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987Y1 -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 - Google Patents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987Y1
KR200446987Y1 KR20090011048U KR20090011048U KR200446987Y1 KR 200446987 Y1 KR200446987 Y1 KR 200446987Y1 KR 20090011048 U KR20090011048 U KR 20090011048U KR 20090011048 U KR20090011048 U KR 20090011048U KR 200446987 Y1 KR200446987 Y1 KR 2004469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ossed
polyethylene foam
layer
finish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11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서
Original Assignee
박종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서 filed Critical 박종서
Priority to KR20090011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9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9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04B1/90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75Insulating linings for the interior face of exterior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폼, 알루미늄호일, 접착층 및 이형지로 되는 바탕층의 상부에 엠보싱폴리에틸렌폼 및 엠보싱마감재로되는 엠보싱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단열마감재의 시공만으로 마감재와 단열/방음공사를 한번에 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성이 우수하여 건축물의 단열보수작업을 일반인들이 손쉽게 할 수 있고, 엠보싱층으로 인해 벽면이 평평하지 않더라도 표면의 구김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는 바탕재층의 상부에 엠보싱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바탕재층은 폴리에틸렌폼의 하면에 알루미늄호일이 접착되고, 상기 알루미늄호일의 하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층의 하면에 이형지가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엠보싱층은 엠보싱폴리에틸렌폼의 상부에 엠보싱마감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의 표면에 엠보모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엠보싱, 마감재, 폴리에틸렌폼, 바탕재, 단열재

Description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Heat insulator}
본 고안은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폼, 알루미늄호일, 접착층 및 이형지로 되는 바탕층의 상부에 엠보싱폴리에틸렌폼 및 엠보싱마감재로되는 엠보싱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짐으로써, 단열마감재의 시공만으로 마감재와 단열/방음공사를 한번에 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성이 우수하여 건축물의 단열보수작업을 일반인들이 손쉽게 할 수 있고, 엠보싱층으로 인해 벽면이 평평하지 않더라도 표면의 구김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나라의 에너지 소비는 산업부문 55%, 건물부문 25%, 교통부문 20% 등의 비율로 구성되며, 특히 건물에서의 에너지 소비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외벽을 통한 열손실이며, 이는 대체적으로 건물의 냉, 난방부하의 40% 이상을 차지하게 되므로 건물에서의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적정의 단열 설계와 단열재의 시공이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단열재란 전도, 대류, 복사에 의한 열의 흐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단일 재료 또는 여러 재료의 조합을 말하며, 이 단열재의 사용범위는 굉장히 광범위하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는 열의 흐름을 크게 줄임으로써, 열의 손실이나 열 획득 을 줄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표면 온도 강화로 나타나는 표면 결로를 방지하며, 냉난방이 필요없거나 불가능할 때 실내온도의 변동을 줄여준다. 또한 수분이 유입되는 침윤과 습기가 스며드는 투습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 건축물에는 스티로폼과 같은 부피단열재를 사용하였는 바, 상기 부피단열재는 시공성이 좋지 못하고 단열효과 또한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a에서와 같이 폴리에틸렌 폼(100)의 일면에 알루미늄 호일(200)을 접착시켜 열반사용 단열재를 건축물의 내, 외벽에 시공하여 사용하였는 바, 이러한 종래의 단열재는 시공이 불편하여 오래된 건축물의 내벽에 일반인들이 손쉽게 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출원된 등록특허 제633249호(IPC분류E04B 1/80, E04B 1/78)에서는, 비철금속층(11)과; 비철금속층(11) 일면에 접착제로 접착된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14)와;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14) 일면에 접착되어 공기의 유통을 차단하고 쿠션과 공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버블층(15)과; 폴리에틸렌 버블층(15) 일면에 접착된 합성수지 발포제층(16)과; 합성수지 발포제층(16) 일면에 접착된 비철금속층(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였으나, 비철금속층(11)이 외측으로 노출됨으로써, 별도의 마감재를 시공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열재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에틸렌폼, 알루미늄호일, 접착층 및 이형지로 되는 바탕층의 상부에 엠보싱폴리에틸렌폼 및 엠보싱마감재로되는 엠보싱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단열마감재를 건축물의 내벽에 시공함으로써, 마감재와 단열/방음공사를 한번에 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성이 우수하여 건축물의 단열보수작업을 일반인들이 손쉽게 할 수 있고, 엠보싱층으로 인해 벽면이 평평하지 않더라도 단열 마감재의 표면에 구김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는 폴리에틸렌폼(110), 알루미늄호일(120) 및 접착층(130)이 적층되어 형성되어지는 내벽 단열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내벽 단열마감재는 바탕재층(10)의 상부에 엠보싱층(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바탕재층(10)의 폴리에틸렌폼(110)과 엠보싱층(20)의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 사이에는 폴리에스테르장섬유 부직포(30)가 게재되어지고,
