정패널부; 및 상기 머드가드의 길이방향으로 X축을 따라 연장되고 자전거의 후륜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흙받이패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머드가드
본 발명은 자전거용 머드가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자전거의 후륜에서 튀어 오르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자전거용 머드가드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의 주행 중에는 흙,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뒷바퀴의 타이어에 묻어 회전함으로써 튀어오르게 되고, 그에 따라 탑승자의 의복 등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자전거에는 머드가드(Mudguard)가 반영구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머드가드는 자전거의 무게를 가중시키게 되므로, 경량의 자전거에는 기능적 및 심미적 측면을 중시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머드가드를 장착하지 않은 채로 제품화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머드가드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후륜으로부터 튀어 오르는 오염물을 방지하기 어려우므로, 우천 시 흙탕물 등으로 인해 탑승자의 의복이 오염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자전거에 임의로 탈착 또는 부착 가능한 머드가드가 개발되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3-0005955호에서 보듯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흙받이체를 별도로 마련된 체결편을 통해 자전거 프레임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자전거용 뒷바퀴 흙받이를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조립식 흙받이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이긴 하지만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므로, 자전거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해서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고 또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시에 간편하게 설치하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자전거용 머드가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가 간편하고, 별도의 공구 없이도 자전거에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나아가 주행 중에 흙막이 구조체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어서 자전거의 후륜으로부터 튀어오르는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자전거용 머드가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을 기준으로 할 때, X축 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Y축 방향으로 폭이 좁은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된 자전거용 머드가드로서, 자전거의 시트포스트 및 안장 사이의 체결부위에 삽입되는 고정패널부; 및 상기 머드가드의 길이방향으로 X축을 따라 연장되고 자전거의 후륜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흙받이패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머드가드에는, Y축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접철라인이 형성되고, 아울러, X축에 평행한 중심선(CL)에 대하여 대칭되게 배치된 제2 접철라인 및 제3 접철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머드가드를 상기 제2 접철라인 및 상기 제3 접철라인을 따라 접었을때, 상기 흙받이패널부의 상면이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이등변삼각형 또는 이등변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서, 상기 머드가드에는, 상기 제1 접철라인의 중심에 위치한 제1 접철점과, 상기 흙받이패널부의 단변에 서로 대향하게 위치한 제2 접철점 및 제3 접철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접철라인은 상기 제1 접철점 및 상기 제2 접철점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접철라인은 상기 제1 접철점 및 상기 제3 접철점을 연결하도록 제3 접철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서, 상기 머드가드에는, 상기 제1 접철라인 상에 위치한 복수의 제1 접철점 및 상기 흙받이패널부의 단변에 위치한 복수의 제2 접철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접철라인은 상기 복수의 제1 접철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복수의 제2 접철점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접철라인은 상기 복수의 제1 접철점 중 다른 하나와 상기 복수의 제2 접철점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상기 머드가드에는, 상기 제1 접철라인 상에 위치한 복수의 제1 접철점 및 상기 흙받이패널부의 단변에 위치한 제2 접철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접철라인은 상기 복수의 제1 접철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접철점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접철라인은 상기 복수의 제1 접철점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제2 접철점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머드가드의 고정패널부에는 자전거의 안장 하부에 마련된 지지프레임에 걸리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머드가드의 고정패널부에는 자전거의 안장 및 시트포스트의 체결부에 마련된 너트체결부에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머드가드의 고정패널부에는 자전거의 안장 하부에 마련된 지지프레임에 끼워지는 측면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상기 측면요홈부는 각각 2개의 요홈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좌측요홈부 및 우측요홈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머드가드의 흙받이패널부에는 Y축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흙받이패널부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형성된 보조접철라인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머드가드에 형성된 상기 제1 접철라인, 상기 제2 접철라인, 및 상기 제3 접철라인은, 상기 머드가드의 본체를 프레싱가공하여 단면이 "U"자형이고, 깊이가 상기 머드가드 본체 두께의 1/2 이하인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전거 후륜 흙받이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경량의 머드가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머드가드는 접어서 보관하기 편리하므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시에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설치시에도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자전거에 머드가드를 설치하는 것이 간편하다. 