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618A -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및 이를 포함한 견인줄 세트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및 이를 포함한 견인줄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618A
KR20190124618A KR1020180077489A KR20180077489A KR20190124618A KR 20190124618 A KR20190124618 A KR 20190124618A KR 1020180077489 A KR1020180077489 A KR 1020180077489A KR 20180077489 A KR20180077489 A KR 20180077489A KR 20190124618 A KR20190124618 A KR 20190124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auxiliary
user
wris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269B1 (ko
Inventor
강도희
Original Assignee
강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도희 filed Critical 강도희
Publication of KR2019012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1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3Leads, leas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은, 일단부가 반려동물에 착용되고 타단부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로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견인줄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보조 견인줄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착용 부재;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반려동물용 견인줄의 손잡이부를 놓치더라도 상기 반려동물이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지 못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착용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반려동물용 견인줄의 손잡이부에 연결되며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보조 스트랩;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및 이를 포함한 견인줄 세트{ASSISTANT LEAD FOR COMPANION ANIMALS AND LEAD SE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반려동물용 견인줄의 손잡이를 놓치더라도 반려동물이 사용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핵가족 사회가 가속화되고 사람들 간의 대화가 적어지며 경제적으로는 여유가 많아지면서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정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여기서, 반려동물이란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증가하면서 반려동물과 관련된 산업이 확대되고 있으며, 그와 동시에 반려동물과 관련된 사건 사고도 증가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반려동물이 사람을 공격하거나, 반려동물을 잃어 버리는 문제, 반려동물을 도난 당하는 문제, 반려동물의 소음 문제 및 반려동물의 배설물 처리 문제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인은 반려동물과 함께 운동하거나 이동하는 경우에 견인줄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이 혼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최근에는 반려동물이 사람을 무는 등의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서 사회적으로 논란이 확대되고 있다. 에에 따라 반려동물의 외부 이동시 견인줄을 사용하는 것을 법적으로 의무 및 강화되는 추세이다.
한편, 견인줄은 사용자의 편의성 및 반려동물의 관리 안정성 측면에서 다양한 형태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실용신안 제3021836호(고안의 명칭: 견들의 산책용 인끈, 공개일: 1995.12.13.)에는, 산보 중의 개 등을 신속 용이하게 수중에 끌어당길 수 있는 산책용 인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고안의 경우에는 주인이 반려동물과 함께 이동하거나 운동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견인줄을 놓치게 될 위험성이 있고, 이에 따라 주인이 반려동물을 잃어버리거나 또는 반려동물이 주변의 다른 사람들을 공격하여 해를 가할 위험성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5898호(고안의 명칭: 보조걸이를 갖는 권선 개줄, 등록일: 2004.03.12.)에는 애완경 등 개를 데리고 다니면서 관리하기 위해 개를 묶어두는 개줄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고안의 경우에는 개줄의 몸체에 보조 걸이를 부착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손목에 걸거나 허리띠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안에서 양손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보조걸이의 환형 밴드에 의해 형성된 구멍으로 손목이나 팔을 넣어서 사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의 손목에 맞게 완전히 고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반려동물이나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개줄에서 사용자의 손목이나 팔이 빠질 위험성이 있어서 반려동물과의 사용자 간의 결속이 해제될 위험성이 있다.
