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998A - 애완동물용 하네스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하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998A
KR20220039998A KR1020200122667A KR20200122667A KR20220039998A KR 20220039998 A KR20220039998 A KR 20220039998A KR 1020200122667 A KR1020200122667 A KR 1020200122667A KR 20200122667 A KR20200122667 A KR 20200122667A KR 20220039998 A KR20220039998 A KR 20220039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band
chest
neck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애
Original Assignee
이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애 filed Critical 이정애
Priority to KR1020200122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9998A/ko
Publication of KR2022003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2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13Devices for immobilisation or restraint of animals, e.g. chu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5Quick-couplings, safety-couplings or shock-absorbing devices between leash and colla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착용 시 애완동물에게 상처를 입히지 않으면서 착용이 가능하며, 애완동물이 흥분하여 갑작스런 공격행동 등을 보일 때 하네스에 연결된 리드줄을 당기는 것만으로 하네스가 조여져 애완동물에 자극을 줌으로써 위험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하네스{Harness for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착용 시 애완동물에게 상처를 입히지 않으면서 착용이 가능하며, 애완동물이 흥분하여 갑작스런 공격행동 등을 보일 때 하네스에 연결된 리드줄을 당기는 것만으로 하네스가 조여져 애완동물에 자극을 줌으로써 위험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가족생활의 핵가족화와 서구문명화에 따라 일상생활의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인간과 함께 거주하면서 생활하는 애완동물의 수와 종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애완동물은 대부분 실내에서 자라게 되므로 일정한 주기마다 운동을 시켜주거나 보호자의 산책 시에 동반하며 외부활동을 하게 되지만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애완동물에게 목줄을 채우지 않고 산책을 함께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애완동물의 위해로 인해 타인이 피해를 볼 경우 애완동물 보호자의 책임을 강화하는 동물시행법이 개정되어 목줄을 채우지 않고 애완동물이 외부활동을 하는 경우 벌금을 강화하였다.
때문에, 최근에는 애완동물과 함께 산책을 하거나 외부활동을 할 때 목줄을 필수로 착용하는 것으로 개가 사람의 통제를 벗어나 개보호자가 아닌 타인에게 갑자기 공격적으로 변하여 위해를 가하는 것을 예방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연결띠 형태의 목줄은 애완동물의 머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묶여져 있기 때문에 애완동물을 단속하기에는 용이하나 애완동물의 목 부분의 털이 심하게 눌려 보기가 좋지 않고 애완동물의 목을 강하게 졸라 고통을 유발하게 되었다.
또한, 애완동물에게 스트레스를 주었으며 심한 경우 목에 상처가 생기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어깨줄 형태의 하네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애완동물들은 본능적으로 목에 목줄을 채우거나 목이 당겨짐으로써 보호자의 통제를 인식하는데 하네스를 착용하게 되면 통제받고 있다는 인식을 받지 못해 쉽게 흥분하게 되고 뛰쳐나가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힘이 세고 덩치가 큰 중, 대형견들은 하네스를 착용하면 뛰쳐나가려고 하는 버릇이 있어 힘으로 막지 못한다면 하네스의 착용은 소용없는 것이 된다.
