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4093A -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093A
KR20060124093A KR1020050045845A KR20050045845A KR20060124093A KR 20060124093 A KR20060124093 A KR 20060124093A KR 1020050045845 A KR1020050045845 A KR 1020050045845A KR 20050045845 A KR20050045845 A KR 20050045845A KR 20060124093 A KR20060124093 A KR 20060124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mortar
mesh
finishing
materials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5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홍재
Original Assignee
백홍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홍재 filed Critical 백홍재
Priority to KR1020050045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4093A/ko
Publication of KR20060124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5Details of the adhesive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에 마감재들이 부착된 메쉬를 준비하는 공정, 콘크리트 외벽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공정, 상기 단열재의 외면에 수지몰탈을 소정두께로 도포하는 공정 및 상기 마감석재가 부착된 메쉬의 타면을 상기 수지몰탈면에 대하여 압착하여 상기 수지몰탈이 상기 마감재 간에 형성된 줄눈에 충진되도록 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인조석이나 벽돌 등의 마감재가 접착수지로 부착된 메쉬를 단열재에 도포된 수지몰탈층에 압착하는 것만으로 마감 공정을 완료함으로써 공정 수 및 양생 회수를 감소시켜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외벽, 단열, 마감, 마감재, 공법, 시공, 메쉬, 몰탈.

Description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A Method For Finishing Outer Wall of Builing}
도 1은 종래 건축물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에 의한 시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감재가 부착된 메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에 의한 시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에 의한 시공 입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이 수행되는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쉬 및 마감재 일체형 패널식 단열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쉬 및 마감재 일체형 패널식 단열재의 평면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0 : 콘크리트 외벽 20 : 접착용 수지몰탈
30 : 단열재 40 : 메쉬
50 : 미장용 수지몰탈 60 : 마감재
70 : 줄눈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조석이나 벽돌 등의 마감재가 접착수지로 부착된 메쉬를 단열재에 도포된 수지몰탈층에 압착하여 마감 공정을 완료함으로써 공정 수를 감소시켜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건축물의 시공은 외벽면에 열 손실의 막기 위해 단열재를 배치한 후 벽돌이나 인조석 등의 마감재로 외장을 마무리하여 완성된다.
도 1은 종래 건축물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에 의한 시공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외벽면의 마감 시공은 콘크리트 외벽(100)에 접착용 수지몰탈(110)을 부분 도포하여 단열재(120)를 부착 및 양생하는 공정, 단열재(120)의 외면에 미장용 수지몰탈(130)을 전체 도포하여 메쉬(140)를 부착 및 양생하는 공정, 메쉬(140)의 외면에 접착용 수지몰탈(150)을 부분 도포하고 마감재(160)를 접착 및 양생하는 공정 및 마감재(160)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에 마감용 수 지몰탈(170)을 충진하는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외벽면 마감 공정은 수지몰탈 도포 공정이 많으며, 수지몰탈은 도포한 후 1 ~ 2 일 정도 양생하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수지몰탈 도포 공정이 많을 수록 시공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마감재(160)의 부착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접착용 수지몰탈(150)을 메쉬(140)의 외면에 부분 도포한 후 벽돌이나 인조석 등의 마감재(160)를 일일이 부착시켜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져 인건비 상승이나 시공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이러한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공정을 생략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조석이나 벽돌 등의 마감재가 접착수지로 부착된 메쉬를 단열재에 도포된 수지몰탈층에 압착하는 것만으로 마감 공정을 완료함으로써 공정 수 및 양생 회수를 감소시켜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번의 수지몰탈의 도포로서 메쉬와 마감재를 동시에 부착시켜 수지몰탈의 소요량을 감소시켜 자재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면에 마감재들이 부착된 메쉬를 준비하는 공정, 콘크리트 외벽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공정, 상기 단열재의 외면에 수지몰탈을 소정두께로 도포하는 공정 및 상기 마감석재가 부착된 메쉬의 타면을 상기 수지몰탈면에 대하여 압착하여 상기 수지몰탈이 상기 마감재 간에 형성된 줄눈에 충진되도록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감재(60)가 부착된 메쉬(4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이나 인조석 등의 마감재(60)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 후 아크릴 에멀젼 등의 수지 접착제(미도시)로 메쉬(40)의 일면 상에 접착시켜 마감재 일체형 메쉬(40)가 기성품 형태로 제작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에 의한 시공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에 의한 시공 입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외벽(10)에 접착용 수지몰탈(20)을 이용하여 단열재(30)를 부착한 후 접착용 수지몰탈(20)을 1 ~ 2일 정도 양생시키는 과정은 종래와 동일하다.
