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734B1 - 외기와 접하는 욕실 벽체의 단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외기와 접하는 욕실 벽체의 단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734B1
KR100567734B1 KR1020040099794A KR20040099794A KR100567734B1 KR 100567734 B1 KR100567734 B1 KR 100567734B1 KR 1020040099794 A KR1020040099794 A KR 1020040099794A KR 20040099794 A KR20040099794 A KR 20040099794A KR 100567734 B1 KR100567734 B1 KR 100567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athroom
insulation
heat insulating
insul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홍
오창원
여승의
허출
Original Assignee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대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18023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6773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대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9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7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75Insulating linings for the interior face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3Connection of concrete parts using adhesive materials, e.g. mortar or glu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외기와 접하는 욕실 내측벽의 단열 시공방법에 관한 것 이다.
주거공간에 있어서, 욕실은 물을 주로 사용하는 공간으로 바닥이나 벽면의 마감재는 타일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욕실에 있어서, 외기와 접하는 외측벽을 갖는 경우에는 단열 및 보온을 위해 외측벽 내측면에 단열재를 충진하게 되며, 타일을 부착하기 위한 내측벽을 벽돌로 조적 함으로 인해 건물의 전체 무게 증가와 공사의 어려움, 공사기간의 장시간 요구 및 욕실 면적이 축소 됨을 볼 수 있다.
즉, 종래의 욕실의 단열 시공방법으로는 외측벽 내측면에 단열재를 부착하고 그 앞에 단열재의 이탈방지와 타일을 부착하기 위한 벽돌벽을 조성한 후, 벽돌벽 위에 타일을 부착하는 습식공법이 주로 사용되던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측벽 내측면에 유리섬유직물 및 표면강화제로 양면을 보강 처리한 단열판재를 외측벽과 일정간격을 띠고 부착하고 단열판재 위에 타일을 부착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건식공법으로 개량 발전시킨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하여 공기 단축 및 욕실 면적 증대와 단열성능이 우수한 욕실 내벽을 제공하며, 건물전체의 무게 감량 및 공사비 절감의 효과를 기대하게 되는 욕실 단열시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욕실 단열시공,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판,

Description

외기와 접하는 욕실 벽체의 단열 시공방법{The construction method of inner wall using dry-light insulating panels for thermal insulation in bathroom wall envelope}
도 1 본 발명의 시공후 단면도
도 2 본 발명의 시공 순서를 보인 공정도
도 3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열판재의 사시도
도 4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열판재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5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열판재를 연이어 부착 할시 결합되는 테두리면을 가공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6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열판재를 연이어 부착 할 시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 종래 욕실 벽의 단열 시공 순서를 보인 공정도
본 발명은 고층 주거용 건물(아파트)에 있어서, 외기와 접하는 욕실 내벽의 단열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설업계는 주상복합 초고층 공동주택의 증가와 일반 공동주택의 고층화 경향으로 골조공사의 코어 선행 공법 및 VH(Vertical Horizontal) 분리 타설 시행등으로 공사기간 단축을 꾀하고 있으며, 건물의 고정 하중 감소와 시공성 향상 등을 위해 경량 건식 벽체의 사용 확대를 볼 수 있다.
또한 벽돌을 조적하여 내벽을 구성하는 습식 마감공사는 건물의 고정 하중 증가와 공기의 연장 및 숙련된 기능공의 확보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재래식 벽돌조 공사는 감소하는 추세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벽돌조를 대체하는 건식공법으로는 압출 성형 경량 콘크리트 패널같은 시멘트 계열의 제품과 경량 철물과 석고보드 및 단열재를 복합하여 구성한 DRY WALL등의 내장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욕실 벽체의 공사에 있어서는 타일 마감공사를 위하여 압출 성형 경량 콘크리트 패널등의 시멘트 벽체와 DRY WALL이 혼용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경량 벽체가 사용되기 전의 공동주택의 욕실 벽체는 콘크리트나 벽돌벽에 방수공사를 하고, 타일을 붙이는 것이 보편적인 방식이었으며, 도 7도 에서 보는 바와같이 만일 욕실 벽체(310)중 일면 혹은 2 이상의 면이 외기와 접할 경우 스치로폼 등과 같은 발포 단열판재, 유리면 등의 단열재(11)를 먼저 외벽(310)에 부착하게 되며, 상기 부착된 단열재(110) 위에 타일을 부착 시공 할 수 없음으로 인해, 단열재(110) 앞에 벽돌벽(110)을 재차 시공한 후, 벽돌벽(120)위에 타일(150)을 부착하는 단열구조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열 및 보온을 위해 외기와 접하는 외벽(310)에 단열재(110)를 부착하고 단열재(110) 위에 벽돌벽(120)를 형성하고, 벽돌벽(120)위에 타일(150)을 부착 시공하는 종래의 욕실 내벽 단열 시공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게 된다.
