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699Y1 -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699Y1
KR200495699Y1 KR2020200003548U KR20200003548U KR200495699Y1 KR 200495699 Y1 KR200495699 Y1 KR 200495699Y1 KR 2020200003548 U KR2020200003548 U KR 2020200003548U KR 20200003548 U KR20200003548 U KR 20200003548U KR 200495699 Y1 KR200495699 Y1 KR 200495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ness
pet
pets
wearing part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020U (ko
Inventor
김학중
Original Assignee
김학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중 filed Critical 김학중
Publication of KR20220000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0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2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에 관한 것으로, 하네스의 리드줄 고정고리가 애완동물의 등 부위를 따라 무빙되어, 애완동물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면서도 애완동물이 주인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달려가거나 또는, 주인이 애완동물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애완동물에게 강한 압박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은, 애완동물에 착용되는 하네스, 상기 하네스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이동시 리드줄의 위치 변화를 통해 애완동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무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CARE GOODS FOR BASED ON PET HARNESS}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네스의 리드줄 고정고리가 애완동물의 등 부위를 따라 무빙되어, 애완동물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면서도 애완동물이 주인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달려가거나 또는, 주인이 애완동물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애완동물에게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의 크기에 맞게 하네스의 크기를 조절한 후 편안하게 안아 캐어할 수 있는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이란 가정에서 보고 즐기기 위해서 기르는 동물을 일컫는 것으로써, 몸집이 작고 귀엽거나 색깔, 모양 또는 사람을 잘 따르는 것 등이 애완동물의 대상이 된다.
그리고, 예로부터 사람과 가깝고 친근하게 지낼 수 있는 개나 고양이를 주로 기르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을 동반하여 산책 또는 운동을 목적으로 외출을 하게 되면 목줄 또는 가슴줄과 같은 리드줄을 착용해야 한다고 관련 법으로 지정된 동물보호법에 명시되어 있고 이를 위반하면 일정 금액의 과태료에 처해진다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이 타인에게 저돌적으로 달려들어 공포심 유발을 방지하고 주인이 가고자 하는 길로 잘 따라올 수 있도록 리드줄을 착용해야 한다.
이와 같은 리드줄은 대체로 애완동물의 목에 착용되는 목밴드이거나 또는 몸에 착용되는 하네스(harness)와 선단을 연결하고 주인은 그 리드줄의 말단을 손에 쥐고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다양한 하네스가 보급되고 있고, 그 일례로 실용신안등록 제0484037호(명칭: 애완동물용 하네스)가 개시되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애완동물의 목 또는 어깨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체결스트랩 상기 체결스트랩에 연결되는 리드줄 패드 형상을 이루도록 연성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폭방향 양측을 결합시키는 결합유닛으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스트랩의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쿠션패드를 포함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하네스는 애완동몰의 가슴에 체결스트랩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착용시킨 후 고정하고, 리드줄을 장착하여 고정한다.
그러나, 선행문헌은 리드줄이 애완동물의 목 부분에 고정되는 타입이기 때문에, 애완동물이 주인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달려가거나 또는, 인이 애완동물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리드줄로 인해 애완동물의 목 부위에 많은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선행문헌은 사이즈가 정형화 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에 애완동물에는 착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은 애완동물을 주인의 신체에 고정할 수 없기 때문에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산책 중 애완동물이 힘들어 할 경우 등에는 주인이 애완동물을 직접 안아주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주인의 양 손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4037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하네스의 리드줄 고정고리가 애완동물의 등 부위를 따라 무빙되어, 애완동물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면서도 애완동물이 주인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달려가거나 또는, 주인이 애완동물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애완동물에게 강한 압박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하네스를 길이조절이 가능한 어셈블리 타입 및 주인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타입으로 구현함으로써, 애완동물의 크기에 맞춰 하네스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주인이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로도 애완동물을 편안하게 안아 캐어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은, 애완동물에 착용되는 하네스; 상기 하네스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이동시 리드줄의 위치 변화를 통해 애완동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무빙부; 및 애완동물의 엉덩이 부위에 착용되고, 상기 무빙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네스의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엉덩이 착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네스는, 애완동물의 등 부위에 착용되는 제1 착용부 및 애완동물의 배 부위에 착용되는 제2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착용부와 제2 착용부의 전방 양측은 서로 간격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착용부와 제2 착용부의 후방 양측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무빙부는, 상기 하네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부에 레일홈이 형성된 레일부, 상기 레일홈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리드줄과 연결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무빙부는, 상기 레일부의 바닥면에 매립되는 탄발지지부, 상기 탄발지지부에 의해 탄발지지되며, 상기 레일홈 상에서 슬라이드부에 저항하는 저항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빙부는, 상기 하네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퍼이, 상기 지퍼이를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리드줄과 