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580B1 -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 Google Patents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580B1
KR102410580B1 KR1020200034071A KR20200034071A KR102410580B1 KR 102410580 B1 KR102410580 B1 KR 102410580B1 KR 1020200034071 A KR1020200034071 A KR 1020200034071A KR 20200034071 A KR20200034071 A KR 20200034071A KR 102410580 B1 KR102410580 B1 KR 102410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rt
state
use state
main body
ap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647A (ko
Inventor
이원선
Original Assignee
이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선 filed Critical 이원선
Publication of KR20200111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4Aprons; Fastening devices for apr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4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2Loops or hooks for hanging-u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6Closures using hooks and 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8Carry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 시에 앞치마 기능을 제공하면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과 함께 외출하거나 이동 시에 캐리어 기능을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력을 받는 지지끈이 캐리어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하중 지지의 안정성을 높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Apron with a function of carrier}
본 발명은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에 관한 것으로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 시에 앞치마 기능을 제공하면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과 함께 외출하거나 이동 시에 캐리어 기능을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력을 받는 지지끈이 캐리어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하중 지지의 안정성을 높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
반려 동물과 함께 거주 공간 외부로 외출하는 경우, 반려 동물의 청결을 유지하고 반려 동물이 주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자 캐리어가 사용된다. 이러한 반려 동물용 캐리어에 관해 다양한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종래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28597(2003년 09월 22일 등록)은 애완동물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에 한쌍의 어깨끈이 구비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타면 하부로 전방을 향해 수평 고정되는 착석부과, 상기 착석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위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단부에 전방을 향에 둥글게 라운딩되어 돌출되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거치대 및 상기 밀착판과 거치대의 양측부로 애완동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연결되는 그물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또다른 종래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98002(2005년 10월 04일 등록)은 애완 동물 운반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부 및 상기 저판부와 상기 측면부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입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가방 내에서 애완 동물 등이 일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자세를 취해 자리잡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의해 가방의 구조적 안정 및 가방 착용시의 안정화를 제공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또다른 종래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2888(2017년 03월 07일 등록)은 애완동물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유아용 힙시트를 응용하여 지지체가 내장된 시트부의 양측에 허리밴드를 형성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형성하되, 상기 시트부에 오염방지커버 및 포켓커버와 측면부재를 형성하여 시트부 상에 애완동물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또다른 종래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3297(2017년 04월 19일 등록)은 애완동물 운반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백팩 형태를 이루고 있어 애완동물의 이동시 양쪽 어깨에 메고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차량 이동시에는 안전벨트에 의한 체결이 가능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자전거 핸들부위에 탈부착 형태로 장착이 가능한 구성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들은 가방 형태로 구성되거나 하중 지지용 프레임이 있는 구성을 취하므로, 제작 측면에서는 제작 비용을 저렴하게 구현하는데 한계점이 있었고, 사용 측면에서는 미사용시에도 보관 장소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반려 동물 캐리어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한편, 유아와 함께 거주 공간 외부로 외출하는 경우에도 보행이 어려운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캐리어가 사용된다. 유아용 캐리어에 관해서도 다양한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아용 캐리어들도 반려동물용 캐리어와 마찬가지로 가방 형태로 구성되거나 하중 지지용 프레임이 있는 구성을 취하므로, 제작 측면에서는 제작 비용을 저렴하게 구현하는데 한계점이 있었고, 사용 측면에서는 미사용시에도 보관 장소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캐리어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28597(2003년 09월 22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98002(2005년 10월 04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2888(2017년 03월 07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3297(2017년 04월 19일 등록)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3211174호(2017년 06월 7일 등록)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056422호(2007년 03월 08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 시에 앞치마 기능을 제공하면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과 함께 외출하거나 이동 시에 캐리어 기능을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력을 받는 지지끈이 캐리어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하중 지지의 안정성을 높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아일릿(eyelet);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아일릿(eyelet)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측면 일지점에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지지끈에 구비된 좌측 또는 우측 고리형 버클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고리형 버클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고리형 버클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아일릿(eyelet);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뒷목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뒷목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양단에 각각 마련된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아일릿(eyelet)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구비된 목 지지끈;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목 지지끈에 구비된 좌측 또는 우측 고리형 버클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고리형 버클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고리형 버클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아일릿(eyelet);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제1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아일릿(eyelet)의 홀 테두리에 걸림 상태를 이루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측면 일지점에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지지끈의 일단에 마련된 좌측 또는 우측 제1 버클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제2 버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제1 버클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제2 버클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제1 버클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제2 버클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의 좌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좌측 조임끈; 및 상기 본체부의 우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우측 조임끈;을 포함하며,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후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상기 좌측 조임끈 및 우측 조임끈이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의 좌측, 우측 또는 상측 개방부를 통해 내부에 위치한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상기 좌측, 우측 및 상측 개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구부 크기를 감소시키는 개구부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은, 개방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봉재 공간에 내입되며, 상기 개방부의 테두리가 조여지거나 풀어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개구부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임끈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은, 개방부의 중간부 내측에 부착되며, 암부와 수부가 상호 결합 또는 해제됨에 따라 개구부의 중간부를 차단 또는 개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냅 