뿐만 아니라, 하네스 착용시키고자 할 때 기존 하네스의 구조 상 애완동물의 앞 쪽 다리를 잡고 끼워야 하므로 움직임이 심한 애완동물은 장착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하네스가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조절을 하는 과정에서 애완동물의 가슴영역을 감싸는 줄이 애완동물의 겨드랑이에 낄 수 있어 실외 보행 시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외 활동 시 애완동물의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위험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통제가 가능한 하네스의 개발이 요구되며, 본 발명이 이에 관한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4678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4037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착용 시 애완동물에게 상처를 입히지 않으면서 착용이 가능하며, 애완동물이 흥분하여 갑작스런 공격행동 등을 보일 때 하네스에 연결된 리드줄을 당기는 것만으로 하네스가 조여져 애완동물에 자극을 줌으로써 위험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애완동물의 목 부분 및 가슴 부분을 감싸는 목 밴드 및 가슴 밴드를 포함하는 착용부; 상기 목 밴드의 양단에 형성되는 두개의 연결부; 일측은 상기 한 쌍의 연결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리드줄에 연결되어 조임을 조절하는 조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임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목 밴드와 상기 가슴 밴드가 연결되는 두개의 고정고리; 상기 고정고리에 끼워지는 조임끈; 상기 조임끈이 상기 두 개의 고정고리에 연결되어 겹쳐진 상태의 조임끈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위치변경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조임조절부; 상기 조임끈의 끝단에 각각 설치되어 리드줄과 연결되는 리드줄 고정고리; 를 포함하며, 상기 조임조절부는 고정고리 방향 또는 리드줄 고정고리 방향으로 으로 위치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목 밴드와 상기 가슴 밴드의 조임력을 조절하고, 상기 리드줄에 의해 상기 조임줄이 당겨지게 되면 상기 고정고리 사이의 폭이 줄어들게 되면서 상기 목 밴드와 상기 가슴 밴드의 조임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이중으로 이루어져 가장자리 부분이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지되, 제1 내지 제2 미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에는 상기 고정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목 밴드 및 상기 가슴 밴드는 상기 연결부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고리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단은 상기 목 밴드와 상기 가슴 밴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조임끈에 연결되는 두 개의 제1 보조 조임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 밴드, 상기 가슴 밴드 및 상기 조임끈에는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 및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 상기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제3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추가로 형성되되, 상기 목 밴드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1 결합부재; 상기 가슴 밴드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조임끈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3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목 밴드 중 상기 연결부와 접하는 부분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가슴 밴드 중 상기 연결부와 접하는 부분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부재는 상기 고정고리의 외측부분의 조임끈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는 목 밴드의 결합 지점에서 상기 조임부재의 결합 지점까지의 구간의 길이 또는 가슴 밴드의 결합 지점에서 상기 조임부재의 결합 지점까지의 구간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되, 상기 목 밴드에 연결 시 상기 리드줄의 당김에 의해 상기 조임줄이 당겨지게 되면 제1 보조 조임부재가 상기 목 밴드를 끌어당겨 애완동물의 목 부분에 자극을 주고, 상기 가슴 밴드에 연결 시 상기 리드줄의 당김에 의해 상기 조임줄이 당겨지게 되면 제1 보조 조임부재가 상기 가슴 밴드를 끌어당겨 애완동물의 가슴 부분에 자극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슴 밴드에는 체결을 위한 버클 및 길이조절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목에 연결되는 목 밴드를 애완동물의 머리에 씌운 후 가슴 밴드를 체결하는 것으로 착용이 완료되어 움직임이 활발한 애완동물에게도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평상 시 하네스가 애완동물에게서 이탈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유지하다가 위험상황 발생 시 하네스에 연결된 리드줄을 당기는 것만으로 목 밴드 및 가슴 밴드가 조여져 애완동물을 통제함으로써 위험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목 밴드와 가슴 밴드의 조임을 위해 조임부와 연결될 수 있는 제1 보조 조임부재가 형성됨으로써 선택적으로 목 밴드 또는 가슴 밴드에 자극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목 밴드와 가슴 밴드의 조임을 위해 조임부와 연결될 수 있는 제1 보조 조임부재가 연결부를 통과하여 가려지므로 조임을 위해 목 밴드 및 가슴 밴드가 조여짐으로 인해 보조 조임부재가 당겨질 때 애완동물의 털이 감기거나 피부가 쓸려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목 밴드, 가슴 밴드 및 조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형태를 하트, 별 등 다양하게 디자인 가능함으로써 외관상 미려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조임조절부의 조절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고정고리에 의한 조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제1 보조 조임부재의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제1 보조 조임부재에 의한 조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제1 보조 조임부재에 의한 조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단면을 도시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제1 보조 조임부재의 연결을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연결부가 형성된 상태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6은 연결부, 목밴드, 가슴밴드 등이 안쪽으로 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이것은 제1 보조 조절부재의 길이를 표현하기 위한 것일 뿐, 연결부, 목밴드, 가슴밴드 등은 애완동물의 몸통을 감싸면서 착용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애완동물의 목과 가슴부분에 채울 수 있는 착용부(100), 연결부(200) 및 조임부(300)가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착용부(100)는 목 밴드(110)와 가슴 밴드(120)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목 밴드(110)는 목과 앞다리 사이에 위치되고 가슴 밴드(120)는 앞다리 후방 가슴부분에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목 