단열재(30)의 부착이 완료되면 단열재(30)의 외면에 미장용 수지몰탈(40)을 7 ~ 12 mm(바람직하게는 10 mm) 두께로 전체적으로 도포한 후 기성품으로 제작된 마감재 일체형 메쉬(40)를 수지몰탈층에 대고 압착시키면 그 압력에 의해 미장용 수지몰탈(40)이 메쉬(40)의 빈 공간 및 마감재(60)와 마감재(60) 사이의 줄눈(70)에 충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메쉬(40)에 접착용 수지몰탈을 도포하는 공정, 마감재(60)를 부착 및 양생하는 공정, 줄눈(70)을 마감용 수지몰탈로 충진하는 공정의 3 공정이 생략되므로 시공 기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마감체 일체형 메쉬(40)를 미장용 수지몰탈층에 압착시켜 미장용 수지몰탈(40)이 메쉬(40)의 빈 공간 및 줄눈(70)에 채워지도록 해야 하므로 통상의 수지몰탈보다 점도가 높아야 하고(통상의 미장접착에 사용되는 수지몰탈의 점도는은 100,000 ~ 120,000 cps인데 반해, 본원발명의 수지몰탈의 점도 범위는 120,000 ~ 160,000 cps임), 양생 시간이 통상의 경우 보다 단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미장용 수지몰탈(40)은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은 성분 배합비로 제작된다.
성분명 배합량(%) 비고
30
아크릴 19 부착력 향상, 인장강도 향상
중점제 0.3 점도조절, 보습작용
암모니아 0.05 pH조정
분산제 0.2 시멘트의 혼합성 증대
소포제 0.2 기포 발생 억제
아타겔 0.2 미장작업성 용이, 침강방지
규사 50 몰탈볼륨 형성, 압축강도 증대
아크릴 화이버 0.2 크랙 방지
성분명 배합량(%) 비고
알루미나 시멘트 5 경화가 빠른 조강성, 내열, 내화성, 함량이 높을수록 빠른 양생과 강도 얻어짐
백 시멘트 95
표 1의 혼합물과 표 2의 혼합물을 1 : 1 ~ 1 : 1.5(바람직하게는 1 : 1)로 혼합 핸드 믹서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미장용 수지몰탈(40)이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는 마감재 일체형 메쉬(40)를 수지몰탈층에 압착하여 고정시켜야 하므로 통상의 경우보다 단시간의 양생 시간을 요하게 되므로 조강성이 좋은 알루미나 시멘트 3 ~ 7 중량부(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를 백 시멘트 93 ~ 97 중량부를 혼합시켜 사용하였다. 알루미나 시멘트가 3 중량부보다 작으면 양생 시간이 길어지고 알루미나 시멘트가 7 중량부보다 크면 조강도 및 강도는 향상되나 단가가 크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표 1의 규사는 볼륨 및 압축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40 ~ 60 중량부가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규사 함량이 40 중량부 이하이면 인장강도, 복강도, 접착 강도 및 압축강도는 향상되지만 단가가 높아지고,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인장강도, 복강도, 접착 강도, 압축 강도 등이 떨어져 원하는 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수지몰탈이 단시간에 양생되므로 내부와 외부의 수지몰탈의 경화 속도가 달라 크랙이 발생할 여지가 있으므로 아크릴 화이버를 0.1 ~ 0.3 중량부를 첨가하여 크랙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아크릴 화이버를 0.1 중량부보다 적게 첨가하면 크랙이 많이 발생되며, 아크릴 화이버를 0.3 중량부보다 많이 첨가하면 효과면에서 별 차이가 없는데 비해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이 수행되는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메쉬(40)의 일면에 벽돌, 인조석 등의 마감재(60)를 수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켜 메쉬 및 마감재 일체형 메쉬(40)를 준비한다(S500).
