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663B1 -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 - Google Patents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663B1
KR101668663B1 KR1020150030501A KR20150030501A KR101668663B1 KR 101668663 B1 KR101668663 B1 KR 101668663B1 KR 1020150030501 A KR1020150030501 A KR 1020150030501A KR 20150030501 A KR20150030501 A KR 20150030501A KR 101668663 B1 KR101668663 B1 KR 101668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tissue
support
cannula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580A (ko
Inventor
장민서
Original Assignee
(주)제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월드 filed Critical (주)제이월드
Priority to KR1020150030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66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6Suture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7Suture clamps, clips or locks, e.g. for replacing suture knots;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듭이 필요 없고 봉함침이 관통하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며 봉합사를 지지하는 지지체가 조직 내에 삽입되어 조직들을 리프팅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한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1말단 및 제2말단과 상기 제1말단 및 제2말단 사이의 중심부를 갖는 봉합사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의 중심부 방향으로 미늘이 향하도록 구성된 봉합사 및 상기 봉합사의 제1말단 및 제2말단 중 어느 하나가 꿰는 방식으로 2개의 통공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봉합사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시술자가 봉합사를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조직내에 감염의 유려를 감소시켰으며, 매듭이 필요 없고 봉함침이 관통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봉합이 편리하고 봉합사를 지지하는 지지체가 조직 내에 삽입되어 조직들을 리프팅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THE KIT WHICH USING A STITCHING FIB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듭이 필요 없고 봉합침이 관통하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며 봉합사를 지지하는 지지체가 관통하여 조직 내에 삽입되어 조직들을 리프팅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한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과에서 봉합(suture)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얼굴 피부나 구강 내 점막이 찢어져서 병원에 내원한 환자에게 시행되거나, 미용 목적으로 시행되는 봉합은 그 자체가 하나의 완성된 수술이다. 또한, 정교하고 미용적으로도 우수한 봉합을 수행하는 것이 수술의 성패를 결정하는 중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봉합사(stitching fiber)는 천연소재/합성소재로 구분할 수 있으며, 흡수성/비흡수성으로 구분하기도 하고, 단사/복합사로 구별할 수도 있다. 천연소재 흡수성 봉합사로서는 장선(catgut), 크로믹(chromic), 굿(gut)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합성소재 흡수성 봉합사로서는 폴리글라이콜릭산(덱손, 멕손), 폴리글락틴 910(바이크릴) 및 폴리다이옥사논(PDS) 등이 있다. 천연소재 비흡수성 봉합사로는 견사(silk)가 있다. 합성소재 비흡수성 봉합사로서 폴리에스터(다크론), 폴리프로필렌(프롤린), 폴리아마이드(나일론) 및 e-PTFE(고어텍스) 등이 있다. 앞서 기술된 봉합사들은 다시 단사 또는 복합사로 다시 구별될 수 있다. 예컨대, 장선, 크로믹, 굿, 다크론, 프롤린, 나일론 및 고어텍스는 단사이고, 덱손, 멕손, 바이크릴, PDS 및 견사는 복합사이다.
