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493Y1 -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 Google Patents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493Y1
KR200493493Y1 KR2020190002295U KR20190002295U KR200493493Y1 KR 200493493 Y1 KR200493493 Y1 KR 200493493Y1 KR 2020190002295 U KR2020190002295 U KR 2020190002295U KR 20190002295 U KR20190002295 U KR 20190002295U KR 200493493 Y1 KR200493493 Y1 KR 200493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am
nonwoven fabric
adhesiv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710U (ko
Inventor
조중환
Original Assignee
조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중환 filed Critical 조중환
Priority to KR2020190002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493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7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7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4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은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에 의해 상기 부직포와 접합되는 제1발포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전면적에 걸쳐 부분적 볼록부가 형성되도록 엠보싱 처리된다.

Description

단열흡음완충 폼블럭{Foam Block for Insulation, Sound Absorption and Cushioning}
본 고안은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을 부직포로 형성하여 단열 및 흡음 효율을 향상시키고, 부직포와 제1발포층 사이에 기포층이 형성되어 단열, 흡음 및 완충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결로는 일종의 습윤상태로서 어떤 면의 온도가 공기의 노점온도보다 낮을 때 발생된다. 여름철 차가운 물컵의 표면에 발생되는 물방울이나, 겨울철 대중교통 이용 시 안경에 맺히는 물방울 등이 결로 현상으로 할 수 있다.
건물 내 에너지 절감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점차 단열 및 기밀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세대 내 수증기 배출이 어려워지고 겨울철 실내와 외부와의 온도 차가 발생되어 세대 내 결로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외기와 직접 면하는 부위 또는 단열이 연속되지 못하거나, 공기가 정체하기 쉬운 구석부위에서 결로가 발생되기 때문에 실내 단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요즘은 아파트 또는 빌라와 같이 다층 및 다 가구로 이루어진 거주 공간이 증가함에 따라 충격 및 소리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실내 단열 또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다양한 폼블럭이 사용되고 있다.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폼블럭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폼블럭(1000)은 개략적으로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 및 단열을 위한 가교 PE폼의 일면에 외관을 매끈하고 수려하게 하기 위한 CPP필름(1100)이 PE접착제(1200)를 통해 접합된다. 이의 타면에는 설치면에 가교 PE폼(1300)의 접착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PET필름(1400)이 부착되고, 설치면과의 접착을 위한 본딩제(1500) 및 본딩제(1500)를 보호하기 위한 이형필름(160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폼블럭(1000)은 실질적으로 단열 및 완충 기능은 가교 PE폼(1300) 하나만이 수행함으로 충분한 단열 및 완충 기능을 보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가교 PE폼(1300)의 외면에 엠보싱처리를 수행하기도 하지만, 단순한 엠보싱처리 만으로는 단열 및 완충 기능의 혁신적인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폼블럭(1000)은 일반적으로 외면이 CPP필름(1100)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음, 흡음이 원활하지 않아, 실내의 소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관을 부직포로 형성하여 단열 및 흡음 효율을 향상시키고, 부직포와 제1발포층 사이에 기포층이 형성되어 단열, 흡음 및 완충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은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에 의해 상기 부직포와 접합되는 제1발포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전면적에 걸쳐 부분적 볼록부가 형성되도록 엠보싱 처리된다.
이때, 상기 볼록부는 상기 부직포와 상기 제1발포층 사이에 기포층이 형성되도록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와 결합된 제1발포층의 타면에는 제2발포층, 필름층 및 점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이 임의로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형필름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발포층은 상기 제1발포층과 동일한 계열의 수지를 사용하고, 상호 대면하는 각각의 일면을 가열을 통해 용융 후 화학적 결합에 의해 접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외관을 부직포 재질로 형성하여 보온성은 물론, 실내의 소리를 단음 및 흡음하여 외부로 소음이 새어 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부직포의 내측을 접착제로 실링하여 볼록부를 형성하는 부직포와 제1발포층 사이에 기포층을 형성하여 소정의 공기가 저장되어 단열, 흡음 및 완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부직포 및 제1발포층으로 구성되는 1차접합부만으로 충분한 단열, 흡음 및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제2발포층을 추가로 구비하여 단열, 흡음 및 완충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제1발포층 및 제2발포층은 접합면의 용융을 통한 화학적 결합을 통해 접합하기 때문에 접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을 감소하여 제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을 제조하기 위한 제1가열 가압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의 1차접합부의 접합을 위한 1차 가압 공정을 나타내는 제1가열 가압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제조하기 위한 제2가압장치 및 화염분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폼블럭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의 구성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부직포(110), 접착층(120), 제1발포층(130), 제2발포층(140), 필름층(150), 점착층(160) 및 이형필름층(170)으로 구성된다.
