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045B1 - 반사형 단열재,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건축 구조체 - Google Patents

반사형 단열재,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건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045B1
KR101355045B1 KR1020120128184A KR20120128184A KR101355045B1 KR 101355045 B1 KR101355045 B1 KR 101355045B1 KR 1020120128184 A KR1020120128184 A KR 1020120128184A KR 20120128184 A KR20120128184 A KR 20120128184A KR 101355045 B1 KR101355045 B1 KR 101355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uilding
insulation
reflecting plat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식
최경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28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9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사형 단열재는 건축물 내부로 복사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반사하는 제 1반사판; 격자형상을 가져 내부에 에어포켓을 구비하며, 상기 제 1반사판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 1고분자 발포제; 상기 제 1고분자 발포제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반사판과의 사이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제 2반사판; 및 상기 제 2반사판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 2반사판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를 포함하여 전도, 대류 및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어 건축물의 에너지를 절약하는데 있어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형 단열재,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건축 구조체{REFLECTOR TYPE INSULATION, MANUFACTURING METHOD THEROF AND BUI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반사형 단열재,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건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도, 대류 및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반사형 단열재,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건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건축물의 외벽을 통한 열손실이다. 따라서 건축물에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건축물 외벽의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한 적절한 설계 및 시공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의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해 스티로폼, 우레탄폼, 유리면, 암면, 폴리에스테르폼과 같은 단열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단열재는 전도 및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최소화시키는 저항형 단열방식에 주로 사용된다. 실제로 통상의 스티로폼 등과 같은 판상의 단열재를 사용하면 상당한 정도의 열손실을 막아낼 수 있다.
그러나 건축물에서 외벽을 통해 전달되는 열은 전도 및 대류뿐만 아니라 복사에 의해서도 전달된다.
건축물에서의 열전달은 계절별, 건축물의 부위별로 차이가 있으나 복사에 의한 열전달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막고자 상술한 스티로폼과 같은 단열재에 복사에 의해 이동하는 열을 반사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박판과 같은 부재를 부착하였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97067(발명의 명칭: 복사차단형 단열재)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의 일 측면에 알루미늄증착필름을 결합한 복사 차단형 단열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증착필름이 결합된 단열재의 경우 상기 알루미늄증착필름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붙게 되는 경우 알루미늄증착필름에 의한 복사열의 반사 효과는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건축물이 완공된 후에도 알루미늄증착필름이 결합된 단열재가 설치된 곳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도, 대류 및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반사형 단열재,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건축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반사형 단열재는 건축물 내부로 복사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반사하는 제 1반사판; 격자형상을 가져 내부에 에어포켓을 구비하며, 상기 제 1반사판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 1고분자 발포제; 상기 제 1고분자 발포제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반사판과의 사이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제 2반사판; 및 상기 제 2반사판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 2반사판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반사판에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를 상기 제 2반사판에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격자형상을 가져 내부에 에어포켓을 구비하는 제 2고분자 발포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다공성의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테프론 코팅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축 구조체는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어 건축물의 외부에서 건축물 내부로 전도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패널; 건축물 내부로 복사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반사하는 제 1반사판; 격자형상을 가져 내부에 에어포켓을 구비하며, 상기 제 1반사판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 1고분자 발포제; 상기 제 1고분자 발포제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반사판과의 사이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제 2반사판; 및 상기 제 2반사판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 2반사판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반사판에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를 상기 단열패널에 이격되게 고정시키며, 격자형상을 가져 내부에 에어포켓을 구비하는 제 2고분자 발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필터와의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외장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패널은 진공단열재와, 상기 진공단열재를 감싸는 한쌍의 연질 단열재와, 상기 연질 단열재의 양측을 감싸는 한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연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다공성의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테프론 코팅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판상의 열가소성 수지원단을 바르게 펼쳐서 연속해서 공급하는 단계; 공급되는 상기 수지원단에 슬롯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슬롯이 형성된 상기 수지원단에 열을 가하여 소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연성화시키는 단계; 열처리 된 상기 수지원단의 양 폭을 당겨서 상기 슬롯의 구멍을 넓혀 확장시켜 상기 수지원단이 에어포켓을 갖도록 가공하여 제 1고분자 발포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고분자 발포제의 양측 표면에 한쌍의 반사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 상기 반사판에 상기 제 1고분자 발포제와 동일한 제 2고분자 발포제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고분자 발포제의 일측면에 상기 반사판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단열재,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건축 구조체에 의하면 전도, 대류 및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어 건축물 에너지 절약에 있어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단열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사형 단열재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사형 단열재가 설치된 건축 구조체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반사형 단열재가 설치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체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도 5의 반사형 단열재를 제조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단열재,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건축 구조체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단열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사형 단열재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단열재(100)는 건축물 내부로 복사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반사하는 제 1반사판(110); 격자형상을 가져 내부에 에어포켓(121)을 구비하며 제 1반사판(11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 1고분자 발포제(120); 제 1고분자 발포제(12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제 1반사판과(110)의 사이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제 2반사판(130); 및 제 2반사판(13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제 2반사판(130)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150)를 포함한다.