봉합사는 손상된 근육, 혈관, 신경조직 또는 상처나 수술절개부의 연결 또는 봉합을 위하여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또한, 봉합사는 쌍꺼풀 수술이나 또는 노화, 피부탄력 감소, 외상, 과용, 괴사 등에 의하여 생기는 조직(tissue)이나 피부의 처짐, 주름 등을 제거하기 위한 시술 등을 위하여도 사용된다. 봉합사를 사용하는 리프팅 시술은 칼을 사용하지 않고 바늘과 실로써 얼굴, 턱, 목, 복부, 질, 가슴, 힙 등의 늘어진 피부 및 조직을 올려주고 주름을 당기고 펴주는 기술로서, 피부를 과다하게 절개할 필요가 없으며, 흉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술로 인한 출혈이나 부기가 적어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표면의 외부에 미늘(barb)이 형성된 봉합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미늘에 의한 조직의 고정력이 크게 작용하여 봉합 후 잘 풀리지 않는 등의 장점이 있다. 봉합사를 사용하는 시술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 중의 하나는 봉합, 조직의 밀착 또는 지지, 고정 효과를 안정적이고 오래 지속되도록 하기 위하여 시술부위에서 봉합사를 견고하게 유지 및 고정시키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봉합이 풀리지 않도록 견고한 매듭장치가 필요하고, 신속하고 안전한 시술을 위하여 매듭과정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한으로 단축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5583호(인용발명)는 매듭의 필요 없이 봉합할 수 있는 봉합사 및 봉합키트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은 봉합사에 형성된 미늘을 역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해서는 실을 잘라 봉합사 지지체의 앞부분에서 미늘이 역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매듭을 형성해야 하므로 매듭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봉합사의 오염 및 미늘이 손상될 가능성이 크며, 형성된 매듭이 딱딱하기 때문에 이물감이 있을 수 있으며, 촉진 및 통증 유발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인용발명은 봉합침을 사용하여 봉합하므로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봉합이 불규칙하게 나타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5583호 (발명의 명칭: 매듭짓는 작업이 필요 없는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듭이 필요 없고 봉합침이 관통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봉합이 편리한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봉합사를 지지하는 지지체가 조직 내에 삽입되어 조직들을 리프팅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한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는, 제1말단 및 제2말단과 상기 제1말단 및 제2말단 사이의 중심부를 갖는 봉합사에 있어서, 주변으로 미늘이 형성되며, 상기 미늘의 끝부분이 상기 봉합사의 중심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 봉합사 및 상기 봉합사의 제1말단 및 제2말단 중 어느 하나가 꿰는 방식으로 2개의 통공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봉합사 지지체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통공은, 각각 일측이 개방된 형태 및 관통된 구멍 형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인 봉합사 지지체를 포함한다.
상기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통공은, 각각 좌우측이 개방된 형태 및 각각 하부가 개방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이다.
상기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는, 상기 봉합사를 끼우기 전에 해당 조직을 관통시키는 펀처; 상기 봉합사 지지체를 내경에 끼워서 수용하며 시술대상이 되는 지점에 삽입시키는 콘; 상기 봉합사, 상기 콘 및 상기 봉합사를 내포하며 상기 펀처, 상기 콘 및 상기 봉합사가 상기 조직으로 연통하도록 구멍이 형성된 캐뉼라; 및 상기 캐뉼라가 상기 조직에 삽입된 이후 상기 캐뉼라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콘, 봉합사 및 봉합사 지지체가 상기 조직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플런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봉합사, 상기 봉합사 지지체 및 상기 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조직에 흡수되는 재질로 구성한다.
