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029A -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 Google Patents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029A
KR20160086029A KR1020150003123A KR20150003123A KR20160086029A KR 20160086029 A KR20160086029 A KR 20160086029A KR 1020150003123 A KR1020150003123 A KR 1020150003123A KR 20150003123 A KR20150003123 A KR 20150003123A KR 20160086029 A KR20160086029 A KR 20160086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aist
dog
colla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우
김유일
Original Assignee
김민우
김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우, 김유일 filed Critical 김민우
Priority to KR1020150003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6029A/ko
Publication of KR20160086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1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3Leads, leas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술한 바대로 외출 시 애완견의 목줄과 연통된 리드 선의 꼬임으로 인하여 행동의 불편함을 해소해 주며, 끈이 꼬여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와 더불어 끈을 놓쳐 발생할 수 있는 분실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안전 제품이며 주인의 손을 자유롭게 해주어 애완견과 외출이나 산책의 질을 더욱 높여주는 기능을 갖는 애완견 목줄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원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는 베어링식, 커튼 레일식, 롤러식, 도르래식, 자석식, 기어식, 벨트식, 링식 중 바람직한 어느 한 형태를 이용하여 360°로 회전이 됨과 동시에 애완견의 목줄의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기능을 갖으며 산책이나 외출 시 애완견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주인의 편리함과 동시에 애완견의 행동과 안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한마리의 애완견이 아닌 한마리 이상의 다수의 애완견을 견인하더라도 목줄 리드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우수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Dog leash or belt that can be worn on the waist}
본 발명은 애완견과 산책이나 외출시 애완견의 목줄에 의한 꼬임이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인체 허리에 벨트 식으로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가정에서 기르는 애완견을 더욱 자유롭고 안전하게 견인하는 허리에 벨트 식으로 착용하는 목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동물 관련 뉴스를 살펴보면 사람들의 소득의 향상과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미국이나 유럽에서 기르는 애완동물의 숫자가 인구를 앞지르고 있으며 선진국으로 갈수록 애완동물의 관심도가 높으며 통계 자료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 애완견을 기르는 가구는 19%, 애완견 숫자는 자그마치 120여 종에 400만 마리에 이른다고 하며 거의 인구 4명 중 1명 이상이 한 마리의 애완견을 키우는 셈이고 한마리 이상을 키우는 가정도 꾸준히 늘고 있다.
한편, 애완동물을 좋아하는 어린이일수록 친 사회성이 높다는 최근 연구논문이 나왔으며 논문에 따르면 아이들의 친 사회성은 애완동물 소유나 사육경험이 아니라 애완동물에 대한 애호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원은 이러한 애완견들의 외부 활동에 대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되는 애완견 견인장치 "즉" 목줄에 관한 것으로 한마리의 애완견이 아닌 한마리 이상의 다수의 애완견을 견인하더라도 목줄 리드선이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허리에 착용하고 애완견과 산책시 애완견의 유동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동식 벨트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부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줄 꼬임 방지와 애완견이 놀람 등으로 갑자기 튀어나갈 시 애완견의 목을 반발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기능성을 갖는 애완견 목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바 대로 사람의 허리에 착용하는 애완견 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허리에 탈부착하고 애완견의 유동 방향으로 회동하는 회전체가 구성되어 작동되므로 애완견의 목과 연결된 목줄이 벨트에 구성된 회전체에 의하여 걸림이나 꼬임이 방지되는 허리 벨트 체결식 애완견 벨트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원과 관련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본 발명과 극히 유사한 개념의 기술적 구성을 이루는 출원은 없었고 이러한 기술적 구성이 활발하지 않은 상황이었는데 이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14-0000824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몸체 내부에 개 줄이 장착된 내통이 축설 되어 전방 슬릿 홀로 개 줄이 출몰 자유롭게 구성되며, 후방에는 구멍을 형성한 손잡이와, 그 상부에 조작 버튼으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개가 활동하는 범위만큼 개 줄이 슬릿 홀을 통해 감겨 들어가거나 풀려나가도록 분리 단 각각에 암,수 버클 체로 착 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본원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와는 매우 상이하다 할 수 있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9--0016076호가 기술되어 있는데 이는 개 목걸이와 개 줄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하는 고리를 형성하여 고리와 개 줄이 연결되는 부위가 흔들려서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부위를 탄성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회전이 자유로우면서도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기술로 구성하여 본원과는 다른 기술이었다.