나아가, 주행 중에 흙막이 구조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자전거의 후륜으로부터 튀어오르는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머드가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머드가드를 사용자가 휴대하기 간편하도록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머드가드를 자전거에 설치하기 위하여 흙막이 구조체 형태로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머드가드를 자전거의 시트포스트 및 안장 사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머드가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자전거용 머드가드를 자전거의 시트포스트 및 안장 사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머드가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을 기준으로 할 때, X축 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Y축 방향으로 폭이 좁은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된 자전거용 머드가드로서, 자전거의 시트포스트 및 안장 사이의 체결부위에 삽입되는 고정패널부; 및 상기 머드가드의 길이방향으로 X축을 따라 연장되고 자전거의 후륜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흙받이패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머드가드에는, Y축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접철라인이 형성되고, 아울러, X축에 평행한 중심선(CL)에 대하여 대칭되게 배치된 제2 접철라인 및 제3 접철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머드가드를 상기 제2 접철라인 및 상기 제3 접철라인을 따라 접었을때, 상기 흙받이패널부의 상면이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이등변삼각형 또는 이등변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머드가드의 일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머드가드(100)를 펼친 상태에서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머드가드(100)는,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을 기준으로 할 때, X축 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Y축 방향으로 폭이 좁은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머드가드(100)는 X축과 평행한 가상의 중심선(CL)을 중심으로 X축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머드가드(1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즉, 머드가드(10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단에는 자전거의 시트포스트 및 안장 사이의 체결부위에 삽입되는 고정패널부(120)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길이방향(즉, X축)을 따라 연장되어 자전거의 후륜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흙받이패널부(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머드가드(100) 전체 길이에 대하여, 고정패널부(120)는 대략 1/3의 길이로 형성되고, 흙받이패널부(110)는 2/3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정패널부(120) 및 흙받이패널부(110)의 상대적 길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패널부(120) 및 흙받이패널부(110)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된 영역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그 기능에 따라 구분된 영역을 가리킨다.
한편, 머드가드(100)에는 Y축과 평행한 제1 접철라인(131)이 형성된다. 제1 접철라인(131)은 머드가드(100)를 접을 수 있도록 미리 형성된 요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머드가드(100)에는 제1 접철라인(131) 이외에도 Y축에 평행한 제1 보조접철라인(131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머드가드(100)는 두께가 얇은 합성수지재 판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제1 접철라인(131) 및/또는 제1 보조접철라인(131a)을 통해 접어서 휴대하기에 간편해진다.
다음으로, 머드가드(100)에는, 제1 접철라인(131)의 중심에 위치한 제1 접철점(141), 그리고 흙받이패널부(110)의 단변(112)에 서로 대향하게 위치한 제2 접철점(142) 및 제3 접철점(143)을 기준으로, 제1 접철점(141) 및 제2 접철점(142)을 연결하는 제2 접철라인(132)이 형성되고, 나아가 제1 접철점(141) 및 제3 접철점(143)을 연결하는 제3 접철라인(1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접철점(141 내지 143)은 머드가드(100) 내에서의 특정 위치를 지칭하는 가상의 지점을 의미하며, 반드시 물리적인 특정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다. 부연하면, 제1 접철점(141)은 제1 접철라인(131)과 X축 중심선(CL)의 교차점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및 제3 접철점(142 및 143)은 흙받이패널부(110)의 단면(112)의 양 모서리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및 제3 접철라인(132 및 133)은 흙받이패널부(110) 내에 요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및 제3 접철라인(132 및 133)을 통해 흙받이패널부(110)를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도 2에는 사용자가 휴대하기 간편하도록 머드가드(100)를 제1 접철라인(131) 및 제1 보조접철라인(131a)을 통해 접은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3에는 사용자가 머드가드(100)를 펼친 후, 자전거에 설치하기 전에 머드가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견고한 구조체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특히, 도 3에서 보듯이, 머드가드(100)을 접어서 흙막이 구조체(100a)를 형성한 경우, 제1 접철점(141)을 중심으로 제1 접철라인(131)을 접은 후, 제2 및 제3 접철라인(132 및 133)을 접어서 흙받이패널부(110)를 이등변삼각 형상이 되도록 한다. 즉, 제2 접철라인(132) 및 제3 접철라인(133)은 X축 중심선(CL)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접으면 흙받이패널부(110)가 제2 접철라인(132) 및 제3 접철라인(133)으로 된 이등변삼각 형상으로 접히게 된다.