밴드(110) 및 상기 가슴 밴드(120)는 가죽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아울러, 목 밴드(110) 및 상기 가슴 밴드(120)의 내부에는 쿠션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가슴 밴드(120)에는 체결을 위한 버클(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버클(121)의 일단에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조절부재(미도시)가 형성되어 길이조절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버클(121) 및 길이조절부재는 공지된 기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목 밴드(110) 및 가슴 밴드(120)의 양 단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두 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00)는 이중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되, 상기 목 밴드(110)와 상기 가슴 밴드(120)가 상기 연결부(200) 사이로 삽입된 상태로 일체로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200)는 이중으로 이루어져 가장자리 부분이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지되, 제1 내지 제4 미결합부(210, 220, 230, 24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미결합부(210, 220)에는 조임부의 고정고리(31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미결합부(230)에는 목 밴드(110)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4 미결합부(230, 240)는 상기 목 밴드(110) 및 상기 가슴 밴드(120)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고리(3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3 미결합부(230)와 상기 목 밴드(110) 및 상기 제4 미결합부(240)와 상기 가슴밴드는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기 목 밴드(110)와 상기 가슴 밴드(120)가 연결된 상기 연결부(200)의 제3, 4 미결합부가 결합된 상태가 아니고 미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목 밴드(110), 가슴밴드(120), 상기 조임끈(320), 상기 고정고리(3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교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00)는 클로버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리드줄(500)을 당겼을 때 목 밴드(110)와 가슴 밴드(120)가 고정된 고정고리(310)에 애완동물의 털이 끼이거나 피부에 자극을 주어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상 미려함을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200)는 가죽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앙에 로고 또는 애완동물의 호칭 등을 각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조임부(300)는 일측이 상기 한 쌍의 연결부(200)와 연결되며 타단은 리드줄(500)에 연결되어 조임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고리(310), 조임끈(320) 및 조임조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고리(310)는 연결부(200)과 연결되는 것으로 원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고정고리(310)는 상기 연결부(200) 사이에 결합되지 않은 두 곳의 제1, 2미결합부를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임끈(320)은 상기 고정고리(310)에 끼워지는 것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고리(310)에서 고정되지 않고 걸쳐지는 형태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고리(310)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보호자가 좌우로 이동할 때 고정고리(310) 상에서 조임끈(320)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리드줄 고정고리(340)은 상기 조임끈(320)의 끝단에 설치되어 리드줄(500)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D 형의 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조절부(330)는 상기 조임끈(320)이 상기 고정고리(310)에 연결되어 양단이 서로 겹쳐진 상태의 조임끈(3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위치변경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임조절부(330)는 고정고리(310) 방향 또는 리드줄 고정고리(340)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목 밴드(110)와 상기 가슴 밴드(120)의 조임력이 달라지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임끈(320)은 상기 고정고리(310)와 상기 조임연결부(200)을 꼭지점으로 하여 삼각형 형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임연결부(200)을 상기 고정고리(310) 방향으로 위치이동 시키면 고정고리(310) 및 조임연결부(200) 상에 위치된 조임끈(32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고리(310) 사이의 폭도 짧아지게 되므로 목 밴드(110) 및 가슴밴드의 조임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조임조절부(330)를 상기 리드줄 고정고리(340)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면 고정고리(310) 및 조임연결부(200) 상에 위치된 조임끈(32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목 밴드(110) 및 가슴밴드의 조임이 느슨해지는 것으로 상기 조임연결부(200)을 통해 애완동물에게 하네스를 착용시킨 후 몸의 크기에 맞게 길이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원발명의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애완동물에게 착용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착용 후에는 애완동물이 불편감을 덜 느끼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리드줄(500)에 의해 상기 조임끈(320)이 당겨지게 되면 상기 고정고리(310) 사이의 폭이 줄어들게 되면서 상기 목 밴드(110)와 상기 가슴 밴드(120)의 조임력이 향상되어 애완동물이 갑작스럽게 돌출행동을 보일 때 리드줄(500)을 당기는 것으로 간단하게 통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목 밴드(110), 가슴 밴드(120), 연결부(200) 및 조임부(300)의 구성은 동일할 수 있으나, 구성요소가 일부 추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애완동물용 하네스에는 2 개의 제1 보조 조임부재(4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400)는 일단이 상기 조임끈(32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목 밴드(110)와 상기 가슴 밴드(12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무줄, 자바라 등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조임끈(320), 고정고리(310), 목밴드(110) 또는 가슴 밴드(120)상에서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400)가 결합되는 구간의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보조 조임부재(400)는 목 밴드(110)의 결합 지점에서 상기 조임끈(320)의 결합 지점까지의 구간의 길이 또는 가슴 밴드(120)의 결합 지점에서 상기 조임끈(320)의 결합 지점까지의 구간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것이다.