부직포(110)는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으로 만든 직물이다. 이러한 부직포(110)는 단열, 방음 및 흡음 효과가 월등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110)는 사용양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사용양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크기에 제한은 없다.
접착층(120)은 부직포(110)의 일면에 전면적에 걸쳐 도포되며, 부직포(110)와 제1발포층(130)을 접착하는 동시에 부직포(110)의 일면을 실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접착층(120)은 부직포(110) 및 제1발포층(130)의 재질을 고려하여 이를 원활하게 접착하고, 부직포(110)의 일면을 실링하여 공기 등의 유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접착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예로, 본 고안에서는 제1발포층(130)으로 PE 폼(Polyethylene Foam)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직포(110)와 PE폼의 접착에 용이한 PE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1발포층(130)은 부직포(110)의 일면, 바람직하게는 접착층(120)이 도포된 부직포(110)의 일면에 구비되어 접착층(120)에 의해 부직포(110)와 접합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제1발포층(130)은 부직포(110)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부직포(110)와 제1발포층(130)은 가압장치를 통해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부직포(110)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발포층(130)은 사용양태에 따라 충분한 완충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사용양태에 맞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발포층(130)은 충분한 완충기능을 갖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발포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PE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부직포(110), 접착층(120) 및 제1발포층(130)으로 구성되는 1차접합부(100)는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전면적에 걸쳐 부분적으로 볼록부(1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엠보싱 처리된다. 이때, 부직포(110)와 제1발포층(130)은 볼록부(1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충분한 압력 및 고온에 의해 충분히 밀착되도록 접합된다. 하지만, 볼록부(11)가 형성된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가해지거나, 압착장치의 구성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110)와 제1발포층(130)이 상호 다른 높이로 융기되어 부직포(110)와 제1발포층(130) 사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볼록부(11)는 부직포(110)와 제1발포층(130)이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이격된 공간에 기포층(a)이 형성된다. 부직포(110)는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지만, 부직포(110)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120)이 경화되며 부직포(110)의 일면이 실링 효과가 발생하여 부직포(110)와 제1발포층(130) 사이의 공간에 기밀이 이루어지면서 기포층(a)이 형성된다. 이처럼 기포층(a)이 형성되기 때문에 단열, 흡음 및 완충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2발포층(140)은 제1발포층(130)의 일면, 바람직하게는 부직포(110)와 결합된 제1발포층(130)의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 형성된다. 제2발포층(140)은 제1발포층(130)과 동일한 재질의 폼으로 이루어지거나, 상대적으로 완충효과가 높은 가교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완충성이 제1발포층(130)보다 높은 가교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실시예로, 제1발포층(130)이 PE폼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발포층(140)은 가교 PE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2발포층(140)은 제1발포층(130)과 접착제를 통해 접합이 가능하지만, 사용양태에 따라서 제1발포층(130)과 제2발포층(140)의 접착면을 가열하여 용융 후 화학적 결합에 의해 접착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제1발포층(130) 및 제2발포층(140)이 동일한 PE계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열에 의해 접합면을 용융하여 화학적 결합에 의해 접착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2발포층(140)의 일면, 제1발포층(130)과 접합된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10)의 설치면과의 접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필름층(150)이 형성된다. 제2발포층(140)은 발포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합면이 매끄럽지 않을 수 있어, 설치면에 접착 시 접착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필름층(150)을 형성하는 것이 설치면과의 접착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층(150)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필름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PET필름(Polyester Film)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처럼 제2발포층(140)의 일면에 필름층(150)이 형성되면 설치면과 대면하는 제2발포층(140)의 일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설치면에 부착을 위한 접착제 또는 점착제의 도포가 용이하여 설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필름층(150)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2발포층(14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PET 필름을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점착층(160)은 설치면과 대면하는 필름층(150)의 일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다. 점착층(16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점착층(160)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점착제 대신 접착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점착층(160)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설치면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질의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점착층(160)은 사용양태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10)에 도포된 채로 공급되지 않고, 사용자가 설치 시 설치 현장에서 직접 형성할 수도 있다.
