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350Y1 - 장식단열지 - Google Patents

장식단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350Y1
KR200480350Y1 KR2020150007295U KR20150007295U KR200480350Y1 KR 200480350 Y1 KR200480350 Y1 KR 200480350Y1 KR 2020150007295 U KR2020150007295 U KR 2020150007295U KR 20150007295 U KR20150007295 U KR 20150007295U KR 200480350 Y1 KR200480350 Y1 KR 200480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ilver foil
foamed
insulating 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석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원
Priority to KR2020150007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350Y1/ko
Priority to PCT/KR2016/004046 priority patent/WO201708249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3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04B1/90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04F13/08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the visible surface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tiled surface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벽돌 모양 등으로 형성되는 장식단열지의 일면에 유백무광의 CPP 필름을 이용하여 은박이 역전사 방법에 의해 증착되게 설치함으로써, 증착된 은박이 떨어지지 않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 및 신뢰성을 갖는 장식단열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인테리어용 장식단열지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한 발포성 수지로 전면이 벽돌 모양으로 형성되는 발포 단열층; 상기 발포 단열층의 전면에 부착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이 부착된 발포 단열층의 반대측 일면에 역전사에 의한 증착으로 부착되게 설치되는 은박 증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은박 증착층은: 은박 및 유백무광의 CPP 필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백무광의 CPP 필름과 은박이 합지된 상태에서 발포 단열층의 일면에 라미네이팅 되어 부착되고, 상기 발포 단열층의 전면에 벽돌 모양을 성형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해 유백무광의 CPP 필름이 깨지면서 상기 발포 단열층으로 은박이 들어가는 역전사 방법으로 상기 발포 단열층의 일면에 은박이 유백무광의 CPP 필름과 함께 증착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장식단열지{foam insulator}
본 고안은 전면이 백돌 모양으로 형성되는 인테리어용 장식단열지에 벽돌 모양 등으로 형성되는 장식단열지의 일면에 유백무광의 CPP 필름을 이용하여 은박을 역전사에 의한 방법으로 증착 부착시킴에 의해, 증착된 은박이 떨어지는 일이 없게 되는 장식단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 벽면, 천장 등에는 실내외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단열재가 시공되며, 판상의 발포 스티렌 수지, 즉 스티로폼(styrofoam)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단열재는 판상의 단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불에 약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높았으며, 강도가 약한 등 단점이 있지만, 재질이 가볍고 비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티로폼 등의 재질로 형성한 단열재보다 표면의 강도가 단단하고 모양이 미려한 발포 단열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즉, 인테리어용으로 건축물의 벽체 등에 그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발포 단열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과 도 2는 이와 같은 일반적인 발포단열재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단열재(1)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단열 효과를 가지는 발포층(3)과,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발포층(3)의 일면에 부착되는 필름층(5)으로 구성된다.
이때 필름층(5)은 외부의 습기가 발포층(3)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이물질로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마치 발포단열재(1)의 표면을 코팅한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발포단열재(1)는 발포층(3)과 필름층(5)을 적층한 상태에서 금형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예를 들어, 표면이 불규칙한 패턴으로 형성된 다수의 벽돌모양으로 된 금형을 설계하고, 이렇게 설계된 금형을 발포층(3)과 필름층(5)이 차례로 적층된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 제작하는 것이다.
이렇게 제작된 발포단열재(1)는 스티로폼 등의 재질로 형성한 단열재보다 제품의 강도가 높아 건축물의 벽체 등에 직접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발포단열재는, 기본적인 단열 및 강도 증대의 기능 이외에 방수 등의 기능은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발포단열재는 사용용도가 단열기능에만 제한되었으며, 인테리어 작업시 흡음 기능, 방수 기능 등을 포함하려면 다른 건축자재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컨대, 종래의 발포단열재의 일면에 별도의 알루미늄 등을 부착시켜 흡음 및 방수 기능을 등을 부여하는 기술이 일부 알려져 있으나, 이는 알루미늄과 발포단열재가 견실하게 부착되지 못하여 쉽게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0887호 2004. 05. 0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3684호 2004. 09. 22.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벽돌 모양 등으로 형성되는 장식단열지의 일면에 유백무광의 CPP 필름을 이용하여 은박이 역전사 방법에 의해 증착되게 설치함으로써, 증착된 은박이 떨어지지 않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 및 신뢰성을 갖는 장식단열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테리어용 장식단열지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한 발포성 수지로 전면이 벽돌 모양으로 형성되는 발포 단열층; 상기 발포 단열층의 전면에 부착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이 부착된 발포 단열층의 반대측 일면에 역전사에 의한 증착으로 부착되게 설치되는 은박 증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은박 증착층은: 은박 및 유백무광의 CPP 필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백무광의 CPP 필름과 은박이 합지된 상태에서 발포 단열층의 일면에 라미네이팅 되어 부착되고, 상기 발포 단열층의 전면에 벽돌 모양을 성형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해 유백무광의 CPP 필름이 깨지면서 상기 발포 단열층으로 은박이 들어가는 역전사 방법으로 상기 발포 단열층의 일면에 은박이 유백무광의 CPP 필름과 함께 증착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백무광의 CPP 필름은 10~30㎛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 단열층은: 