이에, 주인이 반려동물의 견인줄을 놓치는 것을 방지하고, 주인과 반려동물의 결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견인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와 반려동물이 함께 산책을 하거나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손잡이부를 놓치더라도 반려동물이 사용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단부가 반려동물에 착용되고 타단부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로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견인줄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보조 견인줄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착용 부재;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반려동물용 견인줄의 손잡이부를 놓치더라도 상기 반려동물이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지 못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착용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반려동물용 견인줄의 손잡이부에 연결되며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보조 스트랩; 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착용 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는 손목 보호대 또는 팔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착용 부재에는 상기 보조 스트랩의 일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고리 형상의 제1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 스트랩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연결부를 감싼 상태에서 박음질 처리되거나, 상기 제1 연결부에 걸려지는 고리 형상의 제1 걸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착용 부재에는 상기 보조 스트랩의 일단부가 박음질 처리되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스트랩의 타단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걸려지는 고리 형상의 제2 걸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스트랩의 타단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두께로 인해 상기 손잡이부에 직접 걸기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여 방향 전환된 후 상기 제1 연결부에 걸려지는 고리 형상의 제2 걸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착용 부재에는 상기 보조 스트랩의 일단부가 박음질 처리되어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보조 스트랩의 일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고리 형상의 제1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 스트랩의 타단부에는 고리 형상의 제2 연결부가 마련되며, 일단부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여 방향 전환된 후 상기 제2 연결부에 걸려지는 고리 형상의 제3 걸이부가 마련되되 미리 정해진 길이로 제공되는 확장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 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는 손목 보호대를 포함하고, 상기 손목 보호대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상기 사용자의 바깥쪽 손목 부위에서 튀어나온 손목 뼈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위치확인용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목 보호대에는 상기 보조 스트랩의 일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고리 형상의 제1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사용자의 거부감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위치확인용 관통홀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목 보호대를 착용하였을 때 상기 사용자의 새끼 손가락이 연장되는 라인 상의 손목 부위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일단부가 반려동물에 착용되고 타단부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로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견인줄;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착용 부재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반려동물용 견인줄의 손잡이부를 놓치더라도 상기 반려동물이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지 못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착용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반려동물용 견인줄의 손잡이부에 연결되며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보조 스트랩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견인줄 세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은, 사용자가 반려동물용 견인줄의 손잡이부를 놓치더라도 반려동물이 사용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어서 반려동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착용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착용 부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견인줄 세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100, 이하 '보조 견인줄' 이라 함)을 설명한다.
우선, 보조 견인줄(100)은 일단부가 반려동물(미도시)에 착용되고 타단부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4)로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견인줄(10)과 결합하여 사용됨으로써, 사용자(미도시)가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의 손잡이부(14)를 놓치더라도 반려동물을 사용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을 간단히 설명한다.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은 사용자가 반려동물을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은 몸체부(12), 손잡이부(14), 견인줄(16) 및 반려동물 착용부(18)를 포함한다.
몸체부(12)는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의 몸체(body) 부분이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몸체부(12)는 견인줄(16)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감김 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몸체부(12)의 일측에는 손잡이부(14)가 형성된다. 손잡이부(14)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손잡이부(14)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고리 형상이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물 착용부(18)는 반려동물에 착용되는 부분으로, 몸체부(12)에 타측에 연결된 견인줄(16)과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물 착용부(18)는 반려동물이 착용하기 용이해야 하므로, 목걸이 또는 벨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동물 착용부(18)는 반려동물의 목 부분에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반려동물의 발이나 몸통에도 채울 수 있다.
이러한 동물 착용부(18)는 폴리스판, 나일론 등 다양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채워지는 반려동물의 크기 등에 따라 그 소재가 바뀔 수 있다.
견인줄(16)은 몸체부(12)와 동물 착용부(18)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견인줄(16)에 의해 사용자와 반려동물의 간격이 결정된다. 참고로,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2)에 의해 견인줄(16)의 길이가 조정될 수도 있고, 견인줄(16)의 일부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서 그 길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참고로, 견인줄(16)은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컨대 나일론줄, 로프형줄, 가죽줄, 체인형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 반려동물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견인줄(16)에 야광 도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2)의 일측에 손잡이부(14)가 형성되고 타측에 견인줄(16)이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움직이거나 이동하더라도 사용자와 견인줄(16)이 꼬이지 않게 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견인줄(100)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착용 부재(110); 및 사용자가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의 손잡이부(14)를 놓치더라도 반려동물(미도시)가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지 못하도록, 일단부가 착용 부재(1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의 손잡이부(14)에 연결되며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보조 스트랩(12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착용 부재(11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착용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착용 부재(110)는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는 손목 보호대(111) 또는 팔찌 형태로 제공된다. 참고로, 착용 부재(110)는 장갑, 아대, 팔찌, 건강팔찌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명상 편의를 위하여 착용 부재(110)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밴드 형태의 손목 보호대 또는 아대와 같은 형태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착용 부재(110)는 손목 보호대(111), 위치확인용 관통홀(117) 및 제1 연결부(115)를 포함한다.
우선, 손목 보호대(111)는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손목 보호대(111)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밴드(band)의 형태로 마련된다.
손목 보호대(111)는 유연성이 있는 합성 수지 소재의 섬유 원단으로 제공된다. 예컨대, 손목 보호대(111)의 내피는 네오프렌(neoprene) 소재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이므로 피부에 저자극이며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고, 손목 보호대(111)의 외피는 나일론(nylon) 또는 폴리에스터(polyester) 소재로 마련되어 후술할 결합부(113)가 마련된다.
