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111B1 -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111B1
KR101722111B1 KR1020170002403A KR20170002403A KR101722111B1 KR 101722111 B1 KR101722111 B1 KR 101722111B1 KR 1020170002403 A KR1020170002403 A KR 1020170002403A KR 20170002403 A KR20170002403 A KR 20170002403A KR 101722111 B1 KR101722111 B1 KR 101722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aluminum
thin plate
edge
aluminum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케미칼
Priority to KR102017000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all layers being formed of 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7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in that the layers are not bonded on the totality of their surfaces
    • B32B37/0084Poi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Abstract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는, 제1 알루미늄 박판과 제2 알루미늄 박판이 접착제에 의해 부분 접착되되,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접착점들에만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과 제2 알루미늄 박판이 상기 접착점들에 의해서만 접착되고, 상기 접착점들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이 가장자리 접착점(24)과 중앙 접착점(22)에 의해서만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을 접착시키는데 필요한 접착제(50)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이 결합됨으로서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10)의 인장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난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이 결합되었을 때 가장자리 접착점(24)들 사이에는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로(16)가 형성되고, 중앙 접착점(22)들 사이에는 공기층(12)이 형성됨으로써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10)의 단열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및 그 제조방법{ALUMINUM SHEET FOR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장의 알루미늄 박판을 접착시키되 일부만 접착시켜 그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의 인장강도를 높일 수 있고, 보온 및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반사 단열재는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에 마감되는 장식용 석재 또는 철재의 내부에 시공되어 하절기와 같이 외부기온이 높을 때 외부의 열기(복사열)가 건축물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반사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또한 하절기 또는 동절기에 실내온도 유지를 위한 냉,난방을 수행할 때 실내의 냉기 및 온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단열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열재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063831호(공개일 : 2009.06.18)에는 열반사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알루미늄시트(100)는, 순도 97%이상의 순수 알루미늄 필름(101)의 외부 노출면에 알루미늄필름(101)이 반사율과 방사율을 유지하고 오염 또는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필름(102)을 접합하고, 상기 폴리에틸렌필름(102) 대향 위치의 알루미늄필름(101)에는 알루미늄필름(101)의 인장강도와 접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103)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알루미늄 필름(101)의 일면에는 폴리에틸렌필름(102)을 접착하고, 타면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103)을 접착하여 알루미늄 필름(101)의 산화 및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인장강도를 높이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알루미늄 필름의 양면에 폴리에틸렌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을 접착하고 있었기 때문에, 알루미늄 시트의 무게가 증가하였고, 단열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알루미늄 필름의 양면에 폴리에틸렌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을 접착시키기 위하여 많은 양의 접착제가 사용됨으로써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엇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알루미늄 시트는 알루미늄 필름의 양면에 폴리에틸렌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을 접착하고 있었기 때문에 열에 약하여 쉽게 연소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폴리에틸렌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이 연소되면서 유독가스를 다량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063831호(공개일 2009.06.18)
본 발명의 목적은, 2장의 알루미늄 박판을 접착시키되 박판들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부분 접착시킴으로써, 완성된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의 인장강도를 높일 수 있고, 난연성, 보온성 및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착제를 절약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알루미늄 박판과 제2 알루미늄 박판이 접착제에 의해 부분 접착되되,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접착점들에만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과 제2 알루미늄 박판이 상기 접착점들에 의해서만 접착되고, 상기 접착점들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은 5-7㎛, 제2 알루미늄 박판은, 8-10㎛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착점들은,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과 제2 알루미늄 박판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쪽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는 중앙 접착점과,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과 제2 알루미늄 박판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쪽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는 