상기 바탕재층(10)은 폴리에틸렌폼(110)의 하면에 알루미늄호일(120)이 접착되고, 상기 알루미늄호일(120)의 하면에 접착층(130)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층(130)의 하면에 이형지(140)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층(20)은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의 상부에 엠보싱마감재(220)가 적층되어지고 상기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과 엠보싱마감재(220) 사이에는 창호지(230)가 게재되어지며,
상기 엠보싱마감재(220)는 실크벽지, 천연벽지, 한지벽지, 유광도배필름, 무광도배필름, 은박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알루미늄필름 중 어느 하나로 되어지고,
상기 폴리에틸렌폼(110), 알루미늄호일(120),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 및 엠보싱마감재(220)는 접착제로 접착되어지며,
상기 엠보싱층(20)의 엠보모양은 상기 엠보싱마감재(220)에서부터 창호지(230) 및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까지 깊숙하게 엠보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폼(110)과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은 가교폴리에틸렌폼으로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를 건축물의 내벽에 시공하는 것만으로, 결로방지, 단열, 방음 효과를 갖으며, 외관이 미려하여 별도의 마감재를 시공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작업성이 우수하여 건축물의 단열보수작업을 일반인들이 손쉽게 할 수 있고, 상부에 엠보싱층이 형성됨으로써, 내벽면이 평평하지 않더라도 단열마감재의 표면에 구김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여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바탕재층(10)과 엠보싱층(20)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바탕재층(10)은 폴리에틸렌폼(110), 알루미늄호일(120), 접착층(130) 및 이형지(140)로 구성되고, 상기 엠보싱층(20)은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과 엠보싱마감재(220)로 구성된다.
먼저 바탕재층(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바탕재층(10)의 폴리에틸렌폼(polyethylene form)(110)은 성형성이 매우 우수하고, 단열성, 보온성, 방습성, 완충성, 내열성, 내구성 등이 뛰어난 재질로서, 특히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폼(110)은 독립기포 구조를 가져 조밀한 구조로되는 가교폴리에틸렌폼과 이와 반대로 조밀하지 않은 엠보싱을 갖는 무교폴리에틸렌폼이 있는 바, 본 고안에서는 가교폴리에틸렌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폴리에틸렌폼(110)으로서 가교폴리에틸렌폼과 무교폴리에틸렌폼을 접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바, 건물의 내벽용으로 완충성이 요구될 경우 무교폴리에틸렌폼을 가교폴리에틸렌폼의 상면에 접합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폼(110)은 비투습성과 비흡수성의 재질이므로 투습 및 흡수로 인하여 시공 후 단열성이 저하되지 않아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우수한 유연성과 탄력성을 가지고 있어 부서짐이 없고 압력에 대해서도 우수한 복원력을 가지고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폼(110)의 하면에는 알루미늄 호일(120)이 접착되는 바, 상기 알루미늄 호일(120)은 종래기술을 통해 알려진 바와 같이 열을 반사시켜 단열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시공성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즉 기존의 노후된 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내벽에 일반인이 손쉽게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A)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알루미늄 호일(120)의 하면에 접착층(130)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130)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140)가 적층되는 바, 상기 이형지(140)를 박리하여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A)의 접착층(130)을 건축물의 내벽에 직접 접착시킴으로써, 손쉬운 시공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엠보싱층(20)은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과 엠보싱마감재(220)로 구성되는 데, 상기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이란 앞서 충분히 설명된 폴리에틸렌폼(110)과 동일한 재질로서 그 상부에 엠보모양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즉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은 상부가 엠보모양을 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엠보모양으로 인해 내벽면이 평평하지 않고 굴곡이 심하더라도 상기 엠보모양이 서로 수축/팽창 작용을 하게되어 표면의 구김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탕재층(10)의 폴리에틸렌폼(110)과 엠보싱층(20)의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은 별도로 성형되어 적층될 수도 있고,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바, 하부는 평평한 폴리에틸렌폼(110)이 되는 것이고 상부는 엠보모양을 갖는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이 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엠보싱마감재(220)는 상기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의 상면에 적층되어져 엠보싱폴레이틸렌폼(210)과 동일하게 엠보모양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엠 보모양으로 