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502A -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 Google Patents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502A
KR20190118502A KR1020190021996A KR20190021996A KR20190118502A KR 20190118502 A KR20190118502 A KR 20190118502A KR 1020190021996 A KR1020190021996 A KR 1020190021996A KR 20190021996 A KR20190021996 A KR 20190021996A KR 20190118502 A KR20190118502 A KR 20190118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fastening means
coupled
main body
ap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선
Original Assignee
이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선 filed Critical 이원선
Priority to KR1020190021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8502A/ko
Publication of KR20190118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4Garment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9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e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the animal on the body of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4Aprons; Fastening devices for apr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5/00Shoulder or like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2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8Carrying facilities
    • A41D2400/482Carrying facilities for bab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결합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양단이 결합되며,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끈;을 포함하여 구성된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Apron with a fuction of carrier}
본 발명은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에 관한 것으로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 시의 앞치마 기능을 제공하면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과 함께 외출하거나 이동 시에 캐리어 기능을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
반려 동물과 함께 거주 공간 외부로 외출하는 경우, 반려 동물의 청결을 유지하고 반려 동물이 주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자 캐리어가 사용된다. 이러한 반려 동물용 캐리어에 관해 다양한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종래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28597(2003년 09월 22일 등록)은 애완동물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에 한쌍의 어깨끈이 구비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타면 하부로 전방을 향해 수평 고정되는 착석부과, 상기 착석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위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단부에 전방을 향에 둥글게 라운딩되어 돌출되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거치대 및 상기 밀착판과 거치대의 양측부로 애완동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연결되는 그물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또다른 종래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98002(2005년 10월 04일 등록)은 애완 동물 운반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부 및 상기 저판부와 상기 측면부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입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가방 내에서 애완 동물 등이 일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자세를 취해 자리잡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의해 가방의 구조적 안정 및 가방 착용시의 안정화를 제공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또다른 종래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2888(2017년 03월 07일 등록)은 애완동물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유아용 힙시트를 응용하여 지지체가 내장된 시트부의 양측에 허리밴드를 형성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형성하되, 상기 시트부에 오염방지커버 및 포켓커버와 측면부재를 형성하여 시트부 상에 애완동물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또다른 종래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3297(2017년 04월 19일 등록)은 애완동물 운반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백팩 형태를 이루고 있어 애완동물의 이동시 양쪽 어깨에 메고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차량 이동시에는 안전벨트에 의한 체결이 가능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자전거 핸들부위에 탈부착 형태로 장착이 가능한 구성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들은 가방 형태로 구성되거나 하중 지지용 프레임이 있는 구성을 취하므로, 제작 측면에서는 제작 비용을 저렴하게 구현하는데 한계점이 있었고, 사용 측면에서는 미사용시에도 보관 장소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반려 동물 캐리어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한편, 유아와 함께 거주 공간 외부로 외출하는 경우에도 보행이 어려운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캐리어가 사용된다. 유아용 캐리어에 관해서도 다양한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아용 캐리어들도 반려동물용 캐리어와 마찬가지로 가방 형태로 구성되거나 하중 지지용 프레임이 있는 구성을 취하므로, 제작 측면에서는 제작 비용을 저렴하게 구현하는데 한계점이 있었고, 사용 측면에서는 미사용시에도 보관 장소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캐리어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28597(2003년 09월 22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98002(2005년 10월 04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2888(2017년 03월 07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3297(2017년 04월 19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 시의 앞치마 기능을 제공하면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과 함께 외출하거나 이동 시에 캐리어 기능을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양단이 결합되며,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측 일지점에 일단이 결합되고 측면 일지점에 타단이 결합되며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을 포함하는 지지끈;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상단 일지점에 결합된 상기 좌측 지지끈에 결합된 좌측 상부 체결수단;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우측 상단 일지점에 결합된 상기 우측 지지끈에 결합된 우측 상부 체결수단; 및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상부 체결수단 또는 우측 상부 체결수단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상부 체결수단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체결수단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상부 체결수단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하부 체결수단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의 좌측 또는 우측 개방부를 통해 내부에 위치한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개방부의 개구부 크기를 감소시키는 측방향 개구부 조절수단; 상기 제2 사용 상태에서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상기 하체 커버부의 상측 개방부를 통해 내부에 위치한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상기 상측 개방부의 개구부 크기를 감소시키는 상방향 개구부 조절수단; 상기 본체부의 좌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좌측 조임끈; 및 상기 본체부의 우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우측 조임끈;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끈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을 "X"자 형태로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측 조임끈 및 우측 조임끈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후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 상부 체결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상단 일지점에 결합된 상기 좌측 지지끈의 일단 측에 결합되며, 상기 우측 상부 체결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우측 상단 일지점에 결합된 상기 우측 지지끈의 일단 측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 시의 앞치마 기능을 제공하면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과 함께 외출하거나 이동 시에 캐리어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고 무거운 캐리어 프레임이 포함되지 않고 직물과 같은 얇은 소재를 봉재 처리하는 작업을 통해 제작되므로, 이동 시의 무게가 가벼우며 제작 측면에서도 제작 비용을 저렴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치마 형태의 기본 구성을 가지므로, 미사용시에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미사용시에도 보관 장소를 크게 차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을 하다가 앞치마를 벗지 않고 그대로 착용한 상태에서 간단한 결합 조작만으로 바로 캐리어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간편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배면 방향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1 사용 상태의 착용 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착용 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1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착용 상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배면 방향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1 사용 상태의 착용 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착용 상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로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 시의 앞치마 기능을 제공하면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과 함께 외출하거나 이동 시에 캐리어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
설명 편의 상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반려 동물용 캐리어로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본체부(100)와 지지끈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끈은 상기 본체부(100)에 양단이 결합되며,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지지끈은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가슴 커버부(102)와 복부 커버부(104)와 하체 커버부(106)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106)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106)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갖는다. 일예로, 상기 본체부(100)와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는 직물 소재 또는 합성 수지 시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 시에 앞치마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 상태이다.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반려 동물과 함께 외출하거나 이동 시에 캐리어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 상태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106) 내부에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은,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 일지점에 일단이 결합되고 측면 일지점에 타단이 각각 결합되며,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일예로, 상기 좌측 지지끈(202)은 상기 본체부(100)의 가슴 커버부(102)의 좌측 일지점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면 일지점에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우측 지지끈(204)은 상기 본체부(100)의 가슴 커버부(102)의 우측 일지점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면 일지점에 타단이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사용자의 착용 상태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이 사용자의 등을 "X"자 형태로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된다.(도 3의 (b) 상태 참조)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슴 커버부(102)의 상단에 결합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의 일단 측에 각각 결합된 좌측 및 우측 상부 체결수단(212a,212b)을 구비하며,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하부 체결수단(214a,214b)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상부 체결수단(212a,212b)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체결수단(214a,214b)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로 구현되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상부 체결수단(212a,212b)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체결수단(214a,214b)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로 구현된다.
일예로, 상기 좌측 및 우측 상부 체결수단(212a,212b)은 공지의 버클형 결합수단의 암부(female part)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체결수단(214a,214b)은 공지의 버클형 결합수단의 수부(male part)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 한정되거나 체결수단이 예시된 버클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좌측 조임끈(244)과,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우측 조임끈(24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호 간의 용이한 체결을 위해 좌측 조임끈(244)과 우측 조임끈(242)에는 각각 수버클(245)과 암버클(243)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후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상기 좌측 조임끈(244) 및 우측 조임끈(242)이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착용 상태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이 사용자의 등(B)을 "X"자 형태로 감싸고, 또한 상기 좌측 조임끈(244) 및 우측 조임끈(242)이 사용자의 허리 후면(WB)을 감싸는 형태를 이루므로, 특히,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106) 내부에 반려 동물이 위치하였을 때 양측 어깨와 허리를 통해 반려 동물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별도의 프레임이 없더라도 견고한 캐리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은 사용자의 등(B)을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감싸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면 반드시 단순한 "X"자 형태를 이룰 필요는 없으며 다소의 변형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상기 제2 사용 상태에서 반려 동물(P)을 사용자(H)가 용이하게 바라볼 수 있는 가슴 부위에 위치하도록 하므로, 이동 시에 반려 동물과 눈을 맞추어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반려 동물의 움직임이나 불편한 상황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에 끈 조절구(205,20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액세서리 등의 부착을 위해 허리 조임끈에 "D"형 링(247)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음료수 수납백(부호 미도시)을 꽂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상하 방향 삽입구(107)를 전면에 구비할 수도 있고, 보관 주머니(103)를 전면에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좌측 또는 우측 개방부(16c 또는 16a)를 통해 내부에 위치한 반려 동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개방부(16c 또는 16a)의 개구부 크기를 감소시키는 측방향 개구부 조절수단(236,238)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상기 제2 사용 상태에서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상측 개방부(16b)를 통해 내부에 위치한 반려 동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상기 상측 개방부(16b)의 개구부 크기를 감소시키는 상방향 개구부 조절수단(234)을 포함한다.