버튼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은, 본체부의 전면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태에서 폐쇄 조작이 가능한 지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상부 걸림 고리; 상기 본체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중간 걸림 고리;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걸림 고리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하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중간 걸림 고리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 및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지지끈에 마련된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상부 걸림 고리;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부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상부 버클; 상기 본체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중간 걸림 고리;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걸림 고리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하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중간 걸림 고리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 및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버클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버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버클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버클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버클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버클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후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며, 일단에 마련된 좌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중간 걸림 고리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우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우측 중간 걸림 고리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 허리 조임끈;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상부 아일릿(eyelet); 상기 본체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중간 아일릿;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아일릿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하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중간 아일릿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 및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지지끈에 구비된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아일릿;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아일릿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아일릿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중간 걸림 고리; 및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후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며, 일단에 마련된 좌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중간 걸림 고리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우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우측 중간 걸림 고리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 허리 조임끈;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상부 관통형 결합수단; 상기 본체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중간 관통형 결합수단;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관통형 결합수단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하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중간 관통형 결합수단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지지끈에 구비된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관통형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관통형 결합수단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관통형 결합수단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가 개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 시에 앞치마 기능을 제공하면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과 함께 외출하거나 이동 시에 캐리어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력을 받는 지지끈이 캐리어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하중 지지의 안정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고 무거운 캐리어 프레임이 포함되지 않고 직물과 같은 얇은 소재를 봉재 처리하는 작업을 통해 제작되므로, 이동 시의 무게가 가벼우며 제작 측면에서도 제작 비용을 저렴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치마 형태의 기본 구성을 가지므로, 미사용시에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미사용시에도 보관 장소를 크게 차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을 하다가 앞치마를 벗지 않고 그대로 착용한 상태에서 간단한 결합 조작만으로 바로 캐리어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간편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배면 방향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1 사용 상태의 착용 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착용 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1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10은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배면 방향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배면 방향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배면 방향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배면 방향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배면 방향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1 사용 상태의 착용 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착용 상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로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 시의 앞치마 기능을 제공하면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과 함께 외출하거나 이동 시에 캐리어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
설명 편의 상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반려 동물용 캐리어로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본체부(100)와 지지끈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끈은 상기 본체부(100)에 양단이 결합되며,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지지끈은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가슴 커버부(102)와 복부 커버부(104)와 하체 커버부(106)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106)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106)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갖는다. 일예로, 상기 본체부(100)와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는 직물 소재 또는 합성 수지 시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 시에 앞치마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 상태이다.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반려 동물과 함께 외출하거나 이동 시에 캐리어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 상태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106) 내부에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의 가슴 커버부(102)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좌측 및 우측 아일릿(eyelet, 212a,212b)이 구비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H)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가 사용자(H)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고리형 버클(216a,216b)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아일릿(212a 또는 212b)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 일지점에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고리형 버클(216a,216b)은 상품명으로 가방 고리 또는 개고리라고 불리우는 것으로서,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결합편이 구비되어 아일릿에 착탈식 삽입 결합이 가능한 고리이며, 아일릿에 착탈식 삽입 결합이 가능하다면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상기 좌측 지지끈(202)은 상기 본체부(100)의 가슴 커버부(102)의 좌측 일지점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면 일지점에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우측 지지끈(204)은 상기 본체부(100)의 가슴 커버부(102)의 우측 일지점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면 일지점에 타단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사용자의 착용 상태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이 사용자의 등을 "X"자 형태로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된다.(도 3의 우측 상태 참조)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지지끈(202 또는 204)에 구비된 좌측 또는 우측 고리형 버클(216a,216b)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214a,214b)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214a,214b)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고리형 버클(216a,216b)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214a,214b)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고리형 버클(216a,216b)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로 구현된다.
