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638B1 -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 Google Patents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638B1
KR102416638B1 KR1020210072529A KR20210072529A KR102416638B1 KR 102416638 B1 KR102416638 B1 KR 102416638B1 KR 1020210072529 A KR1020210072529 A KR 1020210072529A KR 20210072529 A KR20210072529 A KR 20210072529A KR 102416638 B1 KR102416638 B1 KR 102416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et
sympathetic
harness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애
Original Assignee
이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애 filed Critical 이정애
Priority to KR1020220013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4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2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5Quick-couplings, safety-couplings or shock-absorbing devices between leash and colla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줄을 당겨 애완동물을 통제하는 과정에서 1차적으로 소정의 탄성 견인력을 사전에 제공함으로써 소정의 탄성 견인력이 가해질 때 통제 상태임을 인지하도록 반복 학습을 유도하고, 보호자와 애완동물 사이의 사전 교감이 가능토록 하여 리드줄이 당겨짐에 따른 스트레스 및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애완동물 스스로 통제력을 키울 수 있도록 보조하는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Pre-communer and pet harnes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자의 의도를 애완동물에게 사전에 전달하여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애완동물과 함께 산책을 하거나 외부활동을 할 때 목줄을 필수로 착용하는 것으로 개가 사람의 통제를 벗어나 개보호자가 아닌 타인에게 갑자기 공격적으로 변하여 위해를 가하는 것을 예방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연결띠 형태의 목줄은 애완동물의 머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묶여져 있기 때문에 애완동물을 단속하기에는 용이하나 애완동물의 목 부분의 털이 심하게 눌려 보기가 좋지 않고 애완동물의 목을 강하게 졸라 고통을 유발하게 되었다.
즉, 애완견이 몸을 강제로 움직이려 하면 할수록 애완견의 몸을 구속하는 관계로, 보호자에게는 애완견의 통제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겠으나, 애완동물에게는 신체 또는 정서상의 부정적인 영향이 뒤따랐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애완동물의 신체 구속을 최소화시키는 구조로서 애완동물의 몸통 전반적인 부분에 착용하는 형태의 하네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애완동물들은 본능적으로 목에 목줄을 채우거나 목이 당겨짐으로써 보호자의 통제를 인식하는데 하네스를 착용하게 되면 전술한 연결띠 형태의 목줄 대비 통제받고 있다는 인식을 받지 못해 쉽게 흥분하게 되고 뛰쳐나가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로, 하네스를 착용하게 되면 애완동물을 통제하기 어려워기 때문에 보호자는 리드줄을 더욱 세게 통제하려 들기 때문에, 이때, 리드줄을 당기는 작용에 상응하는 반작용력에 의한 외력이 애완동물의 신체로 직접 가해지게 되는바, 애완동물이 하네스를 착용하면 스트레스가 쌓이고, 자유로운 움직임에 대해 트라우마를 겪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 하네스의 경우, 단순히, 애완동물이 느끼는 착용감, 착용 용이성 등을 개선하고 있는 수준에 그칠 뿐이어서, 애완동물의 감정적인 부분까지 충분히 고려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19-010467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리드부를 당기게 되면 사전교감부가 적정 수준까지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다가 한계지점에서는 더 이상 탄성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리드부에 연결된 연결밴드를 통해 신축성 없는 목 밴드나 가슴 밴드에 직접적으로 견인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해 애완동물을 제한된 범위 내에서 제어할 수 있고, 사전교감부의 과도한 신장에 의한 파손, 소성변형 등을 막을 수 있는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신축가능한 재질로,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양 단이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결합되는 사전교감부로서, 움직이는 애완동물에게 1차적으로 견인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전교감부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전방의 상부에서 애완동물의 등을 좌우측으로 가로지르도록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전교감부의 좌우 양 단은 각각 애완동물 하네스의 외측에 결합되고 결합된 좌우 양 단 부분을 제외한 구간은 리드부에 마련된 걸림수단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전교감부는, 신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탄성바디; 상기 탄성바디의 일단에 형성되어 애완동물 하네스에 형성된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1 결착수단; 상기 탄성바디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결착수단이 결합되지 아니한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2 결착수단; 및 상기 탄성바디의 중앙에 형성되어 리드부의 걸림수단으로 당겨져 걸림되는 폐쇄링 형태의 고정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결착수단과 제2 결착수단은 체결구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결착수단과 제2 결착수단은 체결구 상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전교감부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전교감부는 고무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전교감부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끈, 도형 및 기하학적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있어서, 애완동물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결합되는 끈 형태로, 외측으로 걸림수단이 형성되는 리드부; 및 신축가능한 재질로,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양 단이 상기 착용부에 각각 결합되고 양 단 사이 구간의 일부분이 상기 걸림수단으로 당겨져 걸림되어 움직이는 애완동물에게 1차적으로 견인력을 가하는 사전교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용부는, 애완동물의 흉부 전방을 감싸며 좌우측으로 제1, 2 체결구가 형성되는 목 밴드; 애완동물의 흉부 후방을 감싸는 가슴 밴드; 상기 목 밴드와 가슴 밴드를 연결하여 애완동물의 흉부 상단을 가로지르며 외측으로 고리지지대가 형성되는 연결밴드; 및 상기 