상기 개방부(16a,16b,16c)는 상기 제2 사용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테두리가 서로 만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236,238,234)은, 개방부(16a,16b,16c)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봉재 공간(106a,106b,106c)에 내입되며, 상기 개방부(16a,16b,16c)의 테두리가 조여지거나 풀어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개구부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임끈(236,238,2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좌측 및 우측 조임끈(236,238)은 일단부가 앞치마 본체부(100)에 봉재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끈 조임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공지의 끈 고정/해제수단(239)이 끈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끈 고정/해제수단(239)은 스프링과 버튼을 구비하여 버튼 누름 시에는 끈 삽입 위치를 이동 가능하고, 버튼 누름 해제 시에는 끈에 고정되는 공지의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하부측 조임끈(234)은 양측 모두 조절이 가능하도록 양단부에 공지의 끈 고정/해제수단(239)이 끈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임끈(236,238,234)의 조임 조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좌측, 우측, 하부측 테두리에는 각각 상기 조임끈(236,238,234)을 테두리 길이 방향을 따라 내입하는 봉재 공간(106a,106b,106c)이 형성된다. 봉재 공간(106a,106b,106c)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상기 조임끈(236,238,234)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개방홀(부호 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끈 고정/해제수단(239)은 상기 조임끈(236,238,234) 각각의 노출된 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끈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앞치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1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5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반려 동물의 목욕 등 돌봄 활동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 상태에서 동물의 털이나 각종 이물질, 목용물 등이 사용자의 옷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6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앞치마를 반려 동물 캐리어로 이용할 수 있으며, 좌측 및 우측 조임끈(236,238)을 바짝 조이고 하부측 조임끈(234)을 다소 여유있게 조이므로, 사용자의 가슴 부위에 위치한 반려 동물은 상측으로 얼굴을 내밀 수 있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7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좌측 조임끈(236)을 약간 느슨하게 조이므로, 반려 동물은 사용자의 좌측으로 얼굴을 내밀 수 있다. 반려 동물의 크기가 작아 상측으로 얼굴을 내밀기 어려운 경우에는 이러한 사용 상태로 앞치마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착용 상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232)은, 개방부(16a,16c)의 중간부 내측에 부착되며, 암부와 수부가 상호 결합 또는 해제됨에따라 개구부의 중간부를 차단 또는 개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냅 버튼(232)으로 구성된다.
반려 동물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반드시 조임끈으로 개방구를 바짝 조일 필요가 없으며,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반려 동물이 빠져 나가지 않을 정도로만 개구부의 중간부만 차단하면 된다. 본 실시예는 제작 측면에서 간단하고, 이러한 사용 상태에 적합하다.