가장자리 접착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접착점은, '●','★','◆','▲','♣','♠','+' 형상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상기 중앙 접착점 사이에 상기 공기층이 형성되며, 상기 가장자리 접착점은, 각각의 가장자리 접착점 사이를 통하여 상기 공기층으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로가 형성되도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장자리 접착점은, 길이 70 - 90mm, 폭 12mm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장자리 접착점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유입로의 폭은 18 - 20mm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써, a) 각각의 원단 권취롤에 권취된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과 제2 알루미늄 박판을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을 접착제 도포 로울러와 가압 로울러 사이로 통과시켜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되, 접착제가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의 가장자리 접착점과 중앙 접착점에만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의 가장자리 접착점과 중앙 접착점에만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을 건조기로 통과시켜 상기 가장자리 접착점과 중앙 접착점에 도포된 접착제의 휘발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d) 상기 건조기를 통과한 제1 알루미늄 박판과 원단 권취롤에 권취된 제2 알루미늄 박판을 한 쌍의 접착 로울러 사이로 통과시켜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과 제2 알루미늄 박판이 상기 가장자리 접착점과 중앙 접착점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부분 접착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b)단계는, 상기 가장자리 접착점과 중앙 접착점에만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상기 접착제 도포 로울러의 외주면 양쪽 가장자리 영역에는 가장자리 도포부를 형성하고, 양쪽의 상기 가장자리 도포부를 제외한 영역에는 중앙 도포부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가장자리 도포부와 중앙 도포부의 표면에만 접착제가 묻도록 상기 표면을 상기 가장자리 도포부와 중앙 도포부를 제외한 영역의 표면보다 더 거칠게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장의 알루미늄 박판이 가장자리 접착점과 중앙 접착점들에 의해서 접착되어 각 박판들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완성된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의 인장강도가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박판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보온 및 단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2장의 알루미늄 박판이 결합됨으로써 난연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2장의 알루미늄 박판이 가장자리 접착점과 중앙 접착점들에 의해서 접착됨으로써, 박판들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의 소모가 줄어들어 접착제가 절감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단열재 시트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를 이루는 제1 알루미늄 박판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알루미늄 박판에 제2 알루미늄 박판이 결합된 상태를 표현한 일부확대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에 접착제를 일부만 도포하도록 된 접착제 도포 로울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가 단열재에 적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를 이루는 제1 알루미늄 박판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알루미늄 박판에 제2 알루미늄 박판이 결합된 상태를 표현한 일부확대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접착점(22,24)들은 접착제(50)가 도포된 영역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10)는,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이 접착제(50)에 의해 부분 접착되되,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접착점(22,24)들에만 접착제(50)가 도포되어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이 접착점(22,24)들에 의해서만 접착되고, 접착점(22,24)들 사이에는 공기층(12)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1 알루미늄 박판(20)은, 5-7㎛의 두께로 이루어진다. 만약, 5㎛ 이하의 두께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인장강도가 낮아서 쉽게 파손(찢어짐이 쉽게 발생)될 수 있고, 7㎛ 이상의 두께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인장강도는 높으나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6㎛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알루미늄 박판(30)은, 8-10㎛의 두께로 이루어진다. 만약, 8㎛ 이하의 두께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인장강도가 낮아서 쉽게 파손(찢어짐이 쉽게 발생)될 수 있고, 10㎛ 이상의 두께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인장강도는 높으나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9㎛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알루미늄 박판(20)을 6㎛으로 하고, 제2 알루미늄 박판(30)을 9㎛으로 하는 것은, 충분한 인장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원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6㎛의 제1 알루미늄 박판(20)으로는 원가를 절감하고, 9㎛의 제2 알루미늄 박판(30)으로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알루미늄 박판(20)의 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50)가 도포되어 접착점(22,24)들이 형성된다. 즉, 제1 알루미늄 박판(20)의 일면에서 접착제(50)가 도포되는 지점이 각각의 접착점(22,23)이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접착제(50)가 도포된 각 접착점(22,23)들에 의해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이 부분 접착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각각의 접착점(22,23)들은, 제1 알루미늄 박판(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쪽 가장자리 영역, 즉 도 2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가장자리 접착점(22)들과, 좌측과 우측의 가장자리 접착점(22)들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중앙 접착점(24)들로 이루어진다.