더불어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4-0015140 호가 있는데 이는 개 등의 애완동물용 목걸이, 건설현장이나 공사장의 인부용 벨트, 또는 등산 자 용 벨트 등에 사용되는 고리형상 벨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벨트의 잠금 구에 힘이 가해지지 않아, 그로 인한 파손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고리형상 벨트로 본원의 허리에 부착하여 회동하는 애완견 목줄로 구성된 본원과는 매우 상이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행된 또 다른 기술을 살펴보면 국내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2-0031512호가 기술되었는데 이는 애완견 목줄이 수납되어 있는 몸체 부 및 상기 몸체 부에 착 탈 가능하도록 설계된 파지 부를 포함하고, 상기 애완견용 목줄이 수납되어 있는 상기 몸체 부는 상기 애완견 목줄의 풀림을 제어하기 위한 기어바퀴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 기술 또한 본원과는 대체로 상이하다고 하겠으며 시중에 고무줄 형태의 허리띠 형식의 단순한 목줄이 있었는데 이는 회전이되지 않고 애견의 목줄이 조절되는 기능도 없으며 애견이 허리띠를 당기면 허리띠가 늘어지거나 꼬여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은 앞에서 살펴본 선행 기술들과는 상이한 애완견과 산책이나 외출 시 애완견 줄의 꼬임 방지로 인하여 애완견의 목이 조여지거나 꼬여진 줄에 의하여 사람이나 애완견의 발이 걸려 넘어져 사람이나 애완견이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애완견이 놀라거나 동족의 이성견에게 다가가는 돌발행동으로 인하여 끈을 놓쳐 발생할 수 있는 애완견의 분실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체의 허리에 탈부착하고 회전체가 구성되어 애완견의 목과 연결된 목줄이 구성된 벨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구성된 회전체에 의하여 상기 애완견의 목줄이 보행시나 정지시 걸림이나 꼬임이 방지되는 허리 벨트 식 애완견 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는 베어링식, 커튼 레일식, 롤러식, 도르래식, 자석식, 기어식, 벨트식, 링식 중 바람직한 어느 한 형태를 이용하여 360°로 회전이 됨과 동시에 애완견의 목줄의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기능을 갖으며 산책이나 외출 시 애완견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주인의 편리함과 동시에 애완견의 행동과 안전을 제공하며 한마리의 애완견이 아닌 다수의 애완견을 견인하더라도 목줄 리드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말한데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애완견을 데리고 산책이나 외출시 줄 꼬임으로 인한 안전사고와 손으로 항시 애완견의 끈을 단단하게 파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허리에 간편하게 착용하고 회전할 수 있는 벨트를 개시한다.
본원의 회전체가 구성된 허리 벨트 식 애완견 벨트는 베어링, 커튼 식 레일, 롤러, 도르래, 자석, 기어, 벨트, 선, 링 중 바람직한 어느 하나의 회전 도구를 이용하여 360도 방향으로 회전이 됨과 동시에 목 끈의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기능을 갖으며 산책이나 외출 시 애완견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주인과 애완견의 행동과 안전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더불어 애완견이 놀라거나 이성을 만나 갑자기 튀어나가 끈을 놓쳐 발생할 수 있는 애완견의 분실사고를 방지하고 끈을 손으로 파지하지 않아 양손의 자유로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바 대로 가정에서 기르는 애완견과 산책이나 외출시 애완견의 목줄과 연결된 리드 선이 애완견의 발이나 산책자 또는 주변사람이나 사물에 꼬임이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인체의 허리에 벨트 식으로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에 관한 것으로 가정에서 기르는 애완견을 더욱 자유롭고 안전하게 견인하는 벨트 식 목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애완견이 주변환경의 놀람 등으로 갑자기 튀어나가 발생할 수 있는 분실사고를 미리 대비할 수 있으며 힘이 약한 노약자가 힘이 좋은 중형견 등을 견인할 때 돌출행동으로 인하여 손이나 어깨 등에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아울러 한마리의 애완견이 아닌 한마리 이상의 다수의 애완견을 견인하더라도 목줄 리드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애완견 줄의 꼬임으로 목이 조여지거나 꼬여진 줄에 의하여 발에 걸려 넘어져 사람이나 애완견이 부상을 당하는 안전사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길이조절 가능한 손잡이를 벨트와 결합시켜 산책이나 외출시 편리함을 더해준다.