연결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무빙부는, 상기 하네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양단에 스토퍼가 각각 형성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리드줄과 연결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빙부는, 상기 하네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부에 레일홈이 형성되고 내벽면에는 일정 피치를 갖는 물결형상의 저항돌기가 형성된 레일부, 상기 레일홈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측면에 상기 저항돌기들과 순차적으로 맞물리는 탄성편이 형성된 슬라이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네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인체의 어깨에 거는 어깨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네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인체의 양 어깨에 거는 한 쌍의 어깨끈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네스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어깨끈, 상기 하네스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2 어깨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어깨끈과 제2 어깨끈은 버클에 의해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엉덩이 착용부의 양측에는 애완동물의 다리부분을 고정시키는 탄성 재질의 고정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엉덩이 착용부는 애완동물의 꼬리를 통과시키는 통과홀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엉덩이 착용부는,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등 부분을 감싸는 제1 감쌈부, 상기 제1 감쌈부와 연결되고 애완동물의 엉덩이 부분과 복부를 감싸며 상기 통과홀이 형성된 제2 감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엉덩이 착용부는, 상기 제2 감쌈부의 끝단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감쌈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밸크로드끈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애완동물의 양측면을 감싸는 한 쌍의 제3 감쌈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엉덩이 착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인체의 어깨에 거는 어깨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엉덩이 착용부에 결합되며 인체의 양 어께에 거는 한 쌍의 어깨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깨끈은, 상기 제1 감쌈부에 고정되는 제1 끈부재, 상기 제1 끈부재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엉덩이 착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끈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엉덩이 착용부에는 인체의 허리에 거는 허리끈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네스에는 복수개의 지지용고리가 일정간격으로 더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 착용부에는 상기 지지용고리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후크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감쌈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되고, 설치홀을 갖는 덧댐부, 상기 설치홀에 설치되고 인체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감쌈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되고, 설치홀을 갖는 덧댐부, 상기 설치홀에 설치되고 인체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끈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네스에는 지지용고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 착용부에는 일부분이 상기 지지용고리를 통과한 후 서로 중첩되게 부착되는 밸크로 고정부가 더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에 의하면, 하네스의 리드줄 고정고리가 애완동물의 등 부위를 따라 무빙되어, 애완동물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면서도 애완동물이 주인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달려가거나 또는, 주인이 애완동물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애완동물에게 강한 압박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네스를 길이조절이 가능한 어셈블리 타입 및 주인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타입으로 구현함으로써, 애완동물의 크기에 맞춰 하네스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주인이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로 애완동물을 편안하게 안아 캐어하고 교감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에 적용된 엉덩이 착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이 길이 조절되는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에 적용된 엉덩이 착용부가 제2 착용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무빙부에 탄발지지부와 저항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에 적용된 무빙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에 적용된 무빙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에 적용된 무빙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에 적용된 엉덩이 착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이 길이 조절되는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에 적용된 엉덩이 착용부가 제2 착용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무빙부에 탄발지지부와 저항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1)은, 애완동물과 함께 산책이나 외출을 할 때, 애완동물을 리드하기 위한 리드줄이 애완동물의 목 부위에 충격을 가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주인의 신체에 애완동물이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안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면서 애완동물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주인과 애완동물이 접촉하고 교감할 수 있게 한 새로운 형태의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은, 하네스(1), 무빙부(30,40,50,60), 엉덩이 착용부(70), 어깨끈(80) 및 허리끈(9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네스(1)는 애완동물에 착용되는 것으로, 제1 착용부(10), 제2 착용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착용부(10)는 애완동물의 등 부위에 착용된다.
제1 착용부(10)의 상면에는 무빙부가 형성된다.
무빙부(30,40,50,60)는 애완동물의 이동시 슬라이드 작동을 통해 리드줄(리드줄)의 위치를 변화시켜, 애완동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무빙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31), 슬라이드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31)는 제1 착용부(1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레일부(31)는 애완동물의 등 상에 위치된다.
레일부(31)의 내부에는 슬라이드부(32)가 슬라이딩되는 레일홈(31a)이 형성된다.
레일홈(31a)의 상측은 레일부(31)의 상면으로 노출된다.