즉,
1. 벽돌 쌓기를 수행하는 숙련된 벽돌공의 확보의 어려움,
2. 하단쌓기 → 양생 → 상단쌓기등의 공정으로 벽돌벽을 형성함에 따른 공사기간의 과다소요의 문제점을 가지며,
3. 벽돌벽은 외벽체로부터 유입되는 외기를 차단하는 단열재를 보호 및 차단하며, 표면에 타일을 부착하기위해 쌓는 것으로 표면이 평탄한 면을 요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품질이 우수한 벽돌 조절에는 숙련된 벽돌 기능공이 필요로하나, 현실적으로 숙련된 벽돌 기능공의 수급이 어려운 현실을 가지며,
4. 외벽체 위에 단열재를 부착하며 그 위에 단열재를 차단하며 타일을 부착하는 벽돌벽으로 구성된 종래의 구성은 그 두께가 증가 됨으로 인해 욕실 유효 면적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가지며,
5. 벽돌 벽체의 고정 하중에 의한 건물의 하중 증가로 인해 슬래브 처짐 요인을 제공하게 되며,
6. 고층 공동주택의 공사에 있어서는 벽돌 운반에 따른 비용과 안전사고등의 위험요소를 가지며,
7. 벽돌벽 내측에 장입되는 단열재가 저가나 규격이하의 제품을 사용시 기대치 이하의 단열 성능을 갖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외기와 접하는 욕실 벽체의 단열 시공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자재가 경량으로 운반이 용이하며, 시공이 간단하여 비숙련 기능공이라도 이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종래의 공법에 비해 월등한 단열 효과를 가지며, 특히 종래 공법에서와 같이 그 두께가 두껍지 않아 욕실의 내부 공간의 확대로 욕실 공간의 활용성을 증대토록 하며, 필요시 욕실의 수리나 리모델링시 교체가 용이한 욕실 벽체를 제공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기와 접하는 욕실 벽체의 단열 시공법에 관 한 것으로 우수한 단열 성능을 제공 함과 동시에 공사비 절감과 건물의 무게 감소와 시공의 용이성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벽체 내측에 단열 판재를 부착하되 단열판재 앞 ,뒤면을 보강 처리 함과동시에 접착력을 갖도록 한 단열판재를 사용하며,보강력과 접착력이 증진된 단열판재 뒷면을 외벽체에 석고본드로 부착토록하며, 단열판재 전면에는 타일을 부착하여 욕실 내벽을 구성토록 한 것으로, 작업이 간단하여 비숙련자라도 이를 용이하게 시공 할 수 있으며, 원가 절감 및 공기 단축으로 인한 공사비 절감 효과를 가지며,경량으로 건물의 하중 절감과 욕실 공간 증대 효과를 갖도록 한것으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기와 접하는 외벽(31)을 갖는 욕실 내벽의 단열 시공에 있어서,
외벽(31)내측면에 단열재를 부착하되 상기 단열재는 발포 폴리스티렌(foamed polystyrene)단열판(12) 전, 후 양면에 유리섬유직물(13)및 표면강화제(14)를 도포하여 전, 후면을 강화한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판재(11)를 사용하며, 상기 단열판재(11)를 외벽(31)과 일정간격(17)을 갖도록 석고본드(18)를 다점식 접합 방식으로 부착하며,단열판재(11)전면에 타일본드(20)로 타일(21)을 부착하는 공정으로 욕실 벽체를 단열 시공토록 한 것 이다.