고리지지대에 결합되며 외측으로 리드부가 연결되는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부는, 일단에 핸들이 형성되고 타단 외측으로 상기 걸림수단이 결합되는 리드끈; 및 상기 리드끈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재에 결착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전교감부의 양 단은 각각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에 결합되고 결합된 양 단 부분을 제외한 구간에서는 상기 목 밴드로부터 탄성적으로 이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전교감부는, 신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탄성바디; 상기 탄성바디의 일단에 형성되어 목 밴드에 형성된 제1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1 결착수단; 상기 탄성바디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결착수단이 결합되지 아니한 제2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2 결착수단; 및 상기 탄성바디의 중앙에 형성되어 리드부의 걸림수단으로 당겨져 걸림되는 폐쇄링 형태의 고정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체결구 및 제2 체결구는 각각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목 밴드에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수단은 리드끈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리드부를 당기게 되면 사전교감부가 적정 수준까지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다가 한계지점에서는 더 이상 탄성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리드부에 연결된 연결밴드를 통해 신축성 없는 목 밴드나 가슴 밴드에 직접적으로 견인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해 애완동물을 제한된 범위 내에서 제어할 수 있고, 사전교감부의 과도한 신장에 의한 파손, 소성변형 등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드줄을 당겨 애완동물을 통제하는 과정에서 1차적으로 소정의 탄성 견인력을 사전에 제공함으로써 소정의 탄성 견인력이 가해질 때 통제 상태임을 인지하도록 반복 학습을 유도하고, 보호자와 애완동물 사이의 사전 교감이 가능토록 하여 리드줄이 당겨짐에 따른 스트레스 및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애완동물 스스로 통제력을 키울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사전교감부가 최대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사전교감부가 걸림수단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정면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은 사전교감부의 압축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리드부의 당겨짐에 따라 사전교감부가 최대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체결구 및 걸림수단이 복수 개로 배열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사전교감부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애완동물 하네스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착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사전교감부가 최대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전교감부가 걸림수단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착용부의 다른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신축가능한 재질로서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양 단이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결합되는 사전교감부(10) 및 이 사전교감부(10)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이하 하네스라 함)로서, 이하에서는 먼저, 사전교감부(10)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사전교감부(10)는 다양한 구조의 하네스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하네스를 착용한 애완동물이 갑작스럽게 움직일 경우 움직이는 애완동물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해 보호자에게 가해지는 견인력을 1차적으로 완충한다거나, 반대로, 애완동물이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보호자가 리드줄을 당기게 될 때, 하네스로 가해지는 견인력을 1차적으로 완충하고, 이때, 애완동물을 향해 소정의 탄성 견인력을 1차적으로 가함으로써 애완동물에 갑작스럽게 과도한 견인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보호자의 의도를 애완동물에게 사전에 전달하여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 사전교감부(10)는 다양한 종류의 하네스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네스에서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네스 상에 완전히 고정되어 하네스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사전교감부(10)는 하네스의 전방의 상부에서 애완동물의 등을 좌우측으로 가로지르도록 하네스에 결합되어, 좌우 양 단은 각각 하네스 착용부 외측에 결합되고 결합된 좌우 양 단 부분을 제외한 구간에서는 하네스의 착용부(100)로부터 이격되어, 리드부(200)에 마련된 걸림수단(211)에 걸림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전교감부(10)는 신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탄성바디(11), 상기 탄성바디(11)의 일단에 형성되어 애완동물 하네스에 형성된 체결구(제1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1 결착수단(12) 및 상기 탄성바디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결착수단(12)이 결합되지 아니한 체결구(제2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2 결착수단(1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즉, 탄성바디(11)의 일단에는 제1 결착수단(12)이, 타단에는 제2 결착수단(13)이 각각 형성되어 이 제1 결착수단(12)과 제2 결착수단(13)이 하네스의 착용부(100) 상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네스에는 제1 결착수단(12)과 제2 결착수단(13)이 연결 설치되기 위한 체결구가 마련되거나, 또는 체결구를 별도 마련하지 않은 하네스의 경우엔, 제1 결착수단(12)과 제2 결착수단(13) 자체가 하네스의 외면을 파지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집게 형태 등의 구조로서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착수단(12)과 제2 결착수단(13)은 체결구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 결착수단(12)과 제2 결착수단(13)은 체결구 상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하네스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바디(11)의 중앙에는 폐쇄링 형태의 고정루프(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루프(14)가 리드부(200)의 걸림수단(211)으로 당겨져 걸림수단(211)에 걸림될 수 있다.