이때, 레일홈(31a)은 대략 'ㅗ'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32)는 레일부(31)의 레일홈(31a)과 대응되는 'ㅗ'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일부(31)의 전측 또는 후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32)의 상면은 레일홈(31a)의 상부에 노출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32)의 상면에는 제1고리(321)가 형성되고, 제1고리(321)에 제2고리(322)가 결합된다.
제2고리(322)에는 리드줄(미도시) 또는 후술되는 연결부(71)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제2고리(322)에 리드줄을 연결하여 애완동물과 함께 외출이나 산책을 할 시 애완동물이 돌발적으로 주인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달려나가거나 또는, 주인이 애완동물의 전방 이나 후방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드부(32)가 레일홈(31a)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리드줄이 무빙되기 때문에, 리드줄이 애완동물을 당기는 현상이 완화되어 애완동물에게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슬라이드부(32)가 슬라이딩되는 거리 범위 안에서 애완동물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어, 종래의 애완동물용 하네스보다 애완동물에게 폭 넓은 자유로움을 줄 수 있다.
더욱이, 리드줄이 애완동물(1)의 등 부위에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됨으로, 리드줄이 애완동물의 목을 당기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애완동물의 목 부위에 부담이 가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31)의 바닥면에는 탄발지지부(33)가 더 매립될 수 있으며, (30,40,50,60)에는 레일홈(31a) 상에서 슬라이드부(32)의 슬라이딩에 저항하는 저항부(34)가 설치될 수 있다.
탄발지지부(33)는 압축 또는 팽창 가능한 코일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저항부(34)는 슬라이드부(32)가 충돌 시 용이하게 하강될 수 있도록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애완동물이 주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달려나갈 시 슬라이드부(32)가 레일홈(31a)을 따라 이동하다가 저항부(34)에 충돌하게 됨으로, 애완동물의 이동 및 돌발행동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저항부(34)는 슬라이드부(32)가 충돌 시 탄발지지부(33)를 압축시키면서 하강됨으로, 애완동물에게 강한 압박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저항부(34)는 슬라이드부(32)가 지나가면 탄발지지부(33)에 의해 상승되어 다시 레일홈(31a)으로 복귀됨으로 반복적으로 애완동물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탄발지지부(33) 및 저항부(34)는 슬라이드부에 연속적으로 저항력을 가할 수 있도록 복수개를 이루어 레일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여 무빙부(4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에 적용된 무빙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무빙부(40)는 지퍼이(41), 슬라이드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지퍼이(41)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1 착용부(10)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지퍼이(41)는 제1 착용부(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의 등 상에 위치된다.
슬라이드부(42)는 일측과 타측이 지퍼이(41)에 각각 맞물려 지퍼이(41)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부(42)의 이동 방향에 따라 지퍼이(41)가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된다.
슬라이드부(42)에는 리드줄이 연결되는 고리(421)가 형성된다.
고리(421)에 리드줄을 연결하여 애완동물과 함께 외출이나 산책을 할 시 애완동물이 돌발적으로 주인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달려나가거나 또는, 주인이 애완동물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드부(42)가 지퍼이(41)를 따라 이동하고 리드줄이 무빙되기 때문에, 리드줄이 애완동물을 당기는 현상이 완화되어 애완동물에게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무빙부(40)의 경우에도 슬라이드부(41)가 슬라이딩되는 거리 범위 안에서 애완동물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어, 애완동물에게 폭 넓은 자유로움을 줄 수 있고, 리드줄이 애완동물의 목을 당기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애완동물의 목 부위에 부담이 가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고하여 무빙부(5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에 적용된 무빙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무빙부(50)는 레일부(51), 슬라이드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51)는 제1 착용부(10)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일정길이와 두께를 갖는 다각형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부(51)는 애완동물의 등 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레일부(51)의 선단과 후단에는 슬라이드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511)가 각각 형성된다.
슬라이드부(52)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일부(51)의 상면과 양측면을 감싼다.
이때, 레일부(51)의 양측벽 하측에는 이탈방지홈(미도시)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슬라이드부(52)의 양 내측벽에는 이탈방지홈을 따라 이동되는 이탈방지편(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52)는 레일부에(51)서 이탈되지 아니하고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52)의 상면에는 고리(521)가 형성된다.