또한,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착용 부재(110)에는 결합부(113)가 마련된다. 결합부(113)는 착용 부재(110)의 끝단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위치된 착용 부재(110)를 사용자의 손목 부위를 둘러싸도록 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결합부(113)는 갈고리 및 걸림고리가 한쌍으로 마련되는 벨크로(velcro) 형태로 마련된다.
여기서, 착용 부재(110)에는 착용 부재(110)가 원통 모양을 유지하도록 하고, 결합부(113)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홀(112)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이탈방지홀(112)은 착용 부재(110)의 끝단부, 즉 착용 부재(110)에 마련된 결합부(113)와 반대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착용 부재(110)에 형성된 이탈방지홀(112)에는 보강 부재(112a)가 마련된다. 보강 부재(112a)는 단단한 재질의 링 형태로 마련되어 이탈방지홀(112)의 내면을 따라 끼워짐으로써 이탈방지홀(112)이 찢어지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도 2의 (a)를 참조하면, 착용 부재(110), 즉 손목 보호대(111)에는 이탈방지용 걸쇠(114)가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착용 부재(110)에 마련된 결합부(113)의 끝단부에 이탈방지용 걸쇠(114)가 마련된다. 이탈방지용 걸쇠(114)는 결합부(113)가 사용자의 손목 부위를 감싸고 이탈방지홀(112)에 삽입된 후에 이탈방지홀(112)로부터 결합부(11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이탈방지용 걸쇠(114)는 결합부(113)를 이용하여 착용 부재(110)가 사용자의 신체 부위, 즉 손목 부위(1)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더라도 이탈방지홀(112)에 끼워진 결합부(113)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참고로, 이탈방지용 걸쇠(114)는 결합부(113)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착용 부재(110)보다 단단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치확인용 관통홀(117)은 손목 보호대(111)에 관통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위치확인용 관통홀(117)은 손목 보호대(111)를 사용자의 손목 부위(1)에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바깥쪽 손목 부위(1)에서 튀어나온 손목 뼈(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제1 연결부(115)는 후술할 보조 스트랩(120)의 일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제1 연결부(115)는 링 또는 고리 형태로 제공되며, 손목 보호대(111)의 외면에 박음질 형태로 고정된다. 참고로, 제1 연결부(115)의 형태 및 크기는 손목 보호대(111)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115)는 사용자의 거부감을 최소화하도록 위치확인용 관통홀(117)과 인접하게 마련되거나 위치확인용 관통홀(117)과 인접하게 마련되되 사용자의 더 바깥쪽 손목 부위에 마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손목 보호대(111)를 사용자가 착용할 때, 손목 보호대(111)에 형성된 위치확인용 관통홀(117)이 사용자의 손목 부위(1)에서 튀어나온 손목 뼈(2)가 위치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1 연결부(115) 및 제1 연결부(115)에 연결된 보조 스트랩(120)이 사용자가 손목 보호대(111)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새끼 손가락이 연장되는 라인 상의 손목 부위(1)에 위치, 즉 사용자의 손목 부위(1)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손목 보호대(111)를 착용한 상태로 사용자가 움직이거나 다른 행위를 하더라도, 제1 연결부(115) 및 보조 스트랩(120)에 의해 움직임이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위치확인용 관통홀(117)에 사용자의 손목 부위(1)에 튀어나온 손목 뼈(2)가 위치되어 걸리기 때문에, 착용 부재(110)의 위치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참고로, 위치확인용 관통홀(117)의 크기가 너무 작게 형성될 경우에는 손목 부위(1)에 튀어나온 손목 뼈(2)가 걸리지 않게 된다. 반대로, 위치확인용 관통홀(117)의 크기가 너무 크게 형성될 경우에는 손목 부위(1)에 튀어나온 손목 뼈(2)가 걸리지 않고, 걸리더라도 바로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치확인용 관통홀(117)의 크기는 너무 크기 않은 크기로 손목 부위(1)에 튀어나온 손목 뼈(2)가 걸릴 수 있을 정도로만 형성되면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손목 보호대(111)가 밴드 형태의 아대가 아니라 팔찌나 건강팔찌로 형성되게 되면, 별도로 제1 연결부(115)가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다시 말해서, 보조 스트랩(120)이 팔찌 형태로 형성된 손목 보호대(111)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게 되므로, 손목 보호대(111)에 제1 연결부(115)가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보조 스트랩(120)은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의 손잡이부(14)를 놓치더라도 반려동물이 사용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보조 스트랩(120)은 일단부가 착용 부재(1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의 손잡이부(14)에 연결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스트랩(120)의 일단부는 착용 부재(110)에 연결된다. 예컨대, 보조 스트랩(120)의 일단부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 부재(110)의 제1 연결부(115)를 감싼 상태에서 박음질 처리되거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스트랩(120)의 일단부에 제1 걸이부(122)가 마련되어 제1 연결부(115)에 걸려질 수도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스트랩(120)의 일단부가 착용 부재(110)에 외면에 박음질 처리되어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스트랩(120)의 타단부에는 제2 걸이부(124)가 마련된다. 제2 걸이부(124)는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의 손잡이부(14)에 걸려지게 된다.