바람직하게는 본체에는 카라비너(Carabinier)나 고리 등을 탈부착하여 여러 마리를 산책할 시킬 때에도 꼬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많은 장점과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에 있어 종래의 손으로 파지하는 애완견 목줄을 나타낸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밴드형태로 구성된 벨트를 나타낸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끼움 식 밴드 결합구성을 나타낸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측면고정 볼트식 밴드 결합구성을 나타낸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전면고정 볼트 식 밴드 결합구성을 나타낸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고리 식 결합구성을 나타낸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롤러 식으로 작동하는 애완견 벨트를 나타낸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자석식으로 작동하는 애완견 벨트를 나타낸 그림.
도 10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베어링 식으로 작동하는 애완견 벨트를 나타낸 그림.
도 11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레일 식으로 작동 하는 애완견 벨트를 나타낸 그림.
도 12는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기어식으로 작동하는 애완견 벨트를 나타낸 그림.
도 13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본원 애완견 벨트 착용 후 견인 상태를 나타낸 그림.
도 14는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롤러 또는 베어링 회전체로 이루어진 벨트의 구성을 나타낸 그림.
도 15는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인체 허리에 구성된 회전 벨트의 회전형태를 나타낸 그림.
도 16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애완견 한 마리의 견인상태를 나타낸 그림.
도 17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애완견 두 마리의 견인상태를 나타낸 그림.
도 18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애완견 세 마리의 견인상태를 나타낸 그림.
도 19는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복수의 애완견 견인시 바람직한 고리의 형태를 나타낸 그림.
본 발명은 상기한바 대로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하며 회전기능을 갖는 애완견 목줄 및 벨트에 관한 것으로 인체 허리에 탈 부착이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로서
본원의 회전체가 구성된 허리 벨트 식 애완견 벨트는 베어링, 커튼 식 레일, 롤러, 도르래, 자석, 기어, 벨트, 와이어, 링 중 선택된 어느 한 형태 및 구성을 이용하여 360도 회전이 됨과 동시에 애완견의 목줄의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기능을 갖으며 산책이나 외출 시 애완견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주인의 편리함과 동시에 애완견의 행동과 안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난해 서울 강남과 경기도 성남시 분당의 초등학생 442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애완동물을 기르고 있는 어린이는 전체의 36.2%인 160명이었으며 33.5%인 148명은 과거 사육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많이 키우는 애완동물은 강아지(43.7%), 햄스터(13.8%),새(7.9%),거북이(7.0%)등의 순서였다.
또 사육기간은 1년 미만이 173명(39.1%)으로 가장 많았으며 1~2년이 71명(16.1%), 2~3년이 27명(6.1%) 등이었으며 3년 이상도 37명(8.4%)이나 됐다.
최근 농협연구소에서는 애완동물관련 시장규모를 2012년에는 9,000억 원 2020년에는 무려 6조 원대로 예상했다.