이형필름층(170)은 점착층(160)을 덮도록 구비되어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10)의 보관 또는 운송 중 임의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이형필름층(170)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형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설치 현장에서 점착제를 직접 도포하는 경우 이형필름층(170)은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전술한 과정 및 후술하는 과정에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각의 층을 명확하게 분리되어 설명될 수 있도록 그 두께를 상대적으로 과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내용이 실질적 비율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실제 사용 시에는 각각의 두께 비율이 도면과 상이할 수 있다.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의 제조방법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10)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을 제조하기 위한 제1가열 가압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120)이 형성된 부직포(110)와 제1발포층(130)을 형성하는 PE폼을 제1 가압장치(200)에 공급하여 부직포(110) 및 제1발포층(130)을 가압하여 접착하는 1차 가열 가압공정을 수행한다(S100).
이때, 부직포(110)의 일면에는 접착층(120)이 형성된 상태로 공급될 수도 있으며,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접착제 분사장치 등을 이용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열 가압장치(200)로 공급되는 부직포(110)의 일면에 접착제를 분사하여 부직포(110)의 공급과 동시에 접착층(1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의 1차접합부의 접합을 위한 1차 가압 공정을 나타내는 제1가열 가압장치의 단면도이다. 또한, 제1가열 가압장치(200)는 후술하는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의 제조장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도 4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열 가압롤러(210, 2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부직포(110)를 압착하는 제1가열 가압롤러(210)에는 엠보싱을 형성하기 위한 제1홈(211)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전술한 1차 가열 가압공정을 수행하는 제1가열 가압롤러(210) 및 제2가열 가압롤러(220)는 부직포(110) 및 제1발포층(130)을 부분적으로 용융할 수 있도록 약 150℃ 내지 160℃로 가열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제1가열 가압롤러(210)에 볼록부(11)를 형성하기 위한 제1홈(21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홈(211)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완전 압착이 이루어지고, 제1홈(211)이 형성된 부분에는 제1홈(21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완전 가열 및 가압되는 부직포(110) 및 제1발포층(130)은 활발한 용융작용이 이루어지며, 제1홈(211)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면서 융기되어 제1가열 가압롤러(210)의 제1홈(211) 내부에 볼록부(11)가 형성된다.
이때, 볼록부(11)는 도 5에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열 가압장치(200)에 형성된 제1홈(211)의 내측으로 부직포(110)가 제1발포층(130)보다 상대적으로 깊게 밀려들어가도록 한다. 이러한 공정은 부직포(110)와 제1발포층(130)의 재질의 차이에 의해 용융 및 압착율의 차이로 자연스럽게 높이 차가 발생하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자연스러운 높이 차의 발생이 어려운 경우에는 볼록부(11)가 형성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부직포(110)이 일측 부분을 구겨진 상태로 공급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볼록부(11)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110)와 제1발포층(130)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제조한다. 이처럼 제1홈(211)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서는 충분한 가열 및 가압을 통해 부직포(110) 및 제1발포층(130)이 접착이 이루어지지만, 제1홈(211)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제1홈(211)에 의해 가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부직포(110) 및 제1발포층(130)은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 사이에 기포층(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1차접합부(100)의 제조가 완료된 후 접착층(120)이 경화되면 부직포(110)와 제1발포층(130) 사이에 공기의 기밀이 이루어져 기포층(a)이 형성된다.