중앙 접착점(24)들은, '●','★','◆','▲','♣','♠','+' 형상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중앙 접착점(24) 사이에는 접착제(50)가 도포되지 않은 공기층(12)이 형성된다. 즉,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이 중앙 접착점(24)들에 의해서만 접착되어 결합되므로, 중앙 접착점(24) 이외의 영역은 서로 접착되지 않게 되어 중앙 접착점(24)을 제외한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 사이에 공기층(12)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층(12)은 단열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중앙 접착점(24)들은, 다음과 같은 크기로 형성된다.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의 폭(W1)이 1092mm인 경우에, 각 단부의 폭(W4)은 4mm이고, 중앙 접착점(24)들의 좌우 간격(T1)은 4mm이며, 상하 간격(T2)는 4.2mm이다. 이와 같이 중앙 접착점(24)의 각 단부 폭(W4)을 4mm로 하는 것은, 4mm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중앙 접착점(24)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접착제(50)의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고, 4mm 이하로 할 경우에는 중앙 접착점(24)들 사이의 간격(T1,T2)이 너무 벌어지게 되어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의 결합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각 중앙 접착점(24) 간의 간격(T1,T2)를 4mm ,4.2mm로 하는 것은, 4mm, 4.2mm 이하로 할 경우에는 중앙 접착점(24) 간의 간격(T1,T2)이 너무 조밀하여 중앙 접착점(24)의 수가 증가함으로써 접착제(50)의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고, 4mm, 4.2mm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중앙 접착점(24)의 수가 줄어들게 되어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의 결합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가장자리 접착점(22)은, 각각의 가장자리 접착점(22) 사이를 통하여 공기층(12)으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로(16)가 형성되도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도 2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가장자리 접착점(22)이 등간격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가장자리 접착점(22)이 '━'형상으로 제1 알루미늄 박판(20) 일면의 가장자리에 형성됨으로써,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의 가장자리가 견고하게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고, 가장자리 접착점(22)들 사이에 외부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로(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장자리 접착점(22)은,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의 폭(W1)이 1092mm일 때, 길이(L)는 70 - 90mm이고, 폭(W2)은 12mm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장자리 접착점(22) 사이의 간격, 즉, 가장자리 접착점(22)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로(16)의 폭(W3)은 18 - 20mm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길이(L)가 70mm 이하이면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의 가장자리 접합이 약하고, 90mm이상이면 접착제(50)의 사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길이(L)는 8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장자리 접착점(22)의 폭(W2)은 12mm로 한다. 가장자리 접착점(22)의 폭(W2)이 12mm 이하일 경우에는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의 가장자리 접합이 약하게 되고, 12mm 이상일 경우에는 접착제(50)의 소모량이 증가하므로 바람직하게는 12mm로 한다.
한편, 유입로(16)의 폭(W3)을 18mm이하로 형성할 경우에는 가장자리 접착점(22) 사이 간격이 조밀하게 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가장자리 접착점(22)의 수가 증가하여 접착제(50)의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고, 20mm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가장자리 접착점(22)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어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의 가장자리 접합이 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유입로(16)의 폭(W3)은 19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10)는,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이 중앙 접착점(24)들과 가장자리 접착점(22)들에 의해서만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결합됨으로써,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 사이에 공기층(12)이 형성되어 단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50)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제(50)의 사용량이 감소됨으로써 전체 중량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1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부재(60)(발포 우레탄 또는 스폰지, 스티로폼 등) 사이에 부착되거나 하나의 발포부재(60) 양면에 부착되어 발포부재(60)의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10)는, 단열 및 보온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제품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10)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a)단계
제1 알루미늄 박판(20)이 권취된 원단 권취롤(25)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이 권취된 원단 권취롤(35)을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한다. 이는 제1 알루미늄 박판(20)의 일면에는 접착제(50)를 도포해야 하고, 제2 알루미늄 박판(30)에는 접착제(50)가 도포되지 않기 때문에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다.