인해 내벽면이 평평하지 않고 굴곡이 심하더라도 상기 엠보모양이 서로 수축/팽창 작용을 하게되어 표면의 구김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며,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A)를 건축물의 내벽에 시공하였을 경우 내벽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인 바, 엠보싱마감재(220)로서 실크벽지, 천연벽지, 한지벽지, 유광도배필름, 무광도배필름, 은박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 알루미늄필름 중 어느 하나의 것을 이용함으로써,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A)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A)의 시공만으로 별도의 내벽 마감재를 시공하지 않도록 한 것으로서, 종래 내벽 단열재의 시공시 벽지를 제거하고 단열재를 시공한 후, 초배지를 바르고 다시 벽지를 시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A)는 표면에 엠보모양이 형성됨으로써, 평평하지 않은 내벽면에 시공시에도 표면에 구김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엠보싱마감재(220),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 폴리에틸렌폼(110), 알루미늄 호일(120)은 각각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킬 수 있는 바, 상기 접착제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바탕재층(10)과 엠보싱층(20) 사이에는 폴리에스테르장섬유 부직포(30)가 추가로 적층될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폴리에스 테르장섬유 부직포(30)는 방습성이 우수하여 결로현상 및 곰팡이 발생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장섬유 부직포(30)는 인장강도와 결합력이 뛰어나고, 내열, 내한성이 우수하여 지속적인 단열성의 유지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부직포(30)로서 폴리에스테르 장섬유를 이용하는 것은 장섬유(Filament)가 여러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연결되므로 단섬유 부직포에 비해 월등히 높은 인장강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50% 이상의 기공용적을 보유해 우수한 투수성 통기성을 가지고, 치수안전성이 뛰어나 수축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장섬유 부직포(30)는 여러 방향으로 적층되어 미세한 공간이 랜덤하게 분포됨으로써 보온 및 단열 효과가 우수하며, 미세한 장섬유의 집합이 여러 방향으로 분포 적층되므로, 이의 분포도를 조정하여 차광율을 20∼40%까지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엠보싱층(20)의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과 엠보싱마감재(220)의 사이에는 창호지(230)가 추가로 적층될 수도 있는 바, 상기 창호지(230)는 보온효과가 우수하도록 하는 효과는 물론, 상면에 적층되는 엠보싱마감재(220)의 이면을 지지하여 내부의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이 외부로 비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A)는 최소 두께를 3mm로 할 수 있어 종래의 부피 단열재와 비교하여 용적률이 크게 늘어나고,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재단이 쉽고, 꺽음 시공 역시 가능하여 그 시공성은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그 두께가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단열 효과는 부피 단열재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것으로, 냉기, 열기, 외풍 차단효과가 탁월하고, 결로, 방습, 곰팡이의 문제가 해결될 뿐 아니라, 흡음 성능 역시 우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A)는 최하층의 이형지(140)를 박리하여 건축물의 내벽에 접착시킴으로써 단열성을 우수하게 하는 것으로, 엠보싱마감재(220)가 내벽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별도의 마감재를 시공할 필요가 없는 것이며, 더욱 견고한 접착을 위해서는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A)의 모서리부분을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을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단열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바탕재층 20: 엠보싱층
30: 폴리에스테르장섬유부직포
110: 폴리에틸렌폼 120: 알루미늄호일
130: 접착층 140: 이형지
210: 엠보싱폴리에틸렌폼 220: 엠보싱 마감재
230: 창호지

Claims (2)

  1. 폴리에틸렌폼(110), 알루미늄호일(120) 및 접착층(130)이 적층되어 형성되어지는 내벽 단열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내벽 단열마감재는 바탕재층(10)의 상부에 엠보싱층(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바탕재층(10)의 폴리에틸렌폼(110)과 엠보싱층(20)의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 사이에는 폴리에스테르장섬유 부직포(30)가 게재되어지고,
    상기 바탕재층(10)은 폴리에틸렌폼(110)의 하면에 알루미늄호일(120)이 접착되고, 상기 알루미늄호일(120)의 하면에 접착층(130)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층(130)의 하면에 이형지(140)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층(20)은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의 상부에 엠보싱마감재(220)가 적층되어지고 상기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과 엠보싱마감재(220) 사이에는 창호지(230)가 게재되어지며,
    상기 엠보싱마감재(220)는 실크벽지, 천연벽지, 한지벽지, 유광도배필름, 무광도배필름, 은박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알루미늄필름 중 어느 하나로 되어지고,
    상기 폴리에틸렌폼(110), 알루미늄호일(120),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 및 엠보싱마감재(220)는 접착제로 접착되어지며,
    상기 엠보싱층(20)의 엠보모양은 상기 엠보싱마감재(220)에서부터 창호지(230) 및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까지 깊숙하게 엠보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폼(110)과 엠보싱폴리에틸렌폼(210)은 가교폴리에틸렌폼으로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