또한, 출입국 관리소에 따르면 해외 여행하는 사람들과 동반하여 외국여행을 하는 애완동물의 숫자가 나날이 늘어나 지난 2010년에는 1만 8,766 마리, 2011년 2만 20마리, 2012년 2만 1,653 마리와 2013년 2만 2,296 마리로 그 숫자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최근 선진국에는 애완견을 산책시키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도 등장하였고 애완견들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기위해서는 산책이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숫자가 늘어나는 애완견과 이를 사육하는 사람들의 산책이나 외출을 위한 발명으로 애완견과 외출이나 산책시 애완견의 목줄과 연통된 리드 선의 꼬임으로 인하여 뜻하지 못한 사고를 예방해주고 애완견 산책자의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행동의 불편함을 해소해 주며, 예기치 못하게 끈을 놓쳐 발생할 수 있는 애완견의 분실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발명으로 애완견과 함께하는
산책이나 외출의 질과 효과를 더욱 높여주는 장점이 있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요소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다양한 첨부 도면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에 있어 종래의 손으로 파지하는 애완견 목줄을 나타낸 그림으로 종래 손으로 파지하여 애완견을 산책시키는 통상의 리드 선이 부착된 목줄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그림으로 상기 애완견용 목줄은 인체 허리(40)에 벨트 식으로 착용하는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와;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크기를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맞도록 임의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벨트크기 조절 부(80)와; 애완견의 몸체 부분에 설치된 애완견의 목줄에 탈 결합하는 애완견 목줄 결합 고리(420)로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에는 인체 허리(40)에 착용토록 하는 벨트 착용 부(100)가 구성되는데 이는 벨트가 애완견의 예기치 못한 돌발적인 강한 당김에도 상기 벨트가 풀어지지 않도록 버클이나 클립 버튼식으로 상기 허리에 고정되게 되며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일 측에 구성되게된다.
또한, 애완견의 목줄과 연통 되는 벨트부 목줄 결합 고리(120)가 구성되며 상기 결합 고리(120)가 인설되어 허리 둘레에서 회전토록 하는 회전체(140)가 상기 벨트일 측면에 구성되며 상기 회전체(140) 일 측에 결합 고리(120)가 인설되어 목줄 리드 선(160) 또는 손잡이 부(360)가 탈 부착되는 것을 본원의 특징으로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밴드형태로 구성된 벨트를 나타낸 그림으로 밴드나 링 또는 와이어나 밴드형태로 이루어진 허리 착용 벨트로 상기 회전체(140)일 측에는 상기 목줄 리드 선(160)이 탈 부착되는 밴드(180)와 이를 체결하는 밴드 결합부(200)와 상기 밴드가 인체 허리 부에 회전토록 하는 밴드 회전체(140)와 이를 고정하는 밴드 고정부가 구성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벨트에는 허리를 감싸는 링이나 밴드를 결속시켜 링이나 밴드가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게 되며 여기에 작은 링이나 밴드가 끼워지면서 허리 링이나 밴드를 타고 움직이면서 회전체(140)의 회전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밴드(180)는 벨트 부에 일정간격의 유격을 두고 설치하게 되며
상기 벨트부 일 측에 벨트부 목줄 결합 고리(120)가 및 목줄 리드 선(160)이 회전토록 하여 주인이나 산책자가 상기 애완견을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는 것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끼움 식 밴드 결합구성을 나타낸 그림으로 밴드나 링 또는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진 허리착용 벨트의 바람직한 어느 한 결합 방식으로 버튼이나 클립 등을 이용하여 끼움 식으로 작동되는 상기 벨트 결합 부재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측면고정 볼트식 밴드 결합구성을 나타낸 그림으로 상기 밴드나 링 또는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진 허리착용벨트의 측면 부에 볼트와 너트를 구성하여 이를 결합 및 탈착되는 것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전면고정 볼트식 밴드 결합구성을 나타낸 그림으로 상기 밴드나 링 또는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진 허리착용벨트의 단 부가 마주보는 전면부에 볼트와 너트를 구성하여 상기 벨트의 링 또는 와이어 부가 결합 및 탈착되는 것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고리 식 결합구성을 나타낸 그림으로 상기 밴드나 링 또는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진 허리 착용 벨트의 측면 부에 고리나 클립을 구성하여 이를 결합 및 탈착되는 것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롤러 식으로 작동하는 애완견 벨트를 나타낸 그림으로 상기 회전체(140)일 측에는 상기 벨트의 회전을 용이하도록 하는 벨트 롤러 부(260)와 이와 결합하는 레일 부(280)가 설치되며 상기 벨트 롤러 부(260)가 상기 레일 부(280)에 