전술한 1차 공정(S100)이 완료된 상태로 폼블럭 제조업체에 납품하거나, 사용자에게 공급이 될 수 있으며,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후술하는 공정을 모두 수행 후 납품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제조하기 위한 제2가압장치 및 화염분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1차접합부(100)에 제2발포층(140)을 접합한다(S200). 1차접합부(100),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110)와 접합된 제1발포층(130)의 타면에 제2발포층(140)을 접합한다. 이러한 접합은 다양한 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1차접합부(100)와 제2발포층(140)의 접합은 1차접합부(100)의 접합공정(S100)과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압롤러(310, 320)로 이루어진 제2가압장치(300)를 통해 접합할 수 있다. 이때, 제2가압장치(300)는 1차접합부(100)의 엠보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가열 가압장치(200)보다 상대적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거나, 제1가열 가압장치(200)와 마찬가지로 제1가열 가압장치(200)의 제1가열 가압롤러(210)에 형성된 제1홈(211)과 대응되는 제2홈(311)이 제3가압롤러(310)에 형성되어 볼록부(11)가 제2가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발포층(130) 및 제2발포층(140)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할 수 도 있지만, 본 고안에서는 제1발포층(130) 및 제2발포층(140)을 동일한 PE계열 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화염분사장치(400)를 통해 상호 대면하는 제1발포층(130) 및 제2발포층(140)의 일면을 가열하여 용융 후 화학적 결합에 의해 접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발포층(140)의 일면에 필름층(150)을 형성한다(S300). 제1발포층(130)과 결합된 일면과 대향되는 제2발포층(140)의 타면에 필름층(150)을 형성한다. 이때, 필름층(150)은 제2발포층(14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 후 필름지를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층(150)의 형성 공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필름층(150)의 일면에 점착층(160)을 형성한다(S400). 점착층(160)의 형성 공정(S400)은 설치면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그와 대응되는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점착층(16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층(160)의 형성은 점착제 분사 또는 도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점착층(160) 형성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공정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점착층(160)이 임의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점착층(160)에 이형필름을 부착하여 이형필름층(170)을 형성한다(S500). 이때, 이형필름은 점착층(160)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임의의 장소에 부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10)의 보관 및 운송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형필름의 부착에 의해 점착층(160)의 점착 효율이 감소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10)의 설치 시 원활하게 점착층(160)에서 분리가 가능한 이형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점착층(160)의 종류에 따라 그와 대응되는 이형필름을 사용하여 이형필름층(170)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단열흡음완충 폼블럭의 제조장치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10)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완충 폼블럭(10)의 제조장치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폼블럭 제조장치와 동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세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 또는 간소화 하고, 특징적인 제1가열 가압장치(200), 제2가압장치(300) 및 화염분사장치(4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가열 가압장치(2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부직포(110) 및 제1발포층(130)을 압착하여 접합하는 동시에 일면에 볼록부(11)를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금형 및 롤러 등 다양한 장치를 사용할 수 있지만,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공정을 위하여 한 쌍의 가열 가압롤러(210, 220)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일예로, 제1가열 가압장치(200)는 제1가열 가압롤러(210) 및 제2가열 가압롤러(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가열 가압롤러(210)의 외면에는 전술한 1차접합부(100)의 볼록부(11)를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제1홈(2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가열 가압롤러(210)에 형성되는 제1홈(211)의 깊이는 부직포(110)와 제1발포층(130) 사이의 기포층(a)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볼록부(11)를 형성하는 부직포(110), 접착층(120) 및 제1발포층(130)의 총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깊은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일예로, 