만약, 제1 보조 조임부재(400)가 상기 목 밴드(110)의 결합 지점에서 상기 조임끈(320)의 결합 지점까지의 구간의 길이 또는 가슴 밴드(120)의 결합 지점에서 상기 조임끈(320)의 결합 지점까지의 구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면 리드줄(500)을 당겼을 때 제1 보조 조임부재(400)에 의해 목 밴드(110)가 당겨지는 것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해 목 밴드(110) 또는 가슴 밴드(120)로의 자극을 더 주기 위한 제1 보조 조임부재(400)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400)는 양단에는 상기 목 밴드(110), 상기 가슴 밴드(120) 및 조임끈(320)과 결합되는 결합수단(41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400)의 결합수단(140)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목 밴드(110), 가슴 밴드(120) 및 조임끈(320)에는 결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결합부재는 목 밴드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재(115)와 상기 가슴 밴드(120)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125) 및 제3 결합부재(32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재(115)는 상기 연결부(200)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목 밴드(110) 중 상기 연결부(200)와 접하는 부분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부재(125)는 상기 연결부(200)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가슴 밴드(120) 중 상기 연결부(200)와 접하는 부분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3 결합부재(325)는 조임끈 중 상기 고정고리(310)의 외측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2 결합부재(115, 125) 및 제3 결합부재(325)는 고리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고 상기 결합수단도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결합 형태는 제한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조임끈(320)에 형성된 두 개의 제3 결합부재(325)와 이에 각각 연결된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400)의 결합수단(410)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된 상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400)를 상기 목 밴드(110) 및 상기 가슴 밴드(120)에 용이하게 결합하고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제3 결합부재(325)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400)가 회동될 수 있는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400)는 상기 연결부(200) 사이로 삽입되지 않고 상기 조임부(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200)의 외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목 밴드(110) 또는 가슴 밴드(120)의 제1, 2 결합부재(115, 125)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원발명의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400)가 연결된 목 밴드(110)와 가슴 밴드(120) 중 하나는 연결되고 연결된 부분에 순간적인 자극이 가해질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보조 조임부재(400)의 결합수단(410)이 상기 목 밴드(110)의 제1 결합부재(115)에 연결된 경우 상기 리드줄(500)의 당김에 의해 상기 조임끈(320)이 당겨지게 되면 상기 고정고리(310) 사이의 폭이 줄어들면서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400)도 함께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목 밴드(110)를 끌어당겨 애완동물의 목 부분에 순간적으로 자극을 주는 것이다.
또는, 제1 보조 조임부재(400)가 가슴 밴드(120)의 제2 결합부재(125)에 연결된 경우, 상기 리드줄(500) 당김에 의해 상기 조임끈(320)이 당겨지면 상기 고정고리(310) 사이의 폭이 줄어들면서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400)도 함께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가슴 밴드(120)를 끌어당겨 순간적으로 애완동물의 가슴 부분에 자극을 주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400)에 의해 순간적으로 목 밴드(110) 또는 가슴 밴드(120)에 자극을 주기 때문에 상기 고정고리(310)에 의해 목 밴드(110) 및 가슴 밴드(120)의 급격한 조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애완동물의 갑작스런 돌출행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착용상태를 살펴보면, 애완동물의 목에 목 밴드(110)를 착용시키고 가슴부분에 가슴 밴드(120)를 착용시키게 되면 상기 목 밴드(110)와 상기 가슴 밴드(120)는 상기 고정고리(310)에 의해 느슨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조임조절부(330)의 슬라이딩을 통해 조임력을 조절할 수 있고, 조임끈(320)에 형성된 상기 제3 결합부재(325)에 의해 상기 고정고리(310)가 상기 조임끈(310)상에서 너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강도의 조임력을 유지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 조임부재(400)를 목 밴드(110) 또는 가슴 밴드(120)에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애완동물의 크기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대형견을 포함하는 덩치가 큰 애완동물을 산책시키는 경우에는 제1 보조 조임부재(400)를 목 밴드(110)에 연결하고, 소형견을 포함하여 덩치가 비교적 작은 애완동물을 산책시키는 경우에는 가슴 밴드(120)에 제1 보조 조임부재(400)를 연결할 수 있다.