인입되어 회동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롤러 부(260)일 측에는 상기 목줄 결합 고리(120)를 링(300)형 태로 구성하여 애완견의 목줄 리드 선(160)에 탈 결합할 수 있는 것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자석식으로 작동하는 애완견 벨트를 나타낸 그림으로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애완견의 목줄과 연통 되는 벨트부 목줄 결합 고리(120)는 자석 부(380)가 구성되는데 애완견에 의해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회전할 경우와 내부 벨트 부와 외부 벨트 부가 부착되어 있는 자석 사이를 지나가게 되고 그때 상기 회전체(140)가 외부 벨트 부를 당기는 힘과 자성을 줄여주는 재질이 추가로 힘을 가해짐으로 상기 외부 벨트가 지나가는 부분은 자석이 분리되고 나머지 부분은 결합하게 구성될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기 회전체(140)가 허리 둘레를자유롭게 360도 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석 부(380)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리나 클립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자석은 강력자석인 희토류를 주체로 한 네오디뮴(Neodymium) 자석으로 이루어짐이 매우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회전체(140) 일 측에는 상기 자석 부(380)와 결합하는 금속인 강자성체를 부착할 수도 있고 상기 회전체(140) 일 측에 상기에서처럼 자석 부(380)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하겠으며 상기 결합 고리(120)와 이와 연통 된 손잡이 부(360) 또는 목줄 리드 선(160)이 탈 결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베어링(Bearing)식으로 작동하는 애완견 벨트를 나타낸 그림으로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애완견의 목줄과 연통 되는 벨트부 목줄 결합 고리(120)의 회전을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게 하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는 베어링 부(320)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베어링은 회전하는 애완견 목줄과 연동된 회전체(140)를 고정하고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회전체(140)를 부드럽고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역활을 하는 기계적 요소이다.
본원에 사용하는 베어링은 상기 회전체(140)의 하중을 받고 회전하는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과 구름 베어링(Rolling bearing)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직각방향으로 하중을 받아 회전하는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과 회전체(140)에 대하여 회전체(140)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스러스트 베어링(Trust Bearing)
회전체(140)의 축 방향과 직각 방향에 대하여 하중을 받는 원추 베어링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볼이 투입된 볼 베어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또한 상기 벨트 부 일 측부에는 상기 베어링이 회동하거나 지지하는 지지부 또는 레일 부가 인설되고 이와 결합하는 회전체(140)는 베어링이 구성된 회전체(140)이며 상기 결합 고리(120)에 손잡이 부(360) 또는 목줄 리드 선(160)이 회전 및 유동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내부 벨트에 일정 간격으로 베어링 부(320)가 구성되고 이를 지지하는 상기 베어링의 볼을 지지하는 볼 지지 부가 인설되며 타 측으로는 회전체(140)를 부착하며 애완견의 유동이나 견인력에 의하여 상기 베어링이 회동하면서 본원 회전체(140)가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벨트 부분은 고정이 되어 있고, 회전체(140)는 베어링에 의해 주어지는 힘의 방향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레일 식으로 작동하는 애완견 벨트를 나타낸 그림으로 바람직하게는 T자형 이음부 양쪽에는 회전 롤러가 구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ㄷ” 자형 회전용 레 일부에 접촉되어서 회동 되는데 상기 “ㄷ” 자형 레일 부는 벨트의 부착이 되어있어 움직이지 않고 롤러가 “ㄷ” 자형 회전용 레일 부의 홈에 끼워져 롤러가 회전하며 이와 연통 된 회전체(140)가 원활하게 회동되며 이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며 L자형태나 ㄱ자 형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고 하겠으며 본원을 바람직하게 실시 하기위해서는 롤러의 형태를 제한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 실시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기어식으로 작동하는 애완견 벨트를 나타낸 그림으로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애완견의 목줄과 연통 되는 벨트 부 목줄 결합 고리(120)는 바람직하게는 기어 부(340)가 구성되는데 두 축이 평행이며 바깥 물림은 축의 회전은 서로 역방향이 되고 회전을 동일한 방향으로 하고자 할 때에는 안쪽 기어를 사용하는 스퍼기어(Spur gear)와; 치형이 경사져 있고 축 방향으로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축 방향의 힘을 받아주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을 필요로 하는 헬리컬 기어(Helical gear)와; 스퍼 기어의 지름인 래크(Rack)와
