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759B1 - 절곡형 미늘 봉합사 - Google Patents

절곡형 미늘 봉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759B1
KR101621759B1 KR1020140104895A KR20140104895A KR101621759B1 KR 101621759 B1 KR101621759 B1 KR 101621759B1 KR 1020140104895 A KR1020140104895 A KR 1020140104895A KR 20140104895 A KR20140104895 A KR 20140104895A KR 101621759 B1 KR101621759 B1 KR 101621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barb
barbs
barbed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068A (ko
Inventor
유원석
Original Assignee
유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석 filed Critical 유원석
Priority to KR102014010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7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14Post-treatment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349Needle-like instruments having hook or barb-like gripping means, e.g. for grasping suture or tissue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의료 환경에서 동물 조직을 연결하거나 고정하는데 유용한 미늘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늘 봉합사에 있어서 삽입 후 고정력을 극대화하여 유효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구조를 가진 절곡형 미늘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절곡형 미늘 봉합사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연속적인 절곡부를 형성하여 비직선형의 구조로 형성된 몸체와,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된 미늘 및 선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상 매듭이 필요 없고 봉합된 조직 및 주변 조직과 봉합사 간의 고정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곡형 미늘 봉합사{omitte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의료 환경에서 동물 조직을 연결하거나 고정하는데 유용한 미늘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늘 봉합사에 있어서 삽입 후 고정력을 극대화하여 유효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구조를 가진 절곡형 미늘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합사는 피부, 근육, 힘줄, 내부기관, 골조직, 신경, 혈관 등과 같은 동물 조직의 다양한 손상부위 및 외과수술에 따른 절개 부위를 연결 또는 봉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봉합사는 일반적으로 실크(Silk), 면(Cotton), 나일론(Nylon), 대필론(Dafilon),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스테인리스금속(Stainless steel)과 같은 재질로 구성된 비흡수성 봉합사와 락트산(L-lactide) 중합체, 글리콜산(Glycolide) 중합체,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각각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또는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간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또는 키토산(Chitosan) 및 그의 유도체와 같은 재질로 구성된 생흡수성 봉합사로 크게 구분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생흡수성 봉합사는 환자로부터 봉합사를 제거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봉합사는 그 사용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매듭을 형성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봉합사의 매듭은 다양한 매듭방법이 존재하고 또한 그 복잡성으로 인하여 사용자인 의사에게 많은 훈련이 요구되는 것이며, 또한 수술 중 봉합사의 매듭을 짓는 그 자체로 시간적 소요가 상당한 방법인 것이다. 이는 경우에 따라, 심장수술 등과 같은 많은 봉합 및 매듭이 필요한 수술에서는 성공적 수술과 빠른 회복을 위한 중요한 요인의 하나인 수술시간 및 개복시간의 최소화를 도모하기에는 그 한계점이 있었다. 더욱이 매듭은 파손과 미끄러짐 또는 풀림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봉합의 파괴가 발생될 수 있고, 또한 미용적으로는 외부 흉터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매듭을 형성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봉합사의 필요성을 대두시켜 왔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미늘 봉합사(barbed suture)는 그 사상의 개시 이후 많은 발전 과정을 거쳐 상품화되어 있으며, 통상의 매듭이 필요한 봉합사에 있어서 상기 상술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많은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들 미늘 봉합사는 본체 길이를 따라 본체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돌출된 미늘을 형성한 것으로써, 형성된 미늘의 구조와 작용에 의하여 미늘 봉합사는 단방향 이동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즉, 한쪽 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될 수 있는 미늘의 구조로 인하여, 미늘 봉합사는 조직을 통해 한 방향으로 삽입된 후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은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속성으로 인하여 미늘 봉합사는 통상적인 봉합사와는 달리 매듭 없는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업상의 이용 가능성을 지닌 미늘 봉합사의 기본적인 사상과 설계는 1950년대 중반 알카모(J. H. Alcamo)의 미국 특허 3,123,077호에서 개시된다. 해당 종래의 기술은 단방향 이동성(즉, 한 방향으로 조직을 통과할 수 있지만, 반대방향으로 이동을 억제하는)을 갖게 되는 인체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코드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이는 미늘 봉합사의 기본적인 속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 몸체에 대해 예각으로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급격한 선단부의 탄성 미늘 및 본체를 갖는 신장된 코드를 기술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봉합사의 매듭의 필요성은 제거하였으나 앵커부가 없으므로 이동 가능한 일측 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통상의 루프(loop)를 형성하거나 시누소이달(sinusoidal)형태의 봉합을 형성하는 봉합법 자체에 대한 간소화에는 그 한계를 지니고 있는 구조이다.