상기에 있어서 외벽(31)의 면적이 단열판재(11)의 면적 보다 커서 단열판재(11)를 서로 연이어 맞부착 할 경우 맞부착하는 단열판재(11)는 접합 테두리면이 'ㄴ','ㄱ'형상의 단면으로 서로 맞접합되도록하며, 그사이의 공극에는 우레탄 폼이나 실리콘 등의 기밀제를 충전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 것 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 함과 동시에 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거 건물에 있어서 욕실이란 공간은 거실이나, 침실 주방 등의 주거 공간과는 달리 바닥이나 벽면이 항시 물에 접하기 때문에 물이 스며들지않는 타일 등으로 바닥면이나 벽면을 마감하게된다.
타일을 벽면에 부착 함에 있어서는 도자기질 타일용 접착제인 타일본드를 이용하게 되며 타일이 부착되는 피부착면은 일정한 강도와 경도를 지녀야만 타일과의 접착력이 우수하게되며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쉽게 타일이 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타일이 부착되는 피부착면은 타일을 견고히 부착하기 위해서라도 일정 강도와 경도를 갖도록 벽면을 새로 조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종래 욕실 외벽체는 스치로폼재, 유리섬유재, 기타 단열재 등을 벽면에 부착하여 단열력을 증진시키나 이와 같은 단열재는 그 표면이 일정강도와 경도를 지니지 못함으로 그위에 타일을 부착 할 수없음으로 단열재 앞에 벽돌로 내벽체를 조성한 다음 그 위에 타일을 부착하는 단열시공 방법을 채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벽돌로 내벽체를 조성하는 습식 공법의 문제점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단열재 위에 직접 타일을 부착 할 수 있는 단열판재(11)를 사용토록 한 것 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열판재(11)는 판상으로 제조되는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판(12)의 전, 후 양면을 보강하여 표면에 강도와 경도를 부여하여 내벽체 역활을 충실히 수행하며, 동시에 석고본드나 타일본드 등의 접착제와 용이하게 접착되도록 한 단열판재(11)를 사용토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사용된 단열판재(11)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단열판재(11)는 폴리스티렌을 발포하여 제조한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판(12)을 사용하되, 특히 구슬모양의 원료를 미리 가열하여 압출시키고, 이것을 용융시킨 후 대기압에서 발포시켜 판상으로 연속 압출시킨 후 상온에서 숙성시켜 원하는 치수대로 절단한 압출법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판을 사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압출법 발포폴리스티렌 단열판(12)은 경량이면서도 일정한 압축 및 굴곡 강도를 지니며, 열전도율이 매우 낮아 단열 및 보온판재로 최상의 성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양면에 유리섬유직물(13) 및 표면강화제(14)로 부착하여 고강도의 단열판재(11)를 조성하며, 이를 본 발명에 사용토록 한 것이다.
상기 유리섬유직물(13)은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판(12)의 보강하여 휘거나 비틀림등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 이외에 그 위에 부착되는 표면강화제(14)의 인장력 및 부착력 증가를 도와주게 된다.
상기 표면강화제(14)는 고강도와 고부착력을 얻도록 하기 위해 백색 포트랜드 시멘트에 아크릴 폴리머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제와 물을 무게비 40:25:10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며, 이와 같은 표면강화제(14)를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판(12)위에 1∼5mm 두께로 도포하여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판(12)을 보강토록 한 것이다.
