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3692A -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 - Google Patents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3692A
KR20160053692A KR1020140153124A KR20140153124A KR20160053692A KR 20160053692 A KR20160053692 A KR 20160053692A KR 1020140153124 A KR1020140153124 A KR 1020140153124A KR 20140153124 A KR20140153124 A KR 20140153124A KR 20160053692 A KR20160053692 A KR 20160053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neck
chest
dog
chest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래
Original Assignee
김경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래 filed Critical 김경래
Priority to KR1020140153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3692A/ko
Publication of KR2016005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1Colla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띠와 가슴띠를 옆줄로 연결하도록 하여 리드용으로 사용되는 가슴띠의 빠짐을 방지하고 목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 애완견 안전 착용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애완견의 목 둘레에 감싸지고, 목의 크기에 따라 직경을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양쪽 단부가 연결되는 목띠와; 애완견의 가슴 둘레에 감싸지고, 그 가슴의 크기에 따라 직경을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양쪽 단부가 연결되는 가슴띠; 및 상기 목띠와 연결되고 동시에 양단이 상기 가슴띠에 연결 고정된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Pet dog safety wearing kit for connecting side string with neck and chest}
본 발명은 애완견 안전 착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띠와 가슴띠를 옆줄로 연결하도록 하여 리드용으로 사용되는 가슴띠의 빠짐을 방지하고 목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 애완견 안전 착용구에 관한 것이다.
개는 인간의 생각을 가장 잘 읽는 동물로 알려져 있고, 이러한 이유에 의해 가까이 두고 귀여워하면서 기르는 개를 특히 애완견(또는 반려견)이라고 부른다.
애완견 뿐만 아니라 모든 개들은 산책을 좋아한다. 산책은 신체적, 정신적인 건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온종일 집안에서 혼자 주인을 기다리는 개들에게 산책 이상의 훌륭한 선물은 없다. 강아지들은 음식을 제공하는 사람을 제일 따른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산책을 시켜주는 사람을 가장 좋아하고 따르게 된다.
한번은 애완견에게 가슴줄을 착용하게 하고 산책을 나갔다가 애완견이 큰 개를 보고 놀라 뒷걸음치다가 가슴줄이 갑자기 빠지게 되는 일을 겪게 되었다. 가슴줄은 뒷걸음치면 빠진다는 것을 안 애완견 비니(당시 푸들 애칭임)는 마음에 안 들면 뒷걸음쳐서 줄을 빠져나갔고 그때마다 놀라는 일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목줄로 바꾸어 착용하게 하였는데 목이 불편하게 느껴져 작은 애완견이 가엾다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여러 번의 제작 실험과 시행 착오 끝에 본 발명의 애완견 안전착용구를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개번호 제10-2005-0050779호로서, 개의 몸에 결속되는 결속끈과, 상기 결속끈의 일부에 결합되어 개의 몸에 밀착되는 프레임 패널과, 하단부가 상기 프레임 패널에 고정되고 수직으로 세워지는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진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줄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개줄은 탄성이 큰 재질의 포스트에 연결줄을 연결하여 사용하므로 연결줄이 개나 사람의 다리를 감을 염려가 없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여러 개의 결속끈이 사용되어야 하고, 작은 애완견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번호 제10-2005-0050779호(개 줄)
본 발명은 목띠와 가슴띠를 옆줄로 연결하도록 하여 리드용으로 사용되는 가슴띠의 빠짐을 방지하고 목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 애완견 안전 착용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애완견의 목 둘레에 감싸지고, 목의 크기에 따라 직경을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양쪽 단부가 연결되는 목띠와;
애완견의 가슴 둘레에 감싸지고, 그 가슴의 크기에 따라 직경을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양쪽 단부가 연결되는 가슴띠; 및
상기 목띠와 연결되고 동시에 양단이 상기 가슴띠에 연결 고정된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띠에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이 삽입되는 옆줄 연결고리가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슴띠의 상부 중앙에 개고리 연결링이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띠는 부드러운 부직포로 제작되어 있고 양쪽 단부에 목띠 연결용 암수 벨크로 파스너 또는 암수 버클이 각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옆줄 연결고리는 링 형태로 상기 목띠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옆줄 연결고리는 목띠의 중앙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슴띠는 부직포로 제작되어 있고 양쪽 단부에 가슴띠 연결용 암수 벨크로 파스너 또는 암수 버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래더락 또는 버클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에 따르면, 애완견 목이 위아래 또는 옆으로 움직이더라도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은 전혀 방해를 하지 않으므로 애완견의 목과 머리의 움직임이 편안해진다. 또한, 애완견이 뒷걸음을 치더라도 가슴띠가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을 매개로 목띠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빠질 수 없으므로 도망을 가지 못하게 되어 그때마다 놀라는 일도 없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경험에 의해 애완견은 마음에 안 들면 뒷걸음쳐서 줄을 빠져나가는 행위를 하지 않게 된다. 또한, 평소엔 가슴띠로 리드를 하니까 목에 무리가 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애완견이 걷는 중에 개고리 연결링이 가슴띠를 통해 등 쪽에 있다 보니 종래와 같이 애완견의 발목에 감기는 일이 드물게 되고, 배변 활동을 위해 제자리에서 빙빙 돌 때도 부드럽게 움직이는 효과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1의 애완견 안전 착용구를 풀어 펼쳐 놓았을 때의 전개도.