윤인배(InBae Yoon)의 미국 특허 5,053,047호에서는 한쪽 끝에 구형의 앵커를 포함한 생분해성 미늘 봉합사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는 연속 봉합법과 같은 통상적으로 루프를 형성하거나 시누소이달형태의 봉합을 형성하지 않고도 봉합사의 단순히 삽입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봉합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봉합사의 앵커부에 의한 일측 말단부가 앵커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봉합사 구조를 제공하고 있으나 앵커된 봉합사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은 미관상의 단점을 포함하여 봉합부의 관리 어려움, 봉합부 파손, 출혈, 염증, 감염 등의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미국 특허 5,374,268호에서는 봉합사의 양측 선단부에 돌출된 미늘들이 서로 마주 볼 수 있도록 양방향 배열로 배치된 생분해성 재질의 앵커부를 포한한 수술도구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미국특허 제5,931,855호에서는 미늘이 형성된 미늘 봉합사에서 전체 길이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의 미늘들이 서로 마주 보게끔 형성된 양방향 배열의 미늘 봉합사를 기술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45105호(국제공보 WO 2005/096956호로 공개)에서는 미늘이 형성된 미늘 봉합사에서 중앙 부위는 미늘이 형성되지 않은 클리어부분을 포함하고 나머지 양측에 형성된 미늘들은 클리어존을 향하여 서로 마주 보게끔 형성된 양방향 배열의 미늘 봉합사를 기술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각각의 양측 선단부가 각기 환부 다른 지점으로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며, 이에 따라 통상의 봉합법 또는 단순한 봉합법에 의하여 봉합이 가능하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45105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술방법에 따라서는 봉합사의 중앙부가 일측 봉합부에서 앵커링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조직 거상과 같은 성형시술용으로써의 유효한 장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환부의 봉합시, 봉합사의 구조와 봉합법으로 인한 봉합부 및 추가적 2차 환부가 넓게 발생되고 조직 거상과 같은 성형 수술시에도 각기 다른 2개의 바늘이 조직을 관통하므로 수술에 따른 환부가 추가적으로 넓게 발생되는 한계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 미늘 봉합사는 미늘이 형성에 있어서, 봉합사의 몸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만들거나 또는 봉합사의 몸체를 깎아서 형성한 것들이며, 모두 조직을 통해 한 방향으로 삽입된 후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은 억제되는 미늘의 기본적인 설계 및 구조에 충실한 것들이다. 그러나 이들 미늘 봉합사는 미늘 봉합사의 기본 특성으로 인하여 조직에 삽입 후에 여전히 한 방향으로의 미끄러짐 특성은 여전히 보유하고 있으며, 보다 이상적인 봉합사로써 조직에 삽입 후 양쪽 모든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는 고정형 봉합사의 구조는 아닌 것이다.