제 1반사판(110) 및 제 2반사판(130)으로는 반사율이 좋은 금속박판이 이용되며 금속박판의 일례로 알루미늄박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알루미늄박판은 알루미늄 시트, 알루미늄 호일, 알루미늄 증착필름 등과 같이 복사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반사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제 1반사판(110)에는 격자형상을 가져 내부에 에어포켓(121)을 구비하며 제 1반사판(11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 1고분자 발포제(120)가 결합된다.
제 1고분자 발포제(12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를 발포하여 만든 것으로,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높은 단열성능을 가지게 된다. 한편 도 1에서는 제 1고분자 발포제(120)에 구비되는 에어포켓(120)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보였으나, 에어포켓(120)의 모양은 정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 허니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만일 에어포켓(120)이 허니컴 구조를 가지면, 굽힘이나 휨 강도 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1고분자 발포제(120)의 일측면에는 제 2반사판(130)이 결합된다.
제 2반사판(130) 또한 제 1반사판(110)과 마찬가지로 반사율이 좋은 금속박판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제 1고분자 발포제(120)의 양측면은 제 1반사판(110)과 제 2반사판(130)이 결합되므로, 제 1고분자 발포제(120)에 형성된 에어포켓(120)은 제 1반사판(110) 및 제 2반사판(130)에 밀폐되어 단열층(I)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반사판(110) 및 제 2반사판(130)에는 단열층(I)이 형성되므로, 전도 및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1반사판(110) 및 제 2반사판(130)이 이중으로 형성되어,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제 2반사판(13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제 2반사판(130)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150)가 구비된다.
상술하였듯이, 반사판(110,130)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달라붙은 경우 반사판(110,130)의 복사열 차단 효과는 현저히 떨어지므로, 필터(150)는 제 2반사판(130)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필터(150)를 제 2반사판(130)에 이격되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제 2반사판(130)에는 고정부재(F)가 결합된다.