고리(521)에 리드줄을 연결하여 애완동물과 함께 외출이나 산책을 할 시 애완동물이 돌발적으로 주인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달려나가거나 또는, 주인이 애완동물의 전방 이나 후방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드부(52)가 레일부(51)를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리드줄이 무빙되기 때문에, 리드줄이 애완동물을 당기는 현상이 완화되어 애완동물에게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무빙부(50)의 경우에도 슬라이드부가 슬라이딩되는 거리 범위 안에서 애완동물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어, 애완동물에게 폭 넓은 자유로움을 줄 수 있고, 리드줄이 애완동물의 목을 당기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애완동물의 목 부위에 부담이 가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고하여 무빙부(6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에 적용된 무빙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무빙부(60)는 레일부(61), 슬라이드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61)는 제1 착용부(1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레일부(61)는 애완동물의 등 상에 위치된다.
레일부(61)의 내부에는 슬라이드부(62)가 슬라이딩되는 레일홈(61a)이 형성된다.
레일홈(61a)의 상측은 레일부(61)의 상면으로 노출된다.
레일부(61)의 내벽면에는 일정 피치를 갖는 물결형상의 저항돌기(611)가 형성된다.
슬라이드부(62)는 하측이 레일홈(61a)에 위치되고 상측은 레일부(61)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레일부(61)의 전측 또는 후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드부(62)에는 저항돌기(611)와 대향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편(621)이 형성된다.
탄성편(621)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편(621)은 슬라이드부(62)의 위치에 따라 저항돌기(611)와 맞물리거나 또는, 저항돌기(611)의 사이에 개재된다.
탄성편(621)은 저항돌기(611)들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탄성편(62)은 저항돌기(611)의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드부(62)의 상면에는 고리(622)가 형성된다.
고리(622)에 리드줄을 연결하여 애완동물과 함께 외출이나 산책을 할 시 애완동물이 돌발적으로 주인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달려나가거나 또는, 주인이 애완동물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드부(62)가 레일홈(61a)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리드줄이 무빙되기 때문에, 리드줄이 애완동물을 당기는 현상이 완화되어 애완동물에게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슬라이드부(62)가 무빙되는 과정에서는 탄성편(621)이 저항돌기들에 연속적으로 맞물리게 됨으로, 애완동물의 이동 및 돌발행동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무빙부(60)의 경우에도 슬라이드부(62)가 슬라이딩되는 거리 범위 안에서 애완동물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어, 애완동물에게 폭 넓은 자유로움을 줄 수 있고, 리드줄이 애완동물의 목을 당기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애완동물의 목 부위에 부담이 가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착용부(10)는 바람을 통과시켜 땀을 용이하게 배출하면서도 압박에 따른 등 통증을 줄이고,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1 착용부(10) 중 등 부위에 접촉되는 내면은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섬유를 직조하여 망사형태로 이루어지는 망사형태로 이루어지는 망사부(10a)가 형성되고, 망사부(10a)의 상면에는 압박을 줄이면서도 충격을 흡수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연질의 쿠션부(10b)가 형성되며, 쿠션부(10b)의 외면에는 빗물, 눈 등의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방수부(10c)가 형성된다.
이때, 방수부(10c)는 합성고무, 합성비닐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착용부(10)의 테두리 부분은 애완동물의 피부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둥글게 말린 형태로 마감될 수 있다.
한편, 제2 착용부(20)는 애완동물의 배 부위 착용된다.
이때, 애완동물의 앞 두 다리는 제2 착용부(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된다.
제2 착용부(20)는 제1 착용부(10)와 동일하게 바람을 통과시켜 땀을 용이하게 배출하면서도 압박에 따른 배 통증을 줄이고,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망사부(20a)와 쿠션부(20b) 및 방수부(2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착용부(20)와 제1 착용부(10)의 전방 양측은 간격조절부(120)를 통해 서로 간격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간격조절부(120)는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의 전방 양측을 연결하는 간격조절끈(121), 간격조절끈(121)이 제1 착용부(10) 또는 제2 착용부(20)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상의 간격조절수단(122)을 포함할 수 있다.
간격조절끈(121)은 간격조절수단(122) 상에서 길이 조절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간격조절끈(121)을 간격조절수단(122) 상에서 제2 착용부(20)로 이동시킬수 있도록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의 간격이 벌어지고, 간격조절끈(121)을 간격조절수단(122) 상에서 제1 착용부(10)로 이동시킬수록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의 간격이 좁아진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크기에 대응되게 간격조절끈(121)을 조절하여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를 각각 애완동물의 등과 배에 밀착시키면 된다.
그리고,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의 후방 양측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의 후방 양측에는 후크 타입의 제1 및 제2 버클(12,21)이 각각 마련된다.