이에 대한 개량의 일환으로 국제공보 WO 2006/061868호에서는 서로 마주보게끔 양방향으로 형성된 미늘 세그먼트들이 배열된 고정형 미늘 봉합사에 대해서 공개되었다. 이는 봉합사의 삽입 이후 봉합사의 양쪽 모든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는 고정형 봉합사로서의 성능은 유효할 수 있겠으나, 봉합사를 조직으로 삽입시에 매끄럽게 삽입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서 봉합부의 정확한 봉합 지점에 대한 봉합성능 자체가 문제점을 가진 구조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43179호에는 심선과 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선되어있는 미끄럼 방지용 외선을 포함하여 구성한 수술용 봉합사가 공개되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37481호에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서 연속적인 나선 돌기를 형성하고 일측 돌기 구간은 외향플랜지 형태인 것을 포함하여 구성한 의료용 봉합사가 공개되었다. 상기 두개의 종래 기술은 봉합사를 조직으로 삽입함에 있어서, 매끄럽게 삽입할 수 있고 또한, 봉합사의 삽입 이후 조직의 재생과정으로 인하여 봉합사에 형성된 나선형 요철 부분으로 섬유 조직이 생장 및 생착하여 들어가므로 조직의 고정 효과를 보다 단단히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섬유 조직의 생장 및 생착에 따른 고정효과를 이루기 전까지, 즉 봉합사의 조직 삽입 직후에는 조밀한 조직을 물리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날카롭게 형성된 미늘등의 고정부 요소가 부재함에 따라서 의도한 목적인 조직 고정효과 자체가 미비할 수 있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종래 기존의 미늘 봉합사를 포함한 돌기가 형성된 봉합사들은 봉합사의 고정력이 특별히 요구되는 안면부 거상술(擧上術)과 같은 조직 거상술상에 적용함에 있어서, 조직을 거상하기에 적합한 미늘의 부재로 인하여 거상효과가 미비하거나 또는, 조직의 거상이 가능한 미늘이 존재하여 조직 거상이 가능하더라도 거상된 위치에서의 봉합사와 거상된 조직 및 주변 조직간의 결합이 약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중력과 근육의 움직임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삽입한 봉합사 자체가 거상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다시 미끄러지고 거상한 조직이 초기의 위치로 다시 내려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는 기존의 미늘 봉합사, 즉 단방향으로는 수월한 이동성을 가진 봉합사들이 가지는 원론적인 문제점일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을 보완하기 위하여 삽입부의 봉합사 말단부 또는 봉합사의 어느 일부를 조직과 묶어서 앵커링하는 등의 보다 복잡한 방법의 수술을 행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한 흉터 발생, 염증, 감염등의 부작용 위험이 증가됨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봉합사 몸체에 연속적인 절곡부를 형성하여 비직선형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늘로 인해 사용상 매듭이 필요 없고 봉합된 조직 및 주변 조직과 봉합사간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유효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극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절곡형 미늘 봉합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절곡형 미늘 봉합사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연속적인 절곡부를 형성하여 비직선형의 구조로 형성된 몸체와,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된 미늘 및 선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의 단면이 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의 절곡부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사방으로 반복 절곡된다.
상기 몸체의 절곡부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좌ㆍ우 또는 상ㆍ하 방향으로 반복 절곡된다.
상기 절곡부의 간격은 봉합사의 직경 및 미늘의 크기와 대응될 수 있는 미세 간격이다.
상기 절곡부의 간격은 봉합사 직경의 10배 크기 이하의 치수 간격이다.
상기 미늘은 몸체의 표면에 돌출형의 돌기 구조로 형성한다.
상기 미늘은 몸체의 표면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절개형 구조로 형성한다.
상기 미늘은 봉합사의 전체적인 삽입 방향과 평행한 각도로 형성한다.
상기 미늘은 봉합사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180°, 120°, 90°, 72°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들을 갈지(之)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미늘은 선단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하여 형성된다.
상기 미늘은 상호 다른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미늘 구간들로 배치하여 형성된다.
상기 선단부는 봉합사의 일단 또는 양단에 사선의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형성된다.
상기 봉합사의 일측 선단부 또는 양측 선단부는 외과용 바늘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곡형 미늘 봉합사에 의하면, 봉합사 몸체에 연속적인 절곡부를 형성하여 비직선형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늘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상 매듭이 필요없고 봉합된 조직 및 주변 조직과 봉합사간의 고정력을 극대화하여 빠르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봉합사와 봉합된 조직 및 주변 조직 간의 강한 고정력으로 인하여 봉합된 부위의 파열 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의 가능성을 낮추고 보다 안전한 봉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늘봉합사 본연의 특징인 손쉬운 단방향 이동성에 대한 보완(억제)에 따른 강한 고정력이 특별히 요구되는 조직 거상술의 적용에 있어서도 강한 고정력에 의하여 삽입된 봉합사가 거상한 역방향으로 다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거상된 조직의 고정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강한 고정력에 의하여 미늘봉합사 본연의 문제점 중에 하나인 봉합에 따른 딤플링(dimpling), 봉합사의 체내이동(migration) 부작용을 방지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늘들이 몸체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180°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형성됨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늘들이 몸체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90°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형성됨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몸체의 일정 지점을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는 형태의 미늘들이 구성됨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외과용 바늘을 포함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사 몸체상에 절개형 미늘들이 구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봉합사의 현미경사진.