주변으로 미늘이 형성되며 상기 미늘의 끝부분이 봉합사의 중심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 봉합사, 상기 봉합사의 제1말단 및 제2말단 중 어느 하나가 관통하여 꿰는 방식으로 2개의 통공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봉합사 지지체를 이용한 봉합 방법으로서, 해당 조직을 펀처를 이용하여 펀칭하는 단계; 상기 봉합사 및 상기 봉합사 지지를 내포하며 상기 봉합사 및 상기 봉합사 지지체가 상기 조직으로 연통 하도록 구멍이 형성된 캐뉼라를 상기 조직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플런저를 상기 캐뉼라에 삽입하여 상기 봉합사 및 콘을 상기 조직 내부로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조직 내부에 삽입된 상기 플런저 및 캐뉼라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봉합사를 들어올리는 리프팅 단계; 및 상기 봉합사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봉합사 및 상기 봉합사 지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조직에 흡수되는 재질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은 매듭이 필요 없고 봉함침이 관통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봉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은 봉합사를 지지하는 지지체가 조직내에 삽입되어 조직들을 리프팅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은 시술자가 봉합사를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해당 조직 내 감염 확률을 감소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과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를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지지체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를 이용하여 시술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를 이용하여 해당 조직에 시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합사 및 이를 이용한 키트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과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지지체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를 이용하여 시술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는 봉합사(110)를 포함하며, 봉합사(110)는 제1말단(112) 및 제2말단(114)과 상기 제1말단(112) 및 제2말단(114) 사이의 중심부(118)를 갖는다. 봉합사(110)의 주변으로 미늘(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미늘(116)의 끝부분이 상기 봉합사의 중심부(118)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봉합사 지지체(120, 120-1, 120-2)는 봉합사(110)와 결합하는 2개의 통공(122, 122-1, 122-2, 124, 124-1, 124-2)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통공(122, 122-1, 122-2, 124, 124-1, 124-2)은 각각 일측이 개방된 형태 및 관통된 구멍 형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봉합사 지지체(120, 120-1, 120-2)에 형성된 통공(122, 122-1, 122-2, 124, 124-1, 124-2)을 통해 꿰어지는 방식으로 봉합사(110)가 봉합사 지지체(120, 120-1, 120-2)와 결합한다. 이때 봉합사(110)의 중심부(118)가 봉합사 지지체(120, 120-1, 120-2)에 배치되도록 결합한다. 결합한 상태에서 보면, 봉합사(110)의 미늘(116)의 끝부분이 봉합사(110)의 각각의 중심부(118)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봉합사(110)를 따라 형성된 미늘(116)의 끝부분은 시술 시에 시술부분, 즉 조직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수술부분 또는 조직 내로 삽입시에 봉합사 지지체(120, 120-1, 120-2) 및 봉합사(110)는 캐뉼라(140)를 통해 삽입되므로 미늘(116)의 끝부분이 수술 부위, 즉 조직을 향해 있지만 손쉽게 삽입될 수 있다.
봉합사 지지체(120, 120-1, 120-2)는 콘(13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의해 수용한다. 봉합사(110)와 결합된 봉합사 지지체(120, 120-1, 120-2)를 수용한 상태의 콘(130)은 펀처(미도시됨)에 의해 관통된 시술 부위, 또는 해당 조직의 시술대상이 되는 지점에 삽입된다.
봉합사(110)를 조직 내부로 침투시키기 위하여 관 형태의 캐뉼라(140)가 준비된다. 캐뉼라(140)는 양측이 개방된 관형이다. 캐뉼라(140)는 내부에 콘(130), 봉합사(110) 및 봉합사 지지체(120, 120-1, 120-2)를 내포하고 있다. 펀처에 의해 관통된 조직 내부로 캐뉼라(140)가 삽입된 후에 캐뉼라(140)의 일측의 구멍을 통해 플런저(150)가 콘(130) 및 봉합사 지지체(120, 120-1, 120-2)를 밀어서 캐뉼라(140)의 타측에 형성되어 조직내에 삽입된 구멍을 통해 조직 내로 콘(130), 봉합사(110) 및 봉합사 지지체(120, 120-1, 120-2)를 삽입시킨다. 콘(130) 및 봉합사(110)가 조직내로 삽입된 이후에 시술자는 플런저(150)와 캐뉼라(140)를 제거시킨다. 플런저(150)와 캐뉼라(140)가 제거된 이후, 시술자는 봉합사(110)을 당겨 시술부위, 즉 해당 조직을 리프팅 시킨다. 리프팅이 완료된 이후에는 봉합사(110)을 적당히 잘라 내어 시술을 마무리 지을 수 있다.
시술이 완료된 이후에 봉합사(110)의 미늘(116)의 끝부분이 향하는 방향봉합사의 중심을 향해 배치되며, 미늘(116)은 봉합사(110)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을 형성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콘(130), 봉합사(110) 및 봉합사 지지체(120)를 결합하여 조직 내부로 침투시키는 것에 대하여 개시하였지만, 봉합사(110)와 봉합사 지지체(120, 120-1, 120-2)만을 결합하여 조직 내부로 침투시킬 수도 있다.