제1 및 제2 버클(12,21)은 제1 및 제2 버클끈(13,22)을 통해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에 각각 연결된다. 제1 및 제2 버클(12,21)은 제1 및 제2 버클끈(13,22) 상에서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를 원터치 방식으로 애완동물에 착용 또는 탈거할 수 있다.
엉덩이 착용부(70)는 후술되는 어깨끈(80)과 허리끈(90)을 통해 주인이 애완동물을 안았을 때 엉덩이 부분을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즉, 엉덩이 착용부(70)와 어깨끈(80) 및 허리끈(90)을 적용하는 경우 힙시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엉덩이 착용부(70)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무빙부의 고리에 연결되는 연결부(71)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엉덩이 착용부(70)가 무빙부(30)에 연결된 예를 도시하였다.
연결부(71)는 일면이 개폐 가능한 통상의 후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착용부(10)에 엉덩이 착용부(70)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엉덩이 착용부(70)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통상의 기저귀 형태로 애완동물의 엉덩이 부위에 착용된다.
따라서, 엉덩이 착용부(70)의 일측과 타측은 애완동물의 등 부위와 배 부위에 각각 밀착되고, 대략 중앙부분은 애완동물의 엉덩이에 밀착된다.
엉덩이 착용부(70)의 중앙부분에는 애완동물의 꼬리를 통과시키는 통과홀(70a)이 형성된다.
통과홀(70a)로 인해 애완동물의 꼬리가 엉덩이 착용부(70)에 가압되거나 압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엉덩이 착용부(70)의 양측에는 애완동물의 다리부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72)가 형성된다.
고정부(72)는 애완동물이 엉덩이 착용부(70)에 착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고무줄과 같이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72)는 엉덩이 착용부(70)의 양측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애완동물의 다리를 통과시키는 통과홀(72a)을 형성한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뒷 다리 2개를 각각 통과홀(72a)을 통해 엉덩이 착용부(70)의 안쪽에서 바깥으로 통과시키면 고정부(72)가 허벅지나 배 부위에 밀착되며, 결국 엉덩이 착용부(70)가 애완동물에 고정된다.
한편, 이상 설명한 제1 착용부(10)에는 인체의 어깨에 크로스 타입으로 거는 어깨끈(8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엉덩이 착용부(70)에는 인체의 허리에 거는 허리끈(9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힙시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어깨끈(80)의 양측단과 제1 착용부(10)의 전방 양측에는 후크 타입의 제3 및 제4 버클(81,14)이 각각 마련된다. 제3 버클(81)은 어깨끈(80) 상에서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허리끈(90)의 양측단과 엉덩이 착용부(70)의 전방 양측에는 후크 타입의 제5 및 제6 버클(91,73)이 각각 마련된다. 제5 버클(91)은 허리끈(90) 상에서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애완동물을 산책시키고자 할 경우 어깨끈(80)과 허리끈(90)을 각각 제1 착용부(10)와 엉덩이 착용부(70)에서 분리하면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32)가 레일부(31)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고, 엉덩이 착용부(70)가 연결부(71)를 매개로 슬라이드부(32)와 연결됨으로, 엉덩이 착용부(70)는 제1 착용부(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엉덩이 착용부(70)와 어깨끈(80) 및 허리끈(90)의 사용 예 및 그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애완동물과 외출이나 산책을 하다가 실내에 들어가거나 계단을 오르내리는 상황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애완동물을 안아야 할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애완동물의 크기에 대응되게 엉덩이 착용부(70)를 제1 착용부(10)의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이동시켜 조절한 다음, 엉덩이 착용부(70)의 벨크로 고정부(74)를 제2 착용부(20)의 지지용고리(20a)에 통과시키고, 벨크로 고정부(74)의 통과된 부분을 미통과한 부분에 부착하며, 어깨끈(80)과 허리끈(90)을 각각 제1 착용부(10)와 엉덩이 착용부(70)에 결합한 후, 허리끈(90)은 허리에 걸고, 어깨끈(80)은 어깨에 크로스 형태로 걸어 애완동물을 안으면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주인이 애완동물을 편안하고 안정감 있게 안을 수 있으며, 특히 양손이 자유롭기 때문에 가방이나 커피 등 다양한 물품을 들고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주인과 애완동물이 가까운 거리에서 교감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엉덩이 착용부(70)는 제1 착용부(10) 및 제2 착용부(20)와 동일하게 바람을 통과시켜 땀을 용이하게 배출하면서도 압박에 따른 배 통증을 줄이고,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망사부(70a)와 쿠션부(70b) 및 방수부(70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엉덩이 착용부(70)는 전술한 연결부(71)가 형성되며, 일부분은 제1 착용부(10)의 상면에 안착되고 나머지부분은 애완동물의 등과 엉덩이부분 상부에 위치되는 제1 감쌈부(71), 일단이 제1 감쌈부(71)와 연결되고 