도 9의 (a)는 종래 기술의 따른 미늘 봉합사의 미늘 구조와 봉합사 삽입후 미늘 구조가 받는 외력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9의 (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미늘 봉합사에 있어서 발생되는 미늘 밴딩 현상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늘 구조와 봉합사 삽입후 미늘 구조가 받는 외력을 나타내는 확대도.
본 발명은 절곡형 미늘 봉합사에 있어서,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연속적인 절곡부를 형성하여 비직선형의 구조로 형성된 몸체와,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된 미늘 및 선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단면이 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절곡부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사방으로 반복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절곡부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좌ㆍ우 또는 상ㆍ하 방향으로 반복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의 간격은 봉합사의 직경 및 미늘의 크기와 대응될 수 있는 미세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의 간격은 봉합사 직경의 10배 크기 이하의 치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늘은 몸체의 표면에 돌출형의 돌기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늘은 몸체의 표면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절개형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늘은 봉합사의 전체적인 삽입 방향과 평행한 각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늘은 봉합사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180°, 120°, 90°, 72°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들을 갈지(之)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늘은 선단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늘은 상호 다른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미늘 구간들로 배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단부는 봉합사의 일단 또는 양단에 사선의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합사의 일측 선단부 또는 양측 선단부는 외과용 바늘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곡형 미늘 봉합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상기 절곡형 미늘 봉합사(100)는 피부, 근육, 힘줄, 내부기관, 골조직, 신경, 혈관 등과 같은 동물 조직의 다양한 손상부위 및 외과수술에 따른 절개 부위를 연결 또는 봉합하기에 적절한 유연성 및 강도를 갖추며, 이와 더불어 형성된 형상이 변형 또는 절선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과 함께 생체적합성을 모두 갖춘 재질로 형성한다.
예컨대 상기 절곡형 미늘 봉합사(100)의 재질은 일정시간이 지나면 조직내로 흡수되는 생흡수성 고분자 재질인 락트산(L-lactide) 중합체, 글리콜산(Glycolide) 중합체,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각각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또는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간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또는 키토산(Chitosan) 및 그의 유도체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비흡수성 재질로는 실크(Silk), 면(Cotton), 나일론(Nylon), 대필론(Dafilon),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스테인리스금속(Stainless steel)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절곡형 미늘 봉합사(100)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0), 미늘(20) 및 선단부(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10)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을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이외에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연속적인 절곡부(15)를 형성하여 비직선형의 세장형 구조로 형성한다.
상기 절곡부(15)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사방으로 반복 절곡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좌ㆍ우 또는 상ㆍ하 방향으로 반복 절곡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절곡부(15)는 다양한 방법으로 봉합사 상에 형성함이 가능하다. 예컨대, 봉합사 원사의 제조 단계인 방사 또는 압출 성형 단계에서 절곡부(15)가 형성된 봉합사 원사를 제조하거나 또는 성형이 완료된 통상의 봉합사 원사를 압착 또는 열처리와 같은 후가공하여 절곡부(15)를 봉합사 상에 형성함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절곡부(15)의 간격, 즉, 절곡간격(50)은 도 8의 현미경 사진과 스케일바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비교적 매우 얇은 봉합사(100)의 직경 및 미늘(20)의 크기와 비교하여도 많은 차이가 없을 정도의 미세 간격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절곡 각도에 따라서 봉합사 직경의 10배 크기 이내까지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과도한 신장 특성은 봉합부의 파열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까지 유발할 수 있으므로 통상의 봉합용 봉합사로써의 적절한 신장 특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다만, 봉합사의 안전성 및 유효성 면에서 그 신장 특성이 반대로 요구되는 미용 성형용도의 봉합사를 위해서는 해당 사항에 구애받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미늘(20)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미늘(20)은 봉합사에게 단방향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의 것으로써, 미늘(20)이 구성된 봉합사는 삽입 후 이들 미늘(20)의 역할에 의하여 삽입된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미늘(20)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함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합사의 표면에 돌출형의 돌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합사 몸체(10)의 표면을 일부분 절개하여 절개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미늘(20)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합사상의 절곡부(15)와 함께 구성하여 봉합사의 전체적인 삽입 방향과 평행한 각도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직 삽입 후 미늘(20)이 받는 외력 방향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방향으로 구성함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미늘 봉합사의 사용상에서 발생하는 미늘 밴딩(bending)현상에 따른 기능 저하 및 상실의 부작용 발생율을 낮추며, 봉합된 조직 및 주변 조직과 봉합사간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유효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극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덧붙여, 절곡부(15)로 인하여 형성된 봉합사의 절곡 구조는 삽입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봉합부위의 조직 생착과 함께 봉합사 이동에 대한 저항을 가중시키는 구조이므로, 통상의 미늘 봉합사들이 가지는 단점인 시간 경과에 따른 삽입 방향쪽으로 봉합사의 미끄러짐이나 이동 현상이 없어 견고한 고정력을 해당 시술부위에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고정 특성은 봉합된 부위의 파열 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의 가능성을 낮추고 보다 안전한 봉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삽입된 봉합사가 거상한 역방향으로 다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거상된 조직의 고정을 유지하며, 딤플링(dimpling), 봉합사의 체내이동(migration) 부작용을 방지하므로 조직 거상술과 같은 시술에서 더욱 요구되는 유용한 성능이다.