이것과 서로 물리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가 구성되어 상기 래크와 피니언은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작동되는 헤링본 기어(Herringbone gear)와; 헬리컬 기어의 축을 엇갈리게 하여 물리게 하는 나사기어와; 서로 교차하지 않는 직각 축 간의 운동 전달에 사용되는 것이 웜(Worm)과 웜 기어 그 밖의 축간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는 타원기어, 운동차의 연속 회전에 대하여 종동차(從動車)가
간헐운동(間歇運動)을 하는 간헐기어, 원형의 기어 내부에 피니언 기어가 투입되어 회전하는 내치기어(Internal gear)와 더불어 타이밍 벨트로 작동하는 타이밍 기어(Timing gear)등을 본원의 벨트에 자유롭고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벨트 부에는 레일식 기어가 설치되고 이와 결합하는 회전체(140)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가 구성되어 두 개의 기어 요철부가 서로 맞물려 허리둘레를 360도 회동토록 하게 되며 상기 기어의 재질은 금속, 합성수지, 고무 중에서 바람직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본원 애완견 벨트 착용 후 견인 상태를 나타낸 그림으로 상기 애완견용 목줄은 인체 허리(40)에 착용하는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와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크기를 사용자의 허리에 맞도록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벨트크기 조절 부(80)와;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를 인체 허리(40)에 착용토록 하는 벨트 착용 부(100)가 구성되되;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애완견의 목줄과 연통 되는 벨트부 목줄 결합 고리(120)는 바람직하게는 등산시 주로 사용하는 카라비너(400)가
구성되어 상기 결합 고리(120)에 손잡이 부(360) 또는 목줄 리드 선(160)이 결합하여 회전 및 유동하며 애완견을 보다 쉽게 견인하는 것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롤러 또는 베어링 회전체(140)로 이루어진 벨트의 구성을 나타낸 그림으로 상기 애완견용 목줄은 인체 허리(40)에 착용하는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와;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크기를 사용자의 허리에 맞도록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벨트크기 조절 부(80)와;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를 인체 허리(40)에 착용토록 하는 벨트 착용 부(100)가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T자형 이음부 양쪽에는 회전 롤러가 구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ㄷ” 자형 회전용 레 일부에 접촉되어서 회동 되는데 상기 “ㄷ” 자형 레일 부는 벨트의 부착이 되어있어 움직이지 않고 롤러가 “ㄷ” 자형 회전용 레일 부의 홈에 끼워져 롤러가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L”형태의 레일 부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인체 허리에 구성된 회전 벨트의 회전형태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애완견 한 마리의 견인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아울러 도 17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애완견 두 마리의 견인상태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애완견 세 마리의 견인상태를 나타낸 그림으로 복수의 애완견을 견인하여도 본원은 회전체(140)에 고정된 목줄이 허리둘레를 자유롭게 회동하므로 서로 엉키지않는 장점을 가진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의 일실시 예에 있어 복수의 애완견 견인시 바람직한 고리의 형태를 나타낸 그림으로 애완견의 리드 줄과 연통된 연결 고리는 카라비너와 유사 구조로 제작하여 탈부착이 쉬워 분해 결합이 쉬우며 상기 롤러는 허리 밴드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힘을 가해도 상기 회전체(140)가 360도 회전할 수 있기에 산책시에 애완견과 주인이 서로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애완견의 분실을 최소화한다
아울러 본원벨트의 허리 착용 시에는 종래의 혁대를 결속하는 버클이나 클립, 단추나, 자석, 또는 고리나 벨크로 등을 이용한 다양한 체결 부재(330) 구성하여 허리에 쉽게 결속및 해체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실시로 인하여 애완견 줄의 꼬임으로 목이 조여지거나 꼬여진 줄에 의하여 발에 걸려 넘어져 사람이나 애완견이 부상을 당하는 안전사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길이조절 가능한 손잡이를 본원 벨트와 결합시켜 산책이나 외출시 편리함을 더해주는 장점을 가지게되고 아울러 한마리의 애완견이 아닌 한마리 이상의 다수의 애완견을 견인하더라도 목줄 리드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불어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하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애완견 40: 인체 허리