b)단계
제1 알루미늄 박판(20)을 접착제 도포 로울러(70)와 가압 로울러(72) 사이로 통과시켜 제1 알루미늄 박판(20)의 일면에 접착제(50)를 도포한다. 이때, 접착제 도포 로울러(70)의 하부는 접착제 수용용기(74)에 수용된 접착제(50)에 접촉된 상태이다. 그리고 접착제 수용용기(74)에는 별도의 균일도포부재(76)가 설치된다. 이 균일도포부재(76)는 접착제 도포 로울러(70)에 밀착되어 접착제(50)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접착제 도포 로울러(70)는, 접착제(50)가 제1 알루미늄 박판(20)의 특정한 영역에만 도포되도록 형성된다. 즉, 접착제 도포 로울러(70)에 제1 알루미늄 박판(20)이 접촉되었을 때 접착제(50)가 제1 알루미늄 박판(20)의 일면 특정한 영역에만 도포되어 중앙 접착점(22)들과 가장자리 접착점(24)들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접착제 도포 로울러(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 접착점(24)과 중앙 접착점(22)에만 접착제(50)가 도포되도록, 외주면 양쪽 가장자리 영역에는 가장자리 도포부(71)가 형성되고, 양쪽의 가장자리 도포부(71)를 제외한 영역에는 중앙 도포부(73)를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가장자리 도포부(71)와 중앙 도포부(73)는 접착제(50) 묻도록 가장자리 도포부(71)와 중앙 도포부(73)를 제외한 영역의 표면(75)보다 더 거칠게 형성된다. 즉, 회전하는 접착제 도포 로울러(70)의 일부가 접착제 수용용기(74)에 수용된 접착제(50)에 잠긴 후 균일도포부재(76)에 의해 여분의 접착제(50)가 제거될 때, 접착제 도포 로울러(70)의 표면(75) 전체에 도포된 접착제(50)는 거친 표면을 갖는 가장자리 도포부(71)와 중앙 도포부(73)에만 묻게 되고, 나머지 영역(가장자리 도포부와 중앙 도포부)를 제외한 표면(75)에는 묻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 알루미늄 박판(20)이 접착제 도포 로울러(70)와 가압 로울러(72) 사이로 통과되면, 접착제 도포 로울러(70)에 접촉되는 제1 알루미늄 박판(20)의 일면에는 가장자리 도포부(71)와 중앙 도포부(73)들에 의해서만 접착제(50)가 도포되고, 이와 같이 접착제(50)가 도포된 영역이 가장자리 접착점(24) 및 중앙 접착점(22)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접착제 도포 로울러(70)의 가장자리 도포부(71)와 중앙 도포부(73)들에 의해 제1 알루미늄 박판(20)의 일면에 가장자리 접착점(24)과 중앙 접착점(22)이 형성됨으로써, 제1 알루미늄 박판(20)에 도포되는 접착제(50)의 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c)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제1 알루미늄 박판(20)의 가장자리 접착점(24)과 중앙 접착점(22)에만 접착제(50)가 도포된 상태에서, 제1 알루미늄 박판(20)을 건조기(80)로 통과시켜 가장자리 접착점(24)과 중앙 접착점(22)에 도포된 접착제(50)의 휘발성분을 제거한다. 이 과정은, 접착제(50)에 포함된 휘발성분 등을 제거하여 접착제(50)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건조기(80)의 내부는 발열수단에 의해 소정의 온도까지 승온된 상태이고 휘발성분을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장치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알루미늄 박판(20)이 이송 로울러들에 의해 건조기(80)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장자리 접착점(24)과 중앙 접착점(22)에 도포된 접착제(50)의 휘발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
d)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건조기(80)를 통과한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원단 권취롤(35)에 권취된 제2 알루미늄 박판(30)을 한 쌍의 접착 로울러(90) 사이로 통과시킨다. 가장자리 접착점(24)과 중앙 접착점(22)에 접착제(50)가 도포된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을 한 쌍의 접착 로울러(90)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가압하면,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이 가장자리 접착점(24)과 중앙 접착점(22)에 도포된 접착제(50)에 의해 부분 접착되어 일체화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1 알루미늄 박판(20)의 일면에 접착제(50)가 도포되는 가장자리 접착점(24)과 중앙 접착점(22)을 형성하고, 이러한 제1 알루미늄 박판(20)을 건조기(80)로 통과시킨 후 제2 알루미늄 박판(30)과 한 쌍의 가압 로울러(90) 사이로 통과시켜 가압함으로써,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이 가장자리 접착점(24)과 중앙 접착점(22)에 의해서만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을 접착시키는데 필요한 접착제(50)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으며,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이 결합됨으로써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10)의 인장강도가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알루미늄 박판(20)과 제2 알루미늄 박판(30)이 결합되었을 때 가장자리 접착점(24)들 사이에는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로(16)가 형성되고, 중앙 접착점(22)들 사이에는 공기층(12)이 형성됨으로써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10)의 단열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12 : 공기층
16 : 유입로 20 : 제1 알루미늄 박판
22 : 중앙 접착점 24 : 가장자리 접착점
30 : 제2 알루미늄 박판 50 : 접착제
60 : 발포부재 70 : 접착제 도포 로울러
71 : 가장자리 도포부 72,90 : 가압 로울러
73 : 중앙 도포부 74 : 접착제 수용용기
75 : 표면 76 : 균일도포부재
80 : 건조기

Claims (6)

  1. 제1 알루미늄 박판과 제2 알루미늄 박판이 접착제에 의해 부분 접착되되,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접착점들에만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과 제2 알루미늄 박판이 상기 접착점들에 의해서만 접착되고, 상기 접착점들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점들은,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과 제2 알루미늄 박판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쪽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는 중앙 접착점과,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과 제2 알루미늄 박판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쪽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는 가장자리 접착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접착점은, '●','★','◆','▲','♣','♠','+' 형상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상기 중앙 접착점 사이에 상기 공기층이 형성되며,