만약, 중·대형견을 포함하는 덩치가 큰 애완동물을 산책시키기 위해 제1 보조 조임부재(400)를 목 밴드(110)에 연결하는 경우, 위험상황이 발생했을 때 리드줄(500)을 당기게 되면 조임끈(320)이 당겨지면서 고정고리의 폭이 줄어들게 되고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400)가 신축성에 의해 늘어나면서 목 밴드(110)를 당겨 애완동물이 착용하고 있는 목 밴드에 순간적인 자극이 가해지는 것이다.
그 후 지속적으로 리드줄(500)을 당기게 되면 느슨했던 제1 결합부재(115) 지점부터 제3 결합부재(325) 지점까지의 구간이 팽팽해지고 그 순간부터는 고정고리에 연결된 목 밴드(110)와 가슴 밴드(120)가 동시에 당겨짐으로써 조임력이 향상되어 애완동물을 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 보조 조임부재(400)를 목 밴드(110)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먼저 목 밴드(110)에 순간적인 자극을 주게 되는 것이다.
만약, 소형견을 포함하여 덩치가 비교적 작은 애완동물을 산책시키기 위해 가슴 밴드(120)에 제1 보조 조임부재(400)를 연결하는 경우, 위험상황이 발생했을 때 리드줄(500)을 당기게 되면 조임끈(320)이 당겨지면서 고정고리(310)의 폭이 줄어들면서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400)가 가슴 밴드(120)를 당겨 애완동물이 착용하고 있는 가슴 밴드(120)에 순간적인 자극이 가해지는 것이다.
그 후 지속적으로 리드줄(500)을 당기게 되면 제2 결합부재(125)에서 제3 결합부재(325) 사이의 구간이 팽팽해지고 그 순간부터는 고정고리(310)에 연결된 목 밴드(110)와 가슴 밴드(120)가 동시에 당겨짐으로써 조임력이 향상되어 애완동물을 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 보조 조임부재(400)가 가슴 밴드(120)에 연결되는 경우 리드줄(500)을 당김으로써 가슴 밴드(120)를 조여줌과 동시에 애완동물을 살짝 들어 올리는 동작을 함으로써 위험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한 번설명하면, 조임끈(320)이 당겨지면 1차적으로 제1 보조 조임부재(400)가 당겨지게 되어 목 밴드(110) 또는 가슴밴드가 직접적으로 당겨지게 되고, 2차적으로 목 밴드(110)와 가슴 밴드(120)가 함께 조여지는 것이다.
이렇게, 제1 보조 조임부재(400)가 먼저 당겨지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제1 보조 조임부재(400)의 길이가 제1 결합부재(115)와 제3 결합부재(325) 사이 구간 또는 제2 결합부재(125)와 제3 결합부재(325) 사이의 구간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400)에 신축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보조 조임부재(400)에 의해 목 밴드(110) 또는 가슴 밴드(120)중 하나가 먼저 당겨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느슨했던 제1 결합부재(115)와 제3 결합부재(325) 사이 구간 또는 제2 결합부재(125)와 제3 결합부재(325) 사이의 구간이 팽팽해지면 그 순간부터는 조임끈(320)의 당겨짐에 의해 목 밴드(110)와 가슴 밴드(120)가 함께 당겨지는 것이다.