상기 은박 증착층이 부착된 일면에 형성되어 실내외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는 소음 흡수홈이 형성되되, 상기 소음 흡수홈은: 상기 발포 단열층의 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발포 단열층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소음 흡수홈으로 인해 시공 대상의 건축물에 설치할 때 상기 발포단열층과 건축물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소음이 흡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층이 부착되는 상기 발포 단열층의 전면에 형성되는 벽돌 모양은 규칙적인 패턴 또는 불규칙적인 패턴을 가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단열지에 의하면, 벽돌 모양 등으로 형성되는 장식단열지의 일면에 유백무광의 CPP 필름을 이용하여 은박이 역전사 방법에 의해 증착되게 설치함으로써, 증착된 은박이 떨어지지 않게 되어 상품성이 향상되어 신뢰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식단열지의 일면에 은박이 증착 부착되어 있음에 의해, 단열 기능은 물론 방음 및 방수 기능을 갖게 하여 곰팡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일반적인 발포단열재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단열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단열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다른 장식단열지의 여러 예를 보인 실물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단열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단열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다른 장식단열지의 여러 예를 보인 실물 사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식단열지는 인테리어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발포 단열층(10)과 필름층(12) 및 은박 증착층(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 단열층(10)은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한 발포성 수지로 전면이 벽돌 모양으로 형성되어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포 단열층(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인테리어용 벽돌 모양은 규칙적인 패턴을 가진 형상 또는 불규칙적인 패턴을 가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별돌 모양은 지그재그의 불규칙적인 패턴으로 적층되는 벽돌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층(12)은 발포 단열층(10)의 전면에 부착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필름층(12)에 의해 외부의 습기가 발포 단열층(10)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이물질로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즉, 필름층(12)은 발포 단열층(10)의 표면을 코팅한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여 기본적인 단열기능 이외에 강도 강화, 완충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은박 증착층(20)은 필름층(12)이 부착된 발포 단열층(10)의 반대측 일면에 역전사에 의한 증착으로 부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은박 증착층(20)이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룬다.
즉, 종래에도 발포 단열층의 일면에 은박(알루미늄)을 직접 설치하는 구성이 일부 알려져 있으나, 은박과 발포 단열층은 서로 접착이 잘 안되어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켜도 쉽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은박이 역전사에 의한 방법으로 발포 단열층에 증착되어 부착됨으로써, 발포 단열층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는 특징을 가지며, 역전사에 의한 은박의 증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은박 증착층(20)은 은박 및 유백무광의 CPP 필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백무광의 CPP 필름과 은박이 합지된 상태에서 발포 단열층(10)의 일면에 라미네이팅 되어 부착되고, 상기 발포 단열층(10)의 전면에 벽돌 모양을 성형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해 유백무광의 CPP 필름이 깨지면서 상기 발포 단열층(10)으로 은박이 들어가는 역전사 방법으로 상기 발포 단열층(10)의 일면에 은박이 유백무광의 CPP 필름과 함께 증착 부착된다.
이때, 상기 유백무광의 CPP 필름은 10~3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유백무광의 CPP 필름을 이용하여 은박을 발포 단열층에 역전사에 의한 방법으로 증착시켜 일체형으로 부착되게 함으로써, 절대로 떨어지는 일이 없어 종래기술과 같이 은박을 접착제로 부착하는 기술과는 차별화된 기술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발포 단열층(10)에 역전사에 의한 방법으로 증착된 은박 증착층(20)에 의해 즉, 알루미늄에 의해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습기를 차단함과 아울러 단열 및 방음 효과를 갖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발포 단열층(10)에는 은박 증착층(20)이 부착된 일면에 소음 흡수홈(30)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소음 흡수홈(30)은 실내외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소음 흡수홈(30)은 발포 단열층(10)의 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발포 단열층(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소음 흡수홈(30)으로 인해 시공 대상의 건축물에 설치할 때 상기 발포 단열층과 건축물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소음이 흡수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장식단열지는 시공 등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은박 증착층(20)이 설치된 일면에 접착제(미도시)가 미리 도포되게 형성되고, 이형지(미도시) 등이 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접착제 및 이형지가 설치되면 시공시 이형지를 제거한 후 접착제에 의해 손쉽게 벽면 등에 부착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은박이 증착된 유백무광의 CPP 필름이 발포 단열층(10)에 부착된 상태에서, 발포 단열층(10)를 성형시 성형기의 온도(고열)에 의해 유백무광의 CPP 필름이 깨지면서 발포 단열층(10)의 성형시 모양을 잡아준다. 즉, 성형기의 고열에 의해 유백무광의 CPP 필름이 많이 깨지면서 발포 단열층(10)의 성형 모양을 잡아주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성형기에 의해 고열을 받으면 유백무광의 CPP 필름의 깨진 부분이 넓혀져서 발포 단열층(10)의 성형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급랭과정에서 모양을 잡아주고, 결과적으로는 유백무광의 CPP 필름이 은박을 발포 단열층(10)의 일면에 증착되어 부착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상기 유백무광의 CPP 필름이 깨지면서 은박이 발포 단열층(10)의 사이사이로 들어가는 역전사 방법으로 증착되어 부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증착된 은박이 떨어지지 않게 되어 상품성이 향상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장식단열지의 일면에 은박이 증착 부착되어 있음에 의해, 단열 기능은 물론 방음 및 방수 기능을 갖게 하여 곰팡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 - 발포 단열층 12 - 필름층
20 - 은박 증착층 30 - 소음 흡수홈

