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577Y1 -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 - Google Patents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577Y1
KR200491577Y1 KR2020190004013U KR20190004013U KR200491577Y1 KR 200491577 Y1 KR200491577 Y1 KR 200491577Y1 KR 2020190004013 U KR2020190004013 U KR 2020190004013U KR 20190004013 U KR20190004013 U KR 20190004013U KR 200491577 Y1 KR200491577 Y1 KR 200491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uture
length
barbs
cartila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완
Original Assignee
손정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완 filed Critical 손정완
Priority to KR2020190004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5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577Y1/ko
Priority to US17/055,421 priority patent/US20210361285A1/en
Priority to PCT/KR2020/009320 priority patent/WO2021066302A1/ko
Priority to US18/172,243 priority patent/US2023020080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7Double-armed sutures, i.e. sutures having a needle attached to each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만으로도 시술이 이루어진 조직의 봉합이 매듭 없이 가능한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길이를 갖되 양단에는 조직에 삽입되기 위한 니들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 및 상기 몸체 외면과 이어지게 형성되되 상기 몸체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길이방향으로 방사 형태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가 조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해당 조직 내에 삽입되는 다수의 미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Bi-directional barbed suture having needle}
본 고안은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만으로도 시술이 이루어진 조직의 봉합이 매듭 없이 가능한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합사는 피부, 근육, 힘줄, 내부기관, 골조직, 신경, 혈관 등과 같은 동물 조직의 다양한 손상부위 및 외과수술에 따른 절개 부위를 연결 또는 봉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봉합사는 일반적으로 실크(Silk), 면(Cotton), 나일론(Nylon), 대필론(Dafilon),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스테인리스금속(Stainless steel)과 같은 재질로 구성된 비흡수성 봉합사와 락트산(L-lactide) 중합체, 글리콜산(Glycolide) 중합체,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각각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또는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간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또는 키토산(Chitosan) 및 그의 유도체와 같은 재질로 구성된 생흡수성 봉합사로 크게 구분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생흡수성 봉합사는 환자로부터 봉합사를 제거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봉합사는 그 사용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매듭을 형성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봉합사의 매듭은 다양한 매듭방법이 존재하고 또한 그 복잡성으로 인하여 사용자인 의사에게 많은 훈련이 요구되는 것이고, 또한 수술 중 봉합사의 매듭을 짓는 그 자체로 시간적 소요가 상당하다.
이는 경우에 따라, 심장수술 등과 같은 많은 봉합 및 매듭이 필요한 수술에서는 성공적 수술과 빠른 회복을 위한 중요한 요인의 하나인 수술시간 및 절개 시간의 최소화를 도모하기에는 그 한계점이 있었다. 더욱이 매듭은 파손과 미끄러짐 또는 풀림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봉합의 파괴가 발생될 수 있고, 또한 미용적으로는 외부 흉터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매듭을 형성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봉합사의 필요성을 대두시켜 왔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미늘 봉합사(barbed suture)는 그 사상의 개시 이후 많은 발전 과정을 거쳐 상품화되어 있으며, 통상의 매듭이 필요한 봉합사에 있어서 상기 상술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많은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들 미늘 봉합사는 본체 길이를 따라 본체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돌출된 미늘을 형성한 것으로써, 형성된 미늘의 구조와 작용에 의하여 미늘 봉합사는 단방향 이동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즉, 한쪽 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될 수 있는 미늘의 구조로 인하여, 미늘 봉합사는 조직을 통해 한 방향으로 삽입된 후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은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속성으로 인하여 미늘 봉합사는 통상적인 봉합사와는 달리 매듭 없는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는 해당 봉합사를 손상된 부분이 존재하는 조직 내부에 삽입하기 위해 별도의 도구인 니들을 이용하여 삽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해당 니들을 항상 소독 관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621759호(공고일:2016.05.17.) 