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559Y1 - 애완 동물용 리드 줄 - Google Patents

애완 동물용 리드 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559Y1
KR200492559Y1 KR2020180005459U KR20180005459U KR200492559Y1 KR 200492559 Y1 KR200492559 Y1 KR 200492559Y1 KR 2020180005459 U KR2020180005459 U KR 2020180005459U KR 20180005459 U KR20180005459 U KR 20180005459U KR 200492559 Y1 KR200492559 Y1 KR 200492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tring
lead string
pets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164U (ko
Inventor
양나영
Original Assignee
양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나영 filed Critical 양나영
Priority to KR2020180005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55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1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1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5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3Leads, leashes
    • A01K27/004Retractable leas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리드 줄(100)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리드 줄(10), 상기 리드 줄(10)의 일단에 연결되는 후크부(20), 상기 리드 줄(10)의 타단에서 상기 리드 줄(10)로부터 연장되는 제1 손잡이부(30) 및 상기 리드 줄(10) 상에 배치되는 제2 손잡이부(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 동물용 리드 줄{LEASH FOR PETS}
본 고안은 애완 동물용 리드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두 개의 손목 스트랩을 구비하여, 한 마리 이상의 애완동물과 산책할 수 있는 애완 동물용 리드 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 동물용 리드 줄은 보호자가 산책이나 운동 등을 위하여 애완 동물과 함께 실외에서 보행하고자 할 때, 일단은 애완 동물의 목이나 몸통에 결속시키고, 타단은 보호자가 손으로 잡고 보행함으로써, 애완 동물의 행동반경의 통제가 용이하도록 하고, 보호자와의 이탈을 방지하여 애완 동물이 타인에게 우발적인 피해를 주지 않도록 구속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애완 동물용 리드 줄은, 소정 길이로 형성된 연결 줄의 일단에 애완 동물의 목이나 몸통에 결속하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연결 줄의 타단에 보호자가 편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연결된다.
그러나 보호자가 애완 동물과 함께 실외 보행을 할 때에는 보호자가 사용하는 스마트 폰이나 지갑 등 소지품뿐만 아니라, 애완 동물을 위한 배변 봉투나 간식 등 여러 가지 물건을 함께 소지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애완 동물 리드줄의 대부분은 한 마리의 애완 동물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되며, 두 마리의 애완 동물을 실외에서 통제시키기 위해서는 리드 줄을 추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두 개의 리드 줄을 한 손에 잡고 보행하기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애완 동물과의 실외 보행 중 보호자의 양 손을 편안하게 할 수 있는 애완 동물용 리드 줄의 개발이 요구되며, 본 고안은 이와 관련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05호 (2012.12.03.)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리드 줄에 두 마리의 애완 동물을 결속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를 리드 줄 중앙에 배치시킴으로써, 보호자가 두 마리의 애완 동물을 하나의 리드 줄로 산책시킬 수 있는 애완 동물용 리드 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보호자가 잡는 손잡이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애완 동물과의 실외 보행에서 보호자의 양 손이 편안할 수 있는 애완 동물용 리드 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리드 줄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리드 줄, 상기 리드 줄의 일단에 연결되는 후크부, 상기 리드 줄의 타단에서 상기 리드 줄로부터 연장되는 제1 손잡이부 및 상기 리드 줄 상에 배치되는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손잡이부는, 폐루프 형태를 이루는 상기 리드 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손잡이부는, 폐루프 형태를 이루는 리드 줄의 일 지점에 결합되는 제1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손잡이부는, 폐루프 형태를 이루는 리드 줄(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손잡이부는, 제1 길이를 가지는 제1 보조 리드 줄 및 상기 제1 보조 리드 줄의 양 끝 단을 상기 리드 줄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손잡이부는, 제2 길이를 가지는 제2 보조 리드 줄 및 상기 제2 보조 리드 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을 상기 리드 줄 상에 결속시키는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속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보조 리드 줄과 상기 리드 줄이 이루는 둘레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손잡이부는, 상기 제1 리드줄과 마주보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손잡이부의 일 지점에 결합되는 제2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드 줄 또는 상기 제2 손잡이부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애완 동물 한 마리의 실외 보행을 위해 사용되는 리드 줄을 두 마리의 실외 보행에도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리드 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마리 또는 두 마리의 애완 동물을 실외 보행하는 동안, 보호자가 쥐고 있는 리드 줄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보호자와 애완 동물 모두 편안한 실외 보행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애완 동물의 실외 보행 시 필요한 물품을 걸어 둘 수 있는 고리를 보호자가 쥐고 있는 리드 줄의 끝단에 배치시킴으로써 보호자의 양 손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리드 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리드줄의 제1 손잡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손잡이부의 고정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리드줄의 제2 손잡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애완 동물을 실외 보행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리드줄의 제2 손잡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애완 동물을 실외 보행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리드 줄(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애완 동물용 리드 줄(100)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리드 줄(10), 리드 줄(10)의 일단에 배치되는 후크부(20), 리드 줄(10)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1 손잡이부(30) 및 리드 줄(10) 상에 배치되는 제2 손잡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리드 줄(10)은 애완 동물을 산책시킬 수 있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줄로서, 애완 동물과 보호자가 당기는 힘을 견딜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드 줄(10)은 가죽으로 이루어지거나, 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애완 동물의 실외 보행 반경을 넓히고, 애완 동물 또는 보호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줄 수도 있다.