도 5a의 도면에서와 같이 봉합사 지지체(120)에 2개의 통공(122, 124)을 형성한다. 봉합사 지지체(120)에 형성되는 통공(122, 124)은 좌우 방향으로 트인 형태로 구성하여 봉합사 지지체(120)와 봉합사(110)를 결합시에 좌우 방향으로 트인 곳을 통해 봉합사(110)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봉합사 지지체(120)에 트인 형태의 통공(122, 124)을 통해 봉합사(110)와의 결합이 손쉬워지므로 봉합사(110)를 시술자가 만지는 횟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감염에 의해 부작용이 발생할 확률이 줄어든다.
도 5b의 도면에서와 같이 봉합사 지지체(120-1)에 2개의 통공(122-1, 122-2)을 형성하고, 통공(122-1, 122-2)이 트인 방향을 하부에 형성하여 봉합사(110)가 이탈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결합이 손쉬우므로 봉합사(110)를 시술자가 만지는 횟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감염에 의해 부작용이 발생할 확률이 줄어든다.
도 5c의 도면에서와 같이 봉합사 지지체(120-2)에 형성되는 통공(122-2, 124-2)을 트이지 않은 구멍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봉합사(110)가 봉합사 지지체(120-2)로부터의 이탈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지만, 봉합사(110)와 봉합사 지지체(120-2)를 결합시 봉합사(110)를 통공(122-2, 124-2)에 관통시켜 결합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를 이용하여 해당 조직에 시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702과정에서 시술자는 해당 조직을 펀처를 이용하여 펀칭시킨다.
S704과정에서 봉합사(110), 콘(130) 및 봉합사(110)을 내포하며 관형상으로 형성된 캐뉼라를 준비한다. 캐뉼라(140)는 상기 콘, 봉합사 지지체(122, 122-1, 122-2) 및 상기 봉합사(110)를 내포한다. 시술자는 상기 조직으로 양측이 연통된 관형의 캐뉼라(140)의 일측을 상기 조직에 삽입시킨다.
S706과정에서 상기 플런저(150)를 캐뉼라(14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밀어내면, 상기 봉합사(110) 및 봉합사 지지체(120) 및 콘(130)이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조직내에 삽입된 구멍을 통해 상기 조직 내부로 삽입된다.
S708과정에서 시술자는 상기 조직 내부에 삽입된 상기 플런저(150) 및 캐뉼라(140)를 제거한다. 플런저(150) 및 캐뉼라(140)가 제거되면 해당 조직은 복원되며 조직이 봉합사(110)을 지지한다.
S710과정에서 봉합사(110)가 지지된 상태에서 시술자는 상기 봉합사(110)를 살짝 들어올려 시술부위, 즉, 조직을 리프팅시킨다. 이때, 조직이 복원된 상태이므로 콘(130) 및 봉합사 지지체(120, 120-1, 120-2)에 의해 조직을 리프팅시킬 수 있다. 리프팅시키는 과정에서 미늘(116)과 상기 봉합사(110)가 이루는 각도는 예각을 형성하되, 상기 조직 내부로 삽입된 이후 상기 미늘(116)의 끝부분의 지향 방향이 상기 봉합사(110)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이다.
S712과정에서 시술자는 상기 봉합사(110)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 중 일부를 남기고 봉합사를 커팅시켜 제거한다.
이때, 콘(130), 상기 봉합사 지지체(120, 120-1, 120-2) 및 상기 봉합사(110)는 상기 조직에 흡수되는 재질 또는 흡수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직에 흡수되는 재질을 사용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콘(130), 봉합사(110) 및 봉합사 지지체(120, 120-1, 120-2) 를 결합하여 조직 내부로 침투시키는 것에 대하여 개시하였지만, 콘(130)과 봉합사 지지체(120, 120-1, 120-2)만을 결합하여 조직 내부로 침투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봉합사(210)는 제1말단(212) 및 제2말단(214)과 상기 제1말단(212) 및 제2말단(214) 사이의 중심부(218)를 갖는다. 봉합사(210)의 주변으로 미늘(216)이 형성되어 있다.