상기 표면강화제(14)는 유리섬유직물(13)과 함께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판(12)을 보강함과 동시에 단열판재(11)를 외벽(31)에 석고본드(18)로 용이하게 부착토록 하는 석고본드(18)와의 부착면을 제공하게 되며, 욕실 마감재인 타일(21)을 타일본드(20)로 용이하게 부착하는 부착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판(12)을 보강하기 위해 양면에 피착한 표면강화제(14)는 타일(21)을 부착하는 타일 본드(20)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제공하여 타일(21)을 견고하게 부착하는 역할과 단열판재(11)를 외벽(31)에 부착하는 석고본드(18)와의 견고한 부착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단열판재(11)를 외벽(31)에 석고본드(18)를 이용하여 부착 함에 있어, 석고본드(18)를 다점식으로 하여 단열판재(11)를 외벽(31) 내주면에 부착하며, 단열판재(11)와 외벽(31) 사이에는 일정간격(17)을 갖도록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벽(31)과 단열판재(11) 사이에 형성한 일정 간격(17)은 외벽 (31)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단열판재(11)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 단열층을 조성하게 되며, 단열성능을 증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단열판재(11)를 외벽(31)에 간격(17)을 갖도록 석고본드(18)를 다점식으로 부착하게되면 소량의 석고본드(18)만으로도 단열판재(11)를 외벽(31)에 부착 할 수 있어 자재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표면 보강제(14)로 표면을 보강한 단열판재(11)는 매우 평탄한 면을 가짐으로 인해 타일본드(20)로 타일(21)을 부착함에 있어 타일본드(20)를 소량 사용(얇은 두께로 도포)만으로 타이(21)을 부착 할 수 있으며, 부착면이 평탄 함으로인해 부착된 타일(21)은 아주 고른 평탄한 면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그시공 과정을 살펴 볼 때 그 공정이 간단한 것을 볼 수 있다.(도 2 참조)
즉, 외벽(31) 내면에 미리 조성한 단열판재(11)를 석고본드(18)를 다점식으로 하여 5 - 15 mm 의 간격(17)을 갖도록 부착하며 1 ∼ 2 일 후 석고본드(18)가 경화되었을시, 단열판재(11) 표면에 타일본드(20)를 이용하여 타일(21)을 부착하는 것으로, 욕실 내벽 단열 및 마감공사를 마감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열판재(11)를 석고본드(18)를 이용하여 외벽(31) 내주면에 부착할 시, 외벽(31)면이 단열판재보다 클 경우, 단열판재(11)를 연이어 부착하여 단열판재(11)를 확장시키게 된다.
단열판재(11)는 양면을 표면강화제(14)와 유리섬유직물(13)로 보강하였다 하더라도, 칼이나 톱 등의 수공구로 간단히 절단이 가능하므로 작업 현장에서 단열판 재(11)를 필요에 따라 절단 가공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열판재(11)를 연이어 부착할 경우 접합하는 테두리를 "ㄴ" "ㄱ"형상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테두리를 가공하고, 접합부위에 실리콘 접착제 등의 기밀제로 틈을 메워 좌우 단열판재(11)를 일체로 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 함으로 비숙련된 건설기능공이라도 이를 어렵지 않게 시공 할 수 있으며, 공정이 간단하여 공기가 단축되어 공사비의 절감효과를 기대하게 되며, 중량물인 벽돌벽 사용을 배제함으로 건물의 중량 감소를 얻게 되며, 욕실 면적의 확대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외기와 접하는 욕실 내측벽 공사를 수행 함에 있어서, 공정상 보조 공정인 벽돌벽 조성 공정을 생략하여 공정을 단축하면서도, 벽돌 공사의 기능인 내벽 보강과 타일 부착 등의 후속 공정과의 문제점이 없으며, 단열판재의 공장생산으로 인한 계획 생산과, 이로 인한 단순 시공법으로 품질관리의 용이성을 가지며, 단열 성능의 향상과 건물의 전체 무게 감소와 욕실 내면적의 확대 효과 등 기존의 욕실 내측벽 마감 공사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킨 공법인 것이다.