대략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애완동물의 엉덩이 부분(항문주변)과 복부를 동시에 감싸며, 전술한 통과홀(72a)이 형성된 제2 감쌈부(72), 제2 감쌈부(72)의 타단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일부분이 제1 감쌈부(71)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밸크로드끈(731)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애완동물의 허리나 옆구리를 감싸는 제3 감쌈부(73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감쌈부(731)는 제1 감쌈부(731)의 상면에서 서로 상,하 겹쳐지도록 부착되는 밸크로드끈(731)을 각각 구비하며, 제3 감쌈부(73)가 가까워지도록 당길수록 제1 감쌈부(71)와 제2 감쌈부(72)의 간격을 좁혀 애완동물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크기에 따라 제1 감쌈부(71) 상에서 제3 감쌈부(73) 간의 간격을 조절한 후 밸크로드끈(731)으로 고정하면, 애완동물을 안을 때 엉덩이 착용부(70) 전체에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엉덩이 착용부(7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인체의 어깨에 크로스 타입으로 거는 어깨끈(8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끈의 양측에는 후크 타입의 제7 버클(70b)이 마련되고, 제1 감쌈부(71)의 상면 양측에는 제7 버클(70b)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8 버클(74)이 마련된다.
제7 버클(70b)은 어깨끈(80a) 상에서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다.
어깨끈(80b)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하네스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어깨끈(80b)이 2개로 적용되면, 사용자는 양 어깨에 어깨끈(80b)을 각각 걸어 애완동물을 안정적으로 안아줄 수 있다.
이때, 어깨끈(80b)은 전술한 간격조절끈(121)에 고정밴드로 고정되며, 타측에는 전술한 제1 착용부(10)의 제4 버클(14)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후크 타입의 제9 버클(81b)이 형성된다.
어깨끈(80c)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엉덩이 착용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어깨끈(80c)은 제1 감쌈부(71)의 상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재봉 고정되는 제1 끈부재(81c), 제1 끈부재(81c)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끝단에 제2 감쌈부(72)의 저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마련된 제15 버클(72b)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후크 타입의 제10 버클(821c)이 마련된 제2 끈부재(8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5에도 전술한 하네스가 적용되지만, 도 15에 하네스가 도시될 경우 제2 끈부재(82c)가 가려짐으로, 하네스를 생략했음을 밝힌다.
어깨끈(80c)이 도 15와 같이 적용되어도 사용자가 양 어깨에 어깨끈을 각각 걸어 애완동물을 안정적으로 안아주도록 할 수 있다.
어깨끈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네스의 일측에 마련된 간격조절끈(121)에 고정밴드를 통해 결합되는 제1 어깨끈(150), 하네스의 타측에 마련된 간격조절끈(121)에 고정밴드를 통해 결합되는 제2 어깨끈(160)을 포함하여, 어깨에 크로스형태로 착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어깨끈(150)과 제2 어깨끈(160)은 후크 타입의 제11 버클(150a) 및 제12 버클(160a)을 구비하여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12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착용부(20)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지지용고리(20d)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제2 감쌈부(72)에는 지지용고리(20d) 중 어느 하나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722)가 형성된다.
도 12 및 도 17을 기준으로 후크(722)를 제2 착용부(20)의 왼쪽 선단 즉, 간격조절끈(121)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지지용고리(20d)에 후크(722)를 걸면 엉덩이 착용부(70)와 제2 착용부(20) 간의 간격이 좁아지고, 후크(722)를 간격조절끈(121)과 가장 멀리에 위치한 지지용고리(20d)에 걸면 엉덩이 착용부(70)와 제2 착용부(20) 간의 간격이 좁아진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크기에 대응되게 후크(722)를 어느 하나의 지지용고리(20d)에 선택적으로 걸어 고정하면된다.
부가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쌈부(71)에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덧댐부(71a), 덧댐부(71a)에 고정되며 인체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끈(9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덧댐부(71a)는 양측이 제1 감쌈부(71)에 고정되고, 양측 사이 부분은 제1 감쌈부(71)에 고정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덧댐부(71a)의 양측 사이에는 허리끈(90a)이 설치되는 설치홀이 형성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끈(90a)은 두 영역이 설치홀의 내부에 수용되고, 그 사이 영역은 덧댐부(71a)의 사이로 노출된다. 그리고, 나머지 영역은 허리에 착용된다.