봉합사(210)의 미늘(216)의 끝부분의 일부(224)는 중심부(218)를 향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미늘(216)의 끝부분의 나머지 부분(212)은 중심부(218)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성한다. 예컨대, 도면에서와 같이 미늘(216) 중, 중심부(218)에 가까운 부분(222)의 끝부분은 봉합사(210)의 중심부(218)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성하고 중심부(218)로부터 먼 부분(224)의 끝부분은 중심부(218)를 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반대로, 미늘(216) 중, 중심부(218)에 가까운 부분의 끝부분은 중심부(218)를 향하도록 구성하고 중심부(218)로부터 먼 부분(214)의 끝부분은 중심부(218)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봉합사(210)를 따라 형성된 미늘(216)의 끝부분은 시술 시에 시술부분을 향하는 미늘(224)과 시술부분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비늘(222)이 혼재되어 구성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 210 : 봉합사 112, 114 : 말단
116, 216 : 미늘 118 : 중심부
120, 120-1, 120-2 : 봉합사 지지체
122, 122-1, 122-2, 124, 124-1, 124-2 : 통공
130 : 콘 140 : 캐뉼라
150 : 플런저

Claims (8)

  1. 제1말단 및 제2말단과 상기 제1말단 및 제2말단 사이의 중심부를 갖는 봉합사에 있어서,
    주변으로 미늘이 형성되며, 상기 미늘의 끝부분이 상기 봉합사의 중심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 봉합사;
    상기 봉합사의 제1말단 및 제2말단 중 어느 하나가 꿰는 방식으로 2개의 통공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2개의 통공은 각각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는 봉합사 지지체;
    상기 봉합사를 끼우기 전에 해당 조직을 관통시키는 펀처;
    상기 봉합사 지지체를 내경에 끼워서 수용하며 시술대상이 되는 지점에 삽입시키도록 첨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여 날카롭게 형성된 콘;
    내부에 상기 콘, 상기 봉합사 및 상기 봉합사 지지체를 내포하고 상기 펀처에 의해 삽입되며 콘, 봉합사 및 봉합사 지지체가 상기 조직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캐뉼라; 및
    상기 캐뉼라가 상기 조직에 삽입된 이후 상기 캐뉼라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펀처를 밀어 상기 콘, 봉합사 및 봉합사 지지체가 상기 조직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통공은,
    각각 좌우측이 개방된 형태 및 각각 하부가 개방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인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상기 봉합사 지지체 및 상기 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조직에 흡수되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인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6. 제1말단 및 제2말단과 상기 제1말단 및 제2말단 사이의 중심부를 갖는 봉합사에 있어서,
    주변으로 미늘이 형성되며, 상기 미늘의 일부는 끝부분이 상기 봉합사의 중심부 방향을 향하고, 상기 미늘의 나머지는 상기 봉합사의 중심부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 미늘이 혼재된 봉합사;
    상기 봉합사의 제1말단 및 제2말단 중 어느 하나가 꿰는 방식으로 2개의 통공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2개의 통공은 각각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는 봉합사 지지체;
    상기 봉합사를 끼우기 전에 해당 조직을 관통시키는 펀처;
    상기 봉합사 지지체를 내경에 끼워서 수용하며 시술대상이 되는 지점에 삽입시키도록 첨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여 날카롭게 형성된 콘;
    내부에 상기 콘, 상기 봉합사 및 상기 봉합사 지지체를 내포하고 상기 펀처에 의해 삽입되며 콘, 봉합사 및 봉합사 지지체가 상기 조직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캐뉼라; 및
    상기 캐뉼라가 상기 조직에 삽입된 이후 상기 캐뉼라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펀처를 밀어 상기 콘, 봉합사 및 봉합사 지지체가 상기 조직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봉합사의 중심부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 상기 미늘은 상기 봉합사 지지체와 인접한 상기 봉합사의 앞부분에 구성되고, 끝부분이 상기 봉합사의 중심부 방향을 향하는 상기 미늘은 상기 봉합사의 뒷부분에 구성되는 것인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7. 삭제
  8. 삭제
KR1020150030501A 2015-03-04 2015-03-04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 KR101668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501A KR101668663B1 (ko) 2015-03-04 2015-03-04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501A KR101668663B1 (ko) 2015-03-04 2015-03-04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580A KR20160107580A (ko) 2016-09-19