이때 고정부재(F)는 격자형상을 가져 내부에 에어포켓(141)을 구비하는 제 2고분자 발포제(140)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고분자 발포제(140)는 상술한 제 1고분자 발포제(120)와 동일한 재질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2고분자 발포제(140)에 결합되는 필터(150)는 플라스틱이 격자모양으로 형성된 망필터, 숯과 같은 탄소덩어리로 형성된 카본필터 또는 다공성의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150)는 제 2고분자 발포제(140)에 의해 지지되며, 제 2반사판(130)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필터(150)와 제 2반사판(13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S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공간(S1)이 형성됨으로써 먼지는 필터(150)에 걸러져 제 2반사판(130)에 부착되지 못하게 되며, 제 2반사판(130)에서 반사된 복사열은 공간(S1) 및 다공성의 필터(150)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필터(150)에는 먼지가 잘 달라붙지 않고 미끄러져 떨어지도록 마찰계수가 극히 낮은 테프론(Teflon)이 코팅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프론을 코팅 처리하는 이유는 필터(15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달라붙게 되면 제 2반사판(130) 측으로 유입되는 열이 제 2반사판(130)에 의해 반사되지 못하고 필터(150)에 부착된 이물질에 의해 반사되므로 반사효율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반사형 단열재(100)의 각 층을 이루는 재료들의 접착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본드 접착, 열접착, 수지접착, 핫멜트 접착 중에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반사형 단열재(100)는 모듈화될 수 있으며, 상기 반사형 단열재(100)가 모듈화되면 건축물의 외벽에 반사형 단열재(100)를 연속적으로 부착하기 용이하므로 시공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단열재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도 3 및 도 4에서는 상술한 반사형 단열재가 설치된 건축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사형 단열재가 설치된 건축 구조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반사형 단열재가 설치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체는 건축물의 외벽(1)에 부착되는 단열패널(200)과, 단열패널(2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반사형 단열재(100)와, 반사형 단열재(100)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반사형 단열재(100)와의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S2)을 형성하는 외장재(300)를 포함한다.
상술하였듯이, 반사형 단열재(100)는 제 1반사판(110), 제 1고분자 발포제(120), 제 2반사판(130), 제 2고분자 발포제(140) 및 필터(150)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체는 건축물의 외벽(1)에 부착되어 건축물의 외부에서 건축물 내부로 전도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패널(200); 건축물 내부로 복사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반사하는 제 1반사판(110); 격자형상을 가져 내부에 에어포켓(121)을 구비하며 제 1반사판(11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 1고분자 발포제(120); 제 1고분자 발포제(12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제 1반사판(110)과의 사이에 단열층(I)을 형성하는 제 2반사판(130); 격자형상을 가져 내부에 에어포켓(141)을 구비하며 제 2반사판(13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 2고분자 발포제(140); 및 제 2고분자 발포제(14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제 2반사판(130)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15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필터(150)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외장재(300)를 구비한다.
단열패널(200)은 스티로폼, 우레탄폼, 폴리에스테르폼과 같이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를 발포하여 만들어진 제품이 사용된다.
상기 단열패널(200)의 일측에는 접착층(201)이 형성된다. 접착증(201)은 단열패널(200)에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거나 열융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단열패널(200)에서 접착층(201)이 형성되는 반대 측에는 반사형 단열재(100)가 결합된다. 따라서
한편 반사형 단열재(100)는 모듈화되어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1)에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형 단열재(100)는 건축물의 가장 외측에 설치되는 외장재(30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외장재(300)와 반사형 단열재(100)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S2)이 형성된다. 이때 유동공간(S2)은 공기가 흐르는 통기구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유동공간(S2)에서는 하부와 상부의 온도차에 의해 자연적인 대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유동공간(S2)에 송풍기 등을 설치하여 유동공간(S2) 내부에서 강제로 대류가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외장재(300)와 반사형 단열재(100) 사이에 소정의 유동공간(S2)을 형성하고, 유동공간(S2)에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유동공간(S2) 내부를 통기시키면 유동공간(S2)을 흐르는 공기에 의해 동적 단열구조가 형성된다. 유동공간(S2) 내부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대류에 의해 건축물의 외부에서 건축물의 내부로 이동하는 열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전도에 의해 건축물의 외부에서 건축물의 내부로 이동하는 열은 반사형 단열재(100) 및 단열패널(20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복사에 의해 건축물의 외부에서 건축물의 내부로 이동하는 열은 반사형 단열재(100)에 구비된 제 1 및 제 2반사판(110,130)에 의해 반사된다. 이와 같이 반사판(110,130)에 의해 반사되어 나온 복사열은 반사형 단열재(100)에 구비된 필터(150)를 투과한 후 외장재(500)와 반사형 단열재(100) 사이의 유동공간(S2)에 형성된 통기구조를 통해 외부로 이동하여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내장재가 설치되는 건축 구조체에서는 전도, 대류 및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으므로 건축물의 에너지를 절약하는데 있어 효율적이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반사형 단열재가 설치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건축 구조체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반사형 단열재가 설치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체에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체와 다른 점은 건축물의 외벽(1)에 설치되는 단열패널(200)의 구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체는 건축물의 외벽(1)에 부착되는 단열패널(200)과, 단열패널(2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반사형 단열재(100)와, 반사형 단열재(100)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반사형 단열재(100)와의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S2)을 형성하는 외장재(300)를 포함한다.