KR20090011048U 2009-08-25 2009-08-25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 KR2004469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1048U KR200446987Y1 (ko) 2009-08-25 2009-08-25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1048U KR200446987Y1 (ko) 2009-08-25 2009-08-25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987Y1 true KR200446987Y1 (ko) 2009-12-17

Family

ID=4595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1048U KR200446987Y1 (ko) 2009-08-25 2009-08-25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987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937B1 (ko) 2010-03-04 2011-12-29 석봉철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84827B1 (ko) * 2010-12-01 2012-09-20 석봉철 방습 및 단열효과가 우수한 열반사 단열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81883B1 (ko) * 2012-02-27 2015-01-21 (주)비온디 건축물의 건식 외단열 시공방법
KR101488306B1 (ko) * 2013-09-02 2015-01-30 김종암 벽지와 피이폼을 갖춘 보온시트의 제조방법
KR101561674B1 (ko) * 2015-04-09 2015-10-20 주식회사 미래피엔티 인테리어용 마감재 제조방법
KR20160109047A (ko) * 2015-03-09 2016-09-21 김태경 기능성 벽지
WO2017082492A1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큐원 장식단열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7082493A1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큐원 장식단열지
KR102168266B1 (ko) * 2019-09-23 2020-10-23 성문산업 주식회사 라돈 차폐 성능이 우수한 벽지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002710U (ko) * 2019-06-05 2020-12-15 조중환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KR102380955B1 (ko) * 2021-04-20 2022-04-01 주식회사 꿈비 진동 및 소음 방지용 대형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713Y1 (ko) * 2005-09-30 2005-12-12 김연세 복합기능 반사 보온 단열재
KR100884259B1 (ko) * 2008-07-31 2009-02-18 박종서 건축용 내벽 단열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713Y1 (ko) * 2005-09-30 2005-12-12 김연세 복합기능 반사 보온 단열재
KR100884259B1 (ko) * 2008-07-31 2009-02-18 박종서 건축용 내벽 단열재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937B1 (ko) 2010-03-04 2011-12-29 석봉철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84827B1 (ko) * 2010-12-01 2012-09-20 석봉철 방습 및 단열효과가 우수한 열반사 단열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81883B1 (ko) * 2012-02-27 2015-01-21 (주)비온디 건축물의 건식 외단열 시공방법
KR101488306B1 (ko) * 2013-09-02 2015-01-30 김종암 벽지와 피이폼을 갖춘 보온시트의 제조방법
KR102199853B1 (ko) * 2015-03-09 2021-01-08 김태경 기능성 벽지
KR20160109047A (ko) * 2015-03-09 2016-09-21 김태경 기능성 벽지
KR101561674B1 (ko) * 2015-04-09 2015-10-20 주식회사 미래피엔티 인테리어용 마감재 제조방법
WO2017082492A1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큐원 장식단열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7082493A1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큐원 장식단열지
KR20200002710U (ko) * 2019-06-05 2020-12-15 조중환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KR200493493Y1 (ko) * 2019-06-05 2021-04-07 조중환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KR102168266B1 (ko) * 2019-09-23 2020-10-23 성문산업 주식회사 라돈 차폐 성능이 우수한 벽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80955B1 (ko) * 2021-04-20 2022-04-01 주식회사 꿈비 진동 및 소음 방지용 대형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987Y1 (ko)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
KR100741951B1 (ko) 건축물 내·외벽용 반사단열재
KR101137505B1 (ko) 건축용 복합 단열재
KR101852731B1 (ko) 고기능성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PT1815077E (pt) Painel isolante térmico
KR20180033675A (ko) 난연, 흡음 및 방습기능을 겸비한 복합기능성 단열재
KR100884259B1 (ko) 건축용 내벽 단열재
KR200423574Y1 (ko) 건축용 반사 단열재
KR100701858B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KR200480350Y1 (ko) 장식단열지
JP2004143927A (ja) 暖房管の配管用断熱ボ−ド
KR20180000916U (ko) 난연, 흡음 및 방습기능을 겸비한 복합기능성 단열재
JP3186878U (ja) 金属屋根用通気性遮熱断熱材
JP2003056090A (ja) 複合断熱材
KR101616496B1 (ko) 건축물의 다기능 보온단열재가 부착된 패널
KR101983497B1 (ko) 고기능성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JP3215222U (ja) 金属屋根用遮熱断熱積層体
KR102068779B1 (ko) 공동주택의 내벽 단열구조
KR200420049Y1 (ko) 열반사 단열재
JP3131958U (ja) 高機能型遮熱マット
GB2544618A (en) Insulating sandwich panel
KR101314039B1 (ko) 건축용 단열재
KR200300616Y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KR20080112671A (ko) 연속기포형 폴리에틸렌 발포체가 결합된 반사단열재
CN219491347U (zh) 发泡陶瓷保温件、发泡陶瓷保温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