KR101668663B1 true KR101668663B1 (ko) 2016-10-24

Family

ID=5710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501A KR101668663B1 (ko) 2015-03-04 2015-03-04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6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560A1 (ko) * 2018-05-18 2019-11-21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및 의료용 봉합사 키트
KR20190131991A (ko) * 2018-05-18 2019-11-27 (주)제이월드 봉합사 키트
KR102165798B1 (ko) * 2019-06-24 2020-10-13 김홍달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KR20210158274A (ko) * 2020-06-23 2021-12-30 윤지영 특이적 형상의 고체 필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6565A (zh) * 2018-07-11 2018-11-20 金海波 一种植入创面的提拉美容线
KR102211690B1 (ko) * 2019-01-15 2021-02-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형문합기를 사용한 문합을 위한 복강경용 자동쌈지봉합기
KR102174296B1 (ko) * 2020-01-14 2020-11-04 (주)제이월드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841B1 (ko) * 2011-03-07 2012-04-02 김영재 봉합사
KR101185583B1 (ko) * 2011-12-27 2012-09-24 김영재 매듭짓는 작업이 필요 없는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1358341B1 (ko) 2013-10-08 2014-02-06 배승주 주름제거용 리프팅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160B1 (ko) * 2004-09-20 2007-02-05 마렌 안드레비치 술라마니즈 성형수술용 수술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841B1 (ko) * 2011-03-07 2012-04-02 김영재 봉합사
KR101185583B1 (ko) * 2011-12-27 2012-09-24 김영재 매듭짓는 작업이 필요 없는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1358341B1 (ko) 2013-10-08 2014-02-06 배승주 주름제거용 리프팅 유닛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560A1 (ko) * 2018-05-18 2019-11-21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및 의료용 봉합사 키트
KR20190131990A (ko) * 2018-05-18 2019-11-27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및 의료용 봉합사 키트
KR20190131991A (ko) * 2018-05-18 2019-11-27 (주)제이월드 봉합사 키트
KR102184638B1 (ko) * 2018-05-18 2020-11-30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및 의료용 봉합사 키트
KR102184634B1 (ko) * 2018-05-18 2020-11-30 (주)제이월드 봉합사 키트
KR102165798B1 (ko) * 2019-06-24 2020-10-13 김홍달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WO2020262950A1 (ko) * 2019-06-24 2020-12-30 김홍달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KR20210158274A (ko) * 2020-06-23 2021-12-30 윤지영 특이적 형상의 고체 필러
KR102468085B1 (ko) * 2020-06-23 2022-11-18 윤지영 특이적 형상의 고체 필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580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663B1 (ko)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
JP6705951B2 (ja) 縫合糸
JP6837039B2 (ja) 医療用糸挿入装置、及びそれを具備した医療用糸挿入施術キット
KR101326763B1 (ko) 의료용 실 삽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료용 실 삽입 시술 키트
EP2675364B1 (en) Multiple loop device for passing suture tails through a surgical pledget
US7087060B2 (en) Methods for obtaining hemostasis of percutaneous wounds
JP2017504371A (ja) 医療用管挿入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医療用管挿入施術キット
US10178990B2 (en) Apparatus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and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comprising same
US20230200808A1 (en) Bidirectional barbed suture having needle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JP3868410B2 (ja) 針付縫合糸
JP2019524382A (ja) 特に瘻孔を治療するための医療装置
KR101189560B1 (ko) 바늘이 부착된 봉합사
Nair et al. Essential and fundamental surgical suture techniques for aseptic rodent surgery
TW201521698A (zh) 用於插入醫療管的裝置及含有其的用於插入醫療管的手術套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