    상기 가장자리 접착점은, 각각의 가장자리 접착점 사이를 통하여 상기 공기층으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로가 형성되도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은 5-7㎛이고, 상기 제2 알루미늄 박판은 8-10㎛의 두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접착점은,
    길이 70 - 90mm, 폭 12mm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장자리 접착점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유입로의 폭은 18 -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5. 제1항,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써,
    a) 각각의 원단 권취롤에 권취된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과 제2 알루미늄 박판을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을 접착제 도포 로울러와 가압 로울러 사이로 통과시켜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되, 접착제가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의 가장자리 접착점과 중앙 접착점에만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의 가장자리 접착점과 중앙 접착점에만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을 건조기로 통과시켜 상기 가장자리 접착점과 중앙 접착점에 도포된 접착제의 휘발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d) 상기 건조기를 통과한 제1 알루미늄 박판과 원단 권취롤에 권취된 제2 알루미늄 박판을 한 쌍의 접착 로울러 사이로 통과시켜 상기 제1 알루미늄 박판과 제2 알루미늄 박판이 상기 가장자리 접착점과 중앙 접착점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부분 접착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가장자리 접착점과 중앙 접착점에만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상기 접착제 도포 로울러의 외주면 양쪽 가장자리 영역에는 가장자리 도포부를 형성하고, 양쪽의 상기 가장자리 도포부를 제외한 영역에는 중앙 도포부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가장자리 도포부와 중앙 도포부의 표면에만 접착제가 묻도록 상기 표면을 상기 가장자리 도포부와 중앙 도포부를 제외한 영역의 표면보다 더 거칠게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제조방법.

KR1020170002403A 2017-01-06 2017-01-06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722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403A KR101722111B1 (ko) 2017-01-06 2017-01-06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403A KR101722111B1 (ko) 2017-01-06 2017-01-06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111B1 true KR101722111B1 (ko) 2017-04-03

Family

ID=5858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403A KR101722111B1 (ko) 2017-01-06 2017-01-06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1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831A (ko) 2007-12-14 2009-06-18 송정곤 열반사 단열재용 알루미늄시트
KR101558953B1 (ko) * 2015-05-29 2015-10-08 주식회사 일신산업 단열성이 개선된 반사형 단열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831A (ko) 2007-12-14 2009-06-18 송정곤 열반사 단열재용 알루미늄시트
KR101558953B1 (ko) * 2015-05-29 2015-10-08 주식회사 일신산업 단열성이 개선된 반사형 단열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8228A (en) Groov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EP2418332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flective heat insulator
EP1218604B1 (en) Light-diffusing, insulating, glazing system component
WO2006046520A1 (ja) 建築用部材及び建物
KR101290455B1 (ko) 건축물용 내외장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22111B1 (ko)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3235A (ko) 난연 단열필름
KR101355045B1 (ko) 반사형 단열재, 반사형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건축 구조체
KR101532067B1 (ko) 에어포켓 벽지 및 그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101261551B1 (ko) 반사형 단열재 제조 장치
KR102310677B1 (ko) 건축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3217332U (ja) 屋根用構成体
SE1650446A1 (en) Building construc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stalling a heating or cooling system
KR20160003590U (ko) 에어 캡을 갖는 다목적 시트
KR20090063831A (ko) 열반사 단열재용 알루미늄시트
KR101866203B1 (ko) 외피재가 부착된 단열재 제조방법
US3902942A (en) Method of making finished metal sheet with removable protective covering
EP1329310A1 (en) Insulating material
KR101112681B1 (ko) 접착성이 향상된 보온단열재
KR20150016466A (ko)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 및 이를 이용한 초배지 도배 방법
KR101085794B1 (ko) 단열용 메탈 박판시트의 양측 가장자리 접합장치
JP5464953B2 (ja) フローリング床材の下に施工される冷暖房装置及びこの冷暖房装置が施工された部屋におけるフローリング床材の貼り替え方法
KR200493493Y1 (ko)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KR100304592B1 (ko) 벽면에 붙이는 보온단열 벽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9287274A (ja) 低放射率建材及びそれを用いた内装仕上げ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