참고로, 제1 걸이부(122) 및 제2 걸이부(124)는 열쇠고리형, 이중걸이 고리형, 등산고리형(카라비너), 플라스틱 버클형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고리 형태 및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걸이부(122) 및 제2 걸이부(124)는 등산고리형(카라비너)로 제공되어 착용 부재(110)의 제1 연결부(115) 및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의 손잡이부(14)와 간단하게 연결 또는 연결을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보조 스트랩(120)은 착용 부재(110) 및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의 손잡이부(14)와 다양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조 견인줄(100)과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의 연결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 견인줄(100)에서보조 스트랩(120)의 일단부는 착용 부재(110), 손목 보호대(111)의 제1 연결부(115)를 감싼 상태에서 박음질 처리되어 손목 보호대(111)와 연결된다. 보조 스트랩(120)의 타단부는 고리 형상의 제2 걸이부(124)에 의해 제1 연결부(115)에 걸려짐으로써 고정된다.
여기서,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의 손잡이부(14)가 두꺼울 경우에는 보조 스트랩(120)의 타단부를 직접 걸거나 또는 보조 스트랩(120)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2 걸이부(124)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보조 스트랩(120)의 타단부를 손잡이부(14)를 관통하여 방향 전환한 후에 보조 스트랩(120)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2 걸이부(124)를 제1 연결부(115)에 걸어서 고정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 견인줄(100-1)에서 보조 스트랩(120)의 일단부는 착용 부재(110), 즉 손목 보호대(111)에 형성된 제1 연결부(115)를 감싼 상태에서 박음질처리되어 제1 연결부(115)와 연결된다. 또한, 보조 스트랩(120)의 타단부에는 제2 걸이부(124)가 마련되어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의 손잡이부(14)에 걸려짐으로써 연결된다. 이때,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의 손잡이부(14)는 상술한 도 1의 손잡이부(14)에 비하여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보조 스트랩(120)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2 걸이부(124)를 손잡이부(14)에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조 견인줄(100-2)에서 보조 스트랩(120)의 일단부는 그 일단부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1 걸이부(122)에 의해 착용 부재(110), 즉 손목 보호대(111)에 형성된 제1 연결부(115)에 걸려서 고정된다. 또한, 보조 스트랩(120)의 타단부는 그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2 걸이부(124)에 의해 손목 보호대(111)에 형성된 제1 연결부(115)에 걸어서 고정시킨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보조 견인줄(100-3)(100-4)에서 보조 스트랩(120)의 일단부는 박음질 처리되어 착용 부재(110), 즉 손목 보호대(111)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손목 보호대(111)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보조 스트랩(120)의 타단부에는 고리 형상의 제2 연결부(126)가 마련된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한 보조 스트랩(120)과는 다르게 별도로 마련된 확장 프레임(130)을 매개로 반려동물의 견인줄(16)의 손잡이부(14)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확장 프레임(130)의 일단부는 보조 스트랩(120)의 제2 연결부(126)에 연결되고 확장 프레임(130)의 타단부는 손잡이부(14)를 관통하여 그 타단부에 마련된 고리 형상의 제3 걸이부(132)에 의해 보조 스트랩(120)의 제2 연결부(126)에 걸려진다. 이러한 확장 프레임(130)은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진다. 예컨대, 보조 스트랩(120)의 길이가 8cm 정도로 형성되면, 보조 스트랩(120)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손잡이부(14)를 관통하여 방향 전환되어 보조 스트랩(120)에 형성된 제2 연결부(126)에 연결된 확장 프레임(130)도 8cm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 스트랩(120)에 별도로 확장 프레임(130)이 연결되더라도 보조 스트랩(120)의 총 길이는 상술한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보조 스트랩(120)의 총 길이와 동일하게 된다.