도 4는 도 1의 목띠와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의 연결상태도.
도 5는 도 3에서 목띠와 가슴띠 각 단부에 암수 버클이 설치된 상태도.
도 6은 도 1의 애완견 안전 착용구를 애완견에 착용시킨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애완견 안전 착용구의 목띠와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의 연결상태도.
도 8은 도 7의 애완견 안전 착용구를 풀어 펼쳐 놓았을 때의 전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례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례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실시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 안전 착용구(10)는 기본적으로 목띠(12), 가슴띠(16) 및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20)로 구성된다.
목띠(12)는 애완견의 목 둘레에 감싸지도록 구성된다. 목띠(12)는 애완견 목의 크기에 따라 직경을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양쪽 단부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례에서 목띠(12)는 부드러운 부직포, 천과 천 사이에 압축솜이 개재된 누빔천, 웨빙끈, 가죽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목띠(12)는 양쪽 단부에 목띠 연결용 암수 벨크로 파스너(121,122)가 각기 박음질로 정착되어 있다. 따라서 암수 벨크로 파스너(121,122)의 분리로 애완견 목에서 목띠(12)의 제거가 가능하고, 암수 벨크로 파스너(121,122)의 상호 결합으로 애완견의 목에 착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암수 벨크로 파스너(121,122)의 상호 결합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애완견 목의 크기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가슴띠(16)는 애완견의 가슴 둘레에 감싸지도록 구성된다. 가슴띠(16)는 애완견 가슴의 크기에 따라 직경을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양쪽 단부가 연결된다. 본 실시례에서 가슴띠(16)는 부드러운 부직포, 천과 천 사이에 압축솜이 개재된 누빔천, 웨빙끈, 가죽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가슴띠(16)는 양쪽 단부에 가슴띠 연결용 암수 벨크로 파스너(161,162)가 박음질로 정착되어 있다.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20)은 목띠(12)와 연결되고 동시에 양단이 상기 가슴띠(16)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20)은 본 실시례에서 늘어나지 않는 웨빙 스트링(webbing string)을 사용하였으나 탄력을 가지고 신축되는 소재로 제작된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20)은 때에 따라서는 애완견이 물어뜯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인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20)은 애완견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래더락(22) 또는 버클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목띠(12)에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20)이 삽입되는 옆줄 연결고리(14)가 더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옆줄 연결고리(14)는 일 실시례로서 목띠(12)의 중앙에 박음질로 고정되어 있다.
가슴띠(16)의 상부 중앙에는 개고리 연결링(18)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개고리 연결링(18)은 본 실시례에서 부직포로 제작되어 가슴띠(16)에 박음질로 고정되어 있으나 이러한 특정한 재질이나 소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례의 애완견 안전 착용구(10)는 도 3과 같이 목띠(12)와 가슴띠(16)를 푼 다음 도 6과 같이 애완견 목에 목띠(12)를 착용시킨 후 가슴에 가슴띠(16)를 착용시킨다. 물론 목띠(12)와 가슴띠(16)의 착용 순서를 바꿀 수 있다. 이때 각 띠의 암수 벨크로 파스너(121,122)(161,162)의 결합량을 조정하여 압박(목 조임이나 가슴 조임)을 너무 가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목과 가슴에 착용시킨다. 이후 통상의 개줄을 개고리 연결링(18)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20)은 목의 아랫쪽에서 시작하여 앞다리위 윗쪽을 지나가 가슴 옆(등부분 포함)에 위치하여 목띠(12)와 가슴띠(16)를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애완견의 목과 가슴은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20)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애완견의 목이 위아래 또는 옆으로 움직이더라도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20)은 전혀 방해를 하지 않으므로 애완견 목과 머리의 움직임이 편안해 진다.
또한, 산책을 나갔다가 큰 개를 보고 놀라 뒷걸음을 치더라도 가슴띠(16)가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20)을 매개로 목띠(12)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빠질 수 없으므로 도망을 가지 못하게 되어 그때마다 놀라는 일도 없게 된다. 즉, 목띠(12)가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20)을 매개로 가슴띠(16)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므로 가슴띠(16)의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이러한 경험에 의해 애완견은 마음에 안 들면 뒷걸음쳐서 줄을 빠져나가는 행위를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평소엔 가슴띠(16)로 리드를 하니까 목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된다.