이때 단열패널(200)은 진공단열재(210)와, 진공단열재(210)를 감싸는 한쌍의 연질 단열재(220)와, 연질 단열재(220)의 양측을 감싸는 한쌍의 플레이트(230)와, 한쌍의 플레이트(230)를 서로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연결재(240)를 구비할 수 있다.
진공 단열재(210)는 심재(미도시)와, 상기 심재를 둘러싸며 내부가 진공으로 형성되는 외피(미도시)를 가진다. 심재로는 연속기포 구조를 갖는 실리카 분말이나 우레탄 폼(Urethane Foam) 또는 글라스 울(Glass Wool)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심재를 감싸는 외피로는 라미네이트 필름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진공 단열재(110)를 형성하기 위해 외피가 심재를 감싸도록 한 후 외피의 중첩되는 부분을 히트 실링(Heat Sealing)함으로써 외피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진공 단열재(110)는 일반단열재에 비해 단열 성능이 8~10배 정도 높게 발휘되는 고성능 단열재이기 때문에 얇은 두께를 가지고도 충분한 단열 성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쌍의 연질 단열재(220)는 진공 단열재(210)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한쌍의 연질 단열재(220)가 진공 단열재(110)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공사 현장에서 진공 단열재(210)의 외피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210)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연질 단열재(120)로는 비교적 값이 싼 그라스울(Glass Wool), 셀룰로오스 폼 단열재 (Cellulose Foam For Thermal Insulation), 퓸드실리카(Fumed Silica), 폴리에스테
르 폼(Polyester Foam)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단열패널(200)이 구조체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연질 단열재(220)의 양측면을 감싸는 한쌍의 금속 플레이트(230)와, 한쌍의 금속 플레이트(230)를 서로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연결재(240)를 구비한다.
상기 한쌍의 금속 플레이트(230)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철판과 같은 재질이 사용되며, 한쌍의 금속 플레이트(230)를 서로 결합시키는 연결재(240)도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쌍의 금속 플레이트(230)는 연결재(240)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되므로 더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재(240)에 의해 한쌍의 금속플레이트(230)가 서로 결합되면 한쌍의 금속 플레이트(230) 내부에 위치하는 진공단열재(210) 및 연질 단열재(220)는 압착되어 한쌍의 금속 플레이트(230)와 일체로 거동하게 됨으로써 충분한 강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한쌍의 금속 플레이트(230) 내부에 위치하는 진공 단열재(210) 및 연질 단열재(220)는 연결재(240)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23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단열패널(200)이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단열패널(200)의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 성능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반사형 단열재를 제조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판상의 열가소성 수지원단(10)을 바르게 펼쳐서 연속해서 공급하는 단계(S110); 공급되는 수지원단(10)에 슬롯(11)을 형성하는 단계(S120); 슬롯(11)이 형성된 수지원단(10)에 열을 가하여 소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연성화시키는 단계(S130); 열처리 된 수지원단(10)의 양 폭을 당겨서 슬롯(11)의 구멍을 넓혀 확장시켜 수지원단(10)이 에어포켓(121)을 갖도록 가공하여 제 1고분자 발포제(120)를 형성하는 단계(S140); 및 제 1고분자 발포제(120)의 양측 표면에 한쌍의 반사판(110,130)을 부착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판상의 열가소성 수지원단(10)을 바르게 펼쳐서 연속해서 공급하는 단계(S110)에서 수지원단(10)은 로울러(20)에 감겨진 상태에서 풀리면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수지원단(10)은 일반적으로 길게 띠 모양으로 펼쳐지는 발포성 수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수지의 종류에 따라 연성과 강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공급되는 수지원단(10)에 슬롯(11)을 형성하는 단계(S120)에서 펀칭수단(30)은 로울러(20)에 의해 공급된 수지원단(10)을 펀칭하여 슬롯(11)을 형성하게 된다. 펀칭수단(30)은 회전하며 공급되는 수지원단(10)에 슬롯(11)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슬롯(11)이 형성된 수지원단(10)에 열을 가하여 소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연성화시키는 단계(S130)에서 히팅수단(40)은 슬롯(11)이 형성된 수지원단(10)에 열을 가함으로써 수지원단(10)이 소성 변형되도록 한다.