이에, 탄성바디(11)의 양 단이 체결구 상에 고정되고 중앙의 고정루프(14)가 리드부(200)의 걸림수단(211)에 걸림되는 구조가 되어 리드부(200)를 여러 방향으로 당기거나 혹은 애완동물이 불특정한 방향으로 주행하더라도 탄성바디(11)가 리드부(200) 상에서 슬립되지 아니하는 구조가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애완동물에게 1차적인 견인력을 가할 수 있다.
사전교감부(10)는 하네스에 결합된 제1 결착수단(12)과 제2 결착수단(13)을 제외한 양 단 사이 구간의 일부분, 즉, 고정루프(14)가 탄성바디(11)의 탄성변형에 의해 리드부(200)의 걸림수단(211)으로 당겨져 걸림되어 움직이는 애완동물에게 1차적으로 견인력을 가하게 되는 구조로서, 사전교감부(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사전교감부(10) 자체를 하네스로부터 완전히 분리시켜 놓을 필요 없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수단(211)에 걸려진 탄성바디(11)의 고정루프(14)를 걸림수단(211)으로부터 분리시켜 놓으면 사전교감부(10) 자체가 리드부(200)와의 연결이 해제되면서 하네스에 사전교감부(10)의 작용이 미치지 않게 되고 동시에, 하네스에 사전교감부(10)가 결합 유지되므로 사전교감부(10)를 별도 보관할 필요 없이도 분실을 간편하게 방지할 수 있다.
탄성바디(11)는 길이방향으로 유연하게 신축가능한 구성으로, 보호자가 리드부(200)를 잡아 당기면 이에 대응하여 신장되고, 잡아 당기는 리드부(200)를 놓게 되면 신속하게 수축될 수 있는 코일스프링, 고무줄과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밴드, 끈, 도형 등과 같은 획일적인 형태 외에도 탄성을 지니는 루프 형태, 기하학적인 입체 형태 등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즉, 사전교감부(10)를 하네스에 미적 요소를 부가하기 위한 악세사리 용도로서 활용함으로써 하네스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꾸밀 수도 있다.
사전교감부(10)의 구체적인 구조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하네스(20)의 구조 설명이 불가분에 있으므로, 이하, 하네스(20)의 설명에서 이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2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착용부(100), 리드부(200) 및 사전교감부(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착용부(100)는 애완동물의 신체에 착용되는 부분으로, 외측으로 리드부(200) 및 사전교감부(10)가 결합될 수 있다. 리드부(200)는 보호자가 파지하는 긴 끈 형태의 부재로, 통상의 리드줄을 의미할 수 있다. 리드부(200)의 외측으로는 사전교감부(10)가 당겨져 걸리는 걸림수단(211)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착용부(100)는 애완동물의 종,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일례로, 애완동물의 흉부 전방을 감싸며 좌우측으로 제1 체결구(111) 및 제2 체결구(112)가 형성되는 목 밴드(110), 애완동물의 흉부 후방을 감싸는 가슴 밴드(120), 상기 목 밴드(110)와 가슴 밴드(120)를 연결하여 애완동물의 흉부 상단을 가로지르며 외측으로 고리지지대(131)가 형성되는 연결밴드(130) 및 상기 고리지지대(131)에 결합되며 외측으로 리드부(200)가 연결되는 고리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목 밴드(110)와 가슴 밴드(120)는 각각 애완동물의 목 부분과 가슴 부분을 충분히 감싸는 길이의 끈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 단을 연결시키도록 벨크로, 버클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목 밴드(110), 가슴 밴드(120) 및 연결밴드(130)는 사전교감부(10)와 달리 신축성이 없는 직물 또는 가죽으로 이루어져 애완동물의 신체를 견고히 감싸 구속한다.