상기 미늘(20)을 형성함에는 다양한 제조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미늘(20)을 형성할 수 있는 금형에 봉합사 수지를 사출 성형하거나 압축 성형하여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돌기 형성이 필요한 봉합사의 일부분에 열압착을 가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돌기형 미늘(20)은 금형의 형상 또는 가공 방법에 따라서 삼각뿔, 삼각뿔대, 삼각기둥, 사각뿔, 사각뿔대, 각기둥, 원뿔, 원뿔대, 원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함이 가능하다.
상기 돌기형 미늘(20) 성형이 가능한 형상의 압착틀이 구성된 압착기에 봉합사를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압착 성형함으로 형성함이 가능하다. 절개형 미늘(20)의 경우 봉합사를 블레이드 절삭기에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절삭 또는 절개 가공하여 형성함이 가능하다.
상기 미늘(20)들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0)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180°방향으로 상호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20)들을 갈지(之)자 형으로 형성하는 것과 몸체(10)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90°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20)들을 갈지(之)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미늘(20)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봉합사 몸체(10)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120°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20)들을 갈지(之)자형으로 형성하는 것과 봉합사 몸체(10)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72°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20)들을 갈지(之)자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상기 미늘(20) 배치가 가능한 형상의 금형을 사용하여 사출성형 또는 압축성형하는 방법으로 형성함이 가능하며, 미늘(20) 성형이 가능한 형상의 압착틀이 구성된 압착기에 몸체(10)를 몸체(10)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과 함께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압착성형함으로 형성함이 가능하다. 또한, 블레이드 절삭기에 봉합사를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절삭 가공하는 과정에서 봉합사 또는 절삭기 아니면 이들 모두를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과 함께 절삭 가공함으로써 형성함이 가능하다. 덧붙여, 금형 형상의 변형이나 절삭 주기, 회전속도, 회전 주기등의 단순한 가공 조건 변경에 의해서 미늘(20)의 위치를 가변하여 가공함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10)의 외주면 상에 미늘(20)들을 배치함에 있어서, 미늘(20)들을 동일선상에 놓고 보았을 때 서로 겹침이 없도록 갈지(之)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은 봉합사의 강도 저하 방지와 단방향 이동에 대한 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을 위하여 바람직한 방법이다.
또한, 상기의 미늘(20)들은 봉합사의 선단부(3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형의 형상 또는 압착 및 절삭 방법에 의하여 상호 다른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미늘(20) 구간들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일측 또는 양측 선단부(30)는 절곡형 미늘 봉합사(1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사선의 경사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목적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과용 바늘(4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바늘에 형성된 고리나 걸림턱을 활용한 묶음(Binding), 본딩재(Bonding agent)를 이용한 접합, 바늘의 말단에 형성된 튜브(Tube)를 이용한 압착(Compression), 스웨이징(swaging), 포밍(Forming) 또는 래핑(wrapping)등의 부착 방법 및 원리는 당업자들이라면 쉽게 이해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절곡형 미늘 봉합사(100)는 통상의 봉합사 또는 종래의 미늘 봉합사들에서 존재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많은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의료용 실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몸체 15 : 절곡부
20 : 미늘 30 : 선단부
40 : 외과용 바늘 50 : 절곡 간격
100 : 절곡형 미늘 봉합사

Claims (14)

  1.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연속적인 절곡부를 형성하여 비직선형의 구조로 형성된 몸체와,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된 미늘 및 선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미늘은 봉합사의 전체적인 삽입 방향과 평행한 각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미늘 봉합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단면이 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미늘 봉합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절곡부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사방으로 반복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미늘 봉합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절곡부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좌ㆍ우 또는 상ㆍ하 방향으로 반복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미늘 봉합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간격은 봉합사의 직경 및 미늘의 크기와 대응될 수 있는 미세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미늘 봉합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간격은 봉합사 직경의 10배 크기 이하의 치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미늘 봉합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몸체의 표면에 돌출형의 돌기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미늘 봉합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몸체의 표면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절개형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미늘 봉합사.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선단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미늘 봉합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상호 다른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미늘 구간들로 배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미늘 봉합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봉합사의 일단 또는 양단에 사선의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미늘 봉합사.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의 일측 선단부 또는 양측 선단부는 외과용 바늘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미늘 봉합사.