제 1고분자 발포제(120)를 형성하는 단계(S140)에서 성형수단(50)은 소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연성화된 수지원단(10)의 양 폭을 잡아당겨 수지원단(10)에 형성된 슬롯(11)의 구멍이 확장되도록 하여 수지원단(10)이 에어포켓(121)을 갖는 제 1고분자 발포제(120)가 되도록 한다.
한편 수지원단(10)이 제 1고분자 발포제(120)로 형성된 이후, 제 1고분자 발포제(120)는 냉각수단(60)을 통과하면서 성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제 1고분자 발포제(120)의 양측 표면에 한쌍의 반사판(110,130)을 부착하는 단계(S150)에서 에어포켓(121)을 구비하는 제 1고분자 발포제(120)는 반사판 부착수단(70)을 통과하면서 제 1고분자 발포제(120)의 양측 표면에는 한쌍의 반사판(110,130)이 부착된다.
이와 같이 양측 표면에 한쌍의 반사판(110,130)이 부착된 제 1고분자 발포제(120)는 로울러(80)에 의해 감길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친 후에, 일측 반사판(130)에 제 1고분자 발포제(120)와 동일한 제 2고분자 발포제(140)를 부착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 2고분자 발포제(140)의 일측면에 반사판(110,130)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150)를 부착하는 단계(S17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단계(S110~S170)를 거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단열재(100)를 일괄적이며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단열재,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건축 구조체에 의하면, 전도, 대류 및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어 건축물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단열재,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건축 구조체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외벽 100: 반사형 단열재
110: 제 1반사판 120: 제 1고분자 발포제
130: 제 2반사판 140: 제 2고분자 발포제
150: 필터 200: 단열패널
300: 외장재

Claims (14)

  1. 건축물 내부로 복사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반사하는 제 1반사판;
    격자형상을 가져 내부에 에어포켓을 구비하며, 상기 제 1반사판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 1고분자 발포제;
    상기 제 1고분자 발포제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반사판과의 사이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제 2반사판; 및
    상기 제 2반사판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 2반사판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반사형 단열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반사판에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를 상기 제 2반사판에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반사형 단열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격자형상을 가져 내부에 에어포켓을 구비하는 제 2고분자 발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단열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다공성의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단열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테프론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단열재.
  6.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어 건축물의 외부에서 건축물 내부로 전도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패널;
    건축물 내부로 복사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반사하는 제 1반사판;
    격자형상을 가져 내부에 에어포켓을 구비하며, 상기 제 1반사판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 1고분자 발포제;
    상기 제 1고분자 발포제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반사판과의 사이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제 2반사판; 및
    상기 제 2반사판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 2반사판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반사판에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를 상기 단열패널에 이격되게 고정시키며, 격자형상을 가져 내부에 에어포켓을 구비하는 제 2고분자 발포제를 더 포함하는 건축 구조체.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필터와의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외장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체.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널은
    진공단열재와,
    상기 진공단열재를 감싸는 한쌍의 연질 단열재와,
    상기 연질 단열재의 양측을 감싸는 한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연결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체.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다공성의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체.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테프론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체.