제1홈(211)의 깊이는 부직포(110), 접착층(120) 및 제1발포층(130) 각각의 높이의 총합보다 적어도 1mm이상 깊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가열 가압롤러(210) 및 제2가열 가압롤러(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볼록부(11)의 형성을 용이하기 위하여 부직포(110) 및 제1발포층(130)의 일부가 용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 제1가열부(212) 및 제2가열부(221)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1가열부(212) 및 제2가열부(221)는 각각 제1가열 가압롤러(210) 및 제2가열 가압롤러(220)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가열판, 가열봉 또는 가열코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구성된 제1가열부(212) 및 제2가열부(221)는 각각 제1가열 가압롤러(210) 및 제2가열 가압롤러(220)를 약 150℃ 내지 160℃로 가열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제1가열 가압장치(200) 일측에는 제1가열 가압장치(200)로 부직포(110) 및 제1발포층(130)을 공급하기 위한 직물공급장치 또는 컨베이어벨트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부직포(110)의 일면에 접착층(120)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 분사장치 또는 접착제 도포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직물장치 또는 접착층(120) 형성을 위한 장치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가압장치(300)는 제1가열 가압장치(200)와 마찬가지로 금형 및 롤러 등 다양한 장치를 사용할 수 있지만,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공정을 위하여 한 쌍의 가압롤러(310, 320)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가압장치(300)는 제3가압롤러(310) 및 제3가압롤러(310)와 소정간격 이격된 제4가압롤러(3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3가압롤러(310) 및 제4가압롤러(320)는 제1가열 가압장치(200)에서 접합이 이루어진 1차접합부(100)와 제2발포층(140)을 접합하기 위한 것으로, 1차접합부(100) 및 제2발포층(140)의 두께를 고려하여 이와 대응되는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1차접합부(100)에는 볼록부(1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가압장치(300)를 통한 가압을 이용한 접합 시 볼록부(11)가 손상되지 않도록 그 이격거리 및 가압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제3가압롤러(310)의 외면 일측에 제1가압롤러(210)의 제1홈(211)과 대응되는 제2홈(311)이 형성되어 볼록부(11)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화염분사장치(400)는 제2가압장치(300)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제2가압장치(300)로 유입되는 1차접합부(100)의 제1발포층(130) 및 제2발포층(140)의 상호 대면하는 각각의 일면을 향해 화염(f)을 분사하여 용융시키는 장치이다. 즉, 화염분사장치(400)는 제1발포층(130) 및 제2발포층(140)이 제2가압장치(300)로 공급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에 제2가압장치(300)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제2가압장치(300)로 각각 공급되는 제1발포층(130) 및 제2발포층(140)을 향해 화염(f)을 분사한다. 이처럼 화염분사장치(400)를 통해 분사되는 화염(f)에 의해 제1발포층(130) 및 제2발포층(140)의 상호 접착면은 용융이 이루어진 상태로 제2가압장치(300)로 공급되어 압착이 이루어지며, 별도의 접착제 없이 화학적 결합에 의한 접착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가열 가압장치(200) 및 제2가압장치(300)를 통과하며 부직포(110), 제1 발포층 및 제2발포층(140)까지 접합이 이루어진 적층된 직물에 필름층(150), 점착층(160) 및 이형필름층(170)을 형성하는 장치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한번 설명하면, 본원발명은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직포(110), 상기 부직포(11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접착층(120), 상기 접착층에 의해 상기 부직포와 접합되는 제1발포층(130), 상기 부직포와 결합된 제1발포층의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 형성되는 제2발포층(140), 상기 제1발포층과 접합된 상기 제2발포층의 타면에 형성되는 필름층(150), 상기 제2발포층과 접합된 상기 필름층의 하면에 형성되는 점착층(160) 및 상기 점착층을 덮어 상기 점착층이 임의로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형필름층(170)을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110)의 일면의 전면적에는 엠보싱 처리되어 볼록부가 형성되되, 상기 볼록부(11)는 서로 이어져 연속되지 않고 서로 소경간격 이격된 상태로 엠보싱처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부직포(110)와 상기 제1발포층(130)이 서로 다른 높이로 융기되어 상기 부직포와 상기 제1발포층 사이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기포층(a)이 형성되며, 상기 부직포의 타면에 형성된 접착층의 경화에 의해 상기 부직포의 타면이 실링효과가 발생하여 상기 부직포와 상기 제1발포층 사이의 공간이 기포층에 기밀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11 : 볼록부
100 : 1차접합부
110 : 부직포
120 : 접착층
130 : 제1발포층
140 : 제2발포층
150 : 필름층
160 : 점착층
170 : 이형필름층
200 : 제1가열 가압장치
210 : 제1가압롤러
211 : 제1홈
212 : 제1가열부
220 : 제2가압롤러
221 : 제2가열부
300 : 제2가압장치
310 : 제3가압롤러
311 : 제2홈
320 : 제4가압롤러
400 : 화염분사장치
1000 : 종래의 폼블럭
1100 : CPP필름