이러한 흙막이 구조체(100a)는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로 장시간 유지될 수 있다. 즉, 흙막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전거 후륜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흙받이패널부(110)가 자전거의 주행 중에도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머드가드(100)를 휴대하기 간편한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경우, 별도의 지지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으면 주행 중에 흙받이패널부의 연장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여러 번의 실험 및 시행착오를 거듭한 결과, 종래와 같이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별도의 지지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단순히 합성수지재 패널을 접어서 흙막이 구조체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하학적 구조체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3 접철라인(131 내지 133) 사이의 3차원적 접이구조는 흙받이패널부(110)가 자체적으로 견고한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지지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머드가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패널부(120)에도 복수의 접철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 보듯이, 고정패널부(120)의 단변(120a)에 서도 대칭되게 위치한 가상의 제4 접철점(121a) 및 제5 접철점(122a)을 기준으로, 제1 접철점(141) 및 제4 접철점(121a)을 연결하는 제4 접철라인(121)이 형성되고, 나아가 제1 접철점(141) 및 제5 접철점(122a)을 연결하는 제5 접철라인(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및 제5 접철라인(121 및 122)은 고정패널부(120) 내부에서 요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4 및 제5 접철라인(121 및 122)을 통해 고정패널부(120)를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나아가, 고정패널부(120)에는 측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4 및 제5 접철라인(121 및 122)은 X축 중심선(CL)을 통해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다수의 돌기부(123)도 X축 중심선(CL)을 통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패널부(120)는, 도 4에서 보듯이, 본 머드가드(100)를 접어서 흙막이 구조체(110a)를 형성한 후에, 자전거의 시트포스트(10) 및 안장(20) 사이의 체결부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반적인 자전거에는, 안장(20)의 하부에 지지프레임(22)이 마련되고, 이 지지프레임(22)을 통해 안장(20)이 시트포스트(10)에 체결된다. 따라서, 안장(20) 및 시트포스트(10)의 상단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고, 이 틈새를 통해 고정패널부(120)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특히, 고정패널부(120)에 마련된 돌기부(123)는 지지프레임(22)에 걸릴 수 있는 형태로 사용자가 임의의 형상으로 제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고정패널부(120)가 제4 및 제5 접철라인(121 및 122)을 통해 접힌 상태에서, 안장(20) 및 시트포스트(10) 사이에 삽입되면, 돌기부(123)가 지지프레임(22)에 걸려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패널부(120)가 접힌 상태로 자전거에 고정되면, 제1 접철라인(131)이 제1 접철점(141)을 중심으로 접힌 상태가 유지되고, 제1 접철라인(131)의 접힌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면, 제2 및 제3 접철라인(132 및 133)의 접힌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결과적으로 흙받이패널부(110)의 접힘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머드가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발명의 본질적인 구조 및 기능은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구별되는 추가적인 구성 및 기능을 중심으로 부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접철라인에 복수의 제1 접철점(141a, 141b)이 배치되고, 흙받이패널부(110)의 단변(112)에는 복수의 제2 접철점(142a, 142b)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접철라인(132)은 제 1 접철점 중 어느 하나(즉, 141a)와 제2 접철점 중 어느하나(142a)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제3 접철라인(133)은 제1 접철점 중 다른 하나(즉, 141b)와 제2 접철점 중 다른 하나(142b)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서는 머드가드의 중심선(CL)이 가상의 라인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선(CL)이 제1 내지 제3 접철라인과 동일하게 머드가드를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요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4 접철라인(121) 및 제5 접철라인(122)도 마찬가지로 각각 제1 접철점 중 어느 하나(141a) 및 다른 하나(141b)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접철점들 사이의 간격(즉, 141a 및 141b 사이의 거리)은 제2 접철점들 사이의 간격(즉, 142a 및 142b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된다. 아울러, 제1 접철점들 사이의 간격(즉, 141a 및 141b 사이의 거리)은 제4 접철점(121a) 및 제5 접철점(122a)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고정패널부(120)에 형성된 돌기부(123)의 일단에는 소정의 관통공(123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접절점(141)이 복수개로 형성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머드가드가 자전거 후륜용 흙막이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하여 나타낸 것이다. 특히, 제2 및 제3 접철라인(132 및 133)은 X축 중심선(CL)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접철라인(131)이 접힌 상태에서 흙받이패널부(110)의 접힘 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고정패널부(120)에 마련된 돌기부(123)에 관통공(123a)을 형성한 경우, 도 6에서 보듯이, 시트포스트(10) 및 안장(20)의 체결을 위해 설치된 너트체결부(10a)에 관통공(123a)을 끼워맞춤으로써, 고정패널부(120)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접철라인(131) 상에 위치한 복수의 제1 접철점(141a, 141b) 및 상기 흙받이패널부의 단변에 위치한 제2 접철점(140)을 기준으로, 제2 접철라인(132)은 복수의 제1 접철점 중 어느 하나(141a)와 제2 접철점(140)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제3 접철라인(133)은 복수의 제1 접철점 중 다른 하나(141b)와 제2 접철점(140)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머드가드를 제2 및 제3 접철라인(132, 133)을 따라 접었을 때, 흙받이패널부(110)의 상면이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접혀지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고정패널부(120)에는, 자전거의 안장 하부에 마련된 지지프레임(22)에 끼워지는 측면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측면요홈부는, 2개의 요홈부(151a, 151b)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우측요홈부와, 2개의 요홈부(152a, 152b)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좌측요홈부를 포함한다. 