  12. 판상의 열가소성 수지원단을 바르게 펼쳐서 연속해서 공급하는 단계;
    공급되는 상기 수지원단에 슬롯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슬롯이 형성된 상기 수지원단에 열을 가하여 소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연성화시키는 단계;
    열처리 된 상기 수지원단의 양 폭을 당겨서 상기 슬롯의 구멍을 넓혀 확장시켜 상기 수지원단이 에어포켓을 갖도록 가공하여 제 1고분자 발포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고분자 발포제의 양측 표면에 한쌍의 반사판을 부착하는 단계;
    일측 상기 반사판에 상기 제 1고분자 발포제와 동일한 제 2고분자 발포제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고분자 발포제의 일측면에 상기 반사판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20128184A 2012-11-13 2012-11-13 반사형 단열재,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건축 구조체 KR101355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184A KR101355045B1 (ko) 2012-11-13 2012-11-13 반사형 단열재,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건축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184A KR101355045B1 (ko) 2012-11-13 2012-11-13 반사형 단열재,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건축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5045B1 true KR101355045B1 (ko) 2014-01-27

Family

ID=50146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184A KR101355045B1 (ko) 2012-11-13 2012-11-13 반사형 단열재,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건축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0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9198A (zh) * 2015-12-25 2016-05-11 天津武铄科技有限公司 一种热反射复合保温板
KR20230060031A (ko)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에어론 고온 기후 대응형 열반사 단열재가 적용된 단열 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679Y1 (ko) * 2004-06-25 2004-10-06 벽산신소재개발 주식회사 내장용 보온/단열 시트
JP2009215842A (ja) * 2008-03-12 2009-09-24 Asahi Fiber Glass Co Ltd 断熱材および断熱構造
KR101137505B1 (ko) * 2010-07-08 2012-04-20 주식회사 에스앤피 건축용 복합 단열재
KR20120065001A (ko) * 2010-12-10 2012-06-20 주식회사 에스앤피 반사형 단열재 제조 장치 및 단열재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679Y1 (ko) * 2004-06-25 2004-10-06 벽산신소재개발 주식회사 내장용 보온/단열 시트
JP2009215842A (ja) * 2008-03-12 2009-09-24 Asahi Fiber Glass Co Ltd 断熱材および断熱構造
KR101137505B1 (ko) * 2010-07-08 2012-04-20 주식회사 에스앤피 건축용 복합 단열재
KR20120065001A (ko) * 2010-12-10 2012-06-20 주식회사 에스앤피 반사형 단열재 제조 장치 및 단열재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9198A (zh) * 2015-12-25 2016-05-11 天津武铄科技有限公司 一种热反射复合保温板
KR20230060031A (ko)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에어론 고온 기후 대응형 열반사 단열재가 적용된 단열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4824A (en) Flexible modular insulation
KR100741951B1 (ko) 건축물 내·외벽용 반사단열재
PT1815077E (pt) Painel isolante térmico
KR101137505B1 (ko) 건축용 복합 단열재
JP5399957B2 (ja) 遮熱扉
KR101355045B1 (ko) 반사형 단열재,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건축 구조체
CN114981076A (zh) 包括中断的粘附层的间隔件
KR20170103235A (ko) 난연 단열필름
JP2008223261A (ja) 遮音採光断熱材
KR101080685B1 (ko) 단열 내장재 및 상기 단열 내장재를 구비하는 건축 구조체
JP2008095465A (ja) 断熱パネル
US10632708B2 (en) Insulating film
KR200493493Y1 (ko)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WO2004109025A1 (en) Thermal insulation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11421679U (zh) 一种室内墙面装饰墙板
KR101261551B1 (ko) 반사형 단열재 제조 장치
KR101377250B1 (ko)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
JP2008025139A (ja) 複合板
JP2008014481A (ja) 真空断熱材
JP2008115078A (ja) 複層ガラス
KR101722111B1 (ko)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3152484A1 (zh) 复合防火玻璃、复合防火玻璃的制造方法及幕帘
KR102175157B1 (ko) 건축물 단열재 제조방법
CN214395737U (zh) 一种高强度真空保温板
CN212295425U (zh) 一种建筑外墙保温装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