이러한 결합을 하게 되면,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106)가 좌측 또는 우측 고리형 버클(216a,216b)을 통해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에 의한 지지력을 받게 되므로 안정된 지지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좌측 조임끈(244)과,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우측 조임끈(24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호 간의 용이한 체결을 위해 좌측 조임끈(244)과 우측 조임끈(242)에는 각각 수버클(245)과 암버클(243)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H)의 허리 후면(WB)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상기 좌측 조임끈(244) 및 우측 조임끈(242)이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착용 상태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이 사용자의 등(B)을 "X"자 형태로 감싸고, 또한 상기 좌측 조임끈(244) 및 우측 조임끈(242)이 사용자의 허리 후면(WB)을 감싸는 형태를 이루므로, 특히,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106) 내부에 반려 동물이 위치하였을 때 양측 어깨와 허리를 통해 반려 동물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별도의 프레임이 없더라도 견고한 캐리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은 사용자의 등(B)을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감싸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면 반드시 단순한 "X"자 형태를 이룰 필요는 없으며 다소의 변형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상기 제2 사용 상태에서 반려 동물(P)을 사용자(H)가 용이하게 바라볼 수 있는 가슴 부위에 위치하도록 하므로, 이동 시에 반려 동물과 눈을 맞추어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반려 동물의 움직임이나 불편한 상황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에 끈 조절구(205,20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액세서리 등의 부착을 위해 허리 조임끈에 "D"형 링(247)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보관 주머니(103)를 전면에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좌측, 우측 또는 상측 개방부(16c,16b 또는 16a)를 통해 내부에 위치한 유아 또는 반려 동물(P)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상기 좌측, 우측 또는 상측 개방부(16c,16a 또는 1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구부 크기를 감소시키는 개구부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개방부(16a,16b,16c)는 상기 제2 사용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테두리가 서로 만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예로,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은, 본체부(100)의 전면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태에서 폐쇄 조작이 가능한 지퍼(1202,1204)이다.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의 지퍼부(1204)를 상측 및 하측 지퍼 레일(1202a,1202b)을 잠그면 측면 개방부(16c,16a)가 폐쇄되어 반려 동물은 상측으로 얼굴을 내밀 수 있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지퍼부(1204)의 잠금 위치에 따라 측면 개방부(16c,16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것과 같은 조임끈(236,238)일 수 있다.
개구부 조절수단은 사용자 편의를 위해 지퍼(1202,1204) 및 조임끈(236,238)이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앞치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1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5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반려 동물의 목욕 등 돌봄 활동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 상태에서 동물의 털이나 각종 이물질, 목용물 등이 사용자의 옷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6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앞치마를 반려 동물 캐리어로 이용할 수 있으며, 지퍼(1202,1204)를 잠그고 좌측 및 우측 조임끈(236,238)을 다소 여유있게 조이므로, 사용자의 가슴 부위에 위치한 반려 동물은 상측으로 얼굴을 내밀 수 있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7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좌측 지퍼(1202,1204)를 잠그지 않고 좌측 조임끈(236)을 약간 느슨하게 조이므로, 반려 동물은 사용자의 좌측으로 얼굴을 내밀 수 있다. 반려 동물의 크기가 작아 상측으로 얼굴을 내밀기 어려운 경우에는 이러한 사용 상태로 앞치마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이다.
도 8의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은, 개방부(16c,16a 또는 16b)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봉재 공간에 내입되며, 상기 개방부(16c,16a 또는 16b)의 테두리가 조여지거나 풀어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개구부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임끈(236,238)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좌측 및 우측 조임끈(236,238)은 일단부가 앞치마 본체부(100)에 봉재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끈 조임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공지의 끈 고정/해제수단(239)이 끈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끈 고정/해제수단(239)은 스프링과 버튼을 구비하여 버튼 누름 시에는 끈 삽입 위치를 이동 가능하고, 버튼 누름 해제 시에는 끈에 고정되는 공지의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조임끈(236,238)의 조임 조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좌측, 우측, 하부측 테두리에는 각각 상기 조임끈(236,238)을 테두리 길이 방향을 따라 내입하는 봉재 공간(부호 미도시)이 형성된다. 봉재 공간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상기 조임끈(236,238)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개방홀(부호 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끈 고정/해제수단(239)은 상기 조임끈(236,238) 각각의 노출된 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끈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지지끈은 목 지지끈(1210)의 형태로 구성되어, 본체부(100)를 사용자의 목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목 지지끈(1210)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H)의 뒷목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가 사용자(H)의 뒷목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양단에 각각 마련된 고리형 버클(1216a,1216b)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아일릿(212a 또는 212b)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이외의 구성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232)은, 개방부(16a,16c)의 중간부 내측에 부착되며, 암부와 수부가 상호 결합 또는 해제됨에따라 개구부의 중간부를 차단 또는 개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냅 버튼(232)으로 구성된다.