60: 목줄 결합벨트 본체 80: 벨트크기 조절 부
100: 벨트 착용 부 120: 벨트부 목줄 결합 고리
140: 회전체 160: 목줄 리드 선
180: 밴드 200: 밴드 결합부
220: 밴드 회전체 260: 벨트 롤러 부
280: 레일 부 300: 링
320: 베어링 부 330: 체결 부재
340: 기어 부 360: 손잡이 부 380: 자석 부
400: 카라비너

Claims (10)

  1. 인체 허리에 착용하는 애완견용 목줄에 있어서
    상기 애완견용 목줄은 인체 허리(40)에 착용하는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와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크기를 사용자의 허리에 맞도록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벨트크기 조절 부(80)와;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를 인체 허리(40)에 착용토록 하는 벨트 착용 부(100)가 구성되되;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애완견의 목줄과 연통 되는
    벨트부 목줄 결합 고리(120)와; 상기 결합 고리(120)가 설치되어 애완견 목줄이 360도로 회전토록 하는 회전체(140)와; 상기 결합 고리(120)에 목줄 리드 선(160) 또는 손잡이 부(360)가 탈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40)일 측에는 상기 목줄 리드 선(160)이 탈 부착되는 밴드(180)
    와; 상기 밴드(180)를 결합하는 밴드 결합부(200)와; 상기 밴드(180) 일측에 설치되어 애완견의 유동방향으로 회동하는 회전체(140)가 구성되어 목줄 리드 선(160)이 회전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40)일 측에는 벨트 롤러 부(260)와 레일 부(280)와 여기에 설치되는 링(300)이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4. 인체 허리에 착용하는 애완견용 목줄에 있어서
    상기 애완견용 목줄은 인체 허리(40)에 착용하는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와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크기를 사용자의 허리에 맞도록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벨트크기 조절 부(80)와;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를 인체 허리(40)에 착용토록 하는 벨트 착용 부(100)가 구성되되;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애완견의 목줄과 연통 되는 벨트부 목줄 결합 고리(120)가 구성된 회전체(160) 또는 밴드(180)에는 베어링 부(320) 또는 링(300)이 구성되어 목줄 리드 선(160)이 회전 및 유동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5. 인체 허리에 착용하는 애완견용 목줄에 있어서
    상기 애완견용 목줄은 인체 허리(40)에 착용하는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와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크기를 사용자의 허리에 맞도록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벨트크기 조절 부(80)와;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를 인체 허리(40)에 착용토록 하는 벨트 착용 부(100)가 구성되되;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애완견의 목줄과 연통 되는 벨트부 목줄 결합 고리(120)가 구성된 회전체(160) 또는 밴드(180)에는 레일 부(280)가 구성되어 목줄 리드 선(160)이 회전 및 유동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6.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애완견의 목줄과 연통 되는 벨트부 목줄 결합 고리(120)는 기어 부(340)가 구성되어 상기 결합 고리(120)와 이와 연통 된 손잡이 부(360) 또는 목줄 리드 선(160)이 회전 및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애완견의 목줄과 연통 되는 벨트부 목줄 결합 고리(120)는 자석 부(380)가 구성되어 상기 결합 고리(120)와 이와 연통 된 손잡이 부(360) 또는 목줄 리드 선(160)이 탈 결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8. 인체 허리에 착용하는 애완견용 목줄에 있어서
    상기 애완견용 목줄은 인체 허리(40)에 착용하는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와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크기를 사용자의 허리에 맞도록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벨트크기 조절 부(80)와;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를 인체 허리(40)에 착용토록 하는 벨트 착용 부(100)가 구성되되;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애완견의 목줄과 연통 되는 벨트부 목줄 결합 고리(120)는 카라비너(400)가 구성되되; 상기 결합 고리(120)에 손잡이 부(360) 또는 목줄 리드 선(160)이 회전 및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9.