KR1020140104895A 2014-08-13 2014-08-13 절곡형 미늘 봉합사 KR101621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895A KR101621759B1 (ko) 2014-08-13 2014-08-13 절곡형 미늘 봉합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895A KR101621759B1 (ko) 2014-08-13 2014-08-13 절곡형 미늘 봉합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068A KR20160020068A (ko) 2016-02-23
KR101621759B1 true KR101621759B1 (ko) 2016-05-17

Family

ID=55449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895A KR101621759B1 (ko) 2014-08-13 2014-08-13 절곡형 미늘 봉합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7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012A (ko) 2016-07-08 2018-01-17 김정권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01312A (ko) 2018-09-05 2018-09-12 김근식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3111A (ko)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1205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실 및 그 제조방법
KR200491577Y1 (ko) 2019-10-01 2020-05-28 손정완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179B1 (ko) * 2017-04-11 2020-03-23 유원석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461560B1 (ko) * 2022-01-12 2022-10-31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376B1 (ko) 2010-10-20 2011-08-17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표면에 돌출형 외부 구조를 가지는 흡수성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73980B1 (ko) * 2002-09-30 2011-10-17 퀼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미늘 봉합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980B1 (ko) * 2002-09-30 2011-10-17 퀼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미늘 봉합사
KR101057376B1 (ko) 2010-10-20 2011-08-17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표면에 돌출형 외부 구조를 가지는 흡수성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012A (ko) 2016-07-08 2018-01-17 김정권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3111A (ko)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1205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실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01312A (ko) 2018-09-05 2018-09-12 김근식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0491577Y1 (ko) 2019-10-01 2020-05-28 손정완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068A (ko) 201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759B1 (ko) 절곡형 미늘 봉합사
KR101432497B1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KR101719256B1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RU2724396C2 (ru) Новая шовная нить для подтяжки лица и тела
JP5694328B2 (ja) 綿撒糸ストッパを有する有棘縫合糸とそのための方法
JP5718204B2 (ja) 縫合方法および装置
US7967841B2 (en) Methods for using looped tissue-grasping devices
EP2386252A1 (en) Continuous-filament thread having a plurality of barbs and a barbed suture
ES2706295T3 (es) Método y aparato para elevar retenedores en suturas de auto-retención
RU2528077C2 (ru) Нить, имеющая закрепляющие элементы с покрытием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в биологических тканях,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CN105960207B (zh) 凹进外科紧固装置
US11098422B2 (en) Method for forming a barbed suture and the barbed suture thus obtained
MX2010011160A (es) Suturas autorretenedoras con retenedores bidireccionales o retenedores unidireccionales.
ES2667950T3 (es) Hilo elastomérico con estructuras de anclaje para anclaje en tejidos biológicos
JP2018506376A (ja) 軟組織固定のための縫合糸
KR101432500B1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JP2023524918A (ja) 一体化された閉鎖部を含む無結節縫合
EP3312325B1 (en) Method for forming a mesh having a barbed suture attached thereto and the mesh thus obtained
US20130197572A1 (en) Wound Closure Device
KR20180123273A (ko) 봉합고정앵커 및 리프팅고정앵커 겸용 고정앵커후크 및 바늘을 구비한 봉합사
KR102109138B1 (ko) 메쉬 봉합사에 대한 니들의 간접 부착
KR102092179B1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CN210582548U (zh) 手术缝合线
US9107660B2 (en) Wound closure device
JPH0674146U (ja) 手術用縫合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