목 밴드(110)에 형성된 제1 체결구(111)는 도 6을 기준으로 목 밴드(110)의 좌측에, 제2 체결구(112)는 목 밴드(110)의 우측 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구(111)로는 사전교감부(10)의 제1 결착수단(12)이 결합되고, 제2 체결구(112)로는 사전교감부(10)의 제2 결착수단(13)이 결합되어질 수 있다.
착용부(100)가 애완동물의 신체에 착용되면 목 밴드(110)는 애완동물의 목과 앞다리 사이를 좌우로 가로지르고, 가슴 밴드(120)는 앞다리 후방 가슴 부위를 좌우로 가로지르고, 연결밴드(130)는 애완동물의 척추부위를 전후로 가로지를 수 있다.
착용감을 고려해 목 밴드(110), 가슴 밴드(120) 및 연결밴드(130)의 애완동물 신체를 향하는 면에는 쿠션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목 밴드(110)와 가슴 밴드(120)에는 그 길이를 선택적으로 분절하거나 또는 길이조절을 위한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목 밴드(110)와 가슴 밴드(120)는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개별 구성으로써 연결밴드(130)를 통해 서로 연결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연결밴드(130)는 목 밴드(110), 가슴 밴드(120) 및 리드부(200)를 상호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리드부(200)는 일단에 핸들(미도시)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걸림수단(211)이 결합되는 리드끈(210) 및 상기 리드끈(210)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재(140)에 결착되는 걸이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리드끈(21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핸들은 보호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부분이고, 리드끈(210)의 외측으로 형성된 걸림수단(211)에는 사전교감부(10)가 당겨져 걸림되어진다.
걸이부재(220)는 고리부재(140)에 선택적으로 결착 가능한 통상의 비너 구조로서, 고리부재(140)에 결착되어진 걸이부재(220)가 고리부재(140)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리드부(200)와 착용부(10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걸림수단(211)은 착용부(100)에 고정 결합된 사전교감부(10)의 고정루프(14)를 당겨서 걸 수 있는 선에서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걸림수단(211)은 리드끈(210)을 타고 리드끈(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춘다.
예컨대, 걸림수단(211)은 리드끈(210)이 통과하는 이동링(211a) 및 상기 이동링(211a)의 외측에 형성되며 탄성바디(11)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루프(14)가 걸리는 고정후크(211b)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상기 고정후크(211b)는 갈고리 형태, 돌기 형태, 비너 구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탄성바디(11)의 양 단이 상기 착용부(100)에 각각 고정 결합되고, 고정루프(14)가 상기 걸림수단(211)의 고정후크(211b)로 당겨져 걸림되는 구조가 되며, 이때, 걸림수단(211) 자체가 리드끈(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므로, 보호자가 리드끈(210)을 여러 방향으로 당기거나 혹은 애완동물이 불특정한 방향으로 주행하더라도, 사전교감부(1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한 1차 견인력이 애완동물에게 과도하게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전교감부(10)는 신축가능한 재질로서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양 단이 착용부(100)에 결합된다.
예컨대, 상기 사전교감부(10)의 양 단은 제1 체결구(111)와 제2 체결구(112)에 각각 결합되고 결합된 양 단 부분을 제외한 구간에서는 상기 목 밴드(110)로부터 탄성적으로 이격 가능하게 구성되어 리드끈(210)에 형성된 걸림수단(211)까지 당겨져 걸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사전교감부(10)는 하네스(20)를 착용한 애완동물이 갑작스럽게 움직일 경우 움직이는 애완동물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해 보호자에게 가해지는 견인력을 1차적으로 완충한다거나, 반대로, 애완동물이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보호자가 리드줄을 당기게 될 때, 하네스(20)로 가해지는 견인력을 1차적으로 완충함으로써 애완동물에 과도한 견인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애완동물에게 소정의 탄성 견인력으로써 1차적으로 견인력을 가해 보호자의 의도를 애완동물에게 사전에 전달하여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 사전교감부(10)는 다양한 종류의 하네스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착용부(100)에서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경우에 따라서는 착용부(100) 상에 완전히 고정되어 하네스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전교감부(10)는 신축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탄성바디(11), 상기 탄성바디(11)의 양 단에 형성되어 애완동물 하네스(20)에 착탈 가능하게 또는 완전히 고정되게 결합되는 제1, 2 결착수단(12,1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착수단(12)은 탄성바디(11)의 일단에 형성되어 착용부(100)의 목 밴드(110)에 형성된 제1 체결구(111)에 결합되고, 제2 결착수단(13)은 탄성바디(11)의 타단에 형성되어 제1 결착수단(12)이 결합되지 아니한 제2 체결구(112)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바디(11)는 길이방향으로 유연하게 신축가능한 구성으로, 양 단이 목 밴드(110)에 고정되고, 중간 지점이 리드부(200)를 향해 당겨져 리드끈(210)에 형성된 걸림수단(211)에 걸림되는 구조다.