또한, 보조 스트랩(120)은 밴드(band)의 형태로 제공되지만 확장 프레임(130)은 로프(rope)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보조 스트랩(120)이 자꾸 엉키는 것과 같이 거추장 스러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즉, 보조 스트랩(120)과 확장 프레임(130)이 서로 다른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조 스트랩(120)이 손잡이부(14)를 감싸고 방향전환 되더라도 사용자가 거추장 스럽거나 엉키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보조 견인줄(100-5)에서 보조 스트랩(120)의 일단부는 착용 부재(110), 즉 손목 보호대(111)의 외면에 박음질 처리를 통해 직접 연결된다. 보조 스트랩(120)의 타단부는 반려동물의 견인줄(16)의 손잡이부(14)를 관통하여 방향 전환된 후 손목 보호대(111)의 외면에 마련된 고리 형상의 제1 연결부(115)에 걸려서 고정된다. 여기서, 제1 연결부(115)는 별도로 마련된 연결 프레임(116)에 의해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연결 프레임(116)의 일단부가 박음질 처리되어 손목 보호대(111)의 일면에 마련되고, 연결 프레임(116)의 타단부에 고리 형상의 제1 연결부(115)가 위치된다.
참고로, 도 8에는 보조 스트랩(120)의 일단부와 연결 프레임(116)의 일단부가 박음질 처리를 통해 손목 보호대(111)에 연결되는 위치가 동일하게 도시되었으나, 이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 스트랩(120)의 일단부와 연결 프레임(116)의 일단부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보조 스트랩(120)와 연결 프레임(116)이 꼬이거나 거추장스럽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 스트랩(120)과 연결 프레임(116)이 손목 보호대(111)의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참고로, 상술한 도 1, 도 4 및 도 5는 반려동물이 소(小)형인 경우에 바람직하며, 상술한 도 6 내지 도 8은 반려동물이 대(大)형인 경우에 바람직하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반려동물용 견인줄(10)과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100)을 포함하여 반려동물용 견인줄 세트(10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려동물용 견인줄 세트(1000)는 일단부가 반려동물(미도시)에 착용되고, 타단부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4)로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견인줄(10) 및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착용 되는 착용 부재(110)와 사용자가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의 손잡이부(14)를 놓치더라도 반려동물이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지 못하도록 일단부가 착용 부재(1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의 손잡이부(14)에 연결되며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보조 스트랩(120)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을 포함한다.
즉,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100) 만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반려동물용 견인줄(10)에 연결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려동물용 견인줄(10)과 착용 부재(110) 및 보조 스트랩(120)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100)을 하나의 세트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반려동물용 견인줄(10)와 보조 견인줄(100)이 하나의 세트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보조 스트랩(120)의 타단부가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의 손잡이부(14)에 걸리거나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반려동물용 견인줄(10)의 몸체부(12)의 타단부, 즉 손잡이부(14)와 반대되는 위치에 견인줄(16)과 함께 연결된다.