이에 때라 애완동물의 목 부분만 강한 자극을 주어 당기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자극을 주는 것이 가능하며 애완동물의 안전을 위협하지 않는 상태에서 동발상황을 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착용부
200: 연결부
300: 조임부

Claims (5)

  1. 애완동물의 목 부분 및 가슴 부분을 감싸는 목 밴드 및 가슴 밴드를 포함하는 착용부;
    상기 목 밴드의 양단에 형성되는 두개의 연결부;
    일측은 상기 한 쌍의 연결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리드줄에 연결되어 조임을 조절하는 조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임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목 밴드와 상기 가슴 밴드가 연결되는 두개의 고정고리;
    상기 고정고리에 끼워지는 조임끈;
    상기 조임끈이 상기 두 개의 고정고리에 연결되어 겹쳐진 상태의 조임끈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위치변경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조임조절부;
    상기 조임끈의 끝단에 각각 설치되어 리드줄과 연결되는 리드줄 고정고리; 를 포함하며,
    상기 조임조절부는 고정고리 방향 또는 리드줄 고정고리 방향으로 으로 위치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목 밴드와 상기 가슴 밴드의 조임력을 조절하고,
    상기 리드줄에 의해 상기 조임줄이 당겨지게 되면 상기 고정고리 사이의 폭이 줄어들게 되면서 상기 목 밴드와 상기 가슴 밴드의 조임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이중으로 이루어져 가장자리 부분이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지되, 제1 내지 제2 미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에는 상기 고정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목 밴드 및 상기 가슴 밴드는 상기 연결부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고리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3.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목 밴드와 상기 가슴 밴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조임끈에 연결되는 두 개의 제1 보조 조임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 밴드, 상기 가슴 밴드 및 상기 조임끈에는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 및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 상기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제3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추가로 형성되되,
    상기 목 밴드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1 결합부재;
    상기 가슴 밴드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조임끈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3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목 밴드 중 상기 연결부와 접하는 부분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가슴 밴드 중 상기 연결부와 접하는 부분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부재는 상기 고정고리의 외측부분의 조임끈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재는
    목 밴드의 결합 지점에서 상기 조임부재의 결합 지점까지의 구간의 길이 또는 가슴 밴드의 결합 지점에서 상기 조임부재의 결합 지점까지의 구간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되,
    상기 목 밴드에 연결 시 상기 리드줄의 당김에 의해 상기 조임줄이 당겨지게 되면 제1 보조 조임부재가 상기 목 밴드를 끌어당겨 애완동물의 목 부분에 자극을 주고,
    상기 가슴 밴드에 연결 시 상기 리드줄의 당김에 의해 상기 조임줄이 당겨지게 되면 제1 보조 조임부재가 상기 가슴 밴드를 끌어당겨 애완동물의 가슴 부분에 자극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 밴드에는 체결을 위한 버클 및 길이조절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KR1020200122667A 2020-09-23 2020-09-23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220039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667A KR20220039998A (ko) 2020-09-23 2020-09-23 애완동물용 하네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667A KR20220039998A (ko) 2020-09-23 2020-09-23 애완동물용 하네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998A true KR20220039998A (ko) 2022-03-30

Family

ID=8094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667A KR20220039998A (ko) 2020-09-23 2020-09-23 애완동물용 하네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99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8753A1 (ja) * 2022-06-06 2023-12-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動物用胴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037Y1 (ko) 2017-03-28 2017-07-24 최광용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190104678A (ko) 2018-03-02 2019-09-11 유남석 애완동물용 하네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037Y1 (ko) 2017-03-28 2017-07-24 최광용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190104678A (ko) 2018-03-02 2019-09-11 유남석 애완동물용 하네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8753A1 (ja) * 2022-06-06 2023-12-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動物用胴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33588B2 (en) Device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a four-legged animal
JP4858742B2 (ja) ペットの胴輪
US9173379B1 (en) Harnesses for dogs and other animals
WO2012177298A1 (en) Animal motion control harness
KR102416638B1 (ko)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200001165U (ko) 애완 동물용 하네스
KR20220039998A (ko) 애완동물용 하네스
KR102319544B1 (ko) 반려동물용 하네스
US20200163309A1 (en) Safe and Humane Animal Head Collar
KR200495699Y1 (ko)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KR102232712B1 (ko) 사전교감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220118626A (ko)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사용되는 부착형 사전교감부
KR200492559Y1 (ko) 애완 동물용 리드 줄
JP6550364B2 (ja) ペット用ハーネス
CN215992356U (zh) 一种宠物衣服
KR102533947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애완 동물용 견인줄
KR20190042815A (ko) 애견용품 강아지 h형 하네스
CN203040807U (zh) 一种自动松紧腰带
CN218921279U (zh) 一种猫咪绝育服
CN206024842U (zh) 一种宠物胸背带
KR20160053692A (ko)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
TWM654037U (zh) 寵物用胸背帶
KR20230061756A (ko)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220139597A (ko)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230024591A (ko) 반려동물 제어용 하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