예컨대, 탄성바디(11)의 중앙에는 폐쇄링 형태의 고정루프(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루프(14)가 리드부(200)의 걸림수단(211)으로 당겨져 걸림수단(211)에 걸림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사전교감부(10)를 리드부(200)의 걸림수단(211)에서 이격시켜 놓을 경우, 사전교감부(1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하여 목 밴드(110)에 밀착된 상태가 되어 애완동물에게 이물감을 최소화시키는 구조가 되고, 동시에 리드부(200)와의 불필요한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사전교감부(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사전교감부(10) 자체를 하네스(2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켜 놓을 필요 없이 걸림수단(211)의 고정후크(211b)에 걸림된 고정루프(14) 부분만 분리시켜 놓으면 하네스(20)에 사전교감부(10)의 작용이 미치지 않게 되고 동시에, 하네스(20)에 사전교감부(10)가 결합 유지되므로 사전교감부(10)를 별도 보관할 필요 없이도 분실을 간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사전교감부(10)가 목 밴드(110)를 감싸는 구조가 되어 애완동물이 사전교감부(10)를 물고 뜯을 수 없는 위치에 고정되어 사전교감부(10)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전교감부(1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사전교감부(10)를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 부분의 고정루프(14)를 손으로 잡아 올려 걸림수단(211)의 고정후크(211b)에 걸어주기면 하면 사전교감부(10)를 리드부(200)와 착용부(100) 사이에 간편하게 연결 구성할 수 있다.
사전교감부(10)가 걸림수단(211)에 걸린 상태에서는 보호자가 리드부(200)를 잡아 당기면 이에 대응하여 사전교감부(10)가 신장되고, 잡아 당기는 리드부(200)를 놓게 되면 신속하게 수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2 결착수단(12,13) 및 이 제1, 2 결착수단(12,13)이 연결 결합되는 체결구(제1,2 체결구)는 서로 탈부착 가능한 선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2 결착수단(12,13)과 체결구는 스냅단추, 찍찍이, 암수 돌기 결합구조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제1, 2 결착수단(12,13)이 체결구 상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야 할 경우엔 박음질 구조 등도 이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힌다.
공지의 스냅단추 구조를 채택할 경우 체결구(제1,2 체결구)에 결합된 제1,2 결착수단(12,13)은 체결구 상에서 회동될 수 있는 구조가 되어, 이에 사전교감부(10)를 용이하게 결합하고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보조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교감부(10)가 걸림수단(211)에 당겨져 걸린 상태에서 리드부(200)에 어떠한 견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사전교감부(10)의 탄성력에 의해 리드부(200)의 타단이 착용부(100) 측으로 당겨지게 되어 리드부(200)의 타단 부위가 불규칙하게 꼬이면서 어느 정도의 길이 여유분이 생기게 된다.
이로 인하여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보호자가 리드부(200)를 ①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걸림수단(211)이 리드끈(210)의 타단 방향으로 이동하며 리드끈(210)의 타단에 마련된 이탈방지스톱퍼(212)에 의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는 지점에 도달했을 때 목 밴드(110) 또는 가슴 밴드(120)보다 먼저 사전교감부(10)가 당겨짐에 반응해 신장하면서 애완동물한테 보호자가 리드부(200)를 잡아당긴다는 신호, 예컨대 소정의 1차 견인력을 가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보호자가 계속 리드부(200)를 잡아 당기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교감부(10)가 더 이상 신장될 수 없는 탄성변형의 한계 지점부터는 리드부(200)에 연결된 연결밴드(130)를 통해 신축성 없는 목 밴드(110)나 가슴 밴드(120)에 직접적으로 견인력이 가해지면서 애완동물에게 1차 견인력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2차 견인력이 가해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보호자가 리드부(200)를 당기게 되면 순간적으로 사전교감부(10)에 의한 1차 견인력이 애완동물에 가해지게 되어 애완동물이 보호자에 의해 당겨진다는 것을 사전에 인식할 수 있게 된 후 실제적으로 애완동물의 행동을 제어하기 위한 비 신축성 목 밴드(110), 가슴 밴드(120) 등이 애완동물을 안전하게 구속하게 되는 것이다.