참고로, 도 9에는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100)에서 착용 부재(110)와 보조 스트랩(120)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은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110: 착용 부재
111: 손목 보호대
112: 이탈방지홀
122a: 이탈방지용 걸쇠
113: 결합부
115: 제1 연결부
116: 연결 프레임
117: 위치확인용 관통홀
120: 보조 스트랩
122: 제1 걸이부
124: 제2 걸이부
126: 제2 연결부
130: 확장 스트랩
132: 제3 걸이부

Claims (10)

  1. 일단부가 반려동물에 착용되고 타단부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로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견인줄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보조 견인줄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착용 부재;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반려동물용 견인줄의 손잡이부를 놓치더라도 상기 반려동물이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지 못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착용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반려동물용 견인줄의 손잡이부에 연결되며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보조 스트랩;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는 손목 보호대 또는 팔찌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재에는 상기 보조 스트랩의 일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고리 형상의 제1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 스트랩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연결부를 감싼 상태에서 박음질 처리되거나, 상기 제1 연결부에 걸려지는 고리 형상의 제1 걸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재에는 상기 보조 스트랩의 일단부가 박음질 처리되어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트랩의 타단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걸려지는 고리 형상의 제2 걸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트랩의 타단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두께로 인해 상기 손잡이부에 직접 걸기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여 방향 전환된 후 상기 제1 연결부에 걸려지는 고리 형상의 제2 걸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재에는 상기 보조 스트랩의 일단부가 박음질 처리되어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보조 스트랩의 일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고리 형상의 제1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 스트랩의 타단부에는 고리 형상의 제2 연결부가 마련되며,
    미리 정해진 길이로 제공되되 일단부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여 방향 전환된 후 상기 제2 연결부에 걸려지는 고리 형상의 제3 걸이부가 마련되는 확장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는 손목 보호대를 포함하고,
    상기 손목 보호대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상기 사용자의 바깥쪽 손목 부위에서 튀어나온 손목 뼈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위치확인용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 보호대에는 상기 보조 스트랩의 일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고리 형상의 제1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사용자의 거부감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위치확인용 관통홀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목 보호대를 착용하였을 때 상기 사용자의 새끼 손가락이 연장되는 라인 상의 손목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10. 일단부가 반려동물에 착용되고 타단부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로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견인줄;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착용 부재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반려동물용 견인줄의 손잡이부를 놓치더라도 상기 반려동물이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지 못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착용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반려동물용 견인줄의 손잡이부에 연결되며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보조 스트랩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견인줄 세트.
KR1020180077489A 2018-04-26 2018-07-04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및 이를 포함한 견인줄 세트 KR102052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266 2018-04-26
KR20180048266 2018-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618A true KR20190124618A (ko) 2019-11-05
KR102052269B1 KR102052269B1 (ko) 2019-12-04

Family

ID=6857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489A KR102052269B1 (ko) 2018-04-26 2018-07-04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및 이를 포함한 견인줄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9305A1 (es) * 2022-10-27 2024-05-02 Hardisson Bravo Lourdes Accesorio portador de correas extensibles de mascota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828A (ko) 2021-10-28 2023-05-08 송근영 반려동물용 견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0188U (ko) * 1989-12-26 1991-09-13
JP2007135557A (ja) * 2005-11-16 2007-06-07 Kazuo Noda リード装置の保持具
US20080141950A1 (en) * 2006-12-14 2008-06-19 Glazer Shelly K Retractable leash assembly
US20090235873A1 (en) * 2008-03-24 2009-09-24 Gould Anna C Exercising dog leash warn on a users wris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0188U (ko) * 1989-12-26 1991-09-13
JP2007135557A (ja) * 2005-11-16 2007-06-07 Kazuo Noda リード装置の保持具
US20080141950A1 (en) * 2006-12-14 2008-06-19 Glazer Shelly K Retractable leash assembly
US20090235873A1 (en) * 2008-03-24 2009-09-24 Gould Anna C Exercising dog leash warn on a users wri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9305A1 (es) * 2022-10-27 2024-05-02 Hardisson Bravo Lourdes Accesorio portador de correas extensibles de mascot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269B1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0045A (en) Jogger's pet leash
US6694923B1 (en) Pet harness with quick connect stand-up leash
CA2398944C (en) Retaining and guiding device
US6662753B1 (en) Multi-functional animal leash
EP0612467A1 (en) Leash-controllable dog harness
US4426957A (en) Safety release pet collar
US6397784B1 (en) Animal restraint
US5471953A (en) Collarless dog harness and leash joined thereto
US9572325B2 (en) Stop pulling harness
US20170280686A1 (en) Looping Leash and Collar
US20200404888A1 (en) Animal training harness
KR102052269B1 (ko)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및 이를 포함한 견인줄 세트
US20180077907A1 (en) Looped Elastic Leash
US9615544B2 (en) Animal restraint
US20170042124A1 (en) Modular Low-Tangling Shock-Absorbant Dog Leash System
JP5129089B2 (ja) ペット用ベストタイプハーネス
US11206814B2 (en) Horse anti-cribbing collar
US20120210950A1 (en) Hands free restraining device
US20150150222A1 (en) Pet leash with adjustable security extension
JP2007508836A (ja) 動物用ハーネス
KR200492559Y1 (ko) 애완 동물용 리드 줄
JP6550364B2 (ja) ペット用ハーネス
JP2007517518A (ja) 動物用束縛具
US20170318787A1 (en) Tangle-Free Pet Collar
CN213939295U (zh) 一种多功能宠物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