또한, 애완견이 걷는 중에 개고리 연결링(18)이 가슴띠(16)를 통해 등 쪽에 있다보니 종래와 같이 손잡이 줄이 애완견의 발목에 감기는 일이 드물게 되고, 배변 활동을 위해 제자리에서 빙빙 돌 때도 부드럽게 움직이는 효과를 갖는다.
<제2 실시례>
한편, 다른 실시례로서, 모든 구성을 제1 실시례와 동일하고 도 7 및 도 8과 같이 옆줄 연결고리(14)를 링 형태로 하여 목띠(12)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애완견 안전 착용구의 목띠와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의 연결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도 7의 애완견 안전 착용구를 풀어 펼쳐 놓았을 때의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애완견이 목을 돌릴 때 옆줄 연결고리(14)의 제한을 받지 않고 목띠(12)가 목과 일체로 움직여 목 조임이 없고 자유롭게 움직임이 가능하다. 그 이외의 작용 및 장점은 제 1실시례와 동일하다.
본 실시례들에서 목띠(12), 가슴띠(16)를 부드러운 부직포로 제작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천과 천 사이에 압축솜이 개재된 누빔천, 웨빙끈, 천연 가죽이나 인조 가죽으로도 할 수 있고 그 이외의 다양한 소재가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목띠(12)와 가슴띠(16)는 탈부착을 벨크로 파스너를 이용하였으나 도 5와 같이 암수 버클(123,124)(163,164)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애완견에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토끼, 고양이, 이구아나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20)이 애완견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2개의 줄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등부분을 덮을 수도 있으며, 복수 개의 줄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례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목띠
14: 옆줄 연결고리
16: 가슴띠
18: 개고리 연결링
20: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

Claims (9)

  1. 애완견의 목 둘레에 감싸지고, 목의 크기에 따라 직경을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양쪽 단부가 연결되는 목띠(12)와;
    애완견의 가슴 둘레에 감싸지고, 그 가슴의 크기에 따라 직경을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양쪽 단부가 연결되는 가슴띠(16); 및
    상기 목띠(12)와 연결되고 동시에 양단이 상기 가슴띠(16)에 연결 고정된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띠(12)에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20)이 삽입되는 옆줄 연결고리(14)가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띠(16)의 상부 중앙에 개고리 연결링(18)이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띠(12)는 양쪽 단부에 목띠 연결용 암수 벨크로 파스너(121,122) 또는 암수 버클(123,124)이 각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옆줄 연결고리(14)는 링 형태로 상기 목띠(12)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옆줄 연결고리(14)는 목띠(12)의 중앙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띠(16)는 양쪽 단부에 가슴띠 연결용 암수 벨크로 파스너(161,162) 또는 암수 버클(163,16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띠 이탈방지용 옆줄(2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래더락(22) 또는 버클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띠(12) 및 가슴띠(16)는 부드러운 부직포, 천과 천 사이에 압축솜이 개재된 누빔천, 웨빙끈, 가죽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
KR1020140153124A 2014-11-05 2014-11-05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 KR20160053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124A KR20160053692A (ko) 2014-11-05 2014-11-05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124A KR20160053692A (ko) 2014-11-05 2014-11-05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692A true KR20160053692A (ko) 2016-05-13

Family

ID=5602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124A KR20160053692A (ko) 2014-11-05 2014-11-05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36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436A (ko) 2017-12-07 2019-06-17 최하영 동물용 목 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436A (ko) 2017-12-07 2019-06-17 최하영 동물용 목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42679A (en) Stretchable pet suit with boots
US6095093A (en) Animal leash assembly
KR101563440B1 (ko) 애완동물용 의류
KR102161316B1 (ko) 반려동물용 엘리자베스 칼라
US20170280681A1 (en) Animal Protective Recovery Collar and Neck Piece
JP3215269U (ja) ペットの歩行補助ハーネス
JP2007159441A (ja) ペット用ハーネス
KR20160000878U (ko) 신발부가 결합된 애완견용 의류
KR20160053692A (ko) 목과 가슴을 옆줄로 연결하는 애완견 안전 착용구
KR200495699Y1 (ko)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KR200496327Y1 (ko) 애완동물용 하네스
US20170295858A1 (en) Lightweight Portable Changing Garment
KR200492559Y1 (ko) 애완 동물용 리드 줄
US1320032A (en) Child s harness
CN210330158U (zh) 恒温分腿睡袋
JP6550364B2 (ja) ペット用ハーネス
KR20230001346A (ko) 신발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의류
GB2480061A (en) Dog training Harness
CN202286382U (zh) 防踢被睡衣
JP3134404U (ja) エプロン
CN209824800U (zh) 一种带衣领的宠物胸背带
KR200289461Y1 (ko) 유아용 포대기
JP3123955U (ja) ベルト付スリッパ
CN215603434U (zh) 一种携带宠物奔跑的运动腰带
CN211382075U (zh) 一种精神病人用隐藏式上肢约束保护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