즉, 리드부(200)를 당기게 되면 사전교감부(10)가 적정 수준까지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다가 한계지점에서는 더 이상 탄성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리드부(200)에 연결된 연결밴드(130)를 통해 신축성 없는 목 밴드(110)나 가슴 밴드(120)에 직접적으로 견인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해 애완동물이 제한된 범위 내에서 제어될 수 있게 되고, 사전교감부(10)의 과도한 신장에 의한 파손, 소성변형 등을 막을 수도 있다.
그리고, 보호자가 리드부(200)를 잡아 당기는 행위 말고도, 애완동물이 급진적으로 움직이게 될 경우, 사전교감부(10)가 완충 작용을 하게 되어 애완동물에 가해지는 견인력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보호자가 리드부(200)를 잡아 당겼을 때 잡아 당기는 충격이 즉시 착용부(100)로 가해지지 않고, 사전교감부(10)가 견인력에 먼저 반응하여 탄성적으로 일정 길이 신장됨으로써 충격을 완충하고, 애완동물에게 소정의 탄성 견인력만 가해 사전에 보호자의 의도를 인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20)를 착용하고 전술한 사전 인식 과정이 반복적으로 학습될 경우, 소정의 탄성 견인력만으로도 애완동물이 보호자의 의도를 인지하게 되어 스스로 행동 제어가 가능한 성향을 보이게 된다.
한편, 사전교감부(10)의 탄성력 조절을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체결구(111) 및 제2 체결구(112)는 각각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목 밴드(110)에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수단(211)은 리드끈(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고정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크기의 애완동물에 몸집에 맞추어 사전교감부(10)의 결합지점을 조정한다거나 또는 사전교감부(10)가 착용부(100)에 결합되었을 때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전교감부(10) 자체의 탄력도를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전교감부(10)의 양 단이 착용부(100)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고 중간 부분의 고정루프(14)가 걸림수단(211)에 당겨져 걸림 지지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네스(20)를 상부에서 바라보면 사전교감부(10)가 착용부(100)와 리드부(200) 상에 'V' 자 형태로서 결합되어진다.
이에, 애완동물의 갑작스러운 직진 이동 뿐만 아니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향된 이동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보다 균형 있게 완충시킬 수 있으며, 착용부(100) 중앙에서 리드부(200)가 당겨지게 될 경우 견인력이 착용부(100)의 좌우 한 쌍의 사전교감부(10)에 고르게 분산 전달되어 특정 부분에서 더 많은 견인력이 가해져 불편함을 느끼거나, 애완동물이 균형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착용부의 다양한 변형실시예들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착용부(100)는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의 목 부분을 감싸는 목 밴드(110), 애완동물의 가슴 부분을 감싸는 가슴 밴드(120), 상기 목 밴드(110)와 가슴 밴드(120)의 양 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130) 및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130)를 각각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리드부(200)가 결합되는 조임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때, 사전교감부(10)의 양 단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130)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전교감부(10)의 양 단은 각각 조임부재(140)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전교감부(10)는 연결부재(130)에 양 단이 고정되고, 중간 부분의 고정루프(14)는 리드부(200)로 당겨져 걸림수단(211)의 고정후크(211b)에 걸림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목 밴드(110), 가슴 밴드(120), 조임부재(140) 및 사전교감부(10)를 상호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되며, 중앙에 연결공(131)이 형성된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130)에 의해 서로 연결 구성된 목 밴드(110), 가슴 밴드(120) 및 조임부재(140)는 중앙으로 애완동물의 신체를 수용하는 폐쇄 구조를 이루게 되며 특히, 조임부재(140)가 보호자에 의해 당겨지게 되면 조임부재(140)에 의해 한 쌍의 연결부재(13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도되어 목 밴드(110), 가슴 밴드(120) 및 조임부재(140) 사이에 구속된 애완동물에게 조임력이 가해지게 된다. 조임부재(140)의 구체적인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바디(11), 제1 결착수단(12) 및 제2 결착수단(13)으로 예시되는 사전교감부(10)에 있어, 제1 결착수단(12)은 좌측의 연결부재(130)에, 제2 결착수단(13)은 우측의 연결부재(13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도 13에 도시된 ① 방향으로 보호자가 리드부(200)를 잡아 당겼을 때 리드부(200)와 연결된 조임부재(140)가 리드부(200)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함께 당겨지게 되면 사전교감부(10)가 견인력에 먼저 반응하여 탄성적으로 일정 길이 신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작용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조임부재(140)는 양 단이 각각 한 쌍의 연결부재(130)에 고정된 목 밴드(110), 가슴 밴드(120)와 달리 한 쌍의 연결부재(130)를 통과하여 연결된 형태를 가지는데, 예컨대, 조임부재(140)는 폐쇄루프 형태로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130)를 상호 관통하는 조임밴드(142) 및 조임밴드(142)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조임밴드(142)를 타고 이동하여 조임밴드(142)의 조임량을 조절하는 조절링(14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조임밴드(142)에는 리드부(200)의 걸이부재(220)가 걸릴 수 있으며, 일부가 접철된 상태로 외부에 조절링(143)이 끼움 결합된다.