후크부(20)는 리드 줄(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애완 동물이 착용하고 있는 목줄 또는 하네스에 연결될 수 있으며, 리드 줄(10)이 엉키지 않도록, 360°로 회전 가능한 다양한 고리 형상으로 이루질 수 있다.
제1 손잡이부(30)는 후크부(20)와 연결된 리드 줄(10)의 타단에서 보호자가 용이하게 쥘 수 있도록 폐루프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리드 줄(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리드 줄(100)의 제1 손잡이부(30)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손잡이부(30)는 조절 프레임(31), 제1 고리(33), 제1 보호 부재(35) 및 버클(37)을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
조절 프레임(31)은 후크부(20)와 연결되지 않은 리드 줄(10)의 타단에서 리드 줄(10)을 수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자는 조절 프레임(31)을 이용하여 제1 손잡이부(30)의 둘레 길이와 애완 동물과 보호자의 거리, 즉 리드 줄(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고리(33)는 애완 동물과의 실외 보행 중, 보호자의 손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물품을 걸어 두는 고리를 의미한다. 제1 고리(33)는 폐루프 형태를 이루는 리드 줄(10) 즉, 제1 손잡이부(30)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고리(33)의 형태를 D자형 고리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고리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제1 보호 부재(35)는 폐루프 형태를 이루는 리드 줄(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어, 애완 동물이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보호자의 손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 부재(35)는 스펀지와 같이 리드 줄(10)보다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져, 리드 줄(10) 상에 덧대어 질 수 있으며, 제1 손잡이부(30)를 이루는 리드 줄(10)의 전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절 프레임(31)에 의해 리드 줄(10)이 제1 손잡이부(30)를 이루는 영역으로 삽입되어, 제1 손잡이부(30)의 둘레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으며, 조절 프레임(31)에 의해 길이 조절이 완료된 후, 암수 버클(37a, 37b)의 결합을 통해 제1 손잡이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1 손잡이부(30)의 둘레의 길이는 보호자의 손, 손목뿐만 아니라, 보호자의 허리와 같은 곳에 걸 수 있도록 길게 조절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손잡이부(30)의 고정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손잡이부(30)의 둘레 길이가 보호자의 손에 맞는 일반적인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와 같이 애완 동물을 잠시 두고 있을 수 있도록 제1 손잡이부(30)의 둘레 길이가 나무에 걸쳐지는 길이로 조절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보호자의 허리에 걸 수 있도록, 제1 손잡이부(3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품(A)을 걸어 둘 수 있는 고리가 제1 손잡이부(30)에 마련되어, 보호자는 양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리드 줄(10) 상에 추가로 제2 손잡이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한 마리의 애완 동물을 실외 보행할 때는 보호자가 제1 손잡이부(30)를 잡고 보행할 수 있으며, 두 마리의 애완 동물을 실외 보행할 때는 제1 손잡이부(30)를 애완 동물의 몸에 연결함으로써, 보호자가 제2 손잡이부(40)를 잡고 보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손잡이부(40)도 리드 줄(10)과 동일하게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두 마리의 애완 동물 또는 보호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줄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리드 줄(100)의 제2 손잡이부(40)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손잡이부(40)를 이용하여 애완 동물을 실외 보행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a)를 참조하면, 제2 손잡이부(40)는 제1 길이를 가지는 제1 보조 리드 줄(41)과 제1 보조 리드 줄(41)의 양 끝 단을 리드 줄(10)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부(42)를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보조 리드 줄(41)을 이용하여 리드 줄(10) 상에 보호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손잡이부(30)와 동일하게, 제2 손잡이부(40)의 일 지점에 결합되어 물품을 걸어 둘 수 있는 제2 고리(46)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 리드 줄(41)의 양 끝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42)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물질을 이용하여 제1 보조 리드 줄(41)의 양 끝단이 리드 줄(10)과 