Claims (2)

  1. 외기와 접하는 외벽(31)을 갖는 욕실 내벽의 단열 시공을 행하기 위하여 외벽 내측면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단열 시공방법에 있어서, 외벽(31) 내측면에 부착되는 단열재로는 발포 폴리스티렌(foamed polystyrene) 단열판(12) 전,후 양면에 유리섬유직물(13) 및 표면강화제(14)를 도포하여 전,후면을 강화한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판재(11)를 사용하며, 상기 단열판재(11)를 외벽(31)과 일정간격(17)을 갖도록 석고본드(18)를 다점식 접합 방식으로 부착하며, 단열판재(11) 전면에 타일본드(20)로 타일(21)을 부착하는 공정으로 욕실 벽체를 단열 시공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와 접하는 욕실 벽체의 단열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외벽(31)의 면적이 단열판재(11)의 면적 보다 커서 단열판재(11)를 서로 연이어 맞부착 할 경우 맞부착하는 단열판재(11)는 접합 테두리면이 'ㄴ','ㄱ'형상의 단면으로 서로 맞접합되도록하며, 그사이의 공극에는 우레탄 폼이나 실리콘 등의 기밀제를 충전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외기와 접하는 욕실 벽체의 단열 시공방법.
KR1020040099794A 2004-12-01 2004-12-01 외기와 접하는 욕실 벽체의 단열 시공방법 KR100567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794A KR100567734B1 (ko) 2004-12-01 2004-12-01 외기와 접하는 욕실 벽체의 단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794A KR100567734B1 (ko) 2004-12-01 2004-12-01 외기와 접하는 욕실 벽체의 단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7734B1 true KR100567734B1 (ko) 2006-04-04

Family

ID=3718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794A KR100567734B1 (ko) 2004-12-01 2004-12-01 외기와 접하는 욕실 벽체의 단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77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064A (ko) * 2015-01-07 2016-07-15 우지현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시공방법
CN106747148A (zh) * 2016-12-09 2017-05-31 常州工程职业技术学院 矿渣、电石渣和陶粒高强墙体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301851A (zh) * 2018-03-14 2018-07-20 郑州市市政工程总公司 超高隧道侧墙非固化粘接防水层施工工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064A (ko) * 2015-01-07 2016-07-15 우지현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시공방법
KR101642686B1 (ko) * 2015-01-07 2016-07-26 우지현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시공방법
CN106747148A (zh) * 2016-12-09 2017-05-31 常州工程职业技术学院 矿渣、电石渣和陶粒高强墙体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301851A (zh) * 2018-03-14 2018-07-20 郑州市市政工程总公司 超高隧道侧墙非固化粘接防水层施工工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3238B2 (en) High performance, reinforced insulated precast concrete and tilt-up concret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206971475U (zh) 一种装配式墙体的隔音拼接结构
US20150118393A1 (en) High performance, lightweight precast composite insulated concrete panels and high energy-efficient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WO2015120794A1 (zh) 一种用预制板材保护层替代抹面层的建筑构件
CN101892716A (zh) 免装饰粘结墙
CN112459291A (zh) 一种预制保温结构一体化墙体结构及其施工工艺
US20090113829A1 (en) Three dimensional building element
KR100346230B1 (ko) 콘크리트 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362104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CN211523508U (zh) 一种用于住宅保温一体板外墙保温节点
KR100567734B1 (ko) 외기와 접하는 욕실 벽체의 단열 시공방법
CN207331960U (zh) 钢结构干挂板材幕墙体系被动房节点
RU160878U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сендвич-теплоэко-блок
KR20050073708A (ko) 건물 벽체용 일체형 적층 복합패널과 이를 이용한 건물의벽체 시공 방법
CN201485980U (zh) 一种外墙保温砌块与成品保温板组合的外墙保温系统
KR101250655B1 (ko) 조립식 벽체
CN104831857A (zh) 一种预制加气混凝土板或块
KR0138273B1 (ko) 건축용 벽체판넬(dry wall panel)의 제조방법
KR20140024135A (ko) 건축용 보드 및 그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KR100639482B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CN112609871A (zh) 一种替代传统加强梁、构造柱的密肋筋墙体及施工方法
KR200397738Y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RU163417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KR200168591Y1 (ko) 콘크리트 판넬
GB2518154A (en) A Stay-in-place concrete form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917

Effective date: 201004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917

Effective date: 20110808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