반려 동물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반드시 조임끈으로 개방구를 바짝 조일 필요가 없으며,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반려 동물이 빠져 나가지 않을 정도로만 개구부의 중간부만 차단하면 된다. 본 실시예는 제작 측면에서 간단하고, 이러한 사용 상태에 적합하다.
스냅 버튼(232) 대신에 공지의 다양한 점(dot)형 결합 수단(예, 일반 단추, 벨크로, 옷핀)을 부착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배면 방향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상기 본체부(100)의 가슴 커버부(102)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아일릿(1212a,1212b)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H)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가 사용자(H)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제1 버클(1216a,1216b)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아일릿(1212a 또는 1212b)의 홀 테두리에 걸림 상태를 이루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 일지점에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지지끈(202 또는 204)의 일단에 마련된 좌측 또는 우측 제1 버클(1216a 또는 1216b)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제2 버클(1214a,1214b)을 구비한다.
좌측 및 우측 제1 버클(1216a,1216b)은 공지의 버클형 결합수단의 암부(female part)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제2 버클(1214a,1214b)은 공지의 버클형 결합수단의 수부(male part)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 한정되거나 체결수단이 예시된 버클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제1 버클(1216a 또는 1216b)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제2 버클(1214a 또는 1214b)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제1 버클(1216a 또는 1216b)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제2 버클(1214a 또는 1214b)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로 구현된다. 이러한 결합을 하게 되면,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106)가 좌측 또는 우측 제1 버클(1216a 또는 1216b)을 통해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에 의한 지지력을 받게 되므로 더 안정된 지지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이외의 구성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려 동물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유아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유아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유아의 신체 구조를 고려하여 다양한 유아 보호용 액세서리(예, 목 보호대, 손 보호대 등)가 더욱 부착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배면 방향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00)는, 가슴 커버부(102)와 복부 커버부(104)와 하체 커버부(106)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106)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106)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106)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좌측 및 우측 상부 걸림 고리(2212a,2212b)는 상기 본체부(100)의 가슴 커버부(102)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다. 일예로, 좌측 및 우측 상부 걸림 고리(2212a,2212b)는 연결용 밴드를 이용하여 본체부(100)에 봉재 결합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중간 걸림 고리(3212a,3212b)는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좌측 및 우측 중간 걸림 고리(3212a,3212b)는 대략 사용자의 허리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좌측 및 우측 중간 걸림 고리(3212a,3212b)는 연결용 밴드를 이용하여 본체부(100)에 봉재 결합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한다.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은, 일단에 마련된 상단측 고리형 버클(216a,216b)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걸림 고리(2212a 또는 2212b)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하단측 고리형 버클(217a,217b)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중간 걸림 고리(3212a 또는 3212b)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에는 공지의 길이 조절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4212a,4212b)는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지지끈(202 또는 204)에 마련된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216a 또는 216b)에 각각 체결 가능하다.
상기 구성을 통해,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4212a,4212b)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216a 또는 216b)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4212a,4212b)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216a 또는 216b)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의 허리 조임끈(2244)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후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며, 일단에 마련된 좌측 고리형 버클(2244a)이 상기 좌측 중간 걸림 고리(3212a)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우측 고리형 버클(2244b)이 상기 우측 중간 걸림 고리(3212b)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허리 조임끈(2244)에는 공지의 길이 조절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배면 방향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본체부(100)는, 가슴 커버부(102)와 복부 커버부(104)와 하체 커버부(106)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106)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106)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106)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좌측 및 우측 상부 걸림 고리(2212a,2212b)는 상기 본체부(100)의 가슴 커버부(102)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다.