이들 측면요홈부는, 고정패널부(120)를 자전거의 안장 하부에 삽입하여 지지프레임(22)에 끼움으로써, 머드가드(10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머드가드를 자전거의 안장 하부에 설치한 부분측면도를 도시한 도 8에서 보듯이, 고정패널부(120)의 단부를 구부려서 각각 2개의 요홈부가 한쌍으로 형성된 좌측요홈부 및 우측요홈부를 지지프레임(22)에 끼울 수 있고, 이를 통해 머드가드가 보다 견고하고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2 및 제3 접철라인(132, 133)이 각각 2개의 제1 접철점(141a, 141b)의 어느 하나와, 제2 접철점(142) 및 제3 접철점(143)을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2개의 제1 접철점(141a, 141b) 사이의 간격이 제2 접철점(142) 및 제3 접철점(143)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머드가드를 제2 및 제3 접철라인(132, 133)을 따라 접었을 때, 흙받이패널부(110)의 상면이 이등변사다리꼴 형상을 갖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고정패널부(120)는, 좌우 양측으로 갈라진 형상의 돌기부(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돌기부에는 자전거의 안장 및 시트포스트의 체결부에 마련된 너트체결부에 끼워지는 관통공(1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고정패널부(120)의 좌우측 돌기부(123)는 소정의 각도로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머드가드는, 사용자가 자전거 후륜 흙받이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머드가드는 접어서 보관하기 편리하므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시에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설치시에도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자전거에 머드가드를 설치하는 것이 간편하다. 나아가, 주행 중에 흙막이 구조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자전거의 후륜으로부터 튀어오르는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머드가드는 사용자가 반복하여 접거나 펼치는 경우에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머드가드에 형성된 다수의 접철라인(131, 132, 133, 121, 122, CL)은 회복력이 우수한 머드가드 본체를 프레싱가공하여 단면이 "U"자형이고 그 깊이가 머드가드 본체 두께의 1/2 이하인 홈을 형성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접철라인(131, 132, 133, 121, 122, CL)은 머드가드 본체를 복수회 접었다 펼치는 경우에도 내구성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을 기준으로 할 때, X축 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Y축 방향으로 폭이 좁은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된 자전거용 머드가드에 있어서,
    자전거의 시트포스트 및 안장 사이의 체결부위에 삽입되는 고정패널부; 및
    상기 머드가드의 길이방향으로 X축을 따라 연장되고 자전거의 후륜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흙받이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드가드에는 Y축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접철라인이 형성되고, 아울러, X축에 평행한 중심선(CL)에 대하여 대칭되게 배치된 제2 접철라인 및 제3 접철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머드가드를 상기 제2 접철라인 및 상기 제3 접철라인을 따라 접었을때, 상기 흙받이패널부의 상면이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이등변삼각형 또는 이등변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머드가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드가드에는, 상기 제1 접철라인의 중심에 위치한 제1 접철점과, 상기 흙받이패널부의 단변에 서로 대향하게 위치한 제2 접철점 및 제3 접철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접철라인은 상기 제1 접철점 및 상기 제2 접철점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접철라인은 상기 제1 접철점 및 상기 제3 접철점을 연결하도록 제3 접철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머드가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드가드에는, 상기 제1 접철라인 상에 위치한 복수의 제1 접철점 및 상기 흙받이패널부의 단변에 위치한 복수의 제2 접철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접철라인은 상기 복수의 제1 접철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복수의 제2 접철점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접철라인은 상기 복수의 제1 접철점 중 다른 하나와 상기 복수의 제2 접철점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머드가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드가드에는, 상기 제1 접철라인 상에 위치한 복수의 제1 접철점 및 상기 흙받이패널부의 단변에 위치한 제2 접철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접철라인은 상기 복수의 제1 접철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접철점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접철라인은 상기 복수의 제1 접철점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제2 접철점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머드가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부에는 자전거의 안장 하부에 마련된 지지프레임에 걸리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머드가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부에는 자전거의 안장 및 시트포스트의 체결부에 마련된 너트체결부에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머드가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부에는 자전거의 안장 하부에 마련된 지지프레임에 끼워지는 측면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요홈부는 각각 2개의 요홈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좌측요홈부 및 우측요홈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머드가드.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흙받이패널부에는 Y축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흙받이패널부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형성된 보조접철라인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머드가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철라인, 상기 제2 접철라인, 및 상기 제3 접철라인은, 상기 머드가드의 본체를 프레싱가공하여 단면이 "U"자형이고, 깊이가 상기 머드가드 본체 두께의 1/2 이하인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머드가드.