고정되거나,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1 보조 리드 줄(41)을 쥐고 있는 보호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해, 제1 보조 리드 줄(41)과 리드 줄(10)이 마주보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2 보호 부재(45)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호 부재(45)는 스펀지와 같이 제1 보조 리드 줄(41)보다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져, 제1 보조 리드 줄(41) 상에 덧대어 질 수 있으며, 제2 손잡이부(40)를 이루는 제1 보조 리드 줄(41)의 전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애완 동물용 리드 줄(100)이 리드 줄(10)의 중앙에 제2 손잡이부(40)를 배치시킴으로써, 한 마리의 애완 동물은 후크부(20)를 통해 연결되고, 나머지 한 마리의 애완 동물은 손잡이로 사용되었던 제1 손잡이부(30)에 연결시킬 수 있어, 보호자는 두 마리의 애완 동물을 하나의 애완 동물용 리드 줄(100)을 이용하여 실외 보행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하나의 애완 동물용 리드 줄(100)을 이용하여 두 마리의 애완 동물을 실외 보행시키는 경우, 한 마리를 산책시키기에 적합했던 리드 줄(10)의 길이가 절반으로 줄어들어 애완 동물도 보호자도 불편함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애완 동물과 보호자의 거리를 늘릴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이는 도 9 및 10에 대한 내용으로,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리드 줄(100)의 제2 손잡이부(40)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손잡이부(40)를 이용하여 애완 동물을 실외 보행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손잡이부(40)는 제2 길이를 가지는 제2 보조 리드 줄(43)과 제2 보조 리드 줄(43)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을 리드 줄(10)에 결속시키는 결속 부재(44)를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손잡이부(40)는 제1 보조 리드 줄(41)보다 길이가 긴 제2 보조 리드 줄(43)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보조 리드 줄(43)의 제2 길이는 제1 보조 리드 줄(41)의 제1 길이보다 길게 리드 줄(10)의 전체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되며, 결속 부재(44)를 이용하여 제2 보조 리드 줄(43)과 리드 줄(10)이 이루는 둘레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리드 줄(43)을 이용하면 상술한 제1 손잡이부(30)에서와 동일하게, 보호자가 손뿐만 아니라 어깨나 허리와 같은 곳에 제2 손잡이부(40)를 걸칠 수 있어, 편리한 실외 보행이 가능하며, 제1 보조 리드 줄(41)보다 길이가 늘어났기 때문에, 애완 동물이 더 멀리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결속 부재(44)를 이용하여 제2 길이를 가지는 보조 리드 줄(43)과 함께 리드 줄(10)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보호자는 상황에 따라, 두 마리의 애완 동물과 연결된 리드 줄(10)의 길이를 각각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도 9에서 제2 손잡이부(40)의 결속 부재(44)가 두 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결속 부재(44)를 이용하여 제2 손잡이부(40) 및 리드 줄(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애완 동물용 리드 줄
10: 리드 줄
20: 후크부
30: 제1 손잡이부
31: 조절 프레임
33: 제1 고리
35: 제1 보호 부재
37: 버클
40: 제2 손잡이부
41: 제1 보조 리드 줄
42: 고정부
43: 제2 보조 리드 줄
44: 결속 부재
45: 제2 보호 부재
46: 제2 고리

Claims (10)

  1. 소정 길이를 가지는 리드 줄(10);
    상기 리드 줄(10)의 일단에 연결되는 후크부(20);
    상기 리드 줄(10)의 타단에서 상기 리드 줄(10)로부터 연장되는 제1 손잡이부(30); 및
    상기 리드 줄(10)의 중앙에 배치되는 제2 손잡이부(40);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손잡이부(40)는,
    제2 길이를 가지는 제2 보조 리드 줄(43); 및
    상기 제2 보조 리드 줄(43)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을 상기 리드 줄(10) 상에 결속시키는 결속 부재(44); 를 포함하되,
    상기 결속 부재(44)는,
    상기 제2 보조 리드 줄(43)과 상기 리드 줄(10)이 이루는 둘레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용 리드 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부(30)는,
    폐루프 형태를 이루는 상기 리드 줄(10)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프레임(31);
    을 더 포함하는 애완 동물용 리드 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부(30)는,
    폐루프 형태를 이루는 리드 줄(10)의 일 지점에 결합되는 제1 고리(33);
    를 더 포함하는 애완 동물용 리드 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부(30)는,
    폐루프 형태를 이루는 리드 줄(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보호 부재(35);
    를 더 포함하는 애완 동물용 리드 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부(40)는,