좌측 및 우측 상부 버클(8212a,8212b)은 상기 본체부(100)의 가슴 커버부(102)의 좌측 및 우측 상부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다. 일예로, 좌측 및 우측 상부 버클(8212a,8212b)은 연결용 밴드를 이용하여 본체부(100)에 봉재 결합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중간 걸림 고리(3212a,3212b)는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한다.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은, 일단에 마련된 상단측 고리형 버클(216a,216b)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걸림 고리(2212a 또는 2212b)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하단측 고리형 버클(217a,217b)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중간 걸림 고리(3212a 또는 3212b)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좌측 및 우측 하부 버클(9212a,9212b)은,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버클(8212a 또는 8212b)에 각각 체결 가능하다. 일예로, 좌측 및 우측 하부 버클(9212a,9212b)은 수버클, 좌측 또는 우측 상부 버클(8212a 또는 8212b)은 암버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해,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버클(9212a,9212b)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버클(8212a 또는 8212b)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버클(9212a,9212b)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버클(8212a 또는 8212b)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의 허리 조임끈(2244)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후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며, 일단에 마련된 좌측 고리형 버클(2244a)이 상기 좌측 중간 걸림 고리(3212a)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우측 고리형 버클(2244b)이 상기 우측 중간 걸림 고리(3212b)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허리 조임끈(2244)에는 공지의 길이 조절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배면 방향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본체부(100)는, 가슴 커버부(102)와 복부 커버부(104)와 하체 커버부(106)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106)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106)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106)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좌측 및 우측 상부 아일릿(eyelet, 5212a,5212b)은 상기 본체부(100)의 가슴 커버부(102)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다.
좌측 및 우측 중간 아일릿(6212a,6212b)은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일예로, 좌측 및 우측 중간 아일릿(6212a,6212b)은 대략 사용자의 허리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한다.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은, 일단에 마련된 상단측 고리형 버클(216a,216b)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아일릿(5212a 또는 5212b)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하단측 고리형 버클(217a,217b)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중간 아일릿(6212a 또는 6212b)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좌측 및 우측 하부 아일릿(7212a,7212b)은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지지끈(202 또는 204)에 구비된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216a 또는 216b)에 각각 체결 가능하다.
상기 구성을 통해,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아일릿(7212a,7212b)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216a 또는 216b)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아일릿(7212a,7212b)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216a 또는 216b)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가 된다.
좌측 및 우측 중간 걸림 고리(3212a,3212b)는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일예로, 좌측 및 우측 중간 걸림 고리(3212a,3212b)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중간 아일릿(6212a 또는 6212b)의 인근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허리 조임끈(2244)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후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며, 일단에 마련된 좌측 고리형 버클(2244a)이 상기 좌측 중간 걸림 고리(3212a)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우측 고리형 버클(2244b)이 상기 우측 중간 걸림 고리(3212b)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허리 조임끈(2244)에는 공지의 길이 조절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아일릿과 걸림 고리(예, 원형, D형, 사각형 등)는 고리형 버클이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될 수 있는 관통형 결합수단으로 볼 수 있다. 고리형 버클이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될 수 있다면 상기 실시예들에서 아일릿의 설치 위치에 걸림 고리를 설치할 수도 있고, 걸림 고리의 설치 위치에 아일릿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6a,16b,16c: 개방부
100: 본체부
102: 가슴 커버부
104: 복부 커버부
106: 하체 커버부
202,204: 좌측 및 우측 지지끈
212a,212b: 좌측 및 우측 아일릿
214a,214b: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
216a,216b: 고리형 버클
232: 스냅 버튼
236,238: 조임끈
242: 우측 조임끈
244: 좌측 조임끈
1210: 목 지지끈

Claims (14)

  1.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아일릿(eyelet);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아일릿(eyelet)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측면 일지점에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지지끈에 구비된 좌측 또는 우측 고리형 버클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고리형 버클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고리형 버클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2.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아일릿(eyelet);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뒷목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뒷목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양단에 각각 마련된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아일릿(eyelet)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구비된 목 지지끈;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목 지지끈에 구비된 좌측 또는 우측 고리형 버클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고리형 버클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고리형 버클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3.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아일릿(eyelet);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제1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아일릿(eyelet)의 홀 테두리에 걸림 상태를 이루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측면 일지점에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지지끈의 일단에 마련된 좌측 또는 우측 제1 버클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제2 버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제1 버클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제2 버클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제1 버클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제2 버클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좌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좌측 조임끈; 및
    상기 본체부의 우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우측 조임끈;을 포함하며,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후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상기 좌측 조임끈 및 우측 조임끈이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의 좌측, 우측 또는 상측 개방부를 통해 내부에 위치한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상기 좌측, 우측 및 상측 개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구부 크기를 감소시키는 개구부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은,
    개방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봉재 공간에 내입되며, 상기 개방부의 테두리가 조여지거나 풀어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개구부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임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은,