Claims (4)

  1.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한 발포성 수지로 전면이 벽돌 모양으로 형성되는 발포 단열층; 상기 발포 단열층의 전면에 부착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이 부착된 발포 단열층의 반대측 일면에 역전사에 의한 증착으로 부착되게 설치되는 은박 증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은박 증착층은: 은박 및 유백무광의 CPP 필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백무광의 CPP 필름과 은박이 합지된 상태에서 발포 단열층의 일면에 라미네이팅 되어 부착되며, 상기 은박 증착층이 부착된 일면에는 실내외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는 소음 흡수홈이 형성된 장식단열지에 있어서,
    상기 은박증착층의 일부는 상기 발포 단열층의 내부에 매립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유백무광의 CPP 필름은 10~3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음 흡수홈은 상기 발포 단열층의 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발포 단열층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소음 흡수홈과 시공 대상의 건축물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소음이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단열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7295U 2015-11-10 2015-11-10 장식단열지 KR200480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295U KR200480350Y1 (ko) 2015-11-10 2015-11-10 장식단열지
PCT/KR2016/004046 WO2017082493A1 (ko) 2015-11-10 2016-04-19 장식단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295U KR200480350Y1 (ko) 2015-11-10 2015-11-10 장식단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350Y1 true KR200480350Y1 (ko) 2016-05-13

Family

ID=5602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295U KR200480350Y1 (ko) 2015-11-10 2015-11-10 장식단열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0350Y1 (ko)
WO (1) WO20170824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343B1 (ko) * 2016-05-17 2018-02-14 강지수 내장용 타일
KR200487161Y1 (ko) * 2017-03-21 2018-08-21 (주)대협테크 단열재 누름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0689A (zh) * 2017-08-25 2018-02-16 江苏优耐可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高强保温隔热隔声板及基本构造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674B1 (ko) 2015-04-09 2015-10-20 주식회사 미래피엔티 인테리어용 마감재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4093A (ko) * 2005-05-31 2006-12-05 백홍재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
KR20080107695A (ko) * 2007-06-08 2008-12-11 김진용 기능성 내, 외장재
KR100884259B1 (ko) * 2008-07-31 2009-02-18 박종서 건축용 내벽 단열재
KR200446987Y1 (ko) * 2009-08-25 2009-12-17 박종서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674B1 (ko) 2015-04-09 2015-10-20 주식회사 미래피엔티 인테리어용 마감재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343B1 (ko) * 2016-05-17 2018-02-14 강지수 내장용 타일
KR200487161Y1 (ko) * 2017-03-21 2018-08-21 (주)대협테크 단열재 누름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2493A1 (ko)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350Y1 (ko) 장식단열지
CN105839801A (zh) 一种保温板
WO2018091137A8 (de) Wohnblock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wärmedämmung
CN202108192U (zh) 一种轻质墙板
KR101392358B1 (ko) 한옥용 벽체 및 한옥 벽체의 시공 방법
CN205875435U (zh) 一种墙体保温板材
CN104847079A (zh) 蜂窝型架空活动地板
CN204456726U (zh) 采用pvc共挤发泡板的内饰板
CN205776834U (zh) 一种保温板
RU100793U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для облицовки и утеп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сооружений
CN204081349U (zh) 一种大理石塑胶复合板
KR100912675B1 (ko) 인테리어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인테리어용 패널
JP3186878U (ja) 金属屋根用通気性遮熱断熱材
KR101559671B1 (ko) 단열판넬
CN201991162U (zh) 复合大理石
KR200476687Y1 (ko)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JP3215222U (ja) 金属屋根用遮熱断熱積層体
KR101665668B1 (ko) 장식단열지 및 그 제조방법
CN207776327U (zh) 一种建筑防水保温隔热复合板
KR101080685B1 (ko) 단열 내장재 및 상기 단열 내장재를 구비하는 건축 구조체
CN203834851U (zh) 保温隔音装饰板
JP2017071973A5 (ko)
CN204456715U (zh) 一种新型装饰板材
NO20161526A1 (en) Insulating sandwich panel
CN203429818U (zh) 多功能抗老化保温隔音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