    제1 길이를 가지는 제1 보조 리드 줄(41); 및
    상기 제1 보조 리드 줄(41)의 양 끝 단을 상기 리드 줄(10)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부(42);
    를 더 포함하는 애완 동물용 리드 줄.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부(40)는,
    상기 리드 줄(10)과 마주보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보호 부재(45);
    를 더 포함하는 애완 동물용 리드 줄.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부(40)의 일 지점에 결합되는 제2 고리(46);
    를 더 포함하는 애완 동물용 리드 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줄(10) 또는 상기 제2 손잡이부(40)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애완 동물용 리드 줄.
KR2020180005459U 2018-11-27 2018-11-27 애완 동물용 리드 줄 KR200492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459U KR200492559Y1 (ko) 2018-11-27 2018-11-27 애완 동물용 리드 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459U KR200492559Y1 (ko) 2018-11-27 2018-11-27 애완 동물용 리드 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64U KR20200001164U (ko) 2020-06-04
KR200492559Y1 true KR200492559Y1 (ko) 2020-11-04

Family

ID=7107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459U KR200492559Y1 (ko) 2018-11-27 2018-11-27 애완 동물용 리드 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55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947B1 (ko) * 2020-09-11 2023-05-17 조미순 완충기능을 갖는 애완 동물용 견인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389B2 (ja) 1990-08-05 2001-03-12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発熱体
GB2492314A (en) 2011-06-13 2013-01-02 Jovan Ristov Safety handle for a dog lea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836U (ko) * 1989-07-14 1991-03-05
US5038719A (en) * 1990-03-26 1991-08-13 Mcdonough John A Dog leash for runner
JP3134494U (ja) * 2007-06-05 2007-08-16 帝凡企業有限公司 ペット用リード構造
JP3145389U (ja) * 2008-07-04 2008-10-09 平岡 まり ペットの多頭用散歩リード
KR200464050Y1 (ko) 2010-06-07 2012-12-10 박만금 내비게이션 고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389B2 (ja) 1990-08-05 2001-03-12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発熱体
GB2492314A (en) 2011-06-13 2013-01-02 Jovan Ristov Safety handle for a dog lead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21836 UR
JP03134494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64U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9110B2 (en) Animal harness device
US5080045A (en) Jogger's pet leash
US20120160184A1 (en) Animal Harness
US20150237831A1 (en) Pet Leash
EP1994823A1 (en) Dog walking belt for dog having habit of pulling owner
US20090235873A1 (en) Exercising dog leash warn on a users wrist
US9032910B2 (en) Animal leash and harness
US20200214260A1 (en) Pet Leash
KR200492560Y1 (ko) 애완 동물용 하네스
US20170049078A1 (en) Animal restraint device
US10085502B1 (en) Hands-free dog control harness
US20200404888A1 (en) Animal training harness
KR200492559Y1 (ko) 애완 동물용 리드 줄
US20190098872A1 (en) Strap Assembly For A Leash
US11206814B2 (en) Horse anti-cribbing collar
KR102052269B1 (ko)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및 이를 포함한 견인줄 세트
US9357751B2 (en) Harness for pet and methods of use
US20180332827A1 (en) Adjustable Combination Animal Collar and Leash
KR200436378Y1 (ko) 애완동물용 기능성의류
US20140083371A1 (en) Pet Leash
JP6550364B2 (ja) ペット用ハーネス
KR20220000020U (ko)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US20200344975A1 (en) Pet Sling
US10334826B2 (en) Thumb supported animal training leash
IT201900013293A1 (it) “Pettorina per anima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