KR1020177030418A 2015-05-19 2016-05-18 자전거용 머드가드 KR101915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616 2015-05-19
KR20150069616 2015-05-19
PCT/KR2016/005223 WO2016186433A1 (ko) 2015-05-19 2016-05-18 자전거용 머드가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989A KR20170125989A (ko) 2017-11-15
KR101915495B1 true KR101915495B1 (ko) 2018-11-08

Family

ID=5732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418A KR101915495B1 (ko) 2015-05-19 2016-05-18 자전거용 머드가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5495B1 (ko)
WO (1) WO2016186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66555A1 (en) * 2017-02-24 2018-08-29 Ass Savers AB Splash guard
GB2570468B (en) * 2018-01-25 2022-06-22 Mcarthur Craig Mudguard for a bicycle
DE202019103117U1 (de) 2019-06-03 2019-06-17 Torben Christopher Moßdorf Spritzschutz für einen Fahrradsatt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624472U (zh) 2012-03-27 2012-12-26 张世明 一种可拆卸的自行车挡泥板
WO2015036127A1 (en) 2014-01-22 2015-03-19 Ass Savers Ab Splash guar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8411A (en) * 1996-12-23 1999-02-09 Jeffrey Eugene Dymeck Bicycle mudguard
KR200307165Y1 (ko) * 2002-12-05 2003-03-15 오태순 자전거용 흙받이
US8246062B2 (en) * 2009-04-23 2012-08-21 Sunnywheel Industrial Co., Ltd. Fast displaceable bicycle fender plate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624472U (zh) 2012-03-27 2012-12-26 张世明 一种可拆卸的自行车挡泥板
WO2015036127A1 (en) 2014-01-22 2015-03-19 Ass Savers Ab Splash gu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6433A1 (ko) 2016-11-24
KR20170125989A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495B1 (ko) 자전거용 머드가드
US7523801B2 (en) Motorcycle with inclination sensor
KR102208342B1 (ko) 머드가드를 장착하기 위한 부착 어셈블리 및 머드가드 어셈블리
JP6231920B2 (ja) 鞍乗型車両
TW201641335A (zh) 具有柔緩性座墊支柱介面之自行車
JP2008195241A (ja) カウリング付き車両
KR20170050252A (ko) 설치가 용이한 가드레일 클램프
JP6463921B2 (ja) ウインドシールド装置
US20100096825A1 (en) Fender assemblies and vehicles including same
EP3366555A1 (en) Splash guard
US6406050B1 (en) Motorcycle hitch device
FR2885565B1 (f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structure de nez deployable vers l'avant
CN207141174U (zh) 用于车辆的转向节组件及车辆转向桥组件
KR101807135B1 (ko) 리어플로어 조립체
JP6484422B2 (ja) 車両
WO2013155576A1 (pt) Disposição construtiva em santantônio
JP2023037922A (ja) 配線固定具、自転車のフェンダー及び自転車
JPH0747273Y2 (ja) 自転車用フェンダ
US20200307714A1 (en) Fender mounting accessories
JP4700763B1 (ja) 自転車駐輪用プロテクタ
ATE455029T1 (de) Hinteres schutzblech für ein motorrad
CN112429095A (zh) 一种吸能式挡帘
JP2004076310A (ja) フェンス
KR101555467B1 (ko) 스템 일체형 접이식 핸들
JP2864394B2 (ja) 車両のパイプ類配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