그 다음, 통상의 방법과 동일하게 콘크리트 외벽(10)에 부착용 수지몰탈(20)을 부분 도포한 후 단열재(30)를 부착한 후 약 1 ~ 2일 동안 양생한다(S510).
양생이 완료되면 단열재(30)의 외면에 미장용 수지몰탈(50)을 약 5mm두께로 도포한다(S520).
미장용 수지몰탈(40)이 도포되면 마감재(60)가 부착된 메쉬(40)의 타면을 수지몰탈면에 대하여 압착하여 수지몰탈(50)이 메쉬(40)의 빈 공간 및 마감재(60) 간에 형성된 줄눈(70)에 충진된 후 반나절에서 하루 정도 양생한다(S530, S540).
도 6은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쉬 및 마감재 일체형 패널식 단열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 및 마감재 일체형 패널식 단열재는 일면에 수지 접착제를 이용하여 마감재(60)가 접착된 메쉬(40)를 준비하고, 단열재(30)의 일면에 수지 몰탈을 7 ~ 12 mm(바람직하게는 10 mm) 두께로 도포하여 수지 몰탈층(50)을 형성한 후, 메쉬(40)의 타면을 수지 몰탈층(50) 상에 압착하여 수지몰탈이 마감재(60) 간에 형성된 줄눈(70)에 충진시킨 후 반나절에서 하루 정도 양생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의할 경우에는 패널식 단열재가 미리 기성품으로 제작되므로 기 제작된 패널식 단열재를 접착 수지몰탈을 이용하여 건축물 외벽면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건축물의 마감 시공이 완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쉬 및 마감재 일체형 패널식 단열재의 평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벽돌 등의 마감재(60)는 적층될 때 상하의 벽돌과 길이의 반 정도가 어긋나도록 적층된다. 따라서, 단열재(30)를 패널식으로 제작하면 양측 끝부분은 벽돌 반개만이 필요하므로 벽돌을 절반으로 절단하여 부착하여야 하므로 재료의 낭비가 심하고 작업 시간이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열재(30)의 양측에 조립 요철을 형성하여 하나의 단열재(30)의 요부(33)와 다른 단열재(30)의 철부(31)가 맛물려 조립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메쉬(40)가 단열재(30)에 일체형으로 제작되므로 메쉬(40) 또한 도 7의 단열재(30)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된다.
요부(33) 및 철부(31)는 마감재(60)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갖고, 마감재(60) 길이의 절반만큼 돌출/함몰 되어 있으므로 벽돌 등의 마감재(60)를 단열재(30)의 형상에 따라 부착할 때 양측 끝부분의 벽돌을 절단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인조석이나 벽돌 등의 마감재가 접착수지로 부착된 메쉬를 단열재에 도포된 수지몰탈층에 압착하는 것만으로 마감 공정을 완료함으로써 공정 수 및 양생 회수를 감소시켜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번의 수지몰탈의 도포로서 메쉬와 마감재를 동시에 부착시켜 수지몰탈의 소요량을 감소시켜 자재비를 감소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쉬 및 마감재 일체형 패널식 단열재는 단열재(30), 메쉬(40) 및 마감재(60)를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현장에서의 시공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 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6)

  1.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에 있어서,
    일면에 마감재들이 부착된 메쉬를 준비하는 공정;
    콘크리트 외벽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공정;
    상기 단열재의 외면에 수지몰탈을 소정두께로 도포하는 공정; 및
    상기 마감석재가 부착된 메쉬의 타면을 상기 수지몰탈면에 대하여 압착하여 상기 수지몰탈이 상기 마감재 간에 형성된 줄눈에 충진되도록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몰탈은 물 20 ~ 40 중량부, 아크릴 10 ~ 30 중량부, 규사 40 ~ 60 중량부, 아크릴 화이버 0.1 ~ 0.3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과 알루미나 시멘트 3 ~ 7 중량부 및 백 시멘트 93 ~ 97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1 : 1 ~ 1 : 1.5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몰탈의 점도는 120,000 ~ 160,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몰탈면의 두께는 7 ~ 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
  5. 메쉬 및 마감재 일체형 패널식 단열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일면에 수지 접착제를 이용하여 마감재가 접착된 메쉬를 준비하는 공정;
    단열재의 일면에 수지 몰탈을 소정 두께로 도포하여 수지 몰탈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메쉬의 타면을 상기 수지 몰탈층 상에 압착하여 상기 수지몰탈이 상기 마감재 간에 형성된 줄눈에 충진하는 공정; 및
    상기 수지 몰탈을 양생하는 공정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및 마감재 일체형 패널식 단열재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의 양측에 조립 요철을 형성하는 공정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및 마감재 일체형 패널식 단열재 제조 방법.