조임밴드(142)는 좌우 한 쌍의 연결부재(130)의 연결공(131)을 관통하는 구조로서, 보호자가 리드부(200)를 당기거나 놓을 경우 연결공(131)을 자유롭게 통과하게 된다.
조절링(143)은 중앙이 관통되어 있으며 관통된 중앙 관통부분으로 접철된 조임밴드(142)가 수용된다. 이에 조임밴드(142)는 연결부재(130)에 연결된 채 삼각형 형태가 갖춰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링(143)을 연결부재(13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게 되면 연결부재(13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애완동물에게 가해지는 목 밴드(110)와 상기 가슴 밴드(120)의 조임력이 달라지게 된다.
즉, 조절링(143)을 상기 연결부재(130) 방향으로 위치이동 시키면 한 쌍의 연결부재(130)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면서 목 밴드(110) 및 가슴 밴드(120)의 조임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조임밴드(142)가 순간적으로 당겨지게 될 경우에도 한 쌍의 연결부재(130) 사이의 폭이 줄어들게 되면서 목 밴드(110)와 상기 가슴 밴드(120)의 조임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애완동물이 갑작스럽게 돌발행동을 보일 때 리드부(200)를 당기는 것으로 애완동물을 신속히 통제할 수 있다.
한편, 조임밴드(142)의 외측에는 상기 연결부재(130)에 걸림 지지되는 조임스토퍼(144)가 형성될 수 있는데, 조임스토퍼(144)는 연결공(131)을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조임스토퍼(144)는 한 쌍의 연결부재(130) 사이 구간에서 연결부재(130)의 주변에 배치되어 조임밴드(142)의 이동 가능 범위를 한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조임스토퍼(144)는 조임밴드(142)의 외측에 결합되어 있되, 조임밴드(142)의 길이를 따라 위치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착용부(1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사전교감부
20: 하네스
100: 착용부
200: 리드부
211: 걸림수단

Claims (15)

  1. 신축가능한 재질로,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양 단이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결합되는 사전교감부로서, 움직이는 애완동물에게 1차적으로 견인력을 가하며,
    상기 사전교감부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전방의 상부에서 애완동물의 등을 좌우측으로 가로지르도록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결합되며,
    상기 사전교감부의 좌우 양 단은 각각 애완동물 하네스의 외측에 결합되고 결합된 좌우 양 단 부분을 제외한 구간은 리드부에 마련된 걸림수단에 걸림되며,
    상기 사전교감부는,
    신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탄성바디;
    상기 탄성바디의 일단에 형성되어 애완동물 하네스에 형성된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1 결착수단;
    상기 탄성바디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결착수단이 결합되지 아니한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2 결착수단; 및
    상기 탄성바디의 중앙에 형성되어 리드부의 걸림수단으로 당겨져 걸림되는 폐쇄링 형태의 고정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교감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착수단과 제2 결착수단은 체결구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교감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착수단과 제2 결착수단은 체결구 상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교감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전교감부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교감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전교감부는 고무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교감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전교감부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끈, 도형 및 기하학적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교감부.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애완동물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결합되는 끈 형태로, 외측으로 걸림수단이 형성되는 리드부; 및
    신축가능한 재질로,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양 단이 상기 착용부에 각각 결합되고 양 단 사이 구간의 일부분이 상기 걸림수단으로 당겨져 걸림되어 움직이는 애완동물에게 1차적으로 견인력을 가하는 사전교감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용부는,
    애완동물의 흉부 전방을 감싸며 좌우측으로 제1, 2 체결구가 형성되는 목 밴드;
    애완동물의 흉부 후방을 감싸는 가슴 밴드;
    상기 목 밴드와 가슴 밴드를 연결하여 애완동물의 흉부 상단을 가로지르며 외측으로 고리지지대가 형성되는 연결밴드; 및
    상기 고리지지대에 결합되며 외측으로 리드부가 연결되는 고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사전교감부의 양 단은 각각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에 결합되고 결합된 양 단 부분을 제외한 구간에서는 상기 목 밴드로부터 탄성적으로 이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사전교감부는,
    신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탄성바디;
    상기 탄성바디의 일단에 형성되어 목 밴드에 형성된 제1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1 결착수단;
    상기 탄성바디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결착수단이 결합되지 아니한 제2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2 결착수단; 및
    상기 탄성바디의 중앙에 형성되어 리드부의 걸림수단으로 당겨져 걸림되는 폐쇄링 형태의 고정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일단에 핸들이 형성되고 타단 외측으로 상기 걸림수단이 결합되는 리드끈; 및