스냅 버튼(232) 대신에 공지의 다양한 점(dot)형 결합 수단(예, 일반 단추, 벨크로, 옷핀)을 부착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지지끈은 목 지지끈(1204)의 형태로 구성되어, 본체부(100)를 사용자의 목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목 지지끈(1204)은,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 일지점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측 타지점에 타단이 고정되며,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목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려 동물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유아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유아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유아의 신체 구조를 고려하여 다양한 유아 보호용 액세서리(예, 목 보호대, 손 보호대 등)가 더욱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6a,16b,16c: 개방부
100: 본체부
102: 가슴 커버부
104: 복부 커버부
106: 하체 커버부
106a,106b,106c: 봉재 공간
202,204: 좌측 및 우측 지지끈
212a,212b: 상부 체결수단
214a,214b: 하부 체결수단
232: 스냅 버튼
236,238,234: 조임끈
242: 우측 조임끈
244: 좌측 조임끈
1204: 목 지지끈

Claims (3)

  1.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양단이 결합되며,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측 일지점에 일단이 결합되고 측면 일지점에 타단이 결합되며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을 포함하는 지지끈;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상단 일지점에 결합된 상기 좌측 지지끈에 결합된 좌측 상부 체결수단;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우측 상단 일지점에 결합된 상기 우측 지지끈에 결합된 우측 상부 체결수단; 및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상부 체결수단 또는 우측 상부 체결수단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상부 체결수단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체결수단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상부 체결수단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하부 체결수단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의 좌측 또는 우측 개방부를 통해 내부에 위치한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개방부의 개구부 크기를 감소시키는 측방향 개구부 조절수단;
    상기 제2 사용 상태에서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상기 하체 커버부의 상측 개방부를 통해 내부에 위치한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상기 상측 개방부의 개구부 크기를 감소시키는 상방향 개구부 조절수단;
    상기 본체부의 좌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좌측 조임끈; 및
    상기 본체부의 우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우측 조임끈;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끈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을 "X"자 형태로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측 조임끈 및 우측 조임끈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후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상부 체결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상단 일지점에 결합된 상기 좌측 지지끈의 일단 측에 결합되며,
    상기 우측 상부 체결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우측 상단 일지점에 결합된 상기 우측 지지끈의 일단 측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치마.
KR1020190021996A 2019-02-25 2019-02-25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KR20190118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96A KR20190118502A (ko) 2019-02-25 2019-02-25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96A KR20190118502A (ko) 2019-02-25 2019-02-25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762A Division KR101962433B1 (ko) 2018-04-10 2018-04-10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502A true KR20190118502A (ko) 2019-10-18

Family

ID=6846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996A KR20190118502A (ko) 2019-02-25 2019-02-25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85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148B1 (ko) * 2020-09-14 2021-06-18 김예리 반려동물 이동 가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597Y1 (ko) 2003-07-04 2003-09-29 이필호 애완동물용 캐리어
KR200398002Y1 (ko) 2005-07-04 2005-10-12 이인숙 애완 동물 운반용 가방
KR200482888Y1 (ko) 2015-06-12 2017-03-13 (주)디에스통상 애완동물용 캐리어
KR200483297Y1 (ko) 2015-04-24 2017-04-25 엄윤선 애완동물 운반용 가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597Y1 (ko) 2003-07-04 2003-09-29 이필호 애완동물용 캐리어
KR200398002Y1 (ko) 2005-07-04 2005-10-12 이인숙 애완 동물 운반용 가방
KR200483297Y1 (ko) 2015-04-24 2017-04-25 엄윤선 애완동물 운반용 가방
KR200482888Y1 (ko) 2015-06-12 2017-03-13 (주)디에스통상 애완동물용 캐리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148B1 (ko) * 2020-09-14 2021-06-18 김예리 반려동물 이동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1661B2 (en) Personal dog carrier harness system with integrated internal support and padded neck support
EP3544413B1 (en) Pet carrying backpack
JP3856625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ES2869947T3 (es) Portabebés
US20050263102A1 (en) Wearable horizontally oriented multi-positional pet carrier
CA2251435C (en) Shoulder harness with support handle
ES2382645T3 (es) Un portabebés
US6836902B2 (en) Infant walking trainer and carrier garment
US6481606B2 (en) Small animal carrying device
KR101272144B1 (ko) 힙싯 아기띠
US6095613A (en) Multi-purpose child safety harness
US20140231472A1 (en) Strap-on child carrier with support seating element
US20110127309A1 (en) Pet carrier
US6186381B1 (en) Child carrier
US20040244097A1 (en) Adult garment, child garment, and parent and child garment
WO2009034234A1 (en) Arrangemen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carrier means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CN110337243B (zh) 动物用挽具
US20060213943A1 (en) Character harness with storage pouch
US20120112444A1 (en) Safety belt for riding double on two-wheeled vehicle
KR101552712B1 (ko) 아기 운반용 외출가방
KR20190118502A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KR101962433B1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KR101086542B1 (ko) 아기 띠
KR102410580B1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56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221

Effective date: 2021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