이때, 허리끈(90a)의 양측에는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되는 후크 타입의 제13 버클(91a) 및 제14 버클(91b)이 마련된다.
다른 예로, 도 11, 도 12, 도 14,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감쌈부(72)에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덧댐부(721), 덧댐부(721)에 고정되며 인체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끈(9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덧댐부(721)는 양측이 제2 감쌈부(72)에 고정되고, 양측 사이 부분은 제2 감쌈부(72)에 고정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덧댐부(721)의 양측 사이에는 허리끈(90b)이 설치되는 설치홀이 형성된다.
허리끈(90b)은 두 영역이 설치홀의 내부에 수용되고, 그 사이 영역은 덧댐부(721)의 사이로 노출된다. 그리고, 나머지 영역은 허리에 착용된다.
허리끈(90b)은 하나의 밴드타입 또는 전술한 후크타입의 버클을 통해 양단이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허리끈은 밴드타입으로 형성될 경우 허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신축성 소재로 제작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10 : 제1 착용부
10a,20a,70a : 망사부 10b,20b,70b : 쿠션부
10c,20c,70c : 방수부 12 : 제1 버클
13 : 제1 버클끈 14 : 제4 버클
20 : 제2 착용부 20a : 지지용고리
21 : 제2 버클 22 : 제2 버클끈
30,40,50,60 : 무빙부 31,51, 61 : 레일부
31a,61a : 레일홈 32,42,52,62 : 슬라이드부
321 : 제1고리 322 : 제2고리
33 : 탄발지지부 34 : 저항부
41 : 지퍼이 421,521,622 : 고리
511 : 스토퍼 611 : 저항돌기
621 : 탄성편 70 : 엉덩이 착용부
70a72a : 통과홀 71 : 연결부
72 : 고정부 73 : 제6 버클
74 : 벨크로 고정부 80 : 어깨끈
81 : 제3 버클 90 : 허리끈
91 : 제5 버클 120 : 간격조절부
121 : 간격조절끈 122 : 간격조절수단

Claims (22)

  1. 애완동물에 착용되는 하네스;
    상기 하네스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이동시 리드줄의 위치 변화를 통해 애완동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무빙부; 및
    애완동물의 엉덩이 부위에 착용되고, 상기 무빙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네스의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엉덩이 착용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는,
    애완동물의 등 부위에 착용되는 제1 착용부 및 애완동물의 배 부위에 착용되는 제2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착용부와 제2 착용부의 전방 양측은 서로 간격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착용부와 제2 착용부의 후방 양측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부는,
    상기 하네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부에 레일홈이 형성된 레일부,
    상기 레일홈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리드줄과 연결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부는,
    상기 레일부의 바닥면에 매립되는 탄발지지부,
    상기 탄발지지부에 의해 탄발지지되며, 상기 레일홈 상에서 슬라이드부에 저항하는 저항부를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부는,
    상기 하네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퍼이,
    상기 지퍼이를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리드줄과 연결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부는,
    상기 하네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양단에 스토퍼가 각각 형성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리드줄과 연결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부는,
    상기 하네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부에 레일홈이 형성되고 내벽면에는 일정 피치를 갖는 물결형상의 저항돌기가 형성된 레일부,
    상기 레일홈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측면에 상기 저항돌기들과 순차적으로 맞물리는 탄성편이 형성된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인체의 어깨에 거는 어깨끈을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인체의 양 어깨에 거는 한 쌍의 어깨끈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어깨끈, 상기 하네스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2 어깨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어깨끈과 제2 어깨끈은 버클에 의해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착용부의 양측에는 애완동물의 다리부분을 고정시키는 탄성 재질의 고정부가 형성된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착용부는 애완동물의 꼬리를 통과시키는 통과홀을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착용부는,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등 부분을 감싸는 제1 감쌈부,
    상기 제1 감쌈부와 연결되고 애완동물의 엉덩이 부분과 복부를 감싸며 상기 통과홀이 형성된 제2 감쌈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착용부는,
    상기 제2 감쌈부의 끝단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감쌈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밸크로드끈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애완동물의 양측면을 감싸는 한 쌍의 제3 감쌈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착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인체의 어깨에 거는 어깨끈을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착용부에 결합되며 인체의 양 어께에 거는 한 쌍의 어깨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깨끈은,
    상기 제1 감쌈부에 고정되는 제1 끈부재,