국내등록특허 제10-1432500호(공고일:2014.08.25.)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조직에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를 삽입하기 위해 별도의 삽입도구를 따로 준비하지 않고도 형성된 미늘을 이용하여 손상된 조직을 복구하고 매듭 없이 봉합할 수 있는 봉합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는 소정의 길이를 갖되 양단에는 조직에 삽입되기 위한 니들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 및 상기 몸체 외면과 이어지게 성형되되 상기 몸체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길이방향으로 방사 형태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가 조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해당 조직 내에 삽입되는 다수의 미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길이는 300 ~ 950mm이며, 상기 중앙부분의 길이는 2 ~ 40mm이며, 각각의 상기 니들의 길이는 200 ~ 4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늘은 상기 몸체 단면에 형성된 임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각각 직각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성형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미늘의 거리는 1.0 ~ 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조직을 관통하기 위한 별도의 시술도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몸체 양단에 구비된 니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해당 조직 내에 상기 몸체를 삽입하여 상기 몸체 외면에 다수 형성된 미늘이 조직 내부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매듭 없이 간편하게 손상된 부분의 시술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대한 A-A'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에 대한 작용관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이하, 간략하게 '봉합사'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1)는 크게 몸체(100) 및 미늘(300)의 구성을 포함하며 특히, 상기 몸체(100)의 양단에는 연골판에 삽입되기 용이하게 니들(200)이 구비되어 해당 연골판에 봉합사(1)의 적용을 용이하게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몸체(100)는 시술하고자 하는 연골판의 내부에 삽입되어 해당 연골판의 손상된 벌어진 부분(I)이 서로 밀착되어 그 연골판 세포의 재생력에 의해 서로 융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도 4 참조).
몸체(10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세로) 방향의 단면이 채워진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몸체(100)의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D1)는 환자의 관절 둘레 크기에 대응하여 피부 일측에서 삽입된 몸체가 반대측 피부를 통해 관통 후, 어느 정도의 길이가 여유분으로 존재할 수 있게 약 300 ~ 950mm 이내의 인체에 무해한 재질인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글락틴(Polyglactin),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글리코네이트(Polyglyconate) 등의 생분해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몸체(100)에는 약 2 ~ 40mm 이내의 길이(D3)의 중앙부분(110)이 존재하며, 상기 중앙부분(110)을 중심으로 후술하는 미늘(300)이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성형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의 미늘(300)은 몸체(100)와 이어지게 절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미늘(300)의 형상과 동일 형상을 갖도록 상기 몸체(100) 외면에 압착 등의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하되 본 고안은 상기 몸체(100)를 절개하여 상기 미늘(30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실시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중앙부분(110)의 길이 한정은 일반적으로 신체 내부에 존재하는 연골판(M)의 두께 및 너비를 고려하여 한정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골판 내면에 상기 중앙부분(110)이 위치하되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몸체(100)를 시술자가 당겨 연골판의 손상된 부분이 서로 접촉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연골 접촉면에 미늘이 노출되어 추가적인 연골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몸체(100) 양단에는 각각 시술자가 용이하게 상기 몸체(100)를 연골판 및 피하층(SQ) 내부에 삽입할 수 있게 일단이 뾰족한 니들(200)이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도구인 시술용 바늘(미도시)을 사용하지 않아도 본 고안인 봉합사(1)를 연골판 및 피하층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니들(200)의 길이(D2)는 몸체(100)의 길이와 상관없이 200~400mm 이내의 것을 사용하며, 시술 이후에 즉, 연골판의 손상된 부분(I)이 서로 접촉하여 후술하는 미늘(300)에 의해 상기 몸체(100)가 해당 연골판 및 피하층 내에서 고정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미늘(300)은 상술한 몸체(100)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되 상기 몸체(100)가 연골판에 삽입된 이후에 해당 연골판 및 피하층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몸체(100)를 고정함으로써, 손상된 부분(I)을 시술한 이후에 해당 부분(I)이 다시 벌어지지 않도록 피부(S) 외부에서 매듭을 이용하지 않고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도 4 참조).