KR1020050045845A 2005-05-31 2005-05-31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 KR20060124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845A KR20060124093A (ko) 2005-05-31 2005-05-31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845A KR20060124093A (ko) 2005-05-31 2005-05-31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093A true KR20060124093A (ko) 2006-12-05

Family

ID=3772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845A KR20060124093A (ko) 2005-05-31 2005-05-31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40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493A1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큐원 장식단열지
KR101891102B1 (ko) * 2018-01-05 2018-08-23 신만석 건축용 경량인방
KR20210128647A (ko) 2020-04-17 2021-10-27 아프로단디 주식회사 건축물 벽체의 외부 단열 후도막 평탄 공법
CN114167827A (zh) * 2021-11-10 2022-03-11 变形积木(上海)科技有限公司 室内设计材料的生产加工方法、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493A1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큐원 장식단열지
KR101891102B1 (ko) * 2018-01-05 2018-08-23 신만석 건축용 경량인방
KR20210128647A (ko) 2020-04-17 2021-10-27 아프로단디 주식회사 건축물 벽체의 외부 단열 후도막 평탄 공법
CN114167827A (zh) * 2021-11-10 2022-03-11 变形积木(上海)科技有限公司 室内设计材料的生产加工方法、装置
CN114167827B (zh) * 2021-11-10 2024-02-09 变形积木(上海)科技有限公司 室内设计材料的生产加工方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11302A1 (en) Insulated wall panel
CN104499614B (zh) 墙体保温一体化点挂系统及其安装方法
KR20060124093A (ko)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
KR20070065980A (ko)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
CN100462515C (zh) 具有隔热功能的外墙瓷砖墙面以及施工方法
RU2652211C1 (ru) Термопанель фасадная высокопрочная и способ её изготовления
CN108193802B (zh) 一种干法粘固预制件板墙上顶支座构造方法
JP2012215059A (ja) 漆喰壁の施工方法
KR100927483B1 (ko)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JP4033078B2 (ja) Pcカーテンウォール
CN209891608U (zh) 一种mcm饰面材料的外墙分缝构造
KR20140024135A (ko) 건축용 보드 및 그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CA31770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hering cladding
RU78121U1 (ru) Декоративное покрытие
KR100567734B1 (ko) 외기와 접하는 욕실 벽체의 단열 시공방법
CN214941303U (zh) 一种纳米陶瓷复合保温防火板外墙保温系统
JP2020016082A (ja) セラミックス板結合外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RU2224855C2 (ru) Элемент кровл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217782697U (zh) 一种保温隔声板
JP3408603B2 (ja) 流動性モルタルを用いる穴あきpc板の表面化粧先付け工法及び表面化粧層先付け穴あきpc板
JPH06129071A (ja) タイル乾式施工用押出パネル
EA040495B1 (ru) Фасадная декоративна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панель из полистиролбетон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CN106836821A (zh) 蒸压加气混凝土砌块胶带砌筑法
GB2620548A (en) Stone veneered building block
WO2020202201A1 (en) Cellular lightweight solid cement partition pa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