    상기 제1 끈부재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엉덩이 착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끈부재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착용부에는 인체의 허리에 거는 허리끈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에는 복수개의 지지용고리가 일정간격으로 더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 착용부에는 상기 지지용고리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후크가 더 형성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쌈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되고, 설치홀을 갖는 덧댐부,
    상기 설치홀에 설치되고 인체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끈을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쌈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되고, 설치홀을 갖는 덧댐부,
    상기 설치홀에 설치되고 인체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끈을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에는 지지용고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 착용부에는 일부분이 상기 지지용고리를 통과한 후 서로 중첩되게 부착되는 밸크로 고정부가 더 형성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KR2020200003548U 2020-06-26 2020-09-29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KR20049569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2225 2020-06-26
KR2020200002225 2020-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20U KR20220000020U (ko) 2022-01-04
KR200495699Y1 true KR200495699Y1 (ko) 2022-07-29

Family

ID=7934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548U KR200495699Y1 (ko) 2020-06-26 2020-09-29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9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376B1 (ko) * 2022-07-20 2023-04-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 하네스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359B2 (ja) * 1996-11-12 2001-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ブロックコネクタ
JP2002204629A (ja) * 2000-11-09 2002-07-23 Poochie Pompreece:Kk ペットの胴輪
KR101371072B1 (ko) 2012-11-28 2014-03-25 김기순 낚시용 의자
US20150020752A1 (en) * 2005-08-26 2015-01-22 Cary D. Zimmerman Hip Lift Harness Device and Method
KR200479752Y1 (ko) 2015-06-04 2016-03-14 이승연 애완동물 견인줄
KR101744891B1 (ko) * 2016-10-27 2017-06-08 조경은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
CN208908855U (zh) 2018-07-18 2019-05-31 东莞市春藤实业有限公司 一种宠物牵引胸背带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4013B2 (ja) * 1994-11-07 1998-06-11 越朗 網野 リュックサック
KR101289030B1 (ko) * 2011-03-22 2013-07-2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린 보수기를 가지는 볼 마커
TWM440646U (en) * 2012-04-24 2012-11-11 We Care Pet Products Co Ltd Pet strap structure
KR20160086029A (ko) * 2015-01-09 2016-07-19 김민우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KR200484037Y1 (ko) 2017-03-28 2017-07-24 최광용 애완동물용 하네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359B2 (ja) * 1996-11-12 2001-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ブロックコネクタ
JP2002204629A (ja) * 2000-11-09 2002-07-23 Poochie Pompreece:Kk ペットの胴輪
US20150020752A1 (en) * 2005-08-26 2015-01-22 Cary D. Zimmerman Hip Lift Harness Device and Method
KR101371072B1 (ko) 2012-11-28 2014-03-25 김기순 낚시용 의자
KR200479752Y1 (ko) 2015-06-04 2016-03-14 이승연 애완동물 견인줄
KR101744891B1 (ko) * 2016-10-27 2017-06-08 조경은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
CN208908855U (zh) 2018-07-18 2019-05-31 东莞市春藤实业有限公司 一种宠物牵引胸背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20U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24890A1 (en) Dog harness with integrated support handles and load distribution geometry
US6095093A (en) Animal leash assembly
US8166924B2 (en) Non-choking harness for pet
US5842444A (en) Hands free dog leash
EP0612467A1 (en) Leash-controllable dog harness
US20050263102A1 (en) Wearable horizontally oriented multi-positional pet carrier
US20110271913A1 (en) Dog harness
US9439500B2 (en) Pack assembly and integrated dog leash
CN105531158A (zh) 具有六个约束点的改进的辅助约束系统
WO2012177298A1 (en) Animal motion control harness
US5588445A (en) Head and neck protector for children
US4571000A (en) Vest type restraining garment
KR200495699Y1 (ko)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US20060213943A1 (en) Character harness with storage pouch
KR102416638B1 (ko)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US20140075722A1 (en) Attachable Fastener Shield
US20110062764A1 (en) Child bodysuit restraining apparatus
KR20170105908A (ko) 힙시트 겸용 아기띠
KR20200000116U (ko) 반려동물 이송용 가방
KR200492559Y1 (ko) 애완 동물용 리드 줄
CN2899492Y (zh) 一种护腰带
KR20220039998A (ko) 애완동물용 하네스
CN217744873U (zh) 一种防坠床肢体保护装置
WO2005039460A1 (en) A sling assembly for supporting an arm of a user
KR20190118502A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