예컨대 본 고안에서의 미늘(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중앙부분(110)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100)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도면상으로 상기 몸체(100)를 종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임의의 중심점(P)을 기준으로 2개 내지 4개의 미늘(300)이 상기 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도록 하며, 하기에는 4개의 미늘(300)이 형성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미늘(300)은 몸체(100) 일부를 절개 성형 후, 외측 방향으로 절곡한 형태로 형성되며, 임의의 중심점(P)을 기준으로 직각을 갖도록 상기 몸체(100) 외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다.
여기서, 미늘(300)과 미늘(300) 간의 거리(D4)는 1.0 ~ 3.0mm 이내의 거리를 갖도록 한정할 수 있는데, 한정거리 이하로 형성한 경우에는 몸체(100)와 연골판 및 피하층 간의 고정력은 높일 수 있으나, 한 쌍의 미늘(300) 간의 사이가 너무 좁아 해당 연골판 및 피하층에 불필요한 손상을 가하게 되어 2차 사고의 우려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해당 거리 이상인 경우에는 미늘(300) 간의 사이가 너무 멀어 상기 몸체(100)와 연골판 및 피하층 간의 고정력 저하를 일으키기 때문이다(도 1 참조).
또한, 미늘(300)의 돌출 높이(H)는 시술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상태에 따라 0.2 ~ 0.6mm 이내의 높이를 갖도록 하여 연골판 및 피하층의 손상 여부를 최소화하여 몸체(100)로 인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1)는 시술자가 몸체(100) 양단에 형성된 니들(200) 중 어느 하나의 니들(200)을 통해 손상된 부분(I)을 갖는 연골판 내부에 몸체(100)를 삽입하고, 내시경(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그 삽입된 니들(200)이 연골판을 관통하되 중앙부분(110)이 해당 연골판 내면에 지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사용한 니들(200)이 다시 연골판 및 피하층을 통해 신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시술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신체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몸체(100)를 당겨 손상된 부분(I)이 서로 밀착되게 하며, 그 밀착된 상태는 상기 몸체(100) 외면에 다수 형성된 미늘(300)이 연골판 및 피하층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100)가 조직 내에서의 유동을 방지시켜 매듭이 없이도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물론, 시술이 이루어진 이후에 시술자는 니들(200) 및 피부 밖으로 노출된 몸체(100)를 일부 절개하여 또 다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연골판을 관통하기 위한 별도의 시술도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몸체(100) 양단에 구비된 니들(20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해당 연골판 내에 상기 몸체(100)를 삽입하여 상기 몸체(100) 외면에 다수 형성된 미늘(300)이 연골판 및 피하층 내부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매듭 없이 간편하게 손상된 부분(I)의 시술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고안에 따른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
100: 몸체
110: 중앙부분
200: 니들
300: 미늘

Claims (3)

  1. 소정의 길이를 갖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연골판에 삽입되기 위한 니들(200)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 외면과 이어지게 형성되되 상기 몸체(100)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 중앙부분(11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길이방향으로 방사 형태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가 연골판 및 피하층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해당 연골판 및 피하층 내에 삽입되는 다수의 미늘(300);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100)의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D1)는 300 ~ 950mm이며, 상기 중앙부분(110)의 길이(D3)는 2 ~ 40mm이며, 각각의 상기 니들(200)의 길이(D2)는 200 ~ 400mm이며,
    상기 미늘(300)은 상기 몸체(100) 단면에 형성된 임의의 중심점(P)을 기준으로 각각 직각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미늘(300)의 거리(D4)는 1.0 ~ 3.0mm이고, 상기 미늘(300)의 돌출 높이(H)는 0.2 ~ 0.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
  2. 삭제
  3. 삭제
KR2020190004013U 2019-10-01 2019-10-01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 KR200491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013U KR200491577Y1 (ko) 2019-10-01 2019-10-01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
US17/055,421 US20210361285A1 (en) 2019-10-01 2020-07-15 Bidirectional barbed suture having needle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PCT/KR2020/009320 WO2021066302A1 (ko) 2019-10-01 2020-07-15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