1200 : PE접착제
1300 : 가교 PE폼
1400 : PET필름
1500 : 본딩제
1600 : 이형필름
a : 기포층
f : 화염

Claims (5)

  1.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타면에 형성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에 의해 상기 부직포와 접합되는 제1발포층;
    상기 부직포와 결합된 제1발포층의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 형성되는 제2발포층;
    상기 제1발포층과 접합된 상기 제2발포층의 타면에 형성되는 필름층;
    상기 제2발포층과 접합된 상기 필름층의 하면에 형성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을 덮어 상기 점착층이 임의로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형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의 일면의 전면적에는 엠보싱 처리되어 볼록부가 형성되되,
    상기 볼록부는 서로 이어져 연속되지 않고 서로 소경간격 이격된 상태로 엠보싱처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부직포와 상기 제1발포층이 서로 다른 높이로 융기되어 상기 부직포와 상기 제1발포층 사이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기포층이 형성되며,
    상기 부직포의 타면에 형성된 접착층의 경화에 의해 상기 부직포의 타면이 실링효과가 발생하여 상기 부직포와 상기 제1발포층 사이의 공간이 기포층에 기밀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포층은 PE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발포층은 가교 PE폼으로 서로 동일한 PE계열로 이루어져 상호 대면하는 각각의 면을 가열을 통해 용융 후 화학적 결합에 의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KR2020190002295U 2019-06-05 2019-06-05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KR200493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95U KR200493493Y1 (ko) 2019-06-05 2019-06-05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95U KR200493493Y1 (ko) 2019-06-05 2019-06-05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10U KR20200002710U (ko) 2020-12-15
KR200493493Y1 true KR200493493Y1 (ko) 2021-04-07

Family

ID=7378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295U KR200493493Y1 (ko) 2019-06-05 2019-06-05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49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8451B (zh) * 2021-12-08 2024-05-10 上海新安汽车隔音毡有限公司 一种发动机缸体防火隔音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987Y1 (ko) * 2009-08-25 2009-12-17 박종서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4419A (ko) * 2011-12-08 2013-06-18 김경철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
KR20170051771A (ko) * 2015-10-30 2017-05-12 주식회사 휴비스 복수의 기능성 발포층을 포함하는 발포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27907A (ko) * 2016-05-13 2017-11-22 (주)엘지하우시스 건물 내외벽 마감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987Y1 (ko) * 2009-08-25 2009-12-17 박종서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10U (ko)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9432B2 (ja) 真空断熱パネル
KR101227035B1 (ko)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N105128487B (zh) 一种用于厢式货车的一次成型车厢板及制造工艺
KR100524221B1 (ko)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구조
KR200493493Y1 (ko)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CN106494038B (zh) 一种绝热可固化热固性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558953B1 (ko) 단열성이 개선된 반사형 단열재
CN111635705A (zh) 一种地铁车辆用地板布无缝拼接铺装工艺
CN203046375U (zh) 复合吸音隔热棉
KR101207291B1 (ko) 단열재의 제조방법
CN207063303U (zh) 一种可装配式结构保温一体化板材
KR20150105044A (ko)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0495287B1 (ko) 저장탱크를 형성하는 보온수단이 형성된 합성수지패널
KR101355045B1 (ko) 반사형 단열재,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건축 구조체
KR100530801B1 (ko) 통기성 방수시트
KR20110111810A (ko) 놀이방매트
CN110539529A (zh) 一种保温泡棉及其制备方法
KR102008507B1 (ko) 고무냄새 없고 충격 흡수와 내구성이 우수한 고무매트
KR20140085020A (ko) 건축물의 내단열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복합기능 단열재
CN207916214U (zh) 一种室内装饰复合皮革
CN111502132A (zh) 一种雪场顶棚保温构造及铺设方法
KR101183726B1 (ko) 단열재,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04109025A1 (en) Thermal insulation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172967A (ja) 車両用フロアカーペッ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
CN215290961U (zh) 一种用于冷库的轻质隔墙保温复合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