    개방부의 중간부 내측에 부착되며, 암부와 수부가 상호 결합 또는 해제됨에 따라 개구부의 중간부를 차단 또는 개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냅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은,
    본체부의 전면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태에서 폐쇄 조작이 가능한 지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9.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상부 걸림 고리;
    상기 본체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중간 걸림 고리;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걸림 고리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하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중간 걸림 고리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 및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지지끈에 마련된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10.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상부 걸림 고리;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부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상부 버클;
    상기 본체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중간 걸림 고리;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걸림 고리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하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중간 걸림 고리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 및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버클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버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버클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버클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버클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버클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후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며, 일단에 마련된 좌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중간 걸림 고리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우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우측 중간 걸림 고리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 허리 조임끈;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12.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상부 아일릿(eyelet);
    상기 본체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중간 아일릿;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아일릿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하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중간 아일릿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 및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지지끈에 구비된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아일릿;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아일릿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아일릿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중간 걸림 고리; 및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후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며, 일단에 마련된 좌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중간 걸림 고리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우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우측 중간 걸림 고리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 허리 조임끈;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14.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상부 관통형 결합수단;
    상기 본체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중간 관통형 결합수단;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상부 관통형 결합수단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에 마련된 하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중간 관통형 결합수단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지지끈에 구비된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관통형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관통형 결합수단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관통형 결합수단과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상단측 고리형 버클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KR1020200034071A 2019-03-19 2020-03-19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KR102410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41 2019-03-19
KR20190031441 2019-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647A KR20200111647A (ko) 2020-09-29
KR102410580B1 true KR102410580B1 (ko) 2022-06-17

Family

ID=7266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071A KR102410580B1 (ko) 2019-03-19 2020-03-19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96004B1 (ja) * 2022-11-29 2023-06-21 由美 角住 ベルト付き胸当てエプロ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1174B2 (ja) 1993-02-08 2001-09-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連続磁性金属薄板上の塗布液の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JP2005023476A (ja) 2003-07-02 2005-01-27 Pigeon Corp エプロン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6224B2 (ja) * 1997-05-23 1999-08-23 喜美子 上村 浴用エプロン
KR200328597Y1 (ko) 2003-07-04 2003-09-29 이필호 애완동물용 캐리어
KR200398002Y1 (ko) 2005-07-04 2005-10-12 이인숙 애완 동물 운반용 가방
JP3818523B1 (ja) 2005-08-26 2006-09-06 加藤 千鶴子 折り返し可能な前掛
KR200483297Y1 (ko) 2015-04-24 2017-04-25 엄윤선 애완동물 운반용 가방
KR200482888Y1 (ko) 2015-06-12 2017-03-13 (주)디에스통상 애완동물용 캐리어
JP3211174U (ja) 2017-03-16 2017-06-29 利恵 武井 エプロ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1174B2 (ja) 1993-02-08 2001-09-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連続磁性金属薄板上の塗布液の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JP2005023476A (ja) 2003-07-02 2005-01-27 Pigeon Corp エプロ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647A (ko)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0844B2 (en) Front infant carrier
US6443339B1 (en) Baby carrier used for holding baby in both face-to-face and forward-facing manners
CN107847057B (zh) 婴儿背带
US20040149790A1 (en) Baby carrier
JP6718167B2 (ja) 子守帯
US20100308087A1 (en) Arrangemen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carrier means
US6715651B2 (en) Modular child carrier
JP2019193781A (ja) チャイルドキャリア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KR102410580B1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JP3403599B2 (ja) 子守り帯
TW201320934A (zh) 幼兒背帶
JP2004181268A (ja) 子守帯および使用者装着部材
KR101962433B1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KR102140199B1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US20150157489A1 (en) Fastening device for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conditions
KR200495699Y1 (ko)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KR20190118502A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KR20200111649A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EP1389434B1 (en) Retainer device for free loose ends of tightening or fastening straps or belts, or the like, particularly in articles for wearing, and buoyancy compensator vest having such a device
KR200465660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
CN112040802A (zh) 具备装载用具功能的围裙
JP7479916B2 (ja) エプロン
CN217987162U (zh) 婴儿背带
KR101493030B1 (ko) 쌍둥이용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