US18/172,243 US20230200808A1 (en) 2019-10-01 2023-02-21 Bidirectional barbed suture having needle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013U KR200491577Y1 (ko) 2019-10-01 2019-10-01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577Y1 true KR200491577Y1 (ko) 2020-05-28

Family

ID=7086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013U KR200491577Y1 (ko) 2019-10-01 2019-10-01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210361285A1 (ko)
KR (1) KR200491577Y1 (ko)
WO (1) WO20210663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302A1 (ko) * 2019-10-01 2021-04-08 손정완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3736A1 (en) * 1991-05-13 1992-11-19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Device for repairing torn tissue
US20090018577A1 (en) * 1993-05-03 2009-01-15 Quill Medical, Inc. Barbed sutures
US20110009902A1 (en) * 2002-08-09 2011-01-13 Quill Medical, Inc. Multiple suture thread configuration with an intermediate connector
KR101432500B1 (ko) 2014-03-21 2014-08-25 유원석 고착형 미늘 봉합사
KR101621759B1 (ko) 2014-08-13 2016-05-17 유원석 절곡형 미늘 봉합사
KR101642962B1 (ko) * 2015-11-05 2016-07-26 (주)제이월드 봉합사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1855A (en) * 1997-05-21 1999-08-03 Frank Hoffman Surgical methods using one-way suture
KR100679160B1 (ko) * 2004-09-20 2007-02-05 마렌 안드레비치 술라마니즈 성형수술용 수술실
KR200491577Y1 (ko) * 2019-10-01 2020-05-28 손정완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3736A1 (en) * 1991-05-13 1992-11-19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Device for repairing torn tissue
US20090018577A1 (en) * 1993-05-03 2009-01-15 Quill Medical, Inc. Barbed sutures
US20110009902A1 (en) * 2002-08-09 2011-01-13 Quill Medical, Inc. Multiple suture thread configuration with an intermediate connector
KR101432500B1 (ko) 2014-03-21 2014-08-25 유원석 고착형 미늘 봉합사
KR101621759B1 (ko) 2014-08-13 2016-05-17 유원석 절곡형 미늘 봉합사
KR101642962B1 (ko) * 2015-11-05 2016-07-26 (주)제이월드 봉합사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302A1 (ko) * 2019-10-01 2021-04-08 손정완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61285A1 (en) 2021-11-25
WO2021066302A1 (ko) 2021-04-08
US20230200808A1 (en)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09687T3 (es) Suturas de auto-retención con retenedores bidireccionales o retenedores unidireccionales
US5669935A (en) One-way suture retaining device for braided sutures
JP4092196B2 (ja) 吸収性固定具および適用装置
JP5518737B2 (ja) 熱接触媒介リテーナを備えた留置縫合糸
CN103096815B (zh) 用于自固位缝线的表面纹理构型及其形成方法
CN105960207B (zh) 凹进外科紧固装置
EP2427125B1 (en) Thread having coated anchoring structures for anchoring in biological tissues
KR101432497B1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BRPI0921810B1 (pt) Montagem para inserir um comprimento de sutura no interior do corpo de um mamífero
CN102481149B (zh) 具有用于在生物组织进行锚定的锚定结构的涂覆线
BR112013024303B1 (pt) Sistema de sutura de autorretenção e método para fabricar um sistema de sutura de autorretenção
BR112012031606B1 (pt) distribuidor de sutura
KR101432499B1 (ko) 봉합사 삽입키트
JP2011518588A5 (ko)
KR101621759B1 (ko) 절곡형 미늘 봉합사
KR101719256B1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668663B1 (ko)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
KR200491577Y1 (ko)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
KR102092179B1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3273A (ko) 봉합고정앵커 및 리프팅고정앵커 겸용 고정앵커후크 및 바늘을 구비한 봉합사
KR101432500B1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Miyagi et al. How to choose a suture
Edlich et al. Scientifi c Basis for the Selection of Skin Closure Techniques
WO2016186854A1 (en) Suture anchor system with slotted suture anchor
WO2022087467A1 (en) Sut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