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견용 목줄은 인체 허리(40)에 착용하는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와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의 크기를 사용자의 허리에 맞도록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벨트크기 조절 부(80)와; 상기 목줄 결합벨트 본체(60)를 인체 허리(40)에 착용토록 하는 벨트 착용 부(100)가 구성되며 상기 벨트 착용 부(100)는 버클, 클립, 단추, 자석, 고리, 벨트 중 택일 된 어느 하나의 체결수단을 갖아 인체 허리에 결속 및 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10.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목줄 결합벨트 본체(60) 일측에 회전체(140)가 구성된 허리 벨트 식 애완견 벨트는 베어링식, 커튼 레일식, 롤러식, 도르래식, 자석식, 기어식,와이어식, 벨트식, 링식중 선택된 어느 한 형태를 이용하여 360도 회전이 됨과 동시에 애완견의 목줄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KR1020150003123A 2015-01-09 2015-01-09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KR20160086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123A KR20160086029A (ko) 2015-01-09 2015-01-09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123A KR20160086029A (ko) 2015-01-09 2015-01-09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029A true KR20160086029A (ko) 2016-07-19

Family

ID=5661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123A KR20160086029A (ko) 2015-01-09 2015-01-09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602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7873A (zh) * 2017-11-11 2018-03-13 许昌县东和畜牧养殖专业合作社 一种羊项圈
KR20200055617A (ko) * 2018-11-13 2020-05-21 김철범 링거 거치대 결속 겸용 링거 거치기
KR20200122792A (ko) * 2019-04-19 2020-10-28 주식회사 자이로블 휴대용 인체 냉각 팬장치
KR20220000020U (ko) * 2020-06-26 2022-01-04 김학중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US11399513B1 (en) 2021-12-17 2022-08-02 Sean Patrick Dana Systems and methods for pet-based network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7873A (zh) * 2017-11-11 2018-03-13 许昌县东和畜牧养殖专业合作社 一种羊项圈
KR20200055617A (ko) * 2018-11-13 2020-05-21 김철범 링거 거치대 결속 겸용 링거 거치기
KR20200122792A (ko) * 2019-04-19 2020-10-28 주식회사 자이로블 휴대용 인체 냉각 팬장치
KR20220000020U (ko) * 2020-06-26 2022-01-04 김학중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US11399513B1 (en) 2021-12-17 2022-08-02 Sean Patrick Dana Systems and methods for pet-based network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6029A (ko) 인체 허리에 착용 가능한 애완견 목줄 또는 벨트
US8622028B2 (en) Hands free dog walker
US9271476B1 (en) Convertible and size adaptable dog lead
US9173379B1 (en) Harnesses for dogs and other animals
US7757639B1 (en) Pet leash assembly
US9497933B2 (en) Device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a four-legged animal
US10499616B2 (en) Full 360 degrees hands-free leash attachment unit
US7963256B1 (en) Motion control harness for a medium to large dog
US11109570B2 (en) Pet leash
US6792894B1 (en) Non-choking animal shoulder collar with separation controlled hook and loop closure
US20110192355A1 (en) Canine control cord
US20060252319A1 (en) Animal safety apparatus
US20150237831A1 (en) Pet Leash
US20150257369A1 (en) Multi-Activity Dog Leash Connector
US20150013619A1 (en) Pet leash belt device
CA2773646A1 (en) Motion control harness for a medium to large dog
DE10045493A1 (de) Halte- und Führungsvorrichtung
CA2983695C (en) Animal training harness
US8967087B2 (en) Animal leash
US20160309683A1 (en) Pet Collar and Leash Device
US8919292B1 (en) Leash assembly
US20120210950A1 (en) Hands free restraining device
KR20190124618A (ko)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및 이를 포함한 견인줄 세트
US20150013621A1 (en) Combined dog training collar and leash
JP3163270U (ja) 子ども用サブリード及びこれを備えるペットリ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