    상기 리드끈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재에 결착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구 및 제2 체결구는 각각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목 밴드에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수단은 리드끈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10072529A 2021-03-08 2021-06-04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KR102416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694A KR20220164401A (ko) 2021-03-08 2022-01-28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359 2021-03-08
KR20210030359 2021-03-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694A Division KR20220164401A (ko) 2021-03-08 2022-01-28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638B1 true KR102416638B1 (ko) 2022-07-05

Family

ID=8240220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529A KR102416638B1 (ko) 2021-03-08 2021-06-04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KR1020210085336A KR20220126186A (ko) 2021-03-08 2021-06-30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KR1020220013694A KR20220164401A (ko) 2021-03-08 2022-01-28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336A KR20220126186A (ko) 2021-03-08 2021-06-30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KR1020220013694A KR20220164401A (ko) 2021-03-08 2022-01-28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166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252B1 (ko) * 2022-08-23 2023-03-29 김덕한 애완동물 리드줄용 연결구
KR102523376B1 (ko) * 2022-07-20 2023-04-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 하네스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4629A (ja) * 2000-11-09 2002-07-23 Poochie Pompreece:Kk ペットの胴輪
US8950364B1 (en) * 2012-05-18 2015-02-10 Innovative Pet Products LLC Harnesses for dogs and other animals
JP2015521044A (ja) * 2012-05-29 2015-07-27 ウッドワード,マーカスWoodward, Marcus 犬用ハーネス
KR200484037Y1 (ko) * 2017-03-28 2017-07-24 최광용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0486544Y1 (ko) * 2017-02-28 2018-06-04 김설아 반려동물을 위한 개량형 하니스
KR20190104678A (ko) 2018-03-02 2019-09-11 유남석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200001165U (ko) * 2018-11-27 2020-06-04 양나영 애완 동물용 하네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4629A (ja) * 2000-11-09 2002-07-23 Poochie Pompreece:Kk ペットの胴輪
US8950364B1 (en) * 2012-05-18 2015-02-10 Innovative Pet Products LLC Harnesses for dogs and other animals
JP2015521044A (ja) * 2012-05-29 2015-07-27 ウッドワード,マーカスWoodward, Marcus 犬用ハーネス
KR200486544Y1 (ko) * 2017-02-28 2018-06-04 김설아 반려동물을 위한 개량형 하니스
KR200484037Y1 (ko) * 2017-03-28 2017-07-24 최광용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190104678A (ko) 2018-03-02 2019-09-11 유남석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200001165U (ko) * 2018-11-27 2020-06-04 양나영 애완 동물용 하네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376B1 (ko) * 2022-07-20 2023-04-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 하네스 장치
KR102515252B1 (ko) * 2022-08-23 2023-03-29 김덕한 애완동물 리드줄용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401A (ko) 2022-12-13
KR20220126186A (ko)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1438B2 (en) Pet leash
KR102416638B1 (ko)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AU2004285337B2 (en) Animal harness
US5676093A (en) Controllable dog harness and leash assembly
US6564754B1 (en) Shock absorbing harness system
US9491931B2 (en) Animal harness device and method
CA2398944C (en) Retaining and guiding device
US5992352A (en) Dog halter
US20200404888A1 (en) Animal training harness
GB2489200A (en) Animal halter
US20150068167A1 (en) Horse halter
US10383313B2 (en) Dog harness with a safety attachment
US9781905B2 (en) Positive position training leashes and methods of using the leashes for training a dog
KR20220139597A (ko)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JP4781273B2 (ja) 動物用ハーネス
KR20220168473A (ko)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0495699Y1 (ko)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KR20230061756A (ko)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220151250A (ko)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220151251A (ko)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220039998A (ko) 애완동물용 하네스
KR102533947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애완 동물용 견인줄
KR20200001164U (ko) 애완 동물용 리드 줄
CN213549049U (zh) 一种宠物项